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20002428Y1 - 만곡 h빔 - Google Patents

만곡 h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20002428Y1
KR820002428Y1 KR2019810006057U KR810006057U KR820002428Y1 KR 820002428 Y1 KR820002428 Y1 KR 820002428Y1 KR 2019810006057 U KR2019810006057 U KR 2019810006057U KR 810006057 U KR810006057 U KR 810006057U KR 820002428 Y1 KR820002428 Y1 KR 82000242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rved
plate
beams
lower flange
wel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1000605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태형
Original Assignee
태성기공주식회사
조태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태성기공주식회사, 조태형 filed Critical 태성기공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810006057U priority Critical patent/KR82000242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2000242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20002428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3/00Structural elongated elements designed for load-supporting
    • E04C3/38Arched girders or portal frames
    • E04C3/40Arched girders or portal frames of meta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3/00Structural elongated elements designed for load-supporting
    • E04C3/02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 E04C3/04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of metal
    • E04C2003/0404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of metal beams, girders, or joists characterised by cross-sectional aspects
    • E04C2003/0408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of metal beams, girders, or joists characterised by cross-sectional aspects characterised by assembly or the cross-section
    • E04C2003/0413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of metal beams, girders, or joists characterised by cross-sectional aspects characterised by assembly or the cross-section being built up from several par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3/00Structural elongated elements designed for load-supporting
    • E04C3/02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 E04C3/04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of metal
    • E04C2003/0404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of metal beams, girders, or joists characterised by cross-sectional aspects
    • E04C2003/0443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of metal beams, girders, or joists characterised by cross-sectional aspects characterised by substantial shape of the cross-section
    • E04C2003/0452H- or I-shap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d-Shaped Construction Membe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만곡 H빔
제1도는 본 고안의 일부를 생략한 측면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일부를 절결한 저면 확대 사시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일부를 절결한 저면도.
제4도는 본 고안의 일부를 절결한 평면도.
제5a도는 제4도 A-A선 단면도.
(b)는 동 B-B선 단면도.
(c)는 동 C-C선 단면도.
본 고안은 각종 기계의 구조물이나 토목 건축의 구조물에 사용되는 만곡 H빔을 가공함에 있어서 장척(長尺)의 직선형 복판(腹板 wed)의 일측 연부를 따라 복강판 폭의 약 70%범위의 폭으로 다수의 일정한 핏치의 파형 굴곡부를 압형 형성하면서 임의 만곡도로 만곡시킨 다음 복판의 양연부에 통상의 프랜지판을 일체로 용접하여서 된 만곡 H빔에 관한 것이다.
종래 각종의 H빔이 있으나, 직선형 H빔과는 달리 요구되는 만곡도와 길이가 다양한 반면 소요량은 별로 많지않아 규격품으로 생산 판매되는 것은 없고 대부분 필요시마다 개별적으로 가공 사용하고 있으나, 이때 장척의 직선형 H빔을 만곡시키어 만곡 H빔을 형성하려면 상하 플랜지판은 그 빔의 중립선을 경계로 상당한 인장(引張)압축 변형이 요구되므로 열간(熱間)처리를 하는 경우 막대한 시설과 비용이 소요되는 반면 만곡 H빔의 소요량이 많지않아 비 경제적인 문제 때문에 거의 실시하기 어렵고 현실적으로는 대부부 설계된 복판의 만곡도에 맞추어 평강판을 반호형(半弧形)의 작은 길이로 일일이 절단한 다음 절단된 여러 조각의 강판을 서로 용접하여 만곡된 복판을 형성하여 H빔을 가공하고 있으나, 강판을 일일이 수공적으로 절단 및 용접 가공하는 만큼 만곡 H빔을 능률적으로 가공하기 어려울 뿐 아니라 반호형 소재로 재단하고 남게되는 강판소재의 손실이 상당하여 비 경제적이고 또한 가장 힘을 크게 받게되는 복판이 장척의 단일재질로 형성된 것이 아니고 여러 조각의 강판소재를 용접하여 만곡형으로 형성한 것이므로 장척의 직선형 H빔을 만곡하여서 된 것에 비하여 구조강도가 그만큼 높지 못한 미비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종래의 이러한 결점을 시정하고 구조강도가 보다 큰 만곡 H빔을 보다 경제적이고 능률적으로 가공하기 위하여 통상의 만곡 H빔에 있어서 장척의 직선형 복판의 일연부를 따라 복판 폭의 약 70% 범위의 폭으로 다수의 일정한 핏치의 파형 굴곡부를 압형로울러에 의하여 냉간 압형시키면서 설계된 임의 만곡도로 만곡시킨다음 복판의 양연부에 통상의 플랜지판을 용접 가공함으로써 장척의 직선형 복판을 그대로 사용하는 만큼 강판소재의 절단 손실이 거의 없고 플랜지판의 용접 이외에는 용접부가 없으므로 보다 경제적이고 능률적으로 가공할 수 있을 뿐 아니라 하측 플랜지판의 용접부가 복판의 파형 굴곡선 만큼 길게 되는 동시 장척의 단일재질로 된 복판의 하연부측 두께가 굴곡된 파형의 폭만큼 결과적으로 두텁게 되어서 종래 강판을 반호형으로 절단 용접하여 가공된 H빔에 비하여 구조강도가 대단히 향상되어 각종 구조물에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게 안출한 것으로 이를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임의 두께와 폭으로된 만곡 H빔에 있어서, H빔(1)의 직선형 복판(2)의 일연부(a)를 따라 복판(2), 폭(W)의 약 70% 폭(W′)의 범위로 다수의 일정 핏치의 파형굴곡부(3)를 압형로울러에 의하여 냉간 압형시키면서 설계된 임의 만곡도로 만곡한 다음 복판(2)의 양연부(a)(b)에 통상의 상한 플랜지판(4)(4′)을 각각 용접하여서 된 것이다.
이와 같이 된 본 고안은 통상의 요령으로 각종 기계의 구조물이나 토목건축 구조물에 사용되는 것으로 직선형 복판(2)의 일연부(a)를 따라 다수의 일정 핏치의 파형 굴곡부(3)를 압형시키면서 임의 만곡도로 만곡시킨 다음 복판(2)의 양연부(a)(b)에 통상의 플랜지판(4)(4')을 각각 용접하여서 되었기 때문에 복판(2)의 양연부측 인장 및 압축율이 극히 적으면서도 임의 만곡도로 장척의 복판을 용이하게 만곡 형성할 수 있어 종래 열간 처리에 필요한 막대한 시설이 생략되는 동시 강판을 반호형으로 절단 용접하던 것에 비하여 강판 소재의 절단 손실이 없이 보다 경제적이고 능률적으로 만곡 H빔을 가공할 수 있고 또한 H빔의 만곡도와 복판(2)의 폭(W)에 따라 하부 플랜지판(4)의 길이는 상부 플랜지판(4′)의 길이보다 필연적으로 짧은데도 불구하고 복판(2)에 형성된 파형굴곡부(3)에 의하여 하부 플랜지판(4)의 용접부(J)의 길이(weld length)는 파형 굴곡선을 따라 하부 플랜지판(4)의 길이보다 휠씬 길게 되는 동시 폭판(2)의 타연부(b)측 두께(t)보다 파형굴곡부(3)의 내외 폭만큼 일연부(a)측의 두께(t′)가 결과적으로 크게 되어서 하부 플랜지판(4)의 접합강도가 그만큼 크게될 뿐 아니라 수많은 파형 굴곡부(3)의 보강작용으로 만곡 H빔의 구조강도가 종래의 것에 비하여 대단히 향상되어 각종 기계의 구조물이나 토목 건축물의 구조물에 보다 유효하고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Claims (1)

