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20000712B1 - 저분자 유기가스 흡착재 포장물 - Google Patents

저분자 유기가스 흡착재 포장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20000712B1
KR820000712B1 KR7904053A KR790004053A KR820000712B1 KR 820000712 B1 KR820000712 B1 KR 820000712B1 KR 7904053 A KR7904053 A KR 7904053A KR 790004053 A KR790004053 A KR 790004053A KR 820000712 B1 KR820000712 B1 KR 8200007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omine
adsorption
molecular sieve
adsorbed
vegetabl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79040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후미이찌 오기노
Original Assignee
다쓰오까 스에오
다께다야꾸힝 고오교오 가부시기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쓰오까 스에오, 다께다야꾸힝 고오교오 가부시기 가이샤 filed Critical 다쓰오까 스에오
Priority to KR79040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82000071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200007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20000712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02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omprising inorganic material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Storage Of Fruits Or Vegetabl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저분자 유기가스 흡착재 포장물
본 발명은, 개량된 저분자 유기가스 흡착재 포장물에 관한 것이다. 종래, 브롬을 흡착시킨 활성탄 또는 브롬을 흡착시킨 탄소질 분자체(分子: Sieve mocecular)에 의해, 공기중에 함유되는 미량의 에틸렌 등의 저분자 유기가스를 제거할 수 있는 것이 알려져 있다.
이들 브롬흡착 분자체탄, 브롬흡착활성탄(이하 양자를 합해서 브롬흡착탄이라 칭할 때가 있다)은 에틸렌 등의 저분자 유기가스를 잘 흡착 제거하므로, 예를 들면 적과(摘果)후에서의 청과물의 선도유지제로서 사용된다.
즉, 에틸렌은 청과물 자체로부터 발산하는 식물 후숙(後熟)촉직물질로서 알려져 있는 것으로, 청과물을 판지골상자, 플라스틱 용기등의 밀폐용기에 채워서 수송, 보존할 경우, 청과물로부터 발산된 에틸렌이 용기내에 충만하여, 이것이 청과물의 과색, 숙도의 변화를 촉진시키게 되는데, 그 용기내에 상기 저분자 유기가스 흡착제를 존재시켜 두면, 에틸렌이 흡착제에 흡착되어, 청과물의 변색, 과숙을 방지한다.
그러나, 지금까지는 이들 브롬흡착탄은 통상의 종이, 천, 부직포등의 통기성 재료에 수용하거나, 또는 수용하지 않고, 노출된 채 청과물 수용용기에 넣는다는 방법이 채택되고 있다.
브롬흡착 탄소분자체 또는 브롬흡착 활성탄의 흡착브롬의 열적 안정성에 대해서는, 100℃정도까지는 흡착브롬의 탈리(脫離)는 전연 인지할 수 없으나, 물의 용출성에 대해서는 이 브롬흡착판이 물로 습윤된 경우, 탄소질 분자체 또는 활성탄이 촉매가 되어, 흡착브롬이 브롬화 수소로 되어서 용출한다.
이들의 현상을 청과물의 저장조건과의 관련에 있어서 검토해 보면, 저장온도는 통상 0-35℃이며, 이 온도역에서의 이 흡착제의 열적 안정성은 문제가 없으나, 청과물의 저장이 통상, 밀폐용기를 사용해서 행하여 지므로, 청과물의 호흡현상에 의해 밀폐용기내 습도는, 관계온도로 70-100%, 저장온도의 승강에 따라서는 결로(結露)형상을 수반하는 일이 많다.
이 경우, 이 브롬흡착탄이 습윤상태로 되어 흡착브롬이 브롬화 수소산으로서 용출하고, 이것이 청과물에 직접 부착하면 식품위생상 좋지 않다.
본 발명자들은 이 점에 비추어, 여러 가지로 연구한 결과, 이 용출브롬화 수소를 식품위생상 무해한 물질로 변환하고, 비록 이 브롬흡착탄이 습윤해서 흡착브롬이 브롬화 수소수로서 용출되는 경우에도 식품위생상, 하등 문제가 없는 흡착재의 포장물을 완성하였다.
