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20000746B1 - 텔레비젼 수상기의 조정 오차 교정회로 - Google Patents

텔레비젼 수상기의 조정 오차 교정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20000746B1
KR820000746B1 KR7800350A KR780000350A KR820000746B1 KR 820000746 B1 KR820000746 B1 KR 820000746B1 KR 7800350 A KR7800350 A KR 7800350A KR 780000350 A KR780000350 A KR 780000350A KR 820000746 B1 KR820000746 B1 KR 8200007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ing
voltage
horizontal
circuit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78003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찰리 피어 죤
Original Assignee
에드워드 제이. 노오톤
알.씨.에이.코오포레이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드워드 제이. 노오톤, 알.씨.에이.코오포레이숀 filed Critical 에드워드 제이. 노오톤
Priority to KR78003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82000074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200007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200007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3/00Scanning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Combination thereof with generation of supply voltages
    • H04N3/10Scanning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Combination thereof with generation of supply voltages by means not exclusively optical-mechanical
    • H04N3/16Scanning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Combination thereof with generation of supply voltages by means not exclusively optical-mechanical by deflecting electron beam in cathode-ray tube, e.g. scanning corre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etails Of Television Scanning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텔레비젼 수상기의 조정 오차 교정회로
제1도는 본 발명을 실시한 칼라 텔레비젼 수상기의 회로도.
제2도는 제1도의 회로의 수평출력 변압기의 2차 권선 양단에 발생하는 파형도.
본 발명은 칼라 텔레비젼 수상기의 조정회로에 관한 것이다.
텔레비젼 수상기의 칼라 수상관을 최적의 상태로 동작시키는 데는 일반적으로 수상관의 조정처리로 불리는 순서에 따라 어떤 종류의 제어를 실행할 필요가 있다. 기본적으로는 이 조정처리에 의하여 수상관의 다 전자총, 다 형광체의 특성에 의해 생기는 텔레비젼 수상기의 동작중에 생기는 어떤 변동을 교정할 수가 있다. 이러한 변동의 일부는 전자총의 차단(컷트오프) 특성 및 각 형광체의 효율이 다른데 의해 생길 수도 있다. 조정처리의 목적은 최대의 휘도를 가진 표시를 얻기 위해 모든 휘도레벨에서 정확한 백색온도를 유지하는데 있다.
대부분의 텔레비젼 수상기에는 복잡한 시험장치를 필요로 하지 않고 조정처리를 행할 수 있는 서비스 즉, 조정용 스위치가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스윗칭 장치에 의하면 수상기를 정상동작모드로 부터 서비스 모드로 선택적으로 절환할 수가 있다. 그 예로서 서비스모드에 있어서는,
1. 수상관의 음극을 정상적으로 구동시키는 영상 채널의 동작은 정지한다.
2. 수상관의 각 음극으로 소정의 흑백레벨전압이 인가된다.
3. 수상관의 수직 편향회로의 동작은 정지되어 관찰스크린의 중심에 나타나는 1조의 수평 주사선을 보면서 각 전자축의 차단전압을 세밀히 조정할 수가 있다.
대부분의 텔레비젼 수상기 회로에서, 각 전자축의 음극 및 제어전극에 인가된 바이어스 전압은 수평출력 변압기의 2차 권선의 양단간에 생기는 전압으로부터 인출되고 있다. 정상동작모드로 부터 서비스 동작모드로 절환될때 이들 변압기의 전압이 변동된다면 서비스 동작 모드에 있어서 설정된 차단 특성 및 백색 온도 특성은 정상동작 모드일때의 그것과는 달리 양호하지가 않다. 따라서, 상술한 변압기의 전압을 텔레비젼수상기의 양 동작모드에 있어서 실질적으로 변화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적합한 실시예에 있어서, 칼라 텔레비젼 수상기는 수직 및 수평편향회로와, 양단간에 전압을 발생시키는 2차 권선을 구비한 수평출력 변압기와 핀쿳션 교정회로의 핀쿳션교정 권선에 결합된 수평편향 권선을 가지고 있다. 핀쿳션 교정권선의 인덕턴스는 발생된 수직 편향전류에 응답하여 변화하고 수평편향 권선에 핀쿳션 교정신호를 공급한다. 조정동안 서비스 스위치에 의해 수직 편향 회로의 동작을 정지된다. 핀쿳션 교정회로에는 조정동안 핀쿳션 교정권선의 인덕턴스를 조정하기 위한 회로가 결합되어 있어 조정동안 수평출력 변압기의 2차 권선 양단간의 전압을 사실상 변화하지 않도록 유지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며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1도에 있어서 서비스 스위치 20는 텔레비젼 수상기의 조정 조작용으로 사용된다. 스위치 20은 2단식의 스위치 소자 20a와 20b로 이루어져 있다. 정상동작 모드에서는 스위치 소자 20a에 의해 단자 P는 어느 것에도 접속되어 있지 않은 단자 N에 결합되고, 스위치 소차 20b에 의해 단자 P′는 단자 N′에 결합된다. 서비스 동작 모드에 있어서는, 단자 P는 단자 S에 결합되고, 단자 P′는 단자 S′에 결합된다.
