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20001487B1 - 사진용 스틸 카메라 - Google Patents
사진용 스틸 카메라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820001487B1 KR820001487B1 KR7802352A KR780002352A KR820001487B1 KR 820001487 B1 KR820001487 B1 KR 820001487B1 KR 7802352 A KR7802352 A KR 7802352A KR 780002352 A KR780002352 A KR 780002352A KR 820001487 B1 KR820001487 B1 KR 82000148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ilm
- hub
- camera
- tooth
- plat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26—Holders for containing light sensitive material and adapted to be inserted within the camera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9/00—Cameras
- G03B19/02—Still-picture cameras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17/26—Holders for containing light-sensitive material and adapted to be inserted within the camera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tails Of Cameras Including Film Mechanism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제1도는 사진용 카트리지(cartridge) 조립체의 분해투시도.
제2도는 외피벽의 일부를 떼어낸 제1도의 카트리지 조립체의 평면도.
제3도는 제1도의 카트리지 조립체의 반대편 한쪽면의 평면도.
제4도는 제2도의 선 4-4에서 본 부분 확대 단면도.
제5도는 제4도의 일부분에 대한 확대도.
제6도는 제4도의 선 6-6에서 본 단면도.
제7도는 제4도의 선 7-7에서 본 단면도.
제8도는 카트리지 조립체의 초기 작동단계에 있어서의 구조부를 보여주는 상호 협동하는 카메라의 장치를 포함하는 제4도와 일치하는 단면도.
제9도는 상호 협동하는 카메라의 장치의 일부분을 도시하는 제4도의 9-9선에서 본 단면도.
제10도는 제8도의 선 10-10에서 본 단면도.
제11도는 카트리지 조립체의 후기 작동단계에 있어서의 구조부를 보여주는 제8도와 일치하는 단면도.
제12도는 제11도의 선 12-12에서 본 단면도.
제13도는 제3도와 비슷한 평면도로서 도해를 위해 부분적으로 절단되어 있고 상기 도면에서 도시된 것과 같은 록크 장치를 지니는 도면.
제14도는 제13도와 비슷한 평면도로서 후기조건의 또 다른 록크 장치를 도시하는 도면.
제15도는 카트리지 케이스의 변경된 벽부분을 도시하는 단면도.
제16도는 카트리지 케이스의 또 다르게 변경된 벽부분을 도시하는 단면도.
제17도는 제16도 및 제17도와 비슷하나, 카트리지 케이스의 또 다르게 변경된 벽부분을 도시하는 단면도.
제18도는 이상의 도면에서 본 바와 같은 카트리지 조립체를 장전하기에 적합한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의 투시도.
제19도는 제18도의 도시된 카메라를 뒤집어서 반대편 쪽에서 바라본, 카트리지 조립체를 수용하기 위해 뚜껑이 열려 있는 상태의 투시도.
제20도는 제19도에 도시된 카메라에 부착되어 있는 장치들에 대한 평면도로서 필름 카트리지 조립체가 카메라 안에 장전되고, 필름 디스크 허브(disk hub)가 그 초기의 상태에서 작동하기 이전의 그 카메라 장치들의 각 부품들의 위치를 도시하는 평면도.
제21도는 초기의 회전동작을 실시하기 위하여 필름 디스크 허브와 맞물고 있는 상태의 카메라 장치들을 도시하는 제20도와 일치하는 평면도.
제22도는 노출구로부터 카바 슬라이드(cover slide)를 떼어내고 첫번째 노출면을 노출위치에 갖다 놓는 첫번째의 인덱싱(indexing) 작업을 끝마친 후의 그 장치들의 각 부품들의 위치를 도시하는 제21도 및 제22도와 일치하는 평면도.
제23도는 제20도의 선 23-23에서 본 단편 확대 단면도.
제24도는 카메라에 부착된 필름 지지 프레임 부재의 부분 투시도.
제25도는 제18도에서 제24도까지에서 도시된 카메라에 속해 있는 게이트(ga te) 구조와 그와 결합되어 있는 광학적 요소들에 대한 개략적인 단면도.
제26도는 어드밴싱 풀 투스(advancing pawl tooth)와 인덱싱 풀 투스(indexin g pawl tooth)를 도시해 주는 제22도의 일부분에 대한 확대도.
제27도는 제20도의 선 27-27에서 본 부분 확대 단면도.
제28도는 앞서의 도면들에 도시된 장치들의 판막이 하부에 위치한 카메라의 부품들을 보여주는 제20도 및 제22도와 일치하는 평면도.
제29도는 제28도에 도시된 셔텨 개방장치(shutter release mechanism)부분에 대한 부분 확대 투시도.
제30도는 제18도에서 제29도까지에 도시된 카메라의 카바래칭(cover latching)장치에 대한 확대 분해도.
제31도는 다소 변경된 필름 디스크 허브를 사용하는 간단한 수동식 필름 어드밴싱(advancing)장치를 갖고 있는 두번째 실시예의 카메라에 대한 개략적인 평면도.
제32도는 제31도에 도시된 장치에 사용된 어드밴싱 및 포지쇼닝 투스(positi oning tooth)에 대한 확대 단면도이며, 필름 디스크가 노출의 위치에 있을 때의 그 투스들의 각 위치를 도시해 주는 도면.
제33도는 필름 디스크 허브가 회전 작동을 끝나고 카바 슬라이드를 카트리지 조립체의 노출구로 환원시킨 후의 어드밴싱 및 포지쇼닝투스의 각 위치를 보여주는 제32도와 일치하는 단면도.
제34도는 자동식 필름 어드밴싱 장치를 갖고 있는 세번째 실시예의 카메라에 대한 개략적인 평면도로서 카메라의 장전(loading) 작업중에 있어서의 각 위치에 있는 그 장치의 각 부품들을 도시한 도면.
제35도는 제34도에 도시된 장치에 부착되어 있는 도어 래치(door latch) 장치로서 그 장치가 래칭(latching) 상태에 있는 것을 도시하는 도면.
제36도는 제35도와 일치하는 것으로서 도어 래치장치가 개방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제37도는 필름 디스크가 전진하고 노출되어 도시된 여러 가지 부품들의 각 위치를 보여주는 제34도와 일치하는 도면.
제38도는 제34도 및 제37도에 도시된 필름 유니트의 어드밴싱 및 인덱싱 장치에 대한 변경된 형태를 도시하는 도면.
제39도는 제34도 및 제39도에 도시된 장치의 또 다르게 변경된 것으로서, 도시된 부품들의 필름 인덱싱 작업이 끝난 후의 위치를 도시하는 도면.
제40도는 제39도와 일치하는 것으로서, 필름 어드밴싱 작업중의 각 부품들의 위치를 도시하는 도면.
제41도는 필름 유니트의 투시도.
제42도는 노출된 후에 취급되도록 배열된 복수형 필름 유니트의 투시도.
제43도는 제42도에 도시된 장치의 일부분에 대한 단면도.
본 발명은 사진용 카트리지 조립체(cartridge assembly)를 사용하는 스틸 카메라(still camera)에 관한 것이다.
노출을 위한 카메라의 광축(optical axis)에 그 영상면(image areas)을 위치시키기 위하여 카메라 내부에서 회전되도록 배열되어 있는 디스크의 형태로 그 감광재가 만들어져 있는 사진 시스템을 마련하는 것은 이미 알려져 있는 바이다. 이미 알려진 그러한 시스템은 모두 상업적인 측면에서 그러한 시스템의 실현을 저해하는 한가지 또는 그 이상의 난점들을 갖고 있다.
일반적으로 예를 들자면 암실에서의 카메라의 장전을 필요로 하지 않는 디스크형 필름을 만들자면, 노출구(exposure window)를 갖춘 카트리지 안에 그러한 디스크를 넣어여 하는 것이다. 만약 카메라에 장전하기 전의 또는 카메라에서 빼어낸 후의 카트리지 안에서의 필름 디스크의 회전을 방지하기 위한 조처가 없다면 그 필름 디스크의 감광면이 흐려지게(fogging)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그러한 난점을 최소화시키거나 완전히 극복한 회전하는 필름 유니트를 포함하는 카트리지 조립체를 장전시키기에 적합한 카메라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감광재의 디스크, 그 디스크가 들어갈 케이스 및 필름 유니트의 방향이 결정되지 않은 상태에서 필름 유니트가 케이스에 대하여 회전하는 것을 막아주는 제어장치 등으로 구성된 필름 유니트를 포함하는 사진용 카트리지 조립체가 제공된다.
본 발명은 노출구가 달린 케이스, 그 케이스 내부에서 회전운동을 할 허브에 고정부착되어 있는 사진용 필름의 디스크와 필름 유니트가 케이스 내부에서 방향이 결정되지 않은 상태에서 빛이 노출구를 통하여 들어오는 것을 차단하여 주는 그 허브에 부착되어 케이스 내부에 배치되어 있는 카바 슬라이드 등으로 구성된 필름 유니트 등으로 이루어지는 사진용 카트리지 조립체를 제공한다. 그러한 카트리지 조립체는 그에 적합한 카메라를 필요로 하며, 따라서 본 발명은 앞서 말한 카트리지 조립체를 장전시키기에 적합하며 카트리지 조립체가 장전될 포켓트(pocket)와 그 카트리지 조립체를 개방(rel ease)해 주고 카트리지 케이스에서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도록 해 주는 카트리지 조립체의 제어장치와 맞물려 있는 키이(key)등을 갖고 있는 사진용 스틸 카메라도 역시 제공한다.
여기에 상술되는 카메라 및 카트리지 조립체의 또 하나의 중요한 특징은 복수의 영상면을 갖는 감광재의 디스크와 방사상으로 바깥쪽으로 열려진 요부(recess)를 갖고 있어서 디스크의 중앙부 내경의 외부가 그 요부에 끼워져서 거기에 영속적으로 부착되는 고형의 허브등으로 이루어지는 사진용 필름 유니트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분야에는 미리 노출된 경계선에 의해 한정되는 복수의 영상면과 그 영상면들과 관련된 복수의 인덱싱(indexing) 장치를 갖고 있는 감광재의 디스크를 포함하는 필름 유니트가 있다.
회전하는 필름 디스크를 장전하기 위한 이미 공지된 카메라에는 그 디스크의 감광면을 카메라의 촛점면에 정확하게 위치시키는데 난점이 있었다. 그러한 난점은 그 필름 디스크가 카트리지 안에 마련되어 있고 그 카트리지에 대하여 자유롭게 회전하도록 하려면 더욱 심각해진다.
본 발명은 감광재의 디스크와 거기에 부착된 허브 및 필름디스크를 차광시키면서 봉해주고 케이스내에서 필름 디스크가 회전하는 것을 도우며, 하나의 노출구를 갖는 얇은 판으로 된 카트리지 케이스 등으로 구성되며, 영상을 만들도록 노출구에 디스크면을 위치시키기 위하여 그 필름 유니트가 케이스 내부에서 회전하며, 그 노출구는 카메라의 촛점면에 노출구에 접한 디스크의 영상면을 위치시키기 위한 카메라의 보조장치를 수용하도록 배열되어 있는 사진용 카트리지 조립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조립체의 불투명한 케이스 내부에 수용되며 허브에 부착된 감광재 디스크를 포함하는 필름 유니트로 구성되는 사진용 카트리지 조립체를 제공하는데 그 케이스는 그 벽에 노출구가 뚫려 있고 카트리지 케이스의 적어도 그 노출구가 있는 반대편쪽 벽의 부분은 신축성이 있으며, 구부러지도록 되어 있는데 이것은 노출구에 접한 필름 디스크의 면을 카메라의 촛점면으로 밀어 넣기 위함이다.
본 발명은 또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카트리지 조립체를 수용하도록 만들어졌으며, 카트리지 조립체가 미리 결정된 방향으로 수용될 수 있는 포켓을 갖고 있는 하우징 및 조립체의 필름 유니트의 단계적 회전을 위한 장치와 조립체의 감광재 디스크의 한면을 그 면의 노출을 위하여 카메라의 대물렌즈의 촛점면에 위치시키기 위하여 카트리지 조립체의 노출구로 들어가도록 배치된 보조장치 등을 구성하는 사진용 스틸카메라를 제공한다.
감광재의 디스크를 사용하는 종전의 시스템에 대한 또 하나의 난점은 감광재의 노출시키고자 하는 영상면을 카메라의 광축에 정확히 위치시키는 것과 그 영상의 영사, 복사 등 그 노출되고 현상된 면을 나중에 사용할 때 정확하고 재현할 수 있는 위치에 갖다 놓는데에 있다.
본 발명의 또 하나의 목적은 그러한 난점을 최소화시키거나 완전히 극복한 회전하는 필름 유니트를 포함하는 카트리지 조립체를 수용하도록 만들어진 카메라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복수의 영상면을 갖고 있는 디스크와 그 디스크에 부착되어 감이 회전하며 그 복수 영상면에 따른 복수의 인덱싱 장치를 갖고 있는 허브등으로 구성되는 사진용 필름 유니트가 마련되어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위에서 말한 바와 같은 필름 유니트를 수용하도록 만들어졌으며, 필름 유니트가 회전하도록 지지하는 장치 및 복수의 인덱싱 장치를 이러한 지지된 필름 유니트의 허브에 맞물리게 하여 차례로 영상면을 그 기구의 광축에 위치하도록 해 주는 장치등을 갖는 사진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도면과 함께 상술하자면 다음과 같다.
"카트리지", "카셋트", "매거진" 등과 같은 여러 가지 용어가 필름을 그 속에 넣어서 카메라로 집어 넣는데 필요한 용기(containers)를 지칭하는 말로 사용되어 왔었다. 필름 이들은 그와 같은 용기를 여기서는 "카트리지 조립체"라고 칭하기로 하였다. 카트리지, 카트리지조립체 또는 그것을 사용하는 사진카메라는 잘 알려진 것이므로 본 명세서에서는 본 발명에 독특하게 관계되는 카트리지 조립체의 구성요소의 부분을 차지하거나 그와 직접적으로 상호작용하고 있는 요소들에 대하여만 특별 히 언급되어 있다.
제1도는 필름 유니트(17)와 케이스를 포함하는 카트리지조립체(11)의 분해 투시도이다. 필름 유니트(17)는 필름 디스크(10)와 허브(12)(제14도 참조) 및 카바 슬라이드(14)와 불투명한 차광판(16)으로 구성되어 있다. 케이스는 허브 지지부(19)를 포함하는 케이스부재(18)로 이루어져 있다. 카트리지 조립체는 제2도 및 제3도 참조) 제18도에서 제30도까지의 실시예로서 도시되어 있는 형태의 카메라와 상호 작용하기에 적합하도록 만들어져 있다.
필름 디스크(10)는 도면에 있는 바와 같이, 대체로 원형의 원주(20)를 갖고 있는 디스크의 형태로 되어 있다. 여기서 디스크라고 명명했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하기 위하여 원형이 아닌 즉, 예를 들면 6각형 또는 8각형 등의 다각형의 형태를 갖는 디스크로 사용될 수 있다. 필름 디스크(10)는 알맞게 신축성이 있으면서도 탄력성이 있는 기저판(base sheet)으로 이루어진다. 그것은 셀룰로우즈 아세테이트(cellulose acetate)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oly ethylene terephthalate)등으로 만들 수 있으며, 후자는 "Mylar" 라는 상표로서 판매되고 있는 것이다. 그 기저판의 한쪽면에는 감광재가 묻어 있어서 사진 영상면(13)을 형성하고 있는데 그 위에 하나 또는 이상의 잠재적인 사진 영상이 기록되어져 사진현상이 된다.
필름 디스크(10)는 중앙 구멍(22)을 갖고 있다. 허브(12)는 필름 디스크의 중앙 구멍(22)에 장착되며, 후에 상술되는 바와 같이, 그 허브와 디스크(10)는 특별한 관계를 갖게 되는 것이다. 필름 디스크(10)와 허브(12)는 카메라 안에서의 노출중 뿐만 아니라 현상, 복사, 관찰 및 기타 노출후의 작업중에서도 하나의 유니트로 취급되도록 영속적으로 붙어 있도록 만들어져 있다. 필름 유니트는 회전축 A를 따라 서로 반대편 방향으로 마주보는 첫번째 및 두번째면을 갖고 있다. 필름 디스크의 구멍(22)에 장착된 허브(12)는 그 양면이 필름 유니트의 각면의 일부를 이루고 있다(제41조 참조).
