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20001145Y1 - 초음파 가습기의 초음파 발생 장치 - Google Patents

초음파 가습기의 초음파 발생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20001145Y1
KR820001145Y1 KR2019810003863U KR810003863U KR820001145Y1 KR 820001145 Y1 KR820001145 Y1 KR 820001145Y1 KR 2019810003863 U KR2019810003863 U KR 2019810003863U KR 810003863 U KR810003863 U KR 810003863U KR 820001145 Y1 KR820001145 Y1 KR 82000114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ersonic waves
sensor
evaporation device
vibrator
air humidif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1000386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범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금성사
허신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금성사, 허신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금성사
Priority to KR2019810003863U priority Critical patent/KR82000114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2000114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20001145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0008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air-humidific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7/00Apparatus for spraying or atomis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not covered by the preceding groups
    • B05B17/04Apparatus for spraying or atomis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not covered by the preceding groups operating with special methods
    • B05B17/06Apparatus for spraying or atomis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not covered by the preceding groups operating with special methods using ultrasonic or other kinds of vibrations
    • B05B17/0607Apparatus for spraying or atomis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not covered by the preceding groups operating with special methods using ultrasonic or other kinds of vibrations generated by electrical means, e.g. piezoelectric transducers
    • B05B17/0653Details
    • B05B17/0661Transducer materia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88Electrical aspects, e.g. circu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6/12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forming water dispersions in the ai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23/00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 G01F23/0007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for discrete indicating and measu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Air Humidification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초음파 가습기의 초음파 발생 장치
제1도는 종래의 일실시예시도.
제2도는 종래의 회로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실시예시도.
제4도는 본 고안의 회로도.
본 고안은 센서(Sensor)로 물의 유무를 감지하여 가습작용을 제어할 수 있도록 된 초음파 가습기의 초음파 발생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리드 스위치(Reed Switch)와 자석을 가진 부자(浮子)로 물의 유무를 감지하여, 물이 있으면 부자가 떠올라 리드 스위치를 "온"시켜 진동자가 발진하도록 하고 물이 없으면 리드 스위치가 떨어져서 오프 되므로 발진을 중단하여 가습 작용을 제어하도록 되어 있어서 리드 스위치 및 기타 기구의 복잡성과 누수의 위험성 등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스위칭 트랜지스터의 베이스에 센서를 연결하고 이 센서를 가습기의 용기내에 적당히 설치하여 센서가 물에 잠기는 수위가 되면 스위칭 트랜지스터가 도통되어 발진 작용을 개시하고, 센서의 위치보다 수위가 낮아지면 스위칭 트랜지스터가 오프되어 발진 작용을 중단하도록 안출한 것으로, 이를 첨부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콘덴서(C1,C2,C3), 트랜지스터(Q1), 코일(L) 및 진동자(TD)로 구성된 공지의 발진부(1)와 저항(R1) 및 (R2)의 접속점(A) 사이에 스위칭 트랜지스터(Q2)를 연결시키고, 그 콜렉터측은 진동자(TD)의 일측(a)에 접속시키고 베이스측은 센서(S)를 연결시키어 제3도와 같이 가습기 용기 내부에 센서(S)와 진동자(TD)를 내장한다.
미설명 부호 Vcc는 공급전원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제1도와 제2도의 동작을 보면, 물이 있으면 부자(浮子)가 떠올라 리드 스위치를 온 시켜 발진부(1)의 트랜지스터(Q1)에 바이어스 전압을 공급시키므로서 발진부가 동작하고, 물이 없으면 부자가 수위를 따라 내런오게 되므로 리드 스위치가 "오프"되어 트랜지스터(Q1)가 오프되므로 발진부는 동작을 중지하게 된다.
종래에는 이와 같이 자석을 가진 부자로 물의 유무를 감지하도록 되어 있어서 상기한 문제점을 안고 있었다.
제3도와 제4도의 본 고안의 동작원리를 보면, 수위(水位)가 센서(S)보다 높으면 센서(S)와 진동자(TD)의 단자(a) 사이에 물로 인하여 회로가 구성되므로 스위칭 트랜지스터(Q2)가 도통(ON)되어 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에 바이어스 전압을 공급하여 트랜지스터(Q1)를 도통 시키므로 발진부(1)는 동작을 하게 된다.
그러다가 수위가 센서(S)보다 낮게 되면 센서(S)와 진동자(TD)의 단자(a)는 개방(open) 상태가 되므로 트랜지스터(Q2)가 "오프"되어 트랜지스터(Q1)도 "오프"되므로 발진부(1)는 동작을 중지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진동자(TD)가 내장된 가습기의 용기에 단지 센서(S)를 설치하기만 하면 되고 센서(S)의 위치에 따라 가습을 중지하게 되는 수위가 결정되며 종래와 같이 복잡한 다른 기구를 설치하는 등의 문제가 없으며 또한 누수의 위험등도 완전히 배제된 것이다.

