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30000608B1 - 전자악기에 있어서의 악음 지정방식 - Google Patents

전자악기에 있어서의 악음 지정방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30000608B1
KR830000608B1 KR1019790000831A KR790000831A KR830000608B1 KR 830000608 B1 KR830000608 B1 KR 830000608B1 KR 1019790000831 A KR1019790000831 A KR 1019790000831A KR 790000831 A KR790000831 A KR 790000831A KR 830000608 B1 KR830000608 B1 KR 8300006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put
circuit
signal
gate
wavefor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7900008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도시오 가시오
Original Assignee
도시오 가시오
가시오 게이상기 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시오 가시오, 가시오 게이상기 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도시오 가시오
Priority to KR10197900008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83000060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300006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300006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1/00Details of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전자악기에 있어서의 악음 지정방식
제1도는 본 발명에 관한 전자악기의 전체개략구성도.
제2도는 제1도에서의 연주키 및 입력 검출회로의 상세도.
제3도는 제1도에 관한 연주키, 주파수, 음고데이터의 대응설명도.
제4도는 제1도에 있어서의 코오드 콘버어터의 상세도.
제5도는 제4도의 설명에 사용되는 도면.
제6도 제7도 및 제8도는 제1도에 사용되는 엔베로우프 상탸도.
제9도a도 및 제9b도는 본 발명에 관한 파형변화상태의 종류를 파형적으로 설명하는 도면.
제10도는 제9a도 및 제9b도의 인크리이스와 트랜스포옴의 파형변화를 얻는 기본회로 구성도.
제11도, 제12도 및 제13도는 제10도에 관한 인크리이스에서의 각 거치상파, 구형파, 3각파의 파형 작성추이를 설명하는 도면.
제14도는 제10도에 관한 트랜스포옴으로 구형파에서 거치상파에의 파형 변화추이를 설명하는 도면.
제15도는 제10도에 관한 각종 파형변화 추이를 경시변화로 표시한 도면.
제16도 내지 제20도는 트랜스포옴으로서의 각 3각파에서 거치상파, 거치상파에서 구형파, 3각파에서 구형파, 거치상파에서 3각파, 구형파에서 3각파에의 파형변화 추이를 설명하는 도면.
제21도는 제9a도 및 제9b도의 디이크리이스로서의 파형변화를 얻는 기본회로 구성도.
제22도 내지 제24도는 제21도로서의 디이크리이스의 각거치상파, 3각파, 구형파 부동의 파형변화 추이를 설명하는 도면.
제25a도, 제25b도, 제25c도 및 제25d도는 본 발명에 관한 새로운 구체적인 실시예.
제26도는 제25a도내지 제25d도의 도면 접속상태도.
제27도는 제25a도내지 제25d도에 관한 스텝어드레스 계수상태에 관련된 파형도.
제28도는 제25a도내지 제25d도에 사용되는 파형지시 제어신호에 관련되는 기능 해설도이다.
본 발명은 상이한 복수의 악음중에서 선택된 악음에 의거하여 연주하는 전자악기에 있어서, 연주에 앞서 악음을 지정하는 전자악기에 있어서의 악음지정방식에 관한 것이다.
종래, 전자올갠에 있어서는 다수의 타브렛 혹은 드롭버를 사용, 이들 타브렛 혹은 드롭버의 온 오프 혹은 인출량에 의하여 각종 악음을 임의로 작출(作出)하여 연주 가능케한 것이 널리 보급되고 있다.
그러나 이와같은 타브렛 혹은 드롭버의 조합으로 악음을 작출하는 것은 그 조작이 복수조작으로 말미암아, 번잡함과 동시에 많은 타브렛 혹은 드롭버를 배설하기 때문에 그 스페이스(Space)도 큰 것이었다. 또 이러한 드롭버 혹은 타브렛의 조합에 의한 악음은 마치 무한한 것인것 같이 보이나, 전자올갠의 발음구조는 극히 한정되어 있는 것이고 많이 사용되는 조합은 스스로 정하여지고 마는 것이다.
그래서 최근에는 많이 사용되는 조합에 의한 악음 혹은 특수한 악음, 예 : 첸바로, 피아노, 후루이트, 오보에, 크라리넬등을 미리 프레셋트(Preset)하여 놓고 그 각 악음에 대응하여 형설된 스톱스위치(Stop switch)로 소망한 악음을 선택 지정토록된 전자올갠 및 씬세사이저도 실용화되어 있다. 그러나 그 리프셋트타잎에 있어서는 전술한 타브렛 혹은 드롭버방식에서 볼 수 있는 바와같은 번잡은 피할 수 있으나, 많은 수의 스톱스위치를 배설하지 않으면 안되며 그 스페이스는 매우 큰 것이었다.
이와같이, 종래의 전자올갠 혹은 씬세사이저에 있어서는 어떤 방식이든 연주용 건반키 이외에 악음설정에 관여하는 스위치류(타브렛, 드롭버 혹은 스톱스위치)가 다수 필요하게 되기 때문에 이들 스위치류의 배치 공간이 넓어져 악기자체도 대형화되지 않을 수 없고, 또 구조의 복잡화, 작업성의 불편 및 단가의 고가등 결점도 피할 수 없는 것이며, 특히 소형으로서 휴대가 가능하고 저렴한 전자악기를 구성함에도 부적당한 것이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설정을 감안하여 창안한 것으로서, 절환스위치를 설치함에 따라 연주용 건반키를 악음 지정용 키로 겸용 가능케하여 간단한 전자악기에 있어서의 악음지정방식을 제공코져하는 것으로, 이를 도면에 따라 실시예와 같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에 있어서 1은 연주키 및 입력 검출회로로서 키 조작신호는 키 샘프링(Sampling)회로 2에서 인가되는 샘프링 신호에 동기하여 취출된다. 또 키 샘프링신호는 각종 악음을 구성하는 악음 요소가 되는 악음요소 코인드신호를 얻는 코오드 콘버어터(Converter) 3 및 앤드게이트군(4)에도 공급하여서 된다. 연주키 및 입력검출회로 1, 키 샘프링회로 2의 상세한 것은 제2도에 도시되어 있으며, 여기서 연주키 1-1는 이경우 48개의 음고키가 형성되어 있으며, 또 이 48개의 키는 6개의 음고키를 하나의 키군으로 8개의 키군 1-2~1-9을 갖도록 소위 매트릭스(matrix)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또 각 키의 일단에는 각각 다이오드 1-10~1-57이 접속되며, 타단은 키군 1-2~1-9마다 공통적으로 접속되어 출력라인 1-58~1-65가 된다. 또 다이오드 1-10~1-57의 입력측은 각 키군 1-2~1-9의 대응한 것(6개 형성의 키)이 공통으로 접속되어서 입력라인 1-66~1-71이 된다.
한편, 기준 클록발생기 2-1에서의 기준 클록신호는 3비트로바이너티 계수되며 「000」~「101」의 계수상태를 얻는 6진 카운터 2-2에 공급되며, 그 각 비트 출력은 다이렉트 및 인버어터(inverter)1-72~1-74개를 개하여 디코더(DeCoder)1-75에 인가된다.
디코더 1-75는 6진 카운터 2-2의 계수 보진(步進)마다 순차로 입력라인 1-66~1-71-에 타이밍신호가 공급되며, 각 키군 1-2~1-9의 각각 6개의 키를 샘프링하도록 된다. 또 디코더 1-75에서 출력되어 입력라인 1-71에 취출된 6진 카운터 2-2의 「101」계수상태로의 타이밍신호는 그 6진 카운터 2-2를 리셋트함과 동시에 3비트 바이너리의 8진 카운터 2-3에 「+1」보진신호로서 인가된다.
이 8진 카운터 2-3의 각 비트출력은 다이렉트 및 인버어터 1-76~1-78을 개하여 디코더 1-79에 입력된다.
따라서 전기한 키군 1-2~1-9의 출력라인 1-58~1-65에 출력될 키 조작신호는 6진 카운터 2-2로 조작되는 타이밍신호와 8진 카운터 2-3으로 조작되는 타이밍 신호와의 조합으로 얻어지는 것으로 키수에 대응하여 48종류의 상이한 타이밍신호가 오아출력라인 1-80에 취출할 수 있는 것이다.
이 오아 출력라인 1-80에 공급되는 키 조작신호는 키수에 대응한 비트수 즉, 48비트를 갖는 시프트레지스터(Shift Register) 1-81의 초단 입력측에 인가되어 기준클록 발생기 2-1로부터의 기준클록신호에 의거하여 시프트 동작하도록 된다.
그리고 오아 출력라인 1-80은 시프트레지스터 1-81의 최종 출력측의 신호를 인버어터 1-82로 반전한 신호와 같에 엔드게이트 1-83에 공급하여서 된다. 즉, 이 엔드게이트 1-83로부터는 조작된 키의 타이밍 신호가 키조작시간에 관계없이 1회만 취출되는 것이다.
그리고 전술한 6진 카운터 2-2의 3비트 출력과 8진 카운터 2-3의 3비트 출력은 각 음고키에 대응한 음고데이터와 대등하게 상기 코오드 콘버어터 3 및 앤드게이트군 4에 인가되는 것이다. 예를들면 제3도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같이 각 음고키, 음고데이터 및 음고클록주파수 신호의 관계가 대응 부착되어 있는 것이다. 연주키 및 입력검출회로 1의 엔드게이트 1-83에서 출력되는 키 타이밍신호는 앤드게이트 5 및 6일방입력측에 공급된다. 앤드게이트 6의 타방 입력측에는 악음지정 지시키 7의 조작마다 반전 출력신호를 얻는 바이너리 카운터 8의 출력신호가 인가되어 또 그 인버어티 9를 개한 출력신호가 앤드게이트 5의 타방입력측에 인가하여서 된다. 즉, 악음지정지시키 7은 전술한 음고키를 본래의 연주용키로 하거나, 악음지정용 키를 할 것인가를 절환하는 스위치가 되는 것이다. 앤드게이트 5는 악음지정지시키 7에 의한 비 지시상태로 바이너리 카운터 8의 출력이 0일때에 키 타이밍신호를 출력한다. 한편, 앤드게이트 6은 악음지정지시키 7에 의한 지시상태로 바이너리 카운터 8의 출력이 1일때에 키 타이밍신호를 출력하는 것이다. 악음지정을 행할때에는 이 악음지정 지시키 7을 조작하고 바이너리카운터 8의 출력을 1로 하는 것으로, 이상태에서 램프 10이 점등된다.
또 이 바이너리카운터 8의 출력은 앤드 게이트군 11에 게이트 신호로서, 인버어터의 9의 출력은 전술한 엔드게이트군 4에 게이트 신호로서 공급한다. 그리고 앤드게이트 6에서 출력되는 키 타이밍신호는 전술한 코오드 콘버어터 3으로부터의 출력코오드를 평행하게 독입(讀
Figure kpo00001
), 기억하는 악음요소 코오드화신호 기억회로 12에 독입하여 동기 신호로서 공급된다.
코오드 콘버어트 3은 키 샘프링회로 2의 6진 카운터 2-2 및 카운터 2-3의 각단에서의 6비트의 출력 ①~⑥과 악음지정확장 지시스위치의 13의 조작신호로 반전출력하는 바이너리카운터 14가 1비트 출력 ⑦과의 합계 7비트로 표시되는 입력 코오드를 12비트 출력코오드로 된 악음요소 코오드화 신호(A1, A2, B1, B2, B4, C1, C2, C4, C8, C16, D1, D2)로 변환하는 것이다. 즉 12비트의 출력은 각종 악음을 구성하는 악음요소가 되는 복수종의 기본파형, 음량 엔베로우프(Envelope), 휠터(filter), 옥타브시프트(Octave Shift)의 제어지령을 발생하는 것으로, 그중 A1및 A2의 2비트로 표시되는 코오드는 후술하는 3종의 상이한 휠터 지지신호 휠가 되며, B1, B2및 B4의 3비트로 표시되는 코오드는 후술하는 5종류의 상이한 엔베로우프 지시신호
Figure kpo00002
가 되며, C1C2C4C8및 C16의 5비트로 표시되는 코오드는 후술하는 18종의 상이한 악음파 변화지시신호 ⓒ가 되며, D1및 D2의 2비트로 표시되는 코오드는 후술하는 고, 중, 저 옥타브의 3조(條) 옥타브시프트지령신호 휠가 되며, 12비트 평행에 후술하는 각 회로부에 공급함에 따라 최대 3×5×18×3=810조이 상이한 음악을 선택지정이 가능하게 된다.
또, 바이너리 타운터 14의 출력은 램프 15에도 인가되어 「1」출력시에 점등된다. 말하자면 악음지정 확장시스위치 13은 비조작상태로 바이너리 카운터 14의 출력이 「0」시에는 48개의 음고 키의 조작키에 대응한 키 샘프링회로 2에서의 6빗트 출력 ①~⑥에 의하여 48종의 이종 악음이 지정된다.
또 악음지정 확장 지시스위치 13의 조작에 따른 바이너리 카운터 14의 출력이 「1」일때에는 같은 48개의 음고 키 조작에 따라 전술한 6비트 출력 ①~⑥과 바이너리 카운터 14의 「1」출력에 따른 7비트 출력상태로 다시 상이한 48종의 악음이 지정되는 것이다.
결국 악음지정 확장지시 스위치 13을 사용함에 따라, 48개의 음고키로서 96종류의 이종악음이 선택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전술한 코오드 콘버어터 3의 상세한 제4도에 도시되는 것으로 전술한 최대 810조의 이종 악음중 미리 96조의 이종 악음을 지정하여두는 것이다. 키 샘프링회로 2의 6진 카운터 2-2 및 8진카운터 2-3의 각단에서 취출되는 6비트출력 ①~⑥은 다이렉트 및 인버어터 3-1~3-6을 개하여 또 바이너리 카운터 14의 1비트출력 ⑦도 다이렉트 및 인버어터 3-7을 개하여 앤드에레이(Array)의 매트릭스회로(matrix 回路) 3-8에 공급한다. 그리고 이 매트릭스회로 3-8로서는 96조의 출력라인이 설정되며 각출력라인은 오아 어레이의 매트릭스회로 3-9에 인가되야 여기서, 매트릭스회로 3-8의 각 출력라인마다 상이한 악음 요소 코오드화신호를 발생하도록 미리 석택 지정하여서 된다. 즉, 이 악음요소 코오드화신호는 예 : 제5도시와같이 음고데이터 및 악음지정 확장지시스위치 13에 대응하여 각각 상이한 코오드화 신호가 되도록 조합되어 있는 것이다.
전술한 악음지정키 7의 조작신호는 S/R 플립플롭(flip flop)회로 16의 리셋트단에 인가되며 그
Figure kpo00003
측에서의 출력신호는 오아게이트 17을 개하여 클록신호가 공급되는 분주회로(分周回路) 18 및 3비트의 시프트회로 19에 리셋트신호로서 공급되며 그 출력신호의 발생기간 초기상태로 놓여지게 한다.
또 오아게이트 17에는 전술한 앤드게이트 6의 출력신호도 공급되어 그 입상시(立上時)에 분주회로 18 및 시프트회로 19를 리셋트한다.
