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30000878Y1 - 나비형 밸브의 밸브시이트 - Google Patents

나비형 밸브의 밸브시이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30000878Y1
KR830000878Y1 KR7805518U KR780005518U KR830000878Y1 KR 830000878 Y1 KR830000878 Y1 KR 830000878Y1 KR 7805518 U KR7805518 U KR 7805518U KR 780005518 U KR780005518 U KR 780005518U KR 830000878 Y1 KR830000878 Y1 KR 83000087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ve
seat ring
valve body
annular
se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780551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다까시 이다
Original Assignee
야마모도 이꾸오
가부시끼 가이샤 도모에 기쥬쯔 겡규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야마모도 이꾸오, 가부시끼 가이샤 도모에 기쥬쯔 겡규쇼 filed Critical 야마모도 이꾸오
Priority to KR7805518U priority Critical patent/KR83000087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3000087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30000878Y1/ko

Links

Landscapes

  • Lift Valve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나비형 밸브의 밸브시이트
제1도는 본 고안에 의한 밸브 시이트를 구비한 바비형 밸브 일부의 측단면도.
제2도는 밸브시이트 중요부분의 확대단면도.
본 고안은 나비형 밸브 특히 편심형 나비형 밸브에 사용하는 밸브 시이트에 관한 것이다.
밸브축의 회전중심축선과 밸브를 폐쇄하였을 때에 밸브판 주연과 밸브체내주면의 밸브 시이트에 압접하는 밀봉면이 일치하지 않도록 구성한 소위 편심형의나비형 밸브에 있어서도 비교적 큰 구경의 것은 밀봉구면에 배치한 탄성재료로 되는 시이트링의 재료가 극히 많이 들지 않고 밸브판외주연 내지 밸브체내주연의 원주방향 360。에 걸쳐서 확실하게 밀봉될 수 있으므로 좋은 편이지만 특히 큰 구경 밸브의 경우에는 유체압이 걸려 있는 상태와 걸려 있지 않는 상태 사이에 생기는 비틀어짐이 커지고 이 때문에 고무 등 탄성재료로 만들어지는 시이트링이 밸브판 혹은 밸브체측의 밸브시이트에 전주에 걸쳐서 균일하게 압접시키는 것과 또 유체의 누출을 막도록 조정하는 것이 곤란해진다. 이런 종류의 것은 예를 들면 밸브판에 탄성시이트링을 장치할 경우 이 밸브판주연에 환상의 홈을 파서 여기에 우선 시이트링을 설치하고 다음에 환상의 압축하는 고정부재를 맞물린 후 밸브판 본체부 시이트링 및 압축하는 고정 부재를 원주 방향에 여러개 배치한 볼트로 시이트링을 협지하여 압축시켜서 장착되도록 구성하고 볼트를 조여서 밸브판 본체와 압축하는 고정부재로 강하게 시이트링을 협지하면 이 볼트 근방에 위치하는 시이트링의 일부가 압축되어 밸브판 반경 방향에 돌출되므로 밸브체에 강하게 압접하여 누출을 막고 저정하도록 성하지만 유체의 누출을 막기 위하여 강하게 시이트링을 압축하면 시이트링은 그만큼 본래의 탄성을 잃게 되므로 시이트링에 탄성제를 사용한 의미가 약해진다. 또 볼트에 의한 시이트링의 장착은 고정적인 것이므로 시이트링의 마모를 촉진하고 밸브판을 회전시키는데 필요한 토오크를 공연히 증대시키는 난점을 피하기 어렵다. 이상은 시이트링을 밸브판에 배치한 경우지만 이것을 밸브체축에 배치하여도 본질적으로 상기와 같은 결함을 면할 수 없다. 