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30000278B1 - 자기헤드 부착용 장치 - Google Patents

자기헤드 부착용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30000278B1
KR830000278B1 KR1019790003138A KR790003138A KR830000278B1 KR 830000278 B1 KR830000278 B1 KR 830000278B1 KR 1019790003138 A KR1019790003138 A KR 1019790003138A KR 790003138 A KR790003138 A KR 790003138A KR 830000278 B1 KR830000278 B1 KR 8300002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d
support
magnetic head
magnetic
ta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7900031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요셉 마르티누스 스코엔마크스 요하네스
Original Assignee
디 · 제이 · 삭커스
엔 · 브이 · 필립스 글로아이람펜 파브리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디 · 제이 · 삭커스, 엔 · 브이 · 필립스 글로아이람펜 파브리켄 filed Critical 디 · 제이 · 삭커스
Priority to KR10197900031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83000027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300002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300002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5/00Recording by magnetisation or demagnetisation of a record carrier; Reproducing by magnetic mean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5/48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head supports relative to record carriers ; arrangements of heads, e.g. for scanning the record carrier to increase the relative speed
    • G11B5/56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head supports relative to record carriers ; arrangements of heads, e.g. for scanning the record carrier to increase the relative speed with provision for moving the head support for the purpose of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head relative to the record carrier, e.g. manual adjustment for azimuth correction or track center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60Guiding record carrier
    • G11B15/602Guiding record carrier for track selection, acquisition or follow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3/00Record carriers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Accessories, e.g. 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co-operation with the recording or reproducing apparatus ; Intermediate medium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ir manufacture
    • G11B23/02Containers; Storing means both adapted to cooperate with the recording or reproducing means
    • G11B23/04Magazines; Cassettes for webs or filaments
    • G11B23/041Details
    • G11B23/047Guiding means

Landscapes

  • Adjustment Of The Magnetic Head Position Track Following On Tap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자기헤드 부착용 장치
제1도 :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평면도.
제2도 : 제1도의 화살표 Ⅱ방향에서 본 정면도.
제3도 : 제2도의 부분 확대도.
제4도 : 본 발명에 관한 장치의 여러 부품의 사시도.
제5도 : 제1도의 화살표 Ⅱ방향에서 본 제2실시예 장치의 정면도.
제6도 : 제1도의 화살표 Ⅱ방향에서 본 제3실시예 장치의 정면도.
제7도 : 제6도에 의한 실시예 장치의 여러 부품의 사시도.
본 발명은 카세트에 배치된 두개의 허브 사이에서 왕복 이동하는 자기 테이프상에 신호를 기록하고, 또한 자기 테이프로부터 신호를 재생시키는 자기 헤드의 부착용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장치는 헤드 부착판 및 적어도 하나의 자기 헤드 지지부를 구비하며, 자기 헤드를 사용하는 이 자기 헤드 지지부는 지지체를 매체로 하여 헤드 부착판에 단단하게 장착되며, 또 다른 지지체는 자기 헤드의 방위각을 조절할 수 있도록 헤드 부착판에 조절 가능하게 장착되며, 또 다른 지지체는 자기 헤드의 방위각을 조절할 수 있도록 헤드 부착판에 조절 가능하게 장착되며, 고정된 지지체 가까이에 배치되는 평판 부분을 자기 테이프의 상측 및 하측 끝단을 각각 유도할 수 있도록 테이프 가이드를 구성하는 돌출림을 포함한다.
이러한 유형의 장치는 미합중국 특서 명세서 베3,649,773호에 나타나 있는 것으로서, 공지된 장치에서 테이프 가이드를 포함하는 고정된 평판 부분은 원통형 슬리브의 형태를 갖는 고정된 지지체에 의하여 자기 헤드 지지부를 매체로 하여 헤드 부착판에 장착된다. 나사로서 구성되는 조정가능한 지지체의 영향을 최소로 줄이기 위해서 평판부는 고정된 지지체 가까이에 배치된다.