적당한 플라스틱 주조 기술에 의해 만들어지는 허브(12)는 단계식 링 구조물(r ing structure)(15)(제4도 참조)을 갖고 있는데 그 일부는 필름 디스크의 중앙 구멍 (22)를 통하여 튀어나와 있다. 제조과정에서 필름 디스크(10)와 허브(12)는 중앙구멍(22)으로 튀어나오고 허브에 있는 키이 홈(26)(제5도 참조)에 수용될 필름 디스크 (10)의 키이(24)에 의해, 미리 결정된 관계로서 미리 서로 결합된다. 필름 디스크 (10)는 예를 들면 디스크를 허브에 부착시켜 주는 "접착"등의 방법에 의하여 허브(12)에 고정 부착된다. 대안으로서, 허브(12)가 폴리스티렌(ploystyrene)등 가변형 재료로 만들어진 경우에는 필름 디스크(10)는 허브(12)에 열 또는 압력을 가해서 부착된다. 제5도에는 하나의 휭거(finger)(28)가 있는데 이것은 허브의 키이홈(26)과 인접해 있으며(제5도의 점선으로 도시된 초기의 위치로부터), 필름 디스크(10)의 표면으로 변형되어 키이(24)를 키이홈(26)에 부착시켜 주고 그 디스크를 허브에 꽉 물려 준다. 필름 유니트의 전사용기간을 통하여 서로 꼭 부착된 상태 및 영속적인 관계를 유지하기 위하여 허브를 필림 디스크에 부착시키기 위한 또 다른 휭거들이나 기타의 장치를 요구에 따라 허브의 둘레 및 중앙 구멍에 제공할 수 있다.
양호한 실시예에 따르면 키이홈(26)은 허브 주위에 연장되어 있고 유니트의 회전축으로부터 떨어져서만 열리는 환형 요부(annular recess)의 방사상 만입부이다. 디스크(10)는 그 요부로 수용되어져서 그 측면벽과 맞물려지거나 접착된다. 그러한 바람직한 구조를 만드는 하나의 방법은, 허브를 제5도에 대체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폴리스티렌 등과 같은 가변상재료로 만들되 휭거(28)가 없이 이루어진다. 필름 디스크(10)는 그 필요한 자리에 위치시키고, 폴리스티렌의 링은 휭거(10)의 최종 위치와 일치하는 자리에 위치시킨다. 그 링은 그런 다음 디스크를 환영요부에 영속적으로 부착시키기 위한 열, 초음파 또는 기타 유사한 방법 등으로 허브에 용접된다. 대안으로서, 그 링이 환형 요부의 방사상 벽을 형성하고 동시에 디스크를 그 속에 결착시키도록 가변성이 있는 완전한 축을 이루는 벽을 형성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로서, 나중에 처리과정에서 그 요부에 유체(liguid)가 보다 적게 남아있게 되고 또한 그리하여 나중에 처리 과정에서 원심력이 작용될 때 줄이 잡히게 되는 경우를 방지할 수 있다.
불투명하며 지판, 프라스틱판 및 기타 재료 등으로 만들 수 있는 케이스부재( 18)는 첫번째 벽(30)과 그 첫번째 벽(30)로부터 연장되는 훌랩(flaps) F1, F2, F3및 F4를 형성하는 겹쳐지는 두번째 벽(32)으로 이루어진다. 제15도 및 제17도에서 더욱 완전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케이스 첫번째 벽이 적어도 두번째 벽(32)보다는 신축성이 있다. 카트리지 조립체의 제조과정에서 훌랩 F1-F4는 봉투식으로 접어져서 필름 유니트 제립체를 감싸도록 정착되어진다. 훌랩 F1, F2, F3및 F4에 뚫려 있는 반원형구멍 31a, 31b, 31c 및 31d는 그 훌랩들을 접었을때 중앙의 원형구멍을 형성하도록 되어 있으며(제2도), 그 원형구멍의 직경은 허브(12)의 일부를 수용하여 허브(12)의 한쪽면이 카메라의 필름-어드밴싱(advancing) 장치에 들어가기 쉽게 되어 있다. 장방형의 노출구가 훌랩 F3에 뚫려 있으며, 훌랩 F2와 F4는 잘라낸 부분 35의 35'가 있어서 훌랩 F2와 F4가 훌랩밑에 서로 접혀졌을 때 그 2부분이 서로 합쳐져서 훌랩 F3에 있는 노출구와 일치하도록 되어 있다.
제2도 및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 부재(18)는 허브의 회전축에 대하여 비대칭형으로 만들어져 4모서리에 서로 같지 않은 접힘부를 갖게 할 수도 있는데 (56과 56'를 비교할 것), 이는 카트리지를 카메라에 장전시킬 때 미리 정해진 방향으로 만들어가도록 하기 위하여 만든 똑같은 모양의 카메라 포켓트에 꼭 맞도록 만들어진 것이다.
첫번째 벽(30)에는 일반적으로 중앙에 위치하는 원형구멍(36)이 뚫려져 있어서 거기에 허브 지지부(19)가 접착 등의 방법으로 부착된다. 대안으로서, 알려진 프라스틱 주형 기술에 의하여 허브 지지부(19)를 케이스 부재(18)와 단일체로서 만들 수도 있다. 필름 유니트(17)는 그 허브(12)를 이용하여 허브 지지부(19)에 스냅-래칭(sn ap-latching)형으로 장착되는데 이것은 아래에 더 상세하게 설명되는 바와 같이, 필름 유니트(17)와 허브 지지부(19)를 서로 연관되게 결합시켜 주어서 필름 유니트(17)가 그 지지부에 대하여 회전할 수 있도록 해 준다.
노출구(33)를 통하여 필름 디스크(10)의 감광재로 들어오는 빛은(카트리지 조립체가 카메라 안에 장전되지 않았을 때) 카바 슬라이드(14) 및 차광판(16)에 의해 미리 방지된다. 카바 슬라이드(14)는 얇으면서 비교적 경직성이 있고 불분명한 판형재로 만들어지며 노출구(33)를 가려 줄 수 있는 크기의 대체로 부채꼴 형태를 갖는 리프( leaf) 부분(40)을 갖는다. 카바 슬라이드는 또한 허브(12)의 원통형 견부(44)(제5도)를 일주하는 환형부(42)를 갖는다. 그 환형부(42)에는 허브의 키이홈(48)에 밀착 수용될 적어도 한개의 키이(46)가 있는데 그것에 의해서 필름 유니트와 함께 회전하는 허브(12)에 카바 슬라이드(14)가 부착되어 남아 있게 된다. 차광판(16)은 불투명한 것이며, 역시 판형재로 만들어지고 허브의 견부(44)를 수용한 크기와 위치로서 그 중앙에 구멍(50)이 뚫려 있다. 차광판(16)에는 노출구(33)와 모양과 크기가 같고, 또 거기에 겹쳐질 구멍(52)이 역시 뚫려 있다. 차광판(16)은 케이스부재(18)안에 박착시켜 끼워넣고 또 케이스(18)에 대하여 회전하지 못하도록 만들어져 있다.
카트리지 조립체가 카메라 안에 장전되어 있지 않을 때 필름 유니트는 케이스( 18)내에서, 카바 슬라이드(14)의 리프부분(40)이 노출구(3) 및 차광판의 구멍(52)과 차광관계에 있도록 만들어져 있다(아래에서 설명될 초기의 허브 쇄정장치에 의하여). 그 리프부분(40)은 그것이 중간에 끼는 노출구(33) 및 (52)보다 크므로, 노출구(33) 및 (52)를 통하여 화학선(actinic)의 빛이 필름 디스크(10)로 들어오는 것을 막기 위한 차단 배열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필름 디스크의 기저판을 만들기 위한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등의 재료는 "빛의 파이프"(light pipe)(즉, 그 기저판 내부로 빛이 침범하게 되는) 현상을 나타낼 수도 있으며, 그리하여 그 기저판이 빛이 침범하는 곳으로부터 멀리 떨어져 있을 때라도 그 기저판에 묻어 있는 감광재를 흐리게 한다. 그러한 흐려지는 현상(fogging)에 대한 방지책으로 필름 디스크(10)에는 필름 디스크의 외부원주(20)로부터 안쪽으로 이어지는 절두부체 형태의 절단 노치(54)가 있다. 그 노치(54)는 영상면들이 배열되어 있는 원형선(p)위에, 적어도 그 선(p)을 따라 배열되어 있는 영상면(65)의 원주길이만큼 큰 원주길이를 갖고 있다.
노치(54)는 그 부분과 경계선을 이루고 있는 필름 디스크의 면과 함께 카바 슬라이드(14)의 리프부분(40)에 의해 덮혀져 있다. 겹쳐진 노출구(33) 및 (52)의 근처에 위치한 필름 디스크의 면적이 노치(54)에 의하여 최소화되어서 카트리지 조립체를 빛에 오랫동안 노출시킬 경우 등의 미궁같은 빛 차단을 통과하여 침입해 올 수도 있는 어떠한 분쇄된 빛으로 부터 필름 디스크를 보호해 준다.
제5도는 카트리지 조립체의 확대부분 단면도이다. 거기서 보는 바와 같이 카트리지 조립체의 요소들은 허브(12)와 허브 지지부(19)의 상호 결합에 의하여 조립된 상태로 있다. 케이스의 첫번째 벽(30)에 있는 원형 구멍(36)에 부착된 허브 지지부(19)는 일반적으로 둥근 기저판(38)을 구성하는데 거기에는 환형단(41)이 있고 그 단에는 구멍(36)과 접한 케이스벽의 잔여부분이 놓여져서 접착제에 의해 접착된다.
첫번째 벽(30)에 있는 키이(37)(제1도)는 제작과정에서 지지부(19)의 위치를 미리 정하기 위하여 허브 지지부(19)에 있는 키이홈(39)과 결합된다. 원통형 벽(57)이 기저판(38)로부터 이어져 나와 있으며 그 방사상의 외부면에 벽(57)의 주변을 돌아 이어져 있는 홈(58)을 갖고 있다. 원통형 벽(57)의 말단부에는 제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추절두체형 면(60)이 있다. 지지부(19)와 허브(12)가 조립되었을 때 원통형벽( 57)은 허브(12)의 원통형 벽(61) 내부에 끼워진다. 여러개의 방사상으로 안쪽으로 튀어나온 래칭 루스(59)가 벽(61)을 따라 설치되어 있으며 각 래칭 투스는 경사진 면(62)을 갖는다. 조립과정에서 캡면(62)과 원추절두체형 면(60)간의 슬라이딩 결합은 벽(57) 및 (61)을 서로 끼워져 맞물리게 해 주며 그 끼워 넣은 작업을 래칭투스( 59)가 벽(57)을 따라 미끄러져서 원주홈(58)과 단단히 결합되게 하기 위하여는 벽(5 7) 및 (61) 중 하나 또는 모두를 약간 굽힘으로서 이루어진다. 그 홈(58)과 래칭투스( 59)는 빠지지는 않으나 약간 헐거운 상태로 물려지게 되서 허브(12)와 그 지지부(19)가, 허브가 그 지지부에 대하여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도록 서로 끼워져 있게 된다.
서로 끼워진 벽(57) 및 (61)은 그 벽(57) 및 (61)에 둘러싸인 허브 또는 허브 지지부에 있는 몇몇의 구멍을 통하여 들어올지도 모르는 빛에 의하여 필름 디스크(10)가 흐려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빛 차단을 형성하기 위하여 부가적으로 상호 결합한다.
지지부(19)의 환형견부(63)는 벽(61)의 기저부에 있는 환형 요부(61)과 협동하여 필름 디스크(10)가 흐려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또 하나의 부가적인 장벽을 형성한다.
사진현상을 위하여 필름 유니트를 카트리지 조립체로부터 분리해 내야 할 경우에는 각 래칭투스(59)와 연결되어 있는 코어링 구멍(cording hole)(55) 속에 쐐기형 탐침(probe)등 적당한 도구를 삽입함으로써 허브를 허브 지지부(19)로부터 분리시킬 수가 있다. 삽입된 탐침을 사용하여 벽(57)및 허브(12)를 홈(58)로부터 그 투스(59)를 분리시키기 위하여, 구부릴 수 있으며, 그렇게 하여 허브를 허브 지지부로부터 떼어 낼 수 있는 것이다.
필름 유니트 조립체를 끄집어내기 위하여는 케이스를 찢거나 뜯어서 열 수 있다. 카바 슬라이드(14)는 허브(12)에 영속적으로 붙어 있는 것이 아니고, 또한 그것의 기능은 필름 유니트를 카트리지 조립체로부터 분리시키고나면 끝나게 되는 것이므로, 현상과정에 대한 분비로서 그 카바 슬라이드를 허브(12)로부터 떼어내서 버리며, 따라서 사진현상액이 카바 슬라이드와 필름 디스크(10) 사이에 남아있게 될 수 있는 가능성을 배재하는 것이다. 비슷하게, 허브에 다만 헐겁게 붙어있는 차광판(16)도 역시 필름 유니트로부터 떼어내어 버린다. 카바 슬라이드(14)와 차광판(16)은 그들을 허브로부터 분리해 내기에 용이하도록 모두 구조적으로 약한 찢는 선을 갖고 있다.
필름 디스크(10)는 필름 유니트의 축(A)에 중심을 둔 원형선(P)을 따라 배치된 복수의 영상면(제2도)에 사진영상을 기록할 수 있다. 그 선(P)은 허브(12)의 외주와 필름 디스크의 외주(20)사이에 있다. 그 영상면(65)은 카메라에서 노출되기 전에 미리 노출시킨 주변의 경계지역(67)에 의해 제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한 사전 노출은 카트리지의 제조 과정 중의 한 부분에 속하며 아래에서 상술된 인덱성 장치와 결합하여, 카메라에서의 노출에 의하여 감광재의 필름 디스크에 생긴 잠재적인 영상이 그 시이트의 미리 정해진 위치(즉, 영상면)에 놓이게 되도록 해 준다.
영상면(65)이 카메라에 의해 노출이 될 정확한 위치에 놓이도록 하기 위하여(또는 복사기, 관찰기, 또는 기타 기구에 정확히 놓이도록 하기 위하여) 허브(12)는 여러개의 대체로 방사상으로 생긴 인덱싱 투스(114)을 갖고 있는데, 그것들은 허브(12)의 주위를 따라 대체적으로 둥근 선위에 배치되어 있다. 투스(114)의 수효는 영상면(65)의 수효와 일치한다. 각 영상면(65)는 그에 해당하는 인덱싱 투스(114)와 같은 공간의 관계를 갖고 있어서 또 다른 각 영상면(65)도 그에 해당하는 투스(114)를 갖고 이러한 꼭같은 관계가 여기에 상술되는 형태의 모든 필름 유니트에 바람직하게 유지된다.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투스(114)는 그에 관련된 영상면(65)과 미리 정해진 관계로서 허브(12)에 정확히 놓여지게 된다. 다른 필름 메터링(metering) 또는 인덱싱 장치에서 보통 사용되는 간단한 필름의 구멍들에 대하여 인덱싱 투스(114)는 변형에 대한 내구성 및 저항성이 비교적 강하기 때문에 필름 유니트는 반복적으로 확실하게 놓여질 수 있으며, 그리하여 복사나 관찰등 노출후의 인덱싱 작업을 용이하게 하여 준다.
