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30000365B1 - Rf 신호 수신기의 중심 주파수 동조 시스템 - Google Patents

Rf 신호 수신기의 중심 주파수 동조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30000365B1
KR830000365B1 KR1019780001605A KR780001605A KR830000365B1 KR 830000365 B1 KR830000365 B1 KR 830000365B1 KR 1019780001605 A KR1019780001605 A KR 1019780001605A KR 780001605 A KR780001605 A KR 780001605A KR 830000365 B1 KR830000365 B1 KR 8300003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frequency
receiver
circuit
center frequenc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7800016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30000365A (ko
Inventor
가즈요시 이마제키
Original Assignee
제네랄 리서어치 오부 에렉트로닛크스 인코포레이팃드
가즈요시 이마제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네랄 리서어치 오부 에렉트로닛크스 인코포레이팃드, 가즈요시 이마제키 filed Critical 제네랄 리서어치 오부 에렉트로닛크스 인코포레이팃드
Priority to KR10197800016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83000036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300003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30000365B1/ko
Publication of KR8300003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3000036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3/00Self-contained rotary compression machines, i.e. with compressor, condenser and evaporator rotating as a single uni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 Superheterodyne Receivers (AREA)
  • Noise Elimination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RF 신호 수신기의 중심 주파수 동조 시스템
제1도는 본 발명의 구체화된 RF 신호 수신기의 블록 다이아그램이다.
제2도는 제1도와 유사하나, 주사회로를 덧붙인 개략적 블록 다이아그램이다.
제3도는 제1도와 2도의 수신기에서 이용된 본 발명의 개선된 실시예를 부분적인 블록 다이아그램으로 나타낸 개략적인 회로도이다.
제4도는 제3도에 표시된 발명의 실시예에 이용될 수 있는 상세회로를 포함하는 개략적인 회로도이다.
제5도는 본 발명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된, 제3도와 4도에 표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나타나는 여러파형의 그래프 표형이다.
보편적인 RF 신호 수신기에 있어서 조작자나 듣는 사람이 수신하고자 하는 RF 신호의 반송 또는 중심 주파수에 가장 가깝게 수신기를 동조시킬 때 가장 좋은 음질의 출력 신호가 된다. 예를들어 AM이나 FM수신기에 있어서 선택국이나 채널의 중심 주파수에 조금 빗나가게 주파수를 동조시키면 수신기의 오디오 출력단에 원치않는 상당한 잡음이 발생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수신기가 중심 주파수에 가깝게 동조될수록, 최적한 상태에 이를 때까지 즉 중심 주파수 아주 가까이에 이를 때까지 잡음이 적어진다(즉, 신호대 잡음비(SNR)이 증가한다).
수동 동조식 RF 신호 수신기에서는 듣는 사람이 인정할만한 정도로 오디오 신호가 발생될 때까지 또는 신호강도 표시기와 같은 장치를 통해 눈으로 볼 수 있도록 하여 수동으로 동조시키는 방법을 사용한다. 또한, 자동 주파수 조절(AFC) 회로에 의해, AFC회로의 제어 가능 범위내에 수신기가 수동으로 동조 되었을때 자동적으로 중심 주파수에 동조시키는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또 한가지의 다른 보편적 동조방법은 스켈치(squelch) 혹은 뮤팅(muting) 회로이다. 그 회로는, 이름이 의미하듯이, 수신된 신호 크기가 결정된 감도나 레벨에 미치지 않으면 오디오 출력단에 신호가 나오지 않도록 하는 수신회로이다.
그러나, 이들중 어떠한 회로도 수신기가 수신된 RF 신호의 중심 주파수에 아주 가깝게 동조되었을대는 게이팅 신호나 제어신호를 제공하지 못한다. 이러한 단점은 주사형(scanning type) 수신기에서 불리한데, 특히 디지탈 합성된 주파수 발생회로에 의해 원하는 선택 주파수에 동조시킬 때 불리하다. 이 회로는 간혹 프로그램 가능한 분할기(programmable divider)에 의해 제어되는 PLL(위상 고정 루우프 : phase locked loop) 회로의 형태를 갖기도 한다.
