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20001350B1 - 전기 차량 견인장치 - Google Patents

전기 차량 견인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20001350B1
KR820001350B1 KR7802898A KR780002898A KR820001350B1 KR 820001350 B1 KR820001350 B1 KR 820001350B1 KR 7802898 A KR7802898 A KR 7802898A KR 780002898 A KR780002898 A KR 780002898A KR 820001350 B1 KR820001350 B1 KR 8200013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rrent
voltage
converter
line voltage
thyris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78028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아로손 올레
프랑크 키옐
프리덴 라아스
요한슨 얀-구스타프
Original Assignee
벵그트 외만
아세아 악티에볼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벵그트 외만, 아세아 악티에볼락 filed Critical 벵그트 외만
Priority to KR78028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82000135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200013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200013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PCONTROL OR REGULATION OF ELECTRIC MOTORS, ELECTRIC GENERA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CONTROLL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 H02P3/00Arrangements for stopping or slowing electric motors, genera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 H02P3/06Arrangements for stopping or slowing electric motors, genera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for stopping or slowing an individual dynamo-electric motor or dynamo-electric converter
    • H02P3/08Arrangements for stopping or slowing electric motors, genera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for stopping or slowing an individual dynamo-electric motor or dynamo-electric converter for stopping or slowing a dc motor
    • H02P3/14Arrangements for stopping or slowing electric motors, genera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for stopping or slowing an individual dynamo-electric motor or dynamo-electric converter for stopping or slowing a dc motor by regenerative brak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전기 차량 견인장치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충전 제어 회로의 회로 다이어 그램.
제2도는 제1도 회로를 보다 상세히 예시한 회로 다이어그램.
제3a, b도는 제1도의 제어 반도체 밸브의 선택적 위치를 예시한 회로도.
제4도는 제2도에 예시한 실시예에 관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예시한 회로도.
본 발명은 접촉선으로부터 집전기(current collrector)를 경유하여 구동 모우터(M)에 DC전압을 공급하는 정전변환기(static convertor)와 이 정전변환기에 공급되는 전류를 평활시키기 위한 상기 변환기 입력측에 배열된 필터 콘덴서를 가진 전기 차량 견인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종류의 장치에 있어서 상기 변환기에 흐르는 직류는 강력하게 맥동(pulsating)한다. 따라서 이러한 접촉 선로 전류내의 맥동 현상을 줄이기 위하여, 통상 변환기 입력측에 필터를 설비하는 것이 보통이었다. 필터는 통상 DC 도선중의 하나의 도선 내의 리액터(reactor)와, 상기 두 DC 도선 사이에 연결되고 상기 리액터와 변환기 사이에 위치하는 소위 선로 콘덴서(line capacitor)로 구성된다. 경우에 따라서 상기 리액터는 생략되기도 하는데 이때의 필터는 단지 콘덴서만으로 구성된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콘덴서는 큰 용량을 가지고 있다. 차량 운전시 접촉 선로에서 전압 (선간 전압)이 정규적으로 장시간 또는 단시간 강하되는데, 이러한 강하 현상은 차량이 접촉 선로의 데드 섹션(dead section)을 통과할 때 또는 소위 팬터그래프 바운스(pantograph bounces)시에 발생한다. 선간 전압 강하시 콘덴서는 변환기의 부하 전류에 의해 급격히 방전된다. 전압이 회복되면 콘덴서가 접촉 선로로부터 선간 전압으로 충전될 때 강력한 충전전류 서어지(a stong charging current surge)가 발생하는데 이 전류 서어지의 크기는 리액터(1개가 존재할 경우)에 의해서만 최소한으로 제한된다. 이 전류 서어지는 장치에 대한 기계적, 전기적 및 열적 스트레스를 초래하고, 접촉 선로의 공급 장비와 차량에 있어서의 과전류 보호가 소홀히 될 위험성이 있고, 또 선간 전압에 있어서 강한 과전압이 발생하고 신호 교란의 위험성이 있게 되는 등 각종 결점의 원인이 된다.
