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82943B1 - 수평 중심 정렬과 관련된 수평 평행사변형 보정 회로 - Google Patents

수평 중심 정렬과 관련된 수평 평행사변형 보정 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82943B1
KR100482943B1 KR10-2000-7003782A KR20007003782A KR100482943B1 KR 100482943 B1 KR100482943 B1 KR 100482943B1 KR 20007003782 A KR20007003782 A KR 20007003782A KR 100482943 B1 KR100482943 B1 KR 1004829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ster
horizontal
deflection
vertical deflection
curr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70037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30996A (ko
Inventor
트루스칼로월터
펀슬러로널드유진
Original Assignee
톰슨 라이센싱 에스.에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톰슨 라이센싱 에스.에이. filed Critical 톰슨 라이센싱 에스.에이.
Publication of KR200100309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309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829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82943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3/00Scanning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Combination thereof with generation of supply voltages
    • H04N3/10Scanning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Combination thereof with generation of supply voltages by means not exclusively optical-mechanical
    • H04N3/16Scanning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Combination thereof with generation of supply voltages by means not exclusively optical-mechanical by deflecting electron beam in cathode-ray tube, e.g. scanning corrections
    • H04N3/22Circuits for controlling dimensions, shape or centering of picture on screen
    • H04N3/227Center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3/00Scanning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Combination thereof with generation of supply voltages
    • H04N3/10Scanning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Combination thereof with generation of supply voltages by means not exclusively optical-mechanical
    • H04N3/16Scanning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Combination thereof with generation of supply voltages by means not exclusively optical-mechanical by deflecting electron beam in cathode-ray tube, e.g. scanning corrections
    • H04N3/22Circuits for controlling dimensions, shape or centering of picture on screen
    • H04N3/23Distortion correction, e.g. for pincushion distortion correction, S-correction
    • H04N3/233Distortion correction, e.g. for pincushion distortion correction, S-correction using active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etails Of Television Scanning (AREA)

Abstract

전자 빔은 비디오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래스터를 형성하도록 수평 편향될 때 하방으로 기울어지는 경향이 있다. 이러한 전자 빔의 기울어짐으로 인해 래스터에, 예를 들면 직교성 및 평행사변형 에러 등의 기하학적 에러가 발생될 수 있다. 래스터 보정 회로는 유도된 수평 주파수 래스터 보정 전류로 수직 편향 전류(IV)를 변조함으로써 전자 빔의 하방 기울어짐을 현저히 감소시키고, 그로 인해 래스터에 직교성 및 평행사변형 에러가 현저히 감소하게 된다. 래스터 보정 변압기(41)는 1차 권선으로 래스터 중심 정렬 인덕터(LC)를 사용하며, 수평 주파수 중심 정렬 전류(IC)는 수직 편향 코일(LV1, LV2)에 자기적으로 결합되어 수직 편향 전류를 변조시킨다.

Description

수평 중심 정렬과 관련된 수평 평행사변형 보정 회로{HORIZONTAL PARALLELOGRAM CORRECTION COMBINED WITH HORIZONTAL CENTERING}
본 발명은 래스터 보정 회로에 관한 것으로써, 구체적으로는 비디오 디스플레이 장치의 음극선관의 래스터의 직교성 및 평행사변형 에러 보정에 관한 것이다.
텔레비전 수상기나 비디오 디스플레이 모니터 등의 비디오 디스플레이 장치에 사용되는 편향 시스템은 통상적으로 디스플레이 장치의 음극선관의 관찰 스크린의 래스터를 조정하는 회로를 포함하고 있다. 이러한 조정 회로는 무엇보다도 음극선관의 주사 처리 및 기하 형상의 성질 때문에 요구된다.
