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20000380B1 - 가요성회로 땜납 장치 - Google Patents

가요성회로 땜납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20000380B1
KR820000380B1 KR7803750A KR780003750A KR820000380B1 KR 820000380 B1 KR820000380 B1 KR 820000380B1 KR 7803750 A KR7803750 A KR 7803750A KR 780003750 A KR780003750 A KR 780003750A KR 820000380 B1 KR820000380 B1 KR 8200003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lder
metal plate
chamber
steam
vap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78037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휴고 암맨 한스
아크맨 오이엔 미챠엘
Original Assignee
알. 씨. 윈터
웨스턴 일렉트릭 컴파니,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7802047A external-priority patent/KR820000379B1/ko
Application filed by 알. 씨. 윈터, 웨스턴 일렉트릭 컴파니,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알. 씨. 윈터
Priority to KR78037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82000038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200003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200003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30Assembling printed circuits with electric components, e.g. with resistor
    • H05K3/32Assembling printed circuits with electric components, e.g. with resistor electrically connecting electric components or wires to printed circuits
    • H05K3/34Assembling printed circuits with electric components, e.g. with resistor electrically connecting electric components or wires to printed circuits by soldering
    • H05K3/3494Heating methods for reflowing of sold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1/00Soldering, e.g. brazing, or unsoldering
    • B23K1/012Soldering with the use of hot gas
    • B23K1/015Vapour-condensation soldering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03Use of materials for the substrate
    • H05K1/0393Flexible material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30Assembling printed circuits with electric components, e.g. with resistor
    • H05K3/32Assembling printed circuits with electric components, e.g. with resistor electrically connecting electric components or wires to printed circuits
    • H05K3/34Assembling printed circuits with electric components, e.g. with resistor electrically connecting electric components or wires to printed circuits by soldering
    • H05K3/3457Solder materials or compositions; Methods of application thereof
    • H05K3/3473Plating of solder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3/00
    • H05K2203/04Soldering or other types of metallurgic bonding
    • H05K2203/043Reflowing of solder coated conductors, not during connection of components, e.g. reflowing solder past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3/00
    • H05K2203/07Treatments involving liquids, e.g. plating, rinsing
    • H05K2203/0756Uses of liquids, e.g. rinsing, coating, dissolving
    • H05K2203/0776Uses of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H05K2203/0759 - H05K2203/0773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3/00
    • H05K2203/15Position of the PCB during processing
    • H05K2203/1545Continuous processing, i.e. involving rolls moving a band-like or solid carrier along a continuous production pat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lectric Connection Of Electric Components To Printed Circuit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가요성회로 땜납 장치
제 1 도는 다수의 전기 도전 모형들과 도급된 관통홈들을 갖는 유연성 회로를 보인 도면.
제 2a 도는 땜납 순환 방법을 도해하는 간략화한 실시예.
제 2b 도는 제 2a 도와 모든 동일 도면내에 사용되는 명암법 부호를 결정하는 도면.
제 3 도는 땜납 순환 방법을 도해하는 간략화한 또 다른 실시예의 도면.
제 4 도는 땜납 순환 방법을 실시하는데 사용되는 특히 사면 조정 능력 특징과 용이한 관통 특징을 도해하는 땜납 순환 장치의 사시도.
제 5a 도는 땜납 순환 방법을 실시하도록 땜납 순환 장치내에 이용되는 여러 실과 롤러들을 도해하는 제 4 도의 선 5A-5A를 따른 단면도.
제 5b 도는 개집과 같은 냉각 배열을 도해하는 제 5a 도의 선 5B-5B를 따른 단면도.
제 6a 도는 주 냉각기 조정 능력, 사면 조정, 그리고 급속한 장력 제어 및 구동 시스템 특징들을 도해하는 도면.
제 6b 및 6c 도는 또다른 냉각기 조정 능력을 보이는 부분 절취도면.
제 7 도는 유용 액체의 탄환에 협조하도록 그 장치의 입구 및 출구 양쪽에 사용되는 와이러 장치들을 도해하는 부분 절취도면.
제 8 도는 유동액의 생존시간을 증가시키도록 균일한 가열온도를 유지시키고 가열 소자들의 온도를 최소화시키기 위한 실리콘 제어 정류기 회로도.
본 발명은 땜납 순환 공정을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며 특히 열 전달 유체의 무시할만한 손실로서 땜납 도급되는 연속 가요성회로 금속판(Web)들을 순환시키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포화된 뜨거운 증기들을 사용함으로서 인쇄된 회로들상에 땜납을 순환동작시키기 위한 여러가지 방법들이 소개되었었다.
그러한 방법들 중 하나는 1970년 8월 제3호 볼륨 13아이 비엠 기술초록 편람(IBM Technical Disclosure Bulletin) 639페이지에 소개된 이. 지. 딩맨(E.G.Dingman)의 논문명칭 "용제 증기 땜납 순환"내에 간단히 설명되어 있다. 딩맨씨는 열에 민감한 재료들 및 성분들로서 땜납 제작업 공정들을 가능하도록 높은 열도전율을 갖는 적은 면적으로 열을 신속하게 선택적으로 가하도록 끓는 용제를 사용하는 것이 기술되어 있다. 딩맨씨는 크고 연속적인 가요성 회로 금속판들을 취급하고 끓는 용제의 손실에 대한 문제들을 기술하지 않았다는 것을 용이하게 알 수 있다.