신호-탐색 또는 주사형 수신기에서는, 국부 발진기의 주파수를 연속적으로 혹은 일정 간격의 단계적으로 변화시키는 주사 회로가 포함되어 있고, 적절한 강도의 희망 신호가 수신되었을 때 주사작용을 중지시키는 탐지기 회로가 있다. 이 탐지기 회로는 대개 혹은 부분적으로 스켈티 회로와 유사하다. 이러한 형태의 보편적 탐지기 회로는 여러 수신 신호들의 강도의 차이를 보상하기 위하여 사용자가 조절할 수 있도록 만들어져 있다. 그러한 신호 강도의 차이는 거리, 해당되는 여러 주파수의 송신 안테나와 수신 안테나와의 방향, 여러 송신기의 출력들의 차이 등과 같은 요인들에 기인된다. 따라서, 해당되는 모든 신호의 동조시 최적 동조(즉, 중심 주파수 동조)를 위해, 신호 강도가 일정 레벨에 달할때 트리거되도록 회로를 조정한다는 것은 극히 어려운 일이다.
따라서 탐지기 혹은 스켈치 회로의 임계치의 범위를 넓힘으로서(예로서, 임계신호 레벨을 낮추는 것과 같이) 절충이 이루어진다. 이 때문에 주사식 수신기가 중심 주파수가 아닌 주파수에 동조가 가능하게 되며, 특히 디지탈형 주파수 합성지 회로에서와 같이 일정간격의 단계적인 가변 동조가 이루어질때 그러하다. 다시 말하면, 주사기(sca nner)를 강한 신호에 동조시킬 때, 신호가 가장 강한 중심 주파수에 동조되기 전에 주사 동작 중지의 임계치에 도달하게 된다. 더우기, 그와같은 주사기내에 수시기가 동조되는 주파수 표시장치가 있다면, 표시된 주파수는 중심 주파수가 아닌 경우가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RF 신호 수신기에서 선택된 RF 신호의 중심 주파수가 동조될때 게이팅 신호를 발생시키는 새롭고 개선된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 다른 목적은 주사식 수신기에서 특별히 사용되도록 고안된 새롭고 개선된 시스템을 제공하는데있다.
본 발명의 좀더 상세한 목적은 수신기가 동조되는 주파수를 표시하는 디지탈 장치가 있는 디지탈 주파수 합성기 회로를 이용하는 주사식 수신기에서 새롭게 개선된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RF 신호 수신기가 선택된 RF 신호의 중심주파수에 동조될 때 게이팅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새롭고 개선된 시스템으로서 선택신호를 포함하는 주파수 대역내의 다수의 주파수에 대해 동조되며 수신기에 동조될 주파수에 해당하는 중간 주파수(IF)를 발생시키는 회로를 포함한다. 주파수 변별기가 상기 회로에 연결되어 결정된 주파수에 동조되며, IF 신호에 반응해서 전기한 결정된 주파수와 IF 신호의 차이에 따라 체계적으로 변화하는 DC성분을 가진 출력신호를 내보낸다. 주파수 변별기에 탐지기가 연결되어 DC 신호분에 대해 게이팅 신호를 내보낸다. 그 게이팅 신호는 DC분이 미리 선택된 상단 및 하단 임계치 사이에 있을 때 첫번째 값을 갖게 되며, 그 바깥쪽에 있을때는 두번째 값을 갖게된다.
제1도에서는, RF 신호 수신기가 선택된 RF 신호의 중심 주파수에 동조되었을 때 게이팅 신호를 발생시키는, 본 발명의 원리에 부합하도록 구성된 시스템을 나타낸다. 이 회로에는 안테나(12),RF 앰프(14), 믹서 및 필터회로(16), 국부 발진기(17), 중간 주파수(IF) 앰프(18)가 포함되며, 이 회로는 선택된 혹은 희망신호를 포함하는 주파수 대역 내의 다수의 주파수에 수신기를 동조시켜보고, 수신기가 동조된 주파수에 해당하는 IF 신호를 발생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 주파수 대역은 물론 수신기에 동조시키려는 각기 달리 지정된 주파수 대역의 주파수도 포함한다(예로서 VHF와 UHF). 이 회로도들은 보편적이고, 공지의 회로의 형태를 하고 있어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국부 발진기(17)과 그 부수회로 역시 전 수신 주파수 대역에 걸쳐 연속적으로 수신기에 동조시킬 수도 있고, 그 대역내에서 미리 선택된 일정간격의 크기로 단계적으로 증가시켜 동조시킬 수도 있다는 것은 본 발명의 원리를 벗어나지 않고 이해될 수 있다.
