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20002355B1 - Aft 회로 - Google Patents

Aft 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20002355B1
KR820002355B1 KR7903788A KR790003788A KR820002355B1 KR 820002355 B1 KR820002355 B1 KR 820002355B1 KR 7903788 A KR7903788 A KR 7903788A KR 790003788 A KR790003788 A KR 790003788A KR 820002355 B1 KR820002355 B1 KR 8200023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equency
aft
current
circuit
transis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79037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골드 깁슨 웰터
친싱 리우 프랭크
Original Assignee
에드워드 제이. 노오턴
알 씨 에이 코퍼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드워드 제이. 노오턴, 알 씨 에이 코퍼레이션 filed Critical 에드워드 제이. 노오턴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200023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200023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JTUNING RESONANT CIRCUITS; SELECTING RESONANT CIRCUITS
    • H03J7/00Automatic frequency control; Automatic scanning over a band of frequencies
    • H03J7/02Automatic frequency control
    • H03J7/04Automatic frequency control where the frequency control is accomplished by varying the electrical characteristics of a non-mechanically adjustable element or where the nature of the frequency controlling element is not significant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DDEMODULATION OR TRANSFERENCE OF MODULATION FROM ONE CARRIER TO ANOTHER
    • H03D3/00Demodulation of angle-, frequency- or phase- modulated oscillations
    • H03D3/26Demodulation of angle-, frequency- or phase- modulated oscillations by means of sloping amplitude/frequency characteristic of tuned or reactive circuit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LAUTOMATIC CONTROL, STARTING, SYNCHRONISATION OR STABILISATION OF GENERATORS OF ELECTRONIC OSCILLATIONS OR PULSES
    • H03L7/00Automatic control of frequency or phase; Synchronisation
    • H03L7/02Automatic control of frequency or phase; Synchronisation using a frequency discriminator comprising a passive frequency-determining el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elevision Receiver Circuits (AREA)
  • Channel Selection Circuits, Automatic Tuning Circuits (AREA)
  • Networks Using Active Elements (AREA)
  • Superheterodyne Receive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AFT 회로
제1도는 본 발명의 원리에 따라 구성된 AFT회로를 구성적 및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제2도는 제1도의 AFT회로의 응답특성을 도시한 도면.
제3a도 내지 제3e도는 제1도의 AFT회로의 다른 작동 특성을 나타내는 파형을 도시한 도면.
제4a도 내지 제4d도는 제1도의 AFT회로의 부가적 작동특성을 나타내는 파형을 도시한 도면.
제5도 및 제6도는 본 발명의 원리에 따라서 구성된 회로의 제2실시예를 구성적 및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제7도는 국부발진기내의 반응소자에 연속적으로 변화하는 AFT신호를 공급하기 위한 회로 배열의 구성 및 개략도.
제8도는 제7도의 반응소자상에 AFT제어효과를 도표적으로 도시한 도면.
본 발명은 일반적인 자동 주파수 제어장치에 관한것이며 수퍼헤테로 다인 수신기내에 있는 국부발진기의 동조를 제어하도록 주파수연관오차교정신호를 유출하기 위한 자동주파수 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무선주파수 대역내의 수많은 방송주파수들 중에서 단일 협대역주파수를 선택하는 것이 텔레비죤튜너의 기능이다. 종래의 텔레비죤튜너는 무선주파수 증폭기, 혼합기 및 국부헤테로 다인 발진기의 사용으로서 이러한 기능을 수행한다. 발진기의 출력은 혼합기에 의하여 수신기 안테나로부터 수신된 텔레비죤 무선주파수 신호와 비교되어지거나 비트된다. 이러한 비트작동은 원래의 무선주파수와 국부발진기 주파수의 합 및 차주파수를 나타내게 한다. 차주파수를 제외한 모든 주파수, 즉 중간주파수(IF)로 불리는 주파수들은 여파되어 나온다. 이들 IF신호는 텔레비죤 수신기에 의하여 검출 및 증폭되어 원하는 음성 및 영상정보를 재생한다.
텔레비죤스크린상에 적당한 영상 및 정확한 음성재생을 제공하기 위하여, 수신기국부발진기가 조정되어 지므로서 영상 및 음성반송파들이 텔레비죤수신기의 IF통과 대역내의 정확한 지점에 위치되는 것이 필요하다. 이것은 특히 칼라텔레비죤 수신기들의 동조에서 요구된다. 키네스코프에 의해 적당한 색소 및 채도로 칼라를 재생하려면 영상반송파 및 음성반송파가 IF통과 대역내의 적당한 위치에 있지 않으면 안될뿐 만 아니라 칼라부반송파 또한 적당한 위치에 있어야만 한다.
만약 국부발진기가 어떠한 이유로서, 적당한 주파수에 세트되지 않을 경우에는 IF신호 주파수가 어긋나게 되며 재생된 음성 및 영상의 질을 저하시키게 된다. 이러한 오동조는 텔레비죤 시청자에 의한 부정확한 미동조, 국부발진기불안정 또는 기계적 튜너의 멈춤쇠작동의 부정확함에 기인한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극복하기 위하여 종래의 수신기들은 중간주파수내의 변화를 보상하기 위한 장치를 갖고있다.
이러한 보상은 통상적으로 수신기의 IF증폭단의 출력으로부터의 자동미동조(AFT)전압을 유충하므로서 달성된다. 이러한 AFT전압은 IF신호가 요구되는 IF신호로부터 떨어진 정도와 감도를 나타낸다.
이러한 AFT전압은 발진기의 오동조를 고정하도록 국부발진기내의 전압응답반응장치에 인가되어지므로서 음성 및 영상재생을 적당하게 한다.
이러한 AFT전압은 변별기회로망에 의하여 IF신호로부터 유출된다. 이러한 변별기는 반응 소자들로서 구성되어지며 IF신호주파수내의 전이를 출력 신호내의 전압변화로 바꾼다. 일반적으로 변별기회로망은 IF통과 대역의 상부 잔류경사부상에 위치하는 IF영상 반송파(NTSC시스템에서는 45,75MHZ)의 주파수에 동조된다. IF영상 반송파의 주파수내의 주어진 전이에 대한 변별기출력신호의 전압레벨내의 변화는 변별기회로망의 응답특성을 규정짖는다. 이러한 응답 특성은 대칭적이다. 즉, 평균중심주파수의 위아래의 영상반송파의 동일주파수전이에 대한 동등한 진폭 전압변화를 나타내도록 출력신호에 대하여서는 대칭성인 것이 요구된다. 더우기, 변별기출력신호에 있어서 변별기 출력신호의 전압레벨내의 큰 변환이 제기되므로 IF영상 반송주파수내의 작은 전이에 응답하는 것이 매우 바람직스럽다. 이러한 응답은 텔레비죤수신기가 IF신호 주파수들의 전이에 대하여 국부발진기기주파수가 조정될 속도와 IF영상 반송파가 요구되는 주파수에서 유지되며 그리고 변별기특성곡전의 기울기에 의하여 측정되는 정확도를 결정지으며 더욱 가파른 기울기, 더욱 빠른 응답 및 AFT시스템의 보다 좋은 정확도를 나타내게 된다.
통상적으로 현재 두 가지 형태의 AFT회로가 사용되어진다. 즉 직각위상 검파기 형과 차동 포락선 검파기형이 있다. 직각위상 검파기형 AFT회로는 주파수 변조된 신호의 주파수변이를 출력부에서 두 개의 다른 위상전이된 또는 지연된 신호를 전개하는 필터회로망에 주파수 변조된 신호를 인가하므로서 차동위상 전이된 신호로 바꾼다. 차동위상전이된 신호들은 진폭변화 AFT제어 신호로의 필터출력부분에서의 신호들 사이의 위상차이를 변환하는 직각 또는 위상검파기에 인가되어 진다.