인쇄회로들을 연속적으로 취급하기 위한 한 방법은 미국특허 제3,866,307호에 기술되어 있다. 이 방법에서 각 회로 기판들은 콘베어상에 적제되어 값비싼 유체와 금속판 땜납조의 포화된 뜨거운 증기를 내포하는 용기를 통해 통과된다. 각 회로기판들은 증기에 의해 가열되며 콘베어 현수선의 저지점에서 땜납 금속판을 스쳐지나 간다. 그러한 방법으로부터 야기되는 문제는 그 현수선의 저지점에서 땜납이 고이는 경향이 있는 것이다. 또 다른 문제는 값비싼 유체를 보유하려고 시도함에도 불구하고, 상당량이 콘베어와 회로기판들 자체를 따라 저장소로부터 끌려나온다.
미국특허 제3,904,102호 내에 기술된 또다른 방법은 최초의 증기 영역정상에 별로 비싸지 않은 증기 담요를 사용함으로서 값비싼 유체의 손실을 감소시키려고 시도하였다. 이러한 방법의 한 실시예는 일련 공정기술을 이용한다. 한 집단의 인쇄회로들은 최초의 증기영역과 둘째의 증기담요를 포함하는 저장소내로 내려간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콘베어가 그 증기 영역으로 개별회로들을 이송한다. 그러나 두 실시예에서는 여전히 값비싼 최초의 유체가 상당량 손실된다. 더우기 그 제2실시예는 여전히 땜납 집결시킬 때 손실이 있다. 그 제1실시예는 분명히 인쇄회로들의 연속적인 금속판들을 취급하기 용이하지 않다.
미국특허 제3,737,499호에는 뜨거운 증기를 사용하는 어느정도 관련된 응용방법이 기술되어 있다. 그 방법은 제품의 부품들 상에 플라스틱 표면들을 수정하기 위해 사용된다. 각 플라스틱 부품은 하나 이상의 증기 영역들을 갖고 있는 다중 격실내로 삽입된다. 가열된 증기들은 플라스틱 부품들의 표면들 상에 충돌되어 결점있는 표면을 제거하여 매끄러운 표면이 되도록 계속하여 적어도 분자층을 분해한다. 상기에 언급한 다른 방법과 같이 이것도 역시 금속판 통풍공을 통해 증기재료가 손실된다.
다음 종류의 문제점들은 본 발명에 의해 제거된다.
본 발명은 땜납속에 담그지 않고 연속적인 가요성 회로 금속판상에 땜납 순환 동작들을 충족시켜준다. 땜납 순환 동작중 금속판 면적의 뒤틀림은 없어진다.
본 발명은 땜납 순환 공정에 의해 유전성이 저하되는 가능성이 감소된다.
식각공정중 땜납 조각들은 전혀 생성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땜납 도급공정중 인쇄회로내에서 땜납에 의해 브리지될 수 있는 가능성을 제거시켜 준다.
본 발명은 가요성 회로들의 양호한 땜납능력 가용성 회로의 용이한 가시검사 그리고 가요성 회로들의 양호한 땜납능력 가요성회로의 용이한 가시 검사 그리고 가요성 회로들의 개선된 외형을 제시해 준다.
본 발명은 완전히 제거되지는 않지만 금속판 통풍공, 확산 및 대류로부터 야기되는 값비싼 작업유체의 손실을 명백히 감소시킬 수 있음이 판명되었다.
본 발명은 가요성 회로 금속판이 입구에서 증기확산 응기판(trap)과 출구에서 액체 밀봉장치를 갖는 제2실 내로 들어가는 순환가능 땜납 도금 가요성회로 금속판을 처리하기 위한 장치의 양호한 실시예를 실현시킨다. 가요성 금속판의 온도는 땜납 공용 온도이하의 온도로 제1실내에서 제어된다. 더욱이 제1실내에는 증기-공기 중간이하의 지점에서 응축되는 증기를 수집하는 제2실내로 들어가도록 평면위치로 가요성 회로금속판을 위치시키기 위한 장치가 설비되어 있다. 이러한 응축되는 증기는 액체 밀봉 장치에 의해 제2실내에 국한된다. 제2실내로 들어갈시 가요성회로 금속판은 땜납 공융 온도 이하에서 가요성회로 금속판을 추후에 증기 증발방식으로 냉각시키는 공정에 도움이 되도록 응축박판을 가요성 회로 금속판상에 유지시키는 동안 땜납을 용융시키고 순환시키도록 충분한 시간동안 냉각되는 증기에 노출된다. 가요성회로 금속판상의 응축이 나머지 분은 다시 포획된 후 그 가요성회로 금속판은 출구를 통해 이동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한 특징은 가요성 회로 금속판의 액체 밀봉장치를 통해 통과하는 동안 예열 공정을 받는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특징은 액체 밀봉 장치가 그 장치의 내부에 값비싼 작업유체의 증기를 국한시키고 땜납을 응축되는 증기내로 들어가기 이전에 공용 온도이하로 유지시켜 준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특징은 가요성 회로 금속판이 증기영역을 통해 통과하는 동안 평면위치로 낮은 금속판 장력에 위치되므로서 그 금속판상의 땜납 pooling을 실제로 제거한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특징은 땜납 순환 동작중 산화 위기에 있지 않는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특징은 용해 공정과 그 다음 제거공정이 제거된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특징은 충분한 증기 응축박막이 순환되는 땜납을 재분산시키는 표면들과 기계적으로 접촉하기전에 그의 공용 온도 이하로 순환되는 땜납을 증기 증발식으로 냉각시키는 것을 실질적으로 협력하도록 증기 영역으로부터 나간후 가요성회로 금속판상에 보유된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특징은 증기실의 입구측에 있는 액체 밀봉장치 그리고 증기실의 출구측에 있는 다수의 재가열 롤러틀과 확산 응기판이 금속판 통풍공을 통해 값비싼 유체가 손실되는 것을 방지해주는 것이다.
