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20002143B1 - 검류기 - Google Patents

검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20002143B1
KR820002143B1 KR7803349A KR780003349A KR820002143B1 KR 820002143 B1 KR820002143 B1 KR 820002143B1 KR 7803349 A KR7803349 A KR 7803349A KR 780003349 A KR780003349 A KR 780003349A KR 820002143 B1 KR820002143 B1 KR 8200021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densate
chamber
outlet
inlet
separ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78033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키이스 휘이어 레이먼드
에드워드 부릿지즈 로버어트
Original Assignee
피이터어 안소니 스미스
스파이락스 사아코 리미팃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피이터어 안소니 스미스, 스파이락스 사아코 리미팃드 filed Critical 피이터어 안소니 스미스
Priority to KR78033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82000214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200021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200021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1/00Measuring the volume flow or mass flow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wherein the fluid passes through a meter in a continuous flow
    • G01F1/05Measuring the volume flow or mass flow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wherein the fluid passes through a meter in a continuous flow by using mechanical effects
    • G01F1/34Measuring the volume flow or mass flow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wherein the fluid passes through a meter in a continuous flow by using mechanical effects by measuring pressure or differential pressure
    • G01F1/36Measuring the volume flow or mass flow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wherein the fluid passes through a meter in a continuous flow by using mechanical effects by measuring pressure or differential pressure the pressure or differential pressure being created by the use of flow constriction
    • G01F1/37Measuring the volume flow or mass flow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wherein the fluid passes through a meter in a continuous flow by using mechanical effects by measuring pressure or differential pressure the pressure or differential pressure being created by the use of flow constriction the pressure or differential pressure being measured by means of communicating tubes or reservoirs with movable fluid levels, e.g. by U-tub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eparating Particles In Gases By Inertia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검류기
제1도는 제1차형인 검류기의 일차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제2도는 제1도의 이차작동상태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제3도는 제2차형인 검류기의 1차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제4도는 제3도의 2차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본 발명의 증기유통계통에 사용되며, 또한 증기트랩과 검류기로 구성되는 증기트랩설비에 있어서의 검류기(fluid flow monitor)에 관한 것이다.
보통 사용되는 검류기에서는 유선과 흐름의 상태를 점검창이라는 유리창을 통해 관찰하며 이를 해석하기 위한 기술이 요구된다. 더우기 유리에 먼지가 자주끼어 관찰을 어렵게 하거나 불가능 하게 한다. 본 발명의 특징은 유통계통에 연결되므로 해서 응축수를 수용하는 용기로 작용하게 되는 유입구와 유출구를 가진 체임버(chamber)로 구성된 검류기 설비로서, 체임버에 형성되어 있는 이들 유입구와 유출구 사이에는 격리판(baffle)이 설치되고 이 체임버에 응축수가 모이는데 증기유통에 의하여 유출구에 압력강하가 생기면 격리판의 유출구쪽에 포집된 응축수의 수위는 증가하는 동시에 격리판의 유입구쪽에 포집된 응축수의 수위는 감소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검류기는 증기유통과정에서 유출구에 생기는 압력강하로 인한 응축수의 수위변화의 정도가 예정치에 도달했는지의 여부를 탐지할 수 있는 전극을 설치하고있는데 이 전극은 체임버의 대부쪽으로 돌출 되어 있으며, 포집된 응축수와 접하는 전도성(電導性)면적으로 부터 전기적으로 절연되어 있다. 이 전극의 위치는 유출구의 압력강하로 인한 예성치로의 수위변화가 전극에서 시작하여 응축수를 경유하고 전도성면적으로 통하게 되어 있는 전기전도 경로를 끊음으로써 증기유통계의 증기흐름을 검사하는 전기적 표시가 나타나도록 결정된다.