사진사가 영상면(65) 중 어떤 것을 노출의 위치에 갖다 놓을 것인가 하는 것을 결정할 수 있게 하도록 하기 위하여, 제3도 및 제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출계수 시스템이 제공된다. 제3도에는 허브 지지부(19)에 있고 노출면(65)이 그들의 선(P)에 놓여있는 것과 같은 각 피치로서 축(A)에 중심을 둔 원형선을 따라 배열되어 있는 투공 (120)을 도시하고 있다. 각각의 투공(120)은 그와 연합된 노출면 확인번호(122)를 갖고 있는데 이것은 허브 지지부(19) 위에 있고 제3도와 같이 각 영상면(65)에 각각 해당하는 것이다. 영상면(65)에 대하여 미리 정해진 위치에 허브(12)에 달려있는 L-자형 다리(124)는 허브 지지부(19)를 마주보고 있으며, 그 지지부(19)에 있는 투공(120)이 그에 따라 배열되어 있는 원형선을 덮어주도록 위치한 하나의 표면(126)을 갖고 있다. 그 표면(126)에는 아주 눈에 잘 뜨이는 야광물질이 발라져 있다. 허브(12)가 인덱스됨에 따라서 그 표면(126)은 각 투공(120)과 잇달아 일치하며, 카메라의 카바 도어 윈도(436)(제19도)를 통하여 들여다 보이므로 사용자에게 영상면 중의 어떤 것이 노출의 위치에 있는 것인가 하는 것을 볼 수 있게 하여 준다.
카트리지 조립체가 카메라 안이나 기타 차광장치 내부에 수용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의 필름 유니트의 회전은 적어도 카트리지 조립체의 노출구(33)를 지나 회전하는 영상면들의 노출과, 아마도 그러한 영상면들과 인접한 영상면들을 흐리게 하는 결과를 가져올 것이 분명하다. 또한 필름 유니트를 완전히 한바퀴 회전시킨 후에도 또 회전한다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영상면이 이중으로 노출될 것도 분명하다. 따라서 카트리지 조립체의 특별히 유익한 특징은 완전히 카트리지 조립체 내부에 부착되어 있는 2가지 형태의 허브 쇄정장치이다. 하나의 쇄정장치는 필름 유니트의 회전을 카메라에 장전시키기 전에 카트리지 조립체 안에서 방지하며, 카메라와 결합하여서 필름 유니트가 회전할 수 있도록 개방되고, 모든 영상면이 다 노출된 후에는 필름 유니트가 카트리지 조립체에 대하여 회전하지 못하도록 쇄정하는 장치를 포함한다. 다른 쇄정장치는 필름 유니트가 완전히 한바퀴 회전한 다음에는 더 이상 회전하지 못하도록 막아준다. 노출 후에 첫번째 또는 두번째 형태의 쇄정장치로서 잠그어진다면 이미 다 노출된 카트리지를 다시 카메라에 넣어도 그 쇄정장치가 개방되지 않는다.
제4도에 관하여 살펴보면 허브 쇄정장치가 초기의 쇄정상태에 있어서 카메라에 카트리지를 장전시키기 전에는 회전이 되지 않도록 막아주고 있는 허브 쇄정장치를 도시해 주고 있다. 거기에서 보듯이 허브 지지부(19)에는 그 기부(基部) 끝이 지지부(1 9)에 부착되어 있는 가늘고 긴 신축성 있는 스프링 휭거(128)가 있다. 그 휭거(18)는 허브(12)에 달린 래치 부재(130)와 맞물리도록 배치된 말단부129)를 갖고 있다. 카트리지 조립체를 카메라 안에 삽입하기 전에 스프링 휭거(128)의 말단부(129)는 래채부재(130) 하부에 있는 처음의 래칭 지지구 안에 놓여 있다(제8도 및 10도의 점선부). 그 휭거의 말단부(129)와 그 래칭 저지구(132)와의 초기의 쇄정 결합은 허브 지지부(1 9)에 대하여 허브(12)가 회전하는 것을 막아준다. 카트리지 조립체의 제조과정 중 쇄정장치가 그 초기의 위치에 있기 때문에 카트리지 조립체가 카메라 안에 삽입되기 전의 필름 유니트의 잘못된 회전이 미리 방지되는 것이다. 카메라 안에 카트리지를 삽입하면 적당한 길이를 갖고 있는 카메라의 카플링 핀(433)이 드라이브 구멍(drive bore)(118)으로 들어가서 휭거(128)의 면에 있는 튀어나온 돌기(134)와 접촉하게 된다(제9도 참조). 그 핀(96)과 접촉하면 휭거(128)는 아래쪽으로 꾸부러져서(제8도 및 9도 참조), 그 말단부(129)를 초기의 래칭 저지구(132)로부터 개방시켜 주며 허브(12)가 허브 지지부(19)에 대하여 회전할 수 있도록 개방해 준다. 허브(12)가 회전함에 따라 그 카플링 핀(96)이 튀어나온 돌기(134)로부터 벗겨져 나가고 휭거의 말단부(129)가 아래쪽으로 마주보는 래치부재(130)의 캠면(133),(135)중 하나를 따라서, 허브의 회전의 방향에 따라, 그것이 래치(130)의 경사진 돌출부(tapered wings)(140),( 142)중 하나의 선단부(136) 또는(138)의 하부로부터 빠져나올 때까지 캠 작동되어 제4도와 같이 중앙의 위치로 위로 굽혀진다. 허브(12)는 허브 지지부(19)에 시계방향 및 그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장착되어 있고 래치(130)는 대칭적인 구조로 되어 있으므로, 허브(1 2)는 쇄정으로부터 해제되어서 어느 방향으로든 회전될 수 있고 또한, 다음에 설명되는 바와 같이 회전방향에 관계없이 다시 래치될 수도 있다.
대안으로서, 변경된 형태의 카메라의 스핀들(32)(제8도 및 9도 참조)을 사용하여 그 스프링 휭거(128)를 그 첫번째 래칭 저지구로부터 개방시킬 수 있다. 도시되지 않은 한 형태에서는 도면들에 도시된 카메라의 스핀들(432)보다 약간 더 긴 스핀들이 스프링 휭거(128)와 접촉하기에 충분한 거리까지 구멍(116)으로 들어가서 휭거의 말단부(129)를 초기의 래칭 저지구(132)로부터 분리시켜 주도록 그것을 눌러준다. 스핀들(432)은 허브의 회전축(A)과 일치하므로 위에 언급한 바와 같은, 더 긴 스핀들은 계속 휭거(128) 위에 위치해 있게 된다. 그러한 형태에서는 그 스핀들의 길이를 휭거(128)의 말단부(129)가 경사진 돌출부(140) 및 (142)의 선단부(136) 및 (138)의 아래에까지 내리눌러지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조심스럽게 택하여야 한다.
도시된 실시예에 대한 설명에 대하여 언급하자면, 만약 필름 유니트가 허브에 의해 360도 회전된다면, 허브가 한바퀴를 거의 다 돌게 됨에 따라, 스프링 휭거(128)는 다시 래치 부재(130)와 다시 부딪치게 된다. 그러나 제6도의 점선위치에서와 같이 카플링 핀과 래치 부재로부터 개방된 후 그 중앙의 위치로부터 위쪽으로 튀어 올라간 스프일 휭거(128)가, 회전의 방향에 따라, 래치부재(130)의 위쪽으로 향한 캠면(144),(146) 중의 하나와 부딪치게 된다. 그러한 접촉이 있은 후의 계속된 회전은 말단부(129)를 위쪽으로 캠 작동시켜 주고 그것을, 제11도 및 12도와 같이, 래치부재(130)의 상단부에 위치한 최종의 쇄정 저지구(148)로 갖다 놓아준다. 제11도에 역시 도시된 바와 같이, 휭거(128)는 표면(144),(146) 중 하나의 캠 작용에 의하여 그것의 중앙위치로부터 위로 꾸부러진 다음에는, 최종의 쇄정저지구(148)와 맞물려 있게 되면, 더 이상 움직이지 못하게 된다. 핀(433)는 그렇게 되면 더 이상 그것의 풀어주는 기능을 수용할 수 없게 되는데, 왜냐하면 그 핀(433)이 돌기(134)의 상부에 있게 될지라도 그것은, 그 말단부를 최종의 쇄정저지구(148)로 밀어주는, 오직 아래쪽으로 밀어주는 힘에만 영향을 미치므로, 최종 쇄정저지구로부터 그 휭거를 개방시켜 줄 수가 없기 때문이다. 일단 최종의 쇄정 상태에 들어가면, 만약 그 최종적으로 쇄정된 조립체가 꺼내어졌다가 다시 카메라 안으로 삽입된다 할지라도, 허브(12)는 허브 저지부(19)에 대하여 회전할 수가 없게 되는 것이다. 최종적으로 쇄정된 카트리지 조립체의 카바슬라이드(14)의 부채꼴 리프부분(40)은 노출구(52)와 차광의 관계에 있으므로 디스크(10)에 기록된 잠재된 영상은 필름 유니트가 사진 현상을 위해 카트리지 조립체로부터 분리되 나올 때까지 보호되는 것이다.
제13도 및 14도는 허브(12)와 허브 지지부(19)간의 초기 및 최종의 쇄정을 위한 장치에 대한 변경을 보여주고 있다. 지지부(19)는 첫번째의 신축성 있는 쇄정 휭거(190)를 포함하는데 이것은 허브의 시계 반대 방향으로의 회전을 막기 위하여 허브에 있는 결합베어링면(194)과 맞물려 있는 베어링면(193)을 갖고 있다. 카메라에 삽입되면, 카메라에 있는 핀(433)은 그러한 시계 반대방향의 회전을 가능케 하기 위하여 휭거(190)를 눌러서 베어링면(193) 및 (194)이 서로 맞물려져 있는 상태로부터 해제되게 해 준다. 허브 지지부에 있는 두번째의 탄성 쇄정 휭거(191)는 하나의 돌기부 (195)를 갖고 있는데, 이것은 허브의 시겨방향으로의 회전을 처음에 막아주기 위하여 허브의 돌출부(192)의 한 표면(198)과 처음으로 맞물려진다. 첫번째의 쇄정 휭거( 190)로부터 개방된 후에는 허브가 카메라에 의해 시계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며, 그리하여 그 돌출부(192)가 휭거(192)의 표면(199)로부터 빠져나가고 그것을 제13도의 점선 위치로 굽혀준다. 허브는 돌출부(192)가 휭거(192)의 표면(199)로부터 빠져나가고 그것을 제13도의 점선 위치로 굽혀준다. 허브는 돌출부(192)가 두번째 쇄정 휭거(191)에 있는 슬로트(제14도 참조)와 맞물려질 때까지, 카메라에 의해 360도 회전될 수 있다. 허용된 회전의 마지막 단계에 있는 동안 그 돌출부(192)는 제14도에 있는 바와 같은 점선위치를 통하여 점차 비껴지는 휭거(191)의 방사상의 안쪽표면을 그 휭거가 돌출부(192)를 둘러싸고 있는 슬로트(196)와 함께 방사상으로 안쪽으로 튀어오를 때까지 눌러준다. 슬로트(196) 안에 있는 돌출부(192)에 의해 허브와 허브 지지부간의 영속적인 최종 쇄정이 이루어진다.
제19도에서 30도까지에 더 자세히 나타나 있는 다른 카메라 구동장치 또는 제34도에서 37도까지에 나타난 또 다른 실시예에서, 필름 유니트는 모든 영상면을 카트리지 조립체의 노출구에 연속적으로 갖다 놓기에 충분하지만 완전한 한 바퀴의 회전보다는 적은 각(angle)을 통하여 회전된다. 필름 유니트의 회전방향은 거기에서 바뀌어져서 그 유니트는 그것의 처음의 위치로 되돌아가게 된다. 여기에서 상술되는 쇄정 장치는 그러한 다른 카메라 설계를 허락하기에 적합한 것이다. 위에서 지적한 바와 같이 래치부재(130)의 이중-테이퍼대칭 설계, 즉 서로 반대쪽으로 면한 돌출부(140) 및 (142)의 존재로 스프링 휭거(128)가 윗쪽으로 면한 두개의 캠 표면(144) 및 (146)을 타고 올라감으로써 최종 쇄정저지구(148)로 접근하여서 그 속으로 들어가게 된다. 그렇게 하여서 최종 쇄정과 연합된 회전의 방향이 해제와 연합된 회전의 방향과 같든지 반대이든지에 관계없이 최종적인 쇄정이 이루어지게 된다.
제13도 및 14도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방사상으로 바깥쪽으로 구부러진 선단부 (197)는 돌출부(192)가 시계방향으로 접근해 가면 휭거는 돌출부(192)가 슬로트 (196)로 들어갈 때까지 바깥쪽으로 캠이 되어 그때 휭거(191)가 튕겨 돌아가도록 해준다.
하나의 중요한 특징은 카트리지 조립체가 최종 쇄정 형태에 있는 것을 눈으로 확인할 수 있는 장치가 있는 것이며, 그것으로 인해서 한번 노출된 카트리지는 다시 쓸려고 할 때 야기되는 혼란을 방지할 수가 있는 것이다. 제1도에서 12도까지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허브(12)에 위치하며 래치부재(130)의 상부에 놓여진 구멍(159)은 휭거( 128)가 최종 쇄정 저지구(148)안에 있을 때 그 스프링 휭거(128)의 말단부(12 9)의 상부 표면에 극히 눈에 잘 띄이는 야광물질을 발라줌으로써, 또는 그 구멍(150) 근처의 라벨(label)에 적당한 표시를 역시 해줌으로써, 구멍(150)에 있는 휭거(128)의 색칠한 말단부(129)의 존재는 사용자에게 그 필름 유니트가 완전히 노출되었다는 것을 일깨워 준다.
제13도 및 제14도에서 도시된 장치에서는 카트리지가 최종 쇄정 위치에 있다는 것을 알려주는 이 표시는, 돌출부(192)의 캠 작용의 영향을 받아 휭거(19)가 방사상으로 바깥쪽으로 변형되어서 상부로 캠이 되는 하나의 훌래그(flag)에 의하여 제공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또 하나의 중요한 특징은 카메라의 촛점면에 대하여 필름 디스크(10)를 더욱 정확하게 위치시켜 주는 것이다. 그러한 정확한 위치는 필름 디스크와 카메라의 보조장치 사이에 위치한 카트리지 구조를 최소화시킴으로써 또는 가깝게 조정함으로써 필름과 카메라간의 긴밀한 접촉을 제공하여서 가능한 것이다.
다음에 좀더 자세히 상술되는 바와 같이 적어도 노출 바로 직전에, 그리고 노출 중에 카트리지의 첫번째 벽(30)은 스프링이
첫번째 벽(30)은 얇은 것이며(적어도 이중으로 겹쳐진 두번째 벽(32)에 대하여는) 따라서 적어도 압착판(438)과 필름 디스크(10) 사이에 위치하는 그 부분은 비교적 신축성이 있는 것이다. 카메라의 장방형 필름 지지 프레임(435)은 카트리지 조립체의 노출구(33) 및 (52)를 관통하여 필름 디스크(10)의 면(13)에 직접 접촉될 수 있는 만큼의 크기와 모양을 갖고 있다. 그리하여 영상이 필름에 기록되는 것이다. 압착판(438)에 의해 접촉되는 카트리지의 첫번째 벽(30)의 부위가 얇기 때문에 노출위치에 놓여지는 필름 디스크의 영상면(65)이 압착판(438)에 의해 지지프레임(435)으로 밀착되게 되고 카메라의 촛점면에 정확히 위치될 수 있는 것이다.
제15도에서 19도까지 장방형의 노출구(33)의 반대편에 있는 첫번째 벽(30)의 부분에 대한 변경된 구조의 단면도이다. 각 도면에서 첫번째 벽(30)은 필름 유니트를 보호하기 위하여 비교적 견고한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졌고 압착관(438)이 필름 유니트에 작용하는 힘을 보다 잘 전달해 줄 수 있는 구조물로 덮힌 창구(180)를 갖고 있다. 제15도는, 창구(180)를 덮어주며 그 창구둘레로 접착이 된 불투명한 플라스틱제의 얇고 신축성 있는 웨브(181)를 보여준다. 제16도는 부분(182)을 용이하게 떼어내도록 하기 위한 접힌 부분(185)를 갖고 있는 불투명한 벽(30)의 일체로 형성된 얇은 부분(182)을 도시한다. 제17도는 그 창구 둘레로 벽(30)에 접착된 얇고, 불투명하고 신축성 있는 웨브(184)에 의해 그 창구에 끼워진 두꺼운 플라스틱제 충전물(183)을 도시한다.