예를 들면, 그 조정 회로는 주사된 래스터의 직교성 및 평행사변형 에러를 제거하는 래스터 보정 회로를 포함한다. 직교성 및 평행사변형 에러의 성질과 이 2가지 에러를 제거하는 방법에 관해서는, 월터 트루스칼로(Walter Truskalo) 등이발명의 명칭이 "래스터 보정 회로를 구비한 수직 편향 회로"로 1996년 5월 17일자 출원된 미국 특허 제08/649,409호에 개시되어 있다. 이 출원에서는 전자 빔의 수직 편향에 의해 발생되는 다운힐 주사 효과(downhill scan effect)를 실질적으로 상쇄시키는 수평 주파수에서 수직 편향 전류를 변조하여, 이것에 의해 래스터의 직교성 및 평행사변형 에러를 보정하는 배치를 개시하고 있다. 직교성 및 평행사변형 에러의 영향을 받은 래스터가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또한, 상기 조정 회로는 예컨대, 음극선관의 관찰 스크린상의 래스터를 수평중심 정렬하는 중심 정렬 회로(centering circuit)를 포함할 수도 있다. 래스터의 중심 정렬은 음극선관을 가장 효율적으로 사용하는데 필요하며, 이러한 가장 효율적인 사용은 주사된 래스터의 크기가 실질적으로 음극선관의 관찰 스크린의 크기와 같을 경우에 발생한다. 수평 중심 정렬 필요성은 수평 과도 주사량이 감소되고, 다시 말하면, 주사된 래스터의 크기가 음극선관의 관찰 스크린의 크기로 감소될 때에 가장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래스터의 중심 정렬은 통상적으로 선택된 극성 및 크기의 직류 전류를 수평 또는 수직으로 적절한 편향 코일을 통하여 흐르게 함으로써 달성된다.
비디오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에 있어서, 회로를 최대 가능한 범위로 통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통합은, 부품 갯수 감소, 비용 절감, 신뢰성 향상 및 장치의 섀시 내에서 가용(可用) 공간 증대 등의 여러 가지 이점을 제공한다. 따라서, 래스터 보정 및 중심 정렬 기능을 하는 회로를 통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은 래스터의 직교성 및 평행사변형 에러를 설명하는 설명도.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배치에 의한 비디오 디스플레이 장치의 편향 시스템의 블록도 및 개략도.
도 4a 내지 도 4f는 도 2 및 도 3의 편향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전압과 전류 파형도.
도 5는 도 2 및 도 3의 편향 시스템용 제1 등가 수평 중심 정렬 회로의 블록도 및 개략도.
도 6은 도 5의 등가 중심 정렬 회로의 전압 파형 특성을 도시한 전압 파형도.
도 7은 도 2 및 도 3의 편향 시스템용 제2 등가 수평 중심 정렬 회로의 블록도 및 개략도.
도 8은 도 7의 등가 수평 중심 정렬 회로의 전압 파형 특성을 도시한 전압 파형도.
도 9 및 도 10은 도 3의 편향 시스템의 전류 파형도.
본 발명은 비디오 디스플레이 장치의 회로를 최대 가능한 범위로 통합하는 요구를 충족시키는 편향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장치에 따른 편향 시스템은 래스터의 상단과 하단 사이에서 주사 전자 빔을 편향시키는 수직 편향 코일과, 스크린상에서 래스터를 중심 정렬하고, 중심 정렬 인덕터를 갖는 래스터 중심 정렬 회로와, 래스터 보정 변압기를 포함한다. 래스터 보정 변압기는 1차 권선용 중심 정렬 인덕터를 사용하며, 수직 편향 코일에 결합된 2차 권선을 갖는다. 중심 정렬 인덕터 및 2차 권선은 동일 코어에 권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직 편향 코일은 직렬 또는 병렬 배치 중 하나의 형태로 결합된 제1 및 제2 수직 편향 권선을 포함한다.
래스터 보정 변압기의 1차 권선으로서 중심 정렬 인덕터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수직 편향 회로 및 래스터 중심 정렬 회로는 비디오 디스플레이 장치의 음극선관의 네크부의 편향 요크 조립체에 함께 장착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이것은 비디오 디스플레이 장치의 조립을 단순화시킨다. 왜냐하면, 비디오 디스플레이 장치의 섀시로부터 수직 편향 회로 및 래스터 중심 정렬 회로까지의 배선을 동작시킬 필요가 없기 때문이다.
본 발명에 관한 상기 특징, 다른 특징들, 양상 및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지게 되며, 동일 구성 소자에 대해서는 동일 참조 부호를 붙인다.