  1. 도면에 표시한 바와 같이 통상의 만곡 H빔에 있어서, H빔(1)의 직선형 복판(2)의 일연부(a)를 따라 다수의 일정한 핏치의 파형굴곡부(3)를 압형시키면서 임의 만곡도로 만곡한 다음 통상의 상하 플랜지판(4)(4′)을 각각 용접하면서 된 만곡 H빔.
KR2019810006057U 1981-08-27 1981-08-27 만곡 h빔 KR82000242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10006057U KR820002428Y1 (ko) 1981-08-27 1981-08-27 만곡 h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10006057U KR820002428Y1 (ko) 1981-08-27 1981-08-27 만곡 h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20002428Y1 true KR820002428Y1 (ko) 1982-11-25

Family

ID=192228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10006057U KR820002428Y1 (ko) 1981-08-27 1981-08-27 만곡 h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20002428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726954A (zh) * 2019-10-14 2021-04-30 上海宝钢工程咨询有限公司 一种制弯方法和檩条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726954A (zh) * 2019-10-14 2021-04-30 上海宝钢工程咨询有限公司 一种制弯方法和檩条
CN112726954B (zh) * 2019-10-14 2022-07-19 上海宝钢工程咨询有限公司 一种制弯方法和檩条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251973A (en) I-Beam construction and process therefor
US4144369A (en) Composite deck panel
GB989027A (en) Process for the manufacture of sections and apparatus for carrying out the process
JPH0321750A (ja) 金属薄板を成形した建築用ユニット及びその製造方法
US4689261A (en) Rounded corrugated sheet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its manufacture
US4160350A (en) Floor joist plate
US4317350A (en) Corrugated plate having variable material thickness and method for making same
US4348850A (en) Web member
US4475328A (en) Web member
WO1982003574A1 (en) Method of effecting bending
US3273976A (en) Sheet steel and sections, tubes and composite constructions manufactured therefrom
KR820002428Y1 (ko) 만곡 h빔
US4619131A (en) Method for bending sheets
JPS6243767B2 (ko)
JPS61204454A (ja) H形鋼
JP2008240294A (ja) 折り曲げウェブh形鋼およびその製造方法
GB2270706A (en) Light weight metal beam
JPH0220330B2 (ko)
JPS6016174Y2 (ja) 彎曲状建築用板
JPH11342401A (ja) 形鋼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H0219721B2 (ko)
JPS6016173Y2 (ja) 彎曲状馳締建築用板
AU8332582A (en) Method of effecting bending
JPS63299801A (ja) ウェブに湾曲部を有する圧延h形鋼
RU2016983C1 (ru) Арматурный элемент