즉 본 발명은, 브롬흡착 탄소질 분자체 및 고체의 알칼리성물질, 또는 브롬흡착 활성탄과 고체의 알칼리성 물질과를 접촉 혹은 접근상태에 수납한 저분자 유기가스 흡착재 포장물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브롬흡착 분자체탄은 4-6Å의 마이크로 공(孔)을 갖는 탄소질 분자체에 브롬을 흡착시키는 것에 의해 얻어진다.
상기 탄소분자체는, 탄소 90%이상, 산소 3%이하, 수소 1%이하의 원소조성을 가지며, 표면적이 400-9000㎡/g, 마이크로 공 전용적의 90%이상이 4-6Å(옹스토롬)의 구멍직경을 갖는 마이크로 공으로 된 것이다.
이 특수한 탄소질 분자체는, 예를 들면 특허공보 소 49(1974)-37036호에 기재된 방법, 즉, 중합 또는 축합하거나 중합 및 축합해서 페놀계수지 혹은 프란계 수지를 만드는 원료물질을 탄소흡착제에 흡착시켜 중합 또는 축합하거나 중합 및 축합시킨 후, 400-1000℃정도로 가열하는 것에 의해 얻을 수 있다.
탄소질분자체를 그대로 브롬흡착에 공여해도 된다.
이에 앞서 인산, 붕산 혹은 이들의 염류를 소량 처리시켜 두어도 되며, 이것들을 처리하므로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브롬흡착 분자체탄의 청과물선도 유지능력의 시간경과에 의한 열화(劣化)를 더욱 억제할 수 있다.
이들의 화합물의 처리법으로서는 적당한 농도의 수용액을 탄소질 분자체에 살포 흡수시키거나, 또는 수용액에 탄소질 분자체를 침지하여 액체상 흡착에 의해 처리할 수가 있다.
이들 화합물의 처리량은 통상 0.02-2중량%, 바람직하게는 0.05∼1 중량%이다.
탄수질 분자체에 흡착시키는 브롬의 양은 2-30중량%, 바람직하게는 5-20중량%이다.
탄소질 분자체에 브롬을 흡착시키는 방법으로서는 통상의 흡착법, 예를 들면,
① 브롬가스를 함유한 운반기체를 탄소질 분자체에 접촉시키므로서된 기체상 흡착법.
② 브롬수에 탄소질 분자체를 침지하므로서 된 액체상 흡착법, 혹은
③ 액체브롬을 탄소질 분자체에 직접 살포해서 흡착시키는 방법 등을 들 수 있으나, 그 중에서도 기체상 흡착법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 기체상 흡착법에 있어서는, 운반 기체로서는, 예를들면 공기, 질소, 탄산가스 등을 들 수 있다.
브롬가스와 운반기체와의 혼합비율은 통상 브롬가스의 농도가 30용량% 이하이지만, 0.05-2용량%이 바람직하다. 접촉온도는, 150℃이하, 바람직하게는 80℃이하이다.
또한, 흡착할 때에 흡착열이 발생하므로 온도가 150℃이상이 되지 않도록 접촉방법, 가스 및 흡착용기의 온도를 고려하는 것이 좋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서는 탄소질 분자체의 유동상(床), 이동상, 분류상 등에 브롬함유가스를 유통순환 접촉시키는 연속 기체상 흡착법의 들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브롬을 흡착해서 얻어지는 브롬흡착 분자체탄은, 이어서 브롬을 흡착해서 얻어지는 브롬흡착, 분자체탄은, 이어서 브롬을 함유하지 않은 운반기체를 100℃이하의 온도로 유착시켜서 흡착되어 있지 않은 브롬을 탈리시키는 것이 좋다.
액체상 흡착법에 있어서는, 브롬의 농도가 2∼3%정도의 브롬수에 온도 50℃이하, 바람직하게는 30℃이하에서 1∼10시간 정도 탄소질 분자체를 침지하고, 흡착종료 후 브롬을 흡착한 탄소질 분자체를 여과 등의 방법으로 꺼내서 건조하므로서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브롬흡착 분자체탄을 얻을 수 있다.