자기 헤드 지지부와 함께 단일 구조물로 구성하는 평판부는 자기헤드 지지부와는 직각이 되도록 굽혀진다.테이프 가이드로부터 기준면까지의 거리는 판을 굽히는 과정에서 어느 정도의 오차가 필수적으로 따른다. 이러한 오차는 원통형 슬리브축의 길이에 있어서도 오착 생기기 때문에 더욱 커지며, 이러한 오차로 인해, 테이프 가이드는 기준면에 대하여 편차가 생기는 거리에 위치된다. 다른 자기 헤드(소거헤드와 같은)의 테이프 가이드에서도 또한 이러한 오차가 따르기 때문에 , 이러한 오차들로 인한 길이의편차는 배로 된다. 그러나, 상기 형의 장치에 있어서, 특히 자기 헤드의 테이프 가이드가 매우 정확하게 기준면에 대하여 동일한 거리에 위치되어야 한다는 것과 정확한 테이프의 동작을 위해서는 필수적이다. 바람직한 정확도는 조작이 어렵고 많은 시간을 소요하는 값비싼 조정장치를 이용하여 오차를 제거시키므로서 단지어더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조정장치를 사용하지 않고 간단한 구성으로 가능한 정확하게 그러한 장치에 자기헤드의 테이프 가이드를 위치시키기 위한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에 따라서,평판부는 헤드 부착판 쪽으로 뻗는 적어도 하나의 탭을 포함하며,또한 고정된 지지체는 헤드 부착판고 일체로 형성되며, 이 지지체에는 자기 헤드 지지부의 방햐으로 넓어지는 홈이 형성되며, 이 홈과 탭의 자유단이 합동하여 나이프 애지(knife edge) 베어링으로서 자기 헤드 지지부를 아래 및 위쪽으로 기울어질 수 있도록한다.
매우 정확하게 제조될 수 있는 두 부품(즉, 고정된 지지체 및 평판부)에 의하여 테이프 가이드로부터 기준면까지의 거리를 그와 같이 한정하므로서, 테이프 가이드는 헤드판에 대하여 조절되어질 필요가 없고, 기준면에 대한 테이프 가이드의 거리의 편차는 최소로 된다. 테이프 가이드림의 각각 테이프 가이드 끝단으로부터 탭의 자유단 까지의 거리를 결정하는 평판 부분의 차원은 소위 블랭킹 다이(blanking die)로서 매우 정확하게 한정될 수 있다. 한편 고정된 지지체가 사출성형에 의해서 헤드 부팍판과 동시에 성형되므로서 기준면에 대하여 두개의 고정된 지지체의 길이는 매우 정확하게 일치된다.
간단하게 제조될 수 있는 부품을 이용하므로서 테이프 가이드의 조절은 필요치 않고, 단지 조절 가능한 지지체의 고정만을 요하는 간단한 조립으로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제조를 간단하게 할 뿐만 아니라 그후의 서비스 작업도 용이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에서, 만일 고정된 지지체에 형성되는 홈이 자기 헤드와 자기 테이프의 접촉면에 대하여 수직되게 세로 방향으로 연장된다면 유리한 점이 있으며, 탭이 끼워질 수 있도록 , 세로 방향에서 보아 홈이 적어도 지지체의 한쪽으로 한정된다.
이러한 결과로서, 탭 및 테이프 가이드 그리고 자기 헤드는 상기 기준면에 대한 거리에 관하여 정확하게 배치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테이프 가이드에 인접하는 탄젠트 평면으로 한정되는 제2기준면에 대한 거리에 관해서도 정확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 만일 장치에 있어서 두개의 탭이 제공되고, 또 이 탭을 위해서 헤드 부착판과 일체로 형성되는 지지체가 제공되고, 상기 지지체에 형성되는 홈이 세로방향으로 일직선상에 위치되고, 또한 간격을 두고 배치된 지지체상의 홈이 한쪽에 한정된다면 유리한 점이 찾아질 수 있다.
이러한 장치는 안정한 배치를 제공하며, 테이프로서 자기헤드에 가해지는 힘을 고려하여 볼 때 정확한 위치에 자기헤드 및 테이프 가이드를 유지시키기에 바람직한 것이다.