또다른 특징은 다수의 재가열 롤러들과 확산 응기판들은 연속적인 가요성회로 금속판상에 잔여 응축분을 재포획하여 재사용한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특징은 용접장치가 그의 저장소로 재포획된 작업유체의 귀환을 용이하게 하도록 그리고 땜납부족량을 조립하도록 수평에 대해 그 금속판의 평면위치를 10내지 30도 범위내에서 그의 출력을 상승 및 타락시킬 수 있어 유리하다는 것이다. 특히 사면을 포함하는 그 장치의 파라메터들은 광범위한 속도범위에 걸쳐 다양한 가요성 회로들을 처리하도록 조정될 수 있어 유리하다는 것이다.
제 1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요성 회로 금속판 100은 도전성 금속박 모형 102이 접속되는 유전체 기판 101로 구성된다. 그 도전성 금속박 모형 102는 다수의 전기회로 부품들(도시않됨)중 전기회로 연결에 이용된다. 도전성 금속박 102는 가요성회로 금속판 100의 한측면이나 양측면상에 편리하게 접속될 수 있다. 양측면 회로들 상에는 도전성 금속박 102의 모형들은 일반적으로 예를들면 하나이상의 도급된 관통홈들에의해 상호 연결된다.
가요성 인쇄 회로들을 제조함에 있어서, 땜납 피복 104는 여러 이유들 때문에 도전성 금속박 102의 상단에 코팅된다. 첫째, 여러 응용에서, 땜납 피복 104는 식각저항으로서 사용된다. 땜납 피복 104의 식각저항 응용시에, 도전성 금속박 102의 연부들 근처에서 종종 하부까지 식각된다. 이것은 도전성 금속박 102로부터 외향으로 돌출하는 땜납 설편을 남기게 된다. 그러한 설편들은 취급중이나 차기 공정중 부서지기 쉬우며 조각들이 생기기 쉽다. 이러한 땜납 조각들은 전기 회로들간에 단락이 생기기 쉬우므로 회로고장의 원인이 된다. 둘째, 땜납 피복 104는 도전성 금속박 102의 산화나 부식을 방지함으로서 이러한 메카니즘에 의해 회로고장 가능성이 감소된다. 셋째, 땜납 피복 104는 차기 땜납 조립공정들중 회로의 땜납접착력을 증강시켜준다.
땜납의 표면장력 특성에 의해 순환 납땜 이행은 땜납설편들이 용접시에 도전성 금속박 102상에 들리게 된다. 순환납땜의 다른 장점은 양측면 회로들상에서 땜납이 도전성 금속박 102내의 간극들을 때때로 브리지시켜 준다는 것이다. 이러한 땜납 브리지들은 추후 고장될 수 있는 회로들내의 결함들을 감춰질 수도 있다. 땜납 순환은 이러한 브리지들을 제거시키며 가능한 회로 결함들을 노출시켜 준다.
땜납 순환은 또한 땜납에 잠기는 정도를 감지하기 위한 장치를 갖추고 있다. 결국 다른 공정에서의 허용동의 척도가 된다. 땜납 순환의 또다른 장점은 회로의 외양을 개선하는데 도움이 됨으로서 고객에게 호감을 앙양시킨다는 것이다.
제 2a 도에 도해된 것은 땜납순환 장치 110의 간략화한 실시예이다. 이렇게 간략하게 설명하므로서 땜납순환방법의 상세한 것을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다. 그 땜납순환장치 110은 상부 121, 하부 122 그리고 한쌍의 측벽들 123 및 124를 갖는 봉함 120으로 구성된다. 나머지 두측벽들은 설명의 편의상 도시않는다. 조절판 125는 하부 122의 중간지점으로부터 상부 121로부터 격리되어 떨어져있는 지점으로 상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또다른 조절판 12b이 상부 121의 중간지점으로부터 하무 122에서 격리되어 설치된 지점으로 하향으로 연장 되어 있다. 조절판 125와 126은 봉함 120을 4개의 한정 격실로 분리한다. 이 격실들은 이후 개념 설명상 제1 및 제2통(sump) 127 및 128과 제2 및 제2실 130 및 131로 호칭된다. 실 130에는 통 127과 통 128의 일부분이 걸쳐 있다. 실 131은 통 128의 나머지 것들을 걸쳐놓고 있다. 각 실 130과 131은 상부 121 근처에서 제각기 그와 함께 연결된 출구 132와 133을 갖고 있다. 통 128내의 하부로부터 떨어져 설치된 것은 롤러 129이다.
순환될 땜납의 액체온도의 초과시에 대기압력에서 충분히 비등점을 갖는 단일 비침식성 작업유체 140은 전술한 바와 같이 차폐판 125에 의해 서로 격리된 통 127과 128내에 들어 있다. 차폐판 125는 일반적으로 분리된 통 127과 128내에 포함되는 작업유체 140을 보유시킨 만큼 충분한 높이를 갖고 있다. 그러나 차폐판 125는 통 128내의 작업유체 140의 일부가 통 127내로 넘칠 정도의 높이를 갖고 있다. 통 127내에 위치된 가열소자들 141은 공기보다 더 농후한 증기를 생성하도록 작업유체 140을 끓었다. 그결과 증기는 실 130에 부분적으로 채워져 증기영역를 형성한다. 그 증기영역 142의 높이는 측벽 123과 차폐판 126각각을 따라 다수의 응축기 소자들 143과 144에 의해 실 130내에서 제어된다.