또 액체브롬을 탄소질 분자체에 살포하는 방법에 있어서는, 액체브롬을 직접 탄소질 분자체에 교반하면서 살포하고, 필요에 따라 건조하므로서 브롬흡착 분자체탄을 얻을 수 있다.
액체브롬을 살포할 때의 온도는 50℃이하로 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브롬흡착 활성탄으로서는, 목탄, 석탄, 야자 껍질 등을 원료로 해서 통상의 방법으로 제조되는 모든 활성탄을 전술한 기체상 흡착법, 액체상 흡착법 등의 정법수단에 의해 브롬을 흡착시킨 것이다.
고체의 알칼리성 물질로서는, 예를 들면 나트륨, 칼륨, 등의 알칼리 금속, 예를 들면 칼슘, 마그네슘, 발륨, 등의 알칼리 토류의 무기염, (탄산수소염, 탄산염등)수산화물, 유기산염, 의산염, 초산염, 구연산염, 주석산염, 등이며, 물에 녹아서 알칼리성 내지 약산성을 나타내는 산가용성 물질중, 고체상의 것을 말한다.
이 중에서도 물에 난용성인 물질이 바람직하고, 그 중에서도 칼슘, 마그네슘의 탄산염이 탄산칼슘, 탄산마그네슘이 가장 좋다.
이것들은 단독 혹은 혼합해서 사용할 수 있다.
브롬흡착탄과 고체의 알칼리성 물질을 포장물중에 접촉상태로 수납한 상태라는 것은, 예를 들면, 고체의 알칼리성 물질을 단독으로 분체상, 과립상 혹은 임의의 형으로 성형하거나, 다른 충전제 또는 결합제 예를 들면, 전분, 점토 등과 함께 반죽성형 혹은 파쇄(破碎)한 것은 상기 브롬흡착탄과 혼합한 상태, 고체의 알칼리성 물질과 브롬흡착탄을 필요에 의해 충전제 또는 결합제와 함께 봉쇄 성형한 상태 및 일본종이종이, 합성종이 등의 종이류, 면, 마 등의 직물류,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등의 부직포 등으로 된 통기성 재료를 이 알칼리성 물질의 용액 또는 현탁액에 침지하거나 이 통기설 재료에 알칼리성 물질의 용액 또는 현탁액을 분무 또는 도포한 후 건조해서, 이것을 적당한 형상의 주머니에 봉제, 열 용착, 풀칠 등의 수단에 의해 주머니를 만든 것에 상기 브롬흡착탄을 수납한 상태의 것을 들 수 있다.
이 브롬흡착탄과 고체의 알칼리성 물질을 접근상태로 수납한다는 것은, 예를 들면 이 브롬흡착탄층을 가운데로 하여, 통기성 재료를 개재해서 고체알칼리성 물질층을 샌드위치 구조로 포개거나, 브롬흡착탄층과 고체알칼리물층을, 통기성 재료를 개재해서 교호로 적층한 상태나, 고체의 알칼리성 물질을 수납한 통기성 포장물 중에, 브롬흡착탄을 수납한 통기성 작은주머니를 한 개 혹은 두 개 이상 수용한 상태 등을 들 수 있다.
고체의 알칼리성 물질의 사용량은, 통상 브롬흡착탄에 흡착되어 있는 브롬양의 중화 화학반응량의 1/5이상, 바람직하게는 중화화학반응량 이상이다.
또, 고체의 알칼리성 물질은 통상 브롬흡착탄의 3중량배 이하의 양으로 사용된다.
본 발명의 저분자 유기가스 흡착재 포장물은, 탄소수 2∼3의 올레핀류, 아세틸렌류를 브롬과 흡착하고, 또 탄수소 2∼3의 알데히드류, 황화알킬류를 산화 흡착하므로 공기 기타의 기체중에 함유되는 에틸렌, 프로필렌 등의 올레핀류, 아세틸렌 등의 아세틸렌류, 황화메틸, 황화에틸 등의 황화알킬 아세트 알데히드, 포름알데히드류를 흡착 제거하는데 적합하다.
본 발명의 흡착제 포장물을 사용해서 청과물의 선도 유지를 할 경우는, 청과물과 본 발명의 흡착제 포장물을 동일한 밀폐용기 내에 보존하므로서 이루어진다.
