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20001092B1 - 폴리올레핀 수지의 팽창 미립물질 - Google Patents

폴리올레핀 수지의 팽창 미립물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20001092B1
KR820001092B1 KR7802484A KR780002484A KR820001092B1 KR 820001092 B1 KR820001092 B1 KR 820001092B1 KR 7802484 A KR7802484 A KR 7802484A KR 780002484 A KR780002484 A KR 780002484A KR 820001092 B1 KR820001092 B1 KR 8200010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ticles
expanded particles
expanded
resin
cas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78024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히로시 시미즈
히로시 사토오
미우라노부오
슈우조오 이나다
Original Assignee
스미다 요시오
아사히 다우 가부시기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미다 요시오, 아사히 다우 가부시기 가이샤 filed Critical 스미다 요시오
Priority to KR78024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820001092B1/ko
Priority to KR1019790003762A priority patent/KR83000218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200010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200010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4/00Shaping by internal pressure generated in the material, e.g. swelling or foaming ; Producing porous or cellular expanded plastics articles

Landscapes

  • Manufacture Of Porous Articles, And Recovery And Treatment Of Waste Product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폴리올레핀 수지의 팽창 미립물질
압축압과 압축도의 관계를 보여준 S-S도.
본 발명은 특성이 개량된 가교 결합된 폴리올레핀 수지의 팽창입자로 이루어진 팽창 미립물질에 관한 것이다.
현재 가교결합된 폴리올레핀 수지의 팽창된 입자는 주로 주형성형품이나 탄성 물질을 제조하는데 사용된다.
최근에, 모직물 물품내의 내부 충진제나, 베게나 쿠숀의 충진제로 이 입자가 각광을 받기 시작하였다. 더욱, 팽창된 입자는 용액내에 대량으로 부유시킬 수 있어 팽창된 입자의 표면에서 용질을 흡수하므로 용질과 용매를 분리시킬 수 있고 용질을 흡수 회수한후에 팽창된 입자를 반복 사용하기 위하여 재생할수 있다. 상기한 여과등의 각종 용도가 현재 계속 발견되고 있다. 예컨대, 일본 특허출원 26435/1972에서 개발된 것처럼 기본수지로서 폴리올레핀 수지로부터 가교결합된 폴리올레핀 수지의 팽창된 입자를 제조하는것이 공지되어 있다.
또한 이들 팽창된 입자를 공동내에 넣고 가열하여 주형성품을 제조하는 것이 미국특허 제3504068호, 일본 특허 출원제 34391/1973 및 22951/1976호에 기술되어 공지되어 있다.
재래 방법으로 제조된 팽창입자는 여과물질로 사용하였을 때 입자간 부유력의 차이, 입자간 흡수용질의 차이나 입자의 비균일 가압 변형으로 인한 여과력의 고갈, 또는 모직물 물품내의 충진제로 사용하였을 때 시간이 흐름에 따라 국소적으로 변형되는 등의 결점을 갖는다. 이러한 이유 때문에, 이 분야에서의 사용은 미개발상태였다. 더욱, 주형성품이 재래식의 팽창된 입자로 제조되었을 때 보다 두꺼운 부분의 내부 위치내에서 입자 사이의 융해는 빈약하며, 반면 두께가 얇은 부분의 구석이나 끝에서는 실패하였다. 더욱, 상기 주조 물질의 제조용 주조주기를 단축 시키는 것은 전혀 불가능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여과물질로 사용 될 수 있는 가교 결합된 폴리올레핀 수지의 팽창된 입자를 제공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단지 용액과 상기 입자를 접촉시켜서 용액내의 용질을 입자의 표면에서, 흡수하므로 용질을 용매와 분리시키는 여과기에 사용하였을 때, 용질의 흡착뿐만 아니라 적당한 압력 변형으로 우수한 여과력을 나타내며, 분리된 용질을 회수하기 쉽고 내구성이 충분히 강한 팽창입자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크기와 팽창비가 균일한 대체로 구형이며 특수 압력계수를 가진 가교결합된 폴리올레핀의 팽창된 입자를 제공하는 것으로 불편없이 인체공학에 따라 성형된 벼개나 큐숀물질내의 충전제로 유용하며 또한 시간이 지남에 따라 균열이나 부분변형되지 않은 모직물 물품내의 충전제로도 유용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단주조주기로 재래방법에서 보다 효과적으로 형성될 수 있는 방법에 의하여 물품으로 주조될 수 있는 가교결합된 폴리올레핀 수지의 팽창된 입자를 제조하는 것으로, 상기 물품은 주조된 물품의 구석이나 끝부분에서 우수한 주조 재생력으로 얇은 부분에서도 훌륭한 탄성력을 갖는다.