제 2a 도에 도해된 바와같이, 가요성 회로 금속판 100을 금속롤러 150을 통과하여 실 131내의 출구 133으로 들어가 작업유체 140을 지나 롤러 129 주위를 돈다. 통 128내의 작업유체 140의 온도는 온도제어소자 138에 의해 금속판 100상에서 땜납피복 104의 땜납공융온도 이하로 유지된다. 그러나 그 온도는 금속판 100을 어느정도 예열시키기에 충분한 높이의 온도이다.
롤러 129를 돌아 통과한후, 땜납피복된 금속판 100은 증기영역 142내로 통과된다. 증기영역 142내의 가열된 증기는 비교적 차거운 금속판상에서 응축된다. 그에 의해 땜납액상 온도이상의 온도로 금속판 100을 효과적으로 가열되여, 땜납피복 104를 용융시킴으로서 재순환될 수 있다. 순환중, 금속판 100은 수명에 대해 선택적인 각도로 평면 위치로 이동된다. 이 위치는 순환후 땜납 피복 104가 용융상태에 있는 동안 일반적으로 균일한 두께를 유지되도록 해준다.
증기영역 142를 통해 통과한 다음, 가요성 회로금속판 100은 냉각소자 139, 확산 트랩 134를 통과해서 제1실 130내의 출구 132를 통해 나간다. 여기서 금속판 100은 냉각된 풀림롤러 151을 지나 권취릴(도시않됨)을 통과한다. 풀림롤러 151의 냉각은 공지된 방법으로 한다. 그러므로 그러한 냉각에 대한 상세한 것은 설명하지 않겠다. 땜납을 오염시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금속판 100이 풀림롤로 151과 접촉하기전에 냉각을 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증기 영역 142를 통해 통과한 후, 개량의 증기응축분은 금속판 100이 실 130내에서 있는 나머지 시간동안 그 응축박막은 그의 공융 온도 이하로 순환되는 땜납을 증기증발적으로 냉각시킨다.
출구 132와 133을 통하여 작업유체 140의 증기가 탈출되는 것을 출구 132와 133 근처에 위치된 증기확산 트랩들 134와 135에 의해 방지한다. 확산 트랩들 134와 135는 이 시점에서 지나친 상세 설명이 필요없으므로 제 2a 도와 3 도에 간단한 구도로 도시되어 있다.
확산트랩들 134와 135의 좀더 특수한 구조는 제 5 도를 참고로 설명될 것이다.
제 3 도에 도시된 또다른 실시예에서, 가요성 회로 금속판 100은 측벽 123내의 입구 132를 통하고 확산트랩 134를 통해 실 130내로 롤러 150을 거쳐 공급된다. 실 130내로 금속판 100이 들어갈 때, 그것은 증기 영역 142에 노출된다. 그 뜨거운 증기는 금속판 100상의 땜납피복 104를 용융시켜 주므로 그 땜납은 다시 순환될 수 있다. 증기 영역 142을 통하여 통과한 다음 금속판 은통 128로부터 실 130을 분리시키는 출구 136에 있는 액체 밀봉장치 137을 통해 통과한다. 한편 통 128내에서 금속판 100은 냉각소자 145를 통해 통로에 의해 냉각된다.
금속판 100이 증기영역 142를 통과하는 동안 평면위치에 유지되도록하기 위해, 통 128내의 위치 설정롤러 129를 이용한 공정방식이 진행되는 동안 금속판 100의 위치를 제어하도록 롤러 150과 접속하여 사용된다. 제 2a 도에 도해된 실시예에서는 동일한 위치 설정효과가 롤러 151에 의해 달성된다는 것을 주지 한다.
추가의 냉각장치는 롤러 129근처의 금속판 100의 다음 통로에 제공된다. 따라서 통 128로부터 반출할시에 금속판 100상의 땜납피복은 그의 공융온도 훨씬 이하에 있다. 이러한 점에서 금속판 100은 실 131로부터 확산트랩 135를 통해 출구 133밖으로 나간다. 여기서 금속판 100은 롤러 151을 통과하여 권취리일(도시않됨)에 의해 권취된다.
제 2a 도와 3 도에서 도시된 실시예와는 관계없이, 중요한 특징의 하나는 증기영역 142를 금속판 100이 지나갈때 금속판 100은 평면위치로 유지된다. 이러한 위치는 순환공정을 뒤따라 금속판 100상의 땜납피복 104의 두께를 비교적 일정하게 보장해 준다. 다른 특징은 기름통 127과 128사이에 액체밀봉장치 137의 사용이 작동 유체 140의 증기손실을 방지하는데 크게 기여한다. 입구의 배출구 132와 133에서의 확산트랩 134와 135는 작동 유체 140의 손실량을 감소시키는 것을 돕는다.
땜납순환공정을 수행하는데 사용되는 장치 110의 양호한 실시예가 개략적인 형태로 제 4 도에 도시되어 있다. 장치내의 여러실을 통과하는 가요성 회로금속판 100이 빠져나가는 것을 돕기위한 장치 110에 대해 특별히 도해되어 있다. 수평면과 금속판 100을 포함하는 평면사이의 각을 조절하는 장치의 반대쪽 끝에 대하여 장치 110의 일단을 상승 및 하향시키는 장치가 또한 특별히 도시되어 있다.