상기 밀폐용기로서는, 25℃에서의 탄산가스 투과도가 5,000∼100,000/ml/㎡/24시간, 바람직하게는 10,000∼70,000ml/㎡/24시간, 25℃에서의 산소투과도가 2,000∼50,000ml/㎡/24시간, 바람직하게는 3,000∼30,000ml/㎡/24시간의 포장재료로 밀폐된 것이 사용된다.
이와 같은 적성을 갖는 포장재료로서는,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EVA(에틸렌-초산비닐공중합체)등의 플라스틱 필름, 시이트 등을 들 수 있으며, 그 두께는 청과물의 종류, 양 등 여려 가지 조건에 따라 상이하나 통상 10∼100μ, 바람직하게는 15∼70μ정도이다.
포장형태로서는 포장재료를 주머니로 만들어 개구부를 고무밴드나 감으로 봉하거나, 열 접착 또는 손수건 식으로 접어개어서 이용하여도 된다.
수송면에서 보면 포장재료와 골판지 상자를 병용하거나, 또는 상기 포장재료를 판지에 래미네이트(laminate) 또는 샌드위치 형상으로 적층한 것으로부터 제조한 골판지 상자를 채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청과물의 선도유지는 밀폐용기내의 분위기가 상당한 영향을 끼친다. 밀폐용기 내의 분위기는 청과물의 종류 등에 따라 상이하나 탄산가스 농도가 2∼13%, 바람직하게는 4∼7%, 산소농도가 1∼15%, 바람직하게는 3∼8%, 관계습도가 70∼99%, 바람직하게는 75∼95%, 온도가 0∼35℃, 바람직하게는 0∼10℃로 유지하는 것이 좋다. 밀폐용기 내의 탄산가스 농도가 낮고, 산소농도가 높으면 충분한 CA효과(분위기의 산소농도, 탄산가스 농도를 조절하는 것에 의해 청과물의 호흡을 완만하게 해서 선도를 유지하는 효과)가 얻을 수 없게 되어, 선도유지효과가 작아진다.
반대로 밀폐용기 내의 탄산가스 농도가 높아져서, 산소농도가 낮아지면, 갈색으로 변색되는 등의 소위 가스 장해가 발생하거나, 알코올 발효하는 등의 장해를 볼 수 있다.
이 때문에 청과물의 종류, 양 등을 감안해서 용기내의 분위기가 상기 범위내에 들어가도록 포장재료의 종류 및 두께를 상기 범위내에서 적의 선택하는 것이 좋다.
흡착제 포장물에 수용하는 브롬흡착탄은 특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통상 10∼100g 정도, 바람직하게는 5∼50g정다이다.
흡착제 포장물의 밀폐용기내에 존재시키는 양은 청과물의 종류, 양 등에 의해 상이하나 청과물 10kg당 통상 10∼300g, 바람직하게는 20∼100g이다.
흡착제 포장물을 밀폐용기내에 존재시키는 형태로서는 특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흡착제 포장물을 청과물에 접촉시켜서 정치(靜置)하는 방법, 또는 밀폐용기 내벽에 고정하는 방법 등이 일반적이다.
본 발명은 모든 청과물에 사용할 수 있으나, 그 중에서도 사과, 배, 밀감, 감, 비파, 복숭아, 바나나, 포도, 버찌 등의 과실류, 예를 들면 토마토, 오이, 딸기, 서양고추 등의 과채류, 예를 들면 죽순, 표고버섯, 시금치, 부추, 양상치, 양배추 등의 야채류에 바람직하게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밀폐용기 내에 존재시키는 흡착제 포장물은 청과물에서 휘산하는 에틸렌, 알데히드류 알코올류중 에틸렌 등의 저분자 물질만을 선택적으로 흡착하기 때문에 소량으로도 에틸렌의 흡착제거효과는 장기간 지속하고, 또 에스테르 등의 방향성 물질을 거의 흡착하지 않기 때문에, 포장 개봉시에 청과물 특유의 방향을 유지할 수가 있다.
더우기 본 발명의 흡착재 포장물을, 습윤상태에 있어서도 브롬화 수소수가 직접 포장물 밖으로 나오는 일이 없다.