본 발명에 따라, 대체로 구형이고, 탄성 있으며 유동적이고, 입자가 균일하며, 공동속에 주조될 수 있는 팽창 가교결합 폴리올레핀 수지입자로 된 입자성 수지 물질이 제공되는데, 각 입자는 기공이 없는 폐쇄세포로 구성된 구조를 가졌고 평균 입자 크기는 1.4-5.5mm, 평균비는 미팽창 수지 입자의 원부피에 대하여 18-37이며 압축계수는 다음 공식에 의하여 측정한 결과 1.6×10-3-4.0×10-3이다.
Figure kpo00001
여기서 S는 1kg/㎠의 압력하의 전체압축에너지를 나타내고 R과 F는 각각 팽창된 가교결합 폴리올레핀 수지 입자의 평균팽창비, 유동성을 나타낸다.
본 발명에 의하여 제조된 가교결합 폴리올레핀 수지의 팽창된 입자는 다음의 요구조건을 만족하여야 한다.
a) 균일한 크기로 구형입자이어야 한다.
b) 평균입자 크기는 1.4-5.5mm이어야 한다.
c) 각입자는 기공이 없는 다수의 폐쇄세포로 충전되어야 한다.
d) 출발 미팽창수지 입자의 부피에 대한 입자의 평균 팽창비는 18-37이어야 한다.
e) 입자의 압축계수는 1.6×10-3-4.0×10-3이어야 한다.
본발명은 상기 요구조건 a)-e)을 만족시키는 것이 본 발명의 우수한 효과를 나타내는데 필수적이다라는 사실에 기인하여 발명되었다. 여하튼간에 본 척도는 다음 이유로서 필수적이다.
예를 들어, 입자가 a)에서 요구한 것처럼 균일치 않을 경우 입자는 기체운송도 중다양한 크기의 부류로 분리되며 이로써 변형도의 크기가 증가된다.
b), c)와 d)의 조건은 e)의 같이 상기 수범위 내에 있게하는 최소의 필요조건이다. 그러나 b), c)와 d)의 조건이 만족된다면, e)와 같이 상기 범위에 있는 것이 꼭 필요치는 않다. 그러므로 척도 e)는 상기 기술한 범주의 팽창입자의 구조를 나타내는 계수이다.
e)의 압축계수 작용에 대해서 상세히 언급하면, 1.6×10-3이하의 압축계수를 갖는 입자는 공동에 충전시 입자교(bridge)를 형성하기 쉬우며 따라서 생성된 주조생성물은 박막부위에서 공간부분을 포함할 것이며 주조생성물의 각 및 끝 부분에서의 공동 재생력을 저하시키게 된다.
더욱 상기 입자로 제조된 주형성형품은 내부입자간의 융해강도가 후박부위에서 저하되며 높은 탄성력을 가진 훌륭한 주조 생성물을 제조할 수 없다. 한편 4.0×10-3이상의 값을 갖는 입자의 경우는 주조생성물의 표면 근처에서의 내부입의 팽창이 지연되는 반면에 융해되는 경향이 있어 생성된 주조품은 그곳에 형성된 공간 부분과 같은 것과 내부입자 사이의 융해력의 바람직하지 못한 변화나 주조된 물품이 냉각후 수축되는 등의 결점이 있다.
