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30000187Y1 - 유모차 - Google Patents

유모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30000187Y1
KR830000187Y1 KR2019820003329U KR820003329U KR830000187Y1 KR 830000187 Y1 KR830000187 Y1 KR 830000187Y1 KR 2019820003329 U KR2019820003329 U KR 2019820003329U KR 820003329 U KR820003329 U KR 820003329U KR 830000187 Y1 KR830000187 Y1 KR 83000018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d
hammock
stroller
chain
pivo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2000332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겐조 갓사이
Original Assignee
갓사이 가부시끼 가이샤
겐조 갓사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갓사이 가부시끼 가이샤, 겐조 갓사이 filed Critical 갓사이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to KR2019820003329U priority Critical patent/KR83000018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3000018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30000187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9/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s carriages or perambulators
    • B62B9/20Handle bars; Handles
    • B62B9/203Handle bars; Handles movable from front end to rear end pos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rriages For Children, Sleds, And Other Hand-Operated Vehicl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유모차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일시시예의 개각상태(開脚狀態)를 도시한 사시도.
제2도는 후면에서 미는 식과 전면에서 미는식의 선택적 기능을 갖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개각상태의 일부 생략사시도.
제3도는 상기 기능 설명을 위한 피보트대에 관련된 구성의 측면도.
제4도는 상기 기능 설명을 위한 유모차의 전체측면도.
제5도는 해먹(hammock)지지틀 및 전각(前脚)의 분해사시도.
제6도는 해먹 지지부재가 회전가능하게 장착된 상태를 도시하는 일부 생략사시도.
제7도는 전각 연결쇄들이 앞연결 장치에 의해 서로 연결되는 상태를 설명하는 분해사시도.
제8도는 피보트대 부근의 구성을 도시하는 종 단면도.
제9도는 제8도의 선 A-A를 따라 절취한 단면도.
제10도는 피보트대 부근의 구성을 표시하는 일부 절개한 측면도.
제11도는 제10도에서 도시한 것과 다른 상태를 일부 절개한 측면도.
제12도는 밀대 연결쇄로부터 전각 연결쇄 까지의 연동 기구를 도시한 종단면도.
제13도는 제12도에서 도시한것과 다른 상태를 도시한 종단면도.
제14도는 폐각상태(閉脚狀態)를 도시한 측면도.
제15도 내지 제17도는 본 고안의 또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중요부품들의 개략도.
본 고안은 유모차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전면(face-fronting) 밀기와 후면(back-fronting) 밀기중 어느것이나 마음대로 선택할수 있도록 구성된 유모차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두 가지 형태의 유모차 즉, 유아에 대하여 그 후면에서 미는 후면식과 전면에서 미는 전면식이 있었다. 이들의 형태는 유아 및 유모차를 미는 사람의 기호나 안정성등에 의하여 선택되어지고 있다. 보통 나이어린 유아에 대하여는 전면식이 널리 사용되고 있고 보다 나이많은 유아에 대하여서는 후면식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만약 후면식 또는 전면식의 선택이 하나의 유모차상에 만들어질수 있다면 그 유모차는 보다 편리한 것이다. 그러므로, 전부터 이들 두개의 형태를 하나로 선택할 수 있는 구조의 유모차가 제안되고 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유모차는 중량이 가볍고 또 구조가 간단해야하는 것이 요구되고 있다. 또, 충분한 강도, 내구성을 갖고 있어야만 되는 것도 중요한 요망의 하나이다. 따라서, 이와같은 요구 또는 요망을 만족시키면서 후면식 또는 전면식의 선택을 위한 기구를 장착하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한편, 접어지는 식의 유모차는 교통 기관을 이용할때 대단히 편리하고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와같은 접어지는 식의 유모차에 있어서 상술한 바와 같이 구조가 간단하다는 등의 요망을 만족시키면서 접어지기 위한 기구가 장착되도록 설계한다는 것은 어려움이 뒤따른다고 생각된다. 그리고 또 후면식 또는 전면식의 선택을 행할수 있는 기구를 가하면 보다 구조가 복잡해지는 등의 불합리한 점이 생긴다고 예상된다,
상술한 설명에서, 유모차에 장착되는 후면식 또는 전면식의 선택을 위한 기구는 보다 간단한 구성으로 만들수 있고 그럼에도 불구하고 보다 확실하게 후면식 또는 전면식의 상태를 성취할 수 있다는 것이 요망된다고 생각할 수 있을 것이다. 본 고안은 요약하면 유아를 태우는 해먹(hammock)의 양측에 각각 설치된 피보트대를 개제하여 옆쪽으로 향하는 피보트핀을 가지고 장착되며 또 그 선단에 손으로 밀기위한 손잡이 부분이 설치된 미는 손잡이 부재를 장착시킨 유모차이며, 이 미는 손잡이 부재는 우선 피보트대에 의하여 회전이 자유롭게 되도록 지지된다. 상술한 두개의 피보트대중 적어도 한쪽은 그 피보트핀을 중심축으로 하는 원주면을 가지는 고정적으로 설치된 멈추는 판을 포함하고 있다.
