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30001147Y1 - 분사력으로 자동 작동되는 미사일 발사장치 - Google Patents
분사력으로 자동 작동되는 미사일 발사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830001147Y1 KR830001147Y1 KR2019830004833U KR830004833U KR830001147Y1 KR 830001147 Y1 KR830001147 Y1 KR 830001147Y1 KR 2019830004833 U KR2019830004833 U KR 2019830004833U KR 830004833 U KR830004833 U KR 830004833U KR 830001147 Y1 KR830001147 Y1 KR 830001147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rocket
- force
- contact arm
- igniter
- launch tube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F—APPARATUS FOR LAUNCHING PROJECTILES OR MISSILES FROM BARRELS, e.g. CANNONS; LAUNCHERS FOR ROCKETS OR TORPEDOES; HARPOON GUNS
- F41F3/00—Rocket or torpedo launchers
- F41F3/04—Rocket or torpedo launchers for rocket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F—APPARATUS FOR LAUNCHING PROJECTILES OR MISSILES FROM BARRELS, e.g. CANNONS; LAUNCHERS FOR ROCKETS OR TORPEDOES; HARPOON GUNS
- F41F3/00—Rocket or torpedo launchers
- F41F3/04—Rocket or torpedo launchers for rockets
- F41F3/052—Means for securing the rocket in the launching apparatu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ys (AREA)
- Aiming, Guidance, Guns With A Light Source, Armor, Camouflage, And Targets (AREA)
- Electrical Discharge Machining, Electrochemical Machining, And Combined Machining (AREA)
- Eye Examination Apparatus (AREA)
- Supply Devices, Intensifiers, Converters, And Telemoto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제1도는 종래의 보유 및 해탈장치(detent/release mechanism)와 점화기 접촉 아암을 가진 로케트 발사관의 일부 단면도.
제2도는 제1도의 종래 장치의 해탈 동작을 보여주는 일부 단면도.
제3도는 매트릭스(matrix)내의 발사관에 장치된 장치된 본 고안에 의한 로케트 보유장치의 단부도.
제4도는 본 고안에 의한 로케트 보유장치의 단면도.
제5도는 제3도에 의한 점화기 접촉 아암의 단면도.
제6도는 제4도의 본 고안 장치가 로케트 분사에 의하여 작동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
본 고안은 일반적으로 로케트 및 미사일 발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 말하자면, 로케트 또는 미사일을 확실하게 보유하고 해탈시키는 장치(positive detent and release mechanism)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공지된 로케트 발사장치는 경량이고, 로케트의 몸체보다 약간 더 큰직경을 가진 비교적 얇은 알루미늄제 발사관이었다. 이 발사관은 또한 섬유 유리나 수지를 침투시킨 종이와 같은 합성 재료로도 만들 수 있다. 발사관의 길이는 통상적으로 로케트의 길이보다 더 길다. 복수개의 발사관들을 비행기 날개 아래의 파일런(pylon)상이나 헬리콥터의 동체에 연하여 설치한 포드(pod)내에 함께 조립해 넣을 수도 있다.
로케트 군의 발사순서는 일반적으로 포드내에서 로케트 모우터에 의하여 일시에 발생한 열의 총합이 최소로 유지되도록 일시에 행해져야 한다. 또한, 자유 비행 중에 로케트의 충돌도 방지되어야 한다. 그외, 미사일 또는 로케트를 레일로부터 발사시킬 수도 있다.
평평한 선두부를 가진 표준형 발사기 외에, 실험용 초음속로케트 발사기가 개개의 알루미늄 발사관내에 18개의 2.75인치(7cm)절첩식 수직안전판 로케트를 장비하는 F-4팬덤 제트기용으로 제작되었다. 각 발사관은 중심측선에 관하여 대칭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된다. 선두부는 18개의 알루미늄 발사관을 포함하고 있으며, 기본적인 공기역학적 형태 및 발사기에 있어서의 최대의 구조적이 완전성과 강도를 갖는다. 중간부는 전기 점화회로와 로케트 보유장치를 포함한다. 발사기의 후미부는 밑면 항력(base drag)을 감소시키도록 된 중공상의 공기 역학적 유선형으로 된다. 발사기는 외피로 덮인 유리섬유 강화 에폭시 적층판 구조물과 함께 일체로 접합시키고 발포재(發泡材)로 둘러싼 알루미늄 매트릭스로 구성된 경량 합성 구조의 특징을 갖는다.
