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20001716B1 - 4-아릴-퀴나졸린-2(1h)-온류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4-아릴-퀴나졸린-2(1h)-온류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20001716B1
KR820001716B1 KR7802693A KR780002693A KR820001716B1 KR 820001716 B1 KR820001716 B1 KR 820001716B1 KR 7802693 A KR7802693 A KR 7802693A KR 780002693 A KR780002693 A KR 780002693A KR 820001716 B1 KR820001716 B1 KR 8200017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quinazolinone
isopropyl
methyl
phenyl
me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78026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토니오 스미스 죠셉
Original Assignee
진 크래머
산도즈 주식회사
패터 레스
산도즈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진 크래머, 산도즈 주식회사, 패터 레스, 산도즈주식회사 filed Critical 진 크래머
Priority to KR78026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82000171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200017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20001716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39/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3-diazine or hydrogenated 1,3-diazine rings
    • C07D239/7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3-diazine or hydrogenated 1,3-diazine rings condensed with carbocyclic rings or ring systems
    • C07D239/72Quinazolines; Hydrogenated quinazolin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4-아릴-퀴나졸린-2(1H)-온류의 제조방법
본 발명은 소염제로 유용한 일반식(Ⅰ)의 4-아릴-퀴나졸린-2(1H)-은 화합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Figure kpo00001
상기 식에서
R1은 불소, 염소 또는 브롬으로 모노-, 디-또는 트리-치환된(C1-C3) 탄화수소 라디칼이고,
R2는 모노사이클릭 아릴이며,
R3및 R4는 동일하거나 상이하며 각각은 수소, (C1-C3)알킬 또는 알콕시 라디칼 또는 불소, 염소, 브롬 또는 트리플루오로메틸이거나 또는 R3및 R4가 함께 6, 7-메틸렌디옥시이다.
일반식(Ⅰ)의 화합물은 상응하는 4-아릴-5, 6, 7, 8-테트라하이드로-2(1H)-퀴나졸리논 특히 일반식(Ⅱ) 화합물을 불활성 유기 용매내에서 유황과 함께 탈수소화시켜 제조하며 탈수소화반응을 금속 산화물, 수산화물 또는 금속(마그네슘, 알루미늄 또는 알카리금속은 제외)의 염으로서 반응 조건하에서 금속 설파이드를 형성하는 무기 금속화합물 존재하에서 시행함이 특징이다.
Figure kpo00002
본 발명의 방법은 125° 내지 250℃, 바람직하게는 130° 내지 200℃, 더욱 바람직하게는 135° 내지 200℃의 온도범위에서 수행하는 것이 적합하다.
반응은 반응조건하에서 불활성인 유기용매내에서 수행한다. 바람직한 용매에는 에틸렌글리콜, 프릴렌글리콜, 에톡시, 에톡시에탄올, 디옥산, 톨루엔, 키실렌 및 P-시멘이 포함된다. 환류조건을 이용하기 위해서 바람직한 반응온도에서 비등하는 용매를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으로 바람직하며 예를들면 더욱 바람직한 온도 조건하에서 P-시멘을 사용한다.
출발물질 퀴나즐리논에 대한 유황의 몰비율은 다양하게 변화시킬 수 있으나, 적어도 1.7 : 1이 바람직하다. 상한선은 특별히 중요하지 않지만 6 : 1의 몰비를 초과하는 용량의 유황을 사용하는 것은 불필요하며 비효율적이다. 더욱 적합하게는, 몰비율이 1.9 : 1 내지 4 : 1이고 바람직하게는 2 : 1 내지 3 : 1이다.
사용되는 금속 화합물은 언급된 바와 같이 반응 조건하에서 설파이드를 형성하는 것이다. 알카리금속과 마그네슘과 알루미늄 뿐만 아니라 원자번호 84 또는 그 이상의 금속과 희토류 금속은 바람직하지 않다. 바람직한 금속은 칼슘, 티타늄, 지르코늄, 크로미늄, 납, 모리브데늄, 망간, 철, 주석, 코발트, 니켈, 팔라듐, 구리, 은, 아연, 카드미늄, 수은, 안티몬과 비스무스이며 더욱 바람직한 것은 칼슘, 철 또는 아연이다.