텔레비전 수상기 또는 비디오 디스플레이 모니터 등의 비디오 디스플레이 장치용 편향 시스템(400)은 도 2에 도시되어 있다. 수평 편향 회로(100) 및 수직 편향 회로(200)는 협동하여 비디오 디스플레이 장치의 스크린상에 래스터를 형성하기 위하여 주사 전자 빔을 편향한다. 수평 편향 회로(100)는 수평 편향 주사 주파수로 스크린을 지나는 주사 전자 빔을 편향시킨다. 유사하게, 수직 편향 회로(200)는 수직 주사 주파수로 보다 느린 전자 빔을 하방으로 편향시킨다. 래스터 중심 정렬 회로(300)는 비디오 디스플레이 장치의 스크린상의 주사된 래스터를 수평으로 중심 정렬하기 위하여 수평 편향 회로(100)로부터 에너지를 공급한다. 비디오 디스플레이 장치 내에 회로를 통합하기 위해, 수직 편향 회로(200)는 래스터 보정 변압기 (41)의 1차 권선으로서 래스터 중심 정렬 회로(300)의 수평 중심 정렬 인덕터(Lc)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원 발명의 실시예에서, 통상 "2H"로 칭해지는 약 31,468Hz의 수평 편향 주파수 또는 주사 주파수를 사용한다. 당업자라면 본원 발명의 배치는 특정의 수평 또는 수직 편향 주파수에 한정되지 않지만, 바람직하게는 수평 및 수직 편향 주파수의 전체 범위에 걸쳐 이용하는 것이 좋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수평 편향 회로(100)와 관련된 전압 및 전류 파형은 도 4a 내지 도 4f에 도시되어 있다. 전류 흐름은 도 2에 도시된 방향에서 양(+)으로 한정된다. 도 2를 참조하면, 약 140 Vdc의 B+ 전압은 고전압 변압기 1HVT의 1차 권선(LPR1)을 통해 S-보정 커패시터(Cs) 양단에서 억제된다. 전자 빔이 래스터의 상부의 좌측 코너로 편향됨에 따라, 수평 출력 트랜지스터(Q1)에는 전류가 도통되지 않는다. 수평 편향 코일(LH)에 이전에 저장된 에너지에 의해, 순방향 바이어스 댐퍼 다이오드(D1) 및 수평 편향 코일(LH)를 통해 S-보정 커패시터(Cs)로 전류가 흐르게 된다. 이 때, 댐퍼 전류(ID) 및 수평 편향 전류(IH)는 음의 피크 값을 갖는다.
래스터의 중심에 주사 전자 빔이 도달한 경우, 수평 편향 코일(LH)에 저장된 에너지는 제로(0)로 감쇠되고, 수평 편향 전류(IH) 및 댐퍼 전류(ID)는 거의 제로가 된다. 댐퍼 다이오드(D1)는 역방향 바이어스되고, 수평 편향 발진 회로(10)는 수평 출력 트랜지스터(Q1)에 전류(IHOT)가 흐르게 한다. 수평 편향 전류(IH)는 역류(逆流)하고, S-보정 커패시터(CS)에 의해 수평 편향 코일(LH)에 공급되는 에너지는 수평 편향 전류(IH)를 선형적으로 증가시킨다.
주사 전자 빔이 래스터의 우측단에 도달하는 경우, 수평 편향 발진 회로(10)는 수평 출력 트랜지스터(Q1)에 흐르는 전류(IHOT)를 단절시키고, 댐퍼 다이오드 (D1)는 역방향 바이어스 상태로 된다. 이 리트레이스 기간 동안에, 감쇠하는 수평 편향 전류(IH)는 리트레이스 커패시터(CR)로 고속으로 흐른다. 수평 편향 전류(IH)가 대략 제로(0)로 감쇠하는 경우, 그 전류는 역류되어 리트레이스 커패시터(CR)를 통해 공급된다. 일단 리트레이스 커패시터(CR)가 저장된 에너지를 수평 편향 코일(LH)을 통해 방전하면, 전자 빔은 래스터의 상부의 좌측 코너로 복귀되고, 그러한 과정은 반복된다.
