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30000087B1 - 링 정방기의 가동상태정보표시장치 - Google Patents

링 정방기의 가동상태정보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30000087B1
KR830000087B1 KR1019790001326A KR790001326A KR830000087B1 KR 830000087 B1 KR830000087 B1 KR 830000087B1 KR 1019790001326 A KR1019790001326 A KR 1019790001326A KR 790001326 A KR790001326 A KR 790001326A KR 830000087 B1 KR830000087 B1 KR 8300000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inning machine
ring
strands
signal
spin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7900013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에드거 레인 죤
Original Assignee
메이나드 포드
팍스-크래머 캄패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메이나드 포드, 팍스-크래머 캄패니 filed Critical 메이나드 포드
Priority to KR10197900013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83000008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300000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300000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HSPINNING OR TWISTING
    • D01H13/00Other common constructional features, details or accessories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링 정방기의 가동상태정보표시장치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가 설치된 섬유공장의 사시도.
제2도는 제1도의 것과 유사한 섬유공장시설을 보인 것으로 다수의 정방기(精紡機)를 보인 부분평면도.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가시(可視)표시장치의 정면도.
제4도는 제1도에서 보인 바와 같은 링(ring)정방기의 일부를 절개표시한 측면도.
제5도는 제4도의 정방기를 제4도의 화살표(5)방향에서 본 부분절개 후측면도.
제6도는 제5도의 정방기중 일부를 보인 제5도의 화살표 (6)방향에서 본부분사시도.
제7도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일부중 가동연락 망을 보인 도식도.
제8도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에 사용된 회로처리 장치의 작동을 보인 도식도.
제9도는 본 발명의 장치에 사용된 주 처리장치의 작동을 제8도와 같이 표시한 도식도.
본 발명은 링 정방기의 가동상태정보를 수집하여 표시할 수 있도록 한 링 정방기의 가동상태정보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미국특허 제3,523,413호, 제3,726,072호 및 제4,000,603호에 있어서는 섬유사를 제조하기 위한 최적의 장치와 방법을 개발하기 위하여 노력해왔다. 특히 상기 특허문헌에서와 같은 링 정방기에 관하여서는 이러한 개발에 링 정방기에서 끊어진 실을 탐지하고, 방적사의 일부로서 가는 스트랜드(strand)가 형성되는 드래프트장치(drafting system)에 거친 스트랜드물질이 공급되는 것을 차단하고, 정방기조작자와 정방기의 가동상태에 관계하는 공장관리자에게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와 방법이 포함되어 있다.
상기 특허문헌에 따라 제안된 장치와 방법은 섬유공장에서 어느 정도 성공적으로 받아드려지고 조작자나 관리자들은 보다 나은 편의를 위하여 제공된 정보를 이용할 수 있도록 습득해 왔으나, 조작자와 관리자의 조력을 위한 다른정보의 요구성이 명백하게 나타났다. 더우기, “스피너(Spinner)”가 맡고 있는 기능과 “도퍼(Doffer)”가 맡고 있는 기능사이의 조작자기능의 분업화는 방적(Spinning)에 관련된 것과 같이 도핑(doffing : 보빈을 갈아 끼우는 것)에 관련된 가등상태를 감시함에 의하여 관리와 조작에 보다 개선된 효율을 얻을 수 있는 기회가 주진다는 것이 알려졌다. 섬유기술분야에 숙련된 자이면 누구나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스피너는 끊어진 스트랜드를 잇는 일을 맡고 있고 부수적으로 조사(粗사)의 보빈을 얹는 일을 한다. 도퍼는 링정방기의 스핀들로 부터 보빈을 들어내고 실을 권취한 빈 보빈을 교체하는 일을 맡고 있다. 상기 특허문헌 그 자체는 스피너와 단사(斷사)에 관련된 가동상태를 위한 개선된 효율에 주안점을 두고 있다.