다시, 앤드게이트 6의 출력은 S/R 플립플롭회로 16의 셋트단에도 인가된다. 따라서 분주회로 18에서는 그 리셋트 해제시점에서 예 : 1초마다 출력신호가 발생되어 시프트회로 19에 시프트 지령신호로서 인가된다. 이 시프트회로 19는 리셋트상태에서는 초단의 비트단 19a로 부터 「1」신호를 발생하고 시프트 지령신호로서 순차, 차단의 비트단 19b, 19c에 출력시프트되어 가는 것이다.
그리고 시프트회로 19의 각 비트단 19a, 19b, 19c의 출력은 앤드게이트군 20, 21, 22의 일방 입력측에 게이트 신호로서 공급되며 또 이 앤드게이트군의 타방입력측에는 미리 정하여진 특정의 3종 음고 데이터, 예 : 제3도의 C4, C4, D4에 상당한 「101100」,「000010」,「100010」이 기억되여 있는 기억회로 23의 각 음고데이터가 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앤드게이트군 20, 21, 22로부터의 시프트 회로 19의 시프트동작에 동기하여 순차 대응하는 음고 데이터가 출력되어 오아게이트군 24를 개하여 전술한 앤드게이트군 11에 공급되는 것이다. 앤드게이트군 4 및 11에서 출력되는 음고데이터는 오아게이트군 25를 개하여 음고데이터 메모리 26에 오아게이트 27로부터의 출력 타이밍신호에 동기하여 서입(書入)하게 된다. 이 오아게이트 27의 일방 입력측에는 전술한 앤드게이트 5로부터의 키타이밍신호가, 타방입력측에는 앤드게이트 6으로부터의 키 타이밍신호 및 시프트회로 19의 비트단 19b, 19c의 타이밍신호가 결합될 오아게이트 28의 출력신호가 공급된다. 즉, 악음지정키 7의 비 조작상태로 음고키를 연주용으로서 사용할 경우에는, 조작된 음고키의 키 타이밍신호가 앤드게이트 5에서 출력되는 타이밍에 동기하여 키 샘프링 회로 2에서의 대응한 음고 데이터를 앤드게이트군 4, 오아게이트군 25를 개하여 음고데이터 메모리 26에 서입(書入)설정된다.
한편, 악음지정 키 7조작상태로 음고키를 악음지정을 위한 키로서 사용할 경우에는 조작된 음고키의 타이밍신호는 애드게이트 6에서 출력되어 오아게이트 28 및 29를 개하여 음고데이터 메모리 26에 독입, 동기신호로서 인가기되 위하여 기억회로 23의 "C4"기억코오드가 앤드게이트군, 20, 오아게이트군 24, 앤드게이트군 11, 오아게이트군 25를 개하여 음고데이터 메모리 26에 서입된다.
그리고 분주회로(分周回路) 18로부터의 시프트 지령에 의하여 시프트회로 19가 시프트할때마다 오아게이트 28를 개하여 독입되어 동기신호가 발생하기 위하여 기억회로 23의 "C4#"기억코오드, "D4"기억코오드는 순차 음고데이터 메모리 26에 갱신되어 서입하게 된다. 따라서 후술한것이나, 앤드게이트 6에서 출력된 키타이밍신호에 동기하여 악음요청 코오드화 신호 기억회로 12에 기억된 악음요소에 따라서 "C4", "C4", "D4"의 음고음을 샘플(Sample)음으로서 순차 자동 발생하도록된 것이다.
이상과 같은 상술의 설명을 더욱 구체적으로 부언하면 다음과 같다. 즉, 연주키 1-1을 본래의 연주용 키로 하거나 악음지정을 키로 할 것인가를 절확하는 스윗치는 제1도에 도시한 악음지정지시키 7이다. 이키 7에는 「1」입력이 항시 공급되어 있으며, 키 7을 ON으로하면 이 「1」입력이 바이너리 카운터 8에 공급된다. 예 : 바이너리 카운터 8의 계수내용이 「0」일때는 키 7를 ON으로 하면 바이너리 카운터 8은 「1」이 입력되므로 그 내용이 「1」이 되며, 출력도 「1」이 된다.
이와같이 바이너리카운터 8의 출력이 「1」일때에 악음지정로우드에 설정된 상태이다.
이 상태는 램프 10가 점등되어 표시한다.
한편 바이너리 카운터 8의 출력이 「1」일때에 키 7를 ON으로 하면 바이너리 카운터 8의 출력은 「0」이 되며 램프 10도 소등된다. 이 상태가 본래의 연주모우드이다.
우선 바이너리 카운터 8의 출력이 「1」일때 즉, 연주키 1-1을 사용하여 복수의 상이한 음색증에서 소망의 음색을 선택할때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이 상태에서는 바이너리 카운터 8의 출력이 「1」이므로 앤드게이트 6, 11의 게이트가 열려, 램프 10이 점등하나, 인버터 9의 출력이 「0」이 되므로, 앤드게이트 4, 5의 게이트는 폐성된다. 여기서 연주키 1-1중 어느한쪽을 누르면, 키조작 신호가 키샘프링 회로 2에서 인가되는 샘프링신호에 동기하여 회로 1에서 취출되어 앤드게이트 6 및 상태 기억회로 31에 Key-ON신호로서 공급된다.
앤드게이트 6의 출력은 키 타이밍신호로서 악음요소 코드화신호 기억회로 12에 동기 신호로서 공급된다.
이 키 타이밍신호에 의하여 코드콘버터 3에서의 출력코드가 기억회로 12의 파라렐에 독입 기억된다. 이와같이 하여 48개의 연주키 1-1중 조작된 키에 대응하는 음색이 기억회로 15에 설정된 것이되는 것이다.
한편, 회로 1에서 앤드게이트 6을 통하여 얻어진 키조작신호는 플립플롭 16의 세트단, 오아게이트 17, 28의 한개의 입력단에 공급된다.
오아게이트 17의 출력에 의하여 분주회로 18 및 시프트회로 19가 리세트되어 분주회로 18은 키조작신호의 직후에서 예 : 1초마다 출력을 시프트회로 19에 보내게 된다. 따라서 시프트 회로 19에 보내게 된다. 따라서 시프트 회로 19는 각 비트단에서 순차 「1」신호를 출력하므로 앤드게이트 20, 21, 22에서 오아게이트 24를 통하여 앤드게이트 11에는 기억회로 23의 음고데이터 C4, C4, D4가 순차 공급되고 앤드게이트 11에 공급된 음고데이터는 오아게이트, 25를 통하여 음고데이타 메모리 26에, 오아게이트 27의 출력 타이밍 신호에 동기하여 서입한다.
즉, 먼저 앤드게이트 20에서 얻어진 음고데이터 C4는 메모리 26에 서입되고, 이음고 데이터 C4에 의하여 결정되는 높이의 음이 음량제어부 Ⅰ에 의하여 결정되는 음량으로서, 또는 기억회로 12 및 악음파형 작성부 Ⅱ에서 결정되는 음색으로, 출력을 발생부 42에서 샘플음으로서 발음된다. 다음에 음고데이터 C4#는 음고데이터 메모리(26)에 서입됨과 동시에 출력음 발생부 42에서 출력되고 다시 음고 데이타 D4의 음이 발음된다.
이와같이 하여 C4, C4#, D4의 3개의 음이 선택된 음색으로 샘플음으로서 얻어지고, 연주키 1-1이 48개 있으면 48종의 샘플음이 얻어지는 것이다. 상기 조작에서 얻어진 샘플음이 맘에들면 그대로의 상태로 키 7를 1회 조작하여 바이너리 카운터 8의 출력을 「0」으로 한다. 이 상태에서는 앤드게이트 6, 11의 게이트가 폐성되고, 램프(10)는 점멸된다. 한편 앤드게이트 4, 5는 인버터 9의 출력이 「1」이 되기 위하여 게이트가 열린다. 따라서 연주키 1-1은 본래의 연주용으로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즉, 연주키 1-1중 어느 한쪽의 키를 눌려진 키의 키타이밍 신호가 앤드게이트 5, 오아게이트 27을 통하여 메모리 26에 서입의 타이밍 신호로서 공급된다.
한편, 조작된 키에 대응한 음고 데이터가 키샘플링회로 2에서 앤드게이트 4에 공급되어 오아게이트 25를 통하여 메모리 26에 공급되므로 결국 눌려진 음고데이터는 메모리 26에서입된다.
이 음고데이터는 악음파형 작성부 Ⅱ에, 기억회로 12의 출력, 음량제어부 Ⅰ의 출력으로서 공급되며 기억회로 12에 설정된 음색의 높이가 발음된다.
이리하여 전술한 음고데이터 메모리 26에 서입, 기억된 음고데이터는 음고클록 발생부 29을 제어하고 여기서 음고데이터에 대응한 음고클록주파수 신호가 선택 출력되어 스텝어드레스(Step address) 계수부 30에 인가한다. 따라서 이 스텝어드레스 계수부 30은 여러가지 음고클록를 주파수 신호 순차 계수 보진(步進)하는 것으로 본 실시예에서는 기본적으로 5비트로 된 32바 이너리 카운터로 구성되며 10진수의 「0-31」(2진수의 「00000」~「11111」로 표시되는 코오드상태)까지의 32스텝계수치를 얻을 수 있고, 이 32스텝의 각 계수치는 순차 악음파형의 1사이클의 어드레스로서 대응부(對應付)하게 된다.
1은 음량제어부로서 예 : 제6도에 도시되는 인크리이스(Increase)기간(이하 인크리이스라함), 트랜스포옴(Trans form)기간(이하 트랜스포옴이라함) 및 디이크리이스(Decrease)기간(이하디이크리이스라함)의 3상태로 순차 각각 상태마다의 클록에 따라서 진폭치를 최소치「0」으로부터 최대치「15」이 사이를 증감할 수 있도록 제어하는 것이다.
즉, 상태기억부 31은 연주키 및 입력검출회로 1로서의 하나의 음고키 조작시에 곧바로 인크리이스상태로 설정된다. 이 인크리이스상태에서는 상태마다 클록지시부 32로 부터의 인크리이스 클록øi를 진폭치 지시제어부 33을 개하여 진폭치지시, 계수부 34에 「±3」계수 보진신호로서 공급한다.
따라서 이 인크리이스 상태에서는 인크리이스클록 øi에 동기하여 계수치가 3스텝(계층)씩 최대계수치 「15」까지 5단계로 증가하게 된다. 그리고 진폭치 지시계수부 34로 최대계수치 15가 되면 상태 기억부 31은 트랜스포옴상태로 설정된다.
이 트랜스 포옴상태는 후, 상술할 것이나 지정된 2종의 파형중의 일방에서 타방에로 파형을 서서히 변화시켜 주로 음색을 작출(作出)하는 기간이고 그 파형변화를 위하여 진폭치지시 제어부 3으로 상태마다 클록지시부 3에서 출력되는 트랜스 포옴클록 øt을 진폭치지시 계수부 34에 공급하게 된다. 트랜스포옴 상태에서의 파형변화가 종료되면 상태 기억부 31은 디이크리이스 상태로 설정되어 진폭치 지시제어부 33으로 상태마다 클록지시부 32에서 출력되는 예 : 3종류의 디이크리이스클록 ød1, ød2, ød3를 순차 출력하여 진폭치지시계수부 34에 공급하게 된다.
즉 이 디이크리이스 상태에서는 진폭치 지시제어부 33에서의 다운(Doun)지령에 의하여 이 경우 진폭치 지시계수부 34의 최대 계수치「15」에서,「15」→「9」까지는 디이크리이스 클록 ød1,「8」→「5」까지는 디이크리이스클록 ød2,「4」→「0」까지는 디이크리이스클록 ød3에 의하여「1」스텝(계층)마다 다운계수된다. 또, 음고클록주파수 신호는 인크리이스클록 øi 트랜스포옴 클록 øt, 디이크리이스 클록 ød1, ød2, ød3중 어느 것의 주파수 보다는 훨씬 높은 주파수임은 당연하다.
또 진폭치 지지제어부 33에는 전술한 악음요소 코오드화 신호기억회로 12에 기억 설정된 엔베로우프 지시신호
Figure kpo00004
가 공급되는 것이다. 즉, 엔베로우프 지시신호
Figure kpo00005
는 3비트 출력으로 5종류의 엔베로우프중 대표적인 3종류를 거론한다.
하나는 제6도에 도시한 것으로서 타 2종류는 제7도, 제8도에 도시한 엔베로우프이다.
즉 「100」코오드에서는 제6도의 엔베로우프상태가「000」코오드에서는 제7도의 엔베로우프 상태가 「010」코오드에서는 제8도의 엔베로우프 상태가 지정되는 것이다. 물론,「110」코오드 및 「001」코오드로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상술한 제6도, 제7도, 제8도에 도시한 이외의 엔베로우프를 지정 가능한 것이다.
또 디이크리이스클록 ød1, ød2, ød3, ød4는 주파수 높은 순서로 ød1>ød2, (=ød1/2)>ød3(ød1/4)>ød3(ød1/8)의 관계에 있게된다.
Ⅱ는 악음 파형 작성부를 표시하는 것으로, 기본적으로는 악음요소코오드화 신호 기억회로 12에 기억설정된 18종의 파형지정 코오드에 의한 악음파형 변화지시신호 ⓒ가 공급될 파형 출력제어부 35로 파형 제어 가감산 제어부 35를 개하여 가감산부 37에서 악음파형을 출력하는 것이다.
의 파형제어부 35에는 전술한 스텝어드레스 계수부 30의 계수치 상태, 음량제어부 1의 진폭치 지시계수부의 30의 계수치상태, 상태기억부 31의 기억상태, 옥타브시프트회로 38에서의 저, 중, 고옥타브의 제어지령신호가 공급됨과 동시에 전술한 스텝어드레스 계수부 30의 각 스텝계수치와 전술한 진폭치 지시계수부 34의 진폭계수치 등의 공급되어서 대, 소 혹은 일치 배교가 이루어지는 비교부 39의 비교상태도 공급된는, 또 전술한 옥타브 시프트회로 38에는 스텝어드레스 계수부 30의 계수치 상태가 공급되며 다시 악음요소 코오드화신호 기억회로 12에 기억 설정된 18종의 악음파형변화 지시신호 ⓒ가 공급되며, 고, 중, 저 옥타브의 제어지령 신호를 출력토록 된다.
또, 진폭치 지시계수부 34의 진폭계수치는 가감산 제어부 36에도 공급하여서 된다. 즉, 악음파형 작성부 Ⅱ에서는 악음파형 변화지시 신호 ⓒ로 지시된 기준파형에 대하여 인크리이스, 트랜스 포옴 및 디이크리이스의 각 기간으로 서서이 기준파형을 변화시키도록 제어하는 것으로, 이 파형변화종류 및 그 파형변화 상태를 먼저 제6a, 제6b도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제9a도, 제9b도는 악음파형 변화 지시신호 ⓒ에 의한 파형지시에 따라 인크리이스, 트랜스포홈및 디이크리이스등 어떠한 파형변화가 이루어지는 것인가를 개략도식화한 것으로, 기본적으로는 18종류의 파형지정이 가능하고 각기 도중에서 파형변호로서 표시되어 있다. 다시 도면에서는 각 파형번호를 대응하여 5비트(1, 2, 4, 8, 16 웨이트(Weight)로 표시되는 파형지정 코오드가 표시되어 있다.