다음에 상술되는 카메라에서, 이동 가능한 압착 해제 휭거(144)는, 적어도 노출 직전과 노출중에 필름 디스크를 지지 프레임(435)에 밀착시켜 주기 위하여 압착판(4 38)을 밀어주도록 작동하고, 또한 적어도 필름 디스크가 프레임(435)에 대하여 이동하고자 할 경우에는, 압착판이 꽉 물려있는 것을 풀어주기 위하여 작동한다. 이런 식으로 필름 디스크가 프레임에 대하여 이동할 경우에, 필름 디스크와 프레임간의 힘을 가한 접촉관계가 해제되는 것이다. 그러한 힘을 가한 접촉상태가, 필름 유니트가 회전할 때도 계속된다면 영상면(13)의 감광재가 손상을 입게 될 것이다.
카트리지 조립체의 하나의 변경된 구조에서(도시안됨) 차광판(16)에 있는 창구(52)는 영상면(65)과 그 크기가 대체로 같다. 그러한 구조에서는, 카메라의 지지 프레임(435)이 창구(52)를 관통하지 않고, 노출구(33)만 관통하여 창구(52)와 경계하고 있는, 차광선(16)의 나머지 부분에 머무른다. 차광판(16)이 비교적 일정한 두께의 얇고 평평한 판재로 만들어졌기 때문에 지지프레임(435)에 의해 노출된 영상면(65)이 프레임이 필름 디스크와 직접 접촉되지 않은 경우에도 정확히 위치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의 양호한 실시예가 제18도에서 30도까지에 도시되어 있는데, 이것은 수동식 필름 드어밴스 카메라라고 불리워질 것인데 그 이유는 필름 어드밴싱장치의 수동작동에 의해서 얻어지기 때문이다.
제18도는 작동단계에 있는 카메라(40)를 보여주는 것으로서, 대물렌즈(403), 뷰판인더(view finder)렌즈(404) 및 자동노출 조절장치의 감광요소와 연결되어 있는 창구(405) 등을 갖춘 전방벽(402)이 도시되어 있다. 장방형의 셔터작동 버튼(406)이 카메라 하우징(408)의 상부벽(407)에 위치하고 있으며, 그 셔터의 높이는 그 상부벽(407)과 거의 같은 높이이다. 제19도는 제18도에 도시된 위치로부터 뒤집어 놓았고, 그 후방의 끝벽(409)이 보이도록 반대방향으로 돌려놓은 상태의 카메라(401)를 도시하고 있는 것이다.
제19도에서 열려진 상태로 도시되어 있는 카바 도어(411)는 경첩(412)에 의하여 카메라 하우징에 부착되어 있다. 뚜껑을 닫았을 때, 그 문(411)은 카메라 하우징과 함께 광선밀폐의 상태를 유지해 주며, 이 상태는 후방벽(409)에 있는 후방 뷰파인더렌즈(414)에 인접한 미끄러질 수 있는 래치개방버튼(413)에 의해 개방될 수 있는 래칭장치에 의하여 유지된다. 회전축으로 움직이는 필름 어드밴싱 래버의 작동돌기(415)는 제19도에 부분적으로 나타나 있는데, 이것은 필름의 어드밴싱 작동중 이외에는 카메라의 하우징과 대체적으로 같은 높이이다. 제18도 및 제19도로부터 그 카메라가 소형이며 유선형이고 또한 샤쓰의 주머니 등과 같은 곳에 넣고 다니기에 편리하도록 밖으로 돌출된 부품들이 없는 것을 알 수가 있다.
제19도에서 30도까지 제19도에서와 같이 카메라를 뒤집어 놓은 상태에서, 카메라의 부품들을 도시하고 있는 것이므로, 위라든가 아래라든가 하는 등의 위치에 관한 언급은 카메라를 뒤집어 놓은 상태에서 그렇게 표현한 것으로 이해해야 한다. 예를 들면, 제19도에 관해서는 필름카트리지 조립체(11)는 카메라(401)의 "상부"에 있다라고 언급될 것이다.
제19도에 가장 잘 나타나 있듯이, 카메라의 하우징(408)의 내부는 필름 카트리지 조립체의 케이스와 같은 비대칭형의 모서리와, 필름 디스크 허브(12)를 수용하기 위한 원형 공동(cavity)을 그 중앙부에 갖고 있는 움푹한 내부포켓(416)에 의하여 형성된다. 카메라의 하우징(408)은 포켓(416)의 측면벽(418) 및 (419)와 단부벽(421)을 형성해 주며, 그 나머지 한쪽의 단부벽(422)과 대각의 모서리 벽돌(423-426)은 나사(428)에 의해 부착되는 칸막이판(427)에 의해 형성된다. 칸막이판(427)에 있는 중앙원형의 공동은 고정허브 스핀들(432)에 의해 회전축으로 지탱되는 회전하는 원형 구동 디스크(431)을 갖고 있다. 그 구동 디스크(431)는 제18도 및 11도에 나타난 핀(433)과 똑같은 커플링 핀(433)을 갖고 있다. 칸막이 판(427)에 있는 장방형의 구멍(434)은 인접한 칸막이판의 평평한 표면보다 약간 위로 올라와 있는, 장방형의 필름 지지프레임(435)을 갖고 있다. 카트리지 조립체가 포켓(416)에 장착되었을 때,
(a) 허브(12)에 있는 스핀들구멍(116)은 스핀들(432) 끝을 받아들이고,
(b) 구동핀(433)은 허브에 있는 커플링 구멍(118)으로 들어가고,
(c) 필름 지지프레임(435)는 카트리지 조립체의 장방형 노출구(33)으로 들어간다.
카트리지 조립체와 그것을 받아들이는 포켓(416)이 비대칭형태로 되어 있기 때문에, 카트리지 조립체는 올바른 방향으로 넣지 않으면 포켓(416)으로 들어가지 않게 되어 있다. 필름 카트리지 조립체를 집어 넣은 다음에 카바도어(411)를 닫으면 투명한 카바도어의 창구(436)는 카트리지 조립체의 허브지지판(19) 위에 놓여져서 허브(12)를 구동 디스크(431)와 접촉상태에 있도록 밀어준다. 카메라의 카바도어(411)와 단일체로 되어 있는 원형의 원도림(window rim)(437)은, 광선 밀폐의 목적으로 카트리지 조립체의 허브 지지부(19)를 감싸준다.
장방형의 압착판(438)은, 그것을 카바도어 바깥쪽으로 휘게 해 주는 한쌍의 탄성 스프링 아암(439)에 의해 카바도어에 부착되어진다. 뚜껑이 닫혔을 때 그 압착판(4 38)은 필름 지지프레임(435)과 맞물려져 있다.
그러나 필름 지지프레임(435)에 인접한 카바판(427)에 있는 구멍(442)을 통하여 튀어나오는 압착 해제 휭거(441)와 압착판(438)에 있는 하나의 돌기(440)가 맞물려짐으로서 그 압착판과 필름 카트리지 조립체간의 결합상태가 해제될 수 있다.
비교적 중금속제판으로 만드는 것이 바람직한 기계장치판(443)은 제20도에서 22도까지에 가장 잘 나타나 있다. 그 판은 카메라의 하우징내에 도시되지 않은, 스페이서에 의해 기계장치판(433)보다 약간 위로 떨어져 위치한 카바 판(427)의 아래에 견고하게 고정되어 있다. 예를 들면, 나사(428)는 카바판(427)을 통하여, 스페이서 와셔를 통하여 그 기계장치판(443)에 있는 구멍을 통하여(그들중 하나는 참조번호(4 44)로 도시되었음), 카메라 하우징(408)내로 주형 부착된 나선 돌기까지 연결될 수 있다. 기계장치판(443)은 기본적인 작동장치와 카메라의 광학요소들을 하나의 소조립품 (Sub assembly)으로 지탱하여 주며, 그리하여 카메라의 조립과 수리를 용이하게 하여 주고 또한 그 각 부품들이 각각 영속적으로 견고하게 붙어 있도록 해 준다.
제23도에 상세하게 도시되어 있는 허브 스핀들(432)은 그것의 리벳트로 고정된 립(riveted lip)(445)에 의해 기계장치판(443)이 영속적으로 부착되며 원형 구동디스크(431)와 필름어드밴싱 레바(446)를 피봇트축으로서 지지한다. 그 스핀들(432)의 상단부는 카트리지 조립체의 허브(12)에 있는 스핀들 구멍(116)에 정확하게 들어 맞으며, 그리하여 필름 디스크(10)의 회전축을 정확하게 한정하여 준다. 허브(12)와 스핀들 (94)이 맞물려져서 카트리지 조립체가 카메라안에 수용되었을 때, 필름 지지 프레임( 435)을 카트리지 조립체 케이스의 노출구(33)를 통과하여 카바 슬라이드의 부채꼴형 부분(40)의 면에 밀착된다. 카바 슬라이드의 부분(40)이 케이스 노출구(33)와 일렬로 위치된 상태로부터 회전하여 비켜서면, 차광판(16)에 있는 노출구(52)가 프레임( 435)의 둘레를 통과하여 그 프레임이 필름 디스크(10)의 감광면과 필름 노출면(65)의 바로 바깥주위에 밀착하도록 된다.
필름 지지 프레임(435)은, 제24 도및 25도에 가장 잘 나타나 있듯이, 게이트 부재(447)와 단일체로 되어 있는 한 부분인데, 이것은 나사(448)에 의해 기계장치 판(443)에 고정 부착되며, 그 프레임은 칸막이판(427)에 있는 구멍(434)을 통하여 위로 올라와 있다. 프레임(435)은 게이트 부재의 잔여부분으로 캔티레바되어 있어서 프레임(435)과 기계 장치판(443)의 사이에 슬로트(449)가 있고 거기에 카메라의 셔터 블레이트(451) 및 (452)가 들어가 있다. 프레임의 장방형 구멍(453)은 기계장치판( 443)에 있는 구멍과 일직선 배치되고 그들 구멍(453) 및 (454)는 필름 디스크의 미리 제한된 노졸면보다 약간 더 크다. 후레임(435)이 휘어지거나 굽혀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지지포스트 (post)(455)가 셔터 블레이트(451) 및 (452)의 이동통로 바깥으로 프레임 (435)의 한쪽끝에 붙어 있어서 기계장치판(443)의 돌기(456)에 연결되어 있다. 구동(453) 및 (545)의 아래에 하나의 프리즘(457)이 브래킷(bracket)(458)에 의하여 기겨장치판( 443)에 단단히 부착되어 있어서 카메라의 대물렌즈(403)와 광학적으로 병렬을 이루는데 그것은 게이트부재(447) 및 기계장치판(443) 모두에 고정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대물렌즈(403)의 축은 필름 카트리지의 면과 평행이다. 프리즘(457)(또는 동등한 거울)은 빛의 통로를 90도 굴절시켜 주어서 렌즈(403)의 초점면이 필름 지지 프레임(435)의 평평한 상부의 필름 접촉면(459)에 의해 한정되는 미리 정해진 평평한 필름면과 일치하도록 해 준다. 필름 디스크(13)의 영상면이 각각 노출되는 동안에 압착판(438)은 필름 카트리지 조립체의 신축성 있는 케이스를 탄력있게 밀어주고 그리하여 필름 디스크(13)의 상당하는 면(65)을 필름 지지 프레임의 면(459)으로 밀어주어서 필름의 노출면이 그 면(459)에 의해 한정되는 면과 정확히 일치하여 위치하도록 해 준다. 대안으로서, 차광판(16)의 창구(52)는 케이스에 있는 창구(33)보다 작고 필름 지지 프레임(435)의 면(459)은 차광판(16)의 창구(52) 주변의 부위와 접촉하게 되도록 할 수도 있는데 이 경우 차광판(16)의 두께는 필름면과 대물렌즈의 촛점면을 일치시키기 위하여 보정될 것이다. 빛의 통로에 있는 단일 반사면은 거꾸로 된 영상을 만들지만, 이 거꾸로된 영상은 영사기나 복사기에서 현상된 필름 디스크를 뒤집음으로서 또는 그와 같은 장치에 또하나의 단일 반사요소를 마련함으로써 영사나 복사를 위해 바로 잡아질 수 있다.
제28도는 그 전방 렌즈(404)를 제외한, 뷰 파인더를 구성하는 여러 가지의 렌즈들을 보여주는데, 그러한 모든 렌즈들은 기계장치판(443) 아래에 있는 축(461)을 따라 놓여지게 되며 대물렌즈(403)의 축과 평형을 이루게 된다. 카메라 구조의 단일 렌즈 반사형태를 마련하기 위하여 프리즘(457)의 반사면은 부분적인 빛 전도체 일수 있으며 적당한 뷰파인더 요소들의 축과 병렬로 되고, 이미 잘 알려진 바와 같이 그 프리즘 대신에 이동 가능한 거울을 사용할 수도 있다.
제20도 및 23도에 가장 잘 도시되어 있듯이 원형의 구동 디스크(431)의 하부면에는, 두개의 고정된 핀(466) 및 (467)간의 정확한 이동을 위한 스터드(465)에 의해 기계장치판(443)에 피봇트 부착된 부채꼴판(464)의 기어 투스(463)와 맞물려 있는 피니언 기어(462)가 있다.
비교적 강한 머리핀형 스프링(468)은 부채꼴판(464)을 시계 반대방향으로 밀어준다. 카메라가 카트리지를 수용하고 있지 않은 상태에서는 언제나 제20도에 나타나 있듯이 스프링(468)은 부채꼴판(464)을 핀(466)에 고정시켜 놓는다. 따라서, 구동 디스크(431)에 있는 커플링 핀(433)은 카메라안에 장전되는 필름 카트리지 조립체의 허브 커플링 구멍(118)속에 수용되는 위치에 있다. 부채꼴판(464)의 원호형 래치트투스 부분(469)은 스프링(472)의 영향력하에 필름 디스크(허브(12)가 시계 반대방향으로만 회전하게 되도록 하는 래치 폴(Pawl)(471)과 맞물려 있다.
어드밴싱 폴(482)은 그 폴에 있는 가늘고 긴 슬로트(484)를 통하여 나와있는 스터드(483)에 의하여 어드밴싱 레버(446)에 회전축으로 장착되어 있다.
코일 스프링(485)은 어드밴싱 폴(482)을 필름 어드벤싱레버(446)에 연결하여서 그 폴(482)을 제20도에 도시된 위치로 탄력있게 밀어준다. 이 위치에서, 그 폴(482)은 폴(482)의 원호형 길이를 따라 중간쯤에 위치한 슬로트(484)의 단부가 스터드(483)와 접촉되도록 레버(446)에 있는 핀(486)에 맞매어져 있다. 어드벤싱레버 (446)가 제20도와 같은 위치에 있을 때 어드밴싱폴(482)의 어드밴싱 투스(487)는 제20도 및 제21도와 22도의 점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은 인덱스 돌기(114)를 갖고 있지 않은 필름 디스크 허브의 90도 각 중앙 가까이에, 필름 지지 프레임(435)과 인접하여 위치한다. 사진사가 레버(446)를 제20도에 도시된 위치로부터 제21도에 도시된 위치로 이동시키면, 어드밴싱 투스(487)는 허브 인덱스 돌기(114)의 이동 통로와 일치하는 원호형 통로를 따라 이동한다. 이 이동이 투스(487)의 경사진 면(488)을 허브 인덱스 돌기(114a)와 접촉시켜 주면 필름 디스크의 첫번째 노출면에 상응해서, 래치트 폴(471)이 부채꼴판(464)과 맞물려서 투스(487)가 허브(12)를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켜 주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하여 스프링(485)의 밀어주는 힘을 이겨냄으로서 투스(487)은 인덱스 돌기(114a)를 지나쳐서 캠이 되고 제21도와 같은 위치로 이동하게 된다.