이러한 점에 염두를 두고, 본 발명의 주요목적은 섬유공장의 링 정방기에서 일하는 모든 조작자의 능률을 증진시키는데 있다. 사실상 본 발명의 이러한 목적으로, 단사(ends down)정보에 부가하여 정방기의 가동상태에 관한 정보가 수집되고 정방기의 가동상태에 관한 정보를 조작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가시장치(可視裝置)에 이용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수집된 데이타의 숫자화된 가시표시방법으로 링 정방기의 가동상태에 관한 정보를 표시하는데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으로 스트랜드를 송출하는 송출로울러의 왕복운동, 스트랜드가 지나가는 안내구의 위치, 그리고 권사중에 스트랜드가 지나는 링(ring)을 재가하고 있는 레일(rail)의 위치와 같은 각 정방기의 여러가지 가동 특성이 감지된다.
또 다른 본 발명의 목적은 다수의 정방기의 도핑시간과 상태, 그리고 스트랜드가 송출되는 송출로울러의 속도에 관한 정보가 “텔레비젼”에 의하여 선택적으로 표시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러한 목적에 따라, 일반적인 텔레비젼수상기와 유사하게 나타내는 음극관 비데오장치(video device)가 공장 조업자나 관리자에게 공장내의 링 정방기 위치를 좌표상으로 가시표시할 수 있도록 적당한 표시신호에 의하여 작동된다.
본 발명을 첨부도면에 의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섬유공장내에 다열로 설치된 다수의 링 정방기(10)에 결합하여 특히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는 것으로 기대되며, 제2도에서는 정방기나 4열로 설치된 전형적인 배열형태를 도식적으로 보이고 있다.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이동장치(11)가 예정된 이동로를 따라 정방기(10)상부를 선회할 수 있도록 지지되어 있는 바, 이는 미국특허 제3,304,571호내에 기술된 제4실시형태와 실제로 동일한 형태이다.
상기 특허 문헌에 기술된 바와 같이, 각 이동장치(11)는 정방기(10)의 상부에 설치한 트랙(12)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지지되며, 이러한 트랙을 소위 폐쇄형 H-루프(H-loop)라 한다(제2도), 각 이동장치는 자동적인 회로에 따라, 그리고 예정된 인터벌(interval)을 두고 이동장치가 정방기를 선회하도록 트랙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구동장치를 포함한다.
링 정방기(10)는 거칠고 가는 형태의 스트랜드를 받아들여 방적하기 위하여 가연하는 요소 또는 작동수단을 포함한다. 링 정방기의 작동수단은 섬유 기술분야에 숙련된 자이면 잘 알수 있다할 것이나, 스트랜드를 송출하는 송출로울러(14), 스트랜드가 통과하는 “돼지꼬리”형 중간안내구(15), 그리고 스핀들(spindle)(18)을 위요하고 트래블러(traveler)(19)가 실의 가닥(E)을 가연(加撚) 또는 방적토록 회전하는 링(16)을 포함한 것이 중요하다할 것이다.
링(16)은 스핀들(18)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움직여 권취중에 스핀들(18)에 꽂은 보빈둘레에 형성된 패키지(package)에 대해 스트랜드의 위치를 바로잡도록 움직이는 링 레일(20)에 착설되어 있다.
스트랜드의 가닥의 상태를 감시하기 위하여, 감지기가 상기 언급된 미국특허 제3,523,413호, 제3,726,072호 및 제4,000,603호의 기술내용에 따라 이동장치(11)에 설치된다. 데이타장치는 감지된 가닥의 상태로 부터 정방기의 단사상태를 결정하기 위한 감지기에 감응되도록 제공되고 상기 언급된 특허문헌에 기술된 바와 같은 불균형공급차단장치(21)의 작동을 제어하고 미국특허 제3,680,298호의 기술에 따라 연속적으로 정보가 연락될 수 있도록 작동되게 구성된 장치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라서는 이상 언급된 바와 같은 장치와 방법이 정방기의 어떠한 가동특성을 신호화할 수 있도록 각 링 정방기에 착설된 감지수단을 제공하므로서 개선된다. 처리수단(processor means)은 감지수단과 연결되어 각 정방기의 가동상태를 신호로부터 결정하기 위하여 감지수단으로 부터의 신호에 감응된다. 처리장치는 결정된 상태를 나타내는 표시신호를 발한다. 표시신호는 가시표시수단에 보내어지며, 정방기의 결정된 상태의 가시적인 표시로 나타나게 된다.