정상동작모드에서는, 수직편향회로 40의 수직 발진기 22는 저항 23을 거쳐 -20V의 동작 전원에 결합되어 있다. 발진기 22는 수직 주파수 1/TV에서 반복하는 통상의 톱니파전압을 발생하고 이 전압은 수직 증폭기 24의 비반전 단자에 공급된다. 출력단자 25에 나타나는 수직 톱니파 전압은 수직 편형 권선 26에 결합되고, 이 권선 26에 수직 편향전류를 흐르게 한다.
수직편향권선 26과 직렬로 제1의 부하 즉, 핀쿳션 교정용 가포화 리액터 27의 2차 권선 27a가 결합되어 있다. 리액터 27은 또 수평편향 권선 41과 직렬로 결합된 제2의 부하 즉, 2차 권선(수평 핀쿳션 권선) 27b 및 핀쿳션 제어권선 27C를 가지고 있다. 핀쿳션 교정용 리액터 27로서는 미합중국 특허 제3,940,662호 명세서 중에 설명되어 있는 것을 사용할 수가 있다.
수직 편향권선 26에 결합된 권선 27a에는 인덕터 29, 궤환 저항 30 및 병렬로 배열된 결합 캐패시터 31, 32가 결합되어 있다. 캐패시터 31은 접지되고, 캐패시터 32는 -40V의 전원에 결합되어 있다. 인덕터 29와 저항 30의 접속점에 발생한 궤환전압은 수직 증폭기 24의 반전단자에 공급된다. 수직 편향회로 40의 각 소자는 공지된 형태로 동작하고 수직 편향권선 26에 톱니파 편향전류를 흐르게 한다.
단자 25에 나타나는 직류 톱니파 전압은 저항 35 및 캐패시터 36을 거쳐 핀쿳션 제어권선 27C에 공급된다. 톱니파 전압은 캐패시터 37 및 저항 38에 의해 여파되고 권선 27C에 의해 적분되며 수직주파수를 가진 파라볼릭 전류로 변형된다. 권선 27C의 한단은 저항 39를 거쳐 +27V의 전원에 결합되고, 다른 단은 -40V의 전원에 결합되어 있으므로, 이 핀쿳션 제어권선 27C내에는 직류 바이어스전류가 흐른다. 이 바이어스 전류에 의해 변압기의 코어내에 바이어스 자속이 발생한다. 수직 주파수를 가진 파라볼릭 전류에 의해 수평편향 권선에 결합된 핀쿳션 교정용 리액터 27의 수평 핀쿳션 권선 27b에 별도의 파라볼릭형 자속이 결합된다. 이 파라볼릭형 자속에 의해 수평 핀쿳션 권선 27b의 인덕턴스를 좌우 방향의 핀쿳션이 교정되도록 변화시킨다.
수평편향 회로 50은 수평편향 권선 41과 +110V로 도시된 B+구동전압원을 가지고 있다. 이 B+구동전압원은 수평출력 변압기 42의 1차 권선 42a 및 인덕터 43과 캐패시터 44로된 변압기의 하모닉 동조회로를 거쳐 권선 41의 한단에 결합되어 있다. 수평 편향권선 41의 다른단은 수평 핀쿳션권선 27b와 “S”자형 캐패시터 45에 직렬로 결합되어 있다. 여파용 캐패시터 46과 저항 47은 수평핀쿳션 권선 27b의 양단간에 결합되어, 이들이 수평주파수의 고조파 주파수에서 진동하는 것을 가급적으로 억제한다. 1/TH의 주파수에서 반복하는 수평 소인선 및 귀선전류가 수평 발진 및 구동회로 48, 스윗칭트랜지스터 49, 댐퍼다이오드 51 및 귀선 캐패시터 52에 의해 수평 편향권선 41내로 흐르게 된다.