본 고안은 이와같은 공지의 것의 결점을 보완하여 된 것으로서 시이트링을 단지 압축하는 고정부재, 볼트 등으로 장착하고 유체의 누출방지를 위한 조정을 고정부재, 볼트 등에 의하지 않고 판내유체 자체의 압력을 이용하여 시이트링을 가장 효과적으로 밀봉작용을 나타낼 수 있도록 한 밸브시이트 기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아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고안의 양호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1도는 본 고안에 의한 밸브시이트를 장착한 편심형 나비형 밸브의 일부측단면도인데 중공원통형의 밸브체(1)에는 밸브축(2)이 자유로이 회전가능하도록 장치되어 있다(도면에는 밸브축이 밸브체를 관통하는 부분의 한쪽만이 표시되어 있다) 이 밸브축(2)에는 대략 원판 형상의 밸브판(3)이 적당한 수단으로 고정되어 있다. 이 벨브판이 밸브를 폐쇄하고 있을 경우가 도시되어 있고 이 위치에 있어서 밸브판(3)의 외주면에는 밸브체 내주면에 형성된 환상요홈(21)내에 적어도 두 개의 원호형상의 고정부재(4)로 되어 있어 이들을 순서대로 약간의 간극을 두어 인접 배치하고 전체로서 상기 요홈(21)내의 전 둘레에 걸치도록 구성 배치되어 상기 요홈의 한 측벽 방향에 압축되어 있는 고무등의 탄성재료로 된 시이트링(6)의 밀봉면에 접하여 유체의 누출을 방지한다.
제2도는 제1도중 일점쇄선 부분(L)을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고 본 고안에 의한 밸브시이트의 중요부분을 도시하고 있다.
밸브체(1) 내주면에 설치한 환상홈(21)내의도시된 우측내부에는 고무등 탄성재료로된 시이트링(6)이 들어가 있고, 이 시이트링의 일부가 밸브체내 유체통로에 약간 돌출하여 쇄선으로 표시한 폐쇄 위치에 있는 밸브판(3) 외주연과 압접하는 접촉면(6a)이 형성되어 있다. 시이트링(6)은 제2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밸브의반경방향에 있어서 단면으로 보아 외부로 개방되어 형성된 양측면(61, 62)을 구비하고 있고 각 측면에는 그 중앙근처 적당한 장소에 단부(63,64)를 구비하여 양측면(61,62)의 개방된 형상과 서로 맞추어서 시이트링의 이탈을 강하게 저지하도록 한다. 시이트링(6)의 양측면(61,62)은 밸브체측의 환상요홈(21)의 깊이 전체로 연장되어 있지 않고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 그 깊이의 대략 2/3 깊이에 끝나고 있다. 시이트링의 한쪽의 측면(62) 및 여기에 설치한 환상의 단부(64)는 이것과 같은 형상으로 형성한 밸브체의 요홈의 한 측벽에 접촉하고 다른쪽의 측면(61) 및 여기에 설치된 환상단부(63)는 이것과 같은 형상으로 형성한 측면을 구비한 상기 압축하는 고정부재(4)에 접촉하고 있다. 다시금 상기 시이트링의 상기 밸브판에의 접촉면(6a)의 반대측 단부에는 두장의 지느러미 부분(65, 96)이 시이트링 외주의 전주에 걸쳐서 두갈래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고 이 시이트링을 밸브체 환상요홈(21)내 소정위치에 있을 때 이 요홈내에 형성된 환상돌부(22)가 상기 2개의 지느러미부분(65,66) 사이에 마치 이 돌부(22)가 밀접협지 되도록 구성한다.
또 이 환상돌부(22)의 선단은 밸브판이 그 폐쇄위치에 가져오게 하여 시이트링에 압접하였을 때에 상기 접촉 평면과 대략 일치하는 장소에 있는 것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같이 시이트링 양측면(61,62)은 밸브체의 요홈(21)의 밑부분까지는 도달하지 않고 그 바깥둘레 가장자리부터 연장된 상기 양 지느러미부분(65,66)은 비교적 살이 엷으므로 제2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시이트링이 밸브체의 요홈(21)내 소정 위치에 고정 설치되면, 각 지느러미 부분의 양 외측에 환상의 공간(8,9)이 형성된다. 다시 또 한쪽의 공간(9)에는 이것을 밸브의 유체통로와 연통시키는 적어도 한개의 안내통로(7)가 설치된다.
