KR830001343Y1 - 푸쉬버튼 전환식 라쳇트 렌치 - Google Patents

푸쉬버튼 전환식 라쳇트 렌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30001343Y1
KR830001343Y1 KR2019790007270U KR790007270U KR830001343Y1 KR 830001343 Y1 KR830001343 Y1 KR 830001343Y1 KR 2019790007270 U KR2019790007270 U KR 2019790007270U KR 790007270 U KR790007270 U KR 790007270U KR 830001343 Y1 KR830001343 Y1 KR 83000134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tchet
block
wrench
pushbutton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79000727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30000212U (ko
Inventor
꾸초우
Original Assignee
꾸초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꾸초우 filed Critical 꾸초우
Priority to KR2019790007270U priority Critical patent/KR830001343Y1/ko
Publication of KR83000021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3000021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3000134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30001343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13/00Spanners; Wrenches
    • B25B13/46Spanners; Wrenches of the ratchet type, for providing a free return stroke of the handle
    • B25B13/461Spanners; Wrenches of the ratchet type, for providing a free return stroke of the handle with concentric driving and driven member
    • B25B13/468Spanners; Wrenches of the ratchet type, for providing a free return stroke of the handle with concentric driving and driven member with possibility of locking the ratchet mechanism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푸쉬버튼 전환식 라쳇트 렌치
제 1 도는 종래의 라쳇트 렌치의 사시도.
제 2 도는 본 고안 실시예의 푸쉬버튼식 라쳇트 렌치의 사시도.
제 3 도는 본 고안 실시예에 의한 라쳇트 렌치의 분해 사시도.
제 4 도 및 제 5 도는 각각 고안 실시예의 축방향 및 반경방향 단면도.
본 고안은 라쳇트 렌치에 있어 작용 방향을 바꾸기 위한 푸쉬버튼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한번의 접촉(touch)으로 신속 간단하게 방향 전환의 조작이 가능하며 인체공학에 있어서의 동작의 경제원칙에 완전히 적합하도록 된 라쳇트 렌치의 전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제 1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의 라쳇트 렌치는 작용방향을 바꾸기 위하여 전환집계 (12)또는 그와 유사한 것을 구비하며, 나사와 공작물을 조이거나 풀어주는 조작 과정에서 항상 하기와 같은 매우 불합리한 결점이 존재한다.
그 하나는, 렌치 사용중에는 한 손으로 렌치의 손잡이 (11)를 쥐고 이것을 왕복 회전시켜서 공적물을 회전시키나, 작용방향으로 바꾸조가 할 때에는 다른 한 손으로 전환집계(12)를 돌러야 한다는 것이다. 그러나 다른 한 손은 작업하는 도중에 항상 공작물을 지지하는 힘을 주기 위한 준비를 하고 있지 않으면 안되며, 따라서 작업중에 상당히 불필요한 시간지연을 필요로 하므로, 그에 따른 작업능률의 저하리 무시할 수가 없다. 특히, 일정시간 혹은 일정속도로 다음 공정을 이행하지 않으면 안되는 일관 조립라인에 있어서는 극히 중대한 문제로 간주되고 있다.
두번째는, 상기 전환 집계(12)의 비틀림 동작은 때때로 감각에 의해서 되어지므로 잘못된 동작을 일으켜 실제와는 다른 전환작업이 이루어질 때가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결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그 주된 목적을 한 손으로 조작하는 것만으로 신속하게 렌치의 작용방향으로 바꾸고 또한 공작물을 조이거나 풀수 있도록 한 라쳇트 렌치의 전환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그 전환조작이 푸쉬버튼 방식으로 신속하고 정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감각에만 의존하거나 또는 불합리하게 동작하는 것 등을 해소한 푸쉬버튼 전환식 라쳇트 렌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라쳇트 렌치에 있어서 각두(角頭) 블럭이 상단 주연부에 원주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는 凸 모서리를 형성하여 공작물이 적은 작용력만으로 풀어질 수 있게 한 경우, 손으로 비틀어 회전시키는 동작보다 경제적인 라쳇트 렌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으 참조하여 이하에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제 2 도는 본 고안에 따른 푸쉬버튼식 전환장치를 구비한 라쳇트 렌치의 실시예를 도시한 입체도로서, 제 1 도의 종래의 라쳇트 렌치와 주된 상이점은 전환 집게가 푸쉬버튼 방식으로 교체되어 있다는 것이며, 이것에 의하여 력치의 조작중 한손으로 가볍게 누르기만 하면 확실하게 방향전환의 목적을 달성하게되고, 동작의 경제원칙에 의거 인체 공학의 조건에 적합한 것이된다.