전술한 결점들은 차량의 콘덴서와 집전기 사이에 있는 DC 도선내에 전류 제한 저항기를 설치함으로써 어느정도 회피할 수 있었다. 정상적이고 교란이 없는 운전 중에는 저항기는 접촉기에 의해 브리지(bridge)되어 선간 전압이 강하되면 접촉기는 개방되고 선간 전압이 회복되면 저항기는 충전 전류를 제한한다. 콘덴서 전압이 선간 전압치에 도달하면 접촉기는 폐쇄된다.
그러나 어떤 크기의 접촉기는 비교적 긴 반응시간을 가져 전압 강하가 단시간인 경우 접촉기는 전압이 회복될 때까지 개방될 수 없어 콘덴서는 저항기에 의해서가 아니라 접촉기에 의해 충전된다. 콘덴서는 상당한 정도로 방전시켜야 할 시간을 가지므로 충전전류 서어지는 강력해져 그 결과 전술한 결점들이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은 이러한 결점을 완전 해결한 견인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전기 차량 견인장치는 접촉 선로로부터 집전기를 경유하여 구동 모우터에 DC 전압을 공급하는 변환기와 이 변환기에 공급되는 전류를 평활시키는 변환기 입력측에 배열된 필터 콘덴서로 구성된 전기 차량 견인장치에 있어서, 제어 반도체 소자를 상기 콘덴서와 집전기 사이에 접속시켜 상기 차량 구동중 외란이 없는 운전시에는 상기 변환기에 전류가 흐르도록 하고, 접촉 선로로부터의 공급 전압의 강하시에는 반도체 소자를 폐쇄시키도록 제어 소자들을 구성시킨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 도면을 따라 본 발명을 상세히 기술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철도 차량, 무궤도 전차(trolley bus) 등의 차량 견인장치의 개략 회로도를 예시한 것이다. 본 장치에는 접촉선로 또는 레일(1)로부터 차량에 배열된 집전기(2)를 통하여 정 DC 전압(positive DC voltage)이 공급된다.
이 DC 전압은 변환기(3)를 통해 모우터(M)에 인가되는데, 만약 이 모우터(M)가 직류 모우터이면 변환기(3)는 모우터(M)에 DC 펄스 전압을 입력하는 DC 변환기이고, 만약 AC 모우터라면 (예를 들면, 유도 전동기) 이 변환기(3)는 가변 출력 주파수 또는 출력전압을 입력하는 인버어터(inverter)일 수 있다. 상기 DC 펄스 전압은 모우터 전류를 제어하기 위한 가변 펄스 주파수나 또는 펄스 폭을 가짐으로써 모우터에 견인력과 차량의 가속 및 속도를 줄 수 있다.
DC 변환기(3)를 사용하는 경우에 직류는 맥동하게 되고 모든 조건하에 이 전류는 비교적 큰 AC 구성 성분들을 포함한다. 그러므로 전류를 여파시키기 위해서는 변환기(3)과 집전기(2) 사이에 필터를 배치하는데, 이 필터는 리액터(4)와 콘덴서(5)로 구성된다. 선간 전압 강하 개시나 또는 단시간 강하 후 콘덱서(5)에 충전 전류를 제한하기 위해서 저항기(6)를 리액터(4)와 직렬로 연결한다. 제어 반도체 소자인 다이리스터(thyristor)(7)는 상기 저항기(6)와 병렬로 연결되는데, 이 소자의 도통 방향은 모우터 구동시의 전류 방향과 일치한다.
상술한 "구동"이란 용어는 접촉 선로(1)로부터 모우터(M)에 동력이 공급되는 운전중의 경우에 대한 것이다. 반대 운전의 경우에는 동력이 모우터(M)에서 접촉 선로(1)에 공급되는 "브레이킹(braking)"이란 용어가 사용된다.