각 로케트를 적절히 점화시키는 것과 각 로케트를 각 발사관에 손상을 주는 일없이 발사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실제에 있어서, 사용하고 있지 않는 포드내에 수개의 발사관을 장치하는 것이 가능하였다. 발사관의 수가 이보다 많아지면 그 적재물의 점화시에 손상을 받게 되고, 전체 발사기가 못쓰게 될 수도 있다. 그리하여, 발사관이 손상되면 상당한 비용을 발생시키게 된다.
이 분야에서 사용되는 형의 로케트는 후방으로 접힌 후미 안정판을 갖는데, 이들 후미 안정판은 로케트 몸체의 후미를 지나 연장하고, 그 선단부 연부는 몸체 주변부의 돌출부내에 위치된다. 이들 안정판을 접은 후에, 사각형의 플라스틱제 안정판 보유구를 안정판 말단에 부착시켜서 이들 안정판을 정위치에 유지시킨다. 환상의 금속제 접촉 원판을 안정판에 부착된 플라스틱제 보유구의 반대쪽 표면상에 설치한다. 전선으로 접촉 원판과 로케트 내의 점화장치를 연결시킨다. 점화 신호는 금속제 접촉 원판을 통하여 로케트에 인가된다. 로케트의 몸체는 로케트와 보유구의 접촉을 통하여 "접지"된다.
로케트를 그 발사관내에 장전(이하 "적재"라고도 함)시킬 때에, 로케토는 그 몸체의 후미부는 있는 원주상 주변 돌출 구조가 보유및 해탈장치와 결합될 때까지 그 발사관내로 미끄러져 들어간다. 이와 동시에 접촉원판이 "점화"신호를 로케트 모우터에 전달하는 점화기 접촉 아암과 접하게 된다. 종래의 대부분의 발사관들은 적재시에 상당한 양의 힘을 요한다. 예를들면, 특정한 해탈장치의 구조에 따라서, 발사관으로부터 로케트를 해탈시키는데 250파운드(113.4kg)의 힘이 필요하고, 역으로 보유시키는데 같은 양의 힘이 필요하다. 로케트를 보유장치와 결합시키기 위해서 기술자들의 로케트를 발사관내로 그야말로 마구잡이로 밀어 넣는 일이 생길 수도 있다.
작전 비행중에 로케트 보유장치는 여러가지 기능을 행해야한다. 보유 장치는 항공기의 비행자세와 보유장치에 가해지는 힘에 관계없이 로케트를 항상 정위치에 유지시켜야 한다. 예를들면, 곡예비행 방향 조정시 및 착륙시에 큰힘과 응력이 보유장치에 가해져서 로케트를 압박하게 될 것으로 예상된다. 제트기를 정지시키기 위해서 착륙제동 라인 및 후크를 사용하는 항공모함 착륙시에는, 중력의 9배(9'ga)이상의 힘이 발생하는 것으로 산출되었으며, 이 힘이 보유 장치에도 가해짐은 물론이다.
캐터펄트(catapult : 사출기)이륙시에는, 중력의 6배(6"hs)의 힘이 발생하는 것으로 산출되었다. 보유장치가 고장을 일으킨다면, 로케트가 그 발사관으로부터 이탈되어 항공기나 사람 및 항공기 근처의 설비에 막대한 손상을 입힐 수도 있다.
로케트 모우터가 점화되면, 소정시간 내에 또는 소정의 로케트 추진력내에서, 해탈 동작이 일어나고 로케트가 발사관을 빠져 나갈 것이다. 해탈 장치가 고장을 일으켜서 로케트가 해탈되지 않고 이른바 "지연점화(hangfire)"되면 발사 포드가 상당한 손상을 입게될 뿐만 아니라 항공기 기체도 손상을 입게될 가능성이 있게된다. 헬리콥터에서 발사되는 로케트의 지연점화는 헬리콥터가 경량이므로 그 조종 특성이 외력에 의하여 더욱 쉽게 영향을 받기 때문에 특히 위험하다. 추진기가 점화되고 수초 내에 로케트가 발사관을 빠져나가지 못하게 되면, 발사관이 상당한 손상을 입게되어 다시금 사용할 수 없게 된다. 로케트 발사기 포드의 점화 단부내의 섬유 유리, 합성재료 또는 알루미늄과 같은 어떤 재료들은 로케트 모우터 추진연료 연소 특성에 따른 계속적인 온도로부터 손상을 받지 않고 견디어 낼 수가 없다. 발사를 실패한 발사관으로부터 분출된 파편들은 항공기에 손상을 입힐 수도 있다. 비록 대부분의 로케트 포드가 처분 가능한 장비이기는 하지만, 만약에 상당수의 발사관들이 발사관 내에서의 로케트 화염으로 인하여 손상을 입게된다면, 포드를 조기에 폐기시켜야 할 것이다. 특정한 포드 내의 발사관의 수에 따라서는 일정한 수의 발사관이 손상되어도 무방할 것이다. 그러나, 손상된 발사관의 수가 전체적으로 소정의 백분비를 초과하면, 전체포드를 폐기시켜야 한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처분 가능한 로케트 발사 포드는 로케트와 보유장치가 고장을 일으키지만 않는다면, 거의 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그리하여, 개개의 포드로부터 많은 횟수의 발사를 행할 수 있다.