본 발명의 또 한가지 특징은 증기트랩설비를 갖추고 있는 것인데, 전술한 바와 같은 검류기의 유출구와 증기트랩의 유입구가 통하고 있기 때문에 증기가 검류기를 경유하여 트랩이 되면 검류기에서는 트랩된 증기로 인하여 검류기기의 체임버에 있는 유출구쪽의 압력은 강하되고 이 압력강하는 충분히 응축수의 수위를 예정치까지 변화시키게 되어 이 수위 변화가 검류기에 표시된다. 제시된 바와 같이 검류기는 먼지에 의해 흐릿해 지지않고 시선에 맞출 필요가 없으며 사용시 아무런 기술도 요구되지 않는다. 더우기 여기서 제외된 검류기는 간단하며 간결하게 고안되었다. 본 발명의 작용효과를 한층 더 이해하기 쉽게 하기 위해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 있는 검류기는 각각 체임버(1)를 가지고 있고 이 체임버에는 유입구(2)와 유출구(3)가 있어서 증기가 통하게 되어 있으며 이 체임버는 응축수(4)가 수용이 되게끔 하나의 용기로 작용한다. 제1도와 제2도에 있는 검류기기중에서 유입구(2)와 유출구(3)는 체임버의 상부측에 위치하기 때문에 응축수는 이체임버의 하부에 포집되며 검류기는 수평으로 파이프 중간에 설치된다. 제1도와 제2도의 검류기에는 유입구(2)와 유출구(3)사이에 격리판(5)이 설치되는데 이 격리판(5)은 체임버(1)의 천정에서부터 시작하여 응축수가 포집되는 체임버밑바닥 가까이 내려와 있으며 또한 이 격리판에는 유입구(2)와 유출구(3)의 위치와 동일한 수준이 되도록 구멍(5A)을 형성시킨다. 이러한 격리판(5)은 수직으로 위치하지만 경사지게 할 수도 있다. 예를들자면 체임버(1)밑바닥 가까이 있는 격리판 끝을 유입구(2)쪽을 향하여 경사지게 하는 것이다.
응축수를 포집하는 체임버(1)의 벽부분에 전극(6)을 전도성 설치판(7)에 장치하여 설치판(7)과 전기절연을 시키고 체임버(1)의 다른 부분과도 전기절연을 시킨다. 전극(6)을 응축수가 포집되는 체임버 내부로 돌출시킨다.
제3도와 제4도의 검류기는 유입구(2)가 체임버(1)의 상부에 위치하며 유출구(3)는 하부에 위치한다. 이 검류기는 파이프 중간에 수직으로 설치되는데 이때 유출구(3)는 직립(直立)의 연장도관(導管)(3A)과 연결되며 이 유출구(3)의 상단은 체임버(1)에 포집되는 응축수(4)의 수위를 결정하게 된다.
이 도관(3A)은 직립 격리판(50)속에 위치하며, 한편 격리판(50)은 케이싱(casing)으로 형성된 것으로 체임버(1)저면(底面)위에 설치하여 도관(3A)과 케이싱 사이에 틈새가 생기도록 한다. 케이싱의 수직벽은 체임버 위에서 관통구멍(50A)을 형성시킨다.
제1도 및 제2도의 검류기의 경우에서와 같이 제3도와 제4도의 검류기에는 체임버(1)의 벽부분에 응축수가 포집되며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전극(6)과 설치판(7)이 있는데 연장도관(3A)의 끝보다 밑이며 구멍(50A)보다 위에 오도록 체임버 안쪽에 돌출시킨다. 전도성 설치판(7)은 체임버 내부에 노출되게 된다. 각 형태에서 전극(6)과 설치판(7)에는 전원, 예로서 건전지 같은 전원이 있는 회로와 제어함(10)이 연결되며 이 제어함에는 두가지 표시등(9)이 있는데 회로가 연결될 경우에 녹색등이 켜지도록 한다. 그 이유로서는 응축수(4)중에 전극(6)이 들어가게되면 전극(6)과 설치판(7)이 전기적으로 통하게 되기 때문이다.
한편 전극이 응축수(4)중에 들어가지 않으면 전기통로는 단절케 되어 적색등이 켜지도록 한다. 여기서 알수 있는 것은 제어함(10)은 전극(6)과 검류기의 설치판(7)과 반드시 영구적으로 연결되어야만 하는 것은 아니며 제어함 하나만 가지고서도 검류기 여러개와 차례로 연결시켜 응축수가 전극위치까지 도달했는지의 여부를 점검해 볼수 있다는 것이다. 대신에 여러개의 검류기에 각각 전극과 설치판을 장치하고 이것들을 한대의 중앙제어반에 연결시키는 방법도 있다.