정상적인 무방해 운전 기간 동안에는 부하 전류가 다이리스터(7)에 흐르도록 다이리스터(7)에 연속 제어 신호가 인가된다. 그러나 차량이 처음에 시동되면 콘덴서 전압(UC)은 제로(0)가 되고 제어신호가 초기에 인가되지 않기 때문에 다이리스터(7)는 "턴언-오프"(turn-off)되어 충전 전류는 전류 제한 저항기(6)를 통해 흘러 제한된다. 콘덴서(5)가 충전됨에 따라 선간 전압(UL)과 콘덴서 전압(UC)의 차가 감소하여 어느 규정치인 트리거 레벨(trigger level)에 도달하면 제어 신호가 인가되어 다이리스터(7)가 "턴언-온"(turn-on)되어 저항기(6)에 흐르는 부하전류를 차단한다. 결국 다이리스터(7)는 콘덴서(5)가 충전하고 있으면 전류를 제한하기 위해 저항기(6)에 접속되고 콘덴서(5)가 충분히 충전되면 저항기(6)와의 접속을 단락한다.
일정량만큼 선간 전압(UL)이 감소되거나 또는 선간 전압 (UL)이 강하되는 경우에 다이리스터(7)에 입력하는 제어 신호가 제거되고 다이리스터(7)는 "오프"된다. 선간 전압(UL)이 그의 본래의 값에 회복될 경우 다이리스터(7)는 저항기(6)를 통과하는 부하전류를 차단시킨다. 콘덴서 전압(UC)이 저항기 (6)를 단락시키고 충전 전류가 큰 서어지를 일으키지 않고 선간 전압을 콘덴서에 인가하기 위해 다이리스터(7)를 "턴언-온"할 만큼 충분한 레벨에 도달할 때까지 콘덴서(5)는 저항기(6)를 통해 충전된다.
다이리스터(7)는 극히 신속히 작동하므로, 예컨대 팬터그래프 바운스로 인한 선간 전압(UL)이 강하되는 경우에도 충전전류 서어지에 대한 보호가 제공된다. 본 발명 장치에 있어서는 공지의 장치에서의 단시간 선간 전압 강하 후에 발생하는 높은 충전 전류 서어지를 효율적으로 피할 수 있다.
본 장치는 선간 전압의 강하나 또는 상당한 감소 중에 변환기(3)를 보호하는 수단으로 적절히 보충될수 있고 변환기의 충전 전류에 의한 방전으로부터 콘덴서(5)를 보호한다. 따라서 선간 전압과 콘덴서 전압간의 전압차는 선간 전압이 회복한 후 변환기(3)가 차단되지 않은 경우보다 상대적으로 더 작게 되어 충전 전류 서어지는 감소하게 된다.
제2도는 제1도를 더욱 상세히 예시한 것으로, 다이오드(10)는 저항기(6)와 직렬로 연결되어 선간 전압의 강하 또는 감소되는 경우에 선간 전압이 콘덴서에 충전되는 것을 차단시킨다. 이러한 방법으로 저항기(6)를 통하여 콘덴서의 방전이 예방될 수 있고 더우기 다이오드(10)에 의해 선간전압(UL)이 콘덴서 전압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접촉기(11)는 재생 브레이킹시에 모우터(M)로부터 접촉선로(1)까지 브레이킹 전류가 흐를 수 있게 저항기(6)와 다이 오드(10)에 병렬로 접속된다. 전류가 리액터(4)를 통하여 흐르는 동안 접촉기(11)가 개방될 때 소자(7)(10)들을 보호하기 위하여 프리-휘일링 다이오드(free-wheeling diode)(12)가 설치되어 있다.
저항 분압기(15)가 설치되어 있어서 선간 전압(UL)이 측정되며 비교적 저항이 큰 저항기(16)는 선간 전압이 강하되면 전압(UL)의 제로(0)의 값을 제공한다. 저항 분압기(17)는 콘덴서 전압(UC)을 측정하기 위해 제공된다.
변환기(3)는 "터언-오프"회로가 제공된 다이리스터(3)를 가진 공지의 DC 변환기로 구성되는데, 상기 다이리스터(31)는 제어기 (32)로부터의 "터언-오프" 신호를 선택적으로 입력한다. 평활 리액터(33)는 DC 모우터(M)와 직렬 연결되는데, 이 평활 리액터는 전체 또는 부분적으로 모우터의 계자권석으로 구성한다 프리 - 휘일링 다이오드(34)는 다이리스터(31)의 "오프"상태 기간 중에 모우터 전류를 도통시킨다. 모우터(M)의 구동시 접촉기(18)는 폐쇄되고 모우터의 브레이킹 중에는 접촉기(19)가 폐쇄된다.