Claims (1)

  1. 도시한 바와같이 초음파 가습기의 초음파 발생 장치에 있어서, 진동자(TD)가 내장된 가습기의 용기에 센서(S)를 설치하고, 공지의 초음파 발진부(1)와 저항(R1) 및 (R2)의 접속점A) 사이에 트랜지스터(Q2)를 접속시키되 클렉터 측은 진동자(TD)의 일측(a)에 연결시키고, 베이스 측은 센서(S)에 연결시키어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초음파 가습기의 초음파 발생 장치.
KR2019810003863U 1981-05-30 1981-05-30 초음파 가습기의 초음파 발생 장치 KR82000114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10003863U KR820001145Y1 (ko) 1981-05-30 1981-05-30 초음파 가습기의 초음파 발생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10003863U KR820001145Y1 (ko) 1981-05-30 1981-05-30 초음파 가습기의 초음파 발생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20001145Y1 true KR820001145Y1 (ko) 1982-05-28

Family

ID=192219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10003863U KR820001145Y1 (ko) 1981-05-30 1981-05-30 초음파 가습기의 초음파 발생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20001145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26069B1 (ko) * 2023-01-05 2023-04-27 주식회사 유솔 상수도관용 누수감지 센서모듈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26069B1 (ko) * 2023-01-05 2023-04-27 주식회사 유솔 상수도관용 누수감지 센서모듈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766343B1 (en) Proximity sensor for level sensing in a bilge
ATE19844T1 (de) Rotationsenergiespeicher.
KR890007062A (ko) 용량형 재료 레벨 표시기
KR820001145Y1 (ko) 초음파 가습기의 초음파 발생 장치
US20040108604A1 (en) Water level control device for a humidifier
KR940015958A (ko) 발진 회로
GB2150402A (en) Bite indicator
JPS55146014A (en) Detector for remaining amount of toner
KR19980057302U (ko) 가습기
GB2248939A (en) Capacitive switch for an automatic pump
JPS6321220Y2 (ko)
JPH05208151A (ja) ミスト発生装置
CA1286755C (en) Liquid sensor and touch control for hydrotherapy baths
JPS61213538A (ja) 超音波式霧化器の渇水検知装置
JPS5572742A (en) Ultrasonic humidifier
JPS63233331A (ja) 機器の水位センサ
JPS5847022B2 (ja) 液体検出器
JPS6014534Y2 (ja) 超音波霧化装置
JPS52128122A (en) Ultrasonic oscillator
JPS55110917A (en) Detecting device for liquid condition
JPS6136639A (ja) 超音波加湿器
JPH0512667Y2 (ko)
KR810001085Y1 (ko) 전자식 시보장치
KR850007341A (ko) 가변주파수 전원의 운전방식(運轉方式)
AU2011232765A1 (en) Proximity sensor for level sensing in a bil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