금속 화합물은 할라이드와 같은 강산의 염이될 수 있으며 예를들면 염산염, 황산염 또는 질산염이 있으나 바람직한 것은 산화물 또는 수산화물이고 특히 산화물이다. 바람직한 금속 화합물에는 산화칼슘, 산화아연 및 특히 산화제2철이 포함된다. 사용될 수 있는 여러 금속화합물 예를들면 염화칼슘은 황화수소와 반응하여 산성매질을 형성하며 생성되는 금속 설파이드는 이러한 매질에 불안정하거나 용성을 지닌다. 이와 같은 경우에, 반응혼합물내에서 하이드록시 염기 예를들면 알카리금속 하이드록시드 또는 알카리토금속 하이드록시드 또는 금속화합물이 하이드록시드인 경우는 이를 과량 함유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알카리금속 하이드록시드 예를들면 칼륨 또는 나트륨 하이드록시드를 사용한다.
출발물질인 퀴나졸리논에 대한 금속 화합물의 몰비는 적어도 1 : 1이 적합하고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1.5 : 1이다. 상한선은 중요하지 않으나 10 : 1을 초과하는 몰비는 잇점이 없다. 더욱 적합하게는 몰비가 1.8 : 1 내지 6: 1, 바람직하게는 2 : 1 내지 4 : 1 더욱 바람직하게는 2 : 1 내지 3 : 1 범위가 된다.
하이드록시드 염기를 사용할 경우에는 퀴나졸리논 출발물질에 대해 적어도 1 : 1, 적합하게는 적어도 1.5 : 1, 바람직하게는 1.8 내지 6: 1, 더욱 바람직하게는 2 내지 3 : 1 범위가 된다.
본 발명의 방법은 대기압이하 또는 이상에서 수행할 수 있으나 대기압하에서 수행하는 것이 가장 적합하다. 반응 조건하에서 불활성인 가스 즉 질소가스의 일정한 흐름을 반응혼합물상으로 통과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반응은 통상 1 내지 15시간 동안 수행한다.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해서는 금속 화합물을 사용하지 않으며 목적하는 퀴나졸린-2(1H)-온과 상응하는 3, 4-디하이드로 유도체의 혼합물이 생성되는 상응하는 기지의 공정에 비해 수율이 상당히 높다.
영국특허 제 1, 383, 255 호에서는 출발물질로 7-메틸-1-이소프로필-4-페닐-5, 6, 7, 8-테트라하이드로-2(1H)-퀴나졸리논과 유황을 사용하나,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금속 화합물은 사용하지 않고 최종물질인 7-메틸-1-이소프로필-4-페닐-2(1H)-퀴나졸리논을 35% 수득하였음을 기술하였다. [영국특허 제 1, 383, 255 호 실시예 7참조). 이에 비해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르는 방법에 의해서는 동일한 최종물질이 72% 수득된다.
화합물(Ⅱ)은 그 자체가 알려졌거나 또는 문헌에 기술된 방법에 의해 기지의 물질로부터 제조될 수 있다.
일반식(Ⅰ) 및 (Ⅱ)화합물에서 R1의 (C1-C8)탄화수소 라디칼은 예를들면 (C1-C6)알킬, (C3-C7)사이클로알킬, (C3-C6)사이클로알킬 및 (C1-C2)알킬 부분을 갖는 (C4-C7) 사이클로알킬알킬, 페닐, 벤질 또는 펜에틸이다. R1의 할로-치환된 탄화수소 라디칼에는 불소, 염소, 또는 브롬으로 모노-, 디- 또는 트리-치환된 (C1-C6)알킬, 불소, 염소 브롬으로 모노-또는 디-치환된 페닐, 벤질 또는 펜에틸이 있다. 디-또는 트리-할로겐 치환된 라디칼은 동일한 할로겐 원자에 의해 치환된 것이 바람직하다.
일반긱(Ⅰ) 및 (Ⅱ)화합물에서, R2는 일반식(Ⅲ) 또는 (Ⅳ)의 라디칼인 것이 바람직하다.