분압기(15),(17)로부터 얻은 UL및 UC의 측정값은 전압치 UL-UC에 해당하는 신호를 출력하는 가산회로(20)에 입력된다. 이 가산회로(20)의 출력신호는 레벨 검출기(21)에 입력된다. 이 레벨 검출기(21)는 UL-UC가 소정의 정 및 부 값 사이에 있을 경우에는 논리 "1"을 나타내고, UL-UC가 이들 값 외에 있을 때에는 논리 "0"을 출력한다. 선간 전압이 600V인 경우에는 예컨대 +150V와 -150V 가 되는 2가지 레벨이 선택될 수 있다. 레벨 검출기(21)로부터의 출력 신호는 지연회로(22)를 통하여 AND게이트 (23)에 입력된다. 이 지연회로(22)는 선간 전압 강하 후 UL이 UC를 지날 때 AND 게이트(23)에 논리 "1"이 공급될 수 없을 정도로 "0"에서 "1"로의 전이(그러나 1에서 0으로의 전이가 아님)를 지연시킨다. 또한 신호 UC는 UC가 소정값, 예컨대 주전압 600V 에서 300V 이하인 경우 "0"을 출력하는 레벨 검출기(24)에 입력된다. 이 레벨 검출기(24)의 스위칭 레벨은 모우터 구동 중 본 장치가 정상 운전될 수 있는데 필요한 최저 선간 전압 이하가 되도록 선택되어야 한다. 상기 검출기(24)는 본 장치를 시동시킬 때 선간 전압이 회로를 스위칭하므로서 다이리스터(7)가 제어 신호를 입력하지 못하도록 보호한다.
검출기(21)(24)의 출력 신호가 모두 논리 "1"이라면 논리 "1"이 AND 게이트(23)(회로 22에 있어서의 시간 지연과는 별도)에서 출력한다. 이 신호는 다이리스터(7)에 연속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 펄스장치(25)(회로 23으로부터의 출력 신호가 논리 "1"인 것인 한)에 입력된다.
AND게이트(23)의 출력신호는 또한 변환기(3)의 제어기(32)에 입력된다. 이 신호가"0"이면 변환기는 폐쇄된다. 즉, 제어 펄스가 그의 반도체 밸브에 인가되지 않으며 변환기의 작동이 중지된다. 신호가 논리 "1"이면 변환기는 작동한다.
모우터(M)의 구동시 접촉기(18)는 폐쇄되고 접촉기(11)(19)는 개방된다. 본 장치가 시동되어 선로에 연결되면 UC=0, 만약 UL=600V라면 UL-UC=600V이며 검출기(21)(24)의 출력 신호는 모두 "0"이다.
따라서 변환기는 폐쇄되고 제어 신호가 다이리스터(7)에 입력되지 않아 콘덴서(5)는 저항기(6)를 통하여 충전된다. UC가 검출기(24)에 의해 측정된 값에 도달하면 그 검출기에서의 출력신호는 논리 "1"이다. 그후 UC의 값이 UL-UC가 검출기(21)로 측정한 상측 스위칭 값 이하로 되는 값에 달하게 되면 지연 회로(22)로부터의 출력 신호 역시 적당한 지연 후 논리 "1"이 되며 다이리스터(7)가 제어 신호를 입력하여 도통되어 저항기(6)의 전류를 바이 패스(by pass)하여 콘덴서(5)는 선간 전압까지 신속히 충전된다. 동시에 변환기(3)의 폐쇄가 제거된다.