따라서, 예를 들면, 이 포장물을, 청과물, 생화(生花)등을 채운 포장케이스, 포대 등의 밀폐용기에 넣어서 그것등의 선도유지체로서 사용하였을 경우, 만일 포장물이 습윤 상태에 놓이게 되므로 브롬화 수소수가 청과물, 생화 등에 부착되는 것을 피할 수 있다.
또, 사용이 끝난 흡착제의 폐기에 대해서는, 이것을 수중에 폐기한 경우, 혹은 습윤품을 소각한 경우에도 유해한 브롬 및 브롬화 수소의 발생은 없으며, 안전하게 폐기물 처리가 가능하다. 즉, 예를 들면 알칼리 물질로서 탄산수소나트륨을 사용한 경우에는, 이 저분자 유기가스 흡착제가 습윤된 경우에는 흡착브롬은 브롬화 나트륨으로 변환되나, 이 브롬화 나트륨의 물성이 융점 755℃, 비점 1390℃로 열적으로 극히 안정하므로 통상의 소각 방법으로는 휘산하는 일이 없으며, 따라서 소각로의 부식 혹은 대기오염 등의 염려도 전연 없다.
이하 실시예를 기재하여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실시예 1]
입상시라사기(粒狀白鷺)MSC5Å(다게다야꾸힝고오교오(주)제의 탄소질 분자체 : 분석치 C : 95%, 0 : 2%, H : 0.8%, ash 1.5%, 표면적 600㎡/g, 마이크로 공전 용적에 대한 4∼6Å공경(孔經)의 용적율 93%을 운반체로 해서, 이것에 브롬을 기체상 흡착법에 의해 10중량% 흡착시킨 브롬흡착 탄소질 분자체를 조제하고, 이 흡착제 10g과 아사히가라스(주)제탄산수소나트륨 2g을 평량 50g/㎡의 폴리프로필렌제 부직포로 포대를 만든 크기 10cm ×10cm의 주머니에 혼합해서 수용하여 선도유지제로 한다.
이어서, 이 선도유지제를 45μ두께의 저밀도 폴리에틸렌 주머니 (크기 20cm ×20cm)에 증류수 40ml와 함께 넣어 밀봉해서, 25±2℃로 7일간 방치하고, 용출하는 브롬화 수소를 알칼리 적정법(titration)에 의해 양을 정하여, 표 1의 결과를 얻었다. 또한 대조예로서 상기 브롬흡착 탄소질 분자체 10g만을 상기 폴리프로필렌제 부직포 주머니에 수용해서, 마찬가지로 처리하여 정량 비교 하였다.
[표 1]
Figure kpo00001
[실시예 2]
레이온 50% 폴리프로필렌 50%제 부직포 주머니(평량 50g/㎡)를 아사히가라스(주)제 탄산수소나트륨의 100g/l수용액에 함침후 건조한 것으로 주머니를 만들어 이것에 실시예 1에서 조제한 브롬 흡착 탄소질 분자(주머니크기 10 ×10cm)체 10g을 수용하고, 실시예 1과 같이, 45μ두께의 저밀도 폴리에틸렌 주머니에 증류수 20ml와 함께 넣고, 밀봉하여 65시간후 용출브롬화 수소의 유무를 알칼리 적절법에 의해 조사하였다.
또한, 여기서 사용한 부직포의 탄산수소나트륨 함침량은 30g NaHCO3/㎡이었다.
측정결과는 표 2와 같았다.
[표 2]
Figure kpo00002
[실시예 3]
아사히가라스(주)제 탄산수소나트륨 : 100부에 대하여, 아사히가세이 고오교오(주)의 미결정 셀룰로오스 “아비셀”:10부, 증류수 20부를 혼합해서, 소형 전동(轉動) 조립기에 의해 성형 후 건조하여 10∼20메시의 성형물을 얻었다.
이 성형물 1.5g을 실시예 1에서 조제한 브롬화 흡착탄소질 분자체 10g과 함께 평량 50g/㎡의 폴리프로필렌제 부직포 주머니(크기 10cm ×10cm)에 수용하고, 실시예 1과 같이 25 ±2℃로 7일간 방치 후, 용출하는 브롬화 수소의 유무를 알칼리 적정법에 의해 조사하여, 표 3의 결과를 얻었다.