이 멈추는 판의 바깥쪽으로 향하는 원주면에는 적어도 두개의 절결(切缺)이 서로 위치를 바꾸어서 설치된다.
한편 미는 손잡이 부재측에는 멈추는 판 방향에 출입이 자유롭고 또 멈추는 판의 절결에 대하여 계합(係合)할수 있고 쐐기형 기구가 설치된다. 따라서, 출입이 자유로운 쐐기형 기구가 멈추는 판의 적어도 두개의 절결의 어느 곳인가에 선택적으로 계합하므로서 미는 손잡이 부재는 적어도 해먹의 전방에 기울어진 상태(전면 밀기상태)와 후방에 기울어진 상태(후면 밀기상태)의 두개의 상태에 고정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고안에 따른 보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쐐기형 기구는 멈추는 판 방향에 적당한 용수철 부재에 의하여 촉구되고 있어 이 쐐기형 기구는 와이어를 개재하여 적당한 조작레버에 의하여 그 출입조작이 행해진다.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해먹의 좌우에 각각 설치된 전각(前脚), 후각(後脚) 및 밀대가 같이 상술한 피보트대를 개재하여 피보트되어 있고, 또 그와같은 한쌍의 전각, 후각 및 밀대 사이에 굴곡자재로 가설되는 복수조의 연결간을 설치하는 접어지는식 유모차에 행해져서 이 접어지는식 유모차의 개각 상태에 있어서, 밀대가 추착축의 주위에 회전시켜서 후면식 또는 전면식의 선택을 행할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러므로, 본 고안의 중요한 목적은 상술한 두개의 형식의 선택을 보다 간단한 구성인데도 불구하고 보다 확실하게 달성할수 있는 유모차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접어지는식 유모차에 대하여 그 접어지는 동작의 장해가 됨이 없이 유리하게 적용될수 있는 후면식 또는 전면식의 선택을 위한 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상술한 목적 및 기타의 목적과 특징은 이하에 도면을 참조한 상세한 설명에서 한층 더 명백해질 것이다.
제1도 내지 제14도는 본 고안의 실시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제1도는 개각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한편, 제1도에는 유아를 놓는 해먹과 관계되는 구성의 도시는 생략되어 있다. 이 접는식 유모차의 개략적 골조구조는 제1도를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파이프로 만들어진 전각(1)은 앞바퀴(2)가 장착되고 후각(3)의 하단에는 뒷바퀴(4)가 장착된다. 파이프로 만들어진 밀대(push rod)(5)는 그들의 상단에 설치된 구부러진 핸들(6)을 가지고 있다. 피보트대(7)는 전각(1)에 고정되어 있으며 후각(3)과 밀대(5)를 각각의 피보트점에서 피보트핀(8)에 의해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다. 전각 연결쇄(9)는 전각(1)사이에 설치되고 U자형 횡단면의 연앞결 장치(10)에 의해서 서로 연결되어 그들은 상방으로 접할수 있다. 후각 연결쇄(11)는 후각(3)사이에 설치되고 U자형 횡단면의 뒤 연결장치(12)에 의해서 시로 연결되어 그들은 상방으로 접힐수 있다. 밀대 연결대(13)는 밀대(5)사이에설치되고 U자형 횡단면의 상부 연결장치(14)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그들은 상방으로 접힐수 있다. 상기 상부연결장치(14)에 결합된 조작핸들(15)은 다음에 설명되는 바와같이, 그것이 상방으로 당겨지면 밀대 연결쇄(13)가 상방으로 접히도록한다.