이러한 장치를 위한 형태는 가시표시가 나타나게 되는 방법과 함께 이후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제1도및 제3도에서 보인 바와 같이, 가시표시수단은 텔레비젼 수상기와 유사한 음극관(이하 CRT라 함)비데오장치의 형태를 취한다. 감지수단은 정방기의 다양한 가동특성을 감지하는 다수의 감지소자(제6도)로 구성된다. 처리수단은 정방기(10)의 수효와 동일한 수효인 다수의 프레임보오드(frame board), 프레임보오드의 숫자의 분수로 표시되는 다수의 회로처리장치(circuit processor)와 하나의 주처리장치의 형태를 취한다(제7도).
각 정방기에 설치된 감지수단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하나의 감지수단은 적당한 전기적인 형태를 취하고 스트랜드가 송출되는 송출로울러(14)의 회전에 비례하는 전기적인 펄스신호의 트래인(train)을 발할 수 있도록 하는 회전감지수단으로서의 기능을 가진다. 도시된 형태에서, 강철과 같은 자싱체의 로우터(30)(제4도및 제6도)가 송출로울러(14)에 이와 같이 회동토록 연결된다. 그 연결방법은 직접 또는 로울러에 결합시켜 구동케한 전동장치를 통하여 간접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로우터(30)은 전기적인 펄스신호의 트레인을 발하기 위하여 로우터(30)주위의 자장변화에 감응하는 호올효과(Hall effect)장치(31)에 인접하여 통과하는 방사상으로 연장된 익편을 가진다. 이러한 감지수단은 전기 또는 전자기술분야에 숙련된 자이면 자기감지장치, 광전감지장치 또는 기계적인 작동스위치등과 같은 다른 수단을 이용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중간 안내구(15)는 도핑동안에 모든 안내구를 상승 위치로 신속히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나의 공통취부봉(32)상에 취부되어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중간안내구(15)의 이동을 위하여 공통취부봉(32)상에 자성체의 판편(34)가 착설된다. 판편(34)는 호올효과장치등과 같은 장치(35)와 연동하여 정방기가 도핑된 상태임을 알리는 예정된 위치에서 안내구(15)의 운동시 전기적인 신호를 발할 수 있는 감지수단을 제공한다. 즉 정방기에서 도핑과정이 시작되고 중간안내구가 상승되었을때에(제6도의 가상선위치), 판편(34)는 장치(35)로 부터 물러나오므로서 전기적인 신호가 발생된다.
제6도에서는 단 하나의 장치(35)만이 도시되었으나, 정방기에 다수 군집되어 있는 중간안내구를 가지는 모든 링 정방기상에 다수의 감지수단을 설치할 수 있다. 따라서 안내위치신호는 도핑과정에 있는 중간안내구 그룹의 이동시에 그 위치를 알리도록 발생된다.
상기 언급한 바와 같이, 링 레일(20)은 스트랜드가 패키지에 권취되는 동안 패키지에 대하여 스트랜드의 위치를 바로 잡아준다. 섬유기술분야에 숙련된 자이면 잘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링 레일(20)은 “권사성형운동”으로 알려진 링 정방기의 일부 구조에 의한 수직운동을 한다. 도핑시 또는 도핑과정의 첫단계에서 링 레일(20)은 도퍼가 용이하게 접근할 수 있도록 보빈과 스핀들(18)에 형성된 권취패키지를 벗어나 하측방향으로 이동된다.
자동적이거나 도퍼의 제어하에서 권사성형 운동으로 이루어진 이러한 운동은 “베어링 다운(bearing down)”으로 알려져 있다. 본 발명에 따라서, 적당한 판편(38)이 링 레일(20)에 고정되어 호올효과 장치(39)(상기 언급된 호올효과장치(30)(35)와 유사함)와 연계작동하며 링 정방기가 도핑과정이 되었음을 알리는 예정된 위치로 레일(20)이 움직일 때에 전기적인 신호를 발할 수 있는 감지수단이 제공되어 있다.
링 레일의 판편(38)과 연계작동하는 장치(39)는 직립봉(40)에 착설되어 있으며, 이 직립봉(40)에는 다양한 위치로 링 레일(20)의 운동을 감응하도록 하기 위하여 하나 이상의 장치를 재가할 수도 있다.