안정판 보유구는 추진기의 작용에 의하여 떨어져 나가고, 로케트가 그 발사관을 빠져나갈 때 후방으로 접혀 있던 안정판들은 로케트가 발사관을 떠난 후 수피트 거리 내에서 그들의 적합한 위치로 펼쳐진다.
종래의 해탈장치를 사용하는 다수의 발사관에 대하여 행한실험에서 놀랄만한 결과를 발견하였다. 그것은 후속되는 실험에서 요하는 해탈력이 이미 행해진 실험에서 보다 실제로 더 작다는 것이다. 환언하면, 앞서 행한 발사시에 해탈장치가 약화되었기 때문에 후속한 로케트 발사가 바로 전의 것보다 더 빨리 행해진다는 것이다. 결국, 해탈 장치가 무력해지고 위험해지기 때문에 발사관은 사용할 수 없게 된다.
종래에 널리 사용되던 보유장치는 로케트 모우터 완충기(bourrelet)의 후미부쪽에 있는 원주상 돌출부와 접촉하는 노치식 보유장치에 의하여 로케트에 세로방향 억제력을 가한다. 보유장치는 진동이나 충격하중으로 인한 부당한 해탈을 방지하도록 판스프링에 의하여 돌출부 쪽으로 압압되어 적소에 유지된다. 발사시에는 보유장치가 그 억제력을 능가하는 로케트 모우터 추진력에 의하여 해탈된다. 수회의 발사후에 행한 이러한 종래의 보유장치의 검사결과, 노치의 돌출부가 마모되어 작게될 정도로 보유장치의 재료가 영구적으로 변형되었음을 발견하였다. 이와 같이 마모된 돌출부는 앞으로 가해질 하중을 적절히 억제할 수 없다는 사실을 발견하였다. 이러한 종래의 보유장치의 다른 결점은 해탈작용이 주상만곡력(colummar bending force)에 따라 좌우되고, 이러한 해탈력은 본질적으로 매번 에측될 수 없다는 것이다. 어떤 포드 구조에서는, 일반적으로 175내지 280파운드(79.38sowl 127kg)범위내의 힘으로 로케트가 해탈될 것을 요한다. 그러나, 수차의 시험결과 전술한 힘의 최대치보다 더 큰힘이 로케트 해탈엥 소요됨을 발견하였다. 이는 로케트의 해탈에 필요한 힘이 일정하지 않다는 것이 종래의 보유 장치의 고유특성임을 말해준다. 그 외, 많은 요인들이 변화량을 증가시킨다. 이러한 과도한 힘은 포드, 장착 구조물 또는 항공기에 손상을 입히는 결과를 초래한다.
따라서, 본 고안의 주된 목적은 개량되고 경제적이며 신뢰성 있는 보유 및 해탈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소정의 일정한 해탈력을 가진 해탈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보유 및 해탈 장치와 점화기 접촉 아암장치가 일체로 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분사력으로 작동되어 미사일을 확실히 해탈시키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자동식로케트 해탈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어느쪽 끝으로부터라도 무장시킬 수 있는 로케트 발사관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미사일은 쉽게 장전할 수 있는 보유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바에 의하면, 분사력으로 작동되어 자동적으로 확실히 해탈되는 보유 장치가 미사일상에 고정되도록 된 고정 수단을 가진 보유 레버를 포함하는데, 이 레버는 캠과 피비트 포인트를 가지고 있다. 캠작동 압압부재(sear)가 상기 피버트 포인트를 중심으로하여 상기 고정 수단을 피버트시키기 위하여 보유 레버의 캠에 대향하여 배치된다. 회전가능한 아암이 상기 압압 부재에 피버트 가능하게 연결된다. 이 회전 가능한 아암은 분사 지역내로 신장되고 상기 분사력에 의하여 회전됨으로써, 상기 압압 부재를 작동시키게 된다.