본 출원서애서 기술된 바와 같은 차동 포락선 검파기형 AFT회로는 주파수 변조된 신호와 주파수 변이를 차동적으로 지연된 진폭변화신호로 변환하도록 선형필터 회로망을 활용한다. 이러한 신호들은 진폭변화 신호들을 AFT제어신호로 변화하는 포락선 검파기에 인가된다. 일반적으로 차동포탁선 검파기 AFT회로는 직각 위상 검파기형의 것보다 적은 수의 소자가 필요하며, 좁고 더욱 정확히 제어된 AFT대역폭을 발생하므로 많이 사용된다. 대역폭이 좁기 때문에 AFT제어시스템상의 IF잡음의 효과를 감소하며 시스템에 의하여 제어된 IF영상반송파 부근에서 더욱 예리한 AFT응답을 한다.
AFT회로를 구성하는 데에 필요한 소자들의 수와 크기를 극소화하기 위하여, 단일 모노리딕 집적회로상에 집적회로 형태로 회로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어떠한 AFT회로소자들, 특히, 변별기 회로말을 구성하는 데에 사용된 반응소자들은 이들을 직접적으로 집적회로화할 수 없으며 그리고 IC칩 외부에 위치시켜야 만 한다. 그런데 외부소자들의 접속용으로 IC칩은 제한된 숫자의 외부접속점 또는 단자를 갖고 있을 뿐이다.
그러므로, 외부소자들에 접속되는 접속점의 수를 감소하는 것이 AFT회로를 구성하는데에 매우 바람직스럽다.
잭크랩씨에 의한 1978년 10월 30일자의 본원 연관출원 미합중국 특허원 제955,515호 제목 AFT회로 내에 기술된 AFT회로는 외부변별기회로망에 단지 두 개의 집속회로 접속만을 요구하는 신규의 AFT회로이다. 크랩씨의 출원서에서 도시된 변별기회로망은 두 개의 동조된 회로를 응용하고 있다. 즉 이중 하나는 탭이 있는 유도 코일을 요구한다. 본 출원서는 탭이 있는 유도코일을 사용함이 없이 외부변별기회로망에 두 개의 집적회로접속을 갖는 단순한 AFT회로를 제공하도록 크랩씨 출원서의 기술을 사용한다.
본 발명의 원리에 따르면, AFT회로는 비데오 신호에 응답하는 AFT제어신호를 발생하도록 사용된다. 이러한 IF신호는 변별기회로망에 동형 위상의 전류신호를 제공하는 전류원 증폭기의 입력에 공급된다. 이러한 변별기는 두 개의 동조회로를 포함한다. 동조된 회로들중의 하나는 IF영상반송파의 요구되는 주파수 이하의 주파수에서 공진되며 다른 하나는 요구되는 주파수 이상에서 공진된다. 동조된 회로들은 요구된 주파수로 부터의 IF영상반송파의 주파수변화와 감도 및 정도가 다르게 변화는 입력전류신호들에 응답하는 출력신호를 발생한다. 차동적으로 관련된 신호들은 AFT제어신호들로서 사용되기 위하여 두개의 피이크 검출기회로망에 의하여 검출된다. 전류원 증폭기와 피이크검출기 회로망은 단일 IC칩상에 매우 편리하게 설치된더. 이러한 변별기회로망은 두 개의 외부 IC단자들을 통하여 전류원 증폭기 및 피이크 검출기들에 결합된다.
본 발명의 다른 관점에 의하면 변별회로망은 IF통과 대역의 잔류 경사부에 따른 IF영상 반송파의 주파수 편의에 의한 진폭변화의 효과를 보상하도록 구성할 수가 있다. 영상반송파는 그 주파수가 IF통과대역의 잔류경사부의 중점의 정상위치로부터 그 통과대역의 중심주파수의 방향으로 편이하면 진폭은 증가하고 중심 주파수와 반대방향으로 편이하면 진폭은 감소하며 이것에 의해 전자의 방향으로부터 후자의 방향에 있어서의 편이에 대한 AFT동기 인입범위가 작게된다. 또한 이 AFT시스템에 대한 잡음분포는 통과대역의 중심주파수 근방의 주파수를 가지는 잡음성분 때문에 중요성이 증가한다. 이러한 변별기는 대역통과의 중심주파수와 영상반송파의 원하는 주파수로부터 떨어진 주파수에서 공진하는 피동조 회로의 임피던스를 증가시키므로 IF영상반송파의 정상 위치에 대한 AFT동기인입 영역의 대칭성의 결여를 없애도록 보상할 수 있으며, 이것에 의해 영상반송파의 요구되는 주파수 근방의 주파수 이전에 대한 대칭적 변별기 응답을 얻을 수 있다.
피이크 검파된 신호들은 국부발진기에 인가되기 위한 AFT신호를 제긍하도록 차동증폭기에 의하여 합성된다. 본 발명의 또다른 관점에 의하면, 영상 반송파의 요구된 주파수와 IF통과대역의 중심주파수로 부터 떨어진 주파수에서 공진하는 동조된 회로의 임피던스는 계속적으로 증가하므로 중간점에서 음성 및 영상반송파들의 바람직한 위치로 X축의 크로스오바를 표시하도록 AFT회로의 응답특성을 변화시킨다. 그러므로 AFT회로의 이러한 응답특성은 IF통과대역의 중심주파수로 부터 떨어지고 영상반송파의 바람직스러운 주파수에 근접한 제1주파수 영역에 대한 한 극성이 된다. 이러한 응답특성은 바람직한 영상반송파의 주파수로 부터 크로스오바점까지 연장된 제2 주파수영역에 대하여는 반대극성을 갖으며 크로스오바점부터 음성반송파의 바람직한 위치를 향하여 연신되는 제3 주파수영역에 대하여는 제1 극성이 된다. 이러한 결과적 특성은 IF증폭기에 의하여 통과된 잡음의 효과가 가상적으로 제거될 두 극성의 동등한 에너지를 포함한다. 잡음효과의 이러한 제거는 AFT회로가 국부발진기로 되돌아가는, 영상반송파의 바람직한 위치의 잡음유기 전이를 방지한다.
IF신호가 약간의 주파수 전이를 갖는 경우 즉, 영상반송파가 그의 바람직한 위치의 양쪽편상의 제1 또는 제2 주파수 영역내로 이동한 경우에는, AFT회로는 국부발진기로 되돌아오므로서, IF신호는 IF통과대역내의 바람직스러운 위치로 되돌리도록 응답한다. 그러나 AFT신호가 영상반송파가 응답특성의 제1주파수영역위에 있고 AFT제어의 정상 영역외측에 있을만큼 큰 진폭의 주파수 전이를 나타낼때에는 일정 주파수 격차로서 영상반송파로부터 분리된 음성반송파는 응답특성이 제1 영역과 같은 동일극성인 제3 영역 내에 위치하게 될 것이다. 이러한 상태하에서 AFT회로는 국부발진기를 제동조하여 원하는 위치에 음성 반송파를 되돌리고 변이된 영상반송파는 이것에 따라 영상반송파가 제1 주파수 영역에 복귀하는 정상적인 AFT제어가 제거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겠다.