램프(9)대신에 전력계기 같은 장치를 사용하여 전극과 설치판사이에 전도경로(電導徑路)가 있는지를 점검할 수도 있다.
도달하기 어려운 위치에 있는 검류기에는 유도도선(誘導導線)을 인출하여 접근가능한 위치까지 이끌어오면된다.
제1도는 증기트랩의 유입구와 체임버의 유출구(3)를 연결시키므로서 트랩이 될 증기가 유통도중 검류기를 거치도록 한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제1도에 있는 바와 같이 증기트랩이 폐쇄되면 응축수는 체임버(1)내의 격리판 양쪽에서 동일수위(도면에서 유입구(2)와 동일한 수면)를 유지하게되며 전극(6)과 설치판(7)이 이 응축수를 통하여 연결된다. 소량의 증기가 증기트랩중에서 응축되며 또한 트랩과 검류기 사이의 연결부에서도 응축된다. 이러한 손실을 보충하기 위해 비슷한 양의 증기를 격리판(5)상부 가까이 있는 구멍(5A)을 통하여 격리판 양쪽의 수위에 변동이 없게끔 하여 보낸다. 많은 양의 응축수가 트랩으로 흐르게되면 트랩을 개방시키게 되므로 검류기는 점차 물이 흘러넘치게 된다. 비록 이트랩을 통하여 응축수가 물방울 모양으로 극히 적은량이 흐른다고 해도 이것은 충분히 검류기 체임버 내의 수위를 전극의 위치보다 높여 주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만일 응축손실(즉, 증기의 누설)로 인한 정상상태 이상으로 많은 증기가 트랩을 통하여 유통하게 된다면, 이러한 증기의 유통으로 인하여 검압기 체임버의 유출구(3)쪽에 압력강하가 유발되어 격리판(5)의 하향류(下向流)(유출구(3)쪽에 있는 포집된 응축수(4)의 수위는 올라가고 반면에 격리판(5)의 상향류(유입구(2)쪽의 응축수의 수위는 내려가게 되므로 해서 응축수는 격리판(5)밑을 통하여 유입구쪽으로 부터 유출구 쪽으로 유동하게 된다. 유입구쪽의 응축수의 수위가 전극(제2도)의 위치보다 낮아질 때는 전도경로가 단절되어 압력강하 표시가 제어함에서 나타나게 된다. 이상의 경우에서 어느 경우에 대해서나 압력강하를 유발시킨 누설의 표시가 나타나게 되어 있는 것이다. 이렇게 해서 증기트랩으로의 증기 흐름은 관측될 수가 있다.
격리판(5)의 상향류의 수위는 상당량의 응축수가 누설되는 증기와 항께 유동한다고 하더라도 전극(6)의 위치 이하로 저하된다. 예를들자면 시간당 100kg의 응축수가 방출되고 있을 때 증기 트랩이 계속 개방된 상태여서 응축수가 이러한 양과 시간당 20kg의 증기 누설을 통과시킨다고 할 경우 검류기의 수위는 감소되며 압력강하가 증기누설과 함께 나타나다.
제3도와 제4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검류기는 제1도와 제2도에서 설명한 바와 유사한 작동을 한다. 유출구(3)는 증기트랩의 유입구와 연결되어 있으므로 트랩이 될 증기는 검류기를 통하여 유동한다. 제3도에 있는 바와 같이 증기트랩이 폐쇄되면 응축수(4)는 격리판(50)의 양쪽의 수위(연장도선(3A)의 유입구의 수위)와 동일한 수위를 체임버(1)내에서 가지게되며, 전극(6)과 설치판(7)을 포함하는 전기회로가 이 응축수를 통해 형성된다.
증기트랩 내부에서와 트랩과 검류기 사이의 연결부에서 응축되는 소량의 증기손실을 보충하기 위해, 비슷한 양의 증기를 구멍(50A)을 통하여 도관(3A)중으로 유통시켜 주는데 이때에 격리판(50) 양쪽의 응축수(4)의 수위에 변동을 주어서는 안된다. 제4도에 있는 바와 같이 누설되는 증기로 인하여 도관(3A)에서는 압력강하가 유발되며 이로인해서 격리판(50)의 하향류쪽 (즉, 격리판(50)내부)에서 포집되는 응축수(4)의 수위가 상승하게 되는 반면, 격리판(50)의 상향류쪽 (즉, 격리판의 외부)의 응축수(4)의 수위는 강하되므로 응축수(4)는 유입구(2)로 부터 격리판(50)밑에 있는 구멍(8)을 통하여 유출구쪽으로 흐르게된다.