이하, 첨부 도면에 따라 종래의 장치와 본 고안에 의한 장치를 더욱 상술한다.
제1도에는 종래의 보유 및 해탈 장치와 점화기 접촉 아암 장치가 로케트 발사관 상에 장치된 상태로 도시되어 있다. 로케트(10)는 안정판(12a)내지 (12d)을 로케트(10)의 후미부 쪽에서 후방으로 절첩시킨 후에 발사관(15)의 선두부를 통하여 발사관(15)내로 적재시킨다. 접촉 원판(13b)을 가진 플라스틱제 안정판 보유구(13a)가 안정판 단부에 부착된다. 접촉원판(13b)은 전선(도시하지 않았음)을 통하여 로케트 모우터에 연결된다.
보유 및 해탈장치(16)는 발사관의 개구부를 통하여 신장되는 보유 레버(17)를 포함한다. 노치(17a)가 로케트(10)를 정위치에 고정시키도록 로케트의 주변 돌출부(11)와 결합된다. 예비하중판 스프링(18)이 보유 레버(17)의 상부에 배치되는데 이들 양자는 리벳이나 나사에 의하여 발사관에 고정된다. 로케트의 추진력은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케트(10)를 해탈시키도록 판스프링(18)과 보유레버(17)의 압력을 이겨내어야 한다.
제2도에는 로케트(10)가 해탈될 때의 보유장치(16)를 도시하였다. 보유 레버(17)는 로케트 추진력으로 인한 탄성 주상 만곡력을 받았기 때문에 활처럼 만곡된 상태로 보인다. 주상 만곡력은 불안정하고 예측할 수 없을 때가 많다. 그러므로 해탈력을 정확하게 미리 측정하기가 곤란하다. 전술한 방식대로 반복되는 만곡운동은 보유 레버(17)를 약화시켜서 노치(17a)의 바로 앞부분에서 레버를 균열시키는 일을 종종 초래하게 된다. 점선은 로케트(10)가 정위치에 있을 때의 보유 레버의 위치를 나타낸다.
점화기 접촉 아암 조립체(23)는 보유 및 해탈장치(16)와는 별도의 단위체로 된다. 점화기 접촉아암(25)은 발사관(15)의 후미부 단부를 통하여 신장되고 장착블록(27)상에 피버트된다. 점화기 접촉 아암(25)의 하단부는 점화 신호를 전달시키도록 접촉원판(13b)과 물리적으로 및 전기적으로 접촉되게 되어있다.
점화기 접촉 아암(25)의 상단부는 압압봉(28)과 압축 스프링(29)에 의하여 스프링 하중에 받는다. 스페이드형 전기 러그(spaded dldctrical lug) (30)가 점화 신호를 받도록 압압봉(28)의 나사단부상에 부착된다. 점화 신호가 발사관(15)으로 단락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절연체 박막(31)이 장착블록(27)과 발사관(15)사이에 삽입 설치된다. 장착 블록(27)을 고정하는 나사(32)도 나일론제 워셔(33)에 의하여 절연된다. 장착블록(27)의 선단부에 있는 리벳도 절연된다. 그리하여, 점화 신호는 접지로 단락되는 일 없이 점화기 접촉 아암 조립체(23)전체에 인가된다. 삼각형의 금속제 하우징(35)이 점화기 접촉 아암 조립체(23)주위에 설치되나 전기적으로 접촉되지는 않는다.
점화기 접촉 아암(25)이 발사관(15)내에 영구적으로 고정되기 때문에, 로케트는 발사관(15)의 선두부로 부터 적재 및 분리될 수 밖에 없다. 또한, 보유 레버(17)의 구조로 인하여, 로케트(10)를 분리시킬 때에 로케트를 해탈시키기 위하여 특별한 지렛대를 사용하여 노치(17a) 상부의 돌출 탭을 들어올려야 한다.
제3도 내지 제6도에 도시된 예에서, 제1도의 구성 요소들과 동일하거나 동등한 기능을 행하는 것들은 제1도에서와 같은 도면 번호를 붙였다.
제3도는 발사관(15)의 상부에 장치된 하우징(42)을 보여주는 본 고안의 보유 및 해탈 장치(40)의 단부도이다. 하우징(42)의 삼각형 형태는 복수개의 발사관(15)이 매트릭스 내에 함께 조립될 수 있게 한다.
