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20001760B1 - 평형물 이동 시스템 - Google Patents

평형물 이동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20001760B1
KR820001760B1 KR7902981A KR790002981A KR820001760B1 KR 820001760 B1 KR820001760 B1 KR 820001760B1 KR 7902981 A KR7902981 A KR 7902981A KR 790002981 A KR790002981 A KR 790002981A KR 820001760 B1 KR820001760 B1 KR 8200017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lance
platform
deck
crane
superstru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79029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애트킨손 존
Original Assignee
노오만윌리엄미들톤
코울즈 크레인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오만윌리엄미들톤, 코울즈 크레인 리미티드 filed Critical 노오만윌리엄미들톤
Priority to KR79029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82000176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200017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200017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 B66C23/62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C23/72Counterweights or supports for balancing lifting coup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Jib Cran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평형물 이동 시스템
제1도는 이동하기 위해 접어 있는 동비(動臂)를 나타내는 본 발명에 의한 이동 크레인의 한 실시예의 정측면도
제2도는 늘일 수 있는 비임 어셈블리(assembly)와 평형물을 나타내는 제1도에 보인 부분적인 크레인 다이어그램.
제3도는 비임 어셈블리와 평형물의 설계도.
제4도는 제2도와 유사하지만 차량의 덱크(deck)즉플랫포옴(platform)위의 블록에 결합된 평형물을 보인 정면도.
제5도는 이동하기 위해 고착된 평형물을 보인 제2도와 유사한 정면도.
제6도는 추가적인 평형물이 설비된 변경된 실시예를 보인 제5도와 유사한 정면도.
본 발명은 크레인에 관한 것이며, 특히 이동 크레인, 즉 크레인을 한 작업장에서 다른 작업장으로 운송케 할 수 있는 육상차량의 플랫포옴 즉 데크위에 크레인 동비가 설치된 크레인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크레인의 한 유형에는 크레인 동비 상부구조 뒤단의 비임어셈블리에 설치된 평형물이 있다. 비임 어셈블리와 평형물은 변화는 하중(荷重)하에서 동비의 평형을 유지하기 위해 수압피스톤(hydraulic rams) 혹은 그와 유사한 것을 사용하여 상부구조로부터 외곽으로 또는 상부구조쪽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러한 크레인이도로를 따라 운전될 때, 동비는 차량의 데크즉 플랫포옴표면에 접어지고 거기에 쇠고리를 걸며. 평형물을 상부구조에서 움직여서 차량의 한 끝이 아닌 그 무게가 차량의 차대 버팀장치에 잘 전달될 수 있는 위치에 잡아 매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금까지 보아서 알수 있듯이, 비임에서 평형물을 이동시키기 위해, 우선 이 비임을 크레인 상부구조 쪽으로 수축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 후에 수직으로 작동하는 수압피스톤을 사용하여 평형물을 지지하는 반면 비임에서 볼트를 풀고 마지막으로 "수직"수압피스톤을 사용하여 평형물을 이동하기 위해 잡아 매진 차량의 데크로 낮추는 것이 필요하다.
이러한 종래에 제시된 시스템에는 두 등급의 운동이 필요하고 그것으로부터 두 개의 피스톤 혹은 2세트의 피스톤, 즉 비임의 "in" 운동과 평형물의 "down" 운동이 유래되었다. 제부착시에도 유사하게, 평형물은 들어올려져야 하고 비임에 고착되며 그후에 비임이 동비의 상부구조 쪽으로 이동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목적은 평형물의 이동 및 재부착을 간단히 하는 반면평형물을 차량의 바람직한 위치에 고정시키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해 이동 크레인을 한 작업장에서 다른 작업장으로 이동하기 위해서 이것을 준비하는 방법이 제공되는데, 동비의 상부구조는 차량의 플랫포옴 즉 데크에 형성되거나 받치고 있는 상향 경사면에 인접한 연장성 비임 어셈블리 근처 상부구조에 부착된 평형물을 위치시 회전되고, 평형물의 아랫표면은 상향 경사면의 수평면에 대한 각과 사실상 동일하게 기울어져 있으며, 그때 평형물은 비임 어셈블리에 의해 이동해서 플랫포옴 즉 데크위의 상향 경사면과 평형물의 아랫표면은 맞물리고 평형물은 상향 경사면위로 치켜 올려지고 그위에 지지되며, 그 때문에 평형물은 비임 어셈블리에서 분리할 수 있고 이동시 맬수 있다.