더욱, 1.6×10-3-4.0×10-3의 압축계수를 가진 입자는 가열주조시 비교적 저온에서도 단기간내에 주조되어 주조주기를 단축시킬 수 있기 때문에 보다 유리하다.
현재 경제적으로 만족할만한 결과를 얻기 위하여 본 발명의 팽창된 입자는 직경이 2-4.5mm평균 팽창비가 23-32압축계수는 2.2×10-3-3.6×10-3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입자를 사용하면 복잡한 형태로 주조물품을 제조하는 것이 가능한데 예를 들어 바람직한 주조기공 형태에 따라 약3-6mm의 박부분의 주조물품을 제조할 수 있다.
압축계수가 공동내의 주조시에 작용하는 진정한 메카니즘은 앞으로 밝혀질 것이다. 상기 결과가 나타내는 것처럼 공동에 충전시 팽창된 입자는 압축하에 입자의 적절한 변형을 통하여 좁은 공동 속에 밀접하게 충진되어야 한다. 더욱 가열 주조시 팽창된 입자는 가열하기 위해 사용한 비교적 저압의 증가압하에 변형 되어야 한다. 그러므로 입자 사이에 틈새가 형성되어 공동속으로 깊이 통과시키고, 팽창된 입자의 동시팽창이 이루어진다. 그러므로, 압축계수 그 자체는 어떤 외부요인하에 적당히 변형되기 위한 팽창된 입자의 기준이 된다.
본 발명의 가교결합된 폴리올레핀 수지의 신규한, 팽창입자는 팽창된 입자사이에 집약적으로 밀접하게 결합된 가교결합 폴리올레핀 수지의 팽창입자로 된 성형품으로 주조 할수 있으며 상기 주조 성형품은 평균 밀도가 0.12-0.028밀도(g/㎤)에 대한 압축강도(25%변형,kg/㎠)는 14-18이며 수축된 부위에서도 모서리나 끝에 파괴가 된 것이 없는 실제로 매끈한 표면을 갖는다.
(예컨대 주조 입자에서 두께가 최소한 3-6mm의 부분을 가짐)
본 발명에 관한 폴리올레핀 수지는 고밀도 폴리에틸렌 중밀도 폴리에틸렌이나 저밀도 폴리에틸렌 같은 에틸렌 동질 중합체 그의 혼합체와 에틸렌 성분 80%이상을 갖는 에틸렌성공중합체 예컨대 초산에틸렌-비닐공중합체, 에틸렌-아크릴산에스테르 공중합체, 에틸렌-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 공중합체이다. 본 발명에 사용된 폴리올레핀 수지는 특수하게 제한된 융해지표를 갖지 않으나 일반적으로 1.0-45의 융해지표를 갖는다.
출발가교결합 폴리올레핀 수지 입자를 제조하기 위하여 유기과산화물이나 전자광선의 조사같은 가교결합제를 사용하여 폴리올레핀 수지를 가교결합하는 등의 당분야에 공지된 어떤 재래식방법을 사용 할수 있다.
상업적 용융에는 다음의 유기과산화물로부터 선택한 가교결합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디쿠밀 페록사이드 : 2.5-디메틸(2.5-디-t-부틸페록사이드) 헥산-3.2;
Figure kpo00002
-디메틸-
Figure kpo00003
-메틸-
Figure kpo00004
-에틸벤질페록사이드 및 유사물, 상기 가교결합제의 양은 반응조건, 사용된 폴리올레핀수지 팽창 생성물용 각종 특성에 의해 적당히 선택되나 보통 수지에 대해 0.35-1.5중량%내이다. 가교결합 반응은 당분야에 공지된 방법, 예를 들어, 수용성 매체에 유기페록사이드를 함유하는 수지 입자를 분산 및 가열하여 실시할 수 있다. 가교결합되는 수지 입자는 구형이거나 가열하여 구형으로 변환시킬 수 있는 펠릿형태이며 구형 직경에 관한 평균 크기는 0.5-2.1mm이다. 생성된 가교결합 수지의 겔함량은 목적하는 기포특성의 관점에서 30-70%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가교결합된 폴리올레핀 수지의 팽창입자와 이렇게 제조된 주조성형품은 색소나 분산 첨가제를 출발 수지에 혼입하거나 팽창된 입자나 주조된 생성물의 표면에 침적시키거나 도포하여 포함시킬 수 있다. 다음에 용어의 정의 및 평가나 측정방법을 자세히 설명하였다.