웨이트「1」의 비트는 디이크리이스로서의 파형변화는 고정파형변화(이하 고정이라 함)하거나, 부도파형 변화(이하 부동이라함)함을 지시하는 것이다. 이 고정 혹은 부동은 후술하겠으나, 고정은 디이크리이스로 초기(선두)시의 파형이 전술한 진폭지시 계수부 34의 진폭계수치에 의거하여 정부(頂部)가 컬(Cut)되는 파형을 의미하며, 부동은 전술한 진폭계수치에 제어되어 상대적으로 적게 변화하는 소위 진폭 및 펄스폭(Pulse幅)이 같이 축소하는 파형을 의미하는 것이다. 웨이트「2」낮음 (Louer) 및 「4」올림(Upper)의 비트는 인크리이스로 최종시의 파형(트랜스 포옴으로 선두시의 파형)을 지시하며 웨이트「8」(낮음) 및 「16」올림의 비트는 디이크리이스의 선두시의 파형(트랜스포옴의 최종시의 파형)의 지시하는 것으로, 인크리이스, 디이크리이스 중 어느 것이나, 상술한 낮춤과 올림의 2비트 조합코오드로 다음표와 같이 기준파형을 지시하도록 된다.
[표 1]
Figure kpo00006
인크리이스에서는 전술한 거치상파, 구형파, 삼각파의 지시된 파형이 전술한 진폭계수치의 증가에 따르는 디이크리이스의 고정변화만을 하는 것이나, 이 경우에는 점차로 생장(生長)하여 최대 진폭계수치 「15」로 기준파형에 도달하게 된다. 도 트랜스포옴에서는 그 선두시 지시파형(인크리이스의 최종시의 파형)이 디이크리이스의 선두시 지시파형(디이크리이스 상태의 최종시의 파형)을 향하여 화살표방향으로 서서히 파형변화를 이끌면서 이행하도록 제어되는 것이다.
즉, 파형번호 「00」의 경우, 인크리이스에서는 진폭치 지시계수부 34의 진폭계수치의 증가마다 서서히 파형이 화살표방향으로 생장하며, 최대 진폭계수치「15」로 거치상파가되며, 그후 트랜스포옴이 없이 곧바로 디이크리이스에 놓여지게 되며 그 거치상파는 진폭치지시 계수부 8에서의 다운 계수마다 서서히 고정으로 변화하는 것이다. 또 파형번호 「01」의 경우는 파형 번호 「00」의 경우와 다른점이 디이크리이스에서의 부동변화만이다. 다시, 파형번호 「02」의 경우, 인크리이스 최종시의 파형이 구형파로서 트랜스포옴에서는 그 구형파가 서서히 변화하여 최종시에 거치상파가 되며, 디이크리이스에서는 거치상파가 고정으로 변화하는 것이다. 이하 기타의 파형번호 「03」~「05」,「10」~「15」,「20」~「25」에서도 제9a도, 제9b도의 도시와 같은 대응한 파형변화가 되는 것이다.
이와같이 악음파형 작성부 Ⅱ로 작성된 악음파형은 D/A 변환부, 40, 필터부 41을 개하여 스피커를 갖는 출력을 발생부 42에서 악음으로 발음되는 것이다. 또 필터부 41은 필터지시부 17에서의 제어지시 신호에 의하여 예 : 광체(筐體)를 갖는 악기등의 공명특성(共鳴特性), 잔향특성(殘鄕特性)혹은 관악기의 전송특성(傳送特性)등의 효과음을 얻도록 제어한다. 또 이들 효과음을 얻는 필터도 악음요소 코오드와 신호 기억회로 12에 기억설정된 필터지시신호
Figure kpo00007
로서 3종의 필터중 하나가 선요지정 되게 된다.
여기서 제9a도, 제9b도의 악음파형 작성을 위한 기본적회로 구성에 대하여 설명하면, 10도는 인크리이스와 트랜스포옴에서의 파형변화를 설명하는 기본원리 회로도를 나타낸 것으로 30a는 제1도 음고클록발생부 29에서 출력되는 연주조작된 음고키에 대응한 음고클록주파수 신호가 공급되는 스텝어드레스 계수회로(이하 어드레스 카운터라함)로서, 5비트로된 「0~31」까지의 계수치를 얻는 32진(2진수로 「A1A2A4A8A16」=「00000」~「11111」의 바이너리(Binary)계수를 하는 것이다. 즉, 이 어드레스카운터 30의 32진 계수기간으로 파형이 형성되게되며, 그 계수치는 파형 1사이클의 어드레스(A)로서, 상태검출회로 35-1로 「31」계수치검출신호(「A=31」,「17~31」의 계수치 검출신호(「A=17~31」),「16」계수검출신호(「A=16」) 및 「1~15」의 계수치검출신호「A=1~15」로서 출력된다.
34a는 제1도의 진폭치 지시제어부 33에서 출력되는 인크리이스에서의 인크리이스 클록 ø1, 트랜스포옴에서의 트랜스포옴클록 øt를 계수하는 4비트로된 「0~15」까지의 계수치를 얻는 16진 (2폭수로 「E1E2E4E8」=「0000」~「1111」의 바이너리의 진폭치 지시계수회로(이하 진폭카운터라 함)이다.
이 진폭카운터 34a의 4비트 평행출력은「15」진폭계수치로 검출하는 앤드게이트 35-2에 공급되며, 그 검출신호로 2진카운터 35-3을 구동하고 그 출력에서 「1」신호를 취출하도록된다. 즉, 2진카운터 35-3의 출력은 최초의「0」상태이며 따라서 인버어터 35-4에서 인크리이스의 신호(이하인크리이스 신호라함)을 발생하고, 또「1」상태에서는 트랜스포옴신호(이하 트랜스포옴신호라함)을 발생하고 각기 앤드 기능의 매트릭스회로 35-5에 인가된다.
매트릭스회로 35-5는 인크리이스, 트랜스포옴에서의 파형선택 매트릭스를 구성하여서 되며, 그 파형지시는 제1도의 악음요소 코오드화 신호기억회로 12의 악음파형 변화지시신호 ⓒ로 지정된다. 즉, 인크리이스, 트랜스포옴의 경우에는 제9a도, 제9b도에 도시한 파형지정코오드 2, 4, 8, 16웨이트의 비트 C2C4C8C16을 사용하는 것으로서, 18종류의 파형변화의 종류중 9조(條)의 코오드 지정이 되어진다.(왜냐하면 디이크리이스에의 고정, 부동의 지시가 없기 때문이다)
악음요소 코오드신호 기억회로 12의 C2C4C8C16의 각 비트출력은 다이렉트 및 인버어터 35-6~35 9를 개하여 매트릭스회로 35-5에 인가된다.
그리고 매트릭스회로 35-5의 출력 ①⑫~는 파형지정코오드에 맞추어 인크리이스, 디이크리이스로 제2의 표시와 같이 선택 출력이 취출하게 된다.
[표 2]
Figure kpo00008
다시 매트릭스회로 35-5 ①출력은 앤드게이트 35-10, ②출력은 앤드게이트 35-11에, ③출력 및 ④출력은 오아게이트 35-12를 개하여 앤드게이트 35-13에, ⑤출력은 앤드게이트 35-14에, ⑥출력은 앤드게이트 35-15에, ⑦출력 및 ⑧출력은 오아게이트 35-16을 개하여 앤드게이트 35-17과 앤드게이트 35-18에, ⑨출력 및 ⑩출력은 오아게이트 35-19를 개하여 앤드게이트 35-20과 앤드게이트 35-21에, ⑪출력 및 ⑫출력은 오아게이트 35-12를 개하여 앤드게이트 35-23에 각각 입력 결합하여서 된다. 또 매트릭스회로 35-5의 ⑤출력, 오아게이트 35-16 및 오아게이트 35-19의 출력은 오아게이트 35-24를 개하여 익스클시브오아게이트(이하 EX게이트라 함) 39-1~39-4의 일방 입력측에 공급되어 타방 입력측에는 각각 어드레스 카운터 30a의 A1A2A4A8의 4비트출력을 공급한다.
그리고 이 EX오아게이트 39-1~39-4의 출력은 진폭카운터 34a의 E1, E2, E4, E4, E8의 각비트출력과 같이 비교회로 39-5에 인가된다.
즉, 비교회로 39-5는 진폭카운터 34의 당해 진폭 계수치에 대하여 어드레스 카운터 30a의 A1A2A4A8의 4비트로 표시되는 스텝계수치 상태 A'와의 비교를 하여, 스텝계수치 A'는 당해 진폭계수치 E보다 적거나 혹은 같은 계수상태가 되는 「E
Figure kpo00009
A'」검출신호 및 스텝계수치 A'의 「15」에 대한 보수(補數)
Figure kpo00010
'가 당해 진폭 계수치 E보다 적은 계수상태가 되는 「E>
Figure kpo00011
'」검출신호를 출력하는 것이다. 비교회로 39-5의 「E
Figure kpo00012
Figure kpo00013
'」검출신호는 앤드게이트 35-15의 입력측에,「E>
Figure kpo00014
'」검출신호는 앤드게이트 35-14, 35-17, 35-20의 입력측에 인가된다.
또 전술한 상태 검출회로 35-1의 「A=31」검출신호는 앤드게이트 35-11 및 35-21의 입력측에 「A=17~31」검출신호는 앤드게이트 35-144, 35-20, 35-23의 입력측및(-)지령신호로서 제1도의 가감산부 37을 구성하는 가감산회는 37 1-1에 「A=16」검출신호는 앤드게이트 35-10, 35-13, 35-18의 입력측에 다시 「A=1~15」검출신호는 앤드게이트 35-15 및 35-17의 입력측에 결합하여서 된다.
그리고 앤드게이트 35-14, 35-15, 35-17, 35-20, 35-23의 각 출력은 오아게이트 35-25에 공급되어져 가감산회로 37-1에 대하여 「1」지령신호로서 출력되며, 앤드게이트 35-13의 출력은「15」지령신호가 된다.
또 앤드게이트 35-10, 35-11, 35-18, 35-21의 출력은 오아게이트 35-25에 공급되어서 당해 진폭계수치「E」의 지령신호가 되며, 앤드게이트 35-18, 35-21의 출력은 오아게이트 35-27을 개하여 진폭계수치「
Figure kpo00015
」의 지령신호가 된다.
또,「E」는 당해 진폭계수치 E의 「15」에 대한 보수를 의미하는 것으로 한다.
한편, 진폭카운터 34의 각 비트웨이트 E1, E2, E4, E8의 각 출력은 일방 입력측에 오아게이트 35-37로부터의 「
Figure kpo00016
」지령신호가 결합되어 있는 EX 오아게이트 36-1, 36-2, 36-3, 36-4의 타방입력측에 각각 순차로 결합되어 있다.
EX오아게이트 36-1~36-4의 각 출력은 일방입력측에 오아게이트 35-26에서의 「E」지령신호가 결합되어 있는 앤드게이트 36-5, 36-6, 36-8을 각각 순차적으로 개하여 앤드게이트 35-13에서의 「15」지령신호가 일방입측력에 공급되어져 있는 오아게이트 36-9, 36-10, 36-11, 36-12의 타방입력측에 공급되어져 있다,
오아게이트 36-9의 출력은 전술한 오아게이트 35-25에서 출력되는 「1」지령신호와 같이 가산회로 36-13의 "1"웨이트단에, 오아게이트 36-10, 36-12의 출력은 가산회로 36-13의 "2", "4", "8"웨이트단에 인가된다.
이 가산회로 36-13의 각 출력은 가감산회로 37-1의 대응한 비트웨이트단에 인가된다. 다시, 가감산회로 37-1의 가산결과는 래치회로 37-2를 개하여 재차 대응한 웨이트단에 귀환하도록 된다. 또 텃치회로 37-2의 출력은 제1도의 D/A변환 후 40에 공급되는 것이다.
이러한 구성에 있어서, 먼저 인크리이스로 고정 파형변화에 대하여 설명하면, 지금 진폭카운터 34a 및 어드레스카운터 30a는 초기상태의「0」계수상태에 있는 것으로 한다. 따라서 인버어터 35-4에서 인크리이스신호가 발생하여 매트릭스회로 35-5의 출력 ①②⑤⑥이 출력가능상태에 있다.
<A> 인크리이스에서의 최종 파형이 거치상파 지령의 경우(제9a도, 제9b도, 제2표 및 제11도 참조)
악음요소 코오드화신호 기억회로 12의 C2, C4기억부에 「00」코오드가 기억되어 있고 제2표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매트릭스회로 35-5의 출력 ①⑤에서 출력신호가 취출되며, 따라서 앤드게이트 35-10과 35-14에 게이트신호가 공급되어져 있다.
그리고 진폭카운터 34a는「0」진폭계수치 상태에서는 어드레스카운터 30a가 보진하여도 하등 얻을 수 없으나, 진폭카운터 34a는 인크리이스클록 øi를 계수치 1에서 순가 계수하여가며 당해 진폭계수치 E는 「9」(E1E2E4E8=1001)로 된 것으로 한다.
<A-1> E=9일때,
이 「E=9」때에 어드레스카운터 30a가 지정된 음고클록주파수신호를 계수해감에 따라서 파형 형성되어가며, 제11도의 실선으로 표시한 파형출력을 얻는 예의동작에 대하여 설명하면, 즉, 어드레스카운터 30a이 「0~15」스텝계수치에서는 가감산회로 37-1에는 영향을 주지않으며 16스텝계수치가 되면 상태검출회로 35-1에서 A=16 스텝계수치 검출신호가 출력되어 앤드게이트 35-10, 오아게이트 35-26을 개하여 「E」지령신호가 앤드게이트 35-5∼36-8에 인가된다.
따라서 진폭카운터 34a의 E=9의 4비트신호(1001)가 EX오아게이트 36-1~36-4, 앤드게이트 36-5~36-8, 오아게이트 36-9~36-12 및 가산회로 36-13을 평행으로 통과하여 가감산회로 37-1에 가산치「9」로서 곧바로 리셋트된다. 「A=17-22」에서는 앤드게이트 35-10은 폐성되어(-)지령신호가 발생하나 아직 앤드게이트 35-14는 열리지 않으며, 따라서 가감산회로 37-1은 가산치 9의 홀드(Hold)상태에 있다.
그리고 제11도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E=9」는
Figure kpo00017
'보다 큰 조건이 되는「
Figure kpo00018
'=8~0」에서는 비교회로 39-5에서 E>
Figure kpo00019
' 검출신호가 출력되어 앤드게이트 35-14에 공급되며 또「A=17~31」의 경우에 이 앤드게이트 35-14가 열려져 오아게이트 35-25, 가산회로 36-13을 개하여 가감산회로 37-1에 「1」지령 신호가 인가된다. 따라서「A=23~31」까지는 가감산회로 37-1에의 (-)지령신호에 의하여 전술한 가산치「9」가 1스텝계수마다 순차「0」까지「-1」감산함에 따라 결국 제11도 실선에서와 같은 파형을 얻게 된다.
<A-2> E=15의 경우,
다시 진폭카운터 34a는 인크리이스클록 øi을 계수하여 「E=15」가 된 경우의 최종적인 제11도의 점선으로 표시한 거치상파를 얻는 동작을 설명하면, 전술한 바와 같은 「A=0~15」때에는 가중치는 얻어지지 않으며 「A=16」가 되면 앤드게이트 35-10이 열려져 오아게이트 35-26으로부터「E」지령신호가 앤드게이트 36-5~36-8에인 인가된다.
