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40001221B1 - 토운아암(tone arm)의 이동장치 - Google Patents

토운아암(tone arm)의 이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40001221B1
KR840001221B1 KR1019800002185A KR800002185A KR840001221B1 KR 840001221 B1 KR840001221 B1 KR 840001221B1 KR 1019800002185 A KR1019800002185 A KR 1019800002185A KR 800002185 A KR800002185 A KR 800002185A KR 840001221 B1 KR840001221 B1 KR 8400012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m
lever
switch
plate
rotating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000021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슌기찌 히오끼
Original Assignee
가또오 덴끼 가부시끼 가이샤
가또오 히데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또오 덴끼 가부시끼 가이샤, 가또오 히데오 filed Critical 가또오 덴끼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to KR10198000021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84000122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400012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400012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3/00Recording by mechanical cutting, deforming or pressing, e.g. of grooves or pits; Reproducing by mechanical sensing;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3/02Arrangements of heads
    • G11B3/10Arranging, supporting, or driving of heads or of transducer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3/00Recording by mechanical cutting, deforming or pressing, e.g. of grooves or pits; Reproducing by mechanical sensing;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3/02Arrangements of heads
    • G11B3/10Arranging, supporting, or driving of heads or of transducer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 G11B3/34Driving or guiding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3/00Recording by mechanical cutting, deforming or pressing, e.g. of grooves or pits; Reproducing by mechanical sensing;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3/02Arrangements of heads
    • G11B3/10Arranging, supporting, or driving of heads or of transducer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 G11B3/34Driving or guiding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 G11B3/36Automatic-feed mechanisms producing progressive transducing traverse across record carriers otherwise than by grooves, e.g. by lead-screw