1) 입자직경
팽창된 입자를 투사하고 (×10)각 100이나 그 이상 입자의 투사된 상과 외접하는 외부원의 직경을 측정하고 평균직경을 계산하였다.
2) 압축 계수
이는 다음 공식으로 계산된다.
Figure kpo00005
S)1kg/㎠하의 압력때 전체압축 에너지) :
팽창된 입자를 이의 부피(V0)를 측정하기 위하여 공기로 가압할 수 있는 측정 실린더내의 물속에 침액하였다. 그후 공기를 예컨대, 0.3kg/cm2이나 0.5kg/cm2로서 측정실린더 내로 가압하여 기압(P)과 팽창된 입자의 압축된 부피(V)를 측정하였다. 일정간격에서 압력(P)를 증가시키므로 유사한 공정을 반복하여 압축압(Pkg/㎠)과 압력도(V0-V)/V0사이의 관계를 결정하여 제1도에서 보여준 S-S곡선을 얻었다. 그후 1kg/㎠하의 압축의 전체에너지는 이선을 면적 S에 대하여 적분하여 구해진다.
(제1도는 곡선이 0.5kg/㎠의 간격때 압축압 P를 변화시켜 얻어진 것을 일례로 보여준다)
R (평균 팽창비) :
팽창된 입자의 중량 W(g)을 정확히 측정하고 상기 입자를 팽창 입자의 부피 V(cc)를 측정하기 위하여 메스실린더내 물속에 침액하였다. 부피밀도는 ρ° = W/V로 정의된다.
상기 입자를 질소대기하에 160℃때 30분간 가열하여 탈기된 수지의 밀도 ρ°를 측정하였다. 팽창비는 ρ°/ρ1으로 계산되어 전체수로서 0.5나 그 이상의 분률로 계산되고, 나머지는 무시된다.
F(수지의 유동력) :
팽창된 입자를 질소대기하에 30분간 160℃로 가열하였다. 탈기된 수지를 180℃때(5분간 예열됨) 150kg의 하중하에 직경 1mm길이 6mm(평균입구)로 된 유량 검사계로 측정 하였다. 수지의 유동성은 플린저(plunger)의 하강속도(m/sec)로 주어진다. 수지의 유동성은 외력에 의하여 팽창된 입자로 조성된 수지막을 변형시키는 경향을 나타내는 측정치 특히 공동주형에서 가열매체의 역학적 힘과 온도에 의해서 성형되는 경향을 나타내는 특정치이다.
실시예에서 사용된 유량 측정기는 심마주 공업주식회사제품을 사용하였다.
3) 주조력
하단두께 8mm 외벽두께 25mm이며 두께 6mm 높이 25mm의 분할 벽(종측으로 1횡측으로 24로 배열됨)이 있는 300×600×80(mm)상자형실혐용 주형을 제조하였다. 분할된 부분에서의 충진도와 상자 가장 자리 부분에서의 충진도 및 가열주조시간을 조사하였다.
협부에서 충진 :
상기 실험주형내에서 분할 부분의 상단면으로 부터 10mm에서 자른 견품을 물속에 침액하여 부피를 측정하고 이론주형부피에 대한 백분률을 결정하였다. 결과를 다음 등급으로 나누었다.
Figure kpo00006
말부에서 충진 : 1
가선 300mm당 2mm나 그 이상의 수가 나타났으며 다음 등급으로 나누었다.
Figure kpo00007
주조시간 :
하면가열(최대증기압=0.3kg/㎠-G와 양면가열 (최대증기압=1.0kg/㎠-G)의 전체 가열시간을 변화시키며 주조를 행하여 주조품에 균열이나 침각되기 전에 최소 주조가열 시간을 측정하고 다음 등급으로 나누었다. 침강이 되는 것은 주조후 24시간동안 방치한 후에 측정한 주조품의 비대 공동부피의 비가 0.8이하일 때 나타난다.
