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20000304Y1 - 레코오드 플레이어의 연주 보조 장치 - Google Patents

레코오드 플레이어의 연주 보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20000304Y1
KR820000304Y1 KR7803107U KR780003107U KR820000304Y1 KR 820000304 Y1 KR820000304 Y1 KR 820000304Y1 KR 7803107 U KR7803107 U KR 7803107U KR 780003107 U KR780003107 U KR 780003107U KR 820000304 Y1 KR820000304 Y1 KR 82000030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ne arm
lever
arm
return
reco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780310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히로시 고야하다
순기찌 히오끼
Original Assignee
가또 히데오
가또뎅끼 가부시기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또 히데오, 가또뎅끼 가부시기 가이샤 filed Critical 가또 히데오
Priority to KR7803107U priority Critical patent/KR82000030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2000030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20000304Y1/ko

Links

Landscapes

  • Toy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레코오드 플레이어의 연주 보조 장치
첨부 도면은 본 고안의 일실시 예를 나타내는 것으로,
제1도는 레코오드 면주 개시전의 평면도.
제2도는 레코오드 연주 개시 직전의 일부 평면도
제3도는 레코오드 연주 종료 직후의 평면도.
제4도는 레코오드 연주 종료 후 톤 아암을 복원시킨 상태의 평면도.
제5도는 스위치 장치의 부분 좌측 단면도.
제6도는 특히 엘레베이션 장치와 큐잉 장치와 조작 수단의 부분을 나타내는 우측면의 도면.
제7도는 제6도와 유사한 좌측면의 도면.
제8도는 편심 캠의 정면도.
본 고안은 레코오드 플레이어의 연주 보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음향기구의 자동 연주장치는, 예를들어 일반. 영업용으로 사용되는 쥬크박스등 이미 여러가지의 것이 개발되어 있는데 일반 가정용으로 사용되는 레코오드 플레이어에 있어서는 이와같은 완전 자동 연주장치는 레코오드 플레이어가 대형으로 되고 제조 코스트가 높아지기 때문에 장비되지 않고 있으며, 또한 실제 문제로서 이와같은 완전자동장치까지는 필요없는 것으로 되어 있었다.
그런데, 이와같은 일반 가정용의 레코오드 플래이어도 레코오드 연주에 부수되는 여러가지의 번잡함, 특히 시동 스위치의 개폐 동작 및 톤 아암을 수동으로 승강시키거나, 리턴시킨다거나 하는 번거러움을 해소하기 위하여 자동적으로 개폐되는 스위치 장치를 비롯하여 톤아암의 자동 리턴 장치, 혹은 큐잉장치나 엘레베이션 등의 리이드인 장치로 되는 여러가지 연주 보조강치가 개발되어 나날이 개량되어 가고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장치를 가급적으로 구조가 간단한 것으로 함과 동시에 이들을 유기적으로 결합시킨 레코오드 플레이어의 연주 보조 장치를 제공하려는데 있다.
이하에 본 고안을 도면에 나타넨 일 실시 형태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에 의한 톤 아암의 기어식 자동 리턴 장치는 톤 아암(1)과 함께 이 톤 아암(1)의 아암축(2)에 고착한 작동판(3)을 개재하여 길이방향으로 이동하는 슬라이드 레버(4)와 이 슬라이도 레버(4)에 마턴한 설편(舌片)(4a)에 의하여 선회시켜지는 2매의 프릭션 레버(5)(6)를 상면에 중합하여 축지시켜 하면에 하아트 모양의 캠홈(7a)을 각설함과 동시에 그 외주에 절결부(7b)를 각설하여 회동 자재로 축지시킨 구동기어(7)와 레코오드 연주시는 이 구동기어(7)의 절결부(7b) 내에서 공전하고 있는 외주 상안부에 계지돌기(8a)를 마련한 턴 테이블 축(9)에 고착된 구동기어(8)와 스프링(10)에 의하여 좌측 방향으로 견인되면서 좌우 길이 방향으로 이동자재로 축지됨과 동시에 좌측 단부의 돌기(11a)를 구동기어(7)의 캠홈(7a)에 감입시킨 리턴 레버(11)로 구성되어 있다.