도면에서 미사일(10)은 점화되기 전의 정위치에 있는 상태로 도시되어 있다. 안정판(12a)내지 (12d)이 과도한 진동으로 움직여서 손상을 입게 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안정판 상에 안정판 보유구(13a)가 고정되어 있다. 안정판 보유구 중앙의 접촉원판(13b)은 점화기 접촉 아암(44)으로부터의 점화신호를 받는다. 점화기 접촉 아암(44)은 피버트 포인트(45)에 의하여 연결 아암(65) (제4도)의 말단부에 장치된다. 스프링 하중을 받는 연결 아암의 압력에 의해 점화기 접촉 아암(44)과 하우징(42)의 단부에 장치된 접촉판(46)사이의 전기적인 연결이 유지된다. 점화기 접촉 아암(44)후부의 접촉판(46)은 전선(도시되지 않음)에 의해서 점화신호를 받는다. 점화신호가 접지로 단락되는 것을 방지하는 절연물 없이도 금속제 접촉판(46)을 하우징(42)에 직접 장치할 수 있도록 하우징을 절연재료로 만드는 것이 적합하다.
로케트 분사 노즐(14a)로부터의 배기 가스 추진력이 점화기 접촉 아암(44)을 밀어내어 분사로 밖으로 피버트 포인트(45)를 중심으로 회전시키게 됨으로써, 제4도와 관련하여 이하 기술하는 보유 장치를 확실히 해탈시킨다.
본 고안은 보유 및 해탈 장치(40)가 발사관(15)내의 로케트(10)와 결합되어 있는 상태를 제3도의 4-4평면을 따라서 본 일부 횡단면도인 제4도에 더욱 상세하게 도시되어 있다.
절연체 하우징(42)에는 본 고안을 실시하는데 사용되는 모든 아암과 레버가 장치된다. 보유레버(50)는 발사관(15)내로 신장된 노치형 보유 부재(52)를 갖는다. 노치의 후방 돌출부(52b)는 로케트를 선두부로부터 장전할 경우 로케트 후미부를 위한 확실한 정지구를 제공하도록 전방 돌출부(52a)보다 약간 더 길게되어 있다. 보유 레버(50)는 노치형 보유 부재(52)의 전방에 위치하여 랩(53)에 쇄정력을 가하는 1조의 압축 스프링(56) 및 (58)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음)에 의하여 스프링 하중을 받는다. 압축 스프링(56) 및 (58)의 압축를 및 압축력은 로케트가 받는 충격 및 진동, 로케트의 추진력, 점화기 접촉 아암이 본 고안의 확실한 해탈 장치를 작동시키는 것을 실패했을 경우에 필요한 해탈 추진력 등을 포함하는 다수의 매개변수를 의하여 결정된다. 해탈 장치 작동 실패의 경우에는, 압축 스프링(56) 및 (58)과 노치형 보유 부재(52)가 안정성을 읽게 된다. 환언하면, 노치형 보유 부재(52)의 형태와 배치는 점화기 접촉 아암이 고장날 경우 로케트의 추진력이 압축 스프링(56) 및 (58)의 압축력을 능가하여 로케트(10)를 해탈시키도록 결정된다.
보유레버(50)는 피버트 판(60)의 개구부 내에 위치한 피버트(54)를 갖는다. 금속제 피버트 판(60)은 하우징(42)상에 리벳결합되는데, 리벳 중 하나에서는 전기 러그(도시되지 않았음)가 피버트 판(60)과 보유 레버(50)를 통하여 로케트(10)에 접지 신호를 전달시킨다. 보유 레버(50)의 타단은 노치형 보유 부재(52)를 작동시키기 위한 캠 표면(55)를 갖는다. 노치형 보유 부재952)의 피버트 운동 방향은 화살표로 표시하였다.
스프링 하중을 받는 압압 부재(62)는 캠 표면(55)에 접하는 캠 작동표면(64)을 갖는다. 도면에서 압축 스프링(68)으로 도시되어 있는 복귀 스프링은 압압 부재(62)의 연결 아암(65)주위에서 하우징(42)에 접하게 배치된다. 이 스프링의 압축력은 로케트의 추진 해탈력과, 로케트 분사를 받는 점화기 접촉 아암(44)의 면적에 의하여 결정된다. 압압 부재(62)는 보유 레버(50)의 접지 전위가 점화기 접촉 아암(44)에 인가되는 점화 신호와 절연되도록 절연재료로 만드는 것이 적합하다. 압압 부재의 연결 아암(65)의 단부 쪽에 있는 금속대(69)는 압압 부재(62)를 정위치에 유지시켜 준다.