평형물이 이런식으로 분리되자 마자, 필요하면 상부구조와 동비는 이동위치로 회전되고 그때 동비는 이동위치로 접어지며 차량의 데크즉 플랫포옴에 잡아맨다.
크레인이 새 작업장에 도착시 평형물과 비임 어셈블리를 재결합하기 위해, 그 반대의 절차가 필요하다. 이와 같이, 비임 어셈블리의 끝은 평형물위에 위치하고 거기에 다시 고정시킨다. 그 후에 비임과 상부구조의 양쪽 혹은 한쪽을 움직여 경사면에서 평형물은 아래로 활주(滑奏)한다.
동비를 움직이는 데 필요한 수압피스톤만 요구되고 평형물을 "상하"로 들어 올리는 피스톤이 필요치 않다는 것을 중요시 해야 한다.
물론 바람직하지만, 평형물이 비임의 끝에 볼트로 조여져 있으면, 이때 경사면 위의 평형물의 움직임으로 인해, 볼트를 쉽게 제거하고 그후에 그 접속 위치에 재삽입할 수 있어 하중에서 볼트를 완화한다.
역시 본 발명에 의해, 비임 어셈블리에 받치고 있는 동비 위의 하중의 균형을 보조하기 위해 동비 상부구조와 관련하여 내쪽 혹은 외쪽으로 움직일 수 있는 이동 크레인이 제공되는 데, 한 표면을 이동하는 동안 평형물 지지하는 덱크 즉 플랫포옴 상에 혹은 그위에 받혀진 수평면에 경사지고, 이 평형물에는 덱크 즉 플랫포옴 상의 경사면과 사실상동일한 각도로 수평면으로 경사진 하부면이 있고, 덱크 즉 플랫포옴상에 혹은 그위에 받혀진 끝면이 상부구조를 적당한 위치로 회전시킨 후 평형물의 하면(下面)을 비임 어셈블리의 동작에 결합시킬 수 있도록 위치하고 정열되며, 비임 어셈블리의 연속 동작에 의해 평형물이 상기 표면에 얹혀서 움직이게 된다.
우선적으로, 차량의 경사면은 반동 블록에 제공되고, 움직일 수 있게 차량의 덱크 즉 플랫포옴 위의 대(臺)에 설치된다.
본 발명의 한 우선적인 실시예에서, 비임 어셈블리는 움직일 수있어 사실상 동일한 각도로 수평면에 경사지지만 반대의미에서 상향경사면으로 기울은 길을 따라 평형물을 움직인다. 이것에는 수평면에 대한 평형물의 하부 변의 각도를 상당히 작게 유지 할 수 있어서 한 장소에서 다른 장소로 이동하는 동안, 평형물이 비임어셈블리에 평형물을 재결합하는 동안 경사면에서 평형물의 순식간의 빈틈이 있을 때, 활주하는 경향이 없다는 것이다.
수평면에 대한 경사면의 각은 보통 약 3°이다.
이제첨부 도면을 참고하여 예를들어 가면서 본 발명을 설명한다.
제1도에 보인 이동 크레인은 그 차량이 도로 그와 같은 곳을 따라 운행될 수 있게 하는 바퀴 16위에 설치된 덱크 혹은 플랫포옴 14와 차량 (12)로 구성되어 있다. 플랫포옴 14에 이동하기 위해 접여진 위치로 제1도에 나타낸 여느 크레인 동비(18)이 받혀있다.
이 동비는 제1도에서 볼 수 있는 것처럼 회전대(20)위에 설치되어 있고 상부구조(22)는 그 회전대에서 수평으로 뻗어 있다.