폴(489)은 편심 피봇트 스터드(491)에 의해 기계장치판(443)에 피봇트 장착되어 있고 스프링(492)에 의해 시계 반대방향으로 바이어스 되어 있다. 폴(486)의 다리부(493)는 어드벤싱 폴이 제20도와 같이 위치했을 때 어드밴싱 투스(487)에 인접해 있게 되는 투스(494)를 갖고 있다. 제26도에 가장 잘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필름 어드밴싱 레버(446)가 제20도 및 22도, 26도의 위치에 있을 때, 투스(494)는 어드밴싱 투스(487)의 하부에 있고 폴(489)의 위쪽으로 향한 돌기(495)는 어드밴싱폴(482)의 인접한 가장자리와 맞물려져서 폴(489)의 위치를 정해 준다. 폴(489)의 두번째 다리부 (496)는 필름 어드밴싱 레버(446)의 캠핀(498)과 맞물러질 수 있는 캠면( 497)을 갖고 있다. 제20도와 같이, 레버(446)가 그 초기의 위치에 있을 때, 핀(498)은 캠면(4 97)과 맞물리지 않은 상태에 있고 투스(494)는 카트리지 허브(12)가 회전함에 따라 허브의 인덱스 돌기(114a)를 가로막아 주도록 위치되어 있다. 그러나, 어드벤싱 레버(446)가 그 초기의 위치로부터 10도 이상 움직이게 될 때는 언제나 캠면(497)과 캠핀(498)이 결합하여 폴(489)을 제21도의 위치로 캠핀(498)이 결합하여 폴(489)을 제21도의 위치로 회전시켜 주며, 그리하여 투스(494)를 허브 인덱스 돌기(114)의 이동통로 하부로 움직여준다.
어드밴싱 레버(446)가 스프링(478)에 의하여 제21도의 위치로부터 제20도의 위치로 되돌아가면, 어드밴싱 투스(487)의 방사상면(499)은 인덱스 돌기(114a)와 맞물려지고, 그리하여 필름 디스크 허브(12)와 구동 디스크(431)를 스프링(468)에 대하여 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준다. 레버(446)가 그초기의 위치로 되돌아가는 마지막 이동중에, 캠핀(498)의 캠면(497)으로부터 떨어지고 스프링(492)은 투스(494)가 인덱스 돌기(114a)의 이동통로로 되돌아가도록 하여 주는데 그때 그 돌기는 투스와 결합된다. 제22도에서 보듯이 인덱스 돌기(114a)와 투스(494)의 결합은 스프링(478)이 레버(446)의 아암(473)을 슬로트(474)의 단부(479)와 접촉되도록 되돌려주기 약간 전에 이루어진다. 스프링(478)이 스프링(485)보다 더 강하기 때문에, 폴(482)은 레버(446)에 대하여 약간 끝쪽으로, 스프링(485)의 반대편으로 이동하게 되며, 그리하여 어드밴싱 투스(447)는 인덱스 돌기(114a)를 투스(494)의 방사상면(201)에 대하여 탄성있게 꽉 물려 준다. 필름의 노출면이 노출위치에 놓여지게 하는 인덱싱의 정확도는 허브(12)에 있는 중앙의 스핀들 구멍(116)이 스핀들(432)에 들어맞는 정확도와 투스(494)의 위치에 의하여 정하여진다. 카메라의 제작을 간편하게 하기 위하여, 제27도에 가장 잘 도시되어 있는, 편심피봇트 스터드(491)는 참조 번호(202)와 같이 기계장치판(443)에 리벳트로 부착되지만 스크류드라이버(screwdriver) 슬로트(203)에 의하여 회전될 수 있다. 와셔(205) 및 폴(489)에 있는 결합 구멍(mating hole)을 통하여 나와 있는 스터드(491)의 원통형 베어링면(204)은 스터드 생크(207)의 축에 대하여 약간 편심이며, 그리하여 공장에서 투스(494)의 위치 조정을 가능하게 해 준다. 한번 그렇게 조정을 해 놓으면 그 기계장치의 정확도는, 스핀들(432), 스터드(491), 게이트 부재와 광학적 요소(403) 및 (457)등이 모두 단일체의 기계장치판(443)에 단단하게 고정 부착된다는 사실 때문에 계속 유지된다.
첫번째의 노출면(65)이 노출된 후에는, 다음에 상술되듯이, 레버(446)의 두번째의 왕복이동은 어드밴싱투스(487)가 허브의 인덱스 돌기(114b)와 맞물리도록 해 주고 허브(12)가 회전하여 그 돌기(114b)가 투스(494)와 맞물리도록 해준다. 이미 상술한 바 있듯이, 캠면(497)과 캠핀(498)간의 결합은 투스(482), 폴(482)이 허브(12)의 시계 반대방향의 회전을 시작하기 전에 인덱스 돌기(114a)로부터 떨어지게 하고 다음번의 인덱스 돌기(114b)가 그 인덱스된 위치에 도착하기 전에 투스(494)를 그 작동위치에 되돌아가도록 해 준다. 필름 디스크의 인덱싱 작업이 10번 반복되고 마지막 노출면이 노출의 위치에 놓여지면, 허브(12)의 90도의 돌기에 결합하지 않은 원호형 부분은 어드밴싱 투스(487)로부터 시계 방향으로 놓이게 되는데 거기서 그 투스(487)의 원호형 이동은 그것을 인덱스 돌기(114a)와 다시 결합하게 하기에는 불충분하다. 따라서 레버(446)의 그 이상의 왕복운동은 필름 디스크(13)의 위치에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않으며, 또한 그것은 부채꼴판(464)의 정지핀(467)에 대한 결합에 의해서 시계 반대방향으로 더이상 움직여지지 않게 방지된다. 만약, 전술한 인덱싱 작업도중, 필름 디스크(10)가 카트리지 조립체 내부에서 움직이지 못하게 되면, 스프링이 밀어주는 스터드(483)와 슬로트(484)의 폴(482)과 필름 어드밴싱 레버(486)간의 연결이, 사진사로 하여금 레버(446)를 그 초기 위치로 힘을 가해 돌려 보내어서 야기되는 카메라 장치의 고장을 방지할 수 있게 해 준다.
허브의 인덱스 돌기(114)의 간격 때문에 첫번째 인덱싱 작업은 필름 어드벤싱 레버(446)가 45도 보다 약간 더 큰 각도를 통하여 왕복하는 것을 필요로 하지만, 연속된 인덱싱 작업은 그 레버(446)가 다만 30도보다 약간 더 큰 각도를 통해 이동하는 것을 필요로 한다. 그러나 다음에 설명하는 바와 같이 셔터콕킹 작업(cocking operation)은 레버(446)가 필름 디스크(13)가 어드밴스될 때마다 그 최대각의 이동을 통하여 왕복되기를 요구한다. 레버(446)의 그러한 최대의 이동을 보장하기 위하여 하나의 짧은 이동방지 꺽쇠(antishort-stroke dog)(208)가 제21도 및 22도에 도시되어 있는데 이것은 부채꼴판(464) 아래에 있는 스터드(465)에 축상으로 붙어 있고, 그 꺽쇠(208)에 있는 슬로트에 박혀져서 핀(211)사이로 자유롭게 연결되어 있는 와이어 스프링(209)에 의해 그 중앙부로 탄성있게 바이어스 되어 있다. 레버(446)가 제20도의 위치에서 21도의 위치로 움직이는 동안 그 레버(446)의 인접한 가장자리를 따라 원호형으로 배치되어 있는 투스(212)는 꺽쇠(208)의 휭거(213)와 맞물려지고, 투스(212)가 래치트 형식의 꺽쇠 휭거(213)를 지나 이동함에 따라 그 꺽쇠를 시계 반대방향으로 회전시켜 준다.
결과적으로 일단 레버(446)의 시계방향 이동이 시작되면, 그 레버는 제21도의 위치에까지 도달할때 까지는 반대방향으로 움직일 수가 없는데, 21도에서는 레버(4 46)에 있는 원호형 노치(notch)(214)가 꺽쇠 투스(213)와 일렬로 위치되어서 꺽쇠( 446)가 그 중앙의 위치로 다시 돌아가도록 해 준다. 그에 따른, 레버(446)의 복귀 이동중, 꺽쇠(208)는 투스(21)가 그것을 시계 방향으로 이동시켜주는 것과 같은 식의 작업을 수행한다. 레버(446)가 그 초기의 위치에 도달하면, 원호형 노치(215)는 꺽쇠(2 08)와 맞물려지고, 그것은 그리하여 다시 그 중앙위치에 있게 된다.
제28도에 가장 잘 도시되어 있는 셔터장치는 개방부재(216)와 폐쇄부재(217)로 이루어지는데 그들은 모두 얇은 철판으로 만들어졌다. 이들 2개의 부재는 제23도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스핀들(432)의 하단 생크(shank)(219)에 의하여 와셔(21 8)사이에 기계장치판 하부에 측상으로 붙어 있으며, 스냅링(snap ring)(221)에 의하여 그 생크에 스프링, 즉(222) 및 (223)은 각각 개방 및 폐쇄셔터 부재(216)과 (217)을 시계 반대방향으로 밀어준다. 셔터 부재(216) 및 (217)는 각각 다리부(224) 및 (225)를 갖고 있는데, 그것들은 제20도에서 22도에 도시되어 있는 기계장치판(143)에 있는 각각 그들에 상응한 원호형 구멍(228) 및 (229)을 통하여 나와 있는 위로 굽혀진 부분(226) 및 (227)을 각기 갖고 있다. 개방 및 폐쇄 셔터판(451) 및 (452)는 각 셔터판 다리부(224) 및 (225)를 갖고 있으며, 기계장치판(443)과 수평이고 필름 지지프레임(435)밑에 있는 셔터 판 슬로트(449)와 일렬로 되어 있다.
제20도는 셔터가 개방된 상태에 있는 카메라를 도시한 것인데, 거기서 개방셔터판(451)은 폐쇄 셔터판(452)위에 약간 겹쳐져 있으며 폐쇄판은 필름 지지프레임( 435)의 장방형 구멍(453)을 가려주고 있다. 이런 상태에서, 개방부재(216)의 위치는 그것의 위로 굽혀진 부분(226)이 기계장치판의 구멍(228)의 인접한 단부와 맞물려짐으로서 결정되고 폐쇄부재(217)의 위치는 그 다리부(225)가 제28도에 도시된 개방부재(216)의 아래로 굽혀진 돌기(233)와 결합되어서 결정된다. 필름 어드밴싱 레버(446)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그 레버(446)의 모서리(234)는 개방부재(2 16)의 위로 굽혀진 부분(226)과 맞물려지고 두개의 판(452) 및 (453)을 다같이 시계방향으로 이동시켜 준다.
셔터 부재(216) 및 (217)가 시겨방향으로 움직여서 개방부재(451)가, 제28도의 직선부와 같이, 필름 지지 프레임의 구멍(453)과 일직선성에 놓이면 개방셔터부재에 있는 래치투스(235)는 제1의 래치부재(236)와 맞물려지게 되는데, 그것은 핀(237 )에 의하여 기계장치판(443)에 측상으로 장착되어져서 머리핀 스프링(238)에 의해 시계방향으로 바이어스된다. 핀(241)에 의하여 기계장치판(443)에 축상으로 장착되어 있고 머리핀 스프링(242)에 의해 시계방향으로 바이어스된 두번째 래치부재( 239)는 비슷하게 래치투스(243)를 폐쇄셔터 부재(217)에 맞물려 준다.
따라서, 두개의 셔터부재(216),(217)는 어드밴싱 레버(446)가 필름 인덱싱 및 셔터 콕킹 작업을 완성하기 위하여 그 초기의 위치로 되돌아감에 따라서 각각 그들의 채워진 상태로 유지된다.
제28도에 도시되어 있듯이, 폐쇄 셔터 부재(217)의 다리부(225)에 있는 하나의 돌기(244)는, 셔터가 채워진 상태로 있을 때, 전자석(245)의 인접한 말단면과 맞물린 상태로 있다. 이 전자석(245)은, 지지부재(246)에 달려 있는데, 지지부재는 리벳트 (247)에 의해 기계장치판(443)에 축상으로 붙어 있고, 지지부재(246)에 있는 슬로트 (251)를 통하여 나와 있는 고정핀(249)에 의해 한정된 좁은 원호형 통로를 통해 움직이도록 스프링(248)에 의해 시계반대 방향으로 바이어스되어 있다. 이러한 전자석 (245)의 이동가능한 장착은 폐쇄 셔터 부재(217)가 채워진 위치에 있을 때 그 셔터부재의 돌기(244)와 전자석이 맞물려지도록 해주고 또한 필름 인덱싱 및 셔터 콕킹 작업중 그 부재(217)가 필름 어드밴싱 레버(446)에 의하여 그 채워진 위치에 약간 너머로 이동하도록 해준다.
다음에 상술하는 바와 같이 제1의 래치부재(236)가 개방 셔터부재(216)의 래치투스(235)로부터 개방될 때, 그 개방셔터 부재(216)는 시계반대 방향으로 신속히 회전하며 그리하여 개방부재(451)를 필름 지지 프레임 구멍(453)과 맞물려진 상태로부터 열어주어서 필름 지지 프레임(435)에 의해 받쳐지는 필름 영상면의 노출을 행하도록 해준다.
개방셔터 부재(216)가 제20도와 같은, 그 개방된 위치로 접근해감에 따라 개방셔터 부재(216)에 있는 캠 선단부는 폐쇄 셔터부재(217)에 있는 래치루스(243)와 맞물려 있는 두번째 래치부재(239)의 둥근 끝과 맞물려지고, 그 래치부재(239)를 폐쇄셔터부재(217)와 맞물려 있는 상태로부터 떨어지도록 회전시켜 준다. 만약 카메라의 노출조정회로가 전자석(245)을 작동시켜 주지 않으면, 두번째 래치부재(239)의 개방은 폐쇄셔터부재(217)가 시계반대 방향으로 즉시 회전하도록 해 주며 그리하여 그 판(4 52)이 필름 지지 프레임(435)에 있는 구멍(453)을 가려주고 따라서 기계적으로 미리 정해진 노출시간이 정해지는 것이다. 그러나 만약 자동노출 조정시스템이 노출시간을 더 길게 해 줄 필요가 있을 때에는 전자석(245)이 그 작동이 끊어질 때까지, 폐쇄셔터부재 (217)을 그 채워진 위치로 유지해 주고, 그후에 셔터가 폐쇄된다. 이러한 일반적인 형태의 자동노출조절 시스템은 이미 잘 알려진 것이므로, 그 전자석의 작동조절과 관계된 전자회로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되었다.
제28도 및 29도에 도시된 셔터 개방록커(rocker)는 기계장치판(443)의 하부에서 록커이동을 하기 위하여, 그 록커(253)의 돌기(256) 및 (257)와 기계 장치판(443)로부터 하로로 굽혀진 각각의 설부(tongues)(258) 및 (259)을 통하여 나온 리벳트(254) 및 (255)에 의하여 부착되어 있다. 장방형의 셔터 작동버튼(406)은 제28도에 점선으로 도시된 것과 같이 록커(253)의 하부면에 부착되어 있고 카메라 케이스(408)에 있는 구멍을 통하여 나와 있다. 머리핀 스프링(260)은 리벳트(254)의 머리에 감겨지며 그 한쪽 다리부는 록커(253)의 휭거(261)와 맞물려 있고 또한 쪽다리는 기계장치판(433)에 닿아 있다. 그리하여 개방 버튼(406)을 그 연장된 위치를 향하여 하부로 밀어준다. 록커(253)는 전단부에 휭거(441)를 갖고 있는데 그것은 기계장치판 및 카바판(443) 및 (427)을 통하여 상부로 튀어나와 있으며, 카메라의 카바도어(41 1)가 폐쇄되면, 압착판(438)에 있는 돌기(440)와 접촉된다. 스프링(26)은 압착판(48 8)을 받쳐주는 스프리아암(439)의 팽창을 이겨내기에 충분하도록 강하며, 그래서 압착판은 셔터 작동버튼이 그 연장된 위치에 있는 한 필름카트리지 조립체와 결합된 상태로부터 벗어나서 유지된다.
