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20001660Y1 - 삼 각(三脚) - Google Patents

삼 각(三脚)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20001660Y1
KR820001660Y1 KR7806370U KR780006370U KR820001660Y1 KR 820001660 Y1 KR820001660 Y1 KR 820001660Y1 KR 7806370 U KR7806370 U KR 7806370U KR 780006370 U KR780006370 U KR 780006370U KR 820001660 Y1 KR820001660 Y1 KR 82000166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ylinder
stop wave
hole
socket
cylindrical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780637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오마 나가다니
Original Assignee
고오마 나가다니
니혼벨본 세이기고오교오 가부시기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오마 나가다니, 니혼벨본 세이기고오교오 가부시기 가이샤 filed Critical 고오마 나가다니
Priority to KR7806370U priority Critical patent/KR82000166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2000166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20001660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56Accessories
    • G03B17/561Support related camera accessori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tual Connection Of Rods And Tub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삼 각(三脚)
제1도는 본 고안의 1실시예를 표시한 삼각의 측면도.
제2도는 각체(脚體)의 종단면도.
제3도는 제2도 Ⅲ-Ⅲ부의 단면도.
제4도의 (a)와 (b)는 누름체와 스톱파의 사시도.
제5도 및 제6도는 종래의 각체의 종단면도이다.
본 고안은, 카메라용의 삼각에 관한 것으로서, 카메라용의 삼각에 있어서는 각체를 복수개의 각통체로하여 순차적으로 끼워 넣어서 신축이 자재롭게한 것에서는, 축소상태에 있어서 사용시에 고정을 푸는 동시에 각각 통체가 자중으로 스스로 하강하여 내어 보내는 것이 요망되는 것이다.
그런데, 복수개의 각통체를 순차적으로 끼워 넣어서 신축을 자재롭게한 것에 있어서는, 종래에는, 예컨대, 제5도에 표시와 같이, 외측 각통체(1) 내에 내측 각통체(2)를 진퇴가 자재롭게 끼워넣고 외측 각통체(1)의 하단에 가까운 일측부에 스톱파편(3)을 안쪽으로 향하여 프레스 함으로서 절곡 형성하는 동시에 내측 각통체(2)의 상단의 일측부에 스톱파편(3)에 걸리도록 스톱파(4)를 설치하여 외측 각통체(1)에서 내측 각통체(2)를 내어 보낼 때에 내측 각통체(2)가 빠져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어 있다.
그러나, 외측 각통체(1)와 내측 각통체(2)와의 사이의 틈이 클 때에도 스톱파편(3)에 대항하는 스톱파(4)에 안전하게 들어 맞을 수 있게 하고 내측 각통체(2)가 빠져 떨어지는 사고를 방지할 수 있게 하려면, 스톱파(4)의 외면과 외측 각통체(1)와의 사이의 틈이 작아지고 내측 각통체(2)의 미끄러짐이 상당히 뻑뻑하게 되며, 고정을 푸는 동시에 내측 각통체(2)가 자중에 의하여 스스로 내어 보낸다는 특징이 없어진다.
또한 외측 각통체(1)에 내측 각통체(2)를 맞추는 경우에는 스톱파(4)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내측 각통체(2)의 삽입은 외측 각통체(1)의 상단에서 행하지 않으면 안되는 동시에, 내측 각통체(2)의 고정장치와 돌부의 설치는 끼워 넣은 후에 행하지 않으면 안되고, 조립공정이 복잡하게 되며, 그리고 스톱파의 강도의 조정이 극히 곤란하게 되는 것이다.
더욱, 수리 등을 위하여 분해할 때에는 고정장치와 돌부 등을 빼지 않으면 안되어 지극히 불편한 것이다. 또한 종래에는, 제6도에 표시와 같이, 내측 각통체(2)의 스톱파(4)를 코일 스프링(5)으로 탄력적으로 보지할 수 있게 한 것도 있었다.
이와 같은 경우는, 스프링(5)을 비교적 부드러운 것을 사용하는 한, 내측 각통체(2)의 미끄러짐이 무거워지지는 않으나, 내측 각통체(2)를 힘차게 당기면 스톱파(4)가 스톱파편(3)을 뛰어 넘어서 내측 각통체(2)가 빠져 떨어지기도 하고, 이것을 방지하려고 하려면 스프링(5)을 감하게 하지 않으면 안되며, 역시 내측 각통체(2)의 미끄러짐이 무겁게 되어 버린다.
더욱이, 이것으로서는 내측 각통체(2)를 외측 각통체(1)의 하단에서 맞출 수 있으므로, 조립 작업성은 좋으나, 한번 맞추면 분해가 되지 아니하고 수리나 조정 등이 역시 곤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이상과 같은 결점을 개량하려는 것이고, 원활한 미끄러짐에 의하여 내어보내게 하는 동시에 빠져 떨어지는 것을 확실히 방지하고, 또 조립, 분해를 용이하게 할 수 있게한 것이다.