본 섬유기술분야에 숙련된 자이면 잘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권취패키지의 “권사성형”은 “베어링 다운”의 시간과 도핑시작시간의 알려진 인터벌에서 특별히 구별 가능한 위치고 레일을 옮기는 것과 같은 링 레일의 이러한 운동에 연구되어 있다. 이러한 권사성형 운동이 이용되는 경우 링 레일의 위치에 감응하는 제2장치는 링 정방기가 “베어링 다운”의 과정중 한 인터벌에서 도핑과정에 임할수 있도록 하는 전기적인 신호를 발하게 된다.
상기에서 간단히 언급한 바와 같이, 각 링 정방기(10)상에 착설된 감지수단은 감지신호에 감응하여 이 신호로부터 각 정방기의 가동상태를 결정하고 이 결정된 상태를 표시신호로 발할 수 있는 처리수단과 연결되어 있다. 또한 처리수단은 각 링 정방기(10)에 적어도 하나의 감지수단과 연결된 프레임 보오드수단(41)을 포함한다. 도시한 바와 같이 프레임 보오드수단(41)은 각 회동감지수단(30), 안내구위치 감지수단(35), 레일위치 감지수단(39)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프레임 보오드수단(41)은 링 레일의 위치, 중간안내구위치, 송출로울러(14)의 회동위치를 나타내는 감지수단의 전기적인 신호를 받아드리기 위한 반도체논리회로수단(데이타취득및 처리기술분야에 숙련된 자이면 잘 알려진 형태)과 연계작동한다. 안내구위치와 링 레일위치를 나타내는 신호는 이후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대기문답장치에 기록보관된다.
송출로울러(14)의 회동상태를 나타내는 신호는 카운트되어 이후 상세히 설명되는 문답에 계수가 기록보관된다. 프레임 보오드는 이후 보다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같은 통신(communication)을 위한 만능비동기식 송수신기(이후 UART라 함)를 포함한다.
다수의 링 정방기(10)의 프레임 보오드(41)은 다수의 회로처리수단(42)의 각각과 연결되어 있다(제7도). 각 회로처리수단은 인텔시스템(Intel System) 80/10과 같이 판매되고 있는 마이크로 컴퓨터가 좋다.
다수의 링 정방기가 설치된 전형적인 섬유공장에서는 UARTS를 통하여 다수의 각 프레임 보오드(41)과 연결된 다수의 회로처리수단(42)가 설치되어 있다.
각 회로처리수단은 다수의 프레임 보오드(41)로부터의 신호 뿐만 아니라 종래 기술에 관련하여 이미 충분히 언급된 바와 같은 이동장치(11)에 재가된 데이타장치로부터 발하는 신호까지 수신한다. 이 회로처리 수단은 링 레일위치, 안내구위치, 송출로울러 회전수, 단사및 실공급종료를 나타대는 신호를 프레임 보오드와 이동장치로부터 수신한다. 이러한 데이타로부터 각 회로처리수단은 매분당 송출로울러의 속도, 이후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은 정방기가동에 관련된 시간간격및 이동장치의 작동에 있어서 어떠한 잘못을 체크하기 위한 총실공급종료수와 단사횟수를 계산한다.
다수의 회로처리수단(42)는 하나의 주 처리장치(44)와 연결되어 있다(제7도). 회로처리수단과 같이 주 처리장치도 인텔시스템 80/10과 같은 형태의 마이크로 콤퓨터가 좋다. 단일 주 처리장치(44)는 UARTS를 통하여 다수의 회로처리수단(42)와 연결된다. 주 처리장치(44)는 주 처리장치에 종속하는 다수의 회로처리수단과 프레임 보오드와 같이 전 처리장치계의 주체로서 기능을 발휘한다. 주 처리장치는 정방기작동에 관련된 시간간격, 송출로울러속도, 링 레일위치, 안내구위치 및 단사상태를 나타내는 다수의 회로처리수단으로 부터의 신호를 수신한다.
이러한 데이타로부터, 주 처리장치는 이후 보다 상세히 언급되는 바와같은 단사 가능성을 계산하여 가시 표시장치를 구동시키기에 필요한 형식(format)으로 표시신호를 발한다. 도시한 바와같이 가시표시장치가 CRT비데오장치인 경우 주 처리장치는 이러한 장치를 구동하기 위한 적당한 표시신호를 발한다.