점화기 접촉 아암(44)은 피버트 포인트(45)에서 압압 부재의 연결 아암(65)에 연결된다. 전술한 바와같이, 점화기 접촉 아암(44)은 점화 신호를 받는 접촉판(46)과 접한다. 점화기 접촉 아암(44)은 그 하단부에 로케트의 점화신호 접촉 원판(13b)에 전기적으로 접촉되기 위한 돌출 접촉 첨단부(47)를 갖는다.
점화기 접촉 아암(44)의 구조는 제5도의 단면도에서 더욱 상세히 도시되어 있다. 전면(48a)은 점화기 접촉 아암(44)을 피버트시키도록 로케트 분사를 받는다. 특정 로케트에 의하여 발생된 추진력에 따라서 전면(48a)의 크기를 도면에 도시된 것으로부터 변경시켜야 될 것이다. 예를들면, 추진력이 약한 로케트는 넓은 전면을 가진 전화기 접촉 아암을 필요로 할 것이며, 추진력이 강한 로케트는 그 반대로 될 것이다.
배면(49)은 사용 수명을 연장시키도록 점화기 접촉 아암(44)을 구조적으로 보강시킨다. 상부 안내면(48b)은 점화기 접촉 아암(44)이 그 피버트 포인트(45)상에서 피버트될 때에 접촉판(46)상에서 매끄럽게 슬라이드될 수 있도록 작은 곡률 반경, 예를 들면 13인치(33cm)의 반경을 갖는다.
제6도에는 로케트(10)가 발사관(15)으로부터 해탈되는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점화신호는 점화기 접촉 아암(44)과 접촉 원판(13b)을 통하여 로케트 추전기에 인가된다. 모우터가 점화되면, 점화기 접촉 아암(44)을 외향으로 회전시키기에 충분한 추진력이 발생된다. 로케트 배기류는 발사관내에서 25내지50psi(1.76내지 3.52kg/㎠)범위의 정지 압력을 일정하게 발생시키며, 점화기 접촉 아암에 달했을 때에 100내지 300psi(7.03내지 21.09kg/㎠)의 총압력(또는 선택된 접촉 면적과 특정 로케트의 추진력에 따라서 25내지 150파운드(11.34내지 69.04kg)의 작용력)을 발생시킨다. 압압 부재(62)가 점화기 접촉 아암(44)의 캠 작용으로 인하여 후방으로 당겨지면, 캠 작동 표면(64)이 캠 표면(55)을 하방으로 누르면서 슬라이드 이동되고 보유 레버(50)가 그 피버트 포인트(54)를 중심으로 하여 피버트된다. 노치형 보유부재(52)가 로케트 후미부의 주변 돌출부(11)로부터 당겨져서 로케트(10)를 해탈시킨다. 그리하여 본 고안은 확실한 발사를 달성시킨다.
본 고안의 신규한 특징 중의 하나는 압축 스프링(68)의 압축력을 극복하기에 충분한 추진력이 발생하자마자 점화기 접촉 아암(44)이 로케트 분사로의 밖으로 회전된다는 것이다. 종래의 대부분의 점화기 아암과는 달리, 본 고안의 점화기 아암은 외부로 이동되기 때문에 부식 가스의 영향을 덜 받게 된다. 이는 물론 점화기 접촉 아암의 수명을 연장시킬 뿐만 아니라 전체적인 로케트 발사기 포드 조립체의 수명을 연장시킨다. 로케트 또는 미사일의 적재는 종래의 장치에서 보다 현저하게 단순화된다. 로케트를 발사관내에 장전하기 위해서는 점화기 접촉 아암(44)을 상향 및 외향으로 젖혀주기만 하면 된다. 그결과, 로케트(10)를 선두부나 후미부 어느 쪽으로 부터라도 장전시킬 수가 있다. 보유 장치를 결합시키는데 필요한 힘의 양은 종전의 100파운드(45.36kg)이상으로부터 15 또는 20파운드(6.8또는 9.07kg)정도로 현저하게 감소된다. 로케트 발사기의 로케트 분리 기능도 현저하게 개량되고 단순화된다. 로케트(10)를 분리시키기 위해서는 비교적 근소한 손가락힘만 사용하여 점화기 접촉 아암(44)를 젖혀주기만 하면 된다. 따라서, 종래와 같이 특수한 지렛대를 어림으로 사용하는 일은 배제된다.