상부구조(22)는 비임 어셈블리를 지지하고, 그것의 비임(24)(제2도-제6도를 보라)는 제1도 및 제2도에 나타난 위치에서 움직일 수 있고, 그 위치에서 그것은 상부구조(22)안에서 제4조에 보인 연장위치까지 사실상 수축된다. 비임(24)는 각 비임에 하나씩인 한 쌍의 수압피스톤(26)에 의해 움직이고, 이것은 상부구조 내에 위치하며 상부구조의 블록(28)과 비임(24)의 내부 끝에 부착된 러그(lug)(30)사이에 연결된다. 비임(24)는 상부구조에 받혀진 베어링(32)와 블록(28)의 유사한 베어링안에서 활주한다.
제3도에 잘 나타난 바와 같이, 한 쌍의 비임(24), 즉 상부 구조의(22) 각변에서 연장된 것이 있는데 이동 할 수 있는 평형물(34)가 이 비임의 바깥단(33)에 연결되어 있다. 그러므로, 사용중에 이 평형물을 피스톤(26)의 연장이나 수축에 의해 상부구조(22)에서 외곽으로 어느 거리에 다위치시킬 수 있어서, 다양한 하중하에 동비의 균형을 잡을 수 있다. 평형물(34)에는 위로 연장된 플랜지(flange)(45)가 있는데, 이것은 플랜지의 홈(46)과 비임의 구멍(48)을 지나 비임(24)의 끝(33)에 볼트(44)로 조여있다.
한운용 장소에서 다른 장소로 크레인의 이동이 요구될 때, 비임(24)는 피스톤(26)의 연장에 의해 제2도에 나타난 위치로 수축되어 있고 이 때 동비와 상부구조는 제2도에 나타난 위치까지 돌려진다. 이 위치에서, 평형물(34)는 크레인 차량의 덱크 즉 플랫포옴(14)에 고정된 대(40)에제거 할 수 있게 설치되어 있는 반등 블록(38)의 경사면(36)에 인접하고 일치하게 위치되어 있다. 곧 알수 있듯이, 상기 표면(36)이 수평면에서 기울어진, 예를들어 약 3°인 각 θ는 역시 평형물 하부표면 (42)가 수평면으로 연장된 각과 일치한다. 또한 이 각 θ는 가동 비임(24)가 수평면까지 연장된 각이지만, 그것과 반대 의미에서 표면(36)과 (42)가 기울어진 각이다.
이 위치에서 피스톤(26)이 비임(24)과그 후에 평형물을 상부구조(22)에 비교하여 외부로 움직이게 하면서 수축된다. 표면(42)과 (36)은 결합하고 그 후에 제4도에 나타난 것과 같이 평형물은 블록위로 치켜 올려져서 그것에 의해 지지된다.
이 위치에서, 평형물을 비임(24)의 끝에 연결하는 볼트(44)의 하중은 경화되므로 이것을 쉽게제거할 수 있다. 그때 평형물은 덱크(14)에 매지거나 고정된다.
평형물의 이동 후, 비임(24)는 피스톤(26)의 연장에 따라 제5도에 보인위치까지 상부구조(22)쪽으로 수축되고 이 때 동비를 제1도에 나타난 위치까지 돌려지게 할 수 있으며 이것을 이동하는 동안 안정한 위치에 고정할 수 있다.
제1도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평형물에 대한 대(40)이 적당히 요구되는 위치에서 크레인 차량의 덱크 즉 플랫포옴(14)에 고정되여서 이 평형물은 이동하는 동안 차축(車軸)에 균형된 하중을 주며서 쉽게 지지된다.
크레인이 새로운 장소에 도착되어 동비가 다시 세워질때, 이때 이 동비는 제1도 나타난 위치에서 제5도 나타난 위치까지 약 180°돌려지며 다시 비임의 끝은 평형물에 인접하여 위치한다. 이때 비임 어셈블리는 피스톤(26)의 작동에 따라 상부구조(22)에서 제4도 나타난 것과 비슷한 위치까지 연장되고 이때 볼트는(44)홈(46)을 통해 평형물에 그리고 대응하는 구멍(48)을 통해 비임의 외부 끝(33)에 고정된다.