제 3 도는 본 고안 실시예의 입체분해도이며, 제 4 도 및 제 5 도는 각각 본 고안 실시예의 축방향 및 반경방향 단면도이다. 본 실시 예의 렌치는 원형 덮개(50)와, 푸쉬버튼 장치(40) 및 라쳇트 블럭(25) 과, 각두블럭 (30), 렌치본체 (20)와, 스냅링 (39)으로 구성된다. 렌치본체(20)는 거의 종래의 것과 비슷한 외관으로되어 있으며, 손잡이와 대향하는 일단에는 상기 각두 블럭(30)이 끼워져서 스냅링(39)에 의해 회전운동을 자유로이 하도록 지지해주는 라쳇트 동체(21)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각두블럭 (30)은 소켓의 각두 볼조인트 상단부가 대략 상기 라쳇트 동체 (21)에 형성되어 있는 내치(內齒)의 치선원보다 약간 적은 직경의 원주체를 형성하며, 그 원주체 상단연에는 원주방향을 향하여 그외주면이 치형 모양으로 된 凸 모서리(31)가 형성되고, 중시부에는 각각 상부로부터 축중심 방향을 향해 얕고, 직경이 큰 원방형 구멍 (32)과 깊고 직경이 작은 원통형 구멍 (33)이 설치되어 있으며, 이 원반형 구멍(32)의 내부벽에 연하여 상기 원형덮개(50)를 스프링(55)으로 고정시키기 위한 환상홈(321)이 형성되어 있고, 원통형 구멍(33)에는 상기 푸쉬버튼 장치(40)를 삽입하게 되어 있다. 또한, 각 두블럭(30)의 원주체의 원주벽상 중간부에 반경방향에 연하여 적당한 각도를 갖고 또한 원통형 구멍(33)과 연통하는 부채꼴형 구멍(36)이 라쳇트 블럭(25)을 끼우기 위해 설치되어 있음 과 동시에, 하부 외주벽에 연하여 상기 스냅링(39)을 삽입하기 위한 환상홈(38)을 형성하고, 각두 블럭(30)은 그 원주체를 상기 라쳇트 동체(21)내에 삽입하여 상하를 각각 凸 모서리(31)와 스프링(39)에 의해 고정시켜 주므로서, 손으로 凸 모서리(31)를 잡아회
상기 푸쉬버튼 장치(40)는 판형상을 하고 그 양단이 위쪽을 향해 원호형으로 젖혀진 누름판(41)과 이 누름판(41)의 저면 중심부에 일체로 연접하고 상기 각 두 블럭 (30)이 원통형 구멍 (33)에 삽입된 원주체(43)와로 이루어진 푸쉬버튼본체(45)와, 이 푸쉬버튼 본체(45)를 그 누름판(41)의 단축(短軸)방향과 부채꼴형 구멍(36)을 2등분하는 방향의 각두 블럭 (30)의 직경선과에 동시에 평행하는 방향에서 원주체(43)와 형 각두 블럭 (30)을 관통하는 축고정구멍 (431)을 통하여 고정시켜주는 회동축 (44)과, 이 원주체 (43)의 하단에 성되어 회동축(44)과 평행한 방향에 능선을 형성하도록 양 경사면으로 구성된 첨단부(42)와, 각두 블럭(30)의 원통형 구멍 (33)저부에 있는 작은 구멍내에서 스프링(46)에 의해 힘을 받아 항상 상기 첨단부(42)의 어느 한쪽 경사면에 당접되어 있는 억제강구(鋼球, 47)와, 상기 원주체 (43)의 하단부에서 부채꼴형 구멍 (36)에 대향하는 위치에 설치된 한쪽의 막힌구멍(432)안으로 부터 스프링(48)에 의해 힘을 받아 항상 그 선단을 돌출시키고 있는 돌기핀 (49)으로 구성된다.