장치 110속의 여러 통들을 통하여 가요성 회로 금속판 100이 빠져나가는 것을 돕도록 한쌍의 풀리 154와 155가 측벽 123에 부착된다. 로울러 150의 끝에는 공전 풀리 156과 157이 그리고 로울러 151의 끝에는 풀리 160과 161이 정상부 121에 부착된다. 추가의 공전 풀리 158과 159는 측벽 124에 부착된다. 유사한 공전풀리(도시않됨)는 장치 110의 내부의 로울러 129, 167,168과 169의 끝부분에 부착된다.
연속적인 가요성 수송 부재 162가 풀리 154,156,158과 160 주위에 감겨있고, 비슷한 수송 부재 163이 풀리 155,157,159와 161의 주위에 감겨있다. 수송부재 162와 163은 흔히 연속적인 케이블, 체인 또는 그 유사한 것이면 좋다.
수송 부재들 162와 163을 구동시키기 위해서, 구동 풀리 147의 기장을 따르는 중간지점에서 부착된 축 149는 풀리 154와 155에 짝지워진다. 측벽 123에 설치된 모터 146이 구동벨트 148에 의해 구동풀리 147에 짝지워진다. 모터 146이 작동하면, 축 149가 회전하며, 이 회전은 장치 110속의 여러 통들을 실어 빠지듯 횡단하도록 수송 부재 162와 163을 수송한다.
수송부재 162와 163은 막대 165에 짝지워진다.
막대 165는 수송부재 162와 163이 조여지면, 가요성 회로 금속판 100이 그 주위에 감겨지고 그 자신에 체결되게 해준다. 모터 146이 작동하면 금속판 100은 장치 110의 막대 165와 수송부재 162와 163을 통하여 이송된다. 가요성 회로 금속판 100이 한번 장치 110속의 여러통을 지나 실처럼 삽입되고 모터 146은 정지되며 막대 165는 수송부재 162와 163으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그후에, 가요성 회로 금속판 100은 권취리일(안보임)과 연결될 수 있다. 금속판 100은 장치 110속에 실처럼 삽입되는 즉시, 땜납 순환 공정은 두 금속판이 함께 체결장치에 의해 회로금속판 100을 다른 금속판에 고착함으로서 간단히 연속적으로 될수 있다.
장치 110의 일단을 상승 및 하락시키기 쉽도록 추후 명백해질 목적으로, 장치 110은 피보트 171에 의해 프레임 170에 부착되는 하부연부 192를 갖고 있다. 장치 110의 하부연부 191반대편에서 선회하도록 설치된 지주 172를 상승시키면 연부 192에 대해 연부 191은 높이 올라간다. 10내지 30도 사이의 경사각의 조정은 다수의 구멍 173을 따른 프레임 170에 지주 172의 부착위치를 변화시킴으로서 쉽게 수행될 수 있다. 한번 적당한 높이가 선택되면, 지주 172는 지지핀(도시안됨)에 의해 적당한 구멍 173에 나란하게 유지된다.
장치 110의 양호한 실시예가 제 5a 도의 횡단면도속에 도시된다. 가요성 회로 금속판 100이 인입구 133에서 아래로 경사진와이퍼 조합부 177에 의해 장치 110로 들어간다. 차폐판 180과 181과 더불어 제 7 도에서 도시된 것과 유사한 와이퍼 조합부 177과 확산트랩 135를 따라서 가깝게 위치한 공간부는 가요성 회로 금속판 100의 인입지점에서 장치 110으로부터 어떠한 작동유체 140가 누설되는 것을 방지한다. 확산트랩 135를 통하여 통과한다음 금속판 100은 기름통 128속의 유체 140속으로 잠기면서 로울러 129를 돌아 통과한다. 롤러 129는 금속판 100을 실 130으로 인입시키기 위한 위치에 있다. 따라서 로울러 129는 금속판 100이 증기와 공기중간 하부의 평면위치에서 증기영역 142에 돌입된다. 더우기 온도 제어 소자 138은 땜납 공융 온도 바로 이하로 금속판 100상의 땜납피복 104을 예열하도록 유체 140의 온도를 제어한다. 유체 140의 온도가 어떤 증기를 발생시킬 정도로 충분히 높게 될지라도 이러한 증기는 확산트랩 135가 노출되면 액체형태로 응축된다. 결과적으로, 확산트랩 135의 한단에 통로 195가 제공되므로서 어떤 한 재응축된 증기가 금속판 100위에 형성되기보다 오히려 기름통 128로 돌아간다.
로울러 129를 돌아 통과한 후에 금속판 100은 증기영역 142로부터 기름통 128을 격리시키는 통로 139을 통과한다. 통과 136은 상부 121로부터 하부 122에서 격리된 지점으로 하향으로 연장된 차폐판 126에 의하여 형성된다. 실 130으로부터 증기의 도피를 막기위해 기름통속의 유체 128을 통로 136바로 위의 높이에 유지시킨다. 그래서, 금속판, 100은 액체밀봉장치 137을 통하여 실 130으로 들어간다.
실 130속의 증기영역 142는 가열소자 141에 의해 기름통 127속에서 끓는 액체에 의하여 발생된다. 가열소자 141의 온도는 거의 일정한 온도로 그들과 접촉하도록 유체 140을 일정하게 유지시키도록 조절된다. 이것은 그들이 기장당 균일한 저항치는 전력의 비례적 감소가 일선들의 비례적 감소를 일으키게 하도록 한다. 열선들내의 감소는 유체140내에서 적은 수의 열점들을 형성하게 하며 따라서 유체 140의 유용한 수명 시간을 개선한다.