제1도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원리를 따라서 구성된 AFT회로는 구성도 및 개략도로 도시되어 있다. 통상 45.75㎒영상반송파를 포함하는 IF신호는 IF증폭기(10)로 부터 집적회로칩상에 위치하는 두 개의 전류원 트랜지스터(12) 및 (14)의 베이스전극들에 인가되어진다. 전류원 트랜지스터(12) 및 (14)의 에미티전극은 접지되어 있으며 콜렉터전극들은 제각기 외부 IC단자 (1) 및 (2)에 연결되어 있다.
두 개의 동조된 회로(22) 및 (26)으로 구성된 변별기 회로망(20)은 외부적으로 IC단자(1) 및 (2)에 연결된다. 동조된 회로(22)는 인덕터(21)과 콘덴서(23)의 병렬조합으로 구성되며 45.75㎒영상반송파주파수 바로 아래의 공진주파수에 동조된다. 동조된 회로(22)는 IF단자(1)과 Vcc전압 사이에 연결된다. 동조된 회로(26)는 인덕터(25)와 콘덴서(27)의 병렬조합으로 구성되며 45.75㎒영상반송파주파수 약간 위의 공진주파수에 동조된다. 동조된 회로(26)는 IC단자(2)와 Vcc공급원 사이에 접속된다.
외부 IC다자(1) 및 (2)는 전류원 트랜지스터(12) 및 (14)로서 동일 IC칩상에 위치한 두 개의 피이크 검출기(40) 및 (30)에 각각 내부적으로 연결된다.
피이크검출기(40)는 단자(1)에 연결된 에노드전극과 피크 검출콘덴서(44)로서 접지된 캐소우드전극을 갖는 다이오드(42)로 구성된다. 피이크 검출기(30)는 에노드전극이 단자(2)에 접속되고 캐소우드전극이 피크검출 콘덴서(34)에 의하여 접지된 다이오드(32)로서 구성된다.
피이크 검출기(30) 및 (40)은 두 개의 트랜지스터(52) 및 (54)로서 구성된 차동증폭기(50)의 두개 입력에 연결된다. 다이오드(32)의 캐소우드전극은 트랜지스터(52)의 베이스 전극에 연결되며 그리고 다이오드(42)의 캐소우드전극은 트랜지스터(54)의 베이스전극에 연결된다. 트랜지스터(52) 및 (54)의 에미터전극은 동시에 연결되어 있으며 저항(48)에 의하여 접지된다. 상호적으로 변화하는 AFT제어전압들은 부하저항들(56) 및 (58)비 의하여 Vcc공급원에 연결된 트랜지스터(52) 및 (54)의 콜렉터에서 각각 유출된다.
IF입력신호가 전류원트랜지스터(12) 및 (14)의 베이스에 인가될 경우에, 동위상의 신호전류들은 이들 트랜지스터의 콜렉터전극에서 유출되어지며 IC단자(1) 및 (2)에 의하여 변별기회로망(20)에 연결되어진다.
이들 전류는 각각의 동조된 회로(22) 및 (26)내로 흐른다. 이들 전류에 대한 직류통로는 Vcc공급원에 제각기 연결된 인덕터(21) 및 (25)에 의하여 형성된다.
피동조회로(22) 및 (26)은 신호전류에 따라 IF영상 반송파 주파수와 함께 변동하는 신호를 단자(1) 및 (2)에 반송한다. 이 IF영상반송파가 45.75㎒의 원하는 주파수에 있는 경우에, 피동조회로(22)에 의하여 단자 1에서 발생된 신호의 진폭은 피동조회로(26)에 의하여 단자 2에서 발생된 신호의 진폭과 동일하다.
IF영상반송파가 IF통과 대역내의 그의 바람직스러운 위치로부터의 주파수에서 편이되어 있기 때문에 단자(1) 및 (2)에서의 신호는 역으로 변화한다. 즉 하나가 증가하면 다른 하나는 감소하게 된다. 45.75㎒ 보다 낮은 주파수에서의 편차에 대하여 단자(1)에서의 신호의 진폭은 증가하고 단자(2)에서 신호의 진폭은 감소하며, 45.75㎒이상 주파수에서의 편차에 대하여서는 단자(1)에서의 신호가 감소하고 단자(2)에서의 신호는 증가하게 된다. 그러므르 변별기회로망(20)은 IF영상 반송파의 주파수편차를 단자(1) 및 (2)에서 진폭변화 신호로 변환한다.
단자(1) 및 (2)에서 발생된 차동적으로 관련된 전압은 각각 피이크검파기(40) 및 (30)에 연결되며, 이들은 콘덴서(44) 및 (34)양단에서 피이크 검파된다. 피이크 검파된 전압은 차동증폭기(50)의 두 개 입력에 인가되어서, 트랜지스터(52) 및 (54)의 콜렉터에서 차동적으로 변화하는 AFT제어전압을 제공하도록 조합되며 증폭된다.
제1도의 AFT회로의 응답특성은 제2도에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예에 있어서, IF증폭기(10)에 의하여 전류원 트랜지스터(12) 및 (14)에 연결된 신호들이 AFT출력신호상의 IF영상반송파의 진폭변화의 효과를 제거하도록 제한된 진폭임을 알수 있다.
제2도를 참조하면, 응답특성(200)이 도시되어 있으며, X축(+6볼트)에서의 교차점에서 바람직한 영상 반송파주파수인 45.75㎒가 됨을 알수 있다. 피동조회로(22) 및 (26)은 각각 45.5㎒ 및 46.O㎒에서 응답특성(290)내의 피이크를 제공하는 공진점을 갖는다. 응답특성(200)은 최대점 및 부범위가 +12볼트와 4볼트인 차동증폭기(50)의 스위칭에 기인하여 이들 공진점들 주위에서 클립되어진다. AFT회로는 45.7㎒와 45.8㎒사이의 45.㎒의 근방에서 영상반송파의 변화에 최대 응답비를 나타낸다. 이 주파수내에서 AFT회로는 IF영상반송파의 주파수에서 매 8333㎐변화에 대하여 1볼트의 신호변화를 나타낸다. 또한 이러한 응답특성(200)이 주파수 범위내에서 대칭적인 것을 알수 있다.
제3a도를 참조하면, 특성곡선(400)이 IF통과대역의 응답특성의 상부부분을 나타냄을 알수 있다.
IF영상반송파는 통상적으로 45.75㎒에서 IF통과대역의 상부 잔류경사부의 중심점에 위치한다.
제3b도는 피동조회로(22) 및 (26)의 임피던스 (402) 및 (404)를 도시하고 있다. 이러한 예에 있어서, 두 개의 피동조회로의 Q와 임피던스는 동일하며, 회로는 그들의 중심주파수 fL및 fH에 대한 동일한대역폭을 나타낸다. 파형(402) 및 (404)는 IF영상 반송파의 원하는 중심주파수인 45.75㎒에서 교차점을 갖는다.
IF통과대역 (400)의 상부 잔류경사부의 중점에 위치하는 IF영상반송파가 제3b도에 도시된 임피던스 특성을 나타내는 AFT회로에 인가되면, 제3c도의 AFT응답특성(406)이 나타난다. 이 응답특성(406)은 AFT 회로가 통상적인 장치인제한기를 구비하지 않을 때 IF통과 대역상의 상부 잔류경사기상의 IF영상반송파의 위치에 의해 불평행이 되어있다. 제한기가 없으면 IF영상 반송파는 그 공칭주파수 45.75㎒에서 평이함과 동시에 진폭이 변하고 IF통과 대역의 경사부때문에 고주파보다 저주파수에 있어서 보다큰 진폭을 가진다. 이에따라 약 45.75MFT상의 AFT동기인입 범위는 중심주파수 이하의 인입범위보다 작아지며 도시하는 바와 같이 출력신호는 부극성에 대하여서는 클리핑되고 정극성에 대하여서는 클리핑되지 않는다.