그후 외란이 없는 운전시에는 UC는 대략 UL과 같으며 다이리스터(7)는 연속 제어 신호를 입력하고 그에따라 UL의 약간의 임의 변동과 관계없이 도통 상태를 유지한다. 선간 전압이 급격히 감소되거나 선간 전압이 강하가 있는 경우에 검출기(21)의 출력 신호는 논리 "0"이 된다. 선간 전압 강하의 경우 UL은 "0"과 같아지게 되고 전술한 UL-UC는 -600V가 된다. 따라서 다이리스터(7)은 급히 "오프"되고 변환기(3)는 폐쇄된다. 다이오드(10)의 영향을 통해 그리고 변환기를 폐쇄시킴으로써 콘덴서(5)는 비교적 서서히 방전된다. 그러므로 단시간의 전압 강하 중 선간 전압이 복귀한 후에 UL-UC는 검출기(21)의 스위칭 레벨 이하로 되며, 다이리스터(7)는 제어 펄스를 즉시 입력하고 도통이 되며, 변환기(3)는 즉시 활성화 된다. 그리하여 운전이 즉시 그리고 최소의 외란을 가지고 계속된다. 어느정도 장시간 전압이 강화되면 전압 복귀시 UL-UC가 검출기(21)의 상측 스위칭 레벨 이상이고, 또 가능한한 UC가 검출기(24)의 스위칭 레벨 이하로 강하되도록 콘덴서가 방전되는 것을 회피할 수 없다. 주전압이 복귀되면 검출기(21)(또한 가능하게도 24도 역시)로부터의 출력 신호는 "0"이 된다. 검출기의 제로(0)신호는 제어 신호를 차단하여 다이리스터(7)을 "오프"하며 콘덴서(5)에 대한 충전 전류는 전류 제한 저항기(6)를 통하여 흐른다. 콘덴서가 충분히 충전되면, 검출기(21)(24)로부터의 출력 신호가 모두 논리 "1'이 되고 다이리스터(7)가 "턴언-온"이 되며 변환기(3)는 활성화 된다.
차량이 전압 반송 선로부에서데드 선로부까지 움직일 때 경우에 따라서는 전압 반송부와 집전기 사이에서 발생하는 아아크 방전의 위험성이 있으며, 이러한 아아크 방전은 UC와 UL간의 차이가 제로가 되게 하여 차량이 전류 반송부에 다시 접근할 때 높은 충전 전류 서어지를 일으킬 위험성을 내포한다. 이러한 위험성을 예방하기 위하여 미분 검출 회로(26)가 사용된다. 동작시 선간 전압(UL)은 반전 입력으로 미분회로(26)에 입력되고 이 회로(26)로부터의 출력 신호는 레벨 검출 회로(27)에 입력된다. 이 레벨 검출 회로(27)의 검출 레벨은 일정하여도 좋으며 또는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차량 속도 V에 따라 변동시켜도 좋다. 그리하여 검출 레벨은 예컨대 최소치, 이를테면 차량 속도 0일 때에는 2v/ms이고 최고 차량 속도 일 때에는 5v/ms로 된다. 레벨 검출 회로(27)로부터의 출력 신호는 "1"에서"0"까지 시간t2만큼, 예컨대 5~10ms("0'에서 "1"까지가 아님) 변화를 지연시키는 지연 회로(28)에 공급된다. 이것은 다이리스터(7) 및 변환기 다이리스터(31)의 불공정한 차단을 예방해 주는 것이다.
외란이 없는 운전시에 UL의 시간 미분은 낮아 회로(27)(28)로부터의 출력 신호는 "1"이 된다. 만약 차량이 전압을 반송하지 않는 부분에 도달하여 아아크를 통하여 그 접촉부와의 접촉을 유지한다면 소자(20~22)는 전술한 바와 같이 반응하지 않고 다이리스터(7)와 변환기(31)의 차단이 일어나지 않는다. 그러나 이 경우 UL은 급격히 감소되므로 검출 회로(27)의 스위칭 레벨이 초과되고 이 회로로부터의 출력 신호는 "1"에서 "0"으로 스위칭 된다. 또한 시간 t2후에 지연회로(28)의 출력신호는 "1"에서 "0"으로 스위치 된다. AND게이트(23)의 출력 신호는"0"으로 됨과 동시에 다이리스터(7) 뿐만 아니라 변환기 다이리스터(31)가 차단된다.