도 2에 도시된 수직 편향 회로(200)에서, 수직 주파수 톱니파 발생 회로(61)는 수직 주파수 톱니 파형을 수직 출력 증폭기(62)의 비반전 입력단에 제공된다. 수직 출력 증폭기(62)는 예를 들면 +24 볼트의 양의 공급 전압에 결합되고, 음의 공급 전압 예컨대 접지 전위에 결합되며, 보상형 또는 준보상형 푸쉬풀 트랜지스터 출력단을 포함한다. 수직 출력 증폭기(62)는 수직 편향 코일의 제1 및 제2 수직 편향 권선(LV1, LV2)을 수직 주파수 톱니파 전류(IV)로 구동한다. 수직 편향 권선 (LV1, LV2)은 직렬로 결합된다. 즉, 이 권선들을 통해 흐르는 전류는 대략 2A의 피크간 진폭(peak to peak magnitude)을 갖는다. 저항(R3, R4)에 의해 형성된 전압 분배기는 궤환 전압을 생성하고, 이것은 저항(R3)은 저항(R5)을 통해 수직 출력 증폭기(62)의 반전 입력단에 결합된다. 커패시터(C3)는 수직 편향 전류(IV)를 S 보정한다.
직렬 결합된 저항(R1, R2) 및 전위차계(P1)는 2개의 수직 편향 권선(LV1, LV2)과 병렬로 결합된다. 저항(R1, R2) 및 전위차계(P1)는 음극선관용 편향 요크의 설계 동안에 선택되며, 이러한 저항은 편향 요크 조립체의 일부로서 포함된다. 이 3개의 저항은 음극선관의 전자빔의 수렴을 조정하는 데 사용된다. 전위차계(P1)를 조정하여, 음극선관의 수직 중심선에서 외부 전자총으로부터의 전자 빔, 통상 적색 및 청색의 소망의 크로스오버를 달성한다.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에서, 수평 편향 회로(1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 편향 회로(200')와 결합하여 편향 시스템(400')을 형성한다. 수직 편향 회로(200')에서, 수직 편향 권선(LV1, LV2)은 병렬로 결합된다. 보다 짧은 수직 리트레이스 시간을 얻기 위해 그리고 동일한 인가 전압에 대해 수직 편향 코일의 보다 낮은 인덕턴스를 가능케 하기 위해서는 병렬 결합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및 제2 수직 편향 권선(LV1, LV2)에의 변압기(41)의 2차 권선 결합은 수직 편향 권선(LV1, LV2)의 병렬 특성을 저해하지 않는다. 각각의 수직 편향 권선을 통해 흐르는 전류(I'LV1, I'LV2)의 피크간 크기는 약 2A의 피크간 크기를 가진다. 궤환 전압은 저항(R8) 양단에 발생되어 저항(R9)을 경유하여 수직 출력 증폭기(62)의 반전 입력단에 공급된다. 저항(R6, R7) 및 커패시터(C4)는 편향 권선(LV1, LV2)에 댐핑 네트워크를 제공한다.
도 2 및 도 3의 래스터 중심 정렬 회로(300)는 수평 중심 정렬 인덕터(LC), 중심 정렬 커패시터(CC), 다이오드(D2, D3), 스위치 디바이스(S1), 가변 저항(P2)으로 되고, 이것은 전위차계로 된다. 수평 중심 정렬 인덕터(LC)는 예컨대 N1 권선수를 가지며, 통상적으로는 상당히 큰 인덕턴스를 가지기 때문에, 수평 편향 코일(LH)에서의 전류 보다 낮은 피크간 전류가 도통한다. 스위치 디바이스(S1)는 예컨대 섭동(褶動) 스위치 또는 단일 극성의 이중 분포 회전 스위치(single-pole double-throw rotary switch)를 포함하며, 이 스위치는 1987년 10월 27일자로 이. 로드리그에즈 카바조스(E. Rodriguez-Cavazos)에게 특허 허여된 미국 특허 제4,703,233호에 기재되어 있다.