증기와 공기 중간면의 높이는 증기영역 142을 함유하는 실 143의 표면을 에워싸는 봉함을 따라서 위치되는 콘덴서 소자들 143과 144에 의하여 제어된다. 제 6a, 6b 도내에서 더욱 명백하게 도시된 바와같이 콘덴서 소자들 143과 144의 위치는 장치 110의 저변인부 191(제 4 도)의 앙각으로 조정될 수 있으며, 그리고 금속판 100의 이동속도는 증기영역 142에 금속판 100상의 땜납피복 104의 노출시간을 고정시킨다.
차폐판들 182와 183은 땜납 피복이 증기영역 142를 통과하는 동안, 땜납피복 104와 상호 작용하는 환류 공기의 량을 감소시키도록 증기와 공기의 계민 바로 아래에 위치되어 있다. 이렇게 함으로서 증기영역 142의 뜨거운 증기에서 금속판 100의 노출을 더욱 일정하게 단일화되게 해준다. 다시 말하자면 이것은 땜납의 산화에 기인하는 순환하는 땜납의 근처에 있는 공기의 존재가 최종마무리단계를 억제하기 때문에 유연성 회로 웨브 100의 개선되는 표면을 갖게한다. 증기 영역 142내로 들어감으로부터 유체 140의 방울화를 방지하기 위하여, 온도 제어유니트 197이 통 127내에 설치되어 있다.
증기영역 142를 통하여 가연성회로 훼브 100이 통과하는 동안, 뜨거운 증기는 뜨거운 납코팅 104를 그의 융점 이상으로 가열하므로서 납을 역류하게끔 한다. 웨브 100이 통과하는 동안 웨브 100은 평면인가 상태내에서 유지되어지므로서 납슬럼핑의 효과는 감소되어지고 그리고 납코팅 104는 더욱 일정한 분포가 되어진다. 더우기, 웨브가 증기영역 142를 통과할 때 웨브 100의 평면각도와 전송시간을 제어하므로서, 확실한 응축이 웨브 100상에서 형성되어질 수 있다.
이러한 응축의 형성은 납이 상부 콘덴서 소자 184와 저부 콘덴서 소자 185사이를 통과하면서 웨브 100을 냉각시키므로서 이루어진다. 이러한 점에서의 냉각은 납코팅이 로울러 167과 접촉하기전에 납코팅 104의 온도를 납의 융점이하로 낮추도록 하는데에는 매우 바람직스럽다.
제 5b 도 내에서 도시되어진 바와같이 상부 콘덴서 소자 184는 계집형으로 되므로서 이러한 콘덴서상에서 웨브 100으로부터 응축되어 떨어지는 것이 웨브 100상에 되돌아 떨어지는 것을 방지한다. 이러한 효과를 이루도록, 상부 콘덴서 소자 184는 제 5b 도 내에서 도시되어진 바와같이 상호 반대로 직결된 소자, 들 401과 202를 포함한다. 이들 소자들은 가연성회로 웨브 100을 포함하는 평면에 관하여 공통 각도로 작동한다.
작업 유체 140의 증기 누출을 방지하는 첫번째 단계로서 차폐장치 230은 유체 140의 잔여 부분을 재취하도록 사용되는 할로우-온 단으로부터 챔버 130을 분리한다. 여기서 잔여 부분은 웨브취출을 통하여 제거되어진다. 계집형 콘덴서 소자들 184와 185에 의한 냉각후에 웨브 100은 169와 대응 다수의 확산 트랩들 186, 190 및 134를 제각기 통하여 제가열 다수의 로울러 167들을 속박한다. 로울러 167과 확산 트랩 186들은 차폐장치들 188과 189에 의하여 로울러 169와 확산트랩로부터 분리되어진다. 동일하게 로울러 168과 확산 트랩 190은 차폐장치들 188과 189에 의하여 로울러 109와 확산트랩 134로부터 분리되어 진다.
109를 통하여 제각기의 로울러 107로 웨브 100을 속박하는 것으로서 잔여분은 납코팅 104의 용융점 온도 바로 아래까지 가열되어 진다. 이러한 재가열은 위체 140의 응축의 잔여분을 기화하므로서 확산트랩들 186, 190과 134로 들어가면서 이러한 응축들은 웨브 100에서 제거되어진다. 189를 통한 차폐장치들 187이 있으므로서 응축의 합계보다 작은 제각기의 연속 스테이지들은 웨브취출에 의하여 장치 110로부터 제거하기가 용이하다.
섬프 127에 재생성된 응축물의 재생을 손쉽게 하도록 제각기의 확산트랩들 186,190 및 134들은 이들의 저부극단들에서 통들 195와 동시에 제공되어 진다. 통들 195는 웨브 100과 접촉하는 응축의 재생성 가능성을 감소시킨다.
재가열 로울러 169주의의 웨브 100의 통과이후에 그리고 확산트랩 134를 통하여 응축은 출구부분 132를 통하여 빠져나온다. 유체 140의 어떠한 증기의 유출을 방지하도록 확산트랩 134는 동시에 폐쇄적으로 간격되어 있는 차폐장치들 205와 206에 의하여 출구부분 132에 연결되어 진다. 또한 출구부분 132는 제 7 도에서 도시된 바와같이 와이퍼조립체 178과 같이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와이퍼는 웨브 100에 의하여 이송된 유체 140의 증기 잔여분을 소거한다.