상기 미합중국 특허 명세서 제 3,649,773호에 따른 장치에 있어서, 평판부분 및 자기헤드 지지체로서 구성되는 단일 구조물이 적어도 한쪽 방향으로 기울어질 수 있도록 스프링은 작용을 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만일 본 발명에 따른 장치에 있어서 지지체 사이의 스프링이 단일 구조물과는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라면 유리한 점이 찾아질 수 있다. 왜냐하면 이러한 결과로서 테이프에 의해서 가해지는 상기의 힘이 존재함에도 불구하고 정확한 위치에 자기 헤드 및 테이프 가이드를 유지시키기에 충분한 힘으로 여러 지지체에 대하여 단일 구조물이 지탱되어지기 때문이다.
만족스럽게 수행되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있어서, 스프링은 단일 구조물과 일체로 형성되는 스트립으로 구성되며, 스트립의 자유단은 헤드 부착판과 일체로 형성되는 고정용 캠 아래쪽에 끼워진다.
이러한 것은 단일 구조물의 부착을 더욱 간단하게 할 뿐만 아니라 스프링의 장력을 정확하게 규정할 수 있으므로 단일 구조물을 정확한 위치에 배치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겠다.
제1도에 도시한 장치(1)는 자기 테이프(2)상에 신호를 기록하고, 또한 자기 테이프(2)로부터 신호를 재생할 수 있도록 하는 본 발명의 기록 및 재생장치이 실시예로서, 자기 테이프(2)는 일반적으로 직사각형 카세트(3)가 지지면 위에 놓여지면, 카세트에 위치해 있는 두개의 허브는 테크판(4)의 아래쪽에 위치하는 구동 시스템에 연결될 수 있는 회전축(5,6)과 연결된다.
또한 이 장치(1)는 카세트(3)의 한쪽 가로변 가까이에 위치되는 헤드 부착판(7)을 구비하며, 이 헤드 부착판(7)에는 소거헤드(8)와, 기록 및 재생헤드(9)가 부착된다. 또한 카세트(3)가 놓여지는 방향쪽으로 헤드 부착판(7)을 이동시키므로서, 자기 헤드(8,9)가 자기 테이프와 접촉될 수 있고, 또한 자기 테이프가 구동시스템에 연결될 수 있는 캡스턴(11)과 롤러(10)사이에서 압착될 수 있도록 카세트(3)의 한쪽 가로변에는 다수의 개방부가 형성된다.
제2도 내지 제4도에 도시된 것과 같이, 헤드 부착판(7)상에 두개의 자기 헤드(8,9)의 각각을 고정시키기 위해서 지지체(19,20)가 제공된다. 지지체(8,9)는 헤드 부착판(7)과 일체로 판(7)상에 사출성형에 의해서 동시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또한 판(7)과는 별개로 형성될 수 있다. 정확한 제조 기술로 인하여, 지지체(8,9)의 각각은 헤드 부착판(7)의 윗쪽면인 기준면(7A)(제3도에서)에 대하여 매우 정확한 길이로 형성되며, 가준면(7A)에 대한 두 지지체(8,9)의 길이의 차를 극소로 줄일 수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테이프 가가이드(8A)는 소거헤드(8)의 제조시 정확하게 헤드(8)에 부착되며 이 소거 헤드(8)는 두 개의 고정된 지지체(12,13)에 직접 부착된다. 한편 기록 및 재생헤드(9)는 자기 헤드 지지부(14)에 의하여 지지되는데, 이 지지부(14)의 소거 헤드(8) 쪽의 부분은 나사(15)로서 구성되는 조정 가능한 지지체에 걸쳐지고, 롤러(10)쪽의 부분은 헤드 부착판(7)에 대하여 수직으로 배치하는 평판부(16) 및 두 탭(17,18)을 매개로 하여 두개의 고정된 지지체(19,20)로서 지지된다. 이 평판부(16) 및 두탭(17,18)은 헤드 지지부(14)와 사실상 단일체로 형성되는 것이다.