스위치 장치는, 상기한 슬라이드 레버(4)의 본부로부터 일체로 돌설시킨 용기부로 이루어진 스위치 개폐 수단(4b)과 상기한 리턴 레버(11)의 중간부 하면에 돌출시킨 작동 돌기(11b)와 스프링(12)에 의하여 스위치 개폐수단(4b)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 부세되면서 이 스위치 개폐수단(4b)과 돌기(11b)의 이동궤도 사이를 선회 운동 가능케 축지된 박스(13) 내에 수납된 시동 스위치(14)와 스위치 개폐수단(4b)이 시동스위치(l4)의 접점(14a)과 접촉하는 위치의 반대측의 기판(16)에 고정된 스토퍼(17)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스토퍼(17)는 별로 휨이 없는 강도를 갖는 재질의 것을 슬라이드 레버(4)로 사용한 경우는 반드시 필요한 것이 아니지만, 이 슬라이드 레버에 가볍고 잘 휘는 재질의 것을 사용하거나 스위치 개폐수단(4b)을 실시 형태의 것과는 다른 슬라이드 레버에 선회 자재로 축지시킨 독립된 부재로 하였을 경우에는 필요하다. 또한 스프링(12)은 이것이 없어도 톤 아암(1)의 자동 리턴시에 함께 원위치로 복귀하는 슬라이드레버(4)의 스위치 개폐수단(4b)이 접점(14a)에 당접되있을 때 이를 가법게 튕겨서 이탈되게 함으로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지만, 실시 형태와 같이 구성하는 편이 오동작이 없어진다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스위치 개폐수탄(4b)은 리턴레버(11) 쪽으로 마련하여도 된다.
엘레베이션 장치는, 아암 리프터(18)와 이 아암리프터(18)내에 삽입된 앨레베이션 아암(19)과 이 엘레베이션 아암(19)의 선단에 마련한 아암 지지대(20)와, 엘레베이션 아암(19)의 하방에 고착한 회전 방지부재(21)와 아암 리프터(18) 사이에 장설된 코일 스프링(22)과 회전 방지 부재(21)의 하단에 일단부를 당접시켜 회동자재로 축지된 평면이 대략 크랭크 형상의 승강 부재(29)로 되며, 엘레베이션 아암(19)의 하단을 리턴 레버(11)의 한쪽 상면에 재치시키고 있다.
큐잉 수단은, 선단에 감지 핀(23)을 고착하고 톤 아암(1)의 아암축(2)과 함께 회동하는 감지부재(24)와이 감지 부재(24)의 감지핀(23)의 회동궤도의 외측에 인장 코일스프링(25)에 의하여 이 감지 핀(23)의 방향으로 견인되고 회동자재로 축지된 대략 활 모양의 규제 부재(26)와 이 규제부재(26)를 계지하는 동시에 인장 코일스프링(27)에 의하여 시계방향으로 회동을 강요당하고 있는 대략 ㄷ자 형상의 계지부재(28)로 되고, 규제부재(26)의 감지핀(23)과 대향하는 개소에는 이 감지핀(23)과 계합하여 톤 아암(1)을 레코오드판의 크기(30cm 25cm 17cm)에 적합한 위치에 가볍게 정지시키기 위한 요부(26a),(26b),(26c)가 마련되어 있는 동시에, 계지부재(28)에 의하여 계지되는 개소에는 단부(26d),(26e)가 작설되어 있다.
조작수단은, 회동자재로 축지되고 외주에 서로 다른 형상의 돌기(30a), (30b),(30c)를 마련하여서 되는 핀심 캠(30)과 이 편심 캠(30)에 고착하여 기판(16)으로부터 상부에 돌출시킨 전부동 자재의 조작 레버(32)로서 되고, 돌기(30a)와 (30b)는 편심 캠(30)의 외주반경 방향으로 활 모양으로 융기된 것으로서그 각각의 외주면에 승강부재(29)의 단부와 계지부재(28)의 측부를 당접시키도록 되어 있고, 돌기(30c)는 그 일측부가 서서히 길이 방향으로 넓혀진 대(臺) 형상의 것으로, 그 경사 측부에 규제부재(26)의 선단이 당접되어 있다.
그리고 레코오드 연주 개시전의 톤 아암(1)이 아암레스트(31)상에 있을 때에는 제1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어식 자동 리턴 기구의 구동기어(7)와 수동기어(8)는 교합되어 있지 않고, 리턴 레버(11)는 원위치의 최좌측 방향으로 이동한 위치에 있고, 슬라이드 레버(4)는 원위치의 최우측 방향으로 이동한 위치에있고, 시동스위치(14)는 리턴 레버(11)에 마련한 작동 돌기(11b)에 의하여 시계방향으로 압압되어 그 접점(14a)을 슬라이드 레버(4)에 마련된 스위치 개폐수단(4b)과 접촉케 되어서 오프 상태에 있다.