또한 주 처리장치는 각 정방기에 설치된 표시램프를 발광시킬 표시신호를 회로처리수단과 적당한 프레임 보오드에 송신한다.
이상 간단히 언급한 바와 같이, 처리수단은 데이타처리를 수행하는 일과, 프레임 보오드, 회로처리수단 및 주처리장치사이의 처리된 정보를 보관하는 일로 나누어진다. 이러한 장치는 본 발명에서 채택되므로서 효과적인 데이타처리및 장치의 경제적인 설비면에서 가장 이유있는 균형을 이룰 수 있었다.
그러나 데이타처리의 응용기술분야에 숙련된 자이면 모든 데이타처리를 위한 단일 주 처리장치의 이용으로부터 본문에 언급된 처리및 보관기능과 단계의 가벼운 재분배에 걸쳐 다른 처리장치로서도 동일한 결과를 얻을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본문에 언급된 결과를 수행하기 위하여 데이타처리장치가 설치되고 사용된 방법으로 모든 이러한 응용범위까지 확장될 수 있는 것으로 기대된다. 회로처리수단의 작동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회로처리수단은 본질적으로 종속장치와 같은 주 처리장치에 의하여 이용됨이 상기 언급한 바 있다.
모든 요구(request)는 주 처리장치로부터 나와 회로처리수단과 이에 연계된 프레임 보오드의 연속작동으로 유도된다. 제8도에서는 어떠한 회로처리 장치의 프로그램을 도식적으로 보이고 있다.
도시한 바와 같이 회로처리수단을 위한 프로그래밍(또는 소프트웨어)은 소위 말하는 단일개입중단형(single interrupt type)이다. 즉 회로처리장치는 하나의 아이들 루프 서브루티인(idle loop sub-routine)으로 작동하여 적은 우선과업(Priority task)을 수행하고 어떠한 개입중단신호를 기다린다.
개입중단신호가 일어나는 즉시 아이들 루프는 중단되고 프로그래밍은 다수의 평행한 서브루우틴의 하나로 처리된다. 이때에 모든 다른 개입중단 가능성은 이러한 선택된 서브루우틴이 끝나고 프로그램사이클이 아이들 루우프로 되돌아올때까지 나타나지 않는다.
이 서브루우틴은 본 발명에 따른 회로처리장치와 이에 일치하는 다른 소자사이의 정보교환을 위하여 제공되는 프레임 서비스(frame service), 트랜스미터 서비스(transmitter service), 주 처리장치 서비스 및 클리너 서비스(cleaner service)로 알려진 서부루우틴을 포함한다. 주 처리장치(제9도)를 위한 프로그래밍은 주 처리장치가 두 레벨로 작동하도록 되어있다. 일측 레벨은 가시표시장치를 위한 표시신호를 유지하기 위한 백그라운드 레벨(background level)이고 다른 레벨은 회로처리장치와의 연락을 맡고 백그라운드 레벨을 위한 데이타를 공급하는 퍼그라운드 레벨(foreground level)이다.
백그라운드및 퍼그라운드 프로그램은 루프를 따라 이들이 순서에 입각하여 상호 독립적으로 동시에 주파한다. 작동에 있어서는 백그라운드및 퍼그라운드 프로그램은 개입중단루우틴과 패치(patch)사이에 교대로 삽입된다. 퍼그라운드 프로그램이 백그라운드 프로그램을 중단시키나 양자는 키보오드의 명령에 의하여 개입중단된다. 어느 경우에서든지 프로그램내의 정하여진 순서는 변화되지 않으나 단순히 지연될 수 있다.
부분적으로 퍼그라운드 프로그램은 회로처리장치에 키보오드 명령으로 부터의 요구를 전달하기 위하여 예정된 순서에 따라 회로처리장치를 차단하는 루프이다.
각 퍼그라운드 개입중단순서는 일련의 서브루우틴이고, 각 서브루우틴은 다른 서브루우틴을 호출할 수 있도록 분기된다. 이러한 배열로 서브루우틴은 실제깊이로 다른 것 중에 하나를 자리잡게한다.
통신방법을 예로 들자면, 회로처리장치와 어느 하나의 특별한 프레임 보오드사이의 통신은 11개의 진숫자로 구성되는 단어로된 4개 단어의 연속변화를 가져오게 한다. 회로처리장치로부터 프레임 보오드에 통신된 각 단어는 장치계의 작동을 확실히 하기 위하여 작용하는 단어의 연속으로 프레임 보오드로부터 회로처리장치로의 복귀단어를 트리거한다.