Figure kpo00008
4) 주조 생성물의 품질
주조품은 그 외형, 내부융해 및 협부에서 융해로 평가된다.
외형 :
깊이 2mm나 그 이상의 파괴의 수는 주조품의 평면상에서 계산되고 다음 처럼 평가된다.
Figure kpo00009
내부융해 :
전술한 실험주형의 외벽부위를 자르고 24시간 동안 5cm깊이로 물에 담그고 꺼낸후 에탄올로 표면을 세척하고 35℃에서 1시간동안 건조하고 평량하였다. 견품부피당 흡수된 물의 정도는 다음처럼 평가 측정된다.
Figure kpo00010
협부에서 융해.
주조품의 분할 단면을 잘라내어 그 장력강도를 측정하고 다음 처럼 평가하였다.
Figure kpo00011
Figure kpo00012
5) 종합평가
Figure kpo00013
6) 겔함량 :
수지입자를 톨루엔에 넣고 24시간동안 가열 환류하였다. 추출잔사는 중량 %를 나타낸다.
7) 팽창된 입자의 세포크기 :
팽창된 입자를 절단하고 그 단면을 현미경으로 관찰하고 5위치에서 당 세포수를 측정하였다. 평균치를 세포의 수로 계산한다.
8) 폐쇄세포의 백분률 :
팽창된 입자를 표포면장력이 23℃때 24시간동안 표면 환성제를 가하여 약화된 수용액에 담근후 에틸알콜로 세척하여 표면에 부착된 물을 제거하고 건조하고 중량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Figure kpo00014
9) 융해지표(M.I)
ASTM D-1238-65T에 따름
10) 팽창입자의 팽창비에서의 변화도
자료들중 임의로 선택한 견품 각 50g을 체형태의 입자 직경분해 측정장치로 분류하였다. 입자의 최대량이 잔존하는 체상에서 입자의 평균팽창비(T), 상기 잔존 입자보다 큰 전체팽창 입자의 평균팽창비(M)와 상기 잔존 입자보다 작은 전체 팽창입자의 평균팽창비(N)을 측정하였다.
Figure kpo00015
[실시예 1]
저밀도폴리 에틸렌펠릿(밀도=0.921, M.I=2.5) 100부와 과산화 디쿠밀 0.45부를 분산안정제의 존재하에 물에 분산하였다. 분산시 2시간 이상에 걸쳐 160℃로 가열하며 160℃에서 30분간 지속하여 직경 0.7mm의 대체로 구형이며 55%의 겔농도를 갖는 가교 결합된 폴리에틸렌 수지를 생성한다.
제조된 입자를 과량의 디클로로디플르오로메탄으로 80℃ 27atm하에 30분간 처리하여 15% 디클로로디플로오로메탄올 포화시켰다. 포화된 입자를 120℃때 14초간 증기로 가열하여 팽창하고 4의 팽창비로 가교결합된 폴리에틸렌의 전팽창된 입자를 얻었다.
전팽창된 입자를 9atm, 70℃때 4시간동안 가압하여 방치하여 공기를 전팽창된 입자로 압축하고 107℃때 12초간 증기로 팽창가열하여 팽창비 23의 팽창 입자를 얻었다.
정상온도, 압력에서 1주일간 방치한 후에 측정하였을때 상기 팽창된 입자는 압축계수 3.5×10-3(S-값=0.25, 수지의 유동성=3.1)입자직경 2mm로 밝혀졌다.
팽창된 입자는 공동에 충전하기직전에 원래입자부피의 65%로 압축하여 공동에 충진하고 가압하에 공동에 충진된 상태로 주조 가열하였다. 그리고 주조성과 주조생성물의 질이 평가 되었다.
