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30001053B1 - 보내기 속도 제어 시스템 - Google Patents

보내기 속도 제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30001053B1
KR830001053B1 KR1019800003480A KR800003480A KR830001053B1 KR 830001053 B1 KR830001053 B1 KR 830001053B1 KR 1019800003480 A KR1019800003480 A KR 1019800003480A KR 800003480 A KR800003480 A KR 800003480A KR 830001053 B1 KR830001053 B1 KR 8300010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lse
register
address
sending speed
control sys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000034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히로오미 후꾸야마
싱이찌 이소베
Original Assignee
후지쓰 후아낙크 가부시끼가이샤
이나바 세이 우에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쓰 후아낙크 가부시끼가이샤, 이나바 세이 우에몽 filed Critical 후지쓰 후아낙크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to KR10198000034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83000105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300010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300010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9/00Programme-control systems
    • G05B19/02Programme-control systems electric
    • G05B19/18Numerical control [NC], i.e. automatically operating machines, in particular machine tools, e.g. in a manufacturing environment, so as to execute positioning, movement or co-ordinated operations by means of programme data in numerical form
    • G05B19/19Numerical control [NC], i.e. automatically operating machines, in particular machine tools, e.g. in a manufacturing environment, so as to execute positioning, movement or co-ordinated operations by means of programme data in numerical form characterised by positioning or contouring control systems, e.g. to control position from one programmed point to another or to control movement along a programmed continuous pat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Numerical Control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보내기 속도 제어 시스템
제1도는 종래의 보내기 속도 제어 시스템의 조작 패널 정면도.
제2도는 종래의 보내기 속도 제어 시스템의 블록도.
제3도는 본 발명에 관한 보내기 속도 제어시스템의 일 실시예의 블록도.
제4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본 발명은 수치 제어 장치 등에 있어서의 가동물(可動物)의 보내기 속도를 제어하기 위한 보내기 속도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수치 제어 가공에 있어서는 인물의 수명, 가공시간 등을 고려하여 가공 테이블인 가동물의 최적의 보내기 속도가 정해진다. 이 최적의 보내기 속도를 고려함이 없이 가공시간을 단축하려하여 가공속도(보내기 속도)를 빨리 하면 인물에 걸리는 부하(負荷)가 커져서 인물의 절손, 이빠짐 등을 일으킨다. 또 인물의 수명을 길게하기 위하여 가공속도를 저속으로 하면 가공시간이 너무 길어져서 능률좋은 수치 제어 가공을 할 수 없게 된다. 그런데 일반적으로는 최적의 가공속도는 피가공물의 경도, 절사량의 크기, 커터의 칼날셈, 커터의휨, 기계의 강성 등, 여러가지의 요소를 고려하여 결정되는데 일단 결정하여 지령 테이프에 천공하여 실제로 기계를 작동하여 보면 좀 더 느리게 하지 않으면 인물이 손상한다든지, 좀더 빨리 하여도 무방하였다든지 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한다. 그러므로 지령테이프에 의하여 실제로 동작하고 있는 가동물의 보내기 속도를 수동에 의하여 최적한 보내기 속도로 조정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종래의 이와 같은 보내기 속도 제어 시스템에서는 다수의 속도 지령 다이얼이 형성되어 이들을 수동조작하여 속도조정을 행하고 있으며 또한 이 다이얼에 대응하는 복수의 발진기를 갖고 있다. 따라서 다수의 다이얼, 발진기를 필요하므로 부품 접수가 증가하며 실장 공간이 증대하므로 장치를 염가로 구성할 수 없으며 또한 소형화가 곤란하였다.
또한 다수의 다이얼이 있으므로 조작원은 수동조정이 용이하지 않으며 조작에 신경을 써야 한다.
그러므로 다수의 다이얼이나 주변회로를 요하지 않는 보내기 속도 제어 시스템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위의 물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소수의 부품으로서 또한 실장공간이 적게드는 보내기 속도 지령 수단을 갖는 보내기 속도 제어 시스템을 개시한다.