오디오 탐지기(20)를 이루고 있는 주파수 변별기는 IF 앰프(18)에 통상의 방법으로 연결되어 지정된 주파수에 동조시킨다. 예를들어 FM 수신기에서 결정된 주파수는 보통 10.7MHz이다. 반면에, 많은 VHF통신 수신기에서는 IF 앰프 회로(18)에 수신 신호를 먼저 10.7MHz로 변환시키고, 다시 그 신호를 455KHz로 변환시키는 복변환 슈퍼헤테로다인(double conversion superheterodyning) 회로가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원리가 통상의 슈퍼하ㅔ테로다인 동조 시스템뿐 아니라 다른 시스템에도 응용된다는 것은 주지의 사실이다. 주파수 변별기(본 발명에서는 오디오 탐지기(20))는 IF 신호에 대해 결정된 주파수로 부터의 IF 신호의 변화에 따라 규칙적으로 변화하는(예로서, 직접 비례하는)DC분을 포함하는 출력신호를 발생시킨다. AC 오디오 신호는 오디오 탐지기(20)에 의해 발생되어 오디오 앰프(25)에 의해서 증폭이 되고, 스피커(26)과 같은 전자기 변환 장치에 의해 재생된다. 예를들어, 주파수 변별기가 오디오 탐지기에 있지 않은 AM 수신기 같은 곳에서의 본 발명의 구현으로서는, 주파수 변별기가 오디오 탐지기로부터 분리되어 IF 앰프에 연결되고 IF 신호에 반응하여 본 발명에서 이용되는 DC 출력신호를 발생시킨다.
널리 알려져 있다시피, 주파수 변별기란 입력 주파수에 비례하여 출력전압을 발생시키는 장치이다. 이러한 변별기는 대개 주어진 주파수 부근에(예로서, 중간 주파수) 동조시켜, 그 점으로부터의 입력 주파수의 변화에 비례하는 출력전압을 낸다. 다음에 구체적으로 설명하게 될 제5b도는 그래프로 나타난 주파수 변별기 회로의 출력이다.
제1도의 시스템에서는 포벤시오미터(22)와 같은 가변 임계치 조정장치를 가진 통상의 스켈치 회로(21)가 쓰인다.
스켈치 회로는 IF 신호에 반응하는 통상의 방법으로 스위칭 회로(23)을 구동시키며, 결정된 IF 신호(예로서, 10.7MHz)의 진폭이 미리 선택된 임계치보다 크면 첫번째 값을 갖도록하고, 임계치보다 작으면 두번째 값을 가지는 제어 신호를 발생시킨다. 일반적으로 스켈치 회로에서는 반송파에 의해 변조된 오디오 신호보다는(다수의 재래 수신기에서 나타남) IF 신호(수신신호의 반송 주파수에 해당되는)에 반응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대개 오디오 신호가 불연속적인 성질을 갖고 있는데 반하여, 반송 주파수 신호는 연속적 성질을 갖고 있기 때문이다. 스켈치 회로를 오디오 신호에 반응하도록 하면, 출력신호가 빈번히 꺼지거나 켜지며(예로서, 각기 발음된 단어의 처음과 끝, 그리고 잠시 중지 상태에 있을 때는 꺼지게 된다), 특히 주사기의 경우에 있어서 오디오 신호의 간섭이 있을 때마다 다른 주파수에 동조되게 된다. 본 발명의 회로는 그와 같은 난점을 가지고 있지 않다.
제어신호는 IF 앰프(18)와 스피커(26) 사이에 연결된 스위칭회로(23)을 구동시켜 IF 신호의 진폭이 임계치를 넘을때, 즉 제어신호가 첫째 값을 가질때만 스피커에 의해서 오디오 신호를 재생하도록 한다. 물론 스켈치회로 그 자체는 본질적으로 공지이나, 중심주파수 탐지기 회로(30)과 관련지은 스켈치 회로의 이용은 본 발명의 시스템에서 가능한 잘못된 트리거를 방지한다는 점에서 그 중요한 특징이 있다. 이는 상술 되어질 것이다.