Figure kpo00003
상기 식에서
Y 및 Y1는 동일하거나 상이하며, 각각은 수소, 불소, 염소 또는 브롬원자, C1-C3)알킬 또는 알콕시 라디칼 또는 트리플루오로메틸그룹이며, 단 Y 및 Y1중 하나는 트리플루오로메틸그룹이며, 다른 하나는 수소원자이고,
Y2는 수소, 불소, 염소 또는 브롬원자, (C1-C3)알킬 또는 알콕시 라디칼이다.
일반식(Ⅰ)화합물은 소염작용을 지니는 것으로 공지되어 있으며 이러한 점에서 R1은 (C1-C6)알킬 또는 사이클로프로필메틸이 바람지가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C1-C6)알킬, 특히 이소프로필이다. R2는 바람직하게는 전술한 바와 같이 모노 또는 디-치환된 페닐 라디칼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페닐 또는 P-플루오로페닐이다. R 및 R4는 각각 수소가 될 수 있다.
그러나 적어도 하나는 7위치에서의 C1-3알킬, 특히메틸 또는 6위치에서의 C1-3알콕시 특히 메톡시이다.
가장 바람직하게 제조되는 화합물은 7-메틸-1-이소프로필-4-페닐-2(1H)-퀴나졸리논과 1-이소프로필-4-P-플루오로페닐-7-메틸-2(1H)-퀴나졸리논이다.
다음 실시예는 본 발명을 설명한다.
[실시예 1]
7-메틸-1-이소프로필-4-페닐-2(1H)-퀴나졸리논
200ml의 P-시멘, 40g의 산화제2철과 7g의 유황의 혼합물을 가열(약 175℃) 환류시키고 40분간 200ml의 P-시멘중의 28.2g의 7-메틸-1-이소프로필-4-페닐-5, 6, 7, 8-테트라하이드로-2(1H)-퀴나졸리논의 가열 용액(130℃)을 적가한다. 생성용액을 3.5시간 동안 환류시키면 1.8ml의 물이 딘 스타크(Dean Stark) 분리기중에 포집된다. 반응용액을 28℃로 냉각하고 셀라이트 패드를 통해 여과하고 25ml의 톨루엔으로 4차례 세척한다. 톨루엔 세척물을 50ml의 4N 염산염으로 세척하고 P-시멘여과물을 350ml의 4N 염산으로 추출한다. 산추출물을 모으고 100ml의 톨루엔으로 추출하고 이와 같은 툴루엔 추출물을 버린다. 톨루엔 추출후에 남는 용액을 350㎖ 톨루엔과 110g의 50%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으로 처리한다. 상을 분리하고 톨루엔상을 100ml의 물로 두번 세척하고 이어서 황산나트륨상에서 건조하고 여과하고 진공에서 증발시킨다. 고형잔류물을 에틸 아세테이트로부터 결정하여 7-메틸-1-이소프로필-4-페닐-퀴나졸리논-2(1H)-온을(융점 : 139 내지 141℃) 얻는다.
[실시예 2]
1-이소프로필-4-P-플루오로페닐-7-메틸-2-(1H)-퀴나졸리논
67ml의 키시렌, 13.3g의 산화제2철 및 2.5g의 유황 혼합물을 질소 기류하에서 가열 환류시키고 20분간 100ml의 키시렌중의 10g의 7-메틸-1-이소프로필-4-P-플루오로-페닐-5,6,7,8-테트라하이드로-2(1H)-퀴나졸리논을 가열(100 내지 110℃)하여 적가한다. 생성용액을 10시간 동안 환류시키면 물이 딘 스타크 분리기중에 포집된다. 반응혼합물을 80℃로 냉각하고 셀라이트 패드를 통해 여과한다.
여액과 여과 케이크를 50ml의 톨루엔으로 세번 세척한다. 여액을 모아서 200, 100 및 50ml의 4N 염산으로 계속해서 추출한다. 산추출물을 모아서 100ml의 톨루엔으로 세척하고 톨루엔 추출물을 버린다. 톨루엔 추출후의 산용액에 200ml의 톨루엔과 115g의 50% 수산화나트륨 용액을 진탕 냉각하면서 가한다. 상을 분리하고 수상을 100ml의 톨루엔으로 두번 세척한다.