본 발명의 한 목적은 부품 점수가 적고 실장공간도 극히 적게 들게 할 수 있는 구성이 간단한 신규의 보내기 속도 제어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보내기 속도의 수동 조정이 소수의 지령보턴의 조작에 의하여 행할 수 있는 보내기 속도 제어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디지틀적으로 동작할 수 있는 보내기 속도 제어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염가로 구성할 수 있는 보내기 속도 제어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이 밖의 본 발명의 작용효과에 대하여는 다음에 첨부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는 바와 같다.
제1도 및 제2도는 본 발명과 대비하기 위한 종래의 보내기 속도 제어 시스템의 설명도로서 제1도는 그 조작패널정면도, 제2도는 그 블록도이다.
종래의 보내기 속도 제어시스템에 있어서는 제1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조작 패널에 보내기 속도를 설정하기 위한 복수개의 다이얼(1), (2), (3)을 형성하고 가공을 위한 지령 테이프에 (F0)(급송), (F1), (F2), (F3)의 어느 하나를 지령하여 대응하는 소정의 다이얼을 지정한다. 실제의 가공에 있어서는 다이얼을 돌려서 최적의 보내기 속도가 되도록 설정하고 있다. 그리고 제1도 중 (1), (2), (3)은 각각 보내기 속도를 설정하기 위한 다이얼, (4), (5), (6)은 각각 보내기 속도의 눈금판, (7), (8), (9), (10)은 램프로서 각 램프의 상부에는 (F0), (F1), (F2), (F3)의 기호가 부하여 있으며 지령 테이프로부터 (F0), (F1), (F2), (F3)의 어느 하나가 지령되면 대응하는 램프가 점등한다.
제2도는 상기 종래의 보내기 속도 제어 시스템을 실현하기 위한 블록도로서 보내기 속도를 지정하는 복수개의 다이얼(1), (2), (3), 각 다이얼(1), (2), (3)의 지정치에 따른 주파수의 펄스를 발생하는 복수개의 펄스 발진기(11), (12), (13), 금속용의 발진기(14), 상기 각 발진기(11), (12), (13)의 출력펄스열(列) 가운데 어느 하나의 펄스열을 선택하는가를 지정하는 테이프(15), 테이프 판독기(16), 그 테이프(15)의 지령(F0), (F1), (F2), (F3)을 기억하는 레지스터(17), 그 레지스터에 기억된 속도지령에 의하여 소정의 펄스 발진기의 출력 펄스열을 선택하는 게이트군(18), 복수의 램프(7), (8), (9), (10)를 형성하여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종래의 시스템은 테이프로부터의 보내기 속도 지령에 따른 다이얼을 회동함으로써 가공 상황에 따른 최적의 보내기 속도의 설정이 가능하며 유효한 수법이다. 그러나 반면에 다수의 다이얼(1), (2), (3)과 발진기(11), (12), (13), (14)를 필요로 하므로 제조 원가상 대단히 고가이며 또 꽤 많은 실장 공간을 필요로 하므로 소형화할 수 없는 결점이 있다. 특히 이와 같은 보내기 속도 지령 방식을 채용한 수치 제어 장치에 있어서는 다이얼이 많을수록 가공 및 프로그램이 하기 쉬우므로 9개의 다이얼이 형성되어 있음이 통상이며 점점 부품의 증가, 실장공간이 증대한다.
