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20000750B1 - 콜프 클럽 - Google Patents

콜프 클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20000750B1
KR820000750B1 KR7800459A KR780000459A KR820000750B1 KR 820000750 B1 KR820000750 B1 KR 820000750B1 KR 7800459 A KR7800459 A KR 7800459A KR 780000459 A KR780000459 A KR 780000459A KR 820000750 B1 KR820000750 B1 KR 8200007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d
line
bowl
batter
clu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78004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젠조 야마모도
Original Assignee
젠조 야마모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젠조 야마모도 filed Critical 젠조 야마모도
Priority to KR78004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82000075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200007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200007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3/00Golf clubs
    • A63B53/04Head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3/00Golf clubs
    • A63B53/04Heads
    • A63B53/0416Heads having an impact surface provided by a face insert
    • A63B53/042Heads having an impact surface provided by a face insert the face insert consisting of a material different from that of the head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3/00Golf clubs
    • A63B53/04Heads
    • A63B2053/0491Heads with added weights, e.g. changeable, replaceable
    • A63B2053/0495Heads with added weights, e.g. changeable, replaceable moving on impact, slidable, spring or otherwise elastically biase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Golf Club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콜프 클럽
제1도는 통상의 타구자(Putter)에 의한 타구상태도이고,
제2도는 동 타구자에 의한 변칙 타구상태이며,
제3도는 동 콜프보올의 운동도.
제4도는 본 발명의 작동상태도.
제5도는 동 사시도.
제6도는 다른 실시예의 평면도.
제7도는 제6도 A-A선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콜프 보올을 타격할 때 가급적으로 그의 곡적(曲跡)을 방지케하는 콜프용 클럽에 관한 것으로, 특히 타구자(Putter)의 해드에 이를 응용하면 특단의 작용효과를 나타내는 것이다.
본 발명은 콜프용 클럽이라면 그 종류를 막론하고 널리 응용할 수 있는 것인데 이를 타구자에 이용할 경우에는 특단의 효과를 발휘하는 것으로 이를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콜프 타구자는 이를 기계에 장착하여 타구시키면 정확하게 백발백중으로 호올인 되는 것이며, 타구를 할 때마다 전부 동일한 궤적을 그리면서 전동(轉動)하고, 콜프의 직업선수가 타구 하였을 때도 그와 같다.
실제에 있어서 잔듸 상에는 불규칙하므로 이와 같은 경우에도 별도이지만 전혀 평탄한 장소에서 직업선수에 의하여 타주시키면, 단거리에는 백발백중 시킨다. 따라서 본 발명의 콜프클럽은 직업선수에는 적당치 않다.
그러나 통상의 아마튜어로 불리우는 콜퍼는 평탄한 장소에서도 직업선수와 같이 타구하게되면 이와 같이 행할 수 없는데, 그것은 지극히 간단한 일이지만 푸로와 같은 타구자세를 취할 수 없는 원인이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점에 착안하여, 아마튜어라도 직업선수와 같은 타구를 행할수 있게 한 것이다.
제1도 및 제2도는 타구자의 일반적원리를 도해한 것으로 부호(1)은 콜프보올이고, (2)는 타구자의 해드이며, (3)은 목적하는 호올이다.
보올(1)은 호올(3)과 보올(1)을 연결하는 Y-Y직선상에 위치되고 있는데 일반적으로 콜프보올(1)은 잔듸가 완전하게 수평으로 형성되고 있을때는 타구자의 해드(2)를 전기한 Y-Y선의 연장선상에서 X-X선의 직각 방향으로 위치시키고 Y-Y선에 따라 정확하게 이동시킨 후(2′)로 표시된 위치에서 타구하면 확실하게 Y-Y선상을 전동하면서 정확하게 호올(3)까지 도달하는 성격을 갖이고 있다.
제2도는 제1도와는 다소 그 뜻을 달리하는 경우인데, 제2도와 같이 타구하드라도 보올(1)은 Y-Y선상을 따라 전동하는 성격을 갖이고 있다. 즉 타구자의 해드(2)가 보올(1)과 호올(3)을 직선으로 연결하는 Y-Y선의 연장선상에 위치되지 않고 있으며, 그림에서는 약 30° 각도로 밀려나고 있다. 그러나 제2도에서 실선으로 그린 타구자의 해드(2) 위치에서 가점선의 타구자의 해드(2′)위치를 향하여 (A)선과 같이 해드(2)를 이동시켜 타격을 가하드라도, 때린 순간의 해드(2′)의 타면이 전기한 제1도의 X-X선과 같은 평행상태가 되어 있으면 보올(1)은 제1도와 같은 상태와 같이 Y-Y선에 따라 전동되어서 호올(3)에 도달한다. 물론, 해드(2)는 전기한 화살표(A)와 같이 경사지게 작동하기 때문에 보올(1)에 회전력이 주어져서 결국에는 곡선을 그리면서 전동하게 되지만 호올(3)까지의 단거리에서는 Y-Y선에 따라 직선적으로 전진하게 된다. 그리고 이와 같은 경우, 해드(2)로 타격하는 위치인(2′)에 도착할 때까지의 궤적은 화살표(A)와 같이 직선적으로 진행하는 경우 뿐만 아니라, 가령 화살표(B)와 같이 호상으로 우회하여(2′)의 위치에 도달되드라도 타구 상태가 X-X선에 의하게 되면 보올(1)은 Y-Y선에 따라 전동하게 된다. 다시말하면 자세를 취한 해드(2)의 상태가 제2도의 해드(2″)와 같이 기울어저 있다하여도 타격된 순간(2′)으로 도시된 상태에 있으면 호올(3)을 향하여 Y-Y선상을 전동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콜프 타구자로서 중요한 것은 때리는 순간의 해드(2′)의 상태인데, 이를 Y-Y 선에 정확하게 일치되게하면 보올은 그 면과 직각된 Y-Y선상을 전동하는 것이지만 여기에 또하나 중요한 것이 있으므로 이에 대하여 기술한다.