톨루엔상을 모으고 100ml의 물로 두번 세척하고 황산마그네슘 무수물에서 건조하고 셀라이트를 통해 여과하고 농축시켜 황색 결정 8.8g(90%)를 얻는다. 에틸 아세테이트로부터 재결정하여 표제 화합물을 얻는다. 융점 : 175 내지 176.5℃.
[실시예 3]
1-이소프로필-4-페닐-7-메틸-2(1H)-퀴나졸리논
28.2g의 7-메틸-1-이소프로필-4-페닐-5, 6, 7, 8-테트라하이드로-2(1H)-퀴나졸리논 9.6g의 유황, 10g의 수산화나트륨, 20g의 염화칼슘과 200ml의 카비톨 2-[2-에톡시에톡시]에탄올의 혼합물을 150℃에서 2시간 동안 질소기류하에서 가열한다. 생성혼합물을 65℃까지 냉각하고 500ml의 벤젠을 가하고 냉각 혼합물을 15℃로 진탕하고 액상을 버린다. 유기상을 물로 세척하고 증발시켜 100ml의 벤젠과 100ml의 50% 염산 수용액의 혼합물내에 용해시킨다. 생성 혼합물을 실온에서 1시간동안 진탕하고 상을 분리시키고 산성상을 50ml의 벤젠으로 처리한다. 산성상을 50% 수산화나트륨 용액으로 중화하고 150ml의 벤젠으로 추출하고 벤젠 추출물을 중성이 될때까지 물로 세척한다. 황산나트륨상에서 건조후에 벤젠용액을 증발시켜 조생성물을 얻는데 이것을 에틸아세테이트로부터 재결정하여 1-이소프로필-4-페닐-7-메틸-2(1H)-퀴나졸리논을 얻는다. 융점 : 141 내지 142℃.
[실시예 4]
7-메틸-1-이소프로필-4-(P-플루오로페닐)-퀴나졸린-2(1H)-온
4.3g의 유황,6.8g의 산화아연과 질소기류하에서 가열 환류시킨 67ml의 키시렌 혼합물의 진탕 혼합물에 100ml의 키시렌 혼합물중의 10.0g의 7-메틸-1-이소프로필-4-(P-플루오로페닐)-5, 6, 7, 8-테트라하이드로-2(1H)-퀴나졸리논의 가열(100 내지 115℃)시킨 용액을 가한다. 가한 후(약 20분)에 생성혼합물을 철야 환류시키고 냉각하고 셀라이트를 통해 여과한다. 고형물질을 톨루엔과 여액으로 세척하고 4N 염산으로 4번 추출하고 추출물을 100ml의 톨루엔으로 세척한다. 수용상을 200ml의 톨루엔으로 처리하고 빙욕내에서 115g의 50% 수산화나트륨 용액으로 부분적으로 처리한다. 수용상 100㎖의 톨루엔으로 각각 두번 추출하고 유기상을 물로 세척하고 건조한다. 여과시켜 진공에서 농축시켜 얻은 조황색 고형물을 100ml의 에틸 아세테이트내에 용해시키고 여과시키고 농축시켜 50ml로 만들고 0℃로 냉각시켜 침전을 얻는데 이것을 에틸 아세테이트로부터 재결정하여 7-메틸-1-이소프로필-4-(P-플루오로페닐)-퀴나졸린-2(1H)-온을 얻는다.
[실시예 5]
실시예 4의 공정을 되풀이하여 산화아연 대신에 이산화납의 동몰량을 사용하여 동일한 생성물을 얻는다.
[실시예 6]
적합한 출발물질을 거의 당량 사용하여 전술된 실시예중의 어느 것과 유사한 방법으로 다음 화합물을 얻는다.
5, 7-디메틸-1-이소프로필-4-페닐-퀴나졸리논-2(1H)-온;
1-이소프로필-7-메틸-4-(P-메틸페닐)-퀴나졸리논-2(1H)-온;
1-이소프로필-7-메틸-4-(2-티에닐)-퀴나졸리논-2(1H)-온;
1-사이클로프로필메틸-6-메톡시-4-페닐-퀴나졸리논-2(1H)-온.