제28도 및 29도에 도시된 개방 슬라이드(262)는 슬로트(26)를 통하여 나온 고정 리벳트(263)에 의하여 기계장치판(443)의 하부면에 미끄러질 수 있게 부착되며 스프링(265)에 의하여 오른쪽으로 시계반대 방향으로 바이어스 되어 있다. 슬라이드(26 2)가 제28도에 실선으로 도시된 그 채워진 위치에 있을 때, 그 래치투스(266)는 래칭 탭(268)의 휭거(267)와 맞물려져 있게 되는데, 그 래칭 탭은 제29도에 가장 잘 도시되어 있듯이, 록커(253)로부터 상부로 나와 있다. 셔터 작동버튼(406)이 눌려졌을 때, 그에 따른 휭거(267)의 상부로의 이동은 그것이 래치투스(266)로부터 떨어지도록 해 주고 그후에 스프링(265)은 슬라이드(262)를 제28도의 점선으로 도시된 것과 같은 위치로 오른쪽으로 움직여 주는데, 그것은 슬로트(264)의 한쪽끝이 리벳트(263)와 접촉함에 의하여 제한된다. 이러한 이동중에, 슬라이드(262)에 있는 개방 돌기(271)은 제1의 래치부재(236)의 셔터의 작동을 개시하기 위하여 개방 셔터 부재의 래치투스(235)로부터 뚤러준다. 이미 언급한 바와 같이 셔터를 개방하기 전에, 휭거(44)의 이동은 압착판(438)으로 하여금 필름 디스크(10)의 노출면(65)을 그 필름의 노출면이 노출중 평평한 상태로 유지되도록 보장하기 위하여, 필름 지지 프레임(435)과 결합하도록 해준다.
제20도, 21도, 22도 및 28도에 도시되어 있듯이, 채워주는 핀(273)이 필름 어드벤싱 레버(446)로부터 기계장치판(143)에 있는 원호형 슬로트(274)를 통하여 아래쪽으로 튀어나와 있다. 이 핀(273)은 레버(446)가 제21도의 위치로 다시 이동할 때 슬라이드(262)를 제28도에 도시된 그것의 채워진 사항으로 되돌려주기 위하여 제28도 및 29도에 도시된 개방 슬라이드(262)의 설부(275)와 물려지도록 되어 있다. 슬라이드 (262)의 이러한 다시 채워주는 동작중, 래치투스(266)가 래칭 탭(268)의 횡기( 267)를 지나 캠 작동될 때, 그것은 안내 핀(276)과의 접촉이 없이 시계 방향으로 약간 회전한다.
셔터 개방 록커(253)로부터 위로 나와 있는 정지핀(227)은 핀(273)의 이동통로 넘어로 기계장치판(443)에 있는 슬로트(274)의 끝을 통하여 튀어나와 있고, 셔터 작동버튼(406)이 그 연장된 위치에 있을 때 레버(446)의 하단면과 그 높이가 같다. 필름 어드밴싱 레버(446)가 제20도 및 22도의 위치에 있을 때 그 레버에 있는 가장자리 슬로트(278)는 정지핀(277)의 끝부분과 일렬로 되어 필름 어드밴싱 레버가 개방버튼( 406)을 눌러주는데 방해가 되지 않게 된다. 그러나 어드벤싱 레버(446)가 그 초기의 위치로부터 이동할 때는 언제나, 셔터 작동 버튼(406)은 핀(277)이 레버(4 46)의 하부면과 접촉되어 있기 때문에, 눌려질 수가 없다. 비슷하게, 셔터 작동 버튼이 눌려진 상태로 있는 한 핀(277)은 레버(446)가 그 초기의 위치로부터 움직이지 못하도록 막아준다. 결과적으로 필름 디스크(10)는 셔터작동버튼(406)가 개방되어 압착판( 438)을 필름 카트리지 조립체와 결합된 상태로부터 수축시켜 줄 때까지는 회전될 수가 없는 것이다.
제28도에 도시된 차폐 슬라이드(Blocking Slide)(279)는 그 슬라이드에 있는 가늘고 긴 슬로트(282)를 통하여 나와 있는 리벳트(281)에 의하여 기계장치판의 하단면에 활주 및 회전될 수 있도록 장착되어 있으며, 스프링(283)에 의하여 후방 및 시계방향으로 바이어스 되어 있다. 각 필름 어드밴싱 및 셔터를 채우는 작업이 완성된 후에, 그 슬라이드(279)는 제28도의 실선으로 도시된 위치에 있게 되는데, 거기서 슬라이드(279)의 한쪽 가장자리면(284)은 고정핀(285)과 접촉되어 있으며 필름 어드밴싱 레버(446)의 돌기(476)는 레버(446)가 그 초기의 위치로부터 이동하는 것을 막기 위하여, 슬라이드(279)의 차폐 투스(286) 아래에 걸쳐 있다. 이미 상술한 바와 같이 셔터 작동버튼(406)을 눌러주면, 개방슬라이드(262)가 제28도의 점선으로 도시된 위치로, 오른쪽으로 이동하여, 서터 작동을 개시하게 된다. 슬라이드(262)의 이러한 이동은 그것의 돌기(287)가 차폐슬라이드(279)의 후미끝과 맞물려지게 해 주고 차폐 슬라이드를 스프링(283)에 대하여 리벳트(281)주위를 시계 반대방향으로 회전시켜 주게 해 주어서, 가장자리면(284)이 핀(286)으로부터 풀려나도록 이동시켜 준다. 그런 다음에, 스프링(283)은 슬라이드(279)를 제28도의 점선으로 도시된 위치로 되도록 이동시켜 주는데 거기서 핀(285)은 차폐 슬라이드의 가장자리(288)와 맞물려져서 투스(286)를 필름 어드밴싱 레버(446)의 돌기(276)와 맞물려 있지 않도록 위치시켜 준다. 따라서, 그 레버(446)는 다시 작동하여 필름 디스크(10)를 어드밴스시켜 주고 셔터를 다시 채워준다. 필름 어드밴싱 레버(446)가 이러한 연속적인 필름 어드밴싱 및 셔터 채워주는 작업중 제21도에 도시된 위치로 접근해 감에 따라 그것의 돌기(476)는 슬라이드(279)의 설부(289)와 맞물려지고 그 설부를 앞으로 이동시켜 주어서 실선으로 도시된 위치로 그것이 되돌아가는 중, 그것의 돌기(446)는 차폐투스(476)의 경사면( 286)과 부딪치게 되고 그 경사면을 순간적으로 측면으로 캠작동시켜서 그 돌기(291)가 그 폐쇄된 위치로 돌아가도록 해 준다. 이러한 캠 작동은 차폐 슬라이드(476)를 순간적으로 약간 시계 반대방향으로 이동시켜 주지만 가장자리면(284)을 핀(285)으로부터 풀어주도록 충분히 이동시켜 주지는 않는다. 따라서 돌기(276)가 차폐 투스(286)를 지나서 뒤로 이동하자마자 그 차폐 슬라이드(279)는 실선으로 도시된 위치로 되돌아가고 셔터가 다시 작동될 때까지 필름 어드밴싱 레버(446)의 더 이상의 왕복이동을 막아준다. 그리하여 차폐 슬라이드(279)는 각 노출면이 필름 디스크(10)가 다시 인덱스되어 다음번의 노출면(65)을 노출위치로 갖다놓기 전에 노출되도록 보장해 준다.
제30도에 가장 잘 도시되어 있는 래치장치는 기계장치판에 고정되어 있고 래치 판에 있는 각 슬로트(294) 및 (295)를 통하여 연결되어 있는 핀(446) 및 (293)에 의하여 기계장치판 위에 미끄러질 수 있게 부착되어 있는 래치 슬라이드(292)와 개방 슬라이드에 있는 슬로트(297) 및 (298)을 통하여 연결되는 같은 핀(446) 및 (293)의 반대편 끝에 의하여 기계장치판 아래에 미끄러질 수 있게 장착되어 있는 개방판(296)을 포함한다. 돌기(299)는 기계장치판(443)에 있는 구멍(301)을 통하여 위로 튀어나와 있고 래치 슬라이드(292)에 있는 돌출부(303)의 오른쪽 모서리(302)에 맞물리도록 되어 있다. 개방 슬라이드(296)는 기계장치판(443)위에 있는 핀(305)에 부착되어 있는 스프링(304)에 의해 오른쪽으로 바이어스 되어 있다. 보다 강한 스프링(306)은 개방 슬라이드(296)을 래치 슬라이드(292)의 휭거(307)에 연결시켜 준다. 그 횡거( 307)는 기계장치판의 구멍(301)을 통하여 아래쪽으로 연장되며 그리하여 슬라이드(2 92)의 모서리(302)를 슬라이드(296)의 돌기(299)에 대하여 탄성있게 바이어스시킨다. 이들 2개의 스프링, 즉(304)와 (306)은 그리하여 서로 협동하여 두개의 슬라이드( 292) 및 (296)을 제30도에 도시된 그들의 각각의 위치에 유지시켜 주며 핀(466) 및 (293)은 래치 슬라이드(292)에 있는 슬로트(294) 및 (295)의 왼쪽 끝과 물려져 있으며 개방슬라이드(296)에 있는 슬로트(297) 및 (298)의 중앙부를 통하여 지나간다. 래치 슬라이드(292)가 이러한 위치에 있고 카메라의 카바도어(411)가 닫혀 있는 것을 가정할 때, 래치 슬라이드(292)의 래치투스(308)는 반바 도어(411)에 있는 래치 투스(3 09)와 맞물려져서 그 카바도어(411)를 닫혀진 상태로 유지시켜 준다. 래치 개방 슬라이드(296)가 그 래치 개방 버튼(413)에 의하여 왼쪽으로 이동할 때, 그 슬라이드의 돌기(299)는 래치 슬라이드(292)를 같은 방향으로 움직여 주며, 그리하여 래치 슬라이드 투스(308)를 카바도어의 투스(309)로부터 풀어주어서 카바도어(411)가 열리지도록 해준다. 그러나 제22도에 가장 잘 도시되어 있듯이 부채꼴판(464)은 래치 슬라이드(292)의 바로 위에 위치하고 있으며 구동 디스크(431)가 제19도, 20도 및 21도와 같이 그 초기의 위치에 있을 때만 일어나는 경우인 그 부채꼴판(464)의 노치(311)가 돌기(299)와 일렬로 될 때를 제외하고는 래치 개방 슬라이드(296)의 돌기(299)의 왼쪽으로의 이동을 막아준다.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어드밴싱 폴(482)에 의해 필름 유니트 허브(12)에 전달하는 기계반대 방향의 인덱싱 이동은 부채꼴판(464)을 스프링(468)에 대하여 시계방향으로 움직여주며 래치트 폴(471)이 부채꼴판(464)에 있는 래치트 투스의 부분( 469)과 맞물려져서 부채꼴판이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막아준다. 결과적으로 필름 디스크가 노출의 위치로 회전될 때는 언제나 래치개방버튼(413)은 왼쪽으로 움직이지 못하게 하여서, 구동 디스크(431)가 그 초기의 위치로 우선 되돌아가서 카바 슬라이드(14)를 카트리지 조립체의 케이스에 있는 노출구(33)위로 다시 위치시켜줄 때 까지는 카메라를 열지 못하도록 되어 있다.
필름을 한번 또는 그 이상 노출시킨 다음에 카메라의 뚜껑만을 열기 위하여, 사진사가 버튼(413)을 우선 스프링에 대하여 오른쪽으로 움직여주고 그리하여 개방 슬라이드의 돌기(299)가 래치트폴(471)에 있는 휭거(312)와 맞물리도록 해주고 그 래치트가 부채꼴투스(469)로부터 풀려나도록 해준다. 개방 슬라이트(296)는 그 반대편에 기계장치판(443)에 있는 구멍(314)을 통하여 위로 나와있는 휭거(313)를 갖고 있다. 래치 개방슬라이드(296)가 오른쪽으로 이동하여 래치트 폴(471)를 래치트 투스부분( 407)으로부터 풀어줄 때, 이 휭거(313)는 동시에 어드밴싱 폴(481)을 스터트(483)의 주위로 시계 반대방향으로 회전시켜 주며, 스터드는 동시에 포지쇼닝폴(POSITIONI NG PAWI)(489)을 스터드(491)의 주위로 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주는데 이것은 폴(482)의 어드밴싱 투스끝이, 제26도에 가장 잘 도시되어 있듯이, 그 위치를 정해주는 폴의 돌기(495)와 맞물려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어드밴싱 투스(487)와 포지쇼닝 투스(494)는 모두 허브 인덱스 돌기(114)의 이동통로를 너머 이동하여서 스프링 (468)이 구동 디스크(431)를 그 초기의 위치로 돌려 주도록 해 주며 그리하여 카바 슬라이드(14)를 필름 유니트의 노출구(33)위로 다시 위치시켜 주고 래치 개방슬라이드( 296)가 이번에는 그 최대한의 왼쪽 위치로 이동하여 카바도어(411)를 개방시켜 준다.
고장난 카트리지 조립체를 집어넣어서, 스프링(468)이 필름 디스크 허브(12)를 그 초기의 위치로 되돌려 줄 수 없게 되는 그러한 기능상의 결점이 생기면 상술한 바와 같은 쇄정 시스템이 카메라가 열리지 못하게 해 줄 것이므로 그러한 기능상의 결점을 수정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비정상적인 경우에 부채꼴판(464)의 방향에 관계없이 카메라의 카바도어를 열어줄 수 있는 방법이 제공된다. 이것은 카메라 하우징에 래치 슬라이드(292)의 단부면(316)과 일렬로 위치한 구멍(315)을 통하여 핀이나 기타 그와 비슷한 도구를 삽입하여서 래치 슬라이드(292)를 스프링(306)에 대하여 그 개방상태로 되도록 힘을 가해 줌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제31도에서 33도까지에는 수동 필름 디스크 인덱싱 장치에 대한 다소 더욱 간단한 형태가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는데 이것들은 이미 상술한 바 있는 카메라의 기타 특징들 및 필름 카트리지 조립체의 회전 가능한 카바 슬라이드(14)가 노출구(33)를 폐쇄시켜 주는 위치로 되돌아갈때 까지는, 카메라를 열 수 없도록 해주는 특징들과 관계된 것들이다.
이러한 특수한 인덱싱 장치와 함께 사용하기 위한 점선으로 도시된 필름 디스크 허브(351)는 전술한 바 있는 필름 디스크 허브(12)와 비슷한 것이지만 허브(351)의 90도 각도의 돌기가 없는 원호에 대한 약간 원심을 벗어나 위치하고 하나의 노치(351)를 부가적으로 갖고 있다. 그러한 노치(352)는 전술한 인덱싱장치와는 아무런 결합관계도 없는 것이므로 이러한 특징을 갖는 허브는 그러한 형태의 기계장치에만 적합할 것이다.
필름 카트리지 조립체가 카메라 안에 삽입되어졌을 때, 중앙의 스핀들 구멍( 353)은, 필름 어드밴싱 래버(355)도 역시 축상으로 지탱해 주고 있는 고정된 허브 스핀들(354)을 수용한다. 이 래버(355)는 필름 어드밴싱 폴(356)을 갖고 있는데 이 폴은 제20도에서 22도까지에서 이미 상술한 바와 같은 식으로 핀(357) 및 스프링(358)에 의해 그 레버에 부착되어 있다. 포지쇼닝폴(359)은 편심의 조정나사(361)에 의하여 축상으로 붙어 있으며 약한 스프링(363)에 의하여 정지핀(362)쪽으로 시계반대방향으로 바이어스되어 있다. 카트리지 조립체가 카메라 안으로 처음 충전되었을 때, 필름 어드밴싱 폴(356)의 어드밴싱 투스(264)는 노치(352)만으로 수용되며 핀(362)에 의하여 인접한 허브면의 주위(366)와 물려진 상태로 유지된다.