지지체(19,20)에 탭(17,18)이 걸쳐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지지체(19,20)의 각각에는 자기 헤드 지지부(14)의 방향으로 홈(21,22)이 형성되며, 또한 이 홈(21,22)은 자기 테이프(2)와 자기헤드의 접촉면에 대하여 수직인 세로 방향으로 확장된다. 또한 두개의 홈(21,22)은 지지체(19,20)의 세로 방향으로 일직선상에 배치되며, 세로 방향으로 각각의 홈(17,18)이 탭(17,18)을 보유하기 위해서 , 두 홈(17,18)은 간격을 두고 위치된다. 탭(17,18)의 자유단은 두개의 홈(21,22)이 각각 나이프 에지(knife edge)베어링으로 작용되도록 홈(21,22)과 상호 협력을 하며, 이 나이프 에지 베어링으로 인하여, 자기 헤드 지지부(14)는 나사(15)을 조절하므로서 아래쪽 또는 윗쪽으로 다소 기울어질 수 있다. 이 나사(15)를 조절하는 것은 자기 헤드(9)의 방위각을 조절하기 위함이다.
자기 헤드 지지부(14) 및 평판부(16)를 포함하는 단일 구조물은 얇은 금속판으로 바람직하게 제조된다.
평판부(16)는 벽부분(23)을 포함하는 한편, 헤드 지지부(14)는 벽부분(24)을 포함하며, 헤드(9)는 나사(25)로서 벽부분(23,24)에 고착된다. 나사(25)대신에, 자기 헤드(9)를 스포트 용접이나 접착제로서 벽부분(23,24)에 고착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벽부분(23,24)은 헤드 지지부(14)중에서도 기준면(7A) 및 카세트(3)의 지지면에 평행한 부분(26)에 대하여 수직되게 형성된다. 평판부(16)는 벽부분(23) 및 탭(17,18) 이외에도 테이프의 상축 및 하축 끝단을 가각 유도하기 위해서 카세트(3)의 의 가로변에 대하여 수직되게 뻗혀지는 두개의 돌출림(28,29)을 포함한다. 제2도의 정면도에 도시된 것과 같이, 림(28,29)을 포함한다. 제2도의 정면도에 도시된 것과 같이,림(28,29)은 또한 탭(17,18)의 위쪽에 수직되게 위치된다.
제4도에 각각 (b) 및 (c)로 표시된 , 탭(17,18)의 자유단을 거쳐서 림(28,29)에서부터 기준면(7A)까지의 길이는 소위 블랭킹 다이(blanking die)로서 매우 정확히 한정지울수 있으며, 허용오차로 ±0.015mm이내로 할 수 있다.
기준면(7A)에 대하여 평행한 부분(26)의 한쪽 자유단 가까이에 나사(15)가 끼워질 수 있도록 구멍이 형성되며, 부분(26)은 스프링에 의해서 나사(15)의 머리 부분(30)에 밀쳐진다. 스프링은 스트립(31)으로 구성되며, 세 지지체(15),(19) 및 (20)로서 이루는 삼각형 내에서 헤드 지지체(14)와 일체로 형성된다.
스트립(31)은 지지체(19,20)사이 공간을 통하여 기준면(7A)에 대하여 평행한 부분(26)으로부터 헤드부착판(7)쪽으로 뻗혀지며, 부부(26)과는 떨어져 있는 스트립(31)의 끝단을 헤드 부착판(7)상에 위치한 캠(32)의 아래쪽에 끼워진다.
캠(32)은 판(7)과 일체로 형성되며, 이 캠(32)의 도움으로 스프링(31)은 제2도에서 화살표 A의 방향으로 나이프 에지 베어링을 축으로 하여 단일 구조물을 기울일 수 있도록 한다.이러한 스프링의 배치로서, 헤드 지지부(14) 및 평판부(16)를 포함하는 단일 구조물은 정확하게 규정된 스프링력으로서 지지체(15,19,20)에 지탱된다.
구동 시스템과 회전축(5,6) 그리고 캡스턴(11)과의 연결을 통제하고 또한 헤드 부착판(7)을 이동시키기 위해서, 키보드(33)가 제공된다.
헤드 부착판(7)으로서 지지되는 전술한 장치의 부품들은 정확한 처리로서 간단하게 부착될 수 있다.
자기 헤드(9)가 벽부분(23,24)에 단단하게 고정되어진후,단일 구조물은 탭(17,18)을 통하여 홈(21,22)에 고정되고,스트립(31)은 캠(32)의 아래쪽에 걸쳐지며, 부분(26) 스프링 작용력으로 인하여 나사(5)의 머리부분(30)에 걸쳐질 수 있도록, 결과적으로 자기 헤드(9)의 방위각이 조절될 수 있도록 헤드 부착판(7)에 나사(15)가 적절하게 조여진다. 자기 헤드(8,9)가 장착되어진 후, 기준면(7A) 및 테이프 가이드(8A,27)까지의 거리에 대한 편차는 최소로 되고, 테이프 가이드(8A,27)의 각각 두개의 돌출부분을 연장하는 선이 캡스턴(11)에 대하여 수직되게 뻗혀진다.