수평 핀쿳션 권선 27b내를 흐르는 수평 소인선 전류에 의해 수평 주파수를 가진 자속이 발생하고, 이 자속은 수직 핀쿳션 권선 27a에 자기적으로 결합된다. 핀쿳션 제어권선 27c에 의해 수직 핀쿳션 권선 27a내에 통상의“나비넥타이”형의 파형을 가진 상하 방향의 핀쿳션 교정전압이 발생한다. 전위차계 28에 의해 교정전압의 진폭을 조정하고 인덕터 29와 캐페시터 93에 의해 교정용 전압에 대한 적절한 파형성형 및 위상관계를 설정한다.
1차 권선 42a에 나타나는 소인선 및 귀선 전압은 변압기 42의 2차 권선 42b에 의해 승압되고, 다이오드 54 내지 59와 캐패시터 60 내지 64로 된 고압용 3배 전압회로 53에 결합된다.
2차 권선 42b의 양단간에 발생하는 피크대 피크전압의 함수인, 다이오드 59의 음극에 나타나는 고전압은 칼라수상관 65의 얼터 전극에 공급된다. 집속전극 66에 공급된 집속전압은 3배 전압 회로 53의 중간탭에서 전위차계 67 및 저항 68을 거쳐 인출된다.
복수의 차폐전극 69r,69g,69b에 공급되는 바이어스 전압은 2차 권선 42b의 양단간에 나타나는 전압의 소인선 기간중의 정류에 의해 만들어져서 인출된다. 수평 소인선 기간동안 교류 전류는 권선 42b의 하측단자로 부터 여파용 캐패시터 70 및 다이오드 54를 거쳐 상기 권선 42b의 상측단자로 흐른다. 캐패시터 70의 양단간에 발생하는 전압은 캐패시터 70, 저항 71 및 캐패시터 72로된 π형 필터에 의해 여파되고, 저항 73 및 전위차계 74r,74g,74b를 거쳐 차폐전극 69r,69(,69b에 공급된다. 각 전위차계는 저항 82에 의해 접지되어 있다. 통상의 그리드 바이어스 제어회로 77이 적당한 그리드 바이어스 제어전압을 복수의 그리드 전극 78r,78g,78b에 공급하여 전자비임의 크로스오버 집속점을 정하게 된다.
수평출력 변압기 42의 2차 권선 42c의 양단간에 발생한 귀선 펄스는 다이오드 79에 의해 정류되고 전류 제한저항 81을 거쳐 여파용 캐패시터 80에 결합된다. 캐패시터 80의 양단간에 발생하는 전압은 실시예에서는 +120v로 표시되어 있고 수상기내의 각종의 회로용 전압으로 사용된다. 이 +210v 전압은 저항 85r,85g,85b를 거쳐 칼라 수상관 65의 복수의 음극 83r,83g,83b의 각각에 대한 바이어스 전압으로 사용된다.
서비스 스위치 20의 단자 N′는 저항 87을 거쳐 +22v의 전압원에 결합되고, 또 도선 89를 거쳐 영상처리회로 88에 결합되어 있다. 단자 p′는 접지되고, 단자 s′는 도선 90에 의해 영상처리회로 88에 결합되어 있다.
정상 동작모드에서는 도선 89가 접지되고, 정상적인 영상처리가 실행된다. 적당한 색정보를 지닌 영상 구동신호는 도선를 거쳐 음극 91r,91g,91b에 공급된다. 한편, 서비스동작 모드에서는, 도선 83r,83g,83b,90이 접지되고 도선 89는 +22v의 전원을 저항 87을 거쳐 영상처리회로 88에 결합시킨다. 정상적인 영상 구동신호는 도체 91r,91g,91b로부터 제거되고, 조정처리에 사용되는 혹 클램프 기준신호가 음극 83r,83g,83b에 공급된다.
서비스 동작 모드에 있어서는, 단자 s는 비교적 낮은 저항치를 가진 핀쿳션 제어권선 27를 거쳐 -40v의 전원에 결합된다. 이에 의해 -40v의 전원은 저항 92를 거쳐 수직발진기 22에 결합되고 발진기 22의 동작을 정지시켜 라스터의 수직부분을 압축하여 1조의 수평선을 표시하게 된다. 각 차폐전극의 바이어스 전압은 전위차계 74r,74g,74b에 의해 같은 전자비임 차단특성을 얻을 수가 있고, 또 표시된 1조의 수평선이 소망의 백색온도로 되도록 조정된다.