미분 보호 회로(26)(27)(28)에 의한 선간 전압의 검출은 제2도에서 분압기(15)를 통해 인덕터(4)의 우측으로 행해진다. 또는, 미분 보호 회로 대신에 선간 전압 검출을 인덕터(4)의 좌측으로 행하여도 좋다.
UL 측정용 분압기(15)는 제2도에서 인덕터(4)의 우측에 놓이게 되는데, 이것은 측정 신호 내에서 보다 낮은 조화 함량을 제공한다. 그러나 선택적으로는 반응기의 좌수측 상에 위치시킬 수도 있다.
재생 브레이킹의 경우 접촉자(18)는 스위치 오프(Swith-off)되고 접촉기(11)(19)는 스위치 온(Swith-on)된다. 다이리스터(7)와 그의 제어장치는 작용하지 않고 이러한 종류의 운전시에는 충전 전류 서어지 문제가 일어나지 않는다.
접촉기(11)는 도면에서 좌측으로의 접촉 방향으로 다이리스터에 의해 대치시킬 수 있는데, 이 다이리스터는 브레이킹 중에는 "터언-온"을 유지하고 구동 중에는 "터언-오프"된다. 브레이킹 중에 이 다이리스터는 접촉기(11)와 동일 방법으로 저항기(6), 다이오드(10) 및 다이리스터(7)와 병렬로 연결된다. 또한 경우에 따라서는 접촉기(11)는 도면에서 좌측으로의 도통 방향으로 다이오드로 대치시킬 수도 있다.
어떤 경우에는 선간 전압의 감소시에 변환기(3)를 폐쇄하는 것이 불리할 경우도 있다. 그러한 경우 예컨대 제2도에 있어서 AND게이트(23)를 사용하는 대신에 변환기(3)를 차단하기 위한 별도의 게이트 수단을 마련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한 별도의 게이트는 부가적인 게이트 조건에 응답하여 변환기를 차단한다. 예를 들면 선간 전압이 콘덴서 전압보다 크거나 선간 또는 콘덴서 전압이 최소의 허용 레벨 이하이면 차단한다.
제3a도는 본 발명 장치 회로도의 다른 일예를 예시한 것으로, 다이리스터(7)는 저항기(6)와 직렬 연결 되어 있다. 본 장치를 시동시킬 때 접촉기(41)는 개방되고 다이리스터(7)는 연속 제어 신호를 입력한다. 콘덴서(5)는 저항기(6)와 다이리스터(7)를 통하여 충전된다. UL및 UC간의 차이가 충분히 작아지면 접촉기(41)는 폐쇄되고 저항기(6)는 브리지된다. 선로 전압이 강하되거나 상당히 급격한 전압감소가 발생하는 경우 다이리스터에 대한 제어 신호는 즉시 제거되고 접촉기(41)는 개방된다. 전압이 원상 복귀되면 다이리스터(7)가 재차 점화되지만 접촉기(41)는 개방되는데 충분한 시간을 갖지 못할 때까지 접촉기(41)는 본 장치 시동 때와 마찬가지로 충전된다. 제2도에 예시한 바와 같이 제3a도의 실시예의 다이리스터(7)는 공지의 장치에 있어서 결점이었던 충전전류 서어지가 예방된다. 접촉기(11)는 브레이킹시에 제2도에서와 같이 작동된다.
제3a도에 있어서 접촉기의 어느 하나나 양자 둘다 다이리스터로 대치 가능하다. 제3b도는 2개의 접촉기를 다이리스터(42)(43)로 대치시킨 제3a도에 따른 결선을 나타낸 것이다.
제4도는 제2도의 접촉기(11)에 대한 양자 택일적인 것으로서 다이오드(44)를 여하이 배열하에 재생 브레이킹시에 저항기(6) 및 다이리스터(7)에 브리지시킬 수 있는가를 도시한 것으로, 이 경우 제2도의 다이오드(19)는 생략될 수 있다.