상기 라쳇트 블럭(25)은 그 수직중심 선상에 제공된 관통축구멍 (28)을 통하여 축핀(29)에 의해 상기 각두 블럭 (30)의 부채꼴형 구멍 (36)내에 고정되며, 그 배면은 원호형상의 凹 면(26)을 가졌으며, 상기 푸쉬버튼 장치(40)의 돌기핀(49)은 상기 凹 면(26)에 당접하여 작동할 수가 있으며, 약간 외향으로 돌출된 양단부 측면에는 그중 어느 한쪽을 전방으로 회전이동 시켰을 때 상기 라쳇트 동체 (21)의 내치와 맞물릴 수 있는 라쳇트치(27)를 형성하였으며, 이 단부 라쳇트 치 (27)의 한쪽이 상기 내치와 맞물
상기 원형 덮개(50)는 원판 모양으로 되어있고, 그 외주연에는 원주방향에 연하여 상기 각두 블럭 (30)에 있는 환상홈(321)과 대응하는 환상홈(51)이 형성되어, 상기 스프링(55)에 의하여 각두 블럭 (30)의 원반형 구멍(32)에 삽입 고정되고, 원형 덮개 (50)의 중앙부에는 상기 푸쉬버튼장치(40)의 누름판(41)을 노출시키기 위한 장방형구멍 (52)이 형성되어 있다.
본 고안의 렌치를 조립하기 위해서는 먼저 라쳇트 블럭(25)을 각두 블럭 (30)의 부채꼴형 구멍 (36)에 축핀 (29)에 의하여 고정하고, 각두 블럭 (30)의 원통형 구멍 (33) 저부에 있는 작은 구멍에 스프링 (46)과 강구 (47)를 차례로 삽입함과 동시에, 푸쉬버튼 본체(45)를 첨단부(42)가 억제 강구(47)에 당접하도록 상기원통형 구멍(33)에 밀어넣고 회동축(44)에 의해 축고정구멍(431)에 고정시킴과 아울러, 푸쉬버튼본체(45)의 하단부에 있는 한쪽이 막힌 구멍 (432)에 부착된 돌기핀(49)의 선단을 라쳇트 블럭(25)의 凹면(26)에 당접시킨다. 다음에 원형덮개(50)를 스냅링(55)과 각 환상홈(321,51)과를 끼우기 위해 원반형구멍 (32)에 고착시키고, 이어서 각두 블럭 (30)을 렌치본체(20)의 라쳇트 동체(21)에 정착하고, 스냅링 (39)을 그 환상홈(38)에 끼워넣는 것에 의하여 고정된다.
상기 구성에 의한 본 고안의 라쳇트 렌치는 푸쉬버튼 본체(45)의 첨단부(42)가 하방의 억제강구(47)에 당접되어 그 회동축(44)을 중심으로 하여 어느 한쪽으로 편향하여 위치하게 됨과 동시에, 대응하는 쪽의 누름판(41)의 일단은 상방으로 돌출하고, 또한 그 돌기핀(49)도 대응하는 쪽으로 편향되어서 라쳇트 블럭(25)의 한 단부를 배면으로 부터 눌러 이 측면의 라쳇트 치(27)를 라쳇트 동체(21)와 맞물리게 하므로서, 예를들어 제 4 도 및 제 5 도에 도시한 경우에 있어서는, 렌치본체(20)를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라쳇트 동체(21)의 내치를 거쳐서 라쳇트 블럭(25)의 우단을 돌기핀(49)의 미는힘에 저항하여 후퇴시키기 때문에 라쳇트 동체(21)만이 공전을 하며, 반시계 방향으로 라쳇트 동체(21)를 회전시키면 라쳇트 블럭(25)의 우단 라쳇트치(27)의 라쳇트 동체(21)의 내치와 맞물린 상태로 회전됨과 동시에 그 작용을 다른 단의 배면을 지나 부채꼴형 구멍(36)의 대응하는 단벽면을 전달하여서 각두 블럭을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켜 반시계 방향 한쪽만으로 치 멈춤작용을 한다.
다음에 작용방향을 역으로 전환할 경우, 상기 푸쉬버튼 장치(40)의 누름판(41)의 돌출된 우단을 가볍게 눌러 내리면은, 푸쉬버튼 본체(45)는 첨단부에서 하방에 있는 강구(47)를 눌러내림과 동시에, 회동축(44)을 중심으로 좌측으로 회전하고, 상기 돌기핀(49)을 라쳇트 블럭(25)의 凹면(26)에서 좌측으로 접동시키고 이 라쳇트 블럭(25)의 좌단부를 돌출시켜, 그 라쳇트 치(27)를 라쳇트 동체(21)의 내치와 맞물리도록 함과 동시에, 우단부 배면은 부채꼴형 구멍(36)의 우단벽면에 당접시킨다. 이로써 렌치는 시계 방향으로의 회전에 있어서 치 멈춤작용을 가지며, 렌치본체(20)를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면은 공전한다.