전자 비임의 차단특성은 음극과 차폐전극의 바이어스 전압의 차이에 의해 결정되므로, 바이어스 전압용의 전원 전압은 한쪽의 동작모드로 부터 다른쪽 동작모드로 절환될 때 변화가 있어서는 안된다. 만약 바이어스 전압이 변화하면, 조정기간동안 적정한 색온도를 설정한 바이어스 전압은 정상동작동안 변화하여 정상동작 동안의 색온도는 부적당한 것이 된다.
보상회로가 없으면 차폐전극 및 음극의 바이어스 전압을 공급하는 캐패시터 70 및 80의 양단간 전원전압은 정상 동작시에 비해 조정시에는 바람직하지 않게 변화하는 것이 된다. 수평출력 변압기의 2차 권선 42b,42c의 각 양단간에 나타나는 전압은 제2도에서는 단일의 전압파형으로 도시되었으나 각 권선에 나타나는 2개의 전압차는 스케일상의 문제이다. 캐패시터 80의 양단간에 나타나는 음극전압은 귀선기간에 정류되고, 제2도의 귀선펄스 101a의 높이의 어떤 변동에 따라 변화한다. 귀선펄스 높이는 주로 귀선캐패시터 52, 병렬배열된 1차 권선 42a의 인덕턴스 및 수평 편향권선 41과 수평 핀쿳션권선 27b의 직렬회로에 의해 형성된 공진회로에 의해 결정된다.
정상동작 상태에 있어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수평 핀쿳션권선 27b의 인덕턴스는 일부 핀 쿳션제어 권선 27c를 흐르는 수진주파수의 교류 파라볼릭 전류에 의해 변조되고 바이어스 된다. 그러나, 서비스 스위치에 의해 수직발진이 감쇄되면 이 바이어스는 소멸되고, 수평 핀쿳션 권선 27b의 평균 인덕턴스는 증대하여, 공진귀선회로의 실효인덕턴스는 증대한다. 귀선 기간이 증가하면, 귀선 펄스의 높이는 저하하고 음극 바이어스 전압은 정상 동작 기간동안의 값보다도 저하한다.
차폐 전극의 바이어스 전압은 캐패시터 70의 양단간에 발생하는 전압으로부터 인출된다. 이 전압은 소인선 기간동안 2차 권선 42b에 발생하는 전압의 부방향으로의 진동피크치에 동일하다.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2차 권선 42b의 양단간에 나타나는 전압은 수평 쿳션권선 27b의 인덕턴스에는 사실상 무관하게 일정한 소인선 전압 vB와 진동 감쇄된(댐프된) 링잉성분 101b의 두 성분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 링잉성분은 소인선기간동안 2차 권선 4b내에 남아있는 잔류공진 귀선에너지에 의해 생성되는 것이다.
이 잔류 귀선에너지의 대부분은 1차 권선 42a와 직렬로 접속된 인덕터 43과 캐패시터 44의 고정동조형 병렬 공진회로의 고임피던스에 의해 감쇄된다. 고전압 동조용으로서의 이 회로는 귀선주파수의 선정된 고주파 주파수부근의 주파수에서 공진한다. 서비스 동작모드에서는 수직편향 회로 40이 동작을 정지하는 데 의해 귀선시간은 길어진다. 귀선주 파수의 고조파는 저하하여 동조회로의 댐핑임피던스를 변화시킨다. 차폐 전극으로의 바이어스 전압으로 사용되는 링잉성분은 연장된 귀선주파수의 새로운 고조파가 동조회로의 공진주파수에 가까와지고 멀어지는데 의해 상승 또는 저하한다. 병렬 공진회로의 동조는 고정되어 있으므로 이것은 수신기마다 다르다.
따라서, 서비스 동작모드에 있어서, 차폐전극 및 음극의 쌍방의 전압 변화에 의해 정상동작모드에 있어서의 전자비임 차단특성 및 백색온도 특성에 동조오차가 생긴다. 이들 변화는 수직 편향 회로 40이 동작을 정지하여 수평핀 쿳션변 압기의 권선 27b의 바이어스가 감소할때 일어나는 수평 편향회로 50의 공진귀선 회로의 실효 인덕턴스 증가에 의해 생긴다. 실효 인덕턴스의 증가에 의해 귀선기간은 길어지고 귀선펄스의 높이가 감소하여 차폐전극 및 음극의 바이어스 전압이 변화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차폐전극과 음극의 바이어스 전압이 정상동작시와 서비스 동작시에 사실상 변화하지 않도록 하는데 있다. 서비스 스위치 20의 단자 p는 핀쿳션 제어권선 27c의 한단에 결합되어 있다. 정상동작모드에서 스위칭소자 20a는 권선 27c를 비접속단자 N에 결합시킨다. 서비스 동작모드에서 스윗칭 소자 20a는 핀쿳션 제어권선 27c를 단자 s 및 저항 21을 거쳐 접지시킨다.