제3도 및 4도에 도시된 검류기를 개량한 형태 (도시하지 않았음)에서는 상부 연장도관은 체임버의 한쪽면에 위치하고 1개의 격리판이 도관과 체임버의 다른면 사이에 있게된다. 격리판의 윗부분은 연장도관의 상단부 보다 높이 위치한 칸막이에 매달려 있는데 이 윗 부분은 응축수가 포집되는 체임버의 저면부의 약간위에서 끝나게 되며, 이 윗부분 및 칸막이와 도관사이에는 틈이 생기게 되고, 또한 칸막이에는 관통 구멍이 있다. 이러한 검류기는 제3도 및 4도에서 설명한 검류기와 같은 작용을 한다.

Claims (1)

  1. 증기 유통 계통에 쓰이는, 유입구와 유출구를 가지고 있고 증기 유통 계통에 연결되어 응축수를 담는 용기로 쓰이는 체임버(chamber), 체임버의 일부로서 유입구와 유출구 사이의 격리판(baffle), 체임버 내부로 돌출된 한 개의 전극을 포함하는 검류기(fluid flowmonitor)에 있어서 증기 유통에 의해 체임버의 유출구 쪽에 압력 강하가 생기면 격리판의 유입구 쪽의 응축수의 수면이 낮아지도록 전극보다 높은 위치에 구멍을 뚫은 격리판, 유출구 쪽의 압력 강하에 의해 미리 정해진 정도로 응축수의 수위가 변하는 것을 확인하는 수용된 응축수와 접하는 전기 전도면과 절연되어 있고 유출구쪽의 압력 강하에 의해 미리 정해진 정도로 응축수의 수위가 변하면 전기 전도면과 전극 사이의 전기적 회로가 끊어지도록 위치를 설정하여 장치된 전극을 특징으로 하는 검류기.
KR7803349A 1978-11-08 1978-11-08 검류기 KR8200021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803349A KR820002143B1 (ko) 1978-11-08 1978-11-08 검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803349A KR820002143B1 (ko) 1978-11-08 1978-11-08 검류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20002143B1 true KR820002143B1 (ko) 1982-11-15

Family

ID=192091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7803349A KR820002143B1 (ko) 1978-11-08 1978-11-08 검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20002143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373891B2 (ja) センサ装置および凝縮体収集トラップ監視機構
US4468609A (en) Control system for the detection of leaks in insulated pipes
US4630633A (en) Steam trap checker
US6035699A (en) Water leakage detection apparatus
KR890002707B1 (ko) 스팀 트랩의 작동시간 적산계
KR100984294B1 (ko) 커먼레일 타입 등의 고압 직분사하는 디젤엔진용 연료필터
US2426252A (en) System of flat electrodes
KR820002143B1 (ko) 검류기
CA1141989A (en) Steam trap arrangement comprising a steam trap and a fluid flow monitor in a steam flow line
CN105169750A (zh) 一种优控油水分离机
US20050051213A1 (en) Water- and vibration-sensing protection apparatus
CN204973140U (zh) 一种优控油水分离机
US4459442A (en) Gas flow detectors
US2806896A (en) Insulator compartment and control therefor
US4668943A (en) Excessive gas flow detector
WO2020264465A1 (en) Fog sensor for tailpipes
US2794847A (en) Insulator compartment and control therefor
CN219346791U (zh) 一种冷凝水收集结构及燃气热水设备
JPS58154636A (ja) 漏洩検出装置
CN212108655U (zh) 一种应用于水循环系统的大通量快速启闭排气装置
US3274373A (en) Steam drain and reheat device
CN218994650U (zh) 燃气热水器漏水检测装置及燃气热水器
CN212611499U (zh) 一种蒸汽发生器的壳体结构、洗衣机
CN210347511U (zh) Sf6露点测试仪
CN214251684U (zh) 一种有载开关箱体内直接取油样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