제3도는 본 발명에 관한 보내기 속도 지령 방식을 실현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면 중(101)은 보내기 속도 지령의 축적 매체로서 가공 프로그램이 천공되어 있는 종이 테이프이며 보내기 속도는 그 종이 테이프에 보내기 속도지령(F0), (F1)……(F9)을 천공함으로서 지령된다. (102)는 종이 테이프 판독기, (103)은 입력회로로서 종이 테이프로부터 판독된 보내기속도 지령 등을 기억하는 버퍼 등을 갖고 있다. 종이테이프(101), 종이 테이프 판독기(102) 및 입력회로(103)로서 속도지령 수단을 구성한다. (104)는 이를테면 보내기 속도지령(F1), (F2), ……(F9)에 따른 수치를 기억하는 메모리이다. (105)는 기록 제어회로, (106)은 판독 제어회로, (107)은 번지 레지스터로서 종이 테이프(101)로부터 지령된 보내기 속도 지령(F1), (F2),……(F9)에 따른 번지가 세트되며 그 번지가 지정하는 메모리(104)의 번지로부터 (F1), (F2),……(F9)에 대응하는 수치(Nf1), (Nf2)……(Nf9)가 판독되어 제어회로(106)를 통하여 판독되며 또 후술하는 증감 처리에 의한 연산 결과가 필기 제어회로(105)를 통하여 번지 레지스터가 지시하는 번지에 기록된다. 메모리(104), 기록 제어회로(105), 판독 제어회로(106), 번지 레지스터(107)로서 기억수단을 구성한다. (108)은 출력 레지스터로서 메모리(104)로부터 판독된 수치를 기억한다. (109)는 연신회로로서 도시하지 않은 조작패널 상에 형성한 업 메모리(104)로부터 판독된 수치를 기억한다. (109)는 연신회로로서 도시하지 않은 조작패널 상에 형성한 업 보턴 또는 다음 보턴을 조작함으로써 업 펄스(UPP) 또는 다운 펄스(DWP)가 발생할 때마다 버퍼레지스터(108)의 내용에 단위량 이를테면 수치 "2"를 가산 또는 감산한다. 그리고 연산회로(109) 자체의 구성은 종래 주지의 여러가지의 구성을 사용할 수가 있다. 또 연산회로(109)에 의한 연산결과는 출력 레지스터(108) 및 후술의 디지틀 형의 펄스 발생기에 입력된다. 이 출력 레지스터(18) 및 연산회로(109)로서 연산 수단을 구성한다. (110)은 디지틀형의 펄스 발생기로서 레지스터(11a), 누산기(110b), 주파수(F)의 시각 펄스(CP)가 발생할 때 마다 레지스터(110a)와 누산기(11b)의 내용을 가산하며 그 가산결과를 그 누산기(11b)에 격납하는 가산기(11c)를 갖고 있다. 그리고 레지스터(11a)에 세트되는 수치를 A, 누산기(110b)의 용량은 2n-1(n비트의 레지스터)로 하고 시각 펄스(CP)가 발생할 때마다 가산기(110c)에 의하여 상술의 가산을 행하면 누산기(110b)로부터 단 올리기 펄스(OVFP)가 출력되며 그 주파수(F0)는
F0=A·F/(2n-1)
이 된다. 즉 레지스터(110a)에 세트된 수치에 비례한 주파수의 단 올리기 펄스(OVFP)가 출력된다. 이 단올리기 펄스(OVFP)가 가돌물의 구동을 위한 출력 펄스이다.
다음에 본 발명의 동작을 설명한다.
종이 테이프(101)로부터 테이프 판독기(102)에 의하여 이를테면 보내기 속도 지령(F3)이 판독되면 그 보내기 속도 지령(F3)은 입력회로(103)에 있어서 (F3)에 대응하는 수치(Nf3)를 기억하는 메모리(104)의 번지에 변환되며 이어서 그 번지는 번지 레지스터(107)에 세트된다. 판독 제어회로(106)는 번지 레지스터(107)에 세트된 번지가 지시하는 메모리(104)의 번지로부터 수치(Nf3)를 판독하고 출력 레지스터(108)에 세트한다. 또 그 수치(Nf3)는 연산회로(109)를 통하여 펄스 발생기(110)의 레지스터(11a)에 세트된다. 이 결과 전술과 같이 펄스 발생기(110)로부터는 (Nf3)에 비례한 주파수를 갖는 단올리기 펄스(OVFP)가 출력된다. 이 단 올리기 펄스(OVFP)는 도시하지 않는 공지의 펄스 분배기에 입력되며 그 단 올리기 펄스(OVFP)의 주파수에 비례한 분배 펄스를 발생하며 그 분배 펄스에 의하여 공구, 테이블 등의 가동물이 구동된다.