따라서,「E=15」의 진폭계수치(1111코오드)는 EX오아게이트 36-1~36-4, 앤드게이트 36-5~36-8, 오아게이트 36-9~36-12 및 가산회로 36-13을 개하여 가감산회로 37-1에 곧바로 가산치「15」로서 리셋트 된다.「A=17~31」에서는 앤드게이트 35-10은 폐성되나, 일방「E=15」는
Figure kpo00020
'(=14~0)보다 큰 조건이 됨으로 비교회로 39-5에서 「E>
Figure kpo00021
'」검출신호가 출력되어 앤드게이트 35-14에 공급된다,
그리고 「A=17~31」에 의하여 앤드게이트 35-14가 열려져 오아게이트 35-25, 가산회로 36-13을 개하여 가감산회로 37-1에「1」지령신호가 인가됨으로서,「A=17~31」에서는 전술한 가산치「15」에서 1스텝계수마다「0」까지 순차적으로 「-1」감산되며, 결국 제11도의 점선으로 표시된 거치상파가 얻어지게 되는 것이다.
<-3>이상, <A-1>, <A-2>항에서는 각각「E=9」,「E=15」의 2점을 들어, 동작을 설명하였으나, 물론 E=1, 2, 3, 4, 5…의 기타의 진폭계수치에서도 같은 동작을 한는 것으로, 따라서 진폭계수치「E」가 커짐에 따라서 제11도 화살표방향으로 파형이 정부컷의 고정으로 서서히 생장하여 최대진폭계수치「E=15」로 처음에 지시된 거치상파를 얻게되는 것이다. 또, 제6도, 제7도 및 제8도의 경우에는 진폭카운터 34a가 인크리이스클록 øi에 의하여 +3개씩 보진하기 때문에 파형생장도 극히 빨리 거치상파에 도달하게 된다.
<B> 인크리이스에서의 최종파형의 구형파 지정의 경우(제9a도, 제9b도, 제2표 및 제12도 참조)
악음요소 코오드화신호 기억회로 12의 C2, C4기억부에「10」코오드가 기억되어 있으며, 제2표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매트릭스회로 35-5의 출력 ①②에서 출력신호가 취출되며, 앤드게이트 35-10과 35-11에 게이트신호가 공급하여서 된다. 그리고 (A)항에서 설명한 거치상파와 같이 「E=9」,「E=15」에 대하여 제12도의 동작예를 설명하면,
<B-1> E=9일때
어드레스 카운터 30a의 「0~15」스텝계수치에서는 가감산회로 37-1에서 영향을 주지 않으며 「0」가산치 상태가 된다. 「16」스텝계수치가 되면 상태검출회로 35-1에서 「A=16」의 스텝계수치 검출신호가 출력되어 앤드게이트 35-10이 열려져 전술한 바와 같이 가감산회로 37-1에는 「E=9」의 4비트신호(1001)이 가산치「9」로 곧바로 셋트된다.
그리고「A=17~31」에서는 가감산회로 37-1에 (-)지령신호가 인가되나,「A=17~30」까지는 어떤 앤드게이트도 열려지지 않으며 가산치「9」의 홀드상태가 된다.「A=31」가 되면 앤드게이트 35-11이 열려져 오아게이트 35-26에서「E」지령신호가 출력되고 앤드게이트 36-5~36-8의 입력측에 인가된다.
따라서 진폭계수치「E=9」는 EX오아게이트 36-1~36-4, 앤드게이트 36-5~36-8, 오아게이트 36-9~36-12 및 가산회로 36-13을 개하여 가감산회로 37-1에 인가되어 (-)지령신호에 의하여 가산치 9는 가산치로서 바로「0」로 놓이게하고 결국 제12도의 실선에 도시한 파형이 얻어진다.
<B-2> E=15일때
전술한 바와 같은 「A=0~15」일때에는 가산치는 얻어지지 않으며,「A=16」가 되면 앤드게이트 35-10이 열려 오아게이트 35-26에서 「E」지령신호가 앤드게이트 36-5~36-8에 인가된다. 따라서,「E=15」의 계수치(1111 코오드)가 가감산회로 37-1에 곧바로 가산치로서 셋트된다.「A-17~30」까지는 가산치「15」가 홀드상태에 놓여져 「A=31」에서는 앤드게이트 35-11이 열려 진폭카운터 34a에서의 「E=9」의 진폭계수치(-)는 지령신호에 의하여 감산치가 됨으로 곧바로 0상태에 놓이며 제12도 점선도시와 같은 구형이 얻어진다.
<B-3>
물론, E=1, 2…의 기타의 진폭계수치에서도 같은 동작을 하는 것으로서 따라서 진폭계수치「E」가 커짐에 따라 제12도 화살표방향으로 파형이 정부(頂部)컷의 고정으로 생장하여 최대전폭치「E=15」로서 처음 지정된 구형파를 얻게 된다.
<C> 인크리이스에서의 최종파형이 삼각파의 지정일 경우(제9a도, 제9b도, 제2표 및 제13도 참조)
악음요소 코오드화신호 기억회로 12의 C2, C4기억부에「01」코오드가 기억되어 있으며, 제표에서와 같이 매트릭스회로 35-5의 출력 ⑤⑥에서 출력신호가 취출되며 따라서 앤드게이트 35-14, 35-15에 게이트신호가 공급되어져 있다. 한편, ⑤출력은 오아게이트 35-24를 개하여 EX오아게이트 39-1~39-4의 입력측에도 인가되어져 있다.
즉, 이 EX오아게이트 39-1~39-4의 출력에서는 「
Figure kpo00022
'」의 신호가 출력되게 된다. 지금, <A>항 <B>항에서의 설명과 같이 「E=9」,「E=15」에 대하여 제13도에 도시한 삼각파형에 대하여 그 동작예를 설명하면, <C-1> E=9일때
어드레스카운터 30a의 「1~15」스텝계수치에서는 상태검출회로 35-1에서 「A=1~15」의 검출신호가 발생하며, 앤드게이트 10-11에 공급된다. 이를 위하여 오아게이트 35-25에서 「1」지령신호가 검출되며 가산회로 36-13을 개하여 가감산회로 37-1에 인가된다. 이 시점에서는(-)지령신호는 없음으로「A=1~9」까지는 비교회로 39-5로서「E
Figure kpo00023
Figure kpo00024
'」의 조건이 검출되어 1스텝계수마다 순차로 가산되어 간다.
그리고「A=10」가 되면 이 앤드게이트 35-15는 폐성, 가산치「9」는 홀드상태가 된다. 그리고,「A=17~31」의 계수상태에서 비교회로 39-5로서「E>
Figure kpo00025
'」의 비교조건이 검출되어 앤드게이트 35-14는 열려져 오아게이트 35-25에서 「1」지령신호가 출력되고, 가산회로 36-13을 개하여 가감산회로 37-1에 인가된다. 이때 가감산회로 37-1에는 (-)지령신호가 인가되어 있음으로, 1스텝계수마다 감산하게 된다. 따라서 제13도의 실선 도시한 파형이 얻어진다.
<C-3>
물론, E=1, 2…의 기타의 진폭계수치에서도 같은 동작을 함으로, 따라서 진폭계수치「E」는 커짐에 따라 제13도 화살표 방향으로 파형이 정부컷의 고정으로 생장하여 최대 진폭계수치「E=15」로서 처음 지정된 삼각파를 얻게 된다.
다음에 진폭카운터 34a가 인크리이스클록 øi에 의하여 최대 진폭계수치「15」에 도달하고 인크리이스로 구하는 전술한 최종시의 거치상파, 구형파, 삼각파 어느것중 하나의 형성된 후의 트랜스 포옴에서의 파형 변화의 6개의 태양에 대하여 동작 설명하면, 진폭카운터 34a는 최대 진폭계수치「15」에 도달하면 앤드게이트 10-2에서 출력을 얻어지며, 그 입하(立下)시에 동기하여 2진카운터 35-3의 출력에서 트랜스포옴신호가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이번에는 매트릭스회로 35-5의 출력 ③④⑦⑧⑨⑩⑪⑫는 출력가능상태가 된다. 또 진폭카운터 34a는 인크리이스클록 øi에 변하여 트랜스포옴클록 øt에 의하여 진폭계수하게 된다. 또 파형번호 「02」,「03」,「20」,「21」,「22」,「23」인 구형파→거치상파, 거치상파→삼각파, 구형파→삼각파의 지정의 경우에는 진폭카운터 34a는 최대진폭계수가 「15」에 도달하면 자동적으로 최조 진폭계수치「0」가 되며「15」→「0」→「1」→「2」→…→「14」→「15」의 순으로 엎(up)계수하는 것이다. 또 파형번호 「04」,「05」,「10」,「11」,「14」,「15」인 삼각파→거치상파, 거치상파→구형파, 삼각파→구형파의 지정의 경우에는, 진폭카운터 34a는 최대 진폭계수치가「15」에 도달하면 다운지령이 인가되며 「15」→「14」→「13」…「1」→「0」의 순으로 다운 계수된다
<D> 트랜스포옴에서의 선두파형(인크리이스에서의 최종파형에 상당)은 구형파로서, 이것이 최종파형의 거치상파에 서서이 변화할때의 동작설명(제9a도, 제9b도, 제2표 및 제14도 참조)
이 경우에는 악음요소 코오드화신호 기억회로 12의 C2, C4, C8, C16기억부에는 제9A도 및 제2표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2", "4", "8", "16"의 웨이트순으로 「1000」으로 표시되는 파형 지정코오드가 기억하여서 되며, 따라서 매트릭스회로 35-5는 ④⑩의 2개의 출력이 취출하게 된다. 출력 ④는 오아게이트 35-12를 개하여 앤드게이트 35-13, 출력 ⑩은 오아게이트 35-19를 개하여 앤드게이트 35-20, 35-21에 게이트신호로서 상시 공급된다.
또 오아게이트 35-19의 출력은 오아게이트 35-24를 개하여 EX오아게이트 39-1~39-4에도 인가되며 이 EX오아게이트 출력에서 「
Figure kpo00026
'」신호를 취출하도록 지령하여서 된다. 그리고 진폭카운터 34a는 「E=9」,「E=15」의 진폭계수치에 도달한 경우를 들어 상세히 설명하면,
<D-1> E=9일때(제14도 실선의 동작>
이 「E=9」의 진폭계수치이며 어드레스카운터 30a가「0~15」까지의 스텝계수치상태에서는 앤드게이트 35-13, 35-20, 35-21 어느 것에서도 출력을 얻지 않으며, 가감산회로 37-1에서는 출력을 발생하지 않는다. 「16」스텝계수치에 도달하면 상태검출회로 35-1에서 「A=16」의 검출신호가 발생하고, 앤드게이트 35-13에서는「15」지령신호가 오아게이트 36-9~36-12에 부여되여, 전체 오아게이트 출력에서「1」신호가 취출되며, 가산회로 36-13을 개하여 가감산회로 37-1에 가산치 15(「1111」코오드)로서 셋트된다.
그리고 어드레스카운터 30a의「17「스텝계수치가 되는 이후 「31」스텝계수치까지지 (-)령신호가 감산회로 37-1에 공급하게 된다. 그러나,「17」스텝계수치에서「22」스텝계수치까지는 비교회로 39-5에서의 비교조건이 앤드게이트 35-20에 공급되지 않으며, 따라서 이「17~22」스텝계수치에서는 전술한 가산치「15」의 홀드상태가 된다.
이후 어드레스카운터 30a는「23」스텝계수치에 도달하면 비교회로 39-5에서「E>
Figure kpo00027
'」의 비교성립의 검출신호가 출력되여, 앤드게이트 35-20에 공급된다. 즉, 제14도의 계수상태 설명개소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어드레스 카운터 30a가 「23」스텝계수치임은 어드레스 카운터 30a의 A1, A2, A4, A8의 4비트로 표시되는 A'계수치는 「7」이나, 오아게이트 35-24는「1」임으로, 이「A'=7」는 EX오아게이트 39-1~39-4로 반전된 A'의 「15」에 대한 보수치의 「
Figure kpo00028
'=8」계수치로서 비교회로 19-5에 부여하게 되고「E=9」에 대하여 「E>
Figure kpo00029
'」의 비교조건을 만족하게 하는 것이다. 때문에 앤드게이트 35-20은 열려져, 오아게이트 35-25에서「1」지령신호가 출력되며 가산회로 36-13을 개하여 가감산회로 37-1에 인가되나, 이 시점에서는 상태검출회로 35-1에서 (-)지령신호가 출력되어져 있으며 따라서 어드레스 카운터 30a의「23」스텝계수치에서는 전술한 가산치 15에서 -1된다.
이하「24」스텝계수치에서「31」스텝계수치까지는 E>
Figure kpo00030
'의 조건이 성립하기 때문에 그때「-1」되는 것이다. 그리고 31스텝계수치에 도달하면, 상태검출회로 35-1에서「A=31」의 검출신호가 출력되여 앤드게이트 35-21이 열려짐으로 오아게이트 35-26에서「E」지령신호를 또, 오아게이트 35-27」에서 「
Figure kpo00031
」지령신호가 출력된다.
따라서,「E=9」(「1001」)의 진폭계수치의「15」의 보수치 6(「0111」)은 EX 오아게이트 36-1~36-4에서 출력되어 앤드게이트 36-5~36-8, 오아게이트 36-9~36-12, 가산회로 36-13을 개하여 가감산회로 37-1에 공급되게 됨으로 이 치「6」와 같이 다시「1」이 감산되어 곧바로 가산치는 「0」이 되는 것이다.
따라서 이「31」스텝계수치에서는 (
Figure kpo00032
9+1)의 감산이다. 즉,「31」스텝계수치에서는 앤드게이트 35-20도 열려져 있고 가산회로 36-13으로「6」과「1」이 가산되기 때문이다. 이러한 동작으로서 제14도 실선파형이 가감산회로 37-1에서 출력되기 때문이다.
<D-2> E=15의 경우(제14도의 점선도시한 거치상파의 동작)
어드레스 카운터 30a의「0~16」스텝계수치까지는 <D-1>항과 같다. 그리고 「17」스텝계수에 도달하면 「E>
Figure kpo00033
'」의 비교조건이 성립됨으로, 비교회로 39-5에서「E>
Figure kpo00034
'」검출신호가 출력되어 엔드게이트 35-20에 공급된다.
따라서 가감산회로 37-1에서는 스텝계수치 17에서 스텝순차로「-1」감산하게 된다. 그리고 「31」스텝계수치에서는 앤드게이트 10-17이 열려지나,「E=15의 보수치는 「0」임으로 이의 따르는 가감산회로 37-1에의 영향은 없다. 따라서「E=15」에서는 거치상파를 얻게되는 것이다.
<D-3>
이상의 설명에서는 「E=9」와「E=5」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E=1, 2, …등 각 진폭계수치마다 순차같은 동작을 하며, 제14도시의 구형파는 진폭계수치가 증가할 때마다 화살표방향으로 서서히 파형변화를 동반, 트랜스포옴에의 최종시의 거치상파로 이행하는 것이다.
한편, 제15도에는 후술하는 파형변화도 포함하여 인크리이스에서 트랜스포옴까지의 파형변화 추이를 알기쉽게 도식화하였다.