Claims (1)
- 로케트 추진식 미사일을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하도록 된 지지장치, 상기 미사일과 해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미사일이 상기 지지장치를 따라서 슬라이드 이동되는 것을 제한시키도록 된 이동가능한 보유 부재 및 상기로 케트의 추진제를 점화시키도록 된 장치를 포함하여서된 공지의 미사일 발사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동가능한 보유 부재(50, 52)와 계합되고 상기 미사일(10)을 해탈시키도록 상기 이동가능한 보유 부재(50, 52)를 이동시키기 위하여 로케트 분사력에 의하여 작동되는 스프링 압압식 토글링크 장치(44, 65)를 특징으로 하는 분사력으로 자동 작동되는 미사일 발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US05/974,479 US4336740A (en) | 1978-12-29 | 1978-12-29 | Automatic blast actuated positive release missile detent |
US974479 | 1978-12-29 |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790004656A Division KR830001582A (ko) | 1978-12-29 | 1979-12-28 | 자동 송풍작동식 포지티브 릴리이스미사일 디텐트 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830001147Y1 true KR830001147Y1 (ko) | 1983-07-13 |
Family
ID=25522090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790004656A KR830001582A (ko) | 1978-12-29 | 1979-12-28 | 자동 송풍작동식 포지티브 릴리이스미사일 디텐트 장치 |
KR2019830004833U KR830001147Y1 (ko) | 1978-12-29 | 1983-06-01 | 분사력으로 자동 작동되는 미사일 발사장치 |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790004656A KR830001582A (ko) | 1978-12-29 | 1979-12-28 | 자동 송풍작동식 포지티브 릴리이스미사일 디텐트 장치 |
Country Status (10)
Country | Link |
---|---|
US (1) | US4336740A (ko) |
KR (2) | KR830001582A (ko) |
BE (1) | BE879799A (ko) |
CA (1) | CA1153597A (ko) |
GB (1) | GB2050583B (ko) |
IL (1) | IL58889A (ko) |
IT (1) | IT1164799B (ko) |
NO (1) | NO147433C (ko) |
SE (1) | SE442339B (ko) |
WO (1) | WO1980001411A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20022567A (ko) * | 2020-08-19 | 2022-02-28 | (주)신화정공 | 탄 구속 장치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DE3301567A1 (de) * | 1983-01-19 | 1984-08-02 | Bodenseewerk Gerätetechnik GmbH, 7770 Überlingen | Verriegelungsvorrichtung fuer luft-luft-lenkflugkoerper |
US4545284A (en) * | 1983-04-29 | 1985-10-08 | General Dynamics Pomona Division | Protection device for rocket launcher rail |
US4550640A (en) * | 1983-09-16 | 1985-11-05 | Werkzeugmaschinenfabrik Oerlikon-Buehrle Ag | Missile canister restraint device |
US4734329A (en) * | 1984-05-29 | 1988-03-29 |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Air Force | Shock absorbing missile launch pad |
US4616554A (en) * | 1984-08-13 | 1986-10-14 | Westinghouse Electric Corp. | Extendable tube for vertically delivered weapons |
US4934241A (en) * | 1987-11-12 | 1990-06-19 | General Dynamics Corp. Pomona Division | Rocket exhaust deflector |
US5115711A (en) * | 1991-03-25 | 1992-05-26 | Fmc Corporation | Missile canister and method of fabrication |
US5327809A (en) * | 1993-03-24 | 1994-07-12 | Fmc Corporation | Dual pack canister |
KR0156674B1 (ko) * | 1995-12-15 | 1998-10-15 | 배문한 | 미사일 구속 및 해제 장치 |
US6895850B2 (en) | 2003-09-09 | 2005-05-24 |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Navy | Pressure-released brake assembly for restraining projectile in launch tube |
JP4635236B2 (ja) * | 2008-10-30 | 2011-02-23 | 独立行政法人産業技術総合研究所 | 固体メモリの製造方法 |
US9841256B2 (en) * | 2016-01-17 | 2017-12-12 | Wilcox Industries Corp. | Combined launch and storage tube for missile |
Family Cites Families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DE1141210B (de) * | 1959-06-09 | 1962-12-13 | Boelkow Entwicklungen Kg | Starteinrichtung fuer rueckstossgetriebene Flugkoerper |
FR1340562A (fr) * | 1961-12-06 | 1963-10-18 | Brevets Aero Mecaniques | Perfectionnements apportés aux installations lance-roquettes à tubes de lancement, notamment à celles pour aérodynes |
US3296929A (en) * | 1963-10-16 | 1967-01-10 | Bofors Ab | Missiles |