단자 s에 나타나는 전압은 수직 편향회로가 동작을 정지할 때 핀쿳션 제어권선 27c에 별도로 바이어스 전류를 흐르게 하기위해 전원으로 동작하고, 수평 핀쿳션 권선 27b에 변조된 바이어스 자속을 공급하는 핀쿳션 제어권선 27c내를 흐르게 수직 주파수의 전류는 제거된다. 그러나, 이 접지로부터 핀쿳션 제어권선 27c로 흐르는 별도의 바이어스 전류가 수평 핀쿳션 권선 27b내에 새로운 바이어스 자속을 발생시켜 수직 편향회로의 동작을 정지시키는데 의해 생기는 자속의 손실을 보상하므로 수평 핀쿳션권선 27b의 평균 임피던스는 변화되지 않고 일정하게 유지된다.
이에 의해 수평 핀쿳션 권선 27b의 평균 인덕턴스 및 공진귀선 회로의 실효 임피던스는 변화하지 않는 상태로 지속된다. 따라서, 귀선펄스의 높이 및 귀선기간의 변화는 사실상 제거되고, 음극 및 차폐전극에 공급되는 바이어스 전압은 정상동작모드와 서비스 동작모드의 쌍방에 대해 거의 변화하지 않고 칼라 텔레비젼 수상기를 정확하게 조정할 수가 있다.

Claims (1)

  1. 수직 편향권선(26)을 포함하는 수직 편향회로(40)와, 수평 편향권선(41)을 포함하는 수평 편향회로(50)와, 제1핀쿳션 교정권선(27b)을 포함하는 핀쿳션 교정장치(27)와, 수평출력변압기(42) 및, 상기 수직 편향회로(40)에 결합된 서비스 스위치(20)를 구비하고 있는 칼라 텔레비젼 수상기에 있어서, 상기 핀쿳션 교정장치(27)에 결합된 전류원(-40v)과 한쪽단이 상기 서비스스위치(20)의 서비스 단자에 결합되고 다른 단은 접지되어 있는 제2장치(21)를 특징으로 하는 텔레비젼 수상기의 조정오차 교정회로.
KR7800350A 1978-02-11 1978-02-11 텔레비젼 수상기의 조정 오차 교정회로 KR8200007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800350A KR820000746B1 (ko) 1978-02-11 1978-02-11 텔레비젼 수상기의 조정 오차 교정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800350A KR820000746B1 (ko) 1978-02-11 1978-02-11 텔레비젼 수상기의 조정 오차 교정회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20000746B1 true KR820000746B1 (ko) 1982-05-03

Family

ID=192068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7800350A KR820000746B1 (ko) 1978-02-11 1978-02-11 텔레비젼 수상기의 조정 오차 교정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20000746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329729A (en) Side pincushion modulator circuit with overstress protection
US4254365A (en) Side pincushion correction modulator circuit
KR100211621B1 (ko) 비디오 장치의 고전압 전원
KR920005869B1 (ko) 동-서 핀쿳션 보정 수평편향회로
US3819979A (en) High voltage regulators
KR840001292B1 (ko) 라스터 왜곡 교정 편향 회로
JP3571086B2 (ja) テレビジョン装置用電源
KR900002333B1 (ko) 수평 편향회로
US5463290A (en) Power supply stabilization circuit with separate AC/DC negative feedback paths
KR100303579B1 (ko) 음극선관용동적집속회로및그회로에사용된변압기
US4084115A (en) Circuit for correcting setup error in a color television receiver
EP0240142B1 (en) Raster positioning circuit for a deflection system
KR820000746B1 (ko) 텔레비젼 수상기의 조정 오차 교정회로
KR100482943B1 (ko) 수평 중심 정렬과 관련된 수평 평행사변형 보정 회로
US4686430A (en) Drive circuit for pincushion corrector
US4187451A (en) Color picture display device with a circuit for generating a screen grid voltage
US5945791A (en) High voltage system
KR100309663B1 (ko) 텔레비젼세트용수평편향회로
US3237048A (en) Raster distortion correction
JPS61256610A (ja) 高電圧変圧器
EP0334658B1 (en) Power supply
US20030057898A1 (en) Deflection current modulation circuit
JP2692445B2 (ja) 水平偏向高圧発生回路
GB1574506A (en) Line sawtooth deflection current generator
JPS6012873A (ja) テレビジヨン受信機の黒レベル補正回路