이때 비임(24)는 피스톤(26)의 연장에 따라 상부구조로 수축되고, 평형물(34)가 사용하게 되어있는 이것의 블록(28)에서 활주하게 한다.
제6도에 나타난 수정에서, 비임(24)는 추가 균형 중량을 제공하기 위해 2개의 비임(24)의 후단(33)에 연장된 추가적인 고정 평형물(50)을 받치고 있다. 이 추가 평형물(50)은 보통 이동되는 동안 제거되지 않지만, 제1도에 점선으로 가리켜진 위치의 비임에 부착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합성평형물은 비임의 아래에서 받혀질 수 있고 본 발명의 이용에 의해 그것에서 제거될 수 있다.
본 발명에는 2조의 수압피스톤의 필요성이 없을 뿐아니라, 평형물을 비임에서 분리하고 필요하면 빠르고 편리한 방법으로 재결합할 수 있는 유리한 점이 있다.

Claims (1)

  1. 비임 어셈블리(24)에 의해 받쳐지고 동비(18)위의 하중의 균형을 보조하는 동비 상부구조(22)에 대하여 내외로 이동할 수 있는 평형물(34)과, 이동하는 동안 평형물을 지지하는 덱크 즉 플랫포옴(14)위의 혹은 받쳐진 수평면에 대하여 경사진 표면(36)을 지니는 이동크레인에 있어서, 덱크 즉 플랫포옴(14)상의 경사면(36)과 거의 동일한 각으로 수평면에 대하여 경사져 있으며, 덱크 즉 플랫포옴(14)상의 혹은 받쳐진 상기 표면이 상부구조(22)가 적절한 위치로 돌려진후에 비임어셈블리(24)의 운동이 시작되자마자 평형물(34)의 하부와 결합할 수 있는 위치에 정열되어지는 하부표면(42)와, 이 평형물(34)이 상기 덱크상의 표면(36)을 위로 치켜 올려지게 비임 어셈블리(24)와 덱크 표면을 상대적으로 이동 시키는 장치(26)가 상기 평행물(34)에 제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크레인.
KR7902981A 1979-08-31 1979-08-31 평형물 이동 시스템 KR8200017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902981A KR820001760B1 (ko) 1979-08-31 1979-08-31 평형물 이동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902981A KR820001760B1 (ko) 1979-08-31 1979-08-31 평형물 이동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20001760B1 true KR820001760B1 (ko) 1982-09-30

Family

ID=192127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7902981A KR820001760B1 (ko) 1979-08-31 1979-08-31 평형물 이동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20001760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200162A (en) Traveling gantry
JPH02182696A (ja) クレーン及びクレーンの吊り上げ能力を増大させる付属装置
US4195740A (en) Lift crane support system
WO2021102923A1 (zh) 集装箱侧面装载机
US4286720A (en) Counterweight removal system and method
GB2254308A (en) Pedestal crane.
KR820001760B1 (ko) 평형물 이동 시스템
US4687110A (en) Apparatus for angularly displacing a load
CN214459672U (zh) 桥面吊机及其前行走支撑机构
US4359177A (en) Revolving turret for continuous casting, with independent arms, and eccentric load compensation
CN211006367U (zh) 一种架桥机悬臂式承重结构
CN110844802B (zh) 一种全方向多功能智能应急救援车
CN112695642A (zh) 桥面吊机
GB2111023A (en) Container handling equipment
GB1478538A (en) Turntables
GB2030536A (en) Counterweight removal system
CN110631896A (zh) 公路路面加速加载试验系统
CN110593132A (zh) 一种架桥机悬臂式承重结构
CN218619990U (zh) 一种悬挂起重机防倾翻装置
CN214459674U (zh) 桥面吊机及其提升平台
KR20010024976A (ko) 물자운반장치
CN214459671U (zh) 桥面吊机
CN214459675U (zh) 桥面吊机及其后锚机构
JPH07172769A (ja) クレーン
CN212198274U (zh) 一种微型吊车