제3c도의 비대칭적 응답특성(406)은 제3d도 및 제3e도내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동조된 회로 (26)의 임피던스를 변화함에 의하여 개선된다. 제3d도에 있어서 파형(410), 및 (412)는 피동조 회로(26)의 임피던스가 증가된 것을 제외하고, 제3b도에 도시된 동조회로(22) 및 (26)의 임피던스를 표시한다. 이것은 인덕터 (25) 및 콘덴서(27)(높은 L, 낮은C)의 L-C비를 증가 시킴에 의하여 또는 회로의 Q(Quality factor)를 증가시킴에 의하여 행하여진다. 그러나, 통상적으로 피동조회로(22) 및 (26)이 높은 Q값들(즉 100이상)을 가지므로, 높은 Q값에서 동조된 회로(22) 및 (26)사이의 적당한 Q비의 유지가 어렵고, Q가 높은 인덕터(25)가 비싸므로, 통상적으로 피동조회로(26)의 L-C비를 증가시키도록 하며 그리고 Q값을 유지 하는 것이 매우 바람직스럽다. 이러한 방법으로, 피동조회로(22) 및 (26)의 세가지 데시벨 점에서의 동등한 대역폭들은 보지되어지며 그리고 파형(410) 및 (412)의 교차점은 45.75에서 유지될 수 있다.
IF통과 대역 (400)의 상부 잔류경사부상의 IF영상반송부가 제3d도에 도시된 변별기특성을 갖는 AFT회로에 인가되는 경우, 제3e도의 응답특성(414)이 제공된다. 파형(414)은 45.75㎒이상의 IF영상반송파주파수에서 파형(412)의 보다 높은 임피던스때문에 X-축 이상 및 이하의 최대 진폭에서 대칭성으로 나타난다. 이러한 높은 주파수에 있어서, IF통과 대역특성에 기인한 IF영상반송파의 감소된 진폭은 최대 정극성 및 부극성에 대하여 동등하게 클리핑된 응답특성(414)의 제공의 결과로서 변별기(20)의 보다 높은 임피던스에 의하여 보상되어진다. 응답특성(414)은 IF영상반송파의 바람직스러운 45.75㎒주파수의 근방에 동일진폭의 정극성 및 부극성 IF주파수편차들에 대하여 동일하게 AFT제어에 삽입된다.
피동조 회도(26)의 임피던스가 아직 증가되어 진다면, AFT출력신호특성이 역전되며 IF통과대역 내의 음성 및 영상반송파위치에 중첩되는 점에서 X축과 재교차하는 부가적특성이 얻어진다. 제4a도를 참조하면, 파형(420)은 45.75㎒에서 위치한 영상반송파 통과대역의 상부잔류경사부의 중간점과, 통과대역의 하부 잔류경사부 상에서 약 20dB떨어진 41.25㎒에 위치한 음성 반송파를 갖는 IF통과대역의 응답특성을 표시하고 있다.
제4b도에서 파형(492)는 피동조 회로(22)의 임피던스를 나타내며 파형(424)은 피동조 회로(26)의 보다 높은 임피던스를 나타낸다. 파형(422)및 (424)는 45.75㎒에서 제1교차점과, IF영상반송파의 바람직한 위치와 그리고 음성 및 영상반송파들의 바람직한 위치의 중간에 위치한 점(426)에서 제2교차점을 갖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예에 있어서, 피동조회로(22) 및 (26)의 임피던스와 Q는 선택되어져 제2교차가 IF통과대역(420)의 대체적 중간점인 43.5㎒에서 발생된다.
43.5㎒이하에서, 파형(424)가 파형(422)보다 우선하여 반전된 곡선특성을 나타낸다.
IF통과대역(420)의 신호가 제4b도의 임피던스특성을 갖는 AFT회로에 인가된 경우에, AFT회로는 제4c도에 도시된 응답특성(430)을 나타낸다. 45.75㎒영상반송파주파수 이상에서 파형(430)은 IF통과대역 약 47.1㎒의 상부제한에서 X축상으로 감소되는 동조된 회로(26)의 공진주파수에 대하여 최대 정극성을 나타낸다. 표시번호(432)는 파형(430)의 이러한 위치하의 면적을 표시한다.
파형(430)은 43.5㎒ 교차점(438)과 45.75㎒반송주파수 사이에서 부극성을 나타낸다. 표시 번호(434)는 X축과 파형(430)의 점으로 둘러싸인 면적을 표시한다. 결국, 파형(430)은 교차점(438)과 41.25㎒의 바람직스러운 음성반송파 주파수 사이에서 약간의 정극성을 나타내며 이때에는 표시번호(436)에 의하여 표시된 파형(430)의 이러한 점 이하의 면적이 표시되어 있다.
텔레비죤수신가가 약간 신호나 또는 조잡한 잡음신호를 수신한 경우에, IF통과대역내의 잡음성분들은 AFT회로에 인가되어지며 AFT출력신호를 나쁜 상태로 몰아갈 수 있다. 만약 AFT출력신호가 제4c도에서 도시된 바와 같은 제2교차를 갖지 않는다면, 45.75㎒이하의 면적(434)내의 잡음 성분은 IF통과대역의 상부 잔류경사부상의 면적(432)의 잡음성분보다 더욱 크게 기여하고 이러한 잡음기여의 언벨렌스는 제1교차점을 45.75㎒에서 더욱 낮은 주파수로 전이하므로 국부발진기의 오동조를 초래하게 된다.
그러나 파형(430)이 제4c도내에 도시된 바와 같은 역곡선을 나타내는 경우에, X축 상위의 면적(436)및 (432)는 X축 이하의 면적(434)와 거의 동등해질 것이다. 이것은 면적(434)의 부극성 잡음성분들이 면적 (436)및 (432)의 정극성 성분과 거의 동등해짐을 유발하게 되며 잡음제거가 AFT특성선곡상에서 행하여졌음을 나타낸다. 파형(430)이 파형(414)및 X축 사이의 정극성 및 부극성 면적이 동등치 않게된 제3도의, 파형(414)으로서 강조되어질 것이다. 그러므로 45.75㎒에서 파형(430)이 제1교차는 유지되어질 것이며 IF신호의 신호대 잡음비의 변화에 의하여 악영향을 받지 않을 것이다.
파형(430)은 AFT제어범위가 확대되므로 또 다른 이점을 가진다. 만약 IF영상반송파(440)이 본 예에서는, 47.1㎒이상의 주파수로 전이되거나 또는 이상에 최초로 위치되었을 경우에, 이것은 제4d도의 IF통과대역(420)의 외측에 위치하므로서 희박해진다. 또한 이것은 제4c도의 면적(432)를 넘어서므로서 보통 AFT제어영역의 외측에 위치한다. 그러나, 영상 반송파로부터 고정된 주파수 분리인 음성반송파(442) NTSC시스템에서는 4.5㎒)는 IF통과대역내의 41.25㎒ 통신위치에있다. 이러한 높은 주파수에 있어서, 음성반송파는 파형(430)의 역곡선영역과 동등하며 여기서 파형은 X축상 위에서 정극성을 나타낸다.