그런데 실제의 가공에 있어서 가동물의 보내기 속도를 변경하고자할 경우에는 도시하지 않은 조작반에 형성한 업 보턴, 다운 보턴을 압출한다. 즉 보내기 속도를 상승하고자 할 경우에는 업 보턴을, 늦추고자 할 경우에는 다운 보턴을 각각 압출한다. 이를테면 업 보턴을 압출하면 압출하고 있는 한 업 펄스(UPP)가 소정 주기로서 발생하여 연산 회로(109)에 입력된다. 연산회로(109)는 업펄스(UPP)가 입력될 때마다 출력 레지스터(108)에 기억되어 있는 수치(Nf3)에 단위량 이를테면 "2"를 가산하며 그 연산 결과를 그 출력 레지스터(108)에 격납함과 동시에 레지스터(11a)에 세트한다. 따라서 레지스터(110a)의 내용을 점점 증대하여 펄스 발생기(110)로부터 출력되는 단 올리기 펄스(OVFP)의 주파수도 점점 상승한다. 그리고 업 보턴의 압압을 해제하면 연산회로의 연산동작이 정지하여 이후 펄스 발생기(110)로부터 발생하는 펄스의 주파수가 고정 된다. 그리고 출력 레지스터(108)에 기억되어 있는 수치는 보턴의 압압해제 또는 펄스분배완료신호 등에 의하여 필기 제어 회로(105)를 통하여 보내기 속도지령(F3)에 대응하는 메모리(104)의 번지에 격납된다.
또한 다운 보턴을 압압하면 다운 펄스(DWP)가 발생하며 이 다운 펄스가 발생할 때마다 연산회로(109)는 출력 레지스터(108)에 기억되어 있는 수치(Nf3)로부터 단위량씩 감산하여 그 연산결과를 출력레지스터(108)에 격납함과 동시에 레지스터(110a)에 서로한다. 이에 의하여 레지스터(110a)의 내용은 점점 감소하며 펄스 발생기(110)로부터 출력되는 펄스의 주파수는 감소한다.
그리고 이상의 설명에서는 연산회로(109)는 보내기 속도 지령에 따른 수치를 업 펄스(UPP) 또는 다운 펄스(DUP)가 발생할 때마다 단위량씩 증가 또는 감소시켰지만 등비로서 증가 또는 감소하도록 할 수도 있다.
또 조작반 상에 형성한 업 보턴, 다운 보턴을 압압함으로써 업 펄스(UPP), 다운 펄스(DWP)를 발생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수치제어 장치에 있어서의 조작반에는 수동 보내기 용의 죠그보턴, 수동펄스 발생기 등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이들 죠그 보턴, 수동 펄스 발생기를 업 보턴, 다운 보턴으로 바꿔서 사용하여도 무방하며 이와 같이 하면 더욱 부품점수를 감소할 수 있다.
제4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 블록도이며 제3도와 동일 부분에는 동일부호를 병기하였으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였다. (201)은 다수의 보내기 속도에 대응하는 수치를 기억하는 변환 메모리이다. 그리고 메모리(201)의 각 번지에는 번기가 커짐에 따라서 점점 커지도록 다수의 수치가 기억되어 있다. (202)는 번지 레지스터, (203)은 속도 지령(F1), (F2)……(F9)과 메모리(201)의 번지(Af1), (Af2),……(Af9)의 대응 관계를 기억하는 테이블, (204)는 테이블(203)로부터 판독한 번지를 기억하는 레지스터이다.
여기에서 테이프로부터 이를테면 보내기 속도 지령(F5)이 지령되면 테이블(203)로부터 (F5)에 대응한는 번지(Af5)가 판독되어 레지스터(204)와 번지 레지스터(202)에 전송된다. 번지 레지스터(202)에 (Af5)가 전송되면 메모리(201)의 번지(Af5)로부터 보내기 속도에 대응하는 수치(이를 테면 1100)가 판독되에 펄스 발생기(110)의 레지스터(11a)에 세트되며 그 펄스 발생기(110)로부터 수치(1100)에 비례한 주파수의 펄스(OVFP)가 출력된다. 이 상태에 있어서 업 보턴을 압압하면 업 펄스(UPP)가 발생한다. 연산회로(109)는 업 펄스(UPP)가 발생하면 레지스터(204)의 내용에 +1을 가산하며 그 연산결과를 그 레지스터(204) 및 번지 레지스터(202)에 입력한다. 이 결과 번지 레지스터(202)의 내용은 +1 증가하며 번지(Af5+1)로부터 수치("1150")가 판독되어 레지스터(110a)에 세트된다. 그런데 이 수치("1150")는 번지(Af5)에 기억되어 있는 수치("1100")보다 크므로 펄스 발생기로부터 발생하는 출력펄스의 주파수는 점증한다. 이 후 같은 순서에 의하여 업 보턴을 계속 압압하여 업 펄스(UPP)가 발생하면 레지스터(110a)에 세트되는 수치가 점증하여 출력펄스(OVFP)의 주파수도 점점 커져서 가동물의 보내기 속도는 상승한다. 그리고 업 보턴의 압압의 해제, 펄스분배완료 등에 의하여 레지스터(204)에 기억되어 있는 번지를 새로운 번지(Af5)로서 테이블(203)에 격납하면 보내기 속도의 조정조작이 종료한다. 또한 다운 보턴을 압압한 경우에도 거의 같은 순서로써 행해진다.