[표 3]
Figure kpo00003
[실시예 4]
레이온 20%, 그래프트펄프 50, 폴리프로필렌 30로 된 종이(평량 50g/㎡)에 구연산 나트륨의 500g/ℓ수용액 120ml를 분무한화 건조하여, 구연산 나트륨 60g/㎡함유의 종이를 만들고, 이것으로 크기 10cm ×10cm의 주머니를 만들었다.
이 주머니에 실시예 1에서 조제한 브롬흡착 탄소질 분자체 및 BET표면적 1200㎡/g의 4내지 6메시의 입상활성탄을 운반체로 해서 이것에 브롬을 기체상 흡착법에 의해 10중량% 흡착시킨 브롬 흡착활성탄을 각각 10g을 수용하고, 저분자 유기가스 흡착제 포장물을 만들었다.
이어서, 이 흡착제 포장물을 200ml의 콜버언에 넣고, 증류수 50ml를 가해서 실온에 24시간 방치한 후 용출브롬화 수소의 유무를 알칼리 적정법에 의해 정량하여 표 4의 결과를 얻었다.
[표 4]
Figure kpo00004
[실시예 5]
실시예 4에서 사용한 종이에 초산칼슘의 400g/ℓ수용액 150ml를 분무한 후 건조하여, 초산칼슘 60g/㎡함유한 종이를 만들고, 이것으로 크기 10cm ×10cm의 주머니를 만들었다.
이 주머니에 실시예 1에서 조제한 브롬흡착탄소질 분자체 및 실시예 4에서 조제한 브롬흡착 활성탄을 각각 10g을 수용하고, 저분자 유기가스 흡착제 조성물을 만들었다.
이어서 그 흡착제 포장물을 200ml의 콤버언에 넣고, 증류수 50ml를 가해서 실온에서 24시간 방치한 후, 용출브롬수소의 유무를 알칼리 적정법에 의해 정량하여, 표 5의 결과를 얻었다.
[표 5]
Figure kpo00005
[실시예 6]
실시예 1에서 조제한 브롬흡착 탄소질 분자체 및 실시예 4에서 조제한 브롬흡착 활성탄의각 10g을 평량 50g/㎡의 폴리프로필렌제 부직포 주머니(크기 10cm ×10cm)에 표 6에 표시한 알칼리 물질과 함께 수용하여 저분자 유기가스 흡착제 포장물을 만들었다.
이어서, 이들 흡착제 포장물을 200ml콤버언에 각각 넣어, 증류수 50ml를 가해서 실온에서 48시간 방치한 후 용출 브롬수소의 유무를 알칼리 적정법에 의해 정량하여 표 7의 결과를 얻었다.
[표 6]
Figure kpo00006
[표 7]
Figure kpo00007
[실시예 7]
실시예 1에서 사용한 탄소질 분자체, 입상시라사기 MSC5A에 탄산나트륨의 200g/ℓ 수용액 35ml를 분무후 건조하고, 탄산나트륨 7.0 중량%함유 탄소질 분자체를 조제하고, 이것을 운반체로 하여 브롬을 기체상 흡착법에 의해 10중량% 흡착시킨 브롬흡착 알칼리 함유 탄소질 분자체를 조제하였다.
이 흡착제 10g을 평량 50g/㎡의 폴리프로필렌제 부직포 주머니(크기 10cm ×10cm)에 수용하여 저분자 유기 가스 흡착제 포장물을 만들었다.
이어서 이 흡착제 포장물을 200ml콜버언에 넣어, 증류수 100ml을 가해서 30분간 끓인 후 여과하고 여액에 대해서 안칼리 적정법에 의해, 용출브롬화 수소의 유무를 측정하였으나 브롬화 수소는 검출되지 않는다.
[실시예 8]
무수탄산 칼슘과 산성백토의 등량(等量)혼합물을 물을 접합체로 해서 반죽하여, 소형 압출성형기로 성형한 후 건조하여 5내지 8메시의 성형물을 조제하였다.