<E> 트랜스포옴에서의 선두파형이 삼각파로서 이것이 최종파형의 거치상파로 서서이 변화할때의 동작 설명(제16도 참조)
이 경우에는 악음요소 코오드화신호 기억회로 12의 C2, C4, C4, C8, C16의 기억부에는 제9a도 및 제2표에서와 같이 "2", "4", "8", "16"의 웨이트순으로 「0100」으로 표시되는 파형지정코오드가 기억되는 것으로, 따라서 매트릭스회로 35-5에서는 ⑧⑪ 2개의 출력이 취출하게 된다. 출력 ⑧은 오아게이트 35-16를 개하여 앤드게이트 35-17 및 앤드게이트 35-18에, 출력 ⑪은 오아게이트 35-22를 개하여 앤드게이트 35-23에 게이트신호로서 상시 공급된다. 또 오아게이트 35-16의 출력은 오아게이트 35-24를 개하여 EX오아게이트 39-1~39-4에도 인가되며, 이 EX오아게이트 출력에서 「
Figure kpo00035
'」신호를 취출하도록 지령된다.
또, 이 파형진정코오드「0100」의 경우에는 진폭카운터 34a는 인크리이스로 최대진폭계수치「15」가 되면 다운지령이 공급되어 트랜스포옴클록에 동기하여 「14」→「13」→…→「1」→「0」로 다운 계산되는 것이다.
<E-1> E=9의 경우(제16도 실선동작)
이 「E=9」의 진폭계수치로서 어드레스카운터 30a가 「0~6」까지의 스텝계수치에서는 전술한 앤드게이트 35-17, 35-18, 35-23중 어느 것이나 폐성되어져 있고 가산치 출력은 얻지 못한다.
「7」스텝계수치에 도달하면 비교회로 39-5에서 「E>
Figure kpo00036
'」의 비교성립의 검출신호가 출력되어 엔드게이트 35-17은 열리며 오아게이트 35-25에서「1」지령신호가 출력되여 가산회로 36-13을 개하여 가감산회로 37-1에 공급된다. 즉,「E>
Figure kpo00037
'」의 비교조건이 성립하는 것은 어드레스카운터 30a의 「7~15」스텝계수치까지이고 이 스텝기간은 가감산회로 37-1에「1」지령신호가 부여되여 스텝계수마다「+1」엎계수되어 가게된다.
그리고「16」스텝계수치에 도달하면 상태검출회로 35-1에서「A=16」의 검출신호가 출력되어 앤드게이트 35-18이 열려진다. 때문에 오아게이트 35-26에서 「E」지령신호가, 오아게이트 35-27에서「
Figure kpo00038
」지령신호가 출력되어 각각 앤드게이트 36-5~36-8, EX오아게이트 36-1~36-4에 입력 공급된다.
따라서「E=9」의「15」에 대한 보수치「6」(0110)가 가감산회로 37-1에 「+6」가산치로서 공급되여 결과적으로 가감산회로 37-1에서는 가산치「15」가 되게 된다. 그리고 스텝계수치가 「17~31」까지는 앤드게이트 35-23이 열려지기 때문에 각 스텝마다「16」스텝계수시의 가산결가치「15」에서 「-1」감산하게 되어 제16도 실선파형이 얻어진다.
<E-2>=0의 경우(제16도 점선도시한 거치상파의 동작)
어드레스카운터 30a의 「0~15」스텝계수치까지는 비교회로 39-5에서 비교조건을 얻지 못한다. 그리고 「A=16」이 되면 앤드게이트 35-18이 열리며, 오아게이트 35-36, 35-27에서 각각「E」지령신호「
Figure kpo00039
」지령신호가 발하여져 각각 앤드게이트 36-5~36-8, EX 오아게이트 36-1~36-4에 게이트신호로서 공급된다. 이때문에 「E=0」의 보수치「15」(「1111」코오드)가 EX오아게이트 36-1~36-4에서 출력되며, 앤드게이트 35-5~36-8 오아게이트 36-9~36-12, 가산회로 36-13을 통하여 가감산회로 37-1에 가산치「15」를 설정한다.
그리고「A=17~31」에서는 앤드게이트 35-33이 열려지게됨에 따라 1스텝계수마다「-1」감산되어 결국 제16도의 점선표시한 거치상파가 얻어진다.
<E-3>
이 경우에는 진폭카운터 34a는 최대진폭치「15」에서 진폭치「0」를 향하여 다운계수토록 제어함으로 제16도 화살표방향의 삼각파로부터 거치상파로 파형이 서서이 변화하게 된다.
<F> 트랜스포옴에서의 선두파형은 거치상파로서 이것이 최종파형의 구형파로 서서히 변화하는 경우의 동작설명(제17도 참조) 이 경우에는 악음요소 코오드화신호 기억회로 12의 C1, C2, C4, C8, C16의 기억부에는 제9a도 및 제표에서와 같이 "2", "4", "8", "16"의 웨이트순으로 「0010」으로 표시되는 파형지정코오드가 기억되는 것으로, 따라서 매트릭스회로 35-5는 ③⑨ 두개의 출력이 취출하게 된다. 출력 ③은 오아게이트 35-12를 개하여 앤드게이트 35-13에 출력 ⑨은 오아게이트 35-19를 개하여 앤드게이트 35-20 및 35-21에 게이트신호로서 상시 공급된다. 또 오아게이트 35-19의 출력은 오아게이트 35-24를 개하여 EX오아게이트 39-1~39-4의 입력에도 인가하여서 된다.
이 파형지정 코오드「0010」의 경우에도 진폭카운터 34a는, 인크리이스로 최대진폭계수치「15」가 되면 다운지령이 공급되어, 트랜스포옴클록 øt에 동기하여 「14」→「13」→…→「1」→「0」로 다운 계산되는 것이다.
<F-1 E=9의 경우(제17도 실선동작) 이 E=9의 진폭치로서 어드레스카운터 30a는「0」~「15」까지의 스텝계수치에서는 앤드게이트 35-13과 35-20의 엔드게이트도 폐성되어 있다.
「A=16」으로 앤드게이트 35-13이 열려져,「15」지령신호는 오아게이트 36-9~36-12에 공급됨으로 가산회로 37-1에 가산치「15」가 셋트 된다. 그리고「E>A'」의 조건이 성립되는「A=23」이 되면「E>A」의 비교조건이 성립되어 앤드게이트 35-20이 열려져 오아게이트 35-25에서「1」지령신호는 출력하게되고 1스텝계수치 마다「-1」감산되어 간다.
「A-31」스텝계수치에서는 제14도에 대하여 전술한(D-1)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E9+1)분「-」감산되어「0」이 되는 것이다. <F-2> E=0의 경우(제17의 점선으로 표시된 구형파의 동작)어드레스 카운터 30a의「0~15」스텝계수치에서는 가산치를 얻지 않으며,「A=16」스텝계수치로 (F-1)항과 같이 가산치「15」가 가감산 회로 37-1에 셋트된다.
그리고,「E>A'」의 비교조건이 성립되는 예는 없으며,「A=31」스텝계수치가 되면 앤드게이트 35-21의 출력이 인가될 오아게이트 35-26, 35-27에서 각각「E「지령신호,「E」지령신호가 출력되여,「E=0」의「15」에 대한 보수치「15」를 가감산회로 37-1에 공급한다. 이때 가감산회로 37-1에는 (-)지령신호가 공급되어 있기 때문에, 결국 가산치「15」에서 「15」감산되어「0」이 되는 것이다. <F-3>이와 같이 진폭카운터 34a는 최대진폭계수치「15」보다 다운계수마다 제17도의 화살표 방향으로 파형이 생장하여가며 최종적으로는 구형파를 얻게 된다.
<G>트랜스포옴에서의 선두파형이 삼각파로 이것이 최종 파형의 구형파로 서서히 변화할 경우의 동작 설명(제18도 참조) 이 경우에는 악음요소 코오드화신호 기억회로 12의 C2, C4, C8, C16기억부에는 제9b도 및 제2표에서와 같이 "2", "4", "8", "16"의 웨이트순으로 「0110」으로 표시되는 파형 지정코오드가 기억되는 것으로, 따라서 매트릭스회로 35-5는 ⑧⑨ 2개의 출력이 취출토록 된다. 출력 ⑧은 오아게이트 35-16을 개하여 앤드게이트 35-17 및 앤드게이트 35-18로, 출력 ⑨은 오아게이트 35-19를 개하여 앤드게이트 35-20 및 35-21에 게이트신호로서 상시 공급된다.
또 오아게이트 35-16, 35-19의 출력은 오아게이트 35-24를 개하여 EX오아게이트 39-1~39-4의 일방 입력측에도 인가하여서 된다. 또 이 파형지정코오드「0110」의 경우에도 진폭카운터 34a는, 트랜스포옴에서는 다운 지령이 공급되어져 「15」→14→…→「1」→「0」로 다운 계수된다.
<G-1> E=9의 경우(제18도 실선동작) 이 「E=9」의 진폭계수치로서 어드래스카운터 30a의「0~6」스텝계수치에서는 가산치 출력을 얻을 수 없다. 「7」스텝계수치에 도달하면 비교화로 39-5에서 「E>A'」의 비교 성립이 검출신호가 출력되며, 앤드게이트 35-17이 열려져 오아게이트 35-25에서 「1」지령이신호가 발생하고, 가산회로 36-13을 개하여가 감산회로 37-1에 공급된다. 즉「E>A'」의 조건이 성립할 「7~15」스텝계수치에서는 스텝계수마다 가감산회로 37-1은「+1」엎계수되어 간다. 그리고 「16」스텝계수치에 도달하면 상태검출회로 35-1에서 「A=16」의 검출신호가 출력되며 앤드게이트 35-18이 열린다. 때문에 오아게이트 35-26에서 「E」지령신호가, 오아게이트 35-27에서 「E」지령신호가 출력되며 각기 앤드게이트 36-5~36-8, EX 오아게이트 36-1~36-4에 입력 공급된다.
따라서 「E=9」의 「15」에 대한 보수치 「6」(0110)은 가감산회로에 「+6」가산치로서 공급되며 결과적으로 가감산회로 37-1은 가산 결과치「15」가 된다. 그리고 「17~22」스텝계수치에서는 「E>
Figure kpo00040
'」의 조건이 성립되지 않으며, 전술 가산경과치「15」의 홀드상태에 있으며,「23」스텝계수치가 되면 「E>
Figure kpo00041
'」의 조건 성립으로 앤드게이트 35-20이 열리며 오아게이트 35-25에서 「1」지령신호가 출력된다.
따라서 가산결과치 「15」에서 1스텝계수마다 「-1」감산하여 가게된다. 「31」스텝계수치에서는 전술한(D-1)항 에의 설명에서와 같이 (
Figure kpo00042
9+1)분「1」감산되여 「0」이 된다. <G-2>=0의 경우(제18도 점선표시한 구형파의 동작) 어드레스카운터 30a의 「0~15」스텝계수치에서는 가산치는 얻지 못하나,「16」스텝계수치는 가신치「15」가 가감산회로 37-1에 셋트된다.
그리고(「E<
Figure kpo00043
'」)의 비교조건이 성립은 없고,「A=31」스텝계수치가 되면 앤드게이트 35-21의 출력이 인가될 오아게이트 35-26, 35-27에서 각각 「E」지령신호,「
Figure kpo00044
」지령신호로 출력되여 결국 보수치「15」를 (-) 0지령신호가 인가되어져 있는 가감산회로 37-1로 감산하여 「0」상태로 하는 것이다.
<G-3>
이리하여, 진폭카운터 34a는 최대 진폭계수치 「15」보다 다운 계수할때마다 제18도 화살표방향으로 파형이 생장하여가며 최종적으로 구형파가 얻어지게 된다.
<H> 트랜스포옴의 선두파형이 거치상파로 이것이 삼각파로 서서히 파형변화할 경우의 동작설명(제19도 참조). 이 경우에는 악음요소 코오드화신호 기억회로 12의 C2, C4, C8, C16기억부에는 제9b도 및 제2표에서 알수 있는 바와 같이 "2", "4", "8", "16"의 웨이트 순으로 「0001」로 표시되는 파형지정코오드가 기억되는 것으로, 다라서, 매트릭스회로 35-5로부터는 ⑦⑫ 2개의 출력이 취출된다.
출력 ②은 오아게이트 35-16을 개하여 앤드게이트 35-17 및 35-18에, 출력 ⑫은 오아게이트 35-22를 개하여 앤드게이트 35-23에 게이트신호로서 장치 공급된다. 또 오아게이트 35-16의 출력은 오아게이트 35-24를 개하 EX오아게이트 39-1~39-4의 일방 입력측에도 인가하여서 된다.
또, 이 파형지정 경우에는 진폭카운터 34a는, 인크리이스의 최대 진폭계수치 「15」에서 「0」진폭계수치로 변하며, 트랜스포 옴에서는「0」→「1」→…→「14」→「15」로 엎 계수하여가는 것이다.
<H-1> E=9의 경우(제19도 실선으로 표시한 파형동작) 이 「E=9」의 진폭계수치이며,「0~6」스텝계수치에서는 가산치 출력을 얻지 않는다.「7」스텝계수치에 도달하면 비교회로 39-5의 「E>A'」의 비교조건이 성립되고, 앤드게이트 35-17이 열려, 따라서 오아게이트 35-25에서 「1」지령신호가 취출된다.
즉「E>
Figure kpo00045
'」의 조건이 성립될 「7~15」스텝계수치에서는 스텝계수마다 가감산회로 37-1「+1」엎계수하여 간다. 그리고 16스텝계수치에 도달하면 상태검출회로 35-1에서 「A=16」이 검출되며 앤드게이트 35-18이 열린다. 때문에 오아게이트 35-26에서 「E」지령신호, 오아게이트 35-27에서 「
Figure kpo00046
」지령신호가 출력되어 결국「E=9」의 「15」에 대한 보수치 「6」(0110)은 가감산회로 37-1에「+6」가산치로서 공급된다.
그리고 「17~31」스텝계수치에서는 엔드게이트 35-23이 열려, 오아게이트 35-25에서 「1」지령신호가 가감산회로 37-1에 공급하게 되나, 이 시점에서는 가감산회로 37-1에 (-)지령신호가 인가되어져 있으므로 가산치「15」보다 1스텝계수마다「-1」감산되어 가계된다.
<H-2> E=15의 경우 (제19도 점선표시의 삼각파의 동작) 1스텝계수치에서는 「E>
Figure kpo00047
'」의 비교조건이 성립됨으로 앤드게이트 35-17이 열려 오아게이트 35-25에서 「1」지령신호가 출력되어 「E>
Figure kpo00048
'」가 성립될 「1~15」스텝 계수치에서는 가감산회로 37-1은 「+1」엎 계수되어 간다. 「16」스텝계수치에는 「E>
Figure kpo00049
'」의 조건은 성립되지 않고 앤드게이트 35-17은 열리지 않고 「1」지령신호는 발생하지 않는다. 「17~31」스텝계수치에서는 (-)지령신호에 의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스텝계수마다 「-1」이 감산되어 간다.
<H-3>
이리하여 진폭카운터 34a는 최소진폭계수치 「0」에서 최대 진폭계수치「15」까지는 순차적으로 카운터엎할때마다 제19도 화살표방향으로 파형이 생장하여 가며 최종적으로 삼각파를 얻는 것이다.