AFT회로는 국부발진기를 재동조하므로 정극성의 영역(436)내의 음성반송파(442)의 위치에 응답하므로서 IF신호들은 주파수가 감소되어지며 음성반송파(442)는 IF통과대역내의 41.25㎒의 통상위치를 향하여 이동되기 시작할 것이다. 이렇게 되므로서, 영상반송파는 제4c도의 면적(432)내로 되돌아갈 때까지, 영상 반송파는 이동할 것이며 영상반송파의 통상 AFT제어는 다시 시작될 것이다. 그러므로, 제4c도의 역곡선은 유효 AFT제어범위를 확장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가 제5도 및 제6도에서 도시되어 있다. 우선 제5도를 참조하면, 모노리딕 집적회로형태로 설비하기에 매우 적당한 AFT회로가 도시되어 있으며 또한 외부에 위치한 변별기 회로망(20)을 포함하여 도시되어 있다. AFT회로는 AFT회로로서 동일 IC칩 100상에 위치하거나 하부에 위치한 IF증폭기(130)으로부터의 IF 입력신호를 수신한다.
IF입력신호들은 에미터전극이 트랜지스터(104)의 베이스 전극에 접속되고 콜렉터전극이 Vcc전압공급원에 접속된 트랜지스터(102)의 베이스전극에 인가되어진다. 트랜지스터(104)는 기준전위(접지점)의 공급원에 접속된 메미터 전극을 가지며 콜렉터전극으로부터 저항(106) 및 (108)을 통하여 트랜지스터(152) 및 (154)에 에미터전극에 각각 IF전류 신호를 공급한다. 트랜지스터(152) 및 (154)는 동일한 공통베이스 구조로서 배열되어 있으며 저항(120) 및 다이오드(114)의 접합에 이들의 베이스 전극들의 결합에 의하여 바이어스 되어진다.
저항(120)은 Vcc전압공급원으로부터 바이어스 전압을 제공하며 다이오드(116) 및 (118)과 동시에 다이오드(114)는 저항(120)으로부터 접지에 직렬로 연결된 이들의 정방향 바이어스된 접지 이상에 3개의 베이스 에미터 전압 강하들(3Vbe)과 같은 전압을 트랜지스터들(152) 및 (154)의 베이스에서 유지한다.
동상의 IF전류신호는 트랜지스터(152) 및 (154)의 콜렉터 전극들로부터 외부 IC단자 (110) 및 (112)에 각각 연결된다. 제1도에 도시된 것과 동일한 변별기회로망(20)은 외부 IC단자(110) 및 (112)양단에 결합된다.
설명을 쉽게 하기 위하여, 제5도의 변별기 회로망(20)은 제1도의 변별기로망(20)과 등일한 표시번호 로 표시되었으며 이에대한 또 다른 설명은 생략하겠다.
피동조 회로(22)에 의한 단자(110)에서 발생된 전압은 콜렉터전극이 Vcc공급원에 연결되었으며, 에미터전극이 저항(124)에 의하여 접지된 에바터 폴로워트랜지스터(122)의 베이스전극에 인가되어 진다.
트랜지스터(182)는 베이스전극이 트랜지스터(122)의 에미터 전극에 연결되며, 콜렉터전극 Vcc이 공급원에 연결되고 그리고 에미터전극으로부터 콜렉터전극에는 콘덴서(184)가 연결되어 있다. 트랜지스터(182) 및 콘덴서(184)는 피동조 회로(22)에 의하여 단자(110)에서 발생된 전압을 피이크검출하는 피이크검출회 로(180)를 포함한다.
피이크검파 콘덴서(184)는 트랜지스터(182)와 콘덴서(184)를 포함하는 동일한 루우프에 피이크검출 콘덴서 충전전류를 규정하도록 접지보다는 Vcc공급원에 접속되어 있다. 피이크 검출콘덴서를 접지점 기준으로 하면 충전전류 루우프가 접지점으로부터 Vcc전원에 되 돌아갈 때까지의 모든 전력공급로를 포함하는 것이 되며, 회로에 잡음 문제를 도입하는 것이 된다. 이 피이크 검출회로(180)은 피크 검출콘덴서(180)로 실시할 때 전압레벨로 부터 트랜지스터(182)의 에미터전극의 피이크 검출전압 레벨까지 충전하므로 이 문제를 해소할 수 있다.
에미터폴로워트랜지스터(126)와 피이크검출회로(170)은 피동조회로(26)에 의하여 지적된 점에서 발생된 전압을 피이크검출하도록 외부 IC단자(112)에 결합된다. 이들 회로소자들은 트랜지스터(122)와 피이크검출회로(180)과 동일한 방법으로 작동하므로 이들 소자들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겠다.
제6도를 참조하면, 피이크검출된 신호들은 차동 증폭기(190)의 입력에 연결된다. 콘덴서(174)에 의하여 축적된 검출된 피이크 레벨은 트랜지스터(192)의 베이스에 연결되며, 콘덴서(184)에 의하여 축적된 레벨은 트랜지스터(194)의 베이스에 결합된다. 트랜지스터(192) 및 (194)의 에미터전극들은 동시에 연결되며 전류원 트랜지스터(250)의 콜렉터에 연결된다. 트랜지스터(250)의 에바터전극은 저항(256)에 의하여 접지된다. 트랜지스터(250)의 베이스전극은 다이오드(252)의 에노드전극과 외부단자(260)에 연결된다. 다이오드(252)의 캐소우드전극은 저항(254)에 의하여 접지된다. 저항(254) 및 (256)의 저항값의 적당한 선택에 의하여 단자(260)에 인가된 전류는 다이오드(252) 및 저항(254)를 통하여 흐를 것이며, 트랜지스터(250)의 콜렉터-에바터통로를 통하여 반복되어질 것이다.
트랜지스터(192) 및 (194)의 콜럭터에서 발생된 차동적으로 연관된 신호들은 트런지스터(196) 및 (198)에 의하여 전압레벨이 단계적으로 상승한다. 트랜지스터(196)의 에바터전극은 트랜지스터(192)의 콜렉터 전극에 연결되며, 트랜지스터(198)의 에미터전극은 트랜지스터(194)의 콜렉터 전극에 연결된다. 트랜지스 터(196) 및 (198)의 베이스전극은 Vcc공급원에 연결된다. 트랜지스터(195) 및 (198)의 콜렉터에에서의 증폭되고 차동적으로 관련된 신호들은 전류반사 출력회로(300)의 두개의 입입력체 결합된다.
전류반사기(300)은 외부 IC단자들(330) 및(380)에서 차동적으로 변화하는 출력전류를 제공하는 동등한 반회로로 구성되어 있다. 제6도의 좌측상의 회로소자(320)내지(324)는 도면의 우측상의 회로소자(352)내지(374)에 직접적으로 대응한다. 전류반사기(300)의 설명을 간단히 하기 위하여, 제6도의 좌측상의 회로 소자(302)내지 (324)만이 상세히 설명되나, 이 설명이 대응회로소자들(352)내지(374)에 동등하게 적용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트랜지스터(198)의 콜랙터전극은 콘덴서(308), 트랜지스터(302)의 콜렉터전극 및 트랜지스터(306)의 베이스 전극의 접합에 연결되어 있다. 트랜지스터(302)의 에미터 전극은 저항(304)에 의하여 VDD공급전압원에 연결되며 콘덴서(308)의 제2면이 된다. VDD공급전압은 단자(330) 및 (380)에서 AFT전류들이 인가 되어진 국부 발진기내에 전압공급원과 조화되도록 통상적으로 선택된다. 트랜지스터(306)의 에미터전극은 트랜지스터들(302), (310) 및 (322)의 베이스전극에 결합된다. 트랜지스터(306)의 콜랙터전극은 접지된다.