본 발명의 한가지 특징인 중심 주파수 탐지기(30)과 같은 탐지장치는 본 발명의 실시예인 제1도에 표시되어 있다. 탐지기(30)은 오디오 탐지기(20)에 연결되어, 오디오 탐지기(20)에서 만들어진 DC분 신호에 반응하여 게이팅 신호를 발생시킨다. DC분이 미리 선택된 상단 및 하단 임계치 사이에 있으면 게이팅 신호는 직접 혹은 스위칭 회로(23)의 방법으로 신호가 오디오 앰프(25)를 통해 나오게 또는 안나오게 한다. 상단 및 하단 임계치를 매우 근접하게 선택함으로써, 본 발명의 특징과 같이, 본 발명의 시스템은 수신신호의 중심 주파수(혹은 바로 옆)에 수신기가 동조될 때에만 오디오 신호의 재생이 가능하도록 조정될 수 있다.
제2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인 제1도와 유사하나, 수신기가 미리 선택된 다수의 RF 신호를 자동적으로 주사하고, 그중 한 주파수를 가지는 수신신호에 수신기가 동조될 수 있도록 하는 주사회로(40)이 추가되었다. 그와같은 수신기는 보통 주사형 또는 시호 추적형 수신기로 불리운다. 주사형 수신기의 실시예는 제2도에 나타나 있듯이 본 발명의 원리에 따라 구성되었으며, 중심 주파수 탐지기(30)으로 부터의 게이팅 신호에 반응해서 어떤 한 값을 가지는 신호에 대해 다수의 RF 신호를 순처적으로 발생시켜 수신기를 여기에 동조시키고, 그 게이팅 신호가 다른 값이면 주사를 중지시킨다. 따라서 이 회로는 수신기가 수신 신호의 중심 주파수에 동조될 때까지 주사를 계속하도록 한다.
제2도에 표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주사식 수신기는 수신기를 미리 결정된 주파수에 선택적이며 순차적으로 동조시키고 해당 IF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안테나(1 2), RF 앰프(14), 믹서 및 필터 회로(16), 국부발진기(17), IF 앰프(18)과 같은 가변 동조장치를 포함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는 최소한 수종의 기법들이 알려져 있는데, 베렉터 다이오드(varactor diode)의 이용, 정밀수정 진동자, 희망주파수에 수신기를 동조시키기 위한 국부 발진기내의 프로그램 가능한 주파수 합성회로가 그 예들이다. 주사회로의 자세한 사항은 미국특허 3794925와 3801914를 참고로 들 수 있는데, 두 특허 모두가 본 발명 양수인에 양도되어 있다. 제2도에서와 같이, 주사회로(4 0)과 같은 주사장치는 스위칭 회로(23)(이 회로는 중심 주파수 탐지기(30)으로부터의 게이팅 신호에 의해 동작한다)과 국부 발진기(17) 사이에 위치하여 각 희망주파수에 수신기를 자동적이고 순차적으로 동조시키고, 수신 주파수의 중심주파수에 동조될 때 정지하는 가변 동조를 가능하게 한다. 수신기를 주사하고 동조시키는 특별한 방법은 본 발명의 원리를 벗어나지 않아도 물론 수신기에 응용되는 적합한 설계이면 된다.
제2도에 나타나 있듯이, 제1도에서와 같이 주파수 변별장치는 IF 앰프(18)에 연결되어, 10.7MHz와 같은 결정된 주파수에 동조시키는 FM 오디오 탐지기(20)의 형태이다. 역시 제1도와 마찬가지로 제2도의 구체도에서도 FM 오디오 탐지기(20)의 본래의 성질대로 주파수 변별기 혹은 비율 탐지회로(ratio detector circuit)로의 역할 때문에 동조 주파수(예로서 10.7MHz)로부터의 입력 주파수의 변화에 비례하는 DC 전압을 발생시킨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도 다른 종류의 오디오 탐지회로가 사용될 수 있으며, IF 앰프의 중심 주파수로부터의 입력 주파수의 변화에 비례하는 출력신호를 낸다면 본 발명의 원리를 벗어나지 않고도 별도의 주파수 변별기 회로가 사용됨을 이해할 수 있다.