한편, 조작수단의 조작레버(32)는 앞쪽으로 쓰러져 있고, 이 상태에 있어서 엘레베이션 장치의 승강부재(29)는 엘레베이션 아암(19)에 작용하고 있지 않고 큐잉 장치의 규제부재(26)은 감지핀(23)과 접촉하지 않는 상태로 되어 있다.
지금 레코오드 연주를 개시하려고 조작 레버(32)를 중립상태로 일으키면 이 조작 레버(32)에 고착된 편심 캠(30)이 함께 회전하여 그 하부에 마련된 돌기(30a)로 승강부재(29)의 일단을 아래로 압압하므로, 승강부재(29)는 축지개소를 지점으로 하여 다단부를 상승시켜 엘레베이션 아암(19)을 밀어올려 톤 아암(1)의 선단을 상승시킨다. 동시에 편심캠(30)의 돌기(30c)의 경사측부에 그 일단부를 당접시키고 있었던 규제부재(26)가 편심캠(30)의 회동에 따라 축지 개소를 지점으로 하여 약간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하여 그선단방향의 요부(26a),(26b),(26c)가 마련된 측을 감지핀(23)과 접촉시킨다.
여기서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톤 아암(1)을 손으로 쥐고 레코오드 반의 방향으로 선회시키면 슬라이드레버(4)가 작동판(3)을 개재하여 함께 좌측방향으로 이동하고 그 복부에 마련된 스위치 개폐수단(4b)이 시동스위치(14)의 접점(I4a)으로부더 띨어져 이것을 온 시킴으로 구동 모우터(33)가 회전을 개시하고 턴 레이블(34)이 밸트(35)를 개재하여 회전을 개시한다. 한편, 톤 아암(1)을 상기한 바와 같이 레코오드판의 방향으로 선회시키면 이것과 함께 회동하는 감지핀(23)이 레코오드 반의 직경에 대응시킨 위치에 마련한 규제부재(26)의 요부(26a),(26b),(26c)와 순차 감합하여 톤 아암(1)을 각각의 직경의 레코오드판의 무음구 상으로 이끌어 간다. 이때 이 감합상태는 톤 아암을 좌우 어느 방향으로 선회시켜도 가볍게 해리되는 것이라는 것은 말할 나위도 없다. 여기서 조작레버(32)를 자기족으로 젖히면 이번은 승강부재(29)가 선단부를 내리므로 톤 아암(1)도 함께 하강하여 자동적으로 레코으드 바늘이 무음구로 도입된다. 이대의 톤 아암(1)의 하강은 조작 레버(32)를 조작하는 것만으로 이루어지고, 레코오드 판상으로 이동시킨 튼아암(1)을 잘못하여 띨어뜨리는 일이 있더라도 조작 레버(32)를 자기 쪽으로 젖히지 않는 한 튼 아암(I)의 레코오드 바늘이 레코오드 판상까지 낙하되는 일이 없으므로 잘못하여 낙하시키는 경우로 인한 레코오드판 및 레코으드 바늘의 손상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가 있다.
한편, 톤 아암(1)을 레코오드 판상으로 도입하려고 조작 레버(32)를 자기쪽으로 젖히면 함께 회전하는 편심캠(30)에 마련된 돌기(30c)에 의하여 규제부재(26)가 시계방향으로 회동하여 감지핀(23)과의 접촉상태를 해리시키므로 연주에 들어간 톤 아암(1) 이 레코오드 판상을 이동함에 있어 아무런 지장이 생기지않는다. 그리고, 이 상태는 계치부재(27)가 규제부재(26)의 단부(26e)를 계지함으로써 유지되며, 이러한후에는 조작레버(32)를 중림으로 되돌리는 것만으로는 복원되지 않는다. 따라서, 톤 아암(1)의 레코오드 바늘의 레코오드 음구내에서의 이동 및 리턴하는 톤 아암(1)의 이동에 아무런 지장이 생기지 않는다.
그리고 레코오드 판의 도중에서 연주를 개시할 경우에는 감지핀(23)과 규제 부재(26)가 상호 접촉된 상태채로 톤 아암(1)을 이동시켜도 감지핀(23)은 요부(26a),(26b),(26c)로 부터 간단히 탈출되므로 아무런 문제가 생기지 않고, 이 경우의 톤 아암(1)의 레코오드 음구로의 도입을 수동으로 하는 것이 아니고 조작 레버(32)를 자기 앞으로 젖히는 것으로 간접적으로 행할 수 있으므로 수동에 의한 경우에 생기지 쉬운 레코오드 바늘이나 레코오드 음구의 손상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레코오드 연주의 도중에서 톤 아암(1)을 원 위치에 되돌린 경우에는 함께 좌측 방향으로 이동하여 원위치로 되돌아가는 슬라이드레버(3)의 스위치 개폐 수단(4b)이 시동스위치(14)와 스톱퍼(17)과의 사이에 감입하여 접점(14a)을 오프시키므로 구동모우터(33)가 계속 회전되는 일이 없다.