조작 방법은 제1도를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밀대연결쇄(13)가 조작핸들(15)를 상방으로 당기므로해서 둘로 접히면, 전각연결쇄(9)가 상방으로 둘로 접힐 것이다.
다음에 설명되는 바와같이, 이 동작은 실제로 밀대(5)와 전각(1)속을 통하여 연장되는 제1봉(first rod)(16)을 포함하는 연결쇄 구조에 의해서 행해진다.
상기에 설명된 바와같이 전각 연결쇄(9)가 상방으로 둘로 접히면, 제2봉(17)은 전각(1)과 후각(3) 사이의 각도를 감소시키면서 후각 연결장치(18)를 상방으로 밀어 올린다. 동시에 한쌍의 밀대(5)사이의 간격과 전각(1)사이의 간격이 줄어든다. 이들 작용과 연동하여, 피보트대(7)상의 밀대측에 그 한끝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며 다른 한끝은 후각 연결쇄(11)상에 연결된 제3봉(19)이 후각 연결쇄(11)를 상방으로 둘로 접히도록 인도한다. 따라서 상기 후각 연결쇄(11)와 함께, 전각 연결쇄(9)의 밀대 연결쇄(13)는 길게 좁혀진 형태가 되게 상방으로 각각 둘로 접힌다. 동시에 후각(3)은 전각(1)에 접근한다. 이 상태는 제14도의 측면도에서 도시되고 있다.
제1도에서 개각상태를 도시하고 있는 이 유모차는 밀대(5)를 전각쪽으로 경사지게 조작할수 있다. 이것은 이제 제1도와 제2도 내지 제4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2도는 후면과 전면에서 미는 방식 선택 장치의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개각상태를 도시한 부분적으로 생략된 사시도이다. 제3도는 피보트축에 결합되는 장치의 측면도이고, 제4도는 유모차의 완전한 측면도이다. 제1도 내지 제4도를 참조하면, 쐐기형 부재(20)는 피보트대(7)의 정지판(21)에 있는 제1새김눈(notch)(22) 또는 제2새김눈(23)과 결합된다. 스프링(24)은 밀대(5)내부에 설치된 고정핀(25)과 쐐기형 부재(20)의 상단 사이에 설치되어서, 쐐기형 부재가 제1새김눈(22)과 제2새김눈(23)과 결합하도록 하방쪽으로 힘을 가한다. 그리하여 와이어(26)는 그 한끝이 쐐기형 부재(20에 연결되고 다른끝이 조작레버(27)에 연결된다. 조작레버(27)는 밀대(5)의 뒤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어, 화살표(28)의 방향으로 조작되면, 쐐기형 부재(20)와 정지판(21)의 제1새김눈(22) 또는 제2새김눈(23)사이의 결합을 분해하도록 와이어(26)를 통하여 쐐기형 부재(20)를 끌어 올리며, 그에 의해 밀대(5)가 전각(1)쪽으로 향하게 한다. 그리하여 제4도에서 도시하는 바와같이, 밀대(5)가 앞으로 향하게 되고나서 조작레버(27)가 풀리면, 쐐기형 부재(20)는 제2새김눈(23)과 결합하며, 그에 의해서 전면에서 미는 방식이 이루어진다.
제4도에 해먹(29)이 2점 쇄선으로 도시되어 있다. 상기 해먹을 위한 지지티에 관련된 장치는 제5도 및 제6도를 참조하여 우선 설명될 것이다.