출력트랜지스터(310)의 콜랙터전극은 외부 IC단자(330)과 트랜지스터(364)의 콜랙터전극에 접속되어 있다. 트랜지스터(310)의 에미터전극은 저항(312)로서 VDD공급원에 연결된다. 트랜지스터(322)는 저항(324)를 통하여 VDD공급원에 결합된 에미터전극과, 다이오드(318)의 에노드전극에 그리고 트랜지스터(314)의 베이스전극에 결합된 콜랙터전극을 갖고 있다. 다이오드(318)의 캐소우드 전극은 저항(320)에 의하여 접지되어 있으며, 트랜지스터(314)의 에미터전극은 저항(316)에 의하여 접지되었다. 트랜지스터(314)의 콜랙터전극은 외부 IC단자(380)과 출력트랜지스터 (360)의 콜랙터에 연결된다.
이상적으로는, 트랜지스터(198)의 콜랙터전류는 전류반사기(330)에 의하여 재인가되어야만 하며, 트랜지스터들(310) 및 (322)의 콜랙터에 의하여 재공급되어져야 만 한다.
거의 비슷한 전류재인가를 제공하는 간략화된 전류반사기는 베이스로 부터 트랜지스터(302)의 콜랙터에 직결됨으로서 대치된 트랜지스터(306)을 갖는 상술된 회로소자들을 포함한다.
그러나, 이러한 배열은 트랜지스터(310) 및 (322)내에 오차 콜랙터 전류들을 다음 경우에 발생할 것이다. 즉, 전류 반사기가 비교적 낮은 β(이득) PNP 트랜지스터로서 구성된 경우이다. 제6도에서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트랜지스터(306)의에미터전극으로의 통로는 트랜지스터들(302), (310) 및 (322)(3IB)의 베이스전류를 도통하여야만 한다. 트랜지스터(306)이 트랜지스터(302)의 베이스와 콜랙터 사이의 직접 접속 대신에 배치된다면, 트랜지스터(198)의 콜랙터전류는 트랜지스터(302)의 콜랙터전류(IC)와 트랜지스터(302), (310) 및 (322)의 세개의 베이스전류(3IB)의 합이 된다. 트랜지스터(302), (310)및 (322)가 낮은 β트랜지스터인 경우에, 세개의 베이스 전류들을 전류 IC와 비교할 때 명확히 다르며 그리고 트랜지스터(310) 및 (322)의 제각기 콜랙터전류들 IC는 트랜지스터(198)의 콜랙터전류(IC+3IB)와 달라질 것이다.
그러나, 전류반사기(300)이 트랜지스터(302), (310) 및 (322)용 베이스 전류원과 같은 트랜지스터(306)으로 구성된 경우에는, 3IB의 전류오차는 감소되어질 것이다.
왜냐하면, 3IB의 베이스전류들은 단지 베이스전류가 3IB/β를 요구하는 트랜지스터(306)의 에미터-콜랙터 통로에 의하여 도통되기 때문이다. 여기서 β는 트랜지스터(306)의 이득이다. 그러므로 트랜지스터들 (310) 및 (322)의 각각의 콜랙터전류들과 트랜지스터(198)의 콜랙터 전류사이의 차이 3IB는 3IB/β의 차이로 감소되어진다. 예를들어 트랜지스터(306)의 β가 10인 경우에, 3IB전류오차는, 0.3IB로 감소되어질 것이다. 이러한 회로는 β2전류반사기로서 알려져 있기 때문에, 만약 트랜지스터(302), (310) 및 (322)의 이득이 본 발명에서 사용된 트랜지스터의 β의 자승이라면 직결된 트랜지스터(306)과 대채된 회로와 정확히 정합될 수 있다.
외부 IC 단자(330) 및 (380)에서 발생된 출력 AFT 전류들은 차동적으로 변화한다. IC 단자(330)에서의 출력전류는 트랜지스터(196)의 콜랙터전류보다 작은 트랜지스터(198)의 콜랙터전류와 동등하며 IC 단자(199)에서의 출력전류는 트랜지스터(198)의 콜랙터전류보다 작은 트랜지스터(196)의 콜랙터전류와 동등하다. 제6도에서는 트랜지스터(198)의 콜랙터전류가 트랜지스터(310)내에 근본적으로 동일한 콜럭터전류를 제공하도록 전류반사기 트랜지스터(302), (306) 및 (310)에 의하여 재인가된다. 동일하게 트랜지스터(196)의 콜랙터전류는 트랜지스터(352), (356) 및 (372)에 의해 재인가되어 트랜지스터(372)에 사실상 동일한 콜랙터전류를 발생한다. 트랜지스터(372)의 콜랙터 전류는 트랜지스터(364)와 함께 고이득 NPN 전류 반사기 구성에 배치된 다이오드(308)에 흘러 트랜지스터(364)에 정합콜랙터 전류를 발생한다. 그러므로, IC 단작(330)에서 재공됨 출력 AFT전류는 트랜지스터(310) 및 (304)의 콜랙터 전류 사이의 차이(트랜지스터(198) 및 (196)의 콜랙터전류들 사이의 차이와 같음)와 동등하다. 동일하게 IC 단자(380)에서 제공된 출력단자 AFT 전류는 트랜지스터(350) 및 (314)의 콜랙터 전류차이와 동등하며 트랜지스터(196) 및 (198)의 콜랙터전류 사이의 차이와 동등하다.
제5도에서의 IF 증폭기(130)에 의하여 제공된 IF 영상반송파의 주파수가 피동조 회로(22) 및 (26)의 응답특성의 교차파수와 동일한 경우, 동일한 전압들이 외부 IC단자(110)과 (112)에서 변별기회로 망에 의하여 발생된다. 이들 전압들은 피이크검출기(180) 및 (170)에 의하여 검출되며 차동증폭기(190)의 입력에 인가된다.
이것은 트랜지스터(196) 및 (198)내의 실질적으로 동일한 콜랙터전류들의 흐름을 유발하며 그리고 이들의 차이는 IC 단자들(330) 및 (380)에서 AFT 출력전류가 없도록 한다.
그러나, 입력 IF 신호가 동조된 회로들(22) 및 (26)의 교차주파수로 부터 떨어져 전이한 경우에는, 외부 IC단자(110) 및 (112)에서 발생되며 피이크검출기(180) 및 (170)에 의하여 검출된 차동적 변화전압들은 트랜지스터(196) 및 (198)에서 차동적으로 관련된 콜랙터전류의 발생을 유발한다.
이들 콜랙터전류들은 전류반사기(300)에 의하여 조합되므로, IC 단자(330) 또는 (380)중 하나에서 한가지 극성의 전류를 유발하며 그리고 나머지 IC 단자에서 반대극성의 동등 크기전류흐름을 유발한다. 이들 AFT 전류들은 텔레비죤 동조기의 국부발진기내의 가변성 반응 동조소자의 반응을 바꾸는데 사용되어 진다.
IF 주파수내의 여러가지 전이들에 대응하는 AFT 출력전류들의 진폭들은 차동증폭기(190)에 대한 공급 전류원인 다이오드(252) 및 트랜지스터(250)을 포함하는 전류반사기에 의하여 제조된다. 압력전류가 외부 단자(260)에 공급된 경우, 압력전류는 다이오드(252)에 의하여 접지에 도통되어지며, 트랜지스터(250)의 콜랙터전류는 차동증폭기 트랜지스터(192) 및 (194)에 의하여 분할되어지며 트랜지스터(196) 및 (198)에 인가되어지며 여기서 분할된 전류들은 트랜지스터들(196) 및 (198)의 콜랙터에서 나타난다. 그러므로 전류반사기(300)에 공급된 총 전류는 IC 단자(260)에 인가된 전류에 의하여 제어되어지며 APT 출력전류의 크기도 따라서 제어된다.