Claims (1)

  1. 일반식(Ⅱ)의 상응하는 5, 6, 7, 8-테트라하이드로-2(1H)-퀴나졸리논을 불활성 유기용매내에서 유황과 함께 탈수소화시켜 일반식(Ⅰ)의 4-아릴-퀴나졸린-2(1H)-온을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탈수소화 반응을 마그네슘, 알루미늄 또는 알카리 금속은 제외한 금속 옥사이드, 하이드록사이드 또는 염으로서 반응 조건하에서 금속 설파이드를 형성하는 무기금속 화합물 존재하에서 시행함이 특징인 일반식(Ⅰ)화합물의 제조방법.
    Figure kpo00004
    상기 식에서
    R1은 불소, 염소 또는 브롬으로 모노-, 디- 또는 트리-치환된(C1-C8) 탄화수소 라디칼이고,
    R2는 모노사이클릭 아릴이며,
    R3및 R4는 동일하거나 상이하며 각각은 수소 (C1-C3)알킬 또는 알콕시라디칼 또는 불소, 염소 또는 브롬 또는 트리플루오로메틸이거나 R3및 R4가 함께 6, 7-메틸렌디옥시이다.
KR7802693A 1978-09-05 1978-09-05 4-아릴-퀴나졸린-2(1h)-온류의 제조방법 KR8200017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802693A KR820001716B1 (ko) 1978-09-05 1978-09-05 4-아릴-퀴나졸린-2(1h)-온류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802693A KR820001716B1 (ko) 1978-09-05 1978-09-05 4-아릴-퀴나졸린-2(1h)-온류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20001716B1 true KR820001716B1 (ko) 1982-09-21

Family

ID=192086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7802693A KR820001716B1 (ko) 1978-09-05 1978-09-05 4-아릴-퀴나졸린-2(1h)-온류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20001716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233035B2 (ko)
SU629881A3 (ru)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 производных тиазоло (3,4 - ) изохинолина или их оптических изомеров или их солей
JPH02279672A (ja) 2―アルキル―4―アリールメチルアミノキノリン
CA1043338A (en)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new azines and their tautomers
KR820001716B1 (ko) 4-아릴-퀴나졸린-2(1h)-온류의 제조방법
HU183048B (en) Process for producing bracket-2s,3r-bracket closed-, bracket-2s,3s-bracket closed-, bracket-2rs,3r-bracket closed- or bracket-2rs,3rs-bracket closed-3-amino-2-hydroxy-propionyl-glycine derivatives
US3960856A (en)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4-hydroxy-3-(5-methyl-3-isoxazolylcarbamoyl)-2-methyl-2H-1,2-benzothiazine 1,1-dioxide
SU489322A3 (ru)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 замещенных 3-(2/4-фенил-1-пиперазинил/-этил) индолинов или их солей или их четвертичных аммониевых солей
SU507236A3 (ru)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 производных 1он-тиено-/3,2-с//1/бензазепина или их солей
US4171441A (en) Preparation of quinazolin-2(1H)-ones
JP2552299B2 (ja) プリスチナマイシン▲II▼в誘導体の製造法
US5053513A (en) Method of reducing a carbonyl containing acridine
CA1111847A (en) Preparation of quinazoline derivatives
SU634672A3 (ru)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 производных 1,2бензотиазин-3-карбоксамида
KR890003840B1 (ko) 8-할로-5, 6-디알콜시퀴나졸린-2, 4-디온의 제조방법
Seibert et al. The Synthesis of Some α-(2-Piperidyl)-quinolinemethanols1
US4312862A (en) Therapeutically active derivatives of benzamide
EP0199485B1 (en) Intermediates and process
Manske et al. The Alkaloids of Fumariaceous Plants. XLVI. The Structure of Glaucentrine
CURRAN et al. Pteridine Chemistry. VIII. The Cyanoethylation of Some Hydroxypteridines
Eguchi On the basic nitrogen compounds from Fushun shale tar. II
SU843750A3 (ru)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 9-/2,6-дигалоидбензил/-аденинов
EP0702952B1 (en) Benzopyran derivatives
EP0115114B1 (en) Polymorphic forms of 5-(3-(2-(2,2,2-trifluoroethyl)-guanidino)-pyrazol-1-yl) valeramide
Somasekhara et al. SYNTHESIS OF FUSED HETEROCYCLICS: PART 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