제5도는 해먹 지지틀과 전각의 분해사시도이고, 제6도는 해먹지지부재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상태를 도시한 일부생략 사시도이다. 해먹 지지틀(30)은 측면봉(31)과 이 측면봉(31)의 상단 사이에 설치된 둘로 접을수 있는 뒷받침대 연결쇄(32)로 이루어져 있다. 상술한 피보트대(7)의 피보트핀(8)을 끼우기 위한 구멍(34)을 가지고 있는 지지틀 회전축(88)은 상기 측면봉(31)의 아랫부분에 고착되어 있어서, 상기 해먹 지지틀(30)은 전각(1)과 밀대(5)와 후각(3)에 대하여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와이어(35)는 측면봉(31)을 통하여 지나서 측면봉(31)의 뒤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된 조작레버(36)에 한끝이 연결되며, 다른한끝은 지지부재(46)의 한끝에 고정된 핀(37)에 연결된다. 지지부재(46)는측면봉(31)의 하단에 고착된 부착판(38)상의 피보트핀(39)에 의해서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측면봉(31)은 지지부재(46)가 회전할때에 핀(37)이 움직이도록하는 길쭉한 구멍(40)을 그 하단에 가지고 있다. 지지부재(46)는 전각(1)의 내면에 설치된 결합핀(41)과 결합하기 위한 두개의 결합요홈(42 및 43)을 가지고 있으며 측면봉(31)의 내부에 설치된 핀(37)과 핀(44)사이에 설치된 스프링(45)에 의해서 시계 반대방향으로 힘을 받는다. 그리하여 결합핀(41)은 그의 정상위치 또는 기대는 위치에 해먹 지지틀(30)을 지지하기 위한 결합요홈들(42와 43)과 결합할수 있다. 전각(1)으로 부터 앞으로 연장되는 시이트(sheet)봉(406)들이 갖추어져 있어서 해먹(29)을 구성하는 시이트는 그들을 감쌀수 있고, 또한 상기 시이트는 해먹지지틀(30)을 감싸며, 그에 원하는 형태로 해먹이 설치된다.
제7도는 예를들어 전각 연결쇄와 앞 연결장칭사이의 결합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사시도이다. 전각연결쇄(9)와 앞연결 장치(10)는 핀(47)들에 의해서 회전 가능하게 상호 연결된다. 스프링(48)은 핀(47)들에 끼워지게 되어 상기 스프링이 전각 연결쇄(9)들의 내부표면에 접촉하게 한다. 그리하여 스프링(48)은 전각 연결쇄들을 일직선으로 유지하게 한다. 더우기 이러한 구조는 후각 연결쇄(11)들과 뒤 연결장치(12)사이의 접촉부에 대해서도 적용된다.
접는조작을 위한 구조는 이하에 설명될 것이다.
제8도는 피보트축 주위의 배열 상태를 도시하는 종단면도이고.
제9도는 제8도의 선 A-A에서 절취한 단면도이다.
제10도는 피보트축 주위의 배열상태를 도시하는 축면도이다.
제11도는 제10도에서 도시한 것과 다른 상태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제12도는 밀대 연결쇄로부터 전각 연결쇄까지 연장되는 연동장치의 종단면이고,
제13도는 제12도에서 도시한 것과 다른 상태를 도시하는 종단면이다.
접는 조작에 관한 구조를 설명하기 이전에, 지금까지 설명된 부분품들의 위치관계가 제8도 및 제9도를 참조하여 우선 설명될 것이다. 피보트핀(8)이 끼워질 때에 와서(49)가 설치되어 있어서, 해먹지지틀(30), 스페이서(spacer)(51), 후각연결장치(18), 스페이서(52), 밀대 연결장치(53)와 정지판(21), 이 배치되어 또 이피보트핀(8)에 커버(54)를 지지하기 위한 핀(55)이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쐐기형 부재(20)는 안내재(56)를 따라 미끌어지게 되며, 상기 고정핀(25)은 상기 안내재(56)로부터 돌설된다.
접는 조작에 관한 구조는 제8도 내지 제13도를 참조하여 이하에 설명될 것이다. 밀대 연결쇄(13)의 밀대(5)에 대한 피보트핀(65)보다 더 외측에는 레버(57)가 설치되어 밀대 연결쇄(13)와 함께 회전한다. 레버(57)는 밀대 연결쇄(13)에 대하여 위쪽으로 구부러진 모양을 갖는다. 연결봉(58)의 한끝은 피보트 점(66)에서 레버(57)의 앞끝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연결봉(58)의 다른끝은 제1봉(16)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제1봉(16)은 관모양 밀대(5)내부에서 연장되며, 정지판(21)의 부근에서 구부러진다. 그리고 또 제1봉(16)은 관모양 전각(1) 내부에서 연장되며 그 하단에서 연결봉(59)의 한끝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연결봉(59)의 다른끝은 피보트점(67)에서 레버(60)의 앞끝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된다. 레버(60)는 레버(57)와 동일한 형태를 가지며 상기 전각 연결쇄(9)의 끝에 설치되고 또 피보트점(68)주위에서 상기 전각 연결쇄((9)와 함께 회전하게 된다. 더우기, 판(61)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된 접을 수 있는 부분(62)은 제1봉(16)의 끝들 사이의 중간에 형성된다.