주조기로는 ECHO-120형(도쿄 금속기계공업사제)를 사용하였다. 그 결과 주조생성물의 평균팽창비는 24, 협부에서 충진비는 98%, 가장자리에서 충진실태수 5, 주조시간은 10초(최대증기압 1.0kg/㎠게이지) 실패한 성형품에 대한 외형평가는 3; 내부융해계수 0.2%(물흡수) 및 협부융해는 3.4±0.15kg/㎠이다.
평가결과를 표 1에 1번으로 기록 하였다.
표 1은 가교결합된 폴리에틸렌 수지 입자의 크기와 전팽창 입자의 팽창비를 변경하므로 상기 언급한 바와 유사하게 제조된 각종 팽창된 입자의 결과 및 특성을 기록하였다. 그러나 실험번호 제4,5,6,8,10,11은 저밀도 폴리에틸렌(밀도=0.915, M.I=20)을 출발 폴리에틸렌으로 사용 하였다.
[표 1]
Figure kpo00016
*)
Figure kpo00017
0=가교결합된 수지의 입자직경 **) RP=팽창입자의 팽창비
***) R=팽창된 입자의 팽창비 ****)
Figure kpo00018
=팽창된 입자의 직경
*****) C=압축계수
[비교실시예 1]
실시예 1에서와 동일 방법으로 제조한 입자직경이 1.5mm인 가교 결합된 폴리에틸렌 수지 입자의 100부에 20부의 디클로로디플르오로메탄을 가하여 80℃ 때 1시간 동안 포화처리하여 15%의 디클로로디플르오로메탄함유 팽창성 입자를 얻었다.
이 입자를 125℃의 증기를 14초간 가열하여 팽창비 13직경 3.5mm의 팽창된 입자를 얻었다. 생성된 팽창입자는 압축계수가 1.2×10-3(S=0.048, 수지의 유동성=3.1)이었고 주조품의 질과 주조성을 평가하여 다음 결과를 얻었다;
협부에서 충진용량=98%; 말부에서 파괴수=10; 주조시간=13초; 파괴에 대한 외형질=4; 내부융해=0.6%(물흡수); 협부에서 융해=장력강도의 3.1+0.2kg/㎠ 평가결과는 표 2제 1번에 기록하였다.
각종 팽창된 입자를 가교결합된 수지 입자크기를 변형시켜 상기와 유사하게 제조하고 그 평가결과를 표 2에 기록하였다. 실험번호 제5,6,7,8,9에서 출발폴리에틸렌은 밀도가 0.915, M.I는 20이었다. 제5, 7의 팽창입자는 실시예 1에서 처럼 2단계 팽창으로 제조하였다.
[표 2]
Figure kpo00019
*)
Figure kpo00020
0=가교결합 수지의 입자직경 **) Rp=팽창전 입자의 팽창비
***) R=팽창된 입자의 팽창비 ****)
Figure kpo00021
=팽창된 입자의 직경
*****) C=압축계수
[실시예 2]
저밀도 폴리에틸렌(밀도=0.921, M.I=3.5)를 사용하여 직경 1mm의 가교결합된 수지 입자를 실시예 1에서와 동일방법으로 제조하였다. 가교결합된 수지 입자로부터 더욱 팽창되는 상이한 팽창비의 각종 팽창전 입자를 생성하여 팽창된 입자를 제조하였다. 각 팽창된 입자의 팽창비 압측계수의 변화도를 표 3에 기록하였다.
표 3에서 명백히 보여준 바대로, 제1팽창된 입자는 팽창비가 3-9이고 팽창비의 변화도를 줄이기 위하여 팽창전 입자를 팽창비 13-37로 팽창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제1팽창비는 4-7 제2 팽창비는 18-37인 것이다.
[표 3]
Figure kpo00022
Figure kpo00023
[실시예 3]
각종 폴리올레핀 수지를 사용하여 다음 팽창된 입자를 제조하였다.