이리하여 레코오드 연주가 종료되고 톤 아암(1)이 레코오드 판의 최종 무음구를 따라서 크게 이동하면 제3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슬라이드 레버(4)에 마련한 설편(4a)이 프릭션 레버(5)의 일단을 압압하고, 이것을 또 한쪽의 프릭션 레버(6)와 더불어 반시계 방향으로 선회시키므로 프릭션 레버(6)에 마련한 돌기(6a)가 회전하고 있는 구동기어(8)에 마련한 계지돌기(8a)와 접촉함으로써 밀리게 되어 구동기어를 약간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므로서 구동기어(8)은 이 구동기어(7)의 절결부(7b)로부터 이탈하여 양자가 교합됨으로써 구동기어가 회전한다. 그러면 이 구동기어(7)의 캠홈(7a)에 그 선단부의 돌기(11a)를 감입시킨 리턴 레버(11)가 좌측방향으로 이동을 개시하고, 먼저 그의 타측 단부에 마턴한 곡절부(1Ia)로 엘레베이션 장치의 엘레베이션 아암(19)을 밀어올려 톤 아암(1)의 선단을 상승시킨 후, 돌핀(11c)으로 작동판(3)에 마련한 돌기(3a)를 밀어서 톤 아암(1)을 제4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아암 레스트(31)상으로 븍귀시킨 후, 다시 제1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원 위치에 되돌아간다.
이와같은 동작은 구동기어(7)가 1회전하는 동안에 이루어지고 구동기어(8)는 그 동안에 구동기어(7)를 회전시키면서 그 주연부로 프릭션 레버(5)를 프릭션 레버(6)와 함께 내측 방향으로 밀어서 다시 절결부(7b)로 떨어져 들어감으로 이 기어식 자동리턴기구가 연속하여 동작되는 일이 없다.
톤 아암(1)이 리턴 레버(11)의 돌핀(11c)에 의하여 밀려서 원위치로 복귀되는 경우에도 슬라이드 레버(4)도 함께 우측 방향으로 이동함으로 그 때에 스위치 개폐 수단(4b)과 시동 스위치(14)의 접검(14a)이 접촉 되어 자동리턴 기구의 작동 중에 구동 모우터(33)를 정지시킬 것 같이 보이지만, 이 때에는 리턴 레버(11)도 함께 우측방향으로 이동되어 있으므로 스위치 박스(13)가 작동돌기(11b)에 당접되는 일이 없고,스프링(12)에 의하여 시동 스위치(14)와 일체적으로 선회 운동하여 이탈시켜 이 단게에서 스위치 개폐수단(4b)과 접점(4a)이 접촉되는 일이 없다.
리턴 레버(11)가 원위치에 되돌아가면 그 곡절부(11d)로부터 이탈된 엘레베이션아암(19)이 하강하고 톤 아암(1)을 아암레스트(31)에 조용히 낙하시킨다.
한편, 레코오드 연주가 종료된 단계에 있어서 조작 레버(23)는 앞쪽으로 젖혀진 상태에 있고, 이 상태에 있어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규제부재(26)는 그 단부(26e)를 계지부재(28)에 계지되어 있으므로서 그런후에 레코오드 연주를 개시하려고 조작 레버(32)를 중립으로 되돌려도 규제부재(26)와 감지핀(23)이 접촉되는 일이 없으므로 큐잉 장치가 작동되지 않게 된다. 그래서 이 경우에는 레코오드 연주가 일회 종료될때마다 조작레버(32)를 반대측으로 한번 젖히지 않으면 안된다. 이렇게 하면 함께 회동하는 편심캠(30)의 돌기(30b)가 계지부재(28)를 반시계방향으로 밀기 때문에 그 계지 개소가 단부(26d)로 바뀌져 큐잉 장치는 작동 가능한 상태로 복귀된다.
물론, 톤 아암(1)의 리이드인 조작은 수동만으로 행할 수 있고 그 경우에는 조작 레버(32)를 자기쪽으로 젖힌 상태로 두면 된다. 또한, 승강부재(29)의 회전방지 부재(21)와 접촉하는 측을 탄성이 있는 판 스프링(21a) 등으로 구성하여 두면 조작레버(32)를 중립의 상태로 내리는 일이 있더라도 그 때문에 승강부재(29)가 휘어서 그 후의 동작이 불가능하게 될 우려가 없다.
