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20002300Y1 - 타일 절단선 표시구 - Google Patents

타일 절단선 표시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20002300Y1
KR820002300Y1 KR2019810004265U KR810004265U KR820002300Y1 KR 820002300 Y1 KR820002300 Y1 KR 820002300Y1 KR 2019810004265 U KR2019810004265 U KR 2019810004265U KR 810004265 U KR810004265 U KR 810004265U KR 820002300 Y1 KR820002300 Y1 KR 82000230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le
piece
cut
angle
pressing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1000426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진호
Original Assignee
김진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진호 filed Critical 김진호
Priority to KR2019810004265U priority Critical patent/KR82000230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2000230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20002300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1/00Implements for finishing work on build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rocessing Of Stones Or Stones Resemblance Materials (AREA)
  • Length-Measuring Instruments Using Mechanical Means (AREA)
  • A Measuring Device Byusing Mechanical Method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타일 절단선 표시구
제1도는 본 고안의 전체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도,
제3도는 제1도의 A-A선 단면도,
제4도는 제1도의 B-B선 확대 단면도 이다.
본 고안은 타일 공사중에 타일을 절단하여 사용하여야 할때 선택된 절취선을 따라서 정확하게 절단할 수 있도록 각도눈금이 표시된 누름판의 일측에 삼각편과 일체인 각도편을 나비너트로 유착하고 누름판의 절곡편에는 안내공이 천공된 지지관을 착설하여 지지관에는 곡면부가 형성된 탄발편을 삽착하여 압압핀과 일체인 작동봉을 압압하도록 하였으며 누름판에는 눈금을 표시한 투명판을 접착시켜서 된 타일 절단선 표시구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타일을 절단할때 눌러주는 별도의 기구가없이 망치로 그대로 절단하여야 하는데 필요한 절단선대로 절단이 되지 않을때는 다른 타일로 다시 절단하여야 하며 또 어느정도 근사치 있게 절단된다 하여도 절단면을 다듬어 주어야 하는 결점이 있어서 작업능률이 저하되면서도 재료의 손실까지 많았다.
그러나 본 고안에서는 절단되는 타일에 표시되는 절취선을 표시하여 절단하고저 하는 부분의 각도와 폭을 정확하게 절단하므로서 재료를 절감하고 작업시간도 단축할 수 있게 안출한 것으로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전방으로 절곡편(1)을 형성한 누름판(2)의 일측상부에서 나비너트(3)로 유착시킨 각도편(4) 선단에 일체로 돌출된 참각편(4′)으로 각도눈금(5)에 맞추어 각도를 잴 수 있게하고 절곡편(1)에는 투명판(6)을 접착하되 눈금(6′)을 표시하고 절곡편(1) 저면에는 안내공(7)(7′)이 각각 천공된 지지관(8)(8′)을 착설하되 지지관(8)에 곡면부(9)가 형성된 탄발편(10)을 지지관(8)에 삽착하여 안내공(7)(7′)에서 좌우로 진행하는 작동봉(11)을 견고하게 밀어주도록 한 것이다.
도면중 미설명부호 12는 타일이며 13는 작동봉(11) 일단에 고정되어 타일(12)을 밀어주는 압압편이다.
이와 같은 구조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타일(12) 공사를 하다부면 타일을 수직면이나 경사면이되게 절단하여야 하는데 경사면이되게 타일(12)을 절단할때는 각도편(4)과 일체인 삼각편(4′)을 각도눈금(5)에 맞추어 정해진 각도가 몇도인가를 확인하여 제1a도에서와 같이 절단되는 타일에 각도 표시를 할 수 있다.
그리고 수직으로 타일(12)을 절단할때는 제2b도와 같이 절단되는 부분에 누름판(2)이 측면(2′)과 일치되게 올려놓고 작동봉(11)과 동체인 압압핀(13)을 잡아당겨 그 압압핀(13)으로 절단되는 타일면에 밀착시킨 후에 압압판(2)을 눌러주고 절단하고져하는 부분에 절취선을 표시할 수 있다.
더욱이 투명판(6)에는 눈금(6′)이 표시되어 있어서 필요한 부분의 폭을 정확하게 잴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곡면부(9)가 지지관(8)을 탄발하여 주므로 작동봉(11)을 견고하게 압압하여 주고 있어서 임의로 견인하지 않는 한 이탈되지 않는 효과이다.
이와 같이 절단하고져 하는 타일에 각도와 수직선으로 표시된 절취선을 따라 절단할 수 있어서 작업시간의 단축과 재료 손실을 절감할 수 있는 일석이조의 효과를 가지는 것이어서 실용적 가치가 큰 것이다.

Claims (1)

  1. 도면에 표시한 바와 같이 각도눈금(5)이 표시된 누름판(2) 일측에 삼각편(4′)이 형성된 각도편(4)을 나비너트(3)로 유착하고 누름판(2)의 절곡편(1)에는 안내공(7)(7′)이 천공된 지지관(8)(8′)을 착설하되 지지관(8)에는 곡면부(9)의 타발편(10)을 삽착하여 압압편(13)과 일체인 작동봉(11)을 압압하도록하고 누름판(2)에 눈금(6′)이 표시된 투명판(6)을 장착하여서된 타일 절단선 표시구.
KR2019810004265U 1981-06-15 1981-06-15 타일 절단선 표시구 KR82000230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10004265U KR820002300Y1 (ko) 1981-06-15 1981-06-15 타일 절단선 표시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10004265U KR820002300Y1 (ko) 1981-06-15 1981-06-15 타일 절단선 표시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20002300Y1 true KR820002300Y1 (ko) 1982-10-23

Family

ID=192221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10004265U KR820002300Y1 (ko) 1981-06-15 1981-06-15 타일 절단선 표시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20002300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818644A (en) Wallboard measuring and cutting device
US5088682A (en) Facia installation holder
ATE213321T1 (de) Vorrichtung zur befestigung an ein freies ende eines massbandes
EP1145814A3 (en) Tile cutter
US4791732A (en) Adjustable marking gauge
US4334360A (en) Pencil marking jig
KR820002300Y1 (ko) 타일 절단선 표시구
US7546688B2 (en) Parallel ruler device
EP0376111A3 (de) Testträger-Analysesystem
US4503615A (en) Guide structure
US20040123713A1 (en) Punch assembly and methods of using same
CN110953962A (zh) 一种墙体材料厚度取样测量装置
JPS57163803A (en) Length measuring tool
JP3554590B2 (ja) けがき定規
JP4200295B2 (ja) 丸ノコカッタ定規
CN213956204U (zh) 厚度测量仪
CN218034696U (zh) 一种卷尺定位器
KR860001835Y1 (ko) 콤파스 겸용 줄자
CN210268404U (zh) 一种高精度量具
US839669A (en) Scissors cutting-gage.
US3813785A (en) Vernier attachment
KR200497256Y1 (ko) 나무판에 선을 긋는 장치
JP3006631U (ja) 定規体
JPS6244325Y2 (ko)
KR920001531B1 (ko) 열가소성 수지관의 내압 측정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