(1) 고밀도 폴리에틸렌(밀도=0.951, M.I=10)를 실제로 구형입자로 형성하였다. 상기 입자를 전자광선으로 조사하여 겔농도 40%의 가교결합된 폴리에틸렌 입자를 얻었다. 더클로로테트라플르오로에탄올을 40℃때 가압하여 1시간동안 가교결합된 폴리에틸렌 입자에 포화시키고 그후 증거로 20초간 40℃로 가열하여 팽창비 7의 1차 팽창된 입자를 수득하였다. 이들 일차 팽창된 입자를 9.5atm, 90℃에서 8시간 가압하여 방치하여 팽창된 입자속으로 대기를 주입하였다. 그후 증기로 14초간 140℃로 가열하여 팽창비 24의 2차 팽창된 입자를 제조하였다. 그 결과 생성된 입자를 표 4에 그 특성을 기록하였다.
(2) 표 4에 보여준 수지를 사용하여 (1)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각종 팽창된 입자를 제조하였다. 각 수지의 팽창가열조건은 다음과 같다.
폴리에틸렌(밀도=0.951, M.I=10) 120℃, 10-20초
폴리에틸렌(밀도=0.921, M.I=3.5) 120℃, 10-20초
폴리에틸렌(밀도=0.926, M.I=20) 120℃, 10=20초
메틸아크릴레이트(10%)-에틸렌(90%)(M.I=3.0) 125℃, 10-20초
비닐아세테이트(10%)-에틸렌(190%)(M.I=2.5) 90℃, 10-15초
[표 4]
Figure kpo00024
Figure kpo00025
[실시예 4]
실시예 1에서와 동일방법으로 제조된 팽창전 입자를 팽창성을 부여하는 하기 조건하에 처리하여 2차 팽창입자를 제조하였다.
[표 5]
Figure kpo00026
표 5에서 명백히 밝힌 바로 유기체가 발포기체로 사용되었을 때 팽창에 필요한 열함량은 유기기체의 증발용 잠재열로 인해 커지며 이로써 분산은 증가되는 경향이 있다. 더욱, 상기 경우에, 팽창력이 부여된 팽창된 입자는 열전도 도가 달라 제2차 팽창대 상이한 세포구조를 형성하여 압축계수를 감소시킨다.
[실시예 5]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된 2차 팽창입자를 사용하여 다음 조건하에 압축 주조물을 제조하여 표 6에 그 결과를 기록하였다. 사용한 주조공동은 외부칫수가 300×300×100(mm)의 상자 형태로 외벽 두께는 25mm이며 두께 9mm의 내부 분할벽(2×2장)을 가졌다. 압축주조를 가열 주조시에 1.0kg/㎠의 최대 증기압하에 수행하였다. 실시예 1과 2의 팽창된 입자를 제조하는데 입자속으로 첨가된 기체의 융해로 인한 발포력의 손실을 방지하기 위하여 팽창력을 부여시킨뒤의 팽창된 입자를 주조하려는 양만큼 적절하게 취하여 가열주조용 주조 공동에 즉시 충전하였다.
[표 6]
Figure kpo00027
Figure kpo00028
[실시예 6]
본 실시예에서는 주조력에 요구된 각종 척도의 범위를 측정하기 위하여 다음 실험을 행하였다.
실험기로서 외벽두께 20mm로 외부칫수 200×400×100(mm)인 상자형 공동을 사용하였으며, 이 공동내에는 34mm의 간격으로 배열된 두께 2,3,4,5,6,8,10 및 15mm, 길이 160mm, 높이 50mm인 분할벽이 있다. 각 주형의 가열을 각 팽창입자의 최적조건하에 실시하였다. 입자의 충진백분율이 98%나 그 이상인 분할벽의 두께, 벽면 내부 300당 실패수, 상자하단 100㎠당 실패수와 주조품의 밀도 1(g/cc)당 압축강도(25% 압력, kg/㎠)는 결정되어 표 7에 도시된 결과를 나타낸다.
표 7은 재래식 팽창주조물보다 유연성이 있는 본 발명의 팽창된 입자를 사용하여 제조된 생성물을 명백히 나타내며 우수한 질의 두께가 적은 부위를 갖는 물품조차도 가압 주조로 주조될 수 있다.