<1> 트랜스포옴에서의 선두파형은 구형파로서, 이것이 삼각파로 서서히 파형화하여 갈때의 동작설명(제20도 참조)
이 경우에는 악음요소 코오드화신호 기억회로 12의 C2, C4, C8, C16기억부에는 제9b도 및 제2표으로와 같이 "2", "4", "8", "16"의 웨이트 순으로 「1001」로 표시되는 파형 지정코오드가 기억되는 것으로 따라서 매트릭스회로 35-5로 부터는 ⑦⑩ 2개의 출력이 취출된다.
출력 ⑦은 오아게이트 35-16을 개하여 앤드게이트 35-17 및 35-18, 출력 ⑩은 오아게이트 35-19를 개하여 앤드게이트 35-20 및 35-21에 게이트신호로서 상시 공급된다. 또 오아게이트 35-16, 35-19의 출력은 오아게이트 35-24를 개하여 EX오아게이트 39-1~39-4의 일방입력측에도 인가하여서 된다.
<1-1> E=9의 경우 (제20도 실선 도시한 파형동작)
<1-2 E=15의 경우(제20도 점선 도시한 삼각파의 동작)
이 (1-1) 및 (1-2)동작 설명은 제19도 및 제14도의 동작설명을 참조함에 따라 용이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임으로 생략함.
<1-3>
이리하여 진폭카운터 34a는 최소진폭계수치「0」에서 최대진폭 계수치「15」까지 순차 카운터 엎할때마다 제20도의 화살표 방향으로 파형이 생장하여 가며 최종적으로 삼각파를 얻게된다. 제21도는 디이크리이스의 파형변화를 설명하는 기본원리회로도로서 30b는 제1도의 음고클록발생부 29에서 출력되는 음고 클록주파수 신호가 공급될 어드레스카운터로서, 이 카운터의 구성은 제10도의 어드레스카운터 30a와 같다.
5비트출력은 상태 검출회로 35-50에 공급되어서 제10도의 상태 검출회로 35-1와 같이「A=31」의 검출신호「A=17~31」의 검출신호,「A=16」의 검출신호,「A=1~15」의 검출 신호를 출력한다. 악음요소 코오드화신호 기억회로 12의 C1기억부에는 디이크리이스의 부동 혹은 고정의 파형변화가 표시되어「0」으로 고정지시,「1」로 부동지시가 된다.
또, C8, C16기억부에는 디이크리이스로의 선두파형지시 코오드가 기억된다. 또 지정파형에 대응한 코오드는 제1표에 도시한 바와 같다. 그리고 이 악음요소 코오드화 신호기억회로 12의 C1, C8, C16기억부의 출력은 다이렉트로, 또 인버어터 35-51, 35-52, 35-53을 개하여 앤드게능의 매트릭스회로 35-54에 결합된다.
매트릭스회로 35-54의 ①' 출력은 앤드게이트 35-55에, ②' 출력은 앤드게이트 35-69에, 이하 ③' 출력은 앤드게이트 35-57에 ④' 출력은 앤드게이트 35-58에, ⑤출력은 앤드게이트 35-59에, ⑥' 출력은 앤드게이트 35-60에, ⑦' 출력은 앤드게이트 35-6에 인가된다.
또 상태검출회로 35-40에서 출력될 「A=31」의 검출신호는 앤드게이트 35-55에,「A=17~31」의 검호출신은 앤드게이트 35-57, 35-58 및 35-59에,「A=16」의 검출신호는 앤드게이트 35-56에,「A=1~15」의 검출신호는 앤드게이트 35-60과 35-61에 인가된다.
한편, 매트릭스회로 35-54의 ④' 출력 및 ⑥' 출력은 오아게이트 35-62를 개하여 EX오아게이트 39-30~39-53의 일방 입력측에 공급된다. EX 오아게이트 39-50~39-53의 타방입력측에는 어드레스 카운터 50b의 A1, A2, A4, A8의 웨이트비트의 출력은 순차적으로 결합되며, 그 출력은 비교회로 39-54에 공급된다.
이 비교회로 39-54에는 진폭카운터 34b의 4비트출력 E1, E2, E4, E8도 공급되어져 있고 이에 따라「E=A'」,「E>
Figure kpo00050
'」,「E>=
Figure kpo00051
'」,「E>=A'」의 비교조건의 검출신호가 출력되며「E=
Figure kpo00052
'」의 검출신호는 앤드게이트 35-57에,「E>
Figure kpo00053
'」의 검출신호는 앤드게이트 35-58에,「E>=A'」의 검출신호는 앤드게이트 35-59에, 또「E>
Figure kpo00054
'」검출신호는 앤드게이트 35-60에도 인가되며,「E>A'」의 검출신호는 앤드게이트 35-61에 인가된다.
앤드게이트 35-55~35-57의 출력은 오아가이트 35-63을 개하여 앤드게이트 36-50~36-53의 일방입력측에「E」지령신호로서 공급하여서 된다.
이 앤드게이트 36-50~36-53의 타방입력측에는 진폭카운터 34b의 E1, E2, E4, E8의 웨이트 비트출력은 가산회로 36-54의 "1"웨이트단에, 또 앤드게이트 36-51 36-53의 출력은 가산회로 36-54의 "2", "4", "8"의 웨이트 단에 인가된다. 그리고 가산회로 36-54의 각 출력은 가감산회로 37-50의 각 웨이트 비트단에 결합된다.
전술한 앤드게이트 35-58~35-61출력은 오아게이트 35-64를 개하여 「1」지령신호를 출력하고 오아게이트 36-54에 인가된다.
또 가감산회로 37-50에는 상태 검출회로 35-50에서「A=17~31」의 검출신호는 (-)지령신호로서 공급됨과 동시에 각 비트출력은 텃치회로 37-51을 개하여 대응한 비트웨이트단에 귀환된다. 그리고 텃치회로 37-51의 출력은 제1도의 D/A변환부 14에 출력되게 된다.
다시 트랜스포옴에서 디이크리이스로 변화면 진폭카운터 34b에 대하여 다운지령「1」이 가인하게된다. 다음에 제21도를 사용하여 디이크리이스에서의 파형변화를 설명한다.
먼저, 부동, 소위진폭카운터 34b의 진폭계수치에 맞추어 기준파형이 상대적으로 적게 변화할때의 제9a도, 제9b도에서의 파형번호「01」,「03」,「05」,「011」,「13」,「15」,「21」,「23」,「25」에 대하여 설명하면,
<J> 디이크리이스에서의 선두파형이 거치상파 지시로, 이것이 부동변화할 경우(제22도 참조(이 경우, 악음요소 코오드화신호 기억회로 12의 C/, 기억부에는「1」(부동지점)이 C8, C16기억부에는「00」이 지정 되어 있다. 따라서 매트릭스회로 35-54의 출력 ②' ⑤'이 출력 가능상태에 있고, 앤드게이트 35-56 및 35-59게이트신호가 상시 공급되어져 있다.
진폭카운터 8b는 최대진폭계수치「15」로, 디이크리이스에의 선두파형이 제22도에 점선도시한 거치상파의 기준파형에 있는 것으로 한다.
그리고 진폭카운터 34b에 다운지령이 공급되며, 디이크리이스클록 ød(제6도, 제7도, 제8도의 ød1, ød2, ød3, ød4를 총칭함)에 동기하여 진폭계수치는 -1식 다운 계수되어 가며 진폭계수치「9」(1001)이 된 것으로 한다.
<J-1> E=9의 경우(제22도의 실선표시의 파형 동작)이 「E=9」에 있어서 어드레스 카운터 30b는「0~15」스텝계수치에서의 앤드게이트 35-56 및 35-59는 열리지 않으며, 가감산회로 37-50의 출력은 얻어지지 않는다.
어드레스카운터 30b가 「16」스텝계수치가 되면 상태검출회로 35-50에서「A=16」의 검출신호가 출력된다. 따라서 앤드게이트 35-56이 열려, 오아게이트 35-63에서「E」지령신호는 앤드게이트 36-50~36-53의 일방 입력측에 공급하게 되며, 진폭카운터 34b의「E=9」의 진폭계수치는 이 앤드게이트 36-50~36-53을 통과하게 된다.
앤드게이트 36-50~36-53의 출력은 가산회로 36-54를 개하여 가감산회로 37-50의 대응한 웨이트의 입력에 공급됨에 따라 가산치「9」가 설정된다. 다시, 어드레스카운터 30b는「17」스텝계수치 이후이고,「E
Figure kpo00055
A'」의 비교조건이 성립될 「17~25」스텝계수치에서는 앤드게이트 35-59가 열려, 오아게이트 35-64에서「1」지령신호가 발하게되며 가산회로 36-54를 개하여 가감산 회로 37-50의 웨이트「1」에 인가된다.
한편「17」스텝계수치 이후에서는 상태검출회로 35-50에서 (-)지령신호가 가감산회로 37-50에 공급되기 위하여 결국,「17~25」스텝계수치에서는 스텝계수마다 전술한 가산치「9」에서 「-1」감산되어 가며, 스텝계수치「25」로 「0」이 되어 제22도의 실선파형을 얻는 것이다.
따라서,「E=9」에서는 「E=15」에의 기준 거치상파에 대하여, 같은 거치상파이면서 상대적으로 적게 진폭 및 파형 작성폭이 적게되는 것이다.
<J-2>
물론, 이러한 거치상파의 상대적인 변화는 진폭카운터 34b의 타의 진폭계수치에서도 같이 이루어지는 것으로, 진폭계수치가 다운계수됨에 따라 제22도 화살표방향으로 상대적으로 거치상파는 적어지며 최종적으로 파형이 없어지는 것이다.
<K> 디이크리이스에서의 선두파형은 삼각파 지시로, 이것이 부동변화할 경우(제23도 참조)
이 경우, 악음 요소코오드화신호 기억회로 12의 C/, 기억부에는「1」이 C8, C16의기억부에는「01」이 지령하여서 되는 것이다. 따라서 매트릭스회로 35-54의 출력 ⑤' ⑥'이 출력가능 상태에 있고, 앤드게이트 35-59 및 35-60에 게이트신호가 상시 공급된다.
또 출력 ⑥'은 오아게이트 35-62를 개하여 EX오아게이트 39-50~39-53에 게이트신호로서 공급된다. 진폭카운터 34b는 최대진폭계수치 「15」로 디이크리이스에의 선두파형이 제23도에 점선으로 표시한 삼각파의 기준파형에 있는 것으로 한다.
그리고 진폭카운터 34b는 다운계 수되어 진폭계수치 「9」(1001)이 된 것으로 한다.
<K-1> E=9의 경우 (제23도의 실선으로 표시한 파형동작)이 「E=9」에 있어서 어드레스카운터 30b는 「0~6」 스텝계수치에서 비교회로 39-54에의 비교조건이 얻어지지 않으며, 앤드게이트 35-59 및 35-60에서 출력은 발하지 않는다.
「7」스텝계수치가 되면 비교회로 39-54에서 「E>
Figure kpo00056
'」의 비교성립이 검출신호가 출력하기 위하여 앤드게이트 35-60은 열려, 오아게이트 35±64에서 「1」지령신호가 출력됨에 따라 가감산회로는 37-50의 웨이드"1"입력에 공급된다. 이 「1」지령신호가 스텝계수마다 가감산회로 37-50 「+1」가산하여 가계되며, 「15」스텝계수치에서는 가산치「9」가 된다. 발생하는 것은 비교조건「E>
Figure kpo00057
'」이 성립하는 「15」스텝계수치까지이기 때문에, 이「7-15」스텝계수치에서는「16」스텝계수치에서는 앤드게이트 35-59 및 35-60은 어느쪽이나 폐성된 상태이고, 가산치「9」는 홀드상태에 놓여진다.
그리고 스텝계수치는 「17~25」에서는 비교회로 39-54에서 「E
Figure kpo00058
A'」의 비교성립이 검출신호가 출력되며 앤드게이트 35-59에 공급하게 된다.
때문에 오아게이트 35-64에서 「1」지령신호가 발생하여 가감산회로 37-50의 웨이트 "1"의 입력에 공급되나, 이때 가감산회로 37-50에는 상태검출회로 35-50에서 (-)지령신호가 인가됨으로, 결국,「17~25」스텝계수치에서는 스텝계수치마다 전술한 가산치「9」에서 「-1」감산되어 스텝 계수치「25」로 「0」이 됨으로 제23도 실선의 삼각파가 얻어지게 된다.
따라서「E+=9」에서는「E=15」에의 기준삼각파에 대하여 같은 삼각파이면서 상대적으로 진폭 및 파형 작성폭이 적어지는 것이다.
<K-2>
물론, 이러한 삼각파의 상대적인 변화는 진폭카운터 34b의 타의 진폭계수치에서도 같이 이루어지는 것으로, 진폭계수치는 다운 계수됨에 따라 제23도 화살표방향으로 상대적으로 삼각파는 적어지며 최종적으로 파형이 없어지는 것이다.
<L> 디이크리이스에의 선두파형이 구형파 지시로, 이것이 부동변화할 경우(제24도 참조)
이 경우, 악음요소 코오드화 신호 기억회로 12의 C1, 기억부에는「1」이 C8, C16기억부에는「10」이 지령하여서 된다. 따라서, 매트릭스회로 35-54의 출력 ②' ③'은 출력 가능상태에 있고 앤드게이트 35-56 및 35-57에 게이트 신호가 상시 공급하여서 된다.
진폭카운터 34b는 최대진폭계수치 「15」로 디이크리이스에의 선두파형이 제24도의 점선으로 표시한 구형파 기준파형에 있는 것으로 한다.
그리고 진폭카운터 34b에 다운계수되어 진폭계수치 「9」는 (1001)이 된것으로 한다.
<L-1> E=9의 경우 (제24도 실선으로 표시한 파형의 동작)
이 「E=9」에 있어서, 어드레스 카운터 30b는 「0~15」 스텝계수치에 있어서는 앤드게이트 35-56 및 35-57은 열리지 않는다.
「16」스텝계수치가 되면 상태 검출회로 35-50에서 「A=16」의 검출신호가 출력되어 앤드게이트 35-56이 열려, 오아게이트 35-63을 개하여 앤드게이트 36-50~36-53의 일방 입력측에 「E」지령신호가 인가된다. 따라서 진폭카운터 34b의 당해 진폭계수치「9」(1001)이 앤드게이트 36-50~36-53, 가산회로 36-54를 통과하여 가감산회로 37-50의 대응한 웨이트의 입력에 인가하게 되고 가산치「9」는 셋트된다.
「17~24」스텝계수치에서는 앤드게이트 35-56 및 35-57은 같이 열리지 않으며, 가감산회로 37-50에서는 전술한 가산치「9」의 홀드상태가 된다.
그리고 스텝계수치는 「25」가 되면 비교회로 39-54에서「E=A'」의 비교성립이 검출신호가 출력되어 앤드게이트 35-57에 공급된다.
때문에 앤드게이트 35-57이 열려, 오아게이트 35-63을 개하여 「E」지령신호는 앤드게이트 36-50~36-53에 게이트 신호로서 인가된다.