제2도의 중심 주파수 탐지기(30)과 같은 탐지장치는 FM 오디오 탐지기(20)에 연결되어져 있으며 탐지기(20)으로 부터의 DC 신호에 대해 제어신호를 발생시키도록 작용하여 그 DC분이 미리 선택된 상단 및 하단 임계치 사이에 있으면 첫번째 값을 갖도록 하고, 그 사이에 있지 않을 때에는 두번째 값을 갖도록 한다. 자세한 설명은 제3도의 설명에서 하게된다.
스위칭 장치는 주사회로(40)에 연결된 스위칭 회로(23)의 형태를 가지며 중심 주파수 탐지기(30)으로부터의 게이팅 신호에 반응해서 제어신호가 첫번째 값을 가질때만(즉, FM 오디오 탐지기(20)의 출력신호의 DC분이 미리 결정된 동조될 수신신호의 중심주파수에 해당하는 상단 및 하단 임계치 사이에 있을때) 주사를 중지시키도록 작동한다. 더우기, 디지탈 독출회로가 있어서 수신기가 동조된 주파수를 시각적으로 표시할 수가 있다면, 본 발명의 시스템에서는 수신신호의 개략적이 아닌 정확한 중심 주파수에 동조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포텐시오미터(22)와 같은 가연 제어장치를 포함한 스켈치 회로(21)은 제3도에서 상술되겠지만 중심 주파수 탐지기로 하여금 주파수 변별기의 제어가능 대역을 넘어서는 신호에 대해 잘못 트리거되지 않도록 하는 통상의 스켈치 기능을 가진다.
제3도는 본 발명 실시예의 자세한 회로도이다. 제3도에서의 IF 앰프(18), 오디오 탐지기(20), 스켈치회로(21), 스위칭 회로(23)들도 제1도, 2도내의 것과 동일한 요소들이다. 중심주파수 탐지기(30)이 자세히 표시되어 있으며, 거기에는 전압 비교기 쌍(31), (32)과 AND 게이트(33)이 포함된다. 비교기(31)의 인버팅 입력과 비교기(3 2)의 논인버팅 입력 단자가 필터(34)에 연결되어 있다. 필터(34)는 탐지기(20)으로 부터의 AC 및 DC 신호분을 AC 오디오분과 DC분으로 분리시켜, AC 오디오 신호는 오디오 앰프(제3도에는 표시되지 않았음)로 보내고 DC 분은 비교기(31)(32)에 인가한다. 비교기(31)의 논인버팅 입력과 비교기(32)의 인버팅 입력은 각기 포텐시오미터와 같은 바이어스 회로(35), (36)에 연결된다. 비교기(31)은 포텐시오키터(35)에 의해 필터(34)로부터의 DC 신호가 결정된 양(陽)의 크기를 초과하면 미리 정해진 출력전압 (예“저(low)”)을 내도록 조정되어지며, 비교기(32)는 포텐시오미터(36)에 의해 필터(34)로 부터의 DC 신호가 결정된 음(陰)의 크기를 초과하여 하강하면 미리 정해진 출력 전압(예,“저(low)”)를 내도록 조정 되어진다. 물론 포텐시오미터(35)(36)를 조정하여 각 비교기의 매우 작은 임계치 범위내에서“고(high)”출력을 내도록하여 수신 신호의 중심 주파수에 해당하도록 DC 입력 신호의 범위를 조정할 수 있다(예로서 +0.5V와 -0.5V). 동조 주파수가 단계별로 조정되어지는 주파수 합성기 회로를 사용할시는 희망 중심 주파수를 뛰어넘는 경우가 없도록 하기 위해 각 단계별 범위보다 비교기에 의한 변위가 작도록 해야한다.