홈(21,22)은 세로 방향으로 한정되므로, 탬(17,18) 및 자기 헤드(9)는 기준면(7A)에 대하여 정확한 위치에 배치될 뿐만 아니라, 테이프 가이드에 인접한 탄젠트 평면으로 규정되는 제2기준면과 개방부가 형성되어 있는 카세트(3)의 벽과, 카세트 안에 들어 있는 테이프에 대해서도 정확하게 배치되며, 이러한 배치는 테이프로서 가해지는 압력으로 인하여 교란될 염려는 없다. 또한, 이와같이 허용오차를 최소로 줄이므로서, 헤드 부착판(7)이 이동될때 카세트 속으로 들어가는 자기 헤드의 삽입 깊이를 정확하게 통제할 수 있다. 그리고, 기준면(7A)에 대한 테이프 가이드(27)의 위치에 영향을 주지 않고, 나사(15)에 의하여 탭(17,18)의 자유단을 축으로 하여 자기 헤드 지지부(14)를 매우 정확히 기울이므로서 자기 헤드(9)의 방위각을 변환시킬 수 있다. 그와 같이, 쉽게 제조될 수 있는 고정된 지지체(19,20) 및 평판부(16)를 이용하므로서, 자기 헤드(8,9)에 부착되는 테이프 가이드의 위치 조정이 불필요하게 되며, 이러한 것으로 인하여 자기 헤드(8,9)에 부착되는 테이프 가이드의 위치 조정이 불필요하게 되며,이러한 것으로 인하여 자기 테이프의 정확한 유도는 경제적으로 매우 바람직한 방법으로 얻어진다.
제5도에 도시된 제2실시예에 있어서 헤드 지지부(14)와는 따로 형성되는 스프링(34)은 스트립(32) 대용으로 이용된다. 부분(26)과는 떨어져 있는 스프링(34)의 한쪽 끝단은 나사(35)로서 조정되고, 조정가능한 지지체는 넛트가 끼워진 볼틀(36)로서 구성되므로 볼트에 끼워지는 넛트의 위치를 적당하게 조절하면 화살표 B방향으로 자기 헤드(9)를 기울일 수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상기 제1의 실시예와 같이 위치를 정확하게 설정할 수 있다.
제6도 및 제7도에 도시된 제3실시예에 있어서, 평판부(16)는 자기 헤드 지지부(14)와는 분리된 것이고, 평판부(16)는 단지 하나의 탭(37)만을 포함하며, 이 탭(37)은 하나의 고정된 지지체(39)의 홈(38)에 끼워진다. 자기 헤드 지지부(14)는 헤드 부착판(7)에 대하여 평행하게 배치되는 부분(26) 및 나사(25)로서 자기 헤드(9)에 부착되는 벽부분(41)을 포함한다.
또한, 제1실시예와 비슷한 방법으로 자기 헤드 지지부(14)를 화살표 A방향으로 기울일 수 있도록 장력스프링(42)이 이용된다. 헤드 지지부(14)와는 따로 이 형성되는 평판부(16)를 이용하면 여러 형태의 자기 헤드에 테이프 가이드를 부착시킬 수 있는 융통성이 있다.
또한 길죽한 홈(38)은 평판부를 지지하는데 있어서 바람직한 안정성을 제공할 수 있다.