도 2 및 도 3의 중심 정렬 회로(300)는 수평 편향 회로(100)로부터 에너지를 급전한다. 설명의 편의상, 스위치 디바이스(S1)를 다이오드(D3)의 애노드와 결합시켜 등가의 중심 정렬 회로(300')를 제공하며, 이 회로(300')는 도 5에 도시된다. 도 5를 참조하여, 수평 편향 코일(LH)을 통해 흐르는 댐퍼 전류(ID)에 대응하고, 래스터의 좌측단으로부터 중심으로 전자빔의 편향에 해당하는 수평 편향 전류(IH)의 부(負) 부분 동안에, 다이오드(D2)는 역방향 바이어스되고, 다이오드(D3)는 순방향 바이어스되며, 수평 주파수 중심 정렬 전류(IC)는 다이오드(D3)를 통해 S-보정 커패시터 (CS)를 충전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다이오드(D3)의 순방향 전압 강하의 합으로 클램핑되는 적은 양의 중심 정렬 전압(V'C)은 중심 정렬 커패시터 (CC) 양단에 형성되고, 수평 주파수 중심 정렬 전류(IC)의 음의 부분은 수평 중심 정렬 인덕터(LC)를 통해 흐른다.
래스터의 중앙에 전자빔이 도달하는 경우, 수평 편향 전류(IH)는 반전하여 양의 값이 되며, 그 값은 수평 편향 코일(LH)을 통해 흐르는 전류(IHOT)에 해당하며, 래스터의 중앙에서 우측단으로 전자빔이 편향한다. 또한, 수평 주파수 중심 정렬 전류(IC)도 양의 값이 된다. 다이오드(D2)는 순방향 바이어스되고, 다이오드(D3)는 역방향 바이어스되며, 수평 주파수 전류는 다이오드(D2) 및 가변 저항(P2)을 통해 흐른다. 중심 정렬 전압(V'C)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의 값이 되며, 그 값은 대략 가변 저항(P2)의 양단에서 발생되는 전압과 동일하다.
연속적인 중심 정렬 전압(V'C)의 음의 피크값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균 전압(V'avg)을 생성한다. 이 전압(V'avg)은 수평 중심 정렬 인덕터(LC)를 통해 흐르는 수평 주파수 중심 정렬 전류(IC)의 양의 성분을 발생한다.
다이오드(D3)의 애노드에 접속하도록 스위치 디바이스(S1)를 설정하는 것은 음극선관의 전면에 래스터의 중심을 맞추는 것이 적절하다는 것을 알았다. 그 경우에, 스위치 디바이스(S1)를 다이오드(D1)의 캐소드에 접속하도록 조정하여, 등가의 중심 정렬 회로(300")를 제공하며, 이것은 도 7에 도시되어 있다. 도 7의 회로는 2개의 회로에서 중심 정렬 커패시터(CC) 양단에 공급되는 전압이 반대의 극성을 갖는 것을 제외하고는 도 5의 회로와 동일하게 동작한다.
수평 편향 코일(LH)을 통해 흐르는 댐퍼 전류(ID)에 해당하고 래스터의 좌측 단에서 중앙으로 전자빔의 편향에 해당하는 수평 편향 전류(IH)의 음의 부분 동안에, 수평 주파수 중심 정렬 전류(IC)의 음의 부분은 수평 중심 정렬 인덕터(LC)를 통해 흐른다. 다이오드(D2)는 역방향 바이어스되고, 다이오드(D3)는 순방향 바이어스되며, 수평 주파수 중심 정렬 전류(IC)는 가변 저항(P2) 및 다이오드(D3)를 통해 S-보정 커패시터(CS)를 충전시킨다. 양의 중심 정렬 전압(V"C)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심 정렬 커패시터(CC)의 양단에서 생성되며, 대략 가변 저항(P2) 양단에서 발생되는 전압(VP2)과 동일하다.
연속적인 중심 정렬 전압(V"C)의 양의 피크 크기는 도 8에 도시된 평균 전압 (V"avg)을 생성한다. 이 전압(V"avg)은 댐퍼 전류(ID)와 같은 방향으로 수평 편향 코일(LH)을 통하여 수평 주파수 중심 정렬 전류(IC)를 발생한다.