한편, 공작물의 조임상태가 느슨해져 렌치본체(20)르 이용하지 않고 회전할 수가 있을 때에는, 조작을 신속히 하기 위하여 손으로 직접 각두 블럭(30)의 凸 모서리(31)를 회전 조작하면, 상기 렌치본체(20)를 사용하였을 경우와는 각두 블럭 (30)과 라쳇트 동체(21)와의 상대운동이 역으로 되기 때문에, 치 멈춤작용이 없으며, 공작물을 신속하게 회전시킬 수가 있다. 이 각두 블럭(30)의 모서리 凸(31)를 직접 조작할 경우의 푸쉬버튼 전환조작은 상기 정상상태의 렌치본체(20)를 거쳐서 하는 경우와 아무런 차이

Claims (1)

  1. 내치가 형성된 라쳇트 동체(21)를 한쪽끝에 가지는 렌치본체(20)와 라쳇트블럭 (25)을 받아들어게끔된 부채꼴형 구멍(36)이 형성되어 있는 각두블럭(30)과 상기각두블럭 (30)을 상기 라쳇트동체(21)내에 고정시켜주기 위한 스프링(39)등으로 구성된 공지의 라쳇트 렌치에 있어서, 상기 각두블럭(30)내에 고정된 회동축(44)을 통하여 상기 각두블럭(30)내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원주체(43)를 갖는 누름판(41)과, 상기 각두블럭(30)의 하부에 형성된 홈내에 수용되는 압축스프링(46)과, 상기 스프링(46)의 상부에 이동 가능하게 제공됨과 아울러 상기 회동축(43)의 하부(42)와 활주 가능하게 맞물려서 상기 누름판(41)을 탄성적으로 편향시켜주는 억제강구(37)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푸쉬버튼 전환식 라쳇트 렌치.
KR2019790007270U 1979-12-04 1979-12-04 푸쉬버튼 전환식 라쳇트 렌치 KR83000134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790007270U KR830001343Y1 (ko) 1979-12-04 1979-12-04 푸쉬버튼 전환식 라쳇트 렌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790007270U KR830001343Y1 (ko) 1979-12-04 1979-12-04 푸쉬버튼 전환식 라쳇트 렌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0212U KR830000212U (ko) 1983-04-30
KR830001343Y1 true KR830001343Y1 (ko) 1983-08-06

Family

ID=553578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790007270U KR830001343Y1 (ko) 1979-12-04 1979-12-04 푸쉬버튼 전환식 라쳇트 렌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30001343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0212U (ko) 1983-04-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89447B1 (en) Reversible ratchet head assembly
US4775269A (en) Hand held tool with removable chuck
US3467231A (en) Pawl reversing mechanism for ratchet wrenches
US3733936A (en) Master ratchet with quick action dual drive
US4491043A (en) Stepless wrench including quick release mechanism
US5230262A (en) Ratchet wrench
US5157994A (en) Ratchet wrench with lost motion reversing mechanism
US3393587A (en) Ratchet wrenches
US5174176A (en) Reversible rachet wrench with integrated dual pawl and spring and cam unit
US6568298B1 (en) Reversible ratchet head assembly
JP2617698B2 (ja) ドライバ
US5582082A (en) Open-end wrench having self-contained ratcheting mechanism allowing one-way rotational driving of a hardware element
TWM576088U (zh) Ratchet wrench structure
KR830001343Y1 (ko) 푸쉬버튼 전환식 라쳇트 렌치
US4553453A (en) Stepless wrench including quick release mechanism
US3366187A (en) Impact driver
JPS62237107A (ja) 板状部材の回転式締め具
US4612830A (en) Torque wrench
JP2562883B2 (ja) 保持具
JPH0453476Y2 (ko)
JP3374065B2 (ja) 電動スクリュードライバのクラッチ装置
JP2627159B2 (ja) 電動スクリュードライバにおけるクラッチ装置
GB2327058A (en) Ratchet wrench
JPS5917059Y2 (ja) スイツチ切換装置
JPS6328571A (ja) ラチエツトレン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