전류출력들의 광대역 이상으로 작동하는 전류반사기(300)으로서, 트랜지스터들(302) 및 (306) 그리고 트랜지스터들(302) 및 (306)에 의하여 규정된 두 개의 루우프들은 어떤 신호와 부하상태에 따라서 발진하는 경향이 있다. 이들 바람직스럽지 않은 발진을 방지하도록, 콘덴서들(308) 및 (358)은 트랜지스터(302) 및 (352)의 에미터-콜랙터 양단에 제각기 결합되어 졌었다. 이들 콘덴서들은 루우프전이 기능의 근궤적 좌표내의 단일 우성극을 정함에 의하여 제각기 트랜지스터 루우프내의 발진을 방지할 수 있다. 제5도 및 제6도를 참조하여 설명된 AFT 회로는 제7도에서 도시된 바와 같은 텔레비죤수신기내의 동조 바렉터 다이오드의 용량을 변화하도록 사용된다. 이러한 도면에 참조된 것은 제5도 및 제6도의 집적회로(100)가 부분적으로 도시된 외부 IC 단자(330) 및 (260)에 접속된 단지 집적회로 소자들만 갖도록 부분적으로 설명될 것이다. 본 발명의 이러한 실시예에 있어서, 단지 하나의 AFT 출력단자(330)이 사용된다. 다른 단자(380)는 접속되지 않은 채로 남아 있게 된다.
바렉터다이오드(510)에 대한 동조전압은 동조전압원(502)에 의하여 제공된다. 동조전압은 텔레비죤 수신기가 동조된 선택채널에 따라서 변화한다. 동조전압원(502)에 의하여 공급된 전압 VT는 저항 RT를 통하여 바렉터 다이오드(510)의 캐소우드전극에 인가된다. 또한 이러한 동조전압은 집적회로(100)의 IC 단자(260)에 결합되며, 전류 i2를 제공하도록 저항(504)에 인가되어 진다. 전류 i2는 VS전압원으로 부터 저항(506)에 의하여 단자(260)에 결합되는 일정전류 i2조합된다. 전류 i1및 i2합계는 i1+i2와 동등한 트랜지스터(250)내의 콜랙터전류를 발생하도록 다이오드(252) 및 저항(254)에 의하여 접지된다. 트랜지스터(250)의 콜랙터전류 i1+i2는 외부 IC단자(330)에서 차동 출력 AFT 전류 iAPT를 제공하도록 전술되어진 바와같이 차동증폭기(190)에 의하여 분할된다. AFT 전류 iAPT는 저항 RAPT를 통하여 바렉터다이오드(510)의 캐소우드 전극에서 RT 양단에 AFT 제어전압성분을 나타내도록 결합된다. 그러므로, 바렉터다이오드(510)은 접지에 대하여 캐소우드 전극에서 인가된 AFT 전압과 동조로부터 발생되는 네트(net) 전압에 의하여 결정되는 용량을 가질 것이다. 이러한 용량은 R.F에서 I.F 신호변환에 대한 고정주파수에 포함되는 국부 발진기를 동조하도록 동조기(500)에 결합된다.
바렉터다이오드(510)의 용량이 인가된 전압으로서 비선형적으로 변화하나 제8도에서 곡선(600)으로 표시된 비직선적으로 변화한다. 이 도면에서 표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낮은 채널에서 작은 전압변화 ΔVAFTL은 바렉터다이오드 용량에서 영역 ΔC를 넘어서 변화를 나타내는 출력 AFT 전류 ΔiAFTL에서 작은 전폭 변화를 나타낸다. 그러나, 높은 채널에서 동일한 용량변화 ΔC를 얻기 위하여서는, 출력 AFT전 류는 큰 AFT 전압변화 ΔVAFTL를 발생하도록 보다 큰 변화 ΔiAPTH를 가져야 한다. 제7도의 회로배열 장치는 텔레비죤수신기가 높은 채널로 스위치된 경우에 이러한 특성을 가지며, 동조전압원(502)에 의하여 제공된 동조전압 및 전류 i2는 증가한다. 전류 i1및 i2합계가 증가될 것이므로 IC단자(260), 다이오드(252) 및 트랜지스터(250)으로 구성된 전류 반사기에 더욱 큰 전류를 공급하게 된다. 그러므로 트랜지스터(250)에 의하여 차동증폭기(190)에 공급된 콜랙터전류는 증가되며 출력 AFT 전류 iAFT의 크기도 증가된다. 보다 큰 AFT 전류 iAFT는 일정영역의 용량값 ΔC 넘어서 변화되는 바렉터다이오드의 용량을 허용하도록, 바렉터다이오드(510)의 캐소우드전극에서 변화하는 보다 큰 AFT 전압을 제공할 것이다. 그러므로 동조기(500)에 결합된 용량은 변화제한의 근본적 일정영역을 넘어서 AFT 회로에 의하여 변화하므로서 텔레비죤 수신기가 채널에서 채널로 동조된다.
본 발명의 AFT 회로가 출력 APT 전류의 진폭영역이 집적외부 단자(260)에 인가된 전류가 변화함에 의하여 변화되는 제7도에서 도시된 바와 같은 실시예에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지만, AFT 신호범위가 일정해야할 필요가 있는 용도에도 용이하게 이용할 수 있다. 예를들자면, 본 발명의 AFT 회로의 실시예는 고정된 AFT 신호영역을 활용하는 미합중국 인디아나 인디아나-폴리스 RCA 주식회사에 의하여 발행 공고된 CTC-87형 수신기용 RCA 서비스데이타 1978내에 기술된 텔레테죤 수신기에 대한 AFT 신호를 제공하도록 사용되어질 수 있다. 제7도의 AFT 회로는 고정된 전류원이 IC 외부단자(260)에 연결된 경우에, 전류크기의 선정된 영역을 갖는 출력 AFT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이것은 VDD공급단자(390)으로부터 단자(260)에 외부저항(392)으로 연결함으로서 달성할 수 있다. 외부저항(392)는 다이오드(252)와 트 랜지스터(250)에 일정전류를 전도하여 차동증폭기(190)에 의하여 분할되는 일정 에미터전류를 제공한다. 전류크기의 범위는 외부저항(392)의 값을 선택하므로 결정되며, 이 저항은 출력전류 신호를 AFT 신호에 의하여 제어되는 동조기의 요구에 정확히 정합되게 한다.

Claims (1)

  1. 선정된 기준주파수로 부터 제1주파수 편차와 반대인 제2주파수편차보다 제1주파수편차에 대하여 더 큰 진폭을 가진 입력신호의 주파수 편차를 검출하기 위한 주파수 변별장치에 있어서, 제1주파수편차에서 선정된 기준 주파수와 다른 공진주파수를 가지며 상기 제1공진주파수에서 주어진 임피던스를 나타내는 제1 동조회로(22)와, 제2주파수편차에서 상기 선정된 주파수와 다른 공진주파수를 가지며 상기 주어진 임피던스보다 더 큰 제2공진주파수에서 임피던스를 나타내는 제2동조회로(26)와, 제1 제2동조회로에 입력신호를 인가하는 장치(12, 14) 및 상기 각각의 동조회로에 결합되어 입력신호에 응답하는 동조회로에 의하여 발생된 전압신호를 검출하는 제1 제2 검출기회로망(30, 40)을 특징으로 하는 AFT회로.