앞에도 간단히 설명하였지만 시이트링(6)의 도시된 좌측측면(61)과 밸브체의 환상 요홈(21)의 좌측벽과의 사이의 공간에는 적어도 두개의 원호형상의 압축하는 고정부재(4)가 설치된다. 각 압축하는 고정부재의 좌측면은 요홈(21)에 접하고 우측면은 전술한 바와 같이 단부(63)를 가지는 시이트링 측면(61)과 일치하는 형상으로 되어있고 또 이 측면은 도시하는 바와같이 소정위치에 있을 때에 대략 요홈(21)의 밑부분에 도달하고 상기 공간(8)을 형성하는 요소가 된다.
원호형상의 압축하는 고정부재(4)는 그들을 서로 약간 간극을 두고 환상으로 배치하였을 때 마치 밸브체의 환상 요홈의 전주에 걸쳐서 존재하듯 여러개 사용되고 압축하는 고정부재는 각각 한개 내지 수개의 나사(5)에 의하여 밸브체에 고정된다.
따라서 시이트링을 환상요홈(21)내에 장치한 후에 각 압축하는 고정부재(4)를 나사(5)를 가지고 밸브체에 고정하면 시이트링은 압축하는 고정부재(4)에 의하여 제2도 우측에서 보는 바와같이 시이트링 우측에서 약간 압축되므로 그 때문에 탄성재료로 된 시이트링 (6)은 자유로운 상태에 있는 접촉면(6a)이 약간 밸브반경 방향으로 돌출하게 되고 여기에 의하여 밸브판과 시이트링 사이의 밀봉상태를 밀 조절하여 둘수가 있다.
다시금 상기한 바와같이 압축하는 고정부재를 각각 밸브체에 고정하였을 때에는 하나의 압축하는 고정부재의 일단과 인접하는 그의 일단 사이에는 약간의 간극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밸브판(3)의 도시된 왼쪽의 유체 통로와 상기 공간(8)과의 사이는 서로 연통된다. 본 고안은 대략 이상과 같은 구성으로 되어 밸브판을 폐쇄 위치에 가져오게 하여 두고 압축하는 고정부재의 나사(5)를 적당히 조여서 시이트링과 밸브판과의 압접상태를 조절하여 유체의 누출을 막도록 하는 것은 공지의 것과 동일하나 이 밸브의 사용에 있어서 밸브판을 개폐할 때 시이트링의 양 측면이 단면에서 보아 바깥 쪽으로 개방된 모양을 하고 있고 다시금 각각 단부를 설치하고 있기 때문에 밸브판에 의한 꼬이는 작용에 잘 견디게 되어 맥없이 시이트링이 변위하여서 생기는 미리 행한 조절효과의 감소를 방지하고 또 밸브를 폐쇄할 때에는 밸브판과 시이트링과의 압접밀봉부를 포함한 평면과 밸브체측 요홈내에 설치한 상기 환상 돌부(22)의 선단이 대략 일치하고 있기 때문에 밸브판에 의한 시이트링에의 압력이 부당하게 확산되지 않고 이 돌부에 의하여 이것을 받는것같은 경향이 있으므로 실질적으로는 밸브판 바깥 주위의 밀봉부 상기 돌부 사이에 존재하는 비교적 소량의 탄성재료부분이 효율적으로 밀봉작용에 기여하므로 결국 비교적 작은 힘으로 필요부분에만 강한 압접작용을줄 수가 있다.
전술한 바와같이 밸브판(3)의 도시된 우측의 유체통로는 안내통로(7)를 거쳐서 또 좌측의 그것은 인전 압축하는 고정부재 사이의 간극을 거쳐서 각각 공간(8,9)에 연통하고 있으므로 어느 것이 관로의 압력 유체측이 되어도 밸브판을 폐쇄할 때에는 거기에 대응하는 공간에 유체압이 걸려서 시이트링이 밸브의 반경 방향 바깥쪽에 변위하는 것을 막아 조절된 밀봉작용을 유지하고 이때 해당하는 공간측의 지느러미 부분은 돌부(22)의 벽면에 압축되어 압력유체가 시이트링의 배후를 통하여 하류쪽에 누출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이것을 요컨대 본 고안은 이상과 같은 구성 및 작용을 가지기 때문에 이 종류의 공지의 것과 같이 극도로 강하게 시이트링을 조일 필요가 없고 그 형상 및 자동적으로 배압(背壓)이 걸리도록 하므로써 시이트링의 탄성을 충분히 이용하고 항시 유체의 누출을 효과적으로 방지하고 시이트링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가 있다.