따라서, 진폭카운터 34b의 당해 진폭계수치「9」(1001)이 이 앤드게이트 36-50~36-53, 가산회로 36-54를 통관하여 가감산회로 37-50의 대응하는 웨이트의 입력에 공급된다.
이때, 가감산회로 37-50에는 (-)지령신호가 인가되어 있음으로, 결국 전술한 가산치 「9」에서 「-9」되어져 곧바로 「0」상태가 된다.
따라서, 제24도의 실선으로 표시한 구형파를 얻어짐에 따라,「E=9」에서는 「E=15」에의 기준구형파에 의하여, 같은 구형파이면서 상대적으로 진폭 및 하파형 작성폭이 적어지는 것이다.
<L-2>
물론, 이러한 구형파의 상대적인 변화는 진폭카운터 30b의 타의 진폭계수치도 같이 이루어지는 것으로 진폭계수치는 다음 계수됨에 따라 제24도 화살표방향으로 상대적으로 구형파가 적어져가 최종적으로 파형이 없어지는 것이다.
다음에 제21도에 있어서의 디이크리이스의 선두 기준파에 대한 고정, 소위 진폭카운터 34b의 진폭계수에 맞추어 정부가 컬되면서 서서히 파형 형상이 변화하는 제9a도 및 제9b도에 있어서의 파형번호「00」, 「02」, 「04」, 「10」, 「12」, 「14」, 「20」, 「22」, 「24」에 대하여는 전술한 인크리이스에의 고정파형 변화의 동안과 대체로 같다. 다만, 상이한 점은 인크리이스에서는 진폭계수치가 증가함에 따라 정부 컷이 얕게되도록 파형 생장하고 최종 목적으로 하는 기본파형을 얻음에 대하여, 디이크리이스에서는 기준파형이 진폭계수치가 감소함에 따라서 접부 컷이 깊어지도록 파형을 축소하고 최종적으로는 파형이 없야지도록 변하는 것으로, 전적으로 역파형변화를 하는 점만이다.
따라서, 디이크리이스에의 선두파형은 거치상파의 고정에서는 매트릭스회로 35-54의 출력 ①'④'이, 각파의 고정에서는 ④'⑦'이, 구형파는 고정에서는 ①'②'가 출력가능상태로 되는 것으로 상세한 동작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전술한 인크리이스클록 øi, 트랜스포옴클록 øt 및 디이크리이스클록 ød1, ød2, ød3, ød4는 전술한 바와 같이 옴고클록주파수 신호의 주기보다도 길기 때문에 진폭 카운터 34a, 34b는 「1」엎계수 혹은 다운할 사이에 어드레스카운터 34a, 30b는 복수사이클하게 됨으로 당연히 당해진폭계수치의 하나에 대하여, 같은 파형형상이 복수회 작성하게 된다.
이 경우 제10도 및 제21도에는 도시하여 있지 않으나, 파형작성중에 진폭카운터 30a, 30b의 진폭계수치는 엎 혹은 다운함이 없도록 동기 제어회로가 존재하는 것이다.
다음에 제25a, b, c, d도를 사용하여 다시 구체적으로 실시예를 설명한다. 또, 제25도 a, b, c, d도는 제26도에 표시한 접속상탄에 있다.
제25a도에 있어서의 100은 8비트 직열의 시프트레지 스터 8본 병설하여서 되며, 각 시프트레지스터는 도면중 좌측으로 부터 "1", "2", "8", "16", "32", "64", "128"의 웨이트 비트단에 대응부되어 있고, 도면중 각행은 각각 라인 메모리 m1, m2……m7, m8을 형성하도록 된다. 즉, 가 라인메모리 m1~m8은 각각 독립으로 전술한 스텝어드레스 계수치를 기억하는 어드레스메모리로, 따라서 최대 8개의 연주키가 시 분산적으로 화음 조작되어도 각각 음고키의 음고데이타가 복수 기억되며, 각 음고키의 음고데이터가 복수기억되고 각 음고데이터에 의거하여 순차 독립시스템 제어하는 것을 가능케하는 것이다.
선두라인 메모리 m1의 각 비트단 출력은 제25b도의 어더-(이하 어드레스카운터라함) 101의 대응하는 웨이트 비트 입력에 순차 결합한다.
이 어드레스카운터 1001은 조작된 음고키에 대응한 음고클록 주파수 신호를 각 라인 메모리 m1~m8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계수제어하는 것으로, 그 가산계수치는 전술한 스텝계수치로서 최종라인 메모리 m8을 개하여 순환 기억하게 된다. 또, 라인 메모리 m1의 웨이트 "1", "2", "4", "8", "16"단의 출력은 다이렉트 또는 인버어트 102~106을 개하여 앤드 기능의 매트릭스 구성으로된 상태 검출회로 107에 공급된다.
이 상태 검출회로 107에서는 「A-31」,「A=16」,「A=16」,「31」,「A=0」의 스텝계수상태를 검출한다. 다시 웨이트 "1", "2", "4", "8"단의 출력은 순차로 EXEX 오아게이트 108~111의 일방 입력측에 인가된다. 또 웨이트 "32", "62", "128" 단의 출력은 순차로 제25b도에 있어서의 인버어터 112a~112c를 개하여 옥타브시프트 지령이 공급될 앤드기능의 매트릭스 구성으로 된 옥타브 검출회로 113에 공급된다.
옥타브 지령은 제1도에 있어서의 악음요소 코오드화 신호 기억회로 12의 D1, D2기억부에 기억된 코오드에 따라서 저옥타브중 옥타브, 고옥타브의 3단계 옥타브 시프트가 제3표와 같이 지정이 가능하다.
[표 3]
Figure kpo00059
옥타브 검출회로 113에서 출력되는 저 옥타브, 중옥타브, 고옥타브의 각 옥타브 지령신호는 오아출력라인 114를 개하여 유신호(이하 파형 중신호라 함)로서 출력된다. 즉, 이 각 옥타브 지령신호에 맞춘 파형중 신호 및 전술한 상태검출회로 107에서 출력되는 검출신호를 타임차아트(Time Chart)로 표시하면 제27도와 같다.
이 제27도에서도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저옥타브, 중옥타브, 고옥타브의 각 옥타브 지령신호는 순차적으로 파형 중신호의 주기를 1/2배로 이루게 하는 것이다.
따라서 주파수는 순차 2배가 되며, 예 : 제3도에 표시한 48개의 음고타의 각각 대응한 음고클록 주파수신호가 고 옥타브 지정의 경우라 하면, 중 옥타브 지정에서는 각기 음고키는 1/2의 음고클록 주파수신호에 저옥타브 지정에서는 다시 1/2의 음고클록주파수에 대응 부착하게 되여 옥타브시프트 지령을 사용함에 따라 최대 6옥타브까지의 음역을 갖일 수 있다.
그리고, 후 상술하겠으나, 이 파형중신호(제27도의 사선부분)만이 전술한 삼각파, 거치상파, 구형파등의 파형이 작성되는 것이다.(제27도에서는 일예로서 삼각파를 표시하였다.)
제25a도는 115는 진폭치 지시메모리(이하 진폭메모리라함)로서, 8비트 직열의 시프트레지스터를 4본 병설하여서되며, 각 시프트레지스터는 도면중 좌에서 "1", "2", "4", "8"의 웨이트 비트단「E1E2E4E8」에 대응부착되어 있고, 도면중 각행은 전술한 어드레스 메모리 100의 라인메모리 m1~m8과 대응부 되어 있다.
진폭메모리 115의 선두라인메모리 m1의 출력은 진폭카운터 116의 대응한 웨이트의 비르단「E1E2E4E8」에 입력되여 그 출력은 앤드게이트 117~120을 개하여 순환된다.
이 진폭카운터 116은 전술한 기본 원료 회로도와 같은 구성으로 되며, 최대「15」의 진폭계수치를 얻음이 가능한 것이며, 인크리이스에의「+3」계수지정, 트랜스포옴, 디이크리이스에의 다운(-)계수지령 및 「1」계수지령이 인가되어서 이에 의하여 계수 제어된다.
제26c도에 있어서의 121은 각종 제어상태를 기억하는 상태메모리로서 전술한 어드레스 메모리 100, 진폭메모리 115의 8개의 라인메모리 m1~m8에 대응부 하여져 있으며 기억부 121a, 121b의 2비트는 인크리이스, 트랜스포옴, 디이크리이스 인가의 상태를 기억하는 것으로 제4표와 같이 코오드지정된다.
[표 4]
Figure kpo00060
여기서, 어드레스 메모리 100, 진폭메모리 115, 상태메모리 121의 라인메모리 m1~m8의 기억내용은 시프트클록에 따라서 화살표방향으로 다이마믹하게 시프트 순환하는 것으로, 따라서 각 라인메모리 기억내용이 순번으로 독출(讀出)되며 각기 기억내용에 맞추어 같은 제어계통에서 동작하게 된다.
그리고 복수라인메모리를 사용한 구성으로 함에 따라, 동시 혹은 시분산적인 연주키 조작에 의한 화음연주이어도, 각 조작키에 대응하여 라인 메모리가 지정되며, 어드레스 메모리 100의 각 라인메모리는 각각 키에 대응한 음고클록주파 수신호에의 스텝계수치를 기억하는 것이다.
말하자면, 제25d도의 매트릭스회로 126을 개하여 제25b도의 어드레스카운터 101에 인가됨 음고클록주파수 신호는, 도시하지 않은 제어회로에 의하여 조작될 음고키에 대응한 주파수로 각 라인 메모리마다 독립하여 발생하는 것이다. 상태메모리 121의 기억부 121c은 동기 메모리 이며 파형중 신호시에는 「1」기억상태로 설정되며 파형중에서는 형파 작성이 종료할때까지 직폭카운터 116의 계수를 하지 않도록 제어한다.
121d는 진폭카운터 116에 대한 업 혹은 다운 지령을 기억하는 것으로 「1」 기억상태로 다운 지령이 된다.
이 상태 메모리 121의 기억부 121a, 121b의 출력은 다이렉트 및 인버어터 121, 123은 개하여 또 기억부 121c이 출력은 인버터 124를 개하여 앤드기능의 매트릭스회로 125, 126에 인가된다. 다시 이 매트릭스회로 125는 후술하는 인크리이스 클록 øi, 트랜스포옴클록 ød1, ød2, ød3, ød4가 공급되어 각기 상태에의 클록을 취출하게 된다. 그리고 매트릭스회로 125에서 출력되는 각 상태에 대응할 클록은 기억부 121c의 출력과 같이 오아 출력라인 127을 개하여 매트릭스회로 126에 입력된다.
매트릭스회로 125로 검출되는 제4표 도시의 크리어(Clear) 상태 검출신호는 제25b도의 인버어터 128을 개하여 전기 진폭메모리 115의 입력제어용 앤드게이트 117~120에 결합되여, 진폭메모리 115의 대응한 라인메모리의 순환을 저지하고 그 기억내용을 크리어 상태로 설정하는 것이다. 매트릭스회로 126에는 또, 음고클록주파수신호는 다이랙트 및 인버어터 121를 개하여 인가되며 다시, 출력라인 114에 결합된 파형중 신호가 공급된다.
파형중 신호는 다시 앤드게이트 130의 일방 입력측에 공급되여 이 앤드게이트 130의 타방 입력측에는 매트릭스회로 126에서 인크리이스, 트랜스포옴, 디이크리이스(즉 크리어상태 이외)로 오아출력라인 131에서 출력되는 음고클록 주파수 신호가 공급된다. 즉, 앤드게이트 130에서는 파형중의 신호 발생시에만 음고클록 주파수 신호가 "가산 타이밍신호"로서 출력되는 것이다.
또 매트릭스회로 125에서 출력되는 오아출력라인 127(상태「00」+동기 음고클록+파형중 출력)의 조건으로 오아출력라인 132에서 동기 메모리 121c에 대하여 동기셋트 신호를 공급한다.
즉, 파형중의 신호기간은 파형중의 신호가 없어질때까지 진폭카운터 116에 대하여 카운트를 저지하도록 제어하는 것이다.
다음에 제25a도의 비교회로 133은 진폭메모리 115의 4비트출력의 당해진폭계수치「E」와 전술한 EX 오아게이트 108 111의 4비트출력치 등을 비교하고,「
Figure kpo00061
'>E」,「A'=E」(단 A',
Figure kpo00062
'는 전술한 제10도 및 제21도와 같은 의미이다)의 비교조건을 취출하는 것으로, 진폭메모리 115의 E1, E2, E4, E8의 4비트출력은 다이렉트 및 인버어터 134~137을 개하여, 또 EX 오아게이트 108~111의 출력을 다이렉트 및 인버어터 138-141을 개하여 앤드 기능구성의 매트릭스회로 142에 입력된다. 매트릭스회로 142의 출력 ①~⑧은 오아 결합되어 출력라인 143을 개하여 인버어터 141에 공급되며 그 출력에서「A'=E」의 일치 신호를 얻게 된다.
다시 매트릭스회로 142 출력 ②④⑥⑧은 로이렉트에, 출력 ③⑤⑦은 인버어터 145~147을 개하여 앤드기능의 매트릭스회로 148에 입력된다. 이 매트릭스회로 148의 4개 출력은 오아 결합되어 라인 149에서 「A'>E」의 비교성립의 검출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또 EX 오아게이트 108~111의 타방 입력측에는 후술하는 「A'」의 비교지령신호가 결합되며, 이 비교 지령신호에 발생시에는 EX오아게이트 108 111의 출력은 A'」받전, 즉, 계수치 15의 보수치를 출력하여 비교회로 133에 공급하게 된다.
또 전술한 진폭메모리 115의 E1, E2, E4, E8의 4비트출력 및 인버어터 134~137의 출력은 앤드기능의 매트릭스회로 150 및 151에도 입력된다. 매트릭스회로 150에는 다시 앤드게이트 152, 153의 출력도 입력되어 있다.
이 앤드게이트 152, 153의 일방입력측에도 제25d도의 전술 오아출력 132의 출력신호가 결합되며, 또 앤드게이트 152의 타방입력측에도 기억부 121d의 「0」기억상태를 인버어터 154로 받전한 엎 지령신호가 앤드게이트 153의 타방 입력측에는「1」기억상태의 다운 지령신호가 인가되어져 있다.
즉, 매트릭스 150의 ①출력은 진폭카운터 116의 다운 계수시에 있어서의 진폭메모리 115의 기억치「7」, 출력 ②는 엎 계수시의 기억치「15」, 출력 ③은 다운계수치의 기억치「0」를 검출하여 오아결합될 출력라인 155를 취출한다. 이 출력라인 155의 검출신호를 진폭의 "절"(節)이라 한다.
매트릭스회로 151의 출력 ①은 진폭메모리 115의 기억치 「10~15」, 출력 ②는 기억치「12~15」, 출력 ③은 기억치 3 3, 8 11, 출력 ④는 기억치「0~7」, 출력 ⑤는 기억치「4~7」, 출력 ⑥은 기억치 「8~15」를 검출하고, ①②출력은 오아게이트 156을 개하여, ③④는 다이렉트에 매트릭스회로 157에 입력된다. 또 매트릭스회로 157에는 상태마다 클록을 발생하는 클렉펄스 발생회로 158에서의 디이크리이스 클록 ød1, ød2, ød3, ød4의 신호가 입력되어, 다시 제1도에 있어서의 악음요소 코오드화 신호 기억회로 12의 B1, B2, B4의 기억부의 출력은 다이렉트 및 인버어터 159, 160, 161을 개하여 입력하여서 된다. 이 예에서는 제6도, 제7도, 제8도, 로 도시한 3종의 엔베로우프 상태가 지정 가능하며, B1, B2, B3의 기억부의 기억코오드 「100」는으로서, 제6도의 엔베로우프 상태,「000」로서 제7도는 에베로우프상태,「010」로서 제8도의 엔베로우프 상태의 지시가 된다.