전자빔이 래스터의 중앙에 도달함에 따라, 수평 편향 전류(IH)는 역류하여 양의 값이 되며, 그 값은 수평 편향 코일(LH)을 통해 흐르는 전류(IHOT)에 해당하고 래스터의 중앙에서 우측단으로의 전자빔의 편향에 해당한다. 또한, 수평 주파수 중심 정렬 전류(IC)도 양의 값이 된다. 다이오드(D2)는 순방향 바이어스되고, 다이오드(D3)는 역방향 바이어스되며, 수평 주파수 전류는 다이오드(D2)를 통해 흐른다. 중심 정렬 전압(V"C)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의 값이 되며, 대략 다이오드 (D2)의 순방향 전압 강하의 합으로 클램핑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편향 시스템(400, 400') 각각은 바람직하게는 래스터 보정 변압기(41)의 1차 권선으로서 래스터 중심 정렬 회로(300)의 수평 중심 정렬 인덕터(LC)를 사용한다. 도 3에 도시된 양호한 실시예에서, 수평 중심 정렬 인덕터(LC)는 380회의 권선수를 갖는다. 변압기(41)의 2차 권선은 제1 및 제2 수직 편향 권선(LV1, LV2)과 직렬로 결합되며, 16회의 권선수를 갖는다. 중앙 탭(47)은 8회의 권선수를 각각 갖는 제1 권선(43a) 및 제2 권선(43b)으로 2차 권선을 분배한다. 래스터 보정 변압기(41)의 특정 회수의 1차 및 2차 권선수, 그 권선수에 따른 권선 비율은 특정 편향 시스템의 요구 조건에 따라 변화하며, 당업자의 판단에 좌우된다.
수평 중심 정렬 인덕터(LC)와 제1 및 제2 권선(43a, 43b)은 바람직하게는 동일 코어, 예를 들면 페라이트 로드 코어 주위에 권선되며, 이 코어는 양호한 실시예에 있어서 직경이 약 0.399 인치이고 길이가 약 1 인치이다. 로드 코어의 사용은 예시적이며, 폐루프 자기 경로 길이, 예를 들면 도넛형의 코어 구성이 사용될 수 없다는 것을 제시하는 것은 아니다. 당업자가 특정 코어를 선택할 때 특히 고려해야할 중요 인자는, 수평 중심 정렬 인덕터(LC)를 통해 흐르는 수평 주파수 중심 정렬 전류(IC)와, 제1 및 제2 수직 편향 권선(LV1, LV2)을 통해 흐르는 수직 전류(ILV1, ILV2) (직렬 형태로) 및 전류(ILV1, ILV2)(병렬 형태로)로 코어가 포화되는 것을 방지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포화로 바람직하지 않은 왜곡이 평행사변형 보정 전류에 발생하게 된다.
래스터 보정 변압기(41)의 1차 권선으로서 수평 중심 정렬 인덕터(LC)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수직 편향 회로(200, 200') 및 래스터 중심 정렬 회로(300) 모두가 비디오 디스플레이 장치의 음극선관의 네크부에 편향 요크 조립체와 함께 장착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이것은 비디오 디스플레이 장치의 조립을 단순화시킨다. 왜냐하면, 비디오 디스플레이 장치의 섀시에서 수직 편향 회로(200, 200') 및 래스터 중심 정렬 회로(300)까지의 배선을 동작시킬 필요성이 없기 때문이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수평 편향 회로(100)는 도 4b에 도시되고 통상 약 1200볼트의 피크간 전압을 갖는 수평 편향 전압(VQ1)을 생성한다. 수평 편향 전압(VQ1)은 래스터 보정 변압기(41)의 권선 비율, N2/N1에 따라 저하된다. 결국 저하된 수평 주파수 펄스 파형은 제1 및 제2 권선(43a, 43b) 사이에서 대체로 동등하게 분배된다. 예를 들면, 도 3의 양호한 실시예에서 저하된 수평 주파수 펄스 파형은 약 28볼트의 피크간 전압을 가지며 2차 권선의 제1 및 제2 권선(43a, 43b) 양단에 대체로 동등하게 분배된다. 그러므로, 제1 및 제2 권선(43a, 43b)에는 약 14볼트의 피크간 전압을 갖는 수평 주파수 펄스 파형이 공급된다.