제1도와 제2도에 있어서, 보올(1)을 때리는 위치에서, 타구자의 해드(2′)를 X-X선과 병행하여 취하는 것은 쉬운것이므로 실제에 있어, 패트 할 경우의 최초의 동작은 해드(2)를 제1도와 같이(2′)의 위치에서 정치시키는 것으로부터 시작하여, 호올(3)과 보올(1)의 상태를 상방에서 노리면서 짐작으로 Y-Y선을 상상하고, 상상된 Y-Y선과 직각이 되도록 해드를 위치시킨다. 이와 같은 동작은 누구나 연습이 필요하지만 거의 정확하게 행할 수 있다. 그리고 패트할 때 타구자는 제1도의(2′) 위치에서 일단(2)의 위치까지 후퇴시키고 시계의 진자와 같은 (2′)위치로 되돌리면서 행한다. 다음 제3도는 타격을 가하는 순간 보올(1)과 해드(2)에 관계되는 그림으로서 해드(2)로 보올(1)의 측면을 타격하면 탄성재로 구성되어 있는 보올(1)의 접촉면(4)이 타격을 당할 때 그림과 같이 근소하게 요입면을 이룬다. (S)는 그 요입면(4)의 직경을 극단적으로 표시한 것인데 타격자의 해드(2)가 보올(1)을 때리면, 그 저항으로 움직임이 약간 늦어지지만 타성에 의하여 전진하기 때문에 요입된 보올(1)을 다시 밀어내는 작용을 하면서 전진을 개시한다. 이때에 요입된면(4)은 탄력적으로 복원되면서, 해드(2)를 차게되는 고로 해드(2)의 추종이동에 의하여 빠른속도의 운동을 개시하고, T간격을 지나는 시점에서는 해드(2)에서 이간되어 스스로 전동하게 되는데, 이때 해드(2)에서 진동이 발생한다.
즉 해드(2)와 보올(1)은 제3도에 있어서 T간격 만큼은 서로가 접촉되고 있는 것이며, 그 사이 해드(2)는 타격의 반력을 받게되기 때문에 아마튜어인 경우에는 근소하지만 좌우로 진동이 발생하여, 보올(1)을 Y-YTJS에서 빗나가게 한다.
본 발명은 전기한 해드(2)의 진동을 될 수 있는대로 없애고저 한 것으로, 콜프클럽에 있어서는 그 클럽을 잡았을 때, 프레이어에서 먼 부분을 선단(9)이라 부르고 프레이어에 가까운 부분을 뒤측(10)이라 부르는데, 해드(2)의 선단(9) 및 뒤축(10)에는 타구방향으로 요동하는 관성체(5)(5)를 각기 고착한 것으로 그 관성체(5)(5)는 클럽을 휘두를 때, 탄력적으로 Y-Y선과 평행되는 방향으로 요동하게 구성시킨 것이다.
제4도는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는 평면도.
제5도는 제1실시예의 사시도로서, 부호(2)는 타구자의 해드이고, (9)는 선단이며, (10)은 뒤축인데, 선단(9) 및 뒤축(10)에는 해드(2)의 길이방향을 연장하는 방향에 탄봉체(6)(6)를 각각 부착하여 그 선단에 납과 같이 무거운 재료로된 관성체(5)(5)를 각기 고착한 것이다.
제6도는 또다른 실시예로서 상업적 상품화 하는데 충분한 가치를 발휘하는 것인데, 보올(1)을 타격하는 해드(2) 부분은 평면 형상으로하여 장사각형이고, 그 선단(9)에서 뒤축(10)까지 이르는 길이는 종래의 표준품보다 약간 짧게 형성되며 해드(2)의 후면에는 짧은 길이를 갖인 고정부(8)의 후방으로 향하도록 돌출시켜서 그 선단에 대상 탄성판체(6)의 중앙부를 고정한다. 그 탄성판체(6)는 해드(2)와 병행되게 착설되는데, 그 길이는 해드(2)보다 약간 길게한다. 따라서 탄성판체(6)의 양단부는 해드(2)의 선단(9) 및 뒤축(10)보다 약간 돌출된 상태가 되는데 그 양단에 관성체(5)(5)를 각기 고정하는데 있어 해드(2)의 타격면에 대하여 직각 방향으로 장 4각형을 이루고, 앞 뒤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제6도의 실시예에서는 해드(2)의 진동을 방지할 뿐 아니라 관성체(5)(5)의 형상이 타격면에 대하여 직각의 장4각이므로 전기한 Y-Y선에 대하는 기준선의 대용이 되므로 이들이 협동하여 또 다른 현저한 효과를 발휘하게 된다.
이상과 같은 구성으로된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패트할 때의 최초의 동작은 보올(1)의 후방 근처에 타격자의 해드(2)를 타구방향과 직각이 되게 정치시키고(제1도에서(2′)위치) Y-Y선과 직각인 X-X선에 따라 자세를 취하게되면 해드(2)는 제4도와 같이 (a)화살표와 같이 되돌려지지만 관성체(5)(5)는 탄성체(6)에 의하여 부착되고 있으므로 해드(2)가 제1도의 실선 위치(2)에 도달할 때까지는 제4도의 가점선(a′)와 같이 다소 늦게 추종하고 그 지점에서는 (a′) 위치에서 (b′)위치까지 관성으로 진동된다. 따라서 관성체(5)(5)가 진동되는 분 만큼 해드(2)의 선단 및 뒤축(10)의 쌍방에는 y-y선과 평행되는 방향으로 강한 교정력이 작용한여 올바른 각도의 경우에는 일층 그 상태를 지속시켜서 약간 휘어진 상태에서 다시 펴지려는 상태에 있는 해드(2)에 그 휘임이 교정되도록 작용을 가하여 다시 펴지게 한다. 그리하여 재차제1도(2′)의 취지에 되돌아오지만(화살표 b), 보올(1)을 타격하면 해드(2)는 보올(1)을 타격하는 저항분만 작동이 늦어져서(b′)와 같이 늦어지는 고로 보올(1)의 위치까지 추종하였던 관성체(5)가 충격적으로 (b′)에서 (a′)위치까지 진동하게 된다. 이어 더하여 패트 할 때, 보올(1)을 타격한 순간, 이를 정지시키도록하는 사람이 많은데, 이와 같이 해드(2)를 정지시키고저할 경우에는 관성체(5)(5)의 진동작용이 일층더 심하게 되므로(b′)의 위치에서 (a′)위치를 향하여 해드(2)가 격심하게 요동하게 된다. 즉 관성체(5)(5)는 타격한 순간 (b′)의 위치에서 (a′)위치를 향하여 요동하고 해드(2)의 선단(9)과 뒤축(10)의 양단을 타구방향선과 평행되는 방향으로 유지시키는 작용을 하기 때문에 해드(2)의 휘임을 적게하여 정확하게 명중시키는 것이다.
본 발명은 해드(2)의 선단(9) 및 뒤축(10)에 타구방향과 병행되는 방향으로 탄력적으로 작동하는 관성체(5)(5)를 부착하였으므로, 그렇치 않은 해드와 비교하면 해드(2)의 휘임을 현저하게 줄일 수 있고 아울러서 정확하게 타구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하는 특징이 있다.