이 탄산칼슘 성형물 2.5g을 실시예 1에서 조제한 브롬흡착 탄소질 분자체 및 실시예 4에서 조제한 브롬흡착 활성탄의 각각 10g과 함께 평량 50g/㎡의 폴리프로필렌제 부직포 주머니(크기 10cm ×10cm)에 수용하여 저분자 유기가스 흡착제 포장물을 만들었다. 이어서 이들 흡착제 포장물을 200ml콜버언에 넣어, 증류수 50ml를 가해서 실온에서 24시간 방치한 후 용출브롬화수소의 유무를 알칼리 적정법에 의해 정량하여 표 8의 결과를 얻었다.
[표 8]
Figure kpo00008
[실시예 9]
무수수산화칼슘과 산성백토의 등량혼합물을 물을 접합체로 해서 반죽하여, 소형압출성형기로 성형한 후 건조해서 5내지 8메시의 성형물을 조제하였다.
이 수산화칼슘 형성물 2.0g을 실시예 1에서 조제한 브롬흡착 탄소질 분자체 및 실시예 4에서 조제한 브롬흡착 활성탄의 각 10g과 함께 평량 50g/㎡의 폴리프로필렌제 부직포 주머니(크기 10cm ×10cm)에 수용하여 저분자 유기가스 흡착제 포장물을 만들었다. 이어서 이들 흡착제 포장물을 200ml콜버언에 넣어 증류수 50ml를 가해서 실온에서 24시간 방치한 후 용출브롬화수소의 유무를 알칼리 적정법에 의해 정량하여 표 9의 결과를 얻었다.
[표 9]
Figure kpo00009

Claims (1)

  1. 브롬흡착 분자체탄 및 브롬흡착 활성탄과 고체의 알칼리성물질, 브롬흡착 분자체탄 또는 브롬흡착 활성탄과 고체의 알칼리성 물질과를 접촉 혹은 접근상태로 수납한 저분자 유기가스 흡착재 포장물.
KR7904053A 1979-11-20 1979-11-20 저분자 유기가스 흡착재 포장물 KR8200007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904053A KR820000712B1 (ko) 1979-11-20 1979-11-20 저분자 유기가스 흡착재 포장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904053A KR820000712B1 (ko) 1979-11-20 1979-11-20 저분자 유기가스 흡착재 포장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20000712B1 true KR820000712B1 (ko) 1982-04-30

Family

ID=192135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7904053A KR820000712B1 (ko) 1979-11-20 1979-11-20 저분자 유기가스 흡착재 포장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20000712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80794B2 (en) Adsorption of volatile organic compounds derived from organic matter
US4256773A (en) Brominated carbonaceous molecular sieve and method of use therefor
CN202807462U (zh) 一种果蔬保鲜药包
WO2006041608A1 (en) Sodium pemanganate ethylene absorption agent
EP0261422B1 (en) Method for adsorbing and decomposing ethylene and/or other odorous substances present in air or other odor-generating sources
KR20030005283A (ko) 습도에 민감한 조성물
KR0130460B1 (ko) 산소 흡수제 및 그의 제조방법
JP2020516549A (ja) 包装材料
KR820000712B1 (ko) 저분자 유기가스 흡착재 포장물
JPH02307528A (ja) 吸水シートの製造方法
WO2014144481A1 (en) Reactive ethylene absorber
KR820001404B1 (ko) 청과물의 선도유지법
JPH03297347A (ja) 鮮度保持剤
JPH02113849A (ja) 鮮度保持剤
JPS58209934A (ja) 食品の鮮度を保持する包装方法および包装材料
CN109315483A (zh) 一种蔬果保鲜剂及其用途
JPH11207177A (ja) 脱酸素剤
JPS62262944A (ja) 青果物の鮮度保持剤
CN109315484A (zh) 一种蔬果保鲜剂的制备方法
JPH0424019B2 (ko)
JPH0120842B2 (ko)
JPH01247032A (ja) 青果物及び花卉類の鮮度保持方法
JP2943155B2 (ja) 脱酸素剤
KR20200071319A (ko) 농산물 신선도유지흡착제 제조방법 및 이를 통해 제조된 흡착제
JPS62220178A (ja) 食品等の保存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