즉 제6도의 경우에는 진폭카운터 116의「15~8」의 진폭계수사이는 디이크리이스 클록 ød1로 다운 계수되어,「7~4」의 계수사이는 디이크리이스클록 ød2, 3~0」의 계수사이는 디이크리이스클록 ød3로 다운 계수됨과 같이 음량제어 되는 것이다.
제7도의 경우는 디이크리이스클록 ød1에 의하여 진폭카운터 116을 다운계수함과 같이 음량 제어되는 것이다. 다시 제8도의 경우에는 제6도의 ød3가 ød4로 변하는 것뿐이다. 그리고 매트릭스회로 157에서 출력되는 디이크리이스클록 ød1, ød2, ød3, ød4는 오아 결합되어서 출력라인 162에서 제25d도의 전술한 매트릭스회로 125에 입력되며, 다시 매트릭스회로 125에는 클록펄스 발생회로 158에서 인크리이스클록 øi1, 트랜스포옴클록øt도 결합하여서 된다.
전술한 진폭 메모리 115의 4비트 출력은 제25d도의 EX 오아게이트 164~166의 일방 입력측에도 순차적으로 결합되며 그 EX 오아게이트 163~166의 각 출력은 앤드게이트 167~170의 대응하는 일방 입력축을 개하여 오아게이트 171~174의 대응한 입력축에 결합하여서 된다. 오아게이트 171~174의 출력은 가산회로 175의 각 웨이트 입력단에 인가되며, 다시 이 가산회로 175의 각 출력은 가감산회로 176의 대응비트 입력측에 평행하게 공급된다.
그리고 전술한 EX 오아게이트 163~166의 타방입력측에는 전술한 제10도 및 제21도로 설명한 바와 같은 「
Figure kpo00063
」지령 신호, 앤드게이트 167~1770의 타방 입력측에도「E」지령 신호, 오아게이트 117~174의 타방입력측에는 「15」지령신호, 가산회로 175에는 「1」지령신호, 가감산회로 176에 대한 (-)지령신호가 제25C도의 오아가능의 매트릭스회로 177에서 공급되는 것이다.
제25c도의 매트릭스회로 178에는 전술한 제25a도의 상태검출회로 107에서 출력되는「A=31」검출신호가 다이 렉트에 「A=16」의 검출신호는 다이렉트 및 인버어터 179를 개하여,「A=16~31」의 검출신호가 다이렉트 및 인버어터 180을 개하여, 다시「A=0」의 검출신호는 인버어터 181을 개하여 입력됨과 동시에 비교회로 133에서 출력되는 「A'>E」의 비교검출신호가 인버어터 182를 개하여,「A'=E」의 비교 검출신호는 다이렉트 및 인버어터 183을 개하여 입력하여서 된다.
다시 제25d도의 앤드게이트 130에서 출력되는 가산타이밍신호도 이 매트릭스회로 178에 인가하여서 된다. 따라서 인버어터 179이 출력은 「A=16」이외의 스탭개수시에, 인버어터 180은「0~15」스텝계수시에 인버어터 181은「1~31 스텝계수시에, 인버어터 182는「E>A'」의 비교성립시에 인버어터 183은「A'=E」이외의 비교성립시에 각각 검출신호를 얻게 된다.
즉, 매트릭스회로 178은 전술한 제9a도 및 제9b도에 설명한 18종의 파형변화를 작성하여 위한 제어회로이고 파형지시코오드 C1, C2, C4, C8, C16("1", "2", "4", "8", "16"의 웨이트 5비트 코오드)로 표시되는 18종의 파형번호에 상당한 파형변화를 얻도록 된 것이다. 악음요소 코오드화 신호 기억회로 12의 C1, C2, C4, C8, C16의 기억부의 각 출력은 다이렉트 및 인버어터 184~188을 개하여 상태 메모리 121의 기억부 121a, 121b, 121d를 파형지시에 맞추어 제어하기 위한 앤드기능 구성의 매트릭스회로 189 및 파형지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매트릭스회로회로 190에 입력된다. 매트릭스회로 189의 출력 a, b, c, d, e는 제5표와 같이 제9a도 및 제9b도의 파형번호 지정서에 각각 출력을 얻게된다.
[표 5]
Figure kpo00064
전술한 상태 메모리 121의 기억부 121a, 121b의 출력은 상태검출회로 191에 인가되며 여기서 인크리이스(1)트랜스포옴(T), 디이크리이스(D)의 각 상태가 검출되며, 그 검출신호는 매트릭스회로 192에 입력되도록 한 것으로, 기억코오드와 각 상태와의 관계는 제6표에 도시한 바와 같다.
[표 6]
Figure kpo00065
따라서, 매트릭스회로 189는 상태검출회로 191의 인크리이스(1), 트랜스포옴(T), 디이크리이스(D)의 검출신호에 맞추어 조건 설정되며, 다시 제25a도의 오아 출력라인 155에 발생하는 "절"검출로서 동기 제어되어 출력라인 K1, K2, K3에 선택적으로 출력신호를 얻게된다. 출력라인 K1은 다운 지령신호로서 오아게이트 193을 개하여 다운 기억부 121에 공급되며 출력라인 K2는 오아게이트 194의 일방 입력측에 결합되여, 출역라인 K3는 오아게이트 195 및 인버어터 196을 개하여 앤드게이트 197의 일방 입력측에 결합하게 되며, 다시 오아게이트 195의 출력은 198에, 앤드게이트 197의 출력은 오아게이트 194의 타방 입력측에 결합하여서 된다.
또 앤드게이트 197, 오아게이트 195의 타방 입력측에도 각기 기억부 121a, 121b의 기억상태가 공급되어져 있다. 즉 출력라인 K3의 신호는 인크리이스에의 절(15) 검출에 의하여 기억부 121a에 「0」를 121b에 「1」을 서입, 트랜스포옴에 설정하고 출력라인 K3의 출력에 의하여 제9a도, 제9b도에 도시한 트랜스포옴이 불필요한 파형지시의 경우에 절(15) 검출에 동기하여 기억부 121a, 121b 같이 「1」 서입, 디이크리이스에 기억 설정하는 것이다.
또 음교키는 조작되었을시에「0」신호가 앤드게이트 198 및 인버어터 199를 개하여 오아게이트 200에 인가되어 기억부 121a에「1」을, 기억부 121b에「0」을 서입하게되며, 키 조작시에는 인크리이스에 기억 설정하게 된다. 다시 오아게이트 193의 출력은 제25d도에 있어서의 EX오아게이트 201의 일방 입력측에 공급되며, 기타 입력측에는 제25도에 있어서 상태 메모리 121의 기억부 121a의 출력을 공급하여서 된다.
EX오아게이트 201의 출력은 오아출력라인 132의 출력을 공급한 앤드게이트 202에 공급되며 이 앤드게이트 202의 출력은 진폭카운터 116에 대하여 「1」지령신호로서 공급된다.
따라서, 앤드게이트 202는 최대진폭치「15」, 최소진폭치「0」로 1회 계수를 정지토록 제어되는 것이다. 매트릭스회로 190은 제9a도, 제9b도에 도시한 파형지정 코오드에 의하여 파형변화를 제어하는 것으로, 이 매트릭스회로 190의 출력 f~X는 각 파형지정에 의하여 제28도와 같이 상태 검출회로 191의 상태마다 대응한 출력으로 제어신호를 발생한다.
그리고 오아기능의 매트릭스회로 203에서와 같이 제28도에 의거하여 출력라인 Y1~Y9에 신호를 취출한다. 다시 이 매트릭스회로 203의 출력 Y1~Y9는 선택매트릭스회로 204에 의하여 선택되며, 그 출력은 전술한 매트릭스회로 178에 공급하여서 된다. 따라서, 제10도 및 제21도로 설명한 바와 같이 제9a도, 제10도 및 제21도로 설명한 바와 같이 제9a도, 제9b도의 파형지시에 의거하여 매트릭스회로 171에서 출력된 파형 제어신호에 맞추어 가감산회로 176을 가감 제어하여서 구하는 악음파형을 얻게 된다.
그리고, 가감산회로 176의 각 비트출력은 7비트 바이너리의 텃치회로 205에 인가됨과 동시에 28 비트출력은 가감산회로 176의 대응비트입력에 귀환되어 가감제어된다. 이 텃치회로 205의 각 비트출력은 D/A변환회로 206을 개하여 필터부 207에 공급된다.
이 필터부 207원 악음요소 코오드화 신호기억회로 12의 A1, A2기억부의 코오드상태로 필터지시부 219에서의 제어지시신호에 맞추어, 예 : 관악기나 광체를 갖는 악기의 공명특성 및 잔향특성 혹은 관악기의 전송 특성등이 상이한 효과음을 얻도록 제어되며, 이 필터부 207의 출력은 앰프 208을 개하여 스피커 209에서 발음하게 된다. 또 전술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악음요소를 필터, 엔베로우프, 파형, 옥타브 시프트의 종류로 하였으나 기타 비브라아토(Vibrat)의 유무, 지시, 중주지시, 트레몰로(Tremolo) 유무 혹은 종류지시등 다수의 효과 기능에 대한 지령도 포함하는 것이다.
또 음고키로 지정되는 악음요소도 이들 복수의 악음요소중 적어도 1개이상이면 족함으로 실시예와 같은 4개가 아니고, 예 : 파형만의 하아나이어도 좋은 것은 물론이다. 따라서, 음고키에 대응부착되는 악음요소의 수는 임의이다. 또 48개의 음고키 전부를 각각 상이한 악음지정용키로 하였으나, 물론 48개 이하 임의 이어도 좋다.
역으로 악음지정 확장지시 스위치도 1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복수개 설하거나, 또 1개의 확장지시 스위치의 조작회수를 카운트하는 3진 이상의 카운터를 전술한 바이너리 카운터 14에 대신 사용하는 등에서도, 49종 이상의, 예 96종, 144종, 192종……으로 얼마든지 악음종류를 증가할 수가 있는 것이다. 더욱이 엔베로우프의 종류도 인크리이스클록 øi를 복수종으로 사용하는 것, 디이크리이스클록 ød의 상이한 다수의 클록이나, 디이크리이스로 임의 수중으로 홀드시키는 소위, 올겐 형식등 그들의 조합으로 임의의 엔베로우프 형상을 사용하여도 좋은 것이다.
또 악음지정시의 샘플음도 실시예에 도시한 "C4", "C4#" "D4"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정의 음고를 결정하여 놓으면 좋은 것이고, 그 샘플음의 수도 상술한 세계일 필요도 없다. 기타, 본실시예는 어디까지나 일예를 가시한 것에 불과하고 개개의 회로 변화 및 기타의 연주기능을 사용한 전자악기에도 적용됨은 당연하고 결국 본발명 요지에서 일탈되지 않는 범위에서 다수의 변경, 응용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상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연주키를 본래의 연주용에 사용하거나, 악음지정을 위해서 사용할 것인가를 절환스위치로서 임의 선택할 수가 있고, 연주키를 악음지정에도 겸용 가능하게 한 것으로, 따라서 악음지정을 위한 전용의 많은 지정스위치를 대부분 생략할 수 있어 부품 점수는 적고 또 공간이 매우 적어짐으로 소형, 운반등이 편리하고 인가한 생산단가와 간단한 전자악기를 갖는 실용적 가치가 극히 큰 것이다.

Claims (1)

  1. 조작시에 전자적코드(부호) 신호를 생성하고, 이들의 전자적 코드신호가 각기에 할당된 복수의 연주키(1-1)와, 상기 연주키(1-1)의 조작모드에서는 제1과 제2의 모드로 절환하여 이 제1의 모드에서는 상기 복수의 연주키(1-1)가 복수의 상이한 음색을 지정하고, 상기 제2의 모드에서는 상기 복수의 연주키(1-1)가 각 악음의 음고를 지정하도록 제어하는 악음지정지시키(7)와, 이악음지정지시키(7)에 의하여 상기 연주키(1-1)의 조작 모드는 상기 제1의 모드에 절환되고 있을 때, 상기 연주키(1-1)의 조작에 의거하여 생성된 상기 전자적코드신호에 응답하여, 복수의 상이한 음색중, 하나의 대응한 조건을 설정하는 코오드 콘버어터(3)와 이 악음지정지시키(7)에 의하여 상기 연주키(1-1)의 조작모두는 상기 제2의 모드에 절환되어 있을 때 상기 연주키의 조작에 의거하여 생성된 상기 전자적코드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코오드콘버어터(3)에 설정된 상기조건에 대응한 음색으로, 상기 연주키(1-1)의 조작에 의하여 지정된 음고의 악음을 생성하는 악음생성수단(Ⅰ), (Ⅱ) 등을 구비하여서 된 전자악기에 있어서의 악음지정 방식.
KR1019790000831A 1979-03-19 1979-03-19 전자악기에 있어서의 악음 지정방식 KR8300006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790000831A KR830000608B1 (ko) 1979-03-19 1979-03-19 전자악기에 있어서의 악음 지정방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790000831A KR830000608B1 (ko) 1979-03-19 1979-03-19 전자악기에 있어서의 악음 지정방식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0608B1 true KR830000608B1 (ko) 1983-03-17

Family

ID=192111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790000831A KR830000608B1 (ko) 1979-03-19 1979-03-19 전자악기에 있어서의 악음 지정방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30000608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owell New musical resources
US4348932A (en) Musical instrument type-selecting system for an electronic musical instrument
EP0436976A1 (en) Musical instrument, electronic and/or fretted, employing modified eastern music tru-scale octave transformation to avoid overtone collisions
KR830000608B1 (ko) 전자악기에 있어서의 악음 지정방식
JPH0437992B2 (ko)
JPH0631980B2 (ja) 電子楽器の自動伴奏装置
US3973460A (en) Keyboard type musical instrument
RU2145121C1 (ru) Способ преобразования аккордов
JPH06509189A (ja) 音楽訓練装置および訓練方法
Cutietta et al. Coaching a pop/rock ensemble
GB2215112A (en) Electronic musical instrument with pitch alteration function
CN212624775U (zh) 一种电子琴键盘
JPH0222387B2 (ko)
Toop Ferneyhough's Dungeons of Invention
JP2658629B2 (ja) 電子楽器
US2819640A (en) Electrical musical instrument
Marshall György Ligeti (1923–2006)
JPS5895396A (ja) 電子楽器の自動伴奏装置
JPS6318759B2 (ko)
JPH05119773A (ja) 自動伴奏装置
CN2168314Y (zh) 用乐器数字接口的电子管风琴
JPH0638193B2 (ja) 電子楽器
Harbinson ANALYSIS: WILLIAM KRAFT'S" DIALOGUES AND ENTERTAINMENTS"
Rivest John Cage's Concert for Piano and Orchestra 1
Thomas The Use of Color in Three Chamber Works of the Twentieth Centu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