NL6411455A (ko) * | 1963-10-16 | 1965-04-20 | ||
US3513749A (en) * | 1968-10-25 | 1970-05-26 | Us Army | Rocket launcher |
US3659493A (en) * | 1970-01-16 | 1972-05-02 | Hitco | Rocket retaining mechanism for launcher tubes |
US3719120A (en) * | 1970-06-29 | 1973-03-06 | Us Navy | Rocket launching system |
CH592861A5 (en) * | 1975-10-03 | 1977-11-15 | Oerlikon Buehrle Ag | Clamp holding rocket in launching barrel - has locking lever releasing clamp by rocket gas stream force |
US4132150A (en) * | 1977-08-08 | 1979-01-02 | The Unites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Army | Blast actuated detent |
-
1978
- 1978-12-29 US US05/974,479 patent/US4336740A/en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1979
- 1979-10-23 CA CA000338177A patent/CA1153597A/en not_active Expired
- 1979-11-05 BE BE2/58182A patent/BE879799A/fr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1979-12-06 IL IL58889A patent/IL58889A/xx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1979-12-26 WO PCT/US1979/001122 patent/WO1980001411A1/en unknown
- 1979-12-26 GB GB8027583A patent/GB2050583B/en not_active Expired
- 1979-12-28 NO NO794350A patent/NO147433C/no unknown
- 1979-12-28 IT IT51221/79A patent/IT1164799B/it active
- 1979-12-28 KR KR1019790004656A patent/KR830001582A/ko unknown
-
1980
- 1980-08-20 SE SE8005858A patent/SE442339B/sv unknown
-
1983
- 1983-06-01 KR KR2019830004833U patent/KR830001147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20022567A (ko) * | 2020-08-19 | 2022-02-28 | (주)신화정공 | 탄 구속 장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IT1164799B (it) | 1987-04-15 |
IL58889A (en) | 1982-04-30 |
SE8005858L (sv) | 1980-08-20 |
NO147433C (no) | 1983-04-06 |
GB2050583B (en) | 1983-03-30 |
KR830001582A (ko) | 1983-05-17 |
CA1153597A (en) | 1983-09-13 |
GB2050583A (en) | 1981-01-07 |
NO147433B (no) | 1982-12-27 |
WO1980001411A1 (en) | 1980-07-10 |
SE442339B (sv) | 1985-12-16 |
NO794350L (no) | 1980-07-01 |
US4336740A (en) | 1982-06-29 |
IT7951221A0 (it) | 1979-12-28 |
BE879799A (fr) | 1980-03-0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830001147Y1 (ko) | 분사력으로 자동 작동되는 미사일 발사장치 | |
US8091460B2 (en) | Missile secure-release mechanism having wheel lock detent | |
US3088403A (en) | Rocket assisted torpedo | |
US3008376A (en) | Launching device | |
US2481542A (en) | Displacement launcher for projectiles | |
US3998124A (en) | Bomb rack arming unit | |
US5020436A (en) | Booster retarding apparatus | |
GB2228458A (en) | Flight data recorder ejector | |
US4550640A (en) | Missile canister restraint device | |
US5291820A (en) | Inertial restraint mechanism for rail-mounted missiles | |
US4358983A (en) | Blast enabled missile detent/release mechanism | |
US4802400A (en) | Air-carried missle launcher | |
US8608111B2 (en) | Decoupling mechanism for a store | |
US4028886A (en) | Passive chamber wall fragmenter | |
US3727569A (en) | Missile | |
US5431106A (en) | Release of daughter missiles | |
US2751818A (en) | Latch mechanism for a rocket launcher | |
US3504593A (en) | Airborne rocket launcher | |
US3481246A (en) | Munition dispenser | |
US2967685A (en) | Pilot chute ejection device | |
US4271748A (en) | Shorting and radiation protection device for rocket | |
US2830496A (en) | Contact latch mechanism | |
US4449454A (en) | Safety mechanism for an explosive body | |
US2804805A (en) | Short rail rocket launcher | |
US4509427A (en) | Tail fin firing devic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19910706 Year of fee payment: 9 |
|
EXPY | Expiration of ter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