신축성 있는 폴 스프링(567) 및 (368)은 허브(351)에 있는 인접한 인덱싱 돌기(114)와 맞물려지도록 되어 있어서, 그 인덱스 돌기가 각 필름 인덱싱 작업중 필름 어드밴싱 폴이 다음의 인덱스 돌기(114)와 맞물려질 수 있는 위치를 넘어서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막아주고 있다. 필름 어드밴싱 레버(355)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폴(356)의 어드밴싱 투스(364)는 첫번째 인덱스 투스(114a)를 지나 이동하여 어드밴싱 폴(356)에 있는 캠면(369)은 포지쇼닝 폴(359)에 있는 핀(371)과 맞물려지고 포지쇼닝 투스(365)를 허브 인덱스 돌기(114)의 이동통로를 지난 위치로 올려준다. 제31도에 점선으로 도시되듯이, 레버(355)의 시계 방향으로서 이동은 정지핀 (372)에 의하여 제한되어져서 어드밴싱 폴 투스(364)과, 그것이 다음번에 사용될 노출면과 연결된 허브 인덱스 돌기(114a)와 맞물려지기에 충분한 만큼만 움직이도록 해주는 것이다. 레버(355)가 스프링(373)에 의하여 시계 반대방향으로 그것의 초기의 위치로 복귀함에 따라 폴투스(364)는 필름 디스크(10)를 어드밴스시켜 주고 인덱스 돌기(114a)를 포지쇼닝 투스(365)와 접촉시켜 주는데, 그것은 버레(355)의 최종 귀환이동중 그것의 작동위치로 되돌아간 것이다.
제23도에 도시되듯이, 인덱스 돌기(114a)는 그리하여 전술한 바와 같은 방법으로 어드밴싱 폴 투스(364)에 의하여 포지쇼닝 투스(365)에 대하여 탄성있게 압착된다. 이러한 작업을 반복함으로써 사진사는 연속된 각 노출면(65)을 노출의 위치로 갖다놓을 수 있는 것이다. 아울러 레버(355)의 각 필름어드밴싱 동작은 또한 셔터를 채워주는 역할도 할 수 있으며 전술한 바와 같이 카메라의 기타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마지막 노출면(65)이 노출의 위치에 놓여진 후, 레버(355)의 다음번 왕복운동은 어드밴싱 폴 투스(364)를 허브 노치(352)의 면(374)에 맞물려주며, 그리하여 허브를 360도 완전히 회전시키지 않고 카바 슬라이드(14)와 함께 노출구(33)를 폐쇄해 주기에 충분한 각도로 회전시켜 주도록 한다. 그러한 노치가 있는 허브가 설치된 카트리지 조립체는 상부 노치를 그것의 2면 쇄정 보스(boss)에서 넓게 하여 줌으로서, 수정될 수 있는데 그렇게 하여서 이러한 최종 인덱싱 이동에 의하여 허브가 더이상 회전하지 못하도록 채워지는 것이다. 제33도에 가장 잘 도시되어 있듯이 인덱스 돌기(11a) 및 (114j)간의 노치면(374)의 원심에서 벗어난 위치 때문에 허브(351)의 360도 보다 약간 작은 각도의 회전이 이루어지고, 인덱스 돌기(114a)는 이번에는 그것이 어드밴싱 폴 투스(364)와 맞물려질 수 있는 위치(그 최대한도의 시계방향 위치가 점선으로 도시되어 있음)를 지나서 있게 되는데, 그렇게 함으로써 첫번째 노출된 면을 다시 노출되게 하는 경우를 방지할 수가 있다.
도어래칭장치는 제31도에 미끄러질 수 있는 래치 부재(375)에 의하여 개략적으로 나타나 있다. 그것은 슬라이드 버튼(377)에 의하여 스프링(376)에 반대하여 왼쪽으로 움직여서 래치 투스(378)를 카메라의 뚜껑문에 달린 협동하는 래치 부재로부터 풀어 준다. 래치부재(375)에 있는 핀(379)은 축상으로 장착된 차폐부재(382)의 캠면(381)과 맞물려지고 래치부재가 뚜껑문을 열어주기 위하여 왼쪽으로 이동할 때 그 차폐 부재를 그 회전핀(383) 주위로 시계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켜 준다. 록킹아암( 384)은 스터드(385)에 의해 축상으로 장착되어 있으며 하나의 선단부(386)를 갖는데 이것은 스프링(387)에 의하여 필름 어드밴싱 폴(356)의 캠면(369)과 접촉되어 있는 것이다. 폴(356)의 어드밴싱 투스(364)가 허브노치(352) 안으로 수용될 때 록킹아암은 제31도에 실선으로 도시된 위치에 있게 되는데, 거기서 그것의 슈우(388)는 차폐부재(382)위에 있는 휭거(389)의 이동 통로를 넘어서 위치되며, 그리하여 그 차폐부재( 382)가 미끄럼가능한 래치부재(375)의 카바도어 개방작업에 의하여 시계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해준다. 그러나 허브(351)가 기타의 다른 어떤 회전 위치에 있을때, 그에 따른 선단부(386)의 전면으로의 이동은 록킹아암(384)이 제31도에 점선으로 도시된 그것의 위치로부터 시계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해주어, 그리하여 그 슈우 (388)는 차폐부재(382)의 시계반대방향의 회전을 막아주며, 또한 그리하여 래치 부재(275)가 카바도어가 개방되는 위치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여 준다. 결과적으로 카바도어는 허브(3 51)가 그 카바 슬라이드가 카트리지 조립체 케이스의 노출구를 폐쇄시켜 주는 위치에 있을때 까지는 열려질 수가 없는 것이다.
제34도에서 37도까지는 3번째 카메라의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있는데 그러한 장치들은 필름 디스크의 연속적인 모든 인덱싱 작업을 완수하는데 필요한 에너지가 카메라의 충전 작업중 기계 장치에 의하여 전달되므로 "자동 필름 어드밴싱 장치"라 불리워질 것이다.
본 발명의 전술한 예에서와 같이 이 카메라는 참조번호(12)로 점선으로 도시된 필름 디스크 허브와 중앙부 구멍으로 수용될 하나의 고정 허브 지지 스핀들(401')을 갖고 있다. 전술한 바 있는 디스크(431)와 비슷한 하나의 구동 디스크(402')는 스핀들 (401')에 의하여 회전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으며 피니언(403')과 허브(12)의 인접한 인덱스 돌기(114)의 간격에 일치하여 30도의 간격으로 배열되어 있는 여러개의 원주의 투스(404')들을 갖고 있다. 피니언(403')와 맞물려있는 구동 부채꼴판(405')은 스터드 (460')에 축상으로 장착되어 있으며 비교적 강한 머리핀 스프링(407')에 의하여 시계방향으로 바이어스 되어 있다. 부채꼴판(405')이 제32도의 실선으로 도시된 위치에 있을 때 구동 디스크(402')는 그것의 카플링 핀(408')과 같은 방향으로 고정되는데(전술한 바 있는 카플링 핀(433)과 같은 핀임) 그 핀은 스핀들(401')과 카메라의 필름 지지 프레임의 장방형 노출구(409')의 사이에 일렬로 놓여 있는 것이며 그렇게 함으로써 필름 카트리지 조립체가 구동 디스크(402')와 맞물려 있는 상태로 카메라안에 놓여질 수 있는 것이다.
레버(411') 역시 스터드(406)에 축상으로 장착되어 있으며 구동 부채꼴판( 405')의 가장자리(413')와 맞물려질 수 있는 하나의 돌기(412)를 갖고 있다. 카메라를 열기 위하여 레버(411')는 제34도의 점선 및 제37도의 실선으로 도시된 위치로부터 제34도의 실선으로 도시된 위치로 시계 반대방향으로 회전되며 그리하여 추진 부채꼴판(450') 및 구동 디스크(402')가 제34도의 실선으로 도시된 각각의 위치에 있도록 해준다.
제36도 및 37도에 가장 잘 도시되어 있는 래치 슬라이드(414')는 슬라이드( 414')에 있는 L자형 슬로트(417')를 통하여 나와 있는 리벳트 핀(415') 및 (416')에 의하여 카메라의 케이스에 미끄러질 수 있게 장착되어 있다. 스프링(418')은 슬라이드 (414')를 왼쪽으로 핀(416')의 주위로 시계 방향으로 바이어스시킨다.
참조번호(49')로 부분적으로 도시된 카메라의 제35도에 그 폐쇄된 위치로 도시되어 있고, 제36도에 부분적으로 개방된 위치로 도시되어 있다 카바도어(419')가 폐쇄되었을 때 슬라이드(414')는 제35도의 위치에 도시되는데 이때 핀(415') 및 (416')는 모두 슬로트(417')의 수평 다리부(421')안에 수용되어 있고, 슬라이드 투스(422')는 카바도어(419')에 있는 래치 투스(523')와 맞물려 있어서 카바도어를 폐쇄된 상태로 유지해 준다. 레버(411')가 제34도의 실선으로 도시된 위치에 도달하면, 그것은 래치 슬라이드(414')의 전부(424')와 맞물려져서 그 래치 슬라이드를 스프링(418')에 대하여 오른쪽으로 이동시켜서 슬라이드(422')를 카바도어(419')에 있는 래치투스(423')로부터 풀어준다. 그러나 투스(422') 및 (423')가 서로 떨어지기 바로 직전에 슬로트(417')의 수직다리부(425')는 핀(415')과 일렬이 되도록 이동되며, 그런 후에 스프링(418')은 슬라이드(414')를 핀(416')의 쥐위로 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서 슬아이드 돌기(426')를 레버(411')의 왼쪽으로 이동시켜 준다. 사진사가 레버를 시계 반대방향으로 이동시켜주고 그리하여 카바도어(419')가 열려진 상태로 있는 한, 부채꼴 판(405')를 제34도의 위치로 유지시켜 준다. 그후에 카바도어(419')가 폐쇄된 상태로 될 때 그 카바도어(419')의 모서리(427')는 슬라이드 투스(422')의 상부 가장자리와 맞물려지고 그 슬라이드 투스를 아래쪽으로 밀어주어서 핀(415')이 슬로트(417')의 수평 다리부(421')와 다시 일렬로 되며, 그런 후에 스프링(418')은 슬라이드(414')를 제35도에 도시된 래치위치로 복귀시켜 주며 아암(411')을 개방시켜 주는데 아암은 스프링(428')에 의해 제37도의 실선 및 제34도의 점선으로 도시된 위치로 복귀된다.
카메라의 도어(419')가 폐쇄된 후에는, 레버(411')는 더이상 스프링(407')에 의한 부채꼴판(405')의 시계 방향 회전을 막아주지 않는다. 따라서 부채꼴판(405')이 이번에는 구동디스크(402') 및 필름 디스크 허브(12)에 시계 반대방향의 회전을 전달해준다. 필름 디스크 허브가 시계 반대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필름 디스크의 첫번째로 노출될 노출면(65)과 일렬로 된 인덱스 돌기(114a)는 회전하며 축상으로 부착된 포지쇼닝 레바(430)의 포지쇼닝 투스(429')와 접촉하게 된다. 따라서 회전할 수 있는 카바 슬라이드(14)는 카트리지 조립체 케이스의 노출구(33)로부터 떨어지며 첫번째 노출면은 필름 지지 프레임에 있는 노출구(409)와 일렬로 된다.
셔터의 구조는 개방셔터판(431') 및 폐쇄셔터판(432')으로 이루어지는데 이것들은 서로 겹쳐지는 상태로 위치되어 있고 적당한 보조장치(도시안됨)에 의하여 미끄럼 이동되게 되어있다. 셔터판(431') 및 (432')은 그들의 각각 채워진 상태로 제34도에 도시되어 있는데 거기서 폐쇄셔터판(432')에 있는 구멍(433')은 노출구(409')와 일렬로 되어 있고 개방셔터판(431')에 있는 구멍(434')은 구멍(409')의 오른쪽에 위치해 있다. 개방셔터판의 핀(435')은 축상으로 장착되어 있는 래치 레버(437')의 투스(436')와 맞물려져 있어 개방판(431')을 스프링(438')에 대하여 채워진 상태로 유지시켜주며, 폐쇄셔터판에 있는 투스(439')는 축상으로 부착되어 있는 래치아암(442')의 투스(441')와 맞물려져 있어서, 비슷하게 폐쇄판(432')을 스프링(443')에 대하여 채워진 상태로 유지시켜준다.
셔터 개방부재(444')는 가늘고 긴 슬로트(446')를 통하여 나온 핀(445')에 의해 미끄러질 수 있게 부착되어 있고 축상으로 장착되어 있는 레버(448')에 부착된 스프링(447')에 의하여 제34도에 나타난 디작의 위치로 앞으로 바이어스되어 있는 상태로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셔터 개방부재에 대한 이러한 설명은 다만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위치되며 적당한 연결장치에 의하여 셔터에 연결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사실을 언급하고 싶다.
셔터 개방 부재(444')가 노출을 행하기 위하여 후방으로 이동함에 따라서, 그 초기의 이동은 레버(448')를 축상으로 이동시켜 주어서 그것의 휭거(449')를 압착한 돌기(451')와 지지 결합되어 있는 상태로부터 풀어지도록 이동시켜 준다. 휭거(449') 및 돌기(451')는 제18도 내지 30도에 관련하여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은 휭거(441) 및 (440)에 각각 해당하는 것이다. 셔터 개방부재(444')의 이러한 초기의 이동은 카메라의 압착판에 의해서 필름을 지지 프레임에 압착시켜 주도록 한다. 셔터 부재(444')의 계속된 후방으로의 이동은 그 돌기(452')를 래치 레버(437')와 접촉시켜 주며 그 래치 레버를 그 피봇트 스터드(453') 주위로 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서 제37도의 실선으로 도시된 위치로 이동시켜 준다. 레버(437')의 이러한 이동은 그것의 투스(436')를 개방 셔터판(431')에 있는 핀(435')로부터 풀어주며, 그 투스(454')를 같은 판(431')에 있는 핀(455')과 일렬로 되도록 위치시켜 준다. 따라서 스프링(438')이 개방셔터판(431')을 제37도의 실선으로 도시된 그 중간 위치로 이동시켜 줌에 따라 필름의 노출이 개시되는데, 거기서 그 판(431')에 있는 핀(455')은 래치 레버(437')의 투스(454')와 맞물려지고, 개방판의 구멍(409') 및 폐쇄셔터판(432')의 구멍(433')과 일렬로 된다. 개방셔터판(431')이 그 중간 위치에 도달하면, 그것의 로우브(lobe)(456')는 래치아암(442')에 있는 로우브(457')와 맞물려지고 래치아암(442')을 폐쇄셔터판(432')에 있는 투스( 439')로부터 떼어주어서 스프링(443')이 폐쇄 셔터판(432')을 그 탭(458')이 개방셔터판(431')의 인접한 모서리와 접촉되어 한정되는 그 중간위치로 이동시켜 준다. 폐쇄 셔터판(432')의 이러한 폐쇄셔터판의 구멍(433')을 필름 지지 프레임 구멍(409')을 지나 이동시켜서 필름의 노출을 종식시켜 준다. 그리하여 셔터 기계장치는 기계적으로 미리 정해진 노출 간격을 제공하는데 그 간격은 분명, 제20도 내지 30도와 관련하여 설명했던 것과 같은 식으로 폐쇄 셔터판(432')의 작동을 지체시켜 주기 위한 전자석의 결합에 의하여 늘려질 수 있다.
셔터 개방 부재가 스프링(447')에 의해 그 초기의 위치로 복귀되면, 레버(448')은 휭거(449')로 하여금 압착판을 필름 카트리지 조립체와의 작동 결합상태로부터 풀어주고 그 전후에 부재(444')의 돌기(459')는 래치 레버(437')와 맞물려지고 그 래치 레버를 본래의 위치로 복귀시켜 준다. 레치 레버(437')의 이러한 이동은 그 투스(454')를 개방 셔터판(431')의 핀(455')으로 풀어주고 그리하여 두개의 셔터판(431') 및 (432')으로 하여금 제37도에 점선으로 도시된 위치의 왼쪽으로 약간 더 이동되게 한다.