예를 들어 특별한 프레임 보오드를 나타내는 변지단어(address word)의 전송은 조명되는 프레임 신호등의 지시와 함께 로울러회전계수의 숫자적인 표시와 같이 응답상 단어를 호출한다. 다음의 전송된 단어는 프레임번호표시를 포함하는 단어를 응답되는 시험단어(test word)이다. 회로처리장치로부터 프레임 보오드에 다음으로 전송된 단어는 프레임 보오드에 전송된 다음 지령단어의 반복에 감응하는 것과 같이 트리거되는 의도적인 가상단어이다.
그후 프레임신호등의 요구된 상태를 지시하는 새로운 지령단어가 전송되고 먼저 전송된 시험단어의 반복으로 응답된후 회로처리장치와 각 프레임 보오드사이의 장치계 체크가 완료된다. 이와 유사한 통신패턴이 주 처리장치의 퍼그라운드 프로그램과 회로처리장치의 퍼그라운드 프로그램사이의 연속 폴링베시스(polling basis)상에 나타난다. 이 주처리장치로부터의 요구는 여러 프레임으로 부터의 관련된 형태와 착오, 착오와 로울러속도, 통신된 지령과 상태단어, 프레임시간, 단사정보등을 위한 요구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수집된 데이타는 제1도및 제3도에서 보인 바와 같은 가시표시장치에 사용된다.
이러한 가시표시장치는 백색의 장방형 형태로 섬유공장내에 설치된 정방기(10)를 표시할 수 있는 음극관(CRT)비데오장치의 형태를 취한다.
섬유공장내 정방기 배치는 기둥때문에 어느 정도 불균일하게 배치되며, 기둥의 위치가 영문자(X)로 표시되어 있다(제3도). 각 사각형의 블럭내의 번호는 공장관리자에 의하여 사용된 번호로 정방기번호와 동일하다. 제3도에서 보인 형태에서 이러한 정방기 번호는 각 정방기를 대신하는 사각블럭의 좌측단에 3개의 디지탈 번호로 나타낸다.
정방기 번호는 정방기가 도핑을 위하여 계산된 가등시간을 끝마치기 전에 또는 예정된 시간이 도핑중 경과하거나 정방기가 재가동시작하지 않을 경우 문자(S)로 대체된다(제3도에서 한 프레임에 보인 바와 같음), 양측의 경우, 문자(S)는 정방기의 가동이 중지되어 경과된 분(分)의 숫자를 나타내는 번호와 동반하여 나타난다. 송출로울러속도의 표시를 위한 요구가 보내져왔을 경우는 정방기번호가 문자 (SP)와 송출로울러의 매분당 회전수를 나타내는 번호로 바뀐다. 정상적인 가등상태하에서 우측단 번호는 도핑까지의 나머지 시간(분)을 표시하며 이 시간이 경과하면 도핑이 시작된다.
주 처리장치는 회로처리장치및 이동장치로부터 단사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므로 주 처리장치는 블럭과 블럭사이의 통로에서 단사를 결정하는 능력을 가진다. 즉 한쌍의 대면한 정방기측에서 단사의 총번호가 결정되어 표시된다. 정방기의 측부가 다른 대면 정방기와는 달리 벽이나 다른 것과 대면하고 있는 경우 단사는 일측 정방기만을 위하여 결정된다. 따라서 제3도에서 정방기(259)의 일측에 표시한 번호(7)은 그 정방기 측의 7개의 단사를 나타낸다.
그러나 정방기(205)와 정방기(207)사이의 통로에 표시된 번호(10)은 두 대면한 정방기에서 총 10개의 단사가 있음을 나타내는 것이다.