앞에서 설명된 바와같이, 제10도 및 제11도는 후면에서 미는 방식과 전면에서 미는 방식의 형태를 이루고 있는 밀대(5)들의 상태를 도시한다. 상기 두 상태를 이루기 위하여 전각(1)과 밀대(5)사이의 각을 변화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그러기 위해서, 제1봉(16)의 접을수 있는 부분(62)을 갖는 것이 필수적이다. 예를들면 제11도의 경우에, 제1봉(16)이 접을수 있는 부분(62)에서 둘로 접히게 되어서 그 결과 밀대(5)의 회전에 방해가 되지 않는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제10도에서 도시하는 상태에서, 제1봉(16)은 직선이 되어, 미는 힘이 제1봉을 통하여 양호하게 전달되게 한다.
제12도 및 제13도에서 잘 도시하고 있는 바와같이, 밀대 연결쇄(13)들과 상부 연결장치(14)사이의 접속부는 전각 연결쇄(9)들과 앞연결 장치(10)사이의 접속부와는 다른 구조를 갖는다. 더우기 상부 연결장치(14)에 의해 상호 연결되어 있는 밀대연결쇄(13)의 끝들은 기어(70)들을 갖추고 있다. 기어(70)는 지금 논의되고 있는 조작을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최소형태를 가진 톱니들을 주변에 갖춘 부채꼴 모양이며, 상기 형태는 이 부분이 죄어지는데 기어한다. 기어(70)는 밀대 연결쇄(13)에 끼워지므로해서 견고하게 설치되며, 축(71)에 의해서 상부 연결장치(14)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두개의 축(71)들중 하나는기어(70)에 고정되어서 기어와 함께 완전하게 회전할수 있으며, 그리하여 상기 한개의 축(71)은 한면에서 나타나도록 상부 연결장치(14)를 통하여 돌출되고, 거기에서 조작핸들(15)이 설치된다. 조작핸들(15)은 축(71)과 직각으로 연장되는 레버(72)를 포함한다.
그러한 구조에서, 밀대 연결쇄(13)들을 구부리는것 즉 접는 것은 기어(70)들이 서로 맞물린 상태에서 이루어진다. 더우기, 제12도에 도시된 상태에서 제13도에 도시된 상태까지 계속해서 서로 맞물리는 기어(70)들과 함께, 밀대 연결쇄(13)들은 윗쪽으로 둘로 접힌다.
상기 윗쪽으로 접하는 밀대 연결쇄(13)들과 연동하여, 레버(57), 연결봉(58), 제1봉(16), 연결봉(59)및 레버(60)는 바라는 바대로 움직이고, 그 결과 전각 연결쇄(9)는 윗쪽으로 둘로 접힌다.
이 접을수 있는 유모차의 펴고 접는 조작은 이하에 설명될 것이다.
예를들면, 제1도에서 도시된 계각 상태에서, 전각 연결쇄(9), 후각연결쇄(11), 밀대연결쇄(13)는 각기 전각(1), 후각(3), 밀대(5) 사이에서 직선으로 설치된다. 더우기 제2도, 제3도 또는 제10도에서 도시된 바와같이, 쐐기형 부재(20)는 후면에서 미는 상태를 갖게될 때는 정지판(21)의 새김눈(22)에 결합된다.
뒷바퀴 연결쇄(11)는 정지판(21)의 새김눈(22)에 결합된다. 뒷바퀴 연결쇄(11)는 그들 자체 무게로 전각(1)에 관하여 펴지는 상태가되며, 이러한 펴짐의 상한은 그들이 제2봉(17)에 의해 지지될 때에 결정된다.