웨브 100이 증기영역 142를 통과하는 동안 웨브 100은 낮은 웨브탄성에도 불구하고 평면 형태로 유지되어진다는 것을 주의하여야 한다. 이러한 효과는 입력 롤러 150과 방출로울러 151(제 4 도)를 따라서 그리고 로울러들 129,167,168과 169로서 이루어진다. 더우기 위에서 주지된 바와같이 콘덴서 소자들 143과 144는 조정이 가능하므로 웨브 100의 이송속도에 따라서 그리고 장치 110의 저면 모서리에 관한 저변 모서리 191의 양각에 따라서 증기영역 142내에서의 납코팅 104의 노출시간이 가속적으로 제어되어진다. 콘덴서 소자들 143과 144의 조정방법은 차후에 설명되어질 것이다.
제 6a 도내에 도시된 것은 웨브 100이 증가영역 142를 통과할 동안 웨브 100을 웨브 저탄성으로 평형상태를 유지하면서 장치 110을 통하여 가연성 회로웨브 100을 운반(이송)하는 장치이다. 특히 제 6a 도에서만 명백하게 도시된 그리고 상단 102상에 장착된 모터 220은 구동체인 221으로서 169를 통과하여 방출로울러 151과 중간로울러들 167을 구동한다. 공급로울러 250으로부터 이송되어지는 것과 같은 웨브 100내의 인장을 제어하도록, 여러가지 조정성 인장 로울러 251이 사용되어진다. 인장 로울러 251은 인장 제어암 252에 의하여 기체일정 부하장치 253에 연결되어 진다. 장력제어아암 252에 연결된 것은 장력아암 위치감지기 254이다.
장치 110내로의 웨브 100의 급송률이 장치의 배출 속도에 비례하여 늦어지면, 인장로울러 251에 걸린 웨브 100의 양 5가 감소하고 장력제어 아암 252가 상방으로 회동한다. 동시에 장력 아암 위치 감지기 254가 장력제어 아암 252의 이러한 변화를 탐지하고 그 결과로서 구동모터 220이 감소되게하는 전기적 신호가 발생된다. 구동 모터 220의 회전속도의 감소는 급송률과 장치의 배출 속도 사이의 불균형을 억제하고 그에 의하여 인장로울러 251에 걸린 웨브의 양이 효과적으로 조절되므로 웨브 100에서의 장력이 장치 110을 통과하는 동안에 거의 일정하게 유지된다.
웨브 100이 증기 영역 142를 평탄하게 통과하는 것을 더욱 확실히 하기 위하여, 장치 110의 바닥 모서리 191은 바닥 모서리 192에 대하여 조절가능하게 되어있다. 이러한 앙각 조정은 현수막식 급송장치에서 본래부터 있는 땜납속에 잠김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유해 효과들이 있는 땜납순환 처리에 따라서, 땜납 코우팅 104에 대하여 보다 균일한 두께를 제공하는데 도움을 준다. 이러한 앙각 조절은 또한 웨브 100이 증발냉각을 위하여 증기표면 위로 올라올 때 웨브 100위에 남아 있는 증기 응축수의 양을 조절하는데 도움을 준다.
증기 영역 142의 높이의 조절은 응축기 소자 143 및 144의 조정으로 이루어진다. 제 6a 도 및 6b 도에 가장 자세하게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각각의 응축기 소자 143 및 144는 응축기 소자 자체들의 하우징을 위하여 이동 가능한 팬 230 및 230'를 포함하고 있다. 팬 230 및 230'는 적당한 때에 수직 또는 수평방향으로 적절히 이동될 수 있다. 이러한 이동을 위하여 팬 230 및 230'는 샤프트 231과 231'를 거쳐서 수동 크랭크 232 및 232'에 각각 연결된다.
응축기 소자 143 및 144가 직접적인 냉각을 제공하기 때문에 거기에 형성된 어떠한 응축수라도 가요성 회로 웨브 100과 접촉됨이 없이 통 127로 직접 회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팬 230 및 230'가 통 127에 대하여 응축기 소자 143 및 144의 위치에 관계없이 통 127에 직접 팬 230 및 230'를 연결하는 텔레스 코외프관 235 및 235'를 갖추고 있다. 이러한 배치는 증기영역 142를 유지하는데 필요한 과도하게 뜨거운 증기의 발생을 최소로하는 또다른 효과를 가지고 있으며, 또 순차적으로 작업유체 140의 유용한 수명을 증가시킨다.
유체 140의 손실을 방지하기 위하여 사용된 부가적인 수단이 제 7 도에 도시하고 또 이미 간략하게 논의된 와이퍼 장치에 의하여 표시되고 있다. 특히 배출구 132에서 와이퍼장치는, 횡단면 형태로 도시되어 있다. 가요성 박막 260 및 261이 강제 264 및 265에 의하여 배출구 132의 모서리 262 및 263에 겹쳐서 각각 부착되어 있다. 웨브 100이 배출구 132로부터 나올 때, 박막 260 및 261은 웨브 100에 대하여 밀봉하면서 밖으로 구부러진다. 이러한 밀봉은 공기와 확산트랩 134 근처에 있는 증기의 혼합물을 이끌어 내는 웨브 100로 인한 증기의 어떠한 대류성 손실이라도 방지한다.
앞에서 주목된 바와 같이, 가열소자 141들은 유체 140의 비동률을 조절하고 고열 지점 발생을 방지하는 사용되어 유체 140의 수명을 증가시킨다. 그외에 가열 소자 141들이 단위 길이당 균일한 저항을 갖도록 하기 위하여 그들에게 가해지는 전력이 조절되므로서 전력의 적당한 감소는 열 속의 적당한 감소를 이루어지게 한다. 이러한 결과는 제 8 도에 도시된 실리콘 제어정류회로에 의하여 달성된다.