Claims (1)

  1. 밸브체(1)와 밸브축(2)과 그 밸브축(2)에 고정된 밸브판(3)과 밸브체(1)의 내주면에 설치한 환상 요홈(21)과 그 환상 요홈(21)내에 들어가 있고 내주연이 밸브판(3)에 압접하는 접촉면(6a)으로 되어 밸브체(1)내 유체통로에 노출되어 있는 탄성재료로 된 시이트링(6)과 환상요홈(21)내에서 시이트링(6)에 인접하여 있고 시이트링(6)의 일방의 측면에 설치하여 밸브체(1)에 고착된 누름부재로 된 나비형 밸브에 있어서 상기 환상 요홈(21)내에는 밸브체(1)의 내주면부터 안쪽에 돌출한 환상돌부922)가 마련되고 시이트링(6)의 외주연에는 환상돌부(22)를 밀착협지하도록 환상의 지느러미부(65, 66)가 마련되고, 시이트링(6)의 상기 내주연 및 외주연간의 양측에는 밸브체(1)의 반경 방향 바깥쪽으로 개방되도록 신장한 양 측면(61,62)이 마련되고, 누름부재가 적어도 2개의 원호상의 고정부재(4)가 되고 적어도 2개의 고정부재간에는 약간의 간극이 마련되고, 시이트링(6)의 양 지느러미부(65,66)의 밸브의 축방향 바깥쪽으로는 각각 환상 요홈(21)의 저면과 시이트링에 접하는 밸브체(1)의 측벽 및 시이트링 외주연으로 둘러싸여진 공간(9)과 환상 요홈(21)의 저면과 고정부재(4)의 시이트링에 접하는 측면 및 시이트링 외주연으로 둘러 싸여진 공간(8)이 각각 형성되고, 전자의 공간(9)은 밸브체에 형성한 적어도 1개의 안내 통로(7)를 거쳐서 밸브폐쇄시 한쪽의 유체통로와 연통되고 후자 공간(8)은 고정부재간의 간극을 거쳐서 다른 쪽의 유체 통로와 연통되는 동시에 환상돌부(22)와 벨브폐쇄시 밸브판 외주연에 대한 시이트링의 접촉면(6a)과 실질적으로 동일 평면상에 배치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비형 밸브의 밸브시이트.
KR7805518U 1978-10-30 1978-10-30 나비형 밸브의 밸브시이트 KR83000087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805518U KR830000878Y1 (ko) 1978-10-30 1978-10-30 나비형 밸브의 밸브시이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805518U KR830000878Y1 (ko) 1978-10-30 1978-10-30 나비형 밸브의 밸브시이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0878Y1 true KR830000878Y1 (ko) 1983-06-07

Family

ID=192101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7805518U KR830000878Y1 (ko) 1978-10-30 1978-10-30 나비형 밸브의 밸브시이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30000878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018220B1 (en) Butterfly valve
JPS5825177Y2 (ja) ボ−ル弁等におけるシ−トリング装置
US4817916A (en) Butterfly valve
US3712585A (en) Seals for ball valves
US2424210A (en) Fluid controlling valve
JPH01188772A (ja) バタフライ弁の正逆両圧シール装置
KR830000878Y1 (ko) 나비형 밸브의 밸브시이트
JP3570625B2 (ja) 栓装置
US4395017A (en) Butterfly valve sealing means having an improved O-ring groove
US4683906A (en) Trunnion type ball valve
JP3662117B2 (ja) シート取付構造
EP0135284A2 (en) Valve
US2932533A (en) Butterfly valve sealing arrangement
US4221360A (en) Butterfly valve
JPH06147330A (ja) バタフライ弁のシール構造
GB1338484A (en) Stem or shaft seal
JPH0337064B2 (ko)
JP2001165335A (ja) バルブ
JPH06241378A (ja) 分岐口の閉塞装置
US3154104A (en) Rolling gate valve
JPS58134291A (ja) 弁シ−ル
JPS5927575Y2 (ja) バタフライ形制水弁における弁構造
JPS5811976Y2 (ja) 球形コツク
JPH0249429Y2 (ko)
JPH0326355Y2 (k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