2개의 셔터판의 이러한 최종 이동중, 셔터판(431')의 모서리(461')는 포지쇼닝 레버(430')의 선단부(462')와 맞물려지고 그 레버를 그 편심축핀(463') 주위에서 회전시켜서 제37도에 점선으로 도시된 위치로 갖다 놓아 주는데, 거기서 그 포지쇼닝 투스(429')는 허브인덱스 돌기(114a)로부터 분리된다. 결과적으로 부채꼴판(405')은 이번에는 구동 디스크(402') 및 허브(12)를 시계 반대방향으로 움직여 주는데 그것은 채워주는 부재(456')의 휭거(464')와 인접한 구동 디스크 투스(404a')로 하여금 그 휭거와 맞물려지고 그 부재(456')를 그 피봇트 스터드(466') 주위에서 시계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콕킹 아암(cocking arm)(467')도 역시 콕킹부재(456')를 지나 스터드(466')에 축상으로 장착되어 있으며 스프링(469')에 의하여 정지핀(468')에 대하여 시계 반대방향으로 바이어스 되어 있다. 약한 머리핀 스프링(471')은 콕킹 부재(456')를 콕킹아암(467')에 대하여 시계방향으로 바이어스시켜서, 콕킹 부재(456')의 모서리(472')를 콕킹 아암(467')에 대하여 밀어 붙인다. 구동 디스크(402')의 투스(404')가 콕킹부재(465')의 휭거(464')와 맞물려져서 그것을 지나 이동하면, 그에 따른 콕킹 부재(465')의 시계 방향의 회전은 그 탭(473')을 통하여 콕킹 아암(467')으로 전달되며, 그리하여 그 아암(467')으로 하여금 제34도에 점선으로 도시된 위치로 순간적으로 이동하게하여 주고 그런 다음 그 초기의 위치로 복귀시킨다. 아암(467')의 이러한 이동중, 그 헤드(467')는 개방셔터판(431')에 있는 휭거(475')와 맞물려지고 두개의 판(431') 및 (432)을 그 초기의 채워진 위치로 복귀시켜 준다. 아암(467')이 셔터판 (431') 및 (432')을 그 각각의 채워진 위치로 이동시켜 주면 개방셔터판(431')의 모서리(461')는 포지쇼닝 레버(430')의 선단부(462')로부터 풀려나도록 이동되어 스프링 (476')으로 하여금 포지쇼닝 레버(430')를 제34도에 도시된 그 작동위치로 복귀시켜 주도록하며, 그리하여 구동 디스크(402')와 필름 허브의 회전은 다음번의 투스 (114b)가 포지쇼닝 투스(429')와 맞물려질 때, 다시 저지된다. 따라서 다음번에 노출된 노출면이 이번에는 노출위치에 놓여지게 되며 셔터장치가 다시 채워지고 그 초기의 상태로 복귀된다.
이러한 작업이 반복되어져서 필름의 모든 노출면이 노출되고난 후에는 부채꼴판 (405')이 정지핀(477')과 접촉되어져서 필름 디스크의 그 이상의 시계반대방향의 회전을 막아준다.
래치 슬라이드(414')가 카메라의 카바도어(419')가 열려 있는 한, 장전 레버( 411')를 제34도에 실선으로 도시된 위치에 유지시켜서 카메라에 장전된 필름 카트리지 조립체 안에 들은 필름디스크는 카바도어가 닫혀질 때까지는 회전되지 않으며 그리하여 필름 디스크가 잘못하여 주위에 광선에 노출되는 것을 예방하여 준다.
원한다면 이 특징을 제28도 내지 30도 도시된 카메라에도 사용될 수 있는데 그것은 그 카메라에 카메라의 뚜껑문이 열려 있을 때는 언제나 필름 어드밴싱 레버(446)를 제20도에 도시되어 있는 위치로 쇄정시켜 놓기 위한 간단한 래치 장치를 부착시킴으로써 가능하다.
노출면의 일부 혹은 전부를 노출시킨 후에 필름 카트리지 조립체를 꺼내기 위하여, 사진사는 레버(411')를 제34도에 실선으로 도시된 위치로 이동시켜서 카메라의 카바도어(419')를 열고 그리하여 허브(12)를 회전 가능한 카바 슬라이드가 다시 카트리지 조립체의 케이스에 있는 노출구를 가려주고 그 허브가 이번에는 더이상 회전되지 못하도록 쇄정되는 그 허브의 초기의 위치로 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귀환시키면 된다. 구동 디스크(402')의 이러한 시계 방향으로의 회전중 필름 허브 인덱스 돌기(114)는 포지쇼닝 투스(429')의 경사면(478')과 캠 투스(429')를 스프링(476')에 대하여 따로 맞물려 준다. 구동 디스크(402')의 투스(404')는 같은 식으로 휭거(464')를 스프링(471')에 대하여 시계 반대방향으로 회전시켜서 콕킹부재(456')의 휭거(464')를 바이패스시킨다. 제34도는 카메라장전 작업중 채워진 상태로 있는 셔터를 보여주고 있지만 그러한 상태는 사용중인 카트리지 조립체가 그 모든 노출면이 노출되기 전에 꺼내어질 경우에만 일어나는 것이다.
사용되고 있는 카트리지 조립체가 완전히 노출된 경우라면 셔터는 채워지지 않은 상태로 유지될 것이지만 구동 디스크(402')의 최초의 회전에 의하여 다시 채워질 것이며 그것에 의해 노출된 첫번째 노출면이 노출의 위치에 놓여지게 될 것이다.
제38도는 제34-37도에 도시된 장치에 대한 변경된 형태를 보여주는 것인데, 그것은 셔터가 필름 어드밴싱 장치, 이외 즉 셔터의 이동이 압착판으로 하여금 필름 카트리지 조립체로부터 분리되도록 하여준 후의 그 셔트 개방 부재의 최종 복귀이동에 의하여 셔터가 채워지는 형식의 카메라에 사용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미 알려진 형태의 셔터 콕킹 장치는(도시안됨)콕킹아암(467') 및 그와 연합된 구조를 필요로 하지 않는 것이므로 그러한 요소들은 생략되었고, 포지쇼닝(430')에 지동투스(escapement tooth) (481')가 제공되어 있는 지동기구를 설치하고 있다. 셔터판(431') 및 (432')의 최종 이동이 레버(430')를 점선으로 도시된 위치로 회전시켜 주고 그리하여 인덱싱 투스(4 29')를 허브 인덱스돌기로부터 분리시켜 줄 때, 그 지동 투스(481')는 동시에 인접한 구동 디스크 투스(404')의 이동 통로안으로 이동해 간다.
따라서 필름 디스크는 투스(481')가 구동 디스크(402')의 더이상의 회전을 순간적으로 저지시켜 주기 전에 다음의 노출위치로 부분적으로만 어드밴스된다. 셔터가 셔터 개방장치의 최종복귀이동에 의하여 다시 채워질 때 스프링(476')은 래치 레버( 430')를 실선으로 도시된 위치로 복귀시켜 주고 그것의 투스(481')를 구동 디스크투스 (404')로부터 분리시켜 주며, 그런 다음 필름 디스크는 그것의 다음변의 인덱스 돌기와 포지쇼닝 투스(429')의 맞물림에 의하여 이루어지는 위치로 그것의 인덱싱 이동을 완수한다.
제39도 및 제40도는 제38도에 도시된 것과 비슷한 기능을 갖는 지동기구에 대한 또다른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는데, 여기서는 포지쇼닝 투스(483')와 지동 투스(4 84')가 모두 허브 인덱스 돌기(114)와 직접적으로 협동하여 필름 디스크 허브가 구동 디스크(485')에 의하여 시계 반대방향으로 바이어스됨에 따라 그 필름 디스크 허브(12)의 증가 인덱싱 이동을 제공해 준다.
포지쇼닝 투스(483')는 편심 피봇트 스터드(487')에 의하여 축상으로 부착된 포지쇼닝 레버(486')에 달려 있으며 스프링(488')에 의하여 제39도에 도시된 작동위치로 붙여진다. 레버(486')가 핀(489')과 접촉됨으로써 정해지는 이러한 위치에서 투스(483')는 허브 인덱스 돌기(114a)와 맞물려져서 필름 디스크허브의 시계 반대방향으로의 회전을 저지시켜 주고 필름 노출면을 노출위치에 위치시켜 준다. 지동 투스(48 4')는 지동 레버(491')에 달려 있는데 그 레버는 피봇트 스터드(492')에 축상으로 부착되어 있으며 개방셔터판(431')이 제39도와 같이 그 중간의 위치에 있을 때 그 개셔터판의 핀(494')과 인접한 캠면(493')을 갖고 있다. 포지쇼닝 레버(846')에 있는 돌기(495')는 지동 레버(491')의 휭거(496')와 맞물려지고 그리하여 스프링(488')에 의하여 레버(486')에 전달되는 시계 반대방향의 힘은 레버(491')를 핀(497')에 대하여 시계 방향으로 바이어스시킨다.
셔터판(431')이 제40도에 도시된 그 최종의 채워지지 않은 위치로 이동할 때, 그 핀(494')은 지동 레버(491')를 시계 반대방향으로 캠작동시키고 그리하여 그 휭거(496')는 포지쇼닝 레버(486')를 스프링(488')에 반대하여 시계 방향으로 이동시켜 준다. 따라서 포지쇼닝 투스(483')는 이번에는 인덱스 돌기(114a)로부터 개방되어져서 필름 디스크 허브(12)로 하여금 제40도에 도시된 위치로 회전시키는데, 그 위치에서 그 인덱스 돌기(114a)는 지동 투스(484')와 자물려진다. 셔터가 다시 채워지면, 스프링(488')은 두개의 레버(485') 및 (491')를 제39도에 도시된 그들의 각각의 위치로 복귀시켜주며, 그리하여 투스(484')를 돌기(114a)로부터 풀어주고 투스(483')로 하여금 인덱스 돌기(114b)를 방해하여 필름디스크 인덱싱 작업을 완수하도록 해 준다.
제40도는 카트리지에서 빼내고(암실에서) 현상한 후에 취급자에게 념겨질, 기본 필름 유니트(17)를 도시한 것이다. 필름 유니트의 구조적인 통합은 유지될 것인데, 말하자면 필름 디스크(10)와 허브(12)는 계속해서 서로 붙어 있게 되는 것이다. 감광 영상면(13)은 현상되어져서, 복수의 즉 영상면(65)에 따른 10개의 영상면을 만들어 주는데 그 영상면들은 이제는 불투명한 미리 노출된 경계지역에 의해 둘러쌓여 있게 된다. 그러한 상태에서 필름 유니트는 네거티브 재료일 경우 복사될 것이고 포지티브 재료일 경우 제42도와 제43도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장치등에서 시사(view)되어질 것이다. 필름 유니트의 유지되는 구조적 통합 때문에 복사 장치 또는 시사장치는 다시 허브(12)의 인덱싱 돌기(114)를 사용하여 노출되고 현상된 영상면(65)를 그 장치들의 광축과 일렬로 위치시킨다.
제42도 및 제43도는 상술된 필름 유니트의 몇가지 장점들을 이용한 장치들을 도시한 것이다.
제42도는 현상된 영상면들을 갖고 있는 복수의 필름 유니트(17)가 필름 유니트(17)의 필름 허브(12)의 회전 구멍(116)을 통하여 삽입된 꼬챙이(skewer)에 정렬되어 있다. 꼬챙이(160)에 있는 스플라인은 구멍(116)에 있는 키이 홈(117)과 꼭들어 맞아서 필름 유니트를 일렬로 정렬시켜 주고 꼬챙이에 대하여 필름 유니트가 회전하는 것을 방지해 준다.
광원(light source)(18)과 빛의 통로(163)를 이루어주는 광학프리즘 조립체( 164) 및 브라운관(162)을 포함하는 관련된 공지의 광학 및 전자요소(161)등은 필름 유니트(17)의 영상면(65)에 있는 영상을 브라운관을 통하여 볼 수 있도록 해준다. 필름 유니트(17)의 일렬로 선 노치(54)들을 포개어진 필름 유니트들의 더미에 하나의 통로를 형성하여 주어서 프리즘 조립체(164)로 하여금 그 조립체(164)를 사용할 필름 유니트(17')의 일렬로 위치시키기에 충분한 거리로 꼬챙이(160)와 수평으로 횡단할 수 있도록 해 준다. 그 꼬챙이(160)는 거기에 장착된 필름 유니트(17)와 함께 필름 유니트 (17')의 사용할 한 영상면이, 프리즘 조립체에 의하여 이루어진 빛의 통로(163)와 일렬로 놓이게 하도록 계산된 원호상으로만 회전되어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이것은 허브(12)의 인덱스 돌기(114)를 가장 효과적으로 이용한 것이다. 필름 유니트(17)의 허브(12)는 인접한 필름 디스크들(10)간의 정확하고 일정한 간격을 유지시켜 준다. 제43도에서 보듯이 프리즘 조립체(164)는 포개어진 필름 디스크(10)의 더미들을 통과하여 인접한 디스크들로부터 방해를 받지 않고 사용할 디스크(17')와 접속된다. 제43도에서 보듯이 접속된 디스크(17')의 양쪽에 있는 디스크(10)들은 약간 휘어질 수도 있으나 허브(12)에 의해 간격이 떨어져 있기 때문에 휘어진 디스크들이 그들과 인접한 다른 디스크들과 접촉되지 않도록 되어 있다.
Claims (1)
- 본문에 상술하고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감광재의 디스크와 디스크가 위치되는 케이스 및 최초에 예정된 방향으로 디스크를 유지시키는 해제 가능한 쇄정장치를 지니는 형태의 카트리지 조립체를 수용하는 카메라에 있어서 쇄정 장치를 해제시키고 디스크를 케이스에 대하여 이동시키도록 수용된 카트리지 조립체의 쇄정 장치와 결합 가능한 키이를 지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진용 스틸 카메라.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7802352A KR820001487B1 (ko) | 1978-07-31 | 1978-07-31 | 사진용 스틸 카메라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7802352A KR820001487B1 (ko) | 1978-07-31 | 1978-07-31 | 사진용 스틸 카메라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820001487B1 true KR820001487B1 (ko) | 1982-08-23 |
Family
ID=192083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7802352A KR820001487B1 (ko) | 1978-07-31 | 1978-07-31 | 사진용 스틸 카메라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820001487B1 (ko) |
-
1978
- 1978-07-31 KR KR7802352A patent/KR820001487B1/ko activ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4194822A (en) | Photographic film cartridge assembly and camera | |
US4202614A (en) | Photographic cameras | |
GB1597074A (en) | Photographic cartridge assembly and camera therefor | |
CA1098749A (en) | Disk-shaped film unit and hub cartridge assembly | |
US4255034A (en) | Film retention in cartridge assembly | |
KR820001487B1 (ko) | 사진용 스틸 카메라 | |
US7226223B2 (en) | Camera with motorized film advancement | |
US5790906A (en) | Camera | |
US6587645B1 (en) | Film alignment mechanism and frame counter resetting mechanism | |
JP3665125B2 (ja) | レンズ付きフイルムユニット及びレンズ付きフイルムユニットへのフイルムカートリッジ装填方法 | |
US5926662A (en) | Simplified trigger, shutter and film advance system for use in a camera | |
US5617164A (en) | Camera using interference between exposure actuator and metering linkage to control motor | |
CA1099555A (en) | Camera using film cartridges of disk-shaped film | |
JPH0621913B2 (ja) | 4眼カメラにおける撮影枚数切換装置 | |
US4109260A (en) | Superimposing device for use in a data-recording camera | |
EP1455221B1 (en) | Camera with motorised film advancement | |
JPH0531648Y2 (ko) | ||
US4814805A (en) | Film exposure counter | |
JP3668338B2 (ja) | レンズ付きフイルムユニット | |
JP3770419B2 (ja) | レンズ付きフイルムユニット | |
JP2002244177A (ja) | 絞り切替装置 | |
JPH03171126A (ja) | フィルム一体型カメラ | |
JPH07225454A (ja) | レンズ付フィルムユニット | |
JPS63139329A (ja) | 小型簡易デイスクカメラ | |
GB2066982A (en) | Cartridge assembly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