그리고 이상의 실시예에서는 각 기능마다 하아드웨어를 갖도록 하였으나 애널로그 요소가 없으므로 마이프로세서 등의 처리장치를 사용하여도 구성할 수가 있다.
이상 본 발명에 의하면 보내기 속도 지령(F1), (F2)……(F9)에 대하여 공통으로 1조의 압 보턴 등과 하나의 펄스 발생기를 형성할 뿐이므로 부품점수가 적고 구성을 현저하게 간단하게 할 수 있으며 또 부품실장 공간을 적게 하고 제조원가를 염가로 할 수가 있다.
그리고 압 보턴을 죠그 보턴 등 이미 NC의 조작반에 실장되어 있는 수동의 펄스 발생기로서 대용하면 더욱 저원가이며 공간을 적게할 수 있다. 또 처리 장치내장의 NC에 있어서는 그 처리 장치에 상기 속도 지령 처리를 행하면 새로운 구성요소를 부가할 필요는 없다.

Claims (1)

  1. 가동물의 이송 속도를 제어하기 위한 이송속도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이송 속도에 대응하는 복수의 수치가 기억된 기억수단과, 상기 기억 수단에 접속되고 그 기억된 복수의 수치 중 소정의 수치를 지령하기 위한 지령수단과, 상기 기억수단에 접속되고 수동 조작 수단의 출력 펄스에 따라 상기 기억 수단으로부터 판독된 수치를 증가 또는 감소의 어느 일방을 행하는 연산수단과, 상기 연산 수단에 접속되고 상기 연산 수단으로부터의 증가 또는 감소된 수치에 비례한 주파수의 펄스를 발생하는 펄스 발생수단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 속도 제어 시스템.
KR1019800003480A 1980-09-04 1980-09-04 보내기 속도 제어 시스템 KR8300010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00003480A KR830001053B1 (ko) 1980-09-04 1980-09-04 보내기 속도 제어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00003480A KR830001053B1 (ko) 1980-09-04 1980-09-04 보내기 속도 제어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1053B1 true KR830001053B1 (ko) 1983-05-27

Family

ID=192178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00003480A KR830001053B1 (ko) 1980-09-04 1980-09-04 보내기 속도 제어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30001053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S5611510A (en) Numerical control system
JPH0829469B2 (ja) Nc加工制御装置
US4521845A (en) Numerical control device
US4370704A (en) Feed speed control system
JP2584889B2 (ja) パンチプレス機械の工具選択方法
KR830001053B1 (ko) 보내기 속도 제어 시스템
KR920004080B1 (ko) 수치 제어 장치
US5229950A (en) Numerical control unit
JPH0413725B2 (ko)
US4086517A (en) System for controlling numerically controlled machine tool used for cutting threads
KR900005250A (ko) 수치 제어 장치
JPS57169812A (en) Numerical controlling system
JPS62276606A (ja) 送り速度指令装置
EP0481082B1 (en) Symbol definition method for programmable machine controller
JP2789963B2 (ja) レーザ・パンチ複合機の制御装置
JPS6333168B2 (ko)
JPS60171505A (ja) 数値制御システムにおける機械制御プログラム管理方式
JPS6232802B2 (ko)
JP2992772B2 (ja) Nc機に接続される割出装置用コントローラの制御方法
CA2030622A1 (en) Pc program editing system
JP2581011Y2 (ja) Nc工作機械の機械制御装置
JPS59223810A (ja) 自動機械の制御装置
JPS62246451A (ja) Nc工作機械の操作盤回路
JPH0546213A (ja) プログラマブル・コントローラ
JPH01200409A (ja) スケジューリング運転方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