본 고안에 관한, 실시예를 제1도 내지 제4도에 따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11)은 삼각을 표시하고, 이 삼각(11)은, 기대(期臺)(12)에 3개의 신축 자재한 각체(13)의 상단을 회동 자재롭게 설치하고, 동시에 하단에 돌부(15)를 끼워서 설치하고, 또한 각 각체(13) 사이에 지지기구(支持機構)(16)를 설치한다.
상기 각 각체(13)는, 다각형상의 외측 각통체(21) 내에 이것과 대응하는 직경이 작은 다각형상의 내측 각통체(22)를 진퇴가 자재롭게 끼워 넣어 설치한다.
상기 고정장치(14)는, 상기의 외측 각통체(21)의 하단의 외측에 통모양의 소켓트(25)를 감싸서 설치하고, 이 소켓트(23)의 일측부에 횡방향으로 긴 장방형상의 내공(24)을 가지는 축수부(25)를 돌설하며, 이 축수부(25)에는 지축(支軸)(26)으로, 상기 내공(24)으로 향하게한 캠상(狀)의 누름부(27)를 가지는 레바(28)를 회동이 자재롭게 지축(26)에 설치한다.
또한 상기 외측 각통체(21)의 일측부에는 상기의 내공(24)에 대응하는 통공(29)을 형성하고, 이 통공(29)에는 합성수지 등으로 되는 누름체(30)를 배치한다.
이 누름체(30)는, 누름본체(31)의 상하면에 외측으로 감에 따라 폭이 좁아지게 경사진 맞춤면(32)을 형성하는 동시에 상하의 양단의 기부에는 걸림편(33)을 돌설한다.
그리고, 누름체(30)의 누름본체(31)를 외측 각통체(21)의 통공(29)에 안쪽에서 소켓트(23)의 내공(24) 내에 진퇴가 자재롭게 끼워 맞추는 동시에, 각 걸림편(33)을 외측 각통체(21)의 내면에 걸리도록 한다.
상기 내측 각통체(22)의 상단의 일측에 요부(34)를 형성하고, 이 요부(34)에 통공(35)을 형성하며, 이 통공(35)에 합성수지 등으로 되는 스톱파(36)를 진퇴가 자재롭게 끼워 넣어 설치한다.
이 스톱파(36)는, 스톱파 본체(37)의 외측의 상단의 각부(角部)에 경사진 안내면(38)을 형성하는 동시에, 외측의 하단의 각부에 상기의 누름체(30)의 경사진 맞춤면(32)에 대향하는 경사진 맞춤면(39)을 가지는 맞춤부(40)를 형성하고, 다시 내측에 통부(41)를 설치하며, 이 통부(41)와 상기의 내측 각통체(22)의 다른쪽 내면에 설치한 스프링 지지편(42)과의 사이에 코일 스프링(43)을 장설하고 스톱파 본체(37)의 외면을 외측 각통체(21)의 내면에 접촉하게 한다.
다시 상기 스톱파(36)의 외면에 대하는 소켓트(23) 및 외측 각통체(21)의 일측부의 위치에서 소켓트(23) 및 외측 각통체(21)에 각각 해제공(解除孔)(44)(45)을 서로 연통 형성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있어서, 레바(28)를 회동하여 그 누름부(27)로 누름체(30)를 내측 각통체(22)로 누르고, 외측 각통체(21)에 내측 각통체(22)를 고정한다.
그리고, 외측 각통체(21) 내에 내측 각통체(22)를 수납한 상태에 있어서, 내측 각통체(22)의 고정을 풀면, 내측 각통체(22)는 자중으로 하강하고, 누름체(30)의 맞춤면(32)에 스톱파(36)의 맞춤부(40)의 맞춤면(39)이 서로 맞추게 되고, 내측 각통체(22)는 소정의 위치에서 걸려 머물러 있게 된다.
이 경우, 누름체(30)의 상단의 맞춤면(32)은 외측의 아랫쪽으로 향하여 경사지어 있고, 여기에 스톱파(36)의 맞춤부(40)에 있어서의 맞춤면(39)이 걸려있기 때문에, 스톱파(36)가 누름체(30)를 뛰어넘는 일은 없고, 이 상태에서 다시 레바(28)를 회동하게 고정하게 한다.
또한, 외측 각통체(21) 내에 내측 각통체(22)를 맞출 경우에는, 외측 각통체(21)의 하단에서 내측 각통체(22)를 삽입하면, 스톱파(36)는 그 상단의 각부의 안내면(38)에 의하여 누름체(30)를 타고 넘어, 용이하게 수납되는 것이다.
또한 내측 각통체(22)를 떼어낼 때에는, 소켓트(23)의 해제공(44)에서 외측 각통체(21)의 해제공(45)을 통하여 핀을 삽입하고, 소톱파(36)를 스프링(43)의 장력에 저항하게 누르고, 스톱파(36)를 누름체(30)에서 들어가게 하므로서, 외측 각통체(21)에서 내측 각통체(22)를 끌어낼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실시에 있어서는 누름체(30)와 스톱파(36)와의 맞춤면(32)(39)은 대략 15도의 경사가 바람직하고, 스톱파(36)의 맞춤부(40)는 적어도 0.8mm 이상으로 돌출하게 하는 것이 좋은 것이다.
또한 외측 각통체(31)와 내측 각통체(22)와는 소망하는 단수(段數)로 순차적으로 끼워넣어 형성할 수가 있는 것이다.
본 고안에 의하면, 스톱파를 스프링에 의하여 세력을 줄 수 있는 동시에 그 경사진 맞춤면을 고정기구의 누름체의 경사진 맞춤면에 걸리게한 것이고, 스톱파가 누름체를 뛰어 넘어가지 않고, 신장 상태에서 확실하게 물릴 수 있으며, 또한 스프링은 비교적 부드러운 것을 사용할 수 있고, 내측각통체의 미끄러짐을 가볍게 할 수 있으며, 자중으로서 내어보내는 것을 가볍게 할 수 있다.
또한 외측 각통체에 대하여 그 하단에서 내측 각통체를 용이하게 맞출 수 있는 동시에, 해제공에 의하여 스톱파를 누름으로서 내측 각통체를 끌어낼 수 있고, 따라서 조립, 분해가 용이하게 될 수 있다.