이러한 개각상태를 폐각 상태로 바꾸기 위하여, 조작핸들(15)의 레버(72)는, 유모차가 아래쪽으로 늘어지도록 손으로 쥐고 올려지며, 따라서 유모차의 무게는 실시예에서 보여주는 바와같이 한개의 기어(70)를 시계 반대방향으로 확실히 회전하게 하는 힘을 만들며, 그 결과 그와 맞물린 다른 기어(70)는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힘을 받는다.
이 동작은 밀대 연결쇄(13)를 위쪽으로 접히게 하여, 제13도에 도시된 상태로 되게 힘을 가한다. 이 동작은 제1봉(16)등을 거쳐서 전각 연결쇄(9)를 위쪽으로 접히게 한다. 이와 상응하여, 제2봉(17)은 후각(3)을 전각(1)쪽으로 움직이게 하고 동시에 제3봉(19)이 후각 연결쇄(11)를 윗쪽으로 접히게 한다. 그리하여, 결국 전각(1), 후각(3) 및 밀대(5)는 제각기 서로 접근하여 후각은 전각(1)에 접근하고, 그에 의해 좁고 길게 접힌 상태가 이루어진다.
폐각 상태에서 개각상태에로의 전환이 요구될 때에는, 실시예에서 보여주는 바와같이 시계 방향으로, 즉 조작하는 쪽에서 볼때는 시계반대 방향으로 레버(72)를 수동회전 시키므로해서 전환이 이루어지며, 그에 의해서 서로 맞물린 기어(70)와 함께 밀대 연결쇄(13)는 일렬로 되며, 그 결과 앞의 경우에서와 같이 제1봉(16)을 포함하는 연결장치는 유모차를 개각 상태로 되게 한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작동핸들(15)의 회전 조작은 서로가 맞물려 있는 기어(70)의 회전을 제어하며, 서로 맞물려 있는 기어(70)에 의하여 두밀대 연결쇄(13)가 연동하여 좌우대칭적으로 굴곡동작을 하므로 조작손잡이(15)의 레버부(72)를 가지고 회전 조작하므로서 이 유모차의 개폐 조작을 원활이 할수 있다.
또 밀대 연결쇄(13)는 위로 굴곡하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한편의 기어(70)의 축(71)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뻗쳐있는 레바부(72)를 들어올려 이 유모차를 하방으로 늘어뜨리므로서 이 유모차의 하중의 작용하여 바로 이 유모차를 폐각상태로 할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고안이 가늘고 길게 접을수 있는 식 유모차에 적용될때에 대하여 말하였으나 이에 한하는 것이 아니고 다른 형식의 접는식 유모차나 접는 기능을 가지지않는 유모차에 대해서도 적용할수 있다.
이에 대하여 이하에 기술한다.
제15도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요부를 개략적으로 표시한 것이다. 또한 이 제15도및 후술하는 제16도 및 제17도에 있어서 전술한 제1도 내지 제14도에 표시된 부분에 상당한 부분은 같은 참조숫자를 붙였다. 제15도를 참조하여 밀대(5)와 밀대연결쇄(13)와는 일체적으로 구성되어 밀대연결쇄(13)는 또한 밀기 위한 손잡이 부분으로도 가능한다. 그러므로 상술의 실시예에서는 밀대(95), 밀대연결쇄(13), 상연결구(14) 및 핸들(6)에 의하여 밀대 부재가 구성되었으나 이 실시예에서는 일체적으로 구성된밀대(5) 및 밀대연결쇄(13)에 의하여 밀대부재가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특징으로 하는 부분은 두정지판(21)에 계합하는 쐐기형 부재(20)에 각각 연결되는 두 와이어(26)는 하나의 조작편(27)에 의하여 잡아 당기도록 구성된 것이다. 또한 본 실시예는 가늘고 길게 접을 수 있는 상술의 접는식 유모차에도 적용될 수 있다는 것을 지적하여 든다.
제16도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요부를 개략적으로 표시한 것이다. 여기에 표시한 밀대부재는 일체적으로 구성된 밀대(5) 및 밀대연결쇄(13)와 밀대연결쇄(13)로 부터 한층더 연장되어 형성된 핸들(6)로 구성된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도 두 정지판(21)에 계합하는 두 쐐기형부재(20)에 연결된 와이어(26)은 하나의 조작편(27)에 의하여 조작되도록 되어있다. 그리고 또한 조작편(27)은 밀대연결쇄(13)로 부터 핸들(6)이 뻗쳐있는 부분에 설치되어 있다.