이상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시동 스위치 및 톤 아암을 수동에 의한 직접적으로가 아니고 기계에 의한 간접적으로 조작할 수 있으므로 예를 들어 어두움 속에서나 혹은 술을 조금 마신 상태에서도 시동 스위치를 온 할 수 있고, 더우기 레코오드 바늘이나 레코오드판을 손상시키는 일이 없이 안전하게 레코오드 연주를 행할 수 있음과 동시에 레코오드 연주 종료 후에는 방치해 두어도 레코오드 플레이어를 레코오드 연주 개시전 상태로 자동적으로 되돌릴 수가 있다고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한 개의 조작 레버를 엘레베이션 장치와 큐잉장치를 동시 또는 개별적으로 조작할 수 있으므로 조작이 극히 용이할 뿐만 아니라 전체로서 구조가 간단함으로 제조 코스트가 염가가 된다는 이점이 있다.

Claims (1)

  1. 톤 아암(1)과 연동하여 길이 방향 좌우로 이동하는 슬라이드 레버(4)와 역시 길이 방향 좌우로 이동하여 상기 톤 아암(1)을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리턴 레버(11)와를 갖는 상기 톤 아암의 기어식 자동 리턴 장치와 상기 슬라이드 레버(4)와 상기 리턴 레버(11)와의 사이에 축지된 시동 스위치(14)의 선회를 리턴 레버(11)로 제어함으로써 슬라이드 레버(4)로 온, 오프 시키는 구조의 스위치 장치와 상기 리턴 레버(11)로 작동시켜지는 상기 톤 아암(1)의 엘레베이션 장치와, 상기 톤 아암 측의 반경 방향으로 마련된 돌기와 계합하여 톤 아암(1)을 레코오드판의 직경에 맞추어 클릭 이동시키는 큐잉 장치와 이 큐잉 장치와 상기 엘레베이션 장치와를 다수의 조작방향을 갖는 단일 조작 레버(32)를 동시 혹은 개별적으로 조작하여 상기 톤 아암(1)을 하강시켰을 때에는 상기 큐잉 장치를 비작동 상태로 하는 조작 수단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코오드 플레이어의 연주 보조장치.
KR7803107U 1978-06-09 1978-06-09 레코오드 플레이어의 연주 보조 장치 KR82000030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803107U KR820000304Y1 (ko) 1978-06-09 1978-06-09 레코오드 플레이어의 연주 보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803107U KR820000304Y1 (ko) 1978-06-09 1978-06-09 레코오드 플레이어의 연주 보조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20000304Y1 true KR820000304Y1 (ko) 1982-03-18

Family

ID=192089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7803107U KR820000304Y1 (ko) 1978-06-09 1978-06-09 레코오드 플레이어의 연주 보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20000304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113263A (en) Phonograph record player
US6201782B1 (en) Disc loading apparatus with movable clamper
KR820000304Y1 (ko) 레코오드 플레이어의 연주 보조 장치
US6330216B1 (en) Recording medium transfer apparatus
US4123066A (en) Device for automatically turning discs from side to side
JPS5827362Y2 (ja) レコ−ド演奏装置
EP0822549A1 (en) Disk player
US3507503A (en) Record player
US4257614A (en) Record players
JPS6231061A (ja) フロツピ−デイスク装置
JPH0334637B2 (ko)
JPS5845108B2 (ja) ピックアップア−ムの駆動装置
KR920006081Y1 (ko) 디스크 레코드 플레이어
JPH0415537B2 (ko)
JPS6194262A (ja) デイスク装填装置
US4326286A (en) Automatic recorder player
US4012047A (en) Automatic record changer
KR850001166B1 (ko) 오오토 체인져(auto changer)부착플레이어
US3917282A (en) Switch-off device for a record changer
KR840001221B1 (ko) 토운아암(tone arm)의 이동장치
KR920001122Y1 (ko) 레코드 플레이어용 테크 메카니즘
JPS5841573B2 (ja) 自動演奏式レコ−ドプレ−ヤの制御装置
JPS5813493Y2 (ja) レコ−ドプレヤ−におけるキュ−イング部材の退避装置
JPS5819735Y2 (ja) レコ−ドプレ−ヤのオ−トリタ−ン機構
JPS582426B2 (ja) 連続自動演奏式レコ−ドプレ−ヤの制御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