도 2의 편향 시스템(400)에 관련하여 다시 설명하면, 제1 및 제2 권선(43a, 43b) 양단의 저하된 수평 주파수 펄스 파형은 제1 및 제2 수직 편향 권선(LV1, LV2) 각각에 대하여 수평 주파수 래스터 보정 전류(ILV1, ILV2)를 유도한다. 래스터 보정 전류(ILV1, ILV2)는 중앙 탭(47)에 의해 동일한 피크간 크기를 갖도록 강요되지는 않는다. 또한, 래스터 보정 전류(ILV1, ILV2)의 피크간 크기는, 수평 중심 정렬 인덕터 (LC)와 변압기(41)의 2차 권선간의 결합이 페라이트 코어의 상이한 선택을 변화시킴에 따라 가변할 수 있다.
도 3의 편향 시스템(400')에서, 제1 및 제2 권선(43a, 43b) 양단의 저하된 수평 주파수 펄스 파형은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 주파수 보정 전류(I'LV1, I'LV2)를 유도한다. 래스터 보정 전류(I'LV1, I'LV2)는 권선(LV1, LV2)의 병렬 배치로 동일한 피크간 크기를 갖도록 강요되지는 않는다. 또한, 래스터 보정 전류(ILV1, ILV2)의 피크간 크기는 수평 중심 정렬 인덕터(LC)와 2차 권선(43)간의 결합이 페라이트 코어의 상이한 선택을 변화시킴에 따라 가변할 수 있다.
래스터 보정 전류(ILV1, ILV2)(직렬 배치에서) 및 전류(ILV1, ILV2)(병렬 배치에서)는 자계를 발생하여 다운힐 주사 효과를 저지시키는 방향으로 제1 및 제2 수직 편향 권선(LV1, LV2) 각각을 통해 흐른다. 이렇게 수직 편향 전류는 수평 주파수로 변조되고 다운힐 주사 효과는 대체로 래스터의 각각의 수평 주사선에 대하여 상쇄된다.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되었지만, 본 발명은 그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범위 또는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하다는 것을 당업자라면 이해할 것이며,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 범위에 의해서만 정의된다.

Claims (8)

  1. 비디오 디스플레이 장치의 스크린에 래스터를 형성하는 편향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래스터의 상단과 하단 사이에서 주사용 전자빔을 편향시키는 수직 편향 코일(LV1, LV2)과,
    상기 스크린상에서 상기 래스터를 중심 정렬하는, 중심 정렬 인덕턴스(LC)를 갖춘 래스터 중심 정렬 회로(300)와,
    1차 권선용 상기 중심 정렬 인덕턴스와, 상기 수직 편향 코일에 결합되는 2차 권선(43a, 43b)을 갖는 래스터 보정 변압기(4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향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 편향 코일은 제1 수직 편향 권선(LV1) 및 제2 수직 편향 권선(LV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향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수직 편향 권선(LV1) 및 제2 수직 편향 권선(LV2)은 직렬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향 시스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수직 편향 권선(LV1) 및 제2 수직 편향 권선(LV2)은 병렬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향 시스템.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2차 권선(43a, 43b)은 상기 제1 수직 편향 권선(LV1) 및 제2 수직 편향 권선(LV2)과 직렬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향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직렬로 상호 접속되는 복수의 저항(R1, P1, R2)을 더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저항 중 하나는 상기 수직 편향 권선의 하나(LV1)에 결합된 단자를 갖고, 상기 복수의 저항 중 다른 하나는 상기 수직 편향 권선 중 나머지 하나(LV2)에 결합된 단자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향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저항 중 하나는 전위차계(P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향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2차 권선(43a, 43b)은 중앙 탭(47)을 포함하고,
    상기 중앙 탭은 상기 전위차계의 와이퍼(W)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향 시스템.