KR7903788A 1978-10-30 1979-10-30 Aft 회로 KR82000235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95551678A 1978-10-30 1978-10-30
US955516 1978-10-3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20002355B1 true KR820002355B1 (ko) 1982-12-23

Family

ID=254969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7903788A KR820002355B1 (ko) 1978-10-30 1979-10-30 Aft 회로

Country Status (14)

Country Link
US (1) US4321624A (ko)
JP (1) JPS5561147A (ko)
KR (1) KR820002355B1 (ko)
AU (1) AU536636B2 (ko)
CA (1) CA1135403A (ko)
DE (1) DE2943801C2 (ko)
ES (1) ES485498A1 (ko)
FI (1) FI793290A (ko)
FR (1) FR2440654A1 (ko)
GB (1) GB2034545B (ko)
IT (1) IT1124686B (ko)
NZ (1) NZ191962A (ko)
PL (1) PL125477B1 (ko)
SE (1) SE43840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HU182370B (en) * 1981-08-25 1983-12-28 Tavkoezlesi Kutato Intezet Arrangement for resetting carrier
WO2014121290A1 (en) 2013-02-04 2014-08-07 Kumu Networks Signal cancellation using feedforward and feedback paths
US9698860B2 (en) 2013-08-09 2017-07-04 Kumu Network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self-interference canceller tuning
KR102222353B1 (ko) 2013-08-09 2021-03-03 쿠무 네트웍스, 아이엔씨. 비선형 디지털 자기 간섭 제거를 위한 시스템 및 방법
US9054795B2 (en) 2013-08-14 2015-06-09 Kumu Network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phase noise mitigation
CN105493416A (zh) 2013-08-29 2016-04-13 库姆网络公司 全双工中继装置
US10673519B2 (en) 2013-08-29 2020-06-02 Kuma Networks, Inc. Optically enhanced self-interference cancellation
US9520983B2 (en) 2013-09-11 2016-12-13 Kumu Networks, Inc. Systems for delay-matched analog self-interference cancellation
US10230422B2 (en) 2013-12-12 2019-03-12 Kumu Network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modified frequency-isolation self-interference cancellation
US9774405B2 (en) 2013-12-12 2017-09-26 Kumu Network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frequency-isolated self-interference cancellation
US9712312B2 (en) * 2014-03-26 2017-07-18 Kumu Network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near band interference cancellation
US9521023B2 (en) 2014-10-17 2016-12-13 Kumu Networks, Inc. Systems for analog phase shifting
US9712313B2 (en) 2014-11-03 2017-07-18 Kumu Networks, Inc. Systems for multi-peak-filter-based analog self-interference cancellation
US9673854B2 (en) 2015-01-29 2017-06-06 Kumu Networks, Inc. Method for pilot signal based self-inteference cancellation tuning
US9634823B1 (en) 2015-10-13 2017-04-25 Kumu Networks, Inc. Systems for integrated self-interference cancellation
US9800275B2 (en) 2015-12-16 2017-10-24 Kumu Network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out-of band-interference mitigation
US9819325B2 (en) 2015-12-16 2017-11-14 Kumu Networks, Inc. Time delay filters
US10666305B2 (en) 2015-12-16 2020-05-26 Kumu Network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linearized-mixer out-of-band interference mitigation
US9742593B2 (en) 2015-12-16 2017-08-22 Kumu Network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adaptively-tuned digital self-interference cancellation
WO2017189592A1 (en) 2016-04-25 2017-11-02 Kumu Networks, Inc. Integrated delay modules
US10454444B2 (en) 2016-04-25 2019-10-22 Kumu Networks, Inc. Integrated delay modules
WO2018183384A1 (en) 2017-03-27 2018-10-04 Kumu Network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intelligently-tunded digital self-interference cancellation
US10236922B2 (en) 2017-03-27 2019-03-19 Kumu Network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tunable out-of-band interference mitigation
CN110463033B (zh) 2017-03-27 2023-09-29 库姆网络公司 增强型线性混频器
US10200076B1 (en) 2017-08-01 2019-02-05 Kumu Networks, Inc. Analog self-interference cancellation systems for CMTS
EP3759844A4 (en) 2018-02-27 2021-11-24 Kumu Networks, Inc. SYSTEMS AND PROCEDURES FOR CONFIGURABLE HYBRID SELF-INTERFERENCE SUPPRESSION
US10868661B2 (en) 2019-03-14 2020-12-15 Kumu Network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efficiently-transformed digital self-interference cancellation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821484A (en) * 1957-02-21 1959-10-07 Collins Radio Co Frequency and phase discriminator
GB916160A (en) * 1958-03-29 1963-01-23 Emi Ltd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frequency discriminator circuits
NL247409A (ko) * 1959-01-15
GB1105114A (en) * 1964-04-13 1968-03-06 Kokusai Electric Co Ltd Electromechanical resonators and electric circuit devices utilizing the same
US3502988A (en) * 1966-09-08 1970-03-24 Philco Ford Corp Tuning circuit including a signal-controlled variable capacitance device
BE711338A (ko) * 1967-03-02 1968-07-01
US3444477A (en) * 1967-06-26 1969-05-13 Rca Corp Automatic frequency control apparatus especially suitable for integrated circuit fabrication
US3577008A (en) * 1969-01-22 1971-05-04 Rca Corp Automatic frequency control apparatus
NL173342C (nl) * 1973-08-03 1984-06-18 Philips Nv Televisieontvanger met een automatische afstemcorrectieschakel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536636B2 (en) 1984-05-17
CA1135403A (en) 1982-11-09
SE438404B (sv) 1985-04-15
GB2034545A (en) 1980-06-04
IT1124686B (it) 1986-05-14
FR2440654A1 (fr) 1980-05-30
FR2440654B1 (ko) 1983-04-29
PL125477B1 (en) 1983-05-31
PL219324A1 (ko) 1980-08-11
DE2943801C2 (de) 1986-01-16
US4321624A (en) 1982-03-23
SE7908774L (sv) 1980-05-01
NZ191962A (en) 1983-05-31
FI793290A (fi) 1980-05-01
GB2034545B (en) 1983-05-11
IT7926842A0 (it) 1979-10-26
JPS5561147A (en) 1980-05-08
DE2943801A1 (de) 1980-05-14
AU5205479A (en) 1980-05-08
ES485498A1 (es) 1980-05-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820002355B1 (ko) Aft 회로
KR900002955B1 (ko) 필터회로의 시정수 자동조정회로
US5486796A (en) Oscillator circuit for receiving a wide frequency band signal
FI64257C (fi) Reglerad oskillator
US4945313A (en) Synchronous demodulator having automatically tuned band-pass filter
US4524389A (en) Synchronous video detector circuit using phase-locked loop
KR840000112B1 (ko) 텔레비젼 신호처리장치
US4288875A (en) Controlled local oscillator with apparatus for extending its frequency range
US5072298A (en) Auto-tuning circuit for an active filter used in video signal processing
US4342000A (en) FM Detecting circuit
US4758794A (en) Sound intermediate frequency discriminator
CA1038076A (en) Noise compensation in a t.v. receiver
US3444477A (en) Automatic frequency control apparatus especially suitable for integrated circuit fabrication
US3946148A (en) Television receiver operable in exact or extended range tuning modes
JPH08265202A (ja) 同調回路
US4127825A (en) Linear frequency discriminator
KR850000315B1 (ko) 위상보상 제어발진기
US4220974A (en) AFT circuit
US5293135A (en) FM demodulator with self-tuning quadrature detector
US4263614A (en) Phase tracking loop circuit
US4850039A (en) Transistor mixer
JPS5970026A (ja) 発振回路
KR800001022B1 (ko) 제어 발진기
KR0138363B1 (ko) 전압제어발진기
US4602217A (en) FM demodulator capable of shifting demodulation-band center frequenc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