Claims (1)

  1. 콜프해드(2)의 선단부(9) 및 뒤축부(10)에 타구 동작을 할 때 보올(1)의 타구방향과 평행되는 방향으로 요동하는 관성체(5)(5)를 각기 부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콜프용 클럽.
KR7800459A 1978-02-24 1978-02-24 콜프 클럽 KR8200007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800459A KR820000750B1 (ko) 1978-02-24 1978-02-24 콜프 클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800459A KR820000750B1 (ko) 1978-02-24 1978-02-24 콜프 클럽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20000750B1 true KR820000750B1 (ko) 1982-05-04

Family

ID=192069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7800459A KR820000750B1 (ko) 1978-02-24 1978-02-24 콜프 클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20000750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448981A (en) Golf club
JP3002783B2 (ja) ゴルフ用ウッドクラブのヘッド
US4398965A (en) Method of making iron golf clubs with flexible impact surface
US5366222A (en) Golf club head having a weight distributing system
US5620381A (en) Golf putter
US4247105A (en) Set of golf clubs
US4221383A (en) Sports racket
JPH08280853A (ja) ゴルフクラブヘッド
US5224702A (en) Offset hosel golf club
JPH07506271A (ja) ゴルフパターヘッド
KR820000750B1 (ko) 콜프 클럽
US1524488A (en) Golf club
US4174110A (en) Inertia balanced golf club
KR102471706B1 (ko) 골프 클럽
JP2681231B2 (ja) ゴルフクラブセット
JPS60867B2 (ja) ウツドクラブ
JPH05269224A (ja) ゴルフクラブのヘツド
JP2001309998A (ja) ゴルフクラブヘッド
JP2002360750A (ja) ゴルフクラブ及びそのクラブヘッド
US5759115A (en) Inertia golf club
JP3076595U (ja) パタ−用ゴルフクラブ
JP4043069B2 (ja) ウッドゴルフクラブセット
KR100390761B1 (ko) 골프 클럽 헤드
KR200175802Y1 (ko) 골프채
GB2381756A (en) A golf putt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