KR10-2000-7003782A 1997-10-10 1997-10-10 수평 중심 정렬과 관련된 수평 평행사변형 보정 회로 KR10048294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US1997/018328 WO1999020039A1 (en) 1997-10-10 1997-10-10 Horizontal parallelogram correction combined with horizontal centerin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30996A KR20010030996A (ko) 2001-04-16
KR100482943B1 true KR100482943B1 (ko) 2005-04-15

Family

ID=222618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7003782A KR100482943B1 (ko) 1997-10-10 1997-10-10 수평 중심 정렬과 관련된 수평 평행사변형 보정 회로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EP (1) EP1021915B1 (ko)
JP (1) JP3989681B2 (ko)
KR (1) KR100482943B1 (ko)
AU (1) AU4815297A (ko)
DE (1) DE69720079T2 (ko)
WO (1) WO199902003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568371B (zh) 2001-10-11 2014-06-04 爱科来株式会社 为了测定糖化胺的样品前处理方法和糖化胺的测定方法
CN1890379B (zh) 2003-12-12 2013-06-19 爱科来株式会社 糖化胺的测定方法
EP1878801B1 (en) 2005-05-06 2011-01-26 ARKRAY, Inc. Protein cleavage method and use thereof
WO2008018596A1 (fr) 2006-08-11 2008-02-14 Arkray, Inc. Marqueur d'hyperglycémie postprandiale, procédé de détermination et utilisation correspondants
US8008085B2 (en) 2007-01-30 2011-08-30 Arkray, Inc. Method of measuring HbA1c
US8273577B2 (en) 2007-01-30 2012-09-25 Arkray, Inc. Method for detecting phenothiazine-derivative color and color-developer reagent used therein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104353A (en) * 1981-08-14 1983-03-02 Philips Electronic Associated Television line deflection arrangement
US5162705A (en) * 1991-11-27 1992-11-10 North American Philips Corporation Dynamic focussing circuit for cathode ray tube and transformer for use therein
US5798621A (en) * 1996-03-18 1998-08-25 Thomson Consumer Electronics, Inc. Horizontal deflection circuit with raster correc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021915B1 (en) 2003-03-19
EP1021915A1 (en) 2000-07-26
DE69720079D1 (de) 2003-04-24
WO1999020039A1 (en) 1999-04-22
DE69720079T2 (de) 2003-09-11
JP3989681B2 (ja) 2007-10-10
JP2001520489A (ja) 2001-10-30
KR20010030996A (ko) 2001-04-16
AU4815297A (en) 1999-05-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228947B2 (ko)
KR100482943B1 (ko) 수평 중심 정렬과 관련된 수평 평행사변형 보정 회로
US6265836B1 (en) Image distortion compensating apparatus
KR100276487B1 (ko) 음극선관에 대한 집속 코일 전류 발생기
US5194784A (en) Raster correction circuit
US5350980A (en) Nonlinear inductor with magnetic field reduction
US5402044A (en) Raster distortion avoidance arrangement
EP0556035B1 (en) Deflection system
US5162705A (en) Dynamic focussing circuit for cathode ray tube and transformer for use therein
US6268706B1 (en) Horizontal parallelogram correction combined with horizontal centering
US4641195A (en) Scanning speed modulating apparatus for television receiver
US3803444A (en) Television display apparatus employing convergence correction
US4779030A (en) Television line output circuit
KR100508191B1 (ko) 비디오디스플레이장치용편향회로및수직편향회로
US5179322A (en) Linearity correction apparatus
US3733513A (en) Circuits for centering pictures on television screens
US4654564A (en) Saturable reactor with toroidal shunt paths
KR100515940B1 (ko) 전자빔 집속 전압 회로
US4084115A (en) Circuit for correcting setup error in a color television receiver
EP1142113B1 (en) Deflection circuits coupled via a filter
US6060846A (en) Diode modulator generating a line S-correction
MXPA00003425A (en) Horizontal parallelogram correction combined with horizontal centering
US20030057898A1 (en) Deflection current modulation circuit
KR820000746B1 (ko) 텔레비젼 수상기의 조정 오차 교정회로
GB2272340A (en) Video display deflection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32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