제17도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요부를 개략적으로 표시한 것이다. 여기에 표시하는 밀대부재는 제15도에 표시된 것과 같이 일체적으로 구전된 밀대(5) 및 밀대연결쇄(13)를 설치하고 있다.
제15도에 표시한 것과 상이한 점은 정지판(21)이 한편에만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쐐기형부재(20), 와이어(26) 및 조작편(27)도 같이 한쪽편의 정지판(21)에 관련시켜 하나씩 설치되어 있다는 점이다. 이 실시예에 의하여 밀대 부재의 소망의 위치의 고정은 적어도 한쌍의 정지판과 쐐기형부재를 갖고 있으면 좋다는 것을 알수 있다.

Claims (1)

  1. 유아를 태우는 해먹(29) 및 상기 해먹(29)의 양측에 각각 설치된 피보트대(7)를 개재하여 측방에 향하는 피보트핀(8)을 가지고 피보트되어 또 그 선단에 손으로 밀기 위한 핸들(6)이 설치된 밀대(5)를 비치하고 이 밀대(5)가 앞쪽으로 전도된 상태와 뒷쪽으로 전도된 상태와의 어느 것에도 임의로 선택될수 있는 공지의 유모차에 있어서 상기 피보트대(7)의 적어도 한쪽은 피보트핀(8)을 중심축으로 하는 원주면을 가진 고정적으로 설치된 정지판(21)을 포함하고 정지판(21)의 원주면에는 적어도 2개의 새김눈(22, 23)이 서로가 위치를 바꾸어서 형성되어 밀대(5)에는 정지판(21)방향으로 출입이 자유로운 쐐기형 부재(20)가 적어도 2개의 새김눈(22, 23)의 어느 것에 선택적으로 계합하는 것에 의하여 적어도 밀대(5)가 해먹(29)의 앞쪽으로 전도된 상태와 뒷쪽으로 전도된 상태의 2개의 상태로 고정될 수 있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
KR2019820003329U 1978-05-11 1982-04-28 유모차 KR83000018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20003329U KR830000187Y1 (ko) 1978-05-11 1982-04-28 유모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780001421 1978-05-11
KR2019820003329U KR830000187Y1 (ko) 1978-05-11 1982-04-28 유모차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780001421 Division 1978-05-11 1978-05-1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0187Y1 true KR830000187Y1 (ko) 1983-02-15

Family

ID=266262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20003329U KR830000187Y1 (ko) 1978-05-11 1982-04-28 유모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30000187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191397A (en) Baby carriage
JP3040496B2 (ja) 折りたたみ式乳母車およびそこに用いられる折りたたみ機構
US4216974A (en) Collapsible baby carriage
KR910000939B1 (ko) 유 모 차
EP2052943B1 (en) Foldable pushcart and foldable baby carriage
US6860504B2 (en) Stroller foldable in three
EP0027374B1 (en) Baby carriage
GB2069939A (en) Baby carriage
EP1847439B1 (en) Foldable stroller
ITMI20000362U1 (it) Passeggino comprendente almeno due coppie di gambe ciascuna dotata diuna ruota ad una estremita' la prima e seconda gamba di ciascuna coppi
JPS5833148B2 (ja) 乳母車の座席
US7118121B2 (en) Stroller frame structure
GB2139161A (en) Foldable baby carriage
US20120223508A1 (en) Foldable Stroller
JP2009101790A (ja) 幌付折畳式乳母車
JP4942977B2 (ja) ベビーカー
KR830000187Y1 (ko) 유모차
US4180276A (en) Back-to-face reversible push handle of a baby carriage
JPS6234226B2 (ko)
JP2008195265A (ja) ベビーカー
FR2556680A1 (fr) Poussette pliante
EP0480371A1 (en) Handle bar for baby carriage
US3847406A (en) Folding stroller
KR830002330Y1 (ko) 접을 수 있는 식의 유모차
KR20040058000A (ko) 유모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