제3도에 표시된 AND 게이트(33)은 3개의 입력단을 가지고 있는데, 그중 2개의 입력단은 비교기(31, 32)의 출력단에 연결되며, 제3의 입력은 스위칭 회로(23)이 출력에 연결된다. 따라서 AND 게이트(33)은 비교기들(31, 32)의 출력 및 스위칭 회로(2 3)의 출력이 모두“고(high)”일 때에만 미리 결정된 출력전압(예,“고(high)”)를 내게된다. AND 게이트(33)의 출력은 오디오 앰프(제3도에는 표시되지 않았음)를 제어하는데 쓰여, 예를들어, 수신기가 중심 주파수에 동조되고 스켈치 임계치보다 큰 경우에만 오디오 출력을 가능하게 한다. 마찬가지로 AND 게이트(33)의 출력은 본 발명의 다른 특징과 같이 적합한 주사회로(제3도에는 표시되지 않았음)를 제어하여 수신기가 중심 주파수에 동조되고 스켈치 임계치보다 큰 경우에 대해서만 주사동작을 중지하도록 이용될 수 있다.
제4도는 제3도에 나타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이용될 수 있는 상세회로를 포함하는 개략회로도이다. (30)이라고 표시된 중심 주파수 탐지기는 본 발명의 다른 특징과 같이, 본 발명을 실시할때에 비교적 간단하고 경제적인 회로로서도 가능하다. 상술하면, 제3도의 실시예인 비교기(31, 32)들은 제4도의 FET 쌍(431, 432)과 반전기(432a) 및 트란지스터(432)의 드레인 회로의 정(正) 바이어스용 다이오드 등에 의해 대체될 수 있다. 이 회로는 보통 0.5V의 바이어스가 걸린다. FET(431, 432)의 출력들(트란지스터 (431)의 출력은 반전기(431a)에 의해 반전된다)은 실제적으로 AND 게이트의 기능을 가진 반전기(433a)의 입력에서 합쳐진다. 반전기(433b)는 적합한 극성을 보존함과 동시에 신호강도를 증가시켜 그 출력을 2-입력 AND 게이트(433)의 한 입력에 인가한다. 적당한 공급전압“V”와 이러한 반전기들의 입출력에 연결된 여러 고정 저항들은 통상의“풀압(pull up)”저항들이다. AND 게이트(433)의 다른 한 입력단에는 통상의 스켈치 회로(제4도에는 표시되지 않았음)의 출력이 연결되고, AND 게이트(433)의 출력단은 전술한 바와 같이 오디오 앰프 혹은 주사회로(제4도에는 표시되지 않았음)에 인가된다.
제5도는 제3도와 4도에 나타난 실시예에서 발생하는 여러 파형의 그래프이다. 파형(a)는 보통의 IF 출력의 반응 곡선을 나타내며 각기 f-와 f+로 표시되는 것은 상단 및 하단 극한치를 나타내고, fo는 중심 주파수를 나타낸다. 파형(b)는 주파수 변별기 출력의 DC분을 나타내며, 그 출력신호는 결정된 주파수 fo의의 변화에 따른 체계적인 크기의 변화를 나타내게 된다.
본 도면에서 알 수 있듯이 출력크기의 범위는 fo를 영으로 하여 f-음의 값에서 f+양의 값까지의 크기를 나타낸다. 파형(c)는 비교기(31)의 출력을 나타내는데, 파형 (b)의 전압이 f2에서 결정된 양의 크기를 초과할때까지“고(high)”값을 갖게 되며, f2이상에서는“저(low)”값을 갖게된다. 반대로, 파형(d)는 비교기(32)의 출력을 나타내는데, 파형(b)의 전압이 f1에서 결정된 음의 값을 초과할때까지“저(low)”값을 갖게 되고, f1이상에서는“고(high)”값을 갖는다. 파형(e)는 스켈치회로의 범위를 나타내는데, f-는 하방임계를 나타내고 f+는 상방임계를 나타낸다. 파형(f)는 AND 게이트(3 3)의 출력을 나타내는데(오디오 앰프나 주사회로를 동작시키기 위해) 단지 f1과 f2사이에 있을때에만“고(high)”가 된다. 전술한 바와같이, 비교기(33)과 (32)의 트리거 전압은 실제에 있어 f1과 f2가 거의 f0에 일치하도록 조정할 수 있다.