스크린의 우측하단에 보인 바와 같이 8개의 정방기가 현재 도핑중에 있고 13개의 정방기가 60분내에 도핑을 요하고 있으며 총 단사수는 120임을 보이고 있다. 두 개의 특이한 가시부호는 예상된 도핑시간의 초과와 지연을 나타내도록 구성된다. 예상된 도핑시간이 송출로울러의 회전초기에 결정되고 패키지에 권취된 스트랜드의 양이 결정되므로 정방기가 도핑을 위한 계산된 가동시간의 종료기에 도달하고 아직 패키지에 충분히 권취되지 않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정방기곁에 있는 도퍼 또는 스피너가 정방기가 계속 가동하고 특별한 가시부호(OUR)가 정방기의 표시장치에 나타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도퍼나 스피너는 도핑을 조기에 시행하거나 지연을 나타내기 위하여 가시부호(UNR)가 나타나는 것을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된 형태의 마이크로 컴퓨터에 친숙한 자들은 경고신호를 그들이 필요로 하는 다른 신호로 나타낼 수 있을 것이다.

Claims (1)

  1. 각 링 정방기가 스트랜드를 송출하는 송출로울러, 스트랜드가 통과하는 중간안내구와 스트랜드가 권취되어 패키지를 형성하는 링 레일로 구성되고, 정보표시장치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링 정방기상부를 통과하도록 예정된 통로를 따라 이동하도록 지지된 적어도 하나의 이동장치, 스트랜드의 가닥을 감시하기 위하여 이동장치상에 취부된 감지기와, 감시된 스트랜드 가닥의 상태로부터 정방기의 단사상태를 결정하기위하여 감지기에 감응하는 데이타장치로 구성된 것에 있어서, 정방기의 어떠한 가동상태의 특성에 따라 신호를 발할 수 있도록 각 정방기에 취부된 감지수단, 정방기의 상기 각 감지수단에 연결되고 각 정방기의 가동상태를 상기 신호로부터 결정하여 결정된 정방기의 상태를 나타내는 표시신호를 발하기 위하여 감지신호에 감응하는 처리수단과, 상기 처리수단에 연결되어 정방기중 적어도 하나의 선택된 정방기의 결정된 상태를 가시표시로 나타내기 위한 표시신호를 발하도록 감응하는 가시표시수단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하는 링 정방기의 가동상태정보표시장치.
KR1019790001326A 1979-04-26 1979-04-26 링 정방기의 가동상태정보표시장치 KR8300000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790001326A KR830000087B1 (ko) 1979-04-26 1979-04-26 링 정방기의 가동상태정보표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790001326A KR830000087B1 (ko) 1979-04-26 1979-04-26 링 정방기의 가동상태정보표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0087B1 true KR830000087B1 (ko) 1983-02-08

Family

ID=192114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790001326A KR830000087B1 (ko) 1979-04-26 1979-04-26 링 정방기의 가동상태정보표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30000087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005083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gathering and displaying information
EP0026111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acilitating maintenance of spinning machine information system
CN110485010B (zh) 一种光电式单锭监测装置及检测方法
US5801949A (en) Textile machine with a central control device and local control devices at the work stations
CN101676454B (zh) 纤维机械
US4084398A (en) Mobile servicing arrangement for open-end spinning machines
CN103010830A (zh) 纤维机械系统及纤维机械
US3726072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nterrupting textile yarn forming operations
EP0026110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specific spinning machine operating conditions
CN1702215B (zh) 织机的投纬状况显示装置
US4047371A (en) Spinning machine facility with a plurality of open end spinning machines and at least one servicing instrument
US5799476A (en) Spinning station error signalling and qualifying device
KR830000087B1 (ko) 링 정방기의 가동상태정보표시장치
US4563873A (en) Apparatus for controlling production in a spinning machine
CN112111824A (zh) 光学监测纺织机的方法以及监测装置和计算机程序
US4665686A (en) System for managing doffing of strand processing machines
CN203080165U (zh) 断头纱检测器
DE2951552A1 (d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ueberwachung der wickelbildung an der fadenfuehrungstrommel der wickelvorrichtung einer spulmaschine oder rotor-spinnmaschine
CN112912548A (zh) 具有牵伸机构的纺织机器
EP0820951A1 (en) Package identification arrangement
JPH0748738A (ja) 紡機のモニタシステム
JP2515211B2 (ja) 撚糸機における撚り異常及び巻取り異常を検出する装置
CN211112386U (zh) 一种用于转杯纺纱机上的满筒控制装置
CN209816384U (zh) 加弹机导丝装置
JP3561948B2 (ja) 紡機の糸切れモニタ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