그러나 대안으로, 상술한 실시예에서와 같이 두개의 지지체와, 두개의 탭을 가지고 또한 헤드 지지부(14)와는 분리되는 평판부(16)를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며, 또한 제1 및 제2실시예에 있어서도, 하나의 탭과 함께 하나의 지지체(지지체(39)와 같은)만을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술한 본 발명 실시예의 구성은 예를 들면 기록 및 재생 헤드가 분리되어 있는 장치에 있어서 다수의 자기 헤드를 상호간 정확한 위치에 배치시킬 경우에 유리하며, 또한 , 본 발명 실시예의 구성은 카세트에 내장된 자기 테이프와 더불어 동작하는 장치에 한정되지 않고, 릴에 감겨진 자기 테이프와 더불어 동작하는, 다수의 자기 헤드를 갖는 장치에서도 매우 유리하게 이용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은 기록 및 재생용 헤드의 방위각을 조정 가능하도록 부착시키는 것에 대한 것으로서 , 소거 헤드와 마찬가지로 조정 가능하도록 부착시키는 것이 유리하지만, 소거 헤드는 고정된 지지체에 부착시키는 것만으로도 충분하다.

Claims (1)

  1. 지지체(15,19,20,39)를 매체로 하여 기록 및 재생장치(1)의 헤드 부착판(7)에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자기 헤드 지지부(14)와, 이 헤드 지지부(14)와 부착되는 자기 헤드(9)와, 자기 테이프의 아래 및 윗쪽 끝단을 유도하기 위해 테이프 가이드를 구성하는 돌출림(28,29)을 가지고 또한 자기 헤드 지지부(14)에 부착되는 평판부(16)를 포함하는 자기 헤드 부착용 장치에 있어서,
    상기 평판부(16)는 소정의 방향으로 뻗는 탭(17,18,37)을 구분하는 이 탭의 자유단이 자기 헤드(9) 및 돌출림(28,29)에 대한 축으로 되고, 이 자유단 축에 대해 헤드 지지부를 기울여 자기 헤드의 방위각을 조정하며, 스프링(31,34,42)은 상기 소정의 방향으로 헤드 지지부를 향하게 하고, 부분(26)의 끝단을 조정 가능한 나사(15)와 협동하도록 구성하여 헤드 부착판(7)으로부터의 헤드 지지부(14)의 거리를 변화시켜 탭의 자유단을 축으로 헤드 지지부(14)가 기울여져 헤드의 방위각이 조정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 헤드 부착용 장치.
KR1019790003138A 1979-09-12 1979-09-12 자기헤드 부착용 장치 KR8300002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790003138A KR830000278B1 (ko) 1979-09-12 1979-09-12 자기헤드 부착용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790003138A KR830000278B1 (ko) 1979-09-12 1979-09-12 자기헤드 부착용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0278B1 true KR830000278B1 (ko) 1983-02-26

Family

ID=192128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790003138A KR830000278B1 (ko) 1979-09-12 1979-09-12 자기헤드 부착용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30000278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20003989B1 (ko) 자기테프 카세트장치
US4329723A (en) Adjustable mounting for a magnetic tape head
US4485420A (en) Magnetic-tape cassette apparatus having very low azimuth error
US4507696A (en) Drum-shaped scanning device
US6567362B1 (en) Optical disk device having guide shaft for guiding optical pickup
US4497005A (en) Multiple magnetic transducer head, particularly for use with multi-track video tape recording apparatus
US4133015A (en) Head positioner for disc recorders
KR830000278B1 (ko) 자기헤드 부착용 장치
US4096538A (en) Tape support pins in magnetic tape cassette
JPH04216354A (ja) 磁気ヘッド装置
US4860967A (en) Magnetic-tape cassette and tape-pressure member for use in such a cassette
US5264979A (en) Mounting arrangement for a magnetic head in a tape recorder
US3936882A (en) Adjustable mounting arrangement for recording head
US4920438A (en) Magnetic head unit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7814503B2 (en) Optical disk device and adjusting method thereof
US5703737A (en) Magnetic recording reproduction apparatus with improved adjustment characteristics for audio-control head
JPS606009B2 (ja) カセツト磁気テープ装置の録音兼再生ヘツド及び消去ヘツドを調整する装置
JPH04311858A (ja) テープガイド装置
KR920006996Y1 (ko) 카세트식 테이프 레코더용 헤드 주변기구
US5412523A (en) Holding and adjusting apparatus for a rotating magnetic head arrangement
KR930002317B1 (ko) 카세트 테이프 레코더의 테이프 가이드장치
JPS60195718A (ja) 磁気ヘツド装置
KR920005443Y1 (ko) 카세트식 테이프 레코더용 헤드 주변기구
JPS6235143Y2 (ko)
JPH0325349Y2 (k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