이상 DC 전압을 반송시키는 접촉 선로로부터 직접 직류 전류가 변환기에 공급되는 본 발명 장치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본 발명 장치는 또한 정류기를 통하여 AC 전압을 반송시키는 접촉선으로부터 변환기에 공급되는 차량에도 사용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본 장치에 있어서 다이리스터(7)는 공급 전압의 강하시와 선로 전압이 어떤 량 이하로 갑자기 떨어지는 경우에 차단되고 이러한 감소는 선각과 콘덴서 전압을 측정하여 결정된다. 그러나 공급 전압 강하 표시는 여러가지 방법으로 행할 수 있다.
본 발명 장치에 있어서 제어 반도체 소자는 집전기와 콘덴서 사이에 있는 하나의 급전반 내에 설치된다. 선간 전압 강하의 경우 반도테 소자가 폐쇄되는 바 이것은 특히 선간 전압 복귀시 또는 전에 즉각적으로 일어나며 전류 제한 저항기는 반도체 소자가 "온" 상태로 스위치 될 때까지 전류의 흐름을 제한하는 회로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극히 단시간의 선간 전압 강하의 경우 허용될 수 없는 충전 전류 서어지를 완전 예방할 수 있다.
반도체 소자는 전류 제한 저항기와 접속되거나 단락될 수 있기 때문에 본 발명의 장치는 간단하고 신뢰성이 있다.

Claims (1)

  1. 접촉 선로(1)로부터 집전기(2)를 통하여 구동 모우터(M)에 DC전압을 공급하는 변환기(3)와 이 변환기(3)에 공급되는 전류를 평활시키는 변환기 입력측에 배열된 필터 콘덴서(5)로 구성된 전기 차량 견인장치에 있어서, 제어 반도체 소자(7)를 상기 콘덴서(5)와 집전기(2) 사이에 접속시켜 상기 차량 구동중 외란이 없는 정상 운전시에는 상기 변환기(3)에 전류가 흐르도록 배열하고, 접촉 선로(1)로부터의 공급 전압의 강하시에는 반도체 소자(7)를 폐쇄시키도록 제어 소자(20~25)들을 구성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차량 견인장치.
KR7802898A 1978-09-22 1978-09-22 전기 차량 견인장치 KR8200013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802898A KR820001350B1 (ko) 1978-09-22 1978-09-22 전기 차량 견인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802898A KR820001350B1 (ko) 1978-09-22 1978-09-22 전기 차량 견인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20001350B1 true KR820001350B1 (ko) 1982-07-28

Family

ID=192087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7802898A KR820001350B1 (ko) 1978-09-22 1978-09-22 전기 차량 견인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20001350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056898B2 (ja) 電気車制御装置
KR940006839A (ko) 전기 모터 차량의 브레이크 제어장치
US4432032A (en) Auxiliary voltage snubber circuit
EP1787850B1 (en) Electric vehicle controller
JP5562367B2 (ja) 電力変換装置
KR820001350B1 (ko) 전기 차량 견인장치
US4155427A (en) Elevator system
US4220902A (en) Electrical vehicle traction equipment
JPS5826572A (ja) 制御装置
JPH053201B2 (ko)
JP2974268B2 (ja) 電圧形インバータ
CN112787368A (zh) 电流限制电路
KR100931182B1 (ko) Pwm 컨버터에서의 과전압 제어 장치
JP2588385B2 (ja) 電動機の回生エネルギ−放電回路
JPH03212167A (ja) インバータの過電圧検出装置
JPH03245772A (ja) コンデンサの充電保護回路
RU2152679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защиты тиристорного преобразователя
JPH0531788Y2 (ko)
KR200360753Y1 (ko) 전기차제어장치의주변환기
KR920002958Y1 (ko) 교류 엘리베이터의 제어장치
JPH0767231B2 (ja) インバ−タ装置
KR100202599B1 (ko) 유도모타의 과전류 보호장치
SU452908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защиты реверсивного тиристорного преобразовател от срыва инвертора
JPH06153570A (ja) インバータ過電圧保護装置
JPH10127063A (ja) インバータ装置の過電圧保護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