Claims (1)

  1. 도면에 표시한 바와 같이, 외측 각통체(21) 내에 내측 각통체(22)를 진퇴 자재롭게 끼워 넣어 설치한 각체(13)를 갖추고, 외측 각통체(21)의 하단 외측에 감싸서 설치된 소켓트(23)와, 이 소켓트(23)의 일측부에 회동이 자재롭게 지축(26)에 설치되어 누름부(27)를 가지는 레바(28)와, 외측 각통체(21)의 일측부에 통공(29)을 개재하여 상기 내측각통체(22)의 일측외면에 대하여 진퇴 자재롭게 설치되어 상기 누름부(27)에 의하여 눌려지는 동시에 상단에 외측의 아랫쪽으로 향하는 경사상의 맞춤면(32)을 가지는 누름체(30)와, 상기 내측 각통체(22)의 상단 일축부에 통공(35)을 게재하여 지지되어 하단에 상기의 누름체(30)의 맞춤면(32)에 맞춰지는 경사상의 맞춤면(39)을 가지는 스톱파(36)와, 이 스톱파(36)를 상기의 외측 각통체(21)의 일측 내측면에 세력을 주는 스프링(43)과, 상기 소켓트(23)의 일측부에서 외측 각통체(21)에 상기 스톱파(36)의 외면에 대하여 형성된 해제공(44)(45)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삼각.
KR7806370U 1978-12-18 1978-12-18 삼 각(三脚) KR82000166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806370U KR820001660Y1 (ko) 1978-12-18 1978-12-18 삼 각(三脚)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806370U KR820001660Y1 (ko) 1978-12-18 1978-12-18 삼 각(三脚)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20001660Y1 true KR820001660Y1 (ko) 1982-08-11

Family

ID=192103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7806370U KR820001660Y1 (ko) 1978-12-18 1978-12-18 삼 각(三脚)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20001660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79666A (en) Replacement apparatus for fluorescent bulbs
US4934886A (en) Fastening assembly and method of fastening
US7223918B2 (en) Cable clamp
US8061437B2 (en) Nail gun with rapidly attachable and detachable magazine assembly
EP1684114A1 (en) Portable screen device
US5649256A (en) Adjustable means for a monitor camera
KR820001660Y1 (ko) 삼 각(三脚)
US3279302A (en) Quick release panel fastener
US6606459B2 (en) Pop-up strobe mounting structure
US7209345B2 (en) Cathode ray tube clamp
US4361391A (en) Film magazine holding device for camera
JP2021085474A (ja) テンショナレバー
US11828411B1 (en) Bracket device for installing expansion tank
JP3798518B2 (ja) たも網
US5499781A (en) Film spool with axially flexible core to engage and release film end
US5449125A (en) Film spool with internal flexures to engage and release film end
KR960007618Y1 (ko) 음극선관 소켓트의 결선장치
JP3647002B2 (ja) 画架
JP2006204675A (ja) 卓球装置
KR900001519B1 (ko) 카메라용 삼각대
JP2567737Y2 (ja) レンズ枠の着脱機構
JP2601097Y2 (ja) プッシュ式紐調節具
KR870003393Y1 (ko) 텔레비젼의 루우프 안테나 고정장치
JPS6118496Y2 (ko)
KR19980011170U (ko) 가방밑판에 손잡이신축대의 괘정 및 자동삽지구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