[표 7]
Figure kpo00029
Figure kpo00030

Claims (1)

  1. 각 입자의 구조는 구멍이 없는 폐쇄세포로 조성되어 있고, 평균입자 크기는 1.4-5.5mm, 평균팽창비는 미팽창 수지입자의 원부피에 대하여 18-37이고 압축계수는 S가 팽창된 가교결합 폴리올레핀수지 입자의 1kg/㎠의 압력하의 압축 전체에너지를 나타내고 R은 평균팽창비, F는 유동성을 나타내는 식 S/(R×F)로 계산하여 1.6×10-3인 것이 특징인 대체로 구형이며 탄력성이 있고 유동성이 있으며, 입자크기가 균일하고 공동속에서 주조할 수 있는 팽창가교결합된 폴리올레핀수지 입자로 된 미세수지물질.
KR7802484A 1978-08-14 1978-08-14 폴리올레핀 수지의 팽창 미립물질 KR8200010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802484A KR820001092B1 (ko) 1978-08-14 1978-08-14 폴리올레핀 수지의 팽창 미립물질
KR1019790003762A KR830002181B1 (ko) 1978-08-14 1979-10-29 폴리올레핀 수지의 팽창입자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802484A KR820001092B1 (ko) 1978-08-14 1978-08-14 폴리올레핀 수지의 팽창 미립물질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790003762A Division KR830002181B1 (ko) 1978-08-14 1979-10-29 폴리올레핀 수지의 팽창입자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20001092B1 true KR820001092B1 (ko) 1982-06-25

Family

ID=19208445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7802484A KR820001092B1 (ko) 1978-08-14 1978-08-14 폴리올레핀 수지의 팽창 미립물질
KR1019790003762A KR830002181B1 (ko) 1978-08-14 1979-10-29 폴리올레핀 수지의 팽창입자의 제조방법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790003762A KR830002181B1 (ko) 1978-08-14 1979-10-29 폴리올레핀 수지의 팽창입자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820001092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1042A (ko) 1983-04-29
KR830002181B1 (ko) 1983-10-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247650A (en) Expanded particulate material of polyolefin resin
EP0097504B1 (en) Core material for automobile bumpers
US4436840A (en) Process for producing pre-foamed particles of polyolefin resin
JPS5943492B2 (ja) ポリプロピレン系樹脂発泡成型体の製造方法
JPH0313057B2 (ko)
EP0071981A1 (en) Foamed molded articles of polypropylene resin
JPH0236419B2 (ko)
US4331777A (en) Foaming synthetic resin compositions stabilized with certain naphthyl amine compounds
EP0068467A1 (en) Polypropylene foamed molded articles and process for production thereof
JPH0559139B2 (ko)
KR820001092B1 (ko) 폴리올레핀 수지의 팽창 미립물질
JPH0365259B2 (ko)
JP2003340859A (ja) ポリプロピレン系樹脂型内発泡成形体の製造方法及びその型内発泡成形体
JP2675373B2 (ja) 自動車用バンパー芯材
JP2003201361A (ja) ポリプロピレン系樹脂発泡粒子の型内発泡成形体の製造方法
JPS5844092B2 (ja) 架橋ポリオレフィン樹脂発泡粒子
JP2603858B2 (ja) 球状ポリエチレン発泡粒子の製造法
JPH0275636A (ja) 導電性ポリエチレン発泡粒子
JPS5851019B2 (ja) ポリオレフィン系樹脂発泡成型体の製造方法
JP2872505B2 (ja) ポリオレフィン発泡体の製造方法
JPH091578A (ja) ポリオレフィン発泡体の製造方法
JPS5962119A (ja) ポリプロピレン系樹脂発泡成型体
JPS6032835A (ja) ポリオレフィン系樹脂発泡成型体の製造方法
JP2003253003A (ja) 表面改質粒子の製造方法およびポリプロピレン系樹脂発泡粒子の製造方法
SE443569B (sv) Expanderade, fornetade polyolefinhartspartiklar och forfarande for dess framstelln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