이제까지 수신기의 새롭고 개선된 중심 주파수 동조시스템에 관하여 기술하고 도시하였다. 이와같은 시스템은 수동 동조수신기나 주사식 혹은 신호 추적수신기에 쓰일 수 있으며, 특히 수신기가 동조하고 있는 중심주파수를 표시하는 디지탈형 주파수 표시장치가 있는 디지탈 주파수 합성기 회로에 유용하게 쓰일 수 있다. 이와같은 시스템은 수신신호의 질을 증진시키며, 비교적 저고 값싼 소자들로써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에 대한 자세한 기술이 되었으나, 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본 발명의 취지를 벗어나지 않고도 여러면에서 기계적인 엔지니어링 및 설계에 의해 본 발명을 쉽게 변화 및 수정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기술한 특정 실시예 및 구성에만 국한되지 않고, 본 발명의 취지 및 범위안에서 가능한 모든 변화 및 수정이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Claims (1)

  1. RF신호 수신기를 선택된 RF신호의 중심 주파수에 동조시키기 위한 게이팅 신호를 만드는 시스템으로서 상기 선택된 신호를 포함하는 주파수 범위내의 다수의 주파수에 대해 수신기를 동조시키고 상기 수신기가 동조되는 주파수에 따라 IF신호를 만드는 회로 장치와, 결정된 주파수로부터 멀어지는 상기 IF신호에 따라 체계적으로 변화하는 DC성분을 가지는 출력신호를 만드는 것으로서 상기 회로 장치에 연결되며 상기 결정된 주파수에 동조되는 주파수 변별기로서 작동하는 오디오 탐지기와, 상기오디오 탐지기에 연결되며 DC신호 성분에 반응하여 상기 게이팅 신호를 만드는 중심주파수 탐지회로로 구성되는 것으로서, 상기 게이팅 신호는 미리 정해진 상단 및 하단 임계치 사이에 상기 DC성분이 있을때 제1의 값을 가지고 DC성분의 크기가 상단 및 하단 임계치 바깥 영역에 놓일때 제2의 값을 가지는 신호 수신기의 중심 주파수 동조 시스템.
KR1019780001605A 1978-05-26 1978-05-26 Rf 신호 수신기의 중심 주파수 동조 시스템 KR8300003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780001605A KR830000365B1 (ko) 1978-05-26 1978-05-26 Rf 신호 수신기의 중심 주파수 동조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780001605A KR830000365B1 (ko) 1978-05-26 1978-05-26 Rf 신호 수신기의 중심 주파수 동조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0365B1 true KR830000365B1 (ko) 1983-03-05
KR830000365A KR830000365A (ko) 1983-03-30

Family

ID=192077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780001605A KR830000365B1 (ko) 1978-05-26 1978-05-26 Rf 신호 수신기의 중심 주파수 동조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30000365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0365A (ko) 1983-03-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101509A (en) Rf filter alignment using digital processor clock
US4245348A (en) Center frequency tuning system for radio-frequency signal receiver
US4881272A (en) Multi-band FM receiver for receiving FM broadcasting signals and TV broadcasting sound signals
JPS627728B2 (ko)
KR880002406B1 (ko) 마아크로포닉 제거회로를 가진 기계식 튜너
US5203032A (en) Station selecting apparatus
KR830000365B1 (ko) Rf 신호 수신기의 중심 주파수 동조 시스템
US4344187A (en) Radio receiver with system for maintaining optimum tuning
US4245351A (en) AFT Arrangement for a phase locked loop tuning system
US4156193A (en) Crystalless scanning radio receiver and transmitter
USRE31523E (en) Crystalless scanning radio receiver and transmitter
EP0015706B1 (en) Electronically tunable radio receiver
US4228540A (en) Radio receiver
US5203031A (en) Am radio receiver with improved tracking
JPH08274590A (ja) デジタル・アナログ共用受信装置
JPH0946184A (ja) 自動選局装置
JPH0374058B2 (ko)
AU603216B2 (en) Tweet elimination, or reduction, in superheterodyne receivers
JPS5871736A (ja) 受信機
JPH0514569Y2 (ko)
JPS6157740B2 (ko)
JPS6220410A (ja) 電子同調チユ−ナのサ−チ機能を備える無線受信機
JPS639153Y2 (ko)
JPS5818345Y2 (ja) 受信機
JPS60139014A (ja) 受信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