라인 L1,L2및 L3에 가해지는 3상 60싸이클 상용 교류전력은 퓨즈 290을 거쳐서 필터 캐패시터 291에 연결된다. 각각의 캐패시터 291 다음에는 다이오드 292와 실리콘 제어 정류기 293으로 구성된 병렬 회로가 있다. 다이오드 292는 교류 전력을 정류하고, 거기에 연결된 트리거 바이어스 전압에 의해 실리콘 제어 정류기 293은 가열소자 141들에 공급되는 정류된 전력의 양을 선명하고 정확하게 조절한다. 이러한 배열은 모든 가열 소자 141들이 유체 140의 유용한 수명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순차적으로 유체 140에서의 고열지점들을 실제로 제거하도록 균일하게 작동한다는 것을 확실히 한다.
모든 경우에 있어서 상기 설명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론들에 따라서 쉽사리 발명될 수 있는 많은 가능한 특정 실시예 들을 다만 대표할 뿐이다.

Claims (1)

  1. 상부 하부 및 측벽들을 갖는 봉함 그리고 봉함내에 보유되도록 증기를 발생시키기 위해 액체를 끓이기 위한 장치를 포함하는 재순환가능 납땜피복 가요성 회로 금속판을 처리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봉함(120, 제 2a 도)는 하부(122)위의 지점으로부터 상부(121)까지 상향으로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벽(126)과 상부(121)아래 지점으로부터 하부로(122) 하향으로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다른 벽(125)로 구성되며, 하향으로 연장되는 벽(126)은 제1(127) 및 제2(128) 통을 그리고 상향으로 연장되는 벽(126)은 제1(130) 및 제2(131)실을 한정하며, 제1실(130)은 제2통(128)간에 통로를 한정하며, 제2(131) 실은 제2통(128)의 나머지 부분을 갖고 있으며, 상기 실들의 각각은 그내에 출입구(132,133)을 갖고 있으며, 제1(127) 및 제2(128)통은 증기를 생성하기란 액상태의 유체(140)을 내포하기에 적합하며, 제1실(130)은 제1실의 적어도 일부분내에 증기를 내포시키기에 적합하며, 제1통(130)은 제1실(130)의 일부분내에 증기를 발생시키도록 유체를 끓이기 위한 장치(141)을 포함하며, 제2(128) 통은 땜납온도가 공융점 이하인 온도에서 액상으로 유체를 유지시키기 위한 온도제어장치(138)을 포함하며, 제1통 위의 결정가능 수준으로 증기를 제어하도록 장치(143,144)가 제공되며, 제1실(130)의 일부분을 점유하는 증기를 통하여 금속판을 이동시키도록 장치(151,129)가 제공되며, 그 금속판은 용융된 땜납두께를 제어하도록 수평에 대해 예정된 각도로 위치된 평면을 따라 이동될 수 있으며, 그리고 증기로부터 여기된 후 땜납을 냉각시키도록 장치(139)가 제공되어 있는 것이 특징인 가요성 회로 순환 땜납 장치.
KR7803750A 1978-07-01 1978-12-14 가요성회로 땜납 장치 KR8200003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803750A KR820000380B1 (ko) 1978-07-01 1978-12-14 가요성회로 땜납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802047A KR820000379B1 (ko) 1978-07-01 1978-07-01 가요성 회로 땜납 방법
KR7803750A KR820000380B1 (ko) 1978-07-01 1978-12-14 가요성회로 땜납 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7802047A Division KR820000379B1 (ko) 1978-07-01 1978-07-01 가요성 회로 땜납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20000380B1 true KR820000380B1 (ko) 1982-03-25

Family

ID=266262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7803750A KR820000380B1 (ko) 1978-07-01 1978-12-14 가요성회로 땜납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20000380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000284B1 (en) Process and apparatus for reflowing solder of solder plated substrates and substrates formed thereby
JPS586774A (ja) 蒸気処理装置
US4055217A (en) Method for maintaining a vapor blanket in a condensation heating facility
US4801069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older deposition
US4315042A (en) Solder removal technique
US4909429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older deposition
JPH0240953B2 (ko)
KR19980086453A (ko) 건조장치 및 건조방법
US4256512A (en) Flexible circuit reflow soldering machine
EP0369907B1 (en) A varnish impregnation method and apparatus
US6116497A (en) Process and device for the wave or vapor-phase soldering of electronic units
KR820000380B1 (ko) 가요성회로 땜납 장치
KR820000379B1 (ko) 가요성 회로 땜납 방법
EP0047307A1 (en) Apparatus for treating objects with a volatile fluid.
US5209782A (en) System for soldering printed circuits
US5246501A (en) Flash drying treatment of solvent from workpieces
GB2159084A (en) Vapour phase soldering
JPS62148083A (ja) ベ−パ−リフロ−式はんだ付け装置
JPH03118962A (ja) ベーパリフロー式はんだ付け装置
JPH01150465A (ja) 気相式はんだ付け装置
JPS62148082A (ja) ベ−パ−リフロ−式はんだ付け装置
JPS6192780A (ja) 蒸気相はんだ付け装置
JPS62192260A (ja) 気相式はんだ付け装置
JP2588524Y2 (ja) 基板の純水引上げ乾燥装置
JPH02112872A (ja) ベーパーリフロー式はんだ付け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