Landscapes

  • Transmission Devic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토운아암(tone arm)의 이동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을 실시한 레코오드 플레이어의 평면도.
제2도는 본 발명에 관한 토운아암의 이동장치의 저면도.
제3도는 동일부 측면도.
제4도는 회전체를 비스듬히 상방에서 본 사시도.
제5도는 회전체를 비스듬히 하방에서 본 사시도.
제6도는 자동 인입 동작 종료직전의 1부 저면도.
제7도는 연주 종료시의 1부저면도.
제8도는 수동조작으로 토운아암을 인입시킨 경우를 표시하는 1부 저면도.
제9도는 셀렉트 플레이트(Select plate)의 다른 실시 형태를 표시하는 저면도.
제10도는 같은 측면도.
제11도는 그의 동작관계를 표시하는 동 측면도.
제12도는 셀렉트 플레이트의 또다른 실시상태를 표시하는 1부 평면도.
본 발명은 레코오드 플레이어에 있어서의 토운아암의 이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토운아암의 이동장치를 그 구동방식으로 부터 분류하면, 회전반의 구동력을 이용하는 회전반 구동방식과, 회전반의 구동력 이외의 또 하나의 전용의 구동모우터의 구동력을 사용하는 전용모우터 구동방식으로 대별할 수가 있다.
전자는 회전반의 구동력을 토운아암축에 임의로 전달하기 위한 구동력 전달수단을 필요로 하고, 그 구조가 극히 복잡하게되나, 후자는 전용모우터의 구동력을 똑같이 토운아암축에 전달한다고 하더라도, 이 전용모우터를 토운아암축에 근접하여 설치할수가 있기 때문에, 회전반 구동방식의 것보다는 그 구조를 간단히 할 수 있다고 하는 이점이 있으나, 구동모우터의 가격이 높기 때문에, 전체로서의 제작비용이 높게된다고 하는 결점이 있다.
또 한편 근년에 있어서는 이 토운아암의 이동장치도 예를 들면 레코오드판을 도중에서 임의의 곡을 골라서 연주하게 하기 위하여, 혹은 그외의 이유로 토운아암의 인입(lead in)동작을 수동으로 할 수도 있게 구성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본 발명의 주요목적은, 토운아암에 대한 구동방식에 전용모우터 구동방식을 채용하는데 있어서, 그 구조를 가급적 간단히 하고, 구동모우터의 고가격에서 오는 생산비 상승을 가급적 낮추도록 구성한, 레코오드 플레이어에 있어서의 토운아암의 이동장치를 제공하려고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음 목적은 토운아암에 대한 자동 및 수동의 어느 조작에 의하여도 레코오드를 연주할수가 있는 레코오드 플레이어에 있어서의 토운아암의 이동장치를 제공하려고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음 목적은 토운아암의 자동인입 동작 및 자동 복귀동작을 안정화시킬 수 있는 레코오드 플레이어에 있어서의 토운아암의 이동장치를 제공하려고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과 특징 및 이점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 및 본 발명의 1실시예를 표시하는 첨부도면에 의하여 명백하게 될 것이다.
제1도 내지 제4도에 있어서(1)은 레코오드 플레이어의 캐비넷, (2)는 공지의 다이렉트 드라이브 시스템 혹은 인다이렉트 드라이브 시스템에 의해서 구동되는 회전반, (3)은 캐비넷(1)위에 상하 방향 및 수평방향으로 수진자재(首振自在)하게 부착된 토운아암, (4)는 이 토운아암(3)의 아암레스트, (5)는 똑같이 토운아암(3)을 상하 방향으로 목부분을 진동시키는 아암리프터(arm lifter), (6)은 레코오드 사이즈의 셀렉트레버, (7)은 본 발명에 관한 토운아암의 자동연주장치의 스타아트 스위치, (8)은 동 커트 스위치(9)는 동 제1리피트 스위치이다.
캐비넷(1)의 내저부에는 기반(A)이 부착되어 있으며, 이 기반(A)에 본 발명에 관한 자동연주장치의 주요부가 장비되어 있다.
즉 기반(A)의 대략 중앙부에는 구동모우터(10)에 의해서 제1중간치차(11) 및 제2중간치차(12)를 개재시켜 감속회전 되게 되는 회전체(13)가 축지(軸支)되어 있으며, 이 회전체(13)에는 특히 제3도 내지 제4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외주에 치차(14)가 그 상면에는 원주캠(圓周 cam)(15)과 수평캠(16)이, 또 그 하면에는 원주캠(17) 및 원주캠(18)이 중첩적으로 각각 설치되고, 원주캠(18)의 외주연부(外周緣部)에서는 브러시(19)가 수설(垂設)되어 있다.
또 회전체(13)의 상면에 설치된 수평캠(16)은 중간부에 요부를 설치한 엔드리스 상의 캠판(20)을 회전체(13)에 삽입하여서 구성되고, 이 캠판(20)의 주부(周部)에서 돌출시킨 돌기 20a,20a를 회전체(13)의 상면에 설치한 복수의 절결 13a,13a...에 차례차례로 삽입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상기 요부(凹部)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이와같이하여 구성된 회전체(13)의 원주캠(15)에는, 제2중간치차(12)의 지축(12a)에 축지된, 평면의 대략 C자형을 띤 제어레버(21)가 그 복부에 설치한 수압돌기(21a)를 대향시키고 있으며, 수평캠(16)위에는 아암리트터(5)의 엘레베이션로드(5a)의 저부가 맞닿아져 있으며, 원주캠(17)의 제1철부(凸部)(17a)에는 스프링(34)에 의해서 한방향으로 회동을 부세되고 있는 제동레버(22)의 1축단부가 맞닿아져 있으며, 그리하여 원주캠(18)의 제1요부(18a)에는 구동모우터(10)의 해제스위치 수단인 스위치(23)의 접점작동레버(23a)가 내려가서 이 스위치를 오프(off)시키고 있다.
제어레버(21)에는 기반 A와의 사이에 장설함 인장코일 스프링(24)에 의해서 반시계방향으로 회등을 부세되는 동시에, 지점(支點)을 넘은 1측단부에는 계지편(21b)이 다른 측부에는 스위치 압압편(21c)이 또 이 다른 측단부에는 압압핀(21d)으로 각각 설치되어 있으며, 계지편(21b)을 설치한 쪽에는 기반 A에 추착한 셀렉트 플레이트(25)에 대향하고, 스위치 압압편(21c)을 회전반(2)의 구동용모우터(도시하지 않음)의 스위치(26)와 대향하고, 압압핀(21d)은 토운아암축(3a)에 부착한 제동드럼(27)과 대향접촉하고 있다.
셀렉트 플레이트(25)는 캐비넷(1)위에 돌설한 셀렉트레버(6)에 의해서 연결간(28)을 개제하여 회동하고, 하면으로 돌설한 수압스토퍼(25a,25b)를 서로 번갈아 제어레버(21)에 대향시킨다. 토운아암축(3a)의 최하부에는 또 수직벽(29a)과 작동돌편(29b)을 갖춘 브라켓(29)이 부착되고, 이브라켓(29)은 회전체(13)의 하면과 중첩적으로 겹쳐져서, 그 선단에는 복수의 소공(30a)을 마련한 토운아암(3)의 위치 검출판(30)이 부착되고, 그 일단을 포로 인터라프터(photo interruptor)(31)내에 삽입시키고 있다.
또한 이 위치 검출판(30)과 포토인터라이터(31)는 도시하지 않은 스위칭 소자와 함께 되어서 공지구성의 스위치를 구성하고 본원에 있어서 이 스위치를 예로서 포함된 의미에 있어서 후기시동 스위치라고 부르기로한다. 제동레버(22)의 제동드럼(27)쪽에는 제동자(22a)가 부착되고, 이 제동자(22a)의 배면으로 대향하여 리피이트(repeat)연주용의 제2리피이드 스위치(32)가 설치되는 동시에 그 회전체(13)쪽에는 게지돌편(22b)이 돌설되어 있다.
그리고 이 제동레버(22)와 제어레버(21)의 사이에 수동레버(33)가 축지되고, 이 수동레버(33)의 제어레버(21)쪽에는 계지돌편(33a)이, 제동레저(22)쪽에는 이 제동레저(22)에 설치한 계지돌편(22b)과 선택적으로 계합관계에 있는 계지돌기(33b)가 설치되고, 브라켓(29)의 작동돌편(29b)과 대향하는 위치에는 이것과 서로 자력흡착관계에 있는 자석(33c)이 부착되어 있다.
다음에 이상태에서 30cm경의 레코오드판의 자동연주를 할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면 먼저 셀렉트레버(6)를 30cm라고 지지된 위치에까지 돌리면 연결간(連結杆)(28)을 개재하여 셀렉트 플레이트(25)가 회동하고, 수압스토퍼(25a)를 제어레버(21)쪽으로 행하게 한다.
그리고 구동모우터(10)의 전기시동 스위치인 스타아트 스위치(7)를 압압시키면, 구동모우터(10)가 회원을 개기하고, 이 구동력은 제1 및 제2중간치차(11,(12)를 개재하여 회전체(13)로 전달되고 회전체(13)가 제2도의 정지위치(0°)로부터 시계방향으로 회전을 시작한다. 그러면 먼저 스위치(23)의 접점 작동레버(23a)는 원주캠(18)의 제1요부(18a)로부터 탈출하고 동시에 제동레저(22)의 선단부도 원주캠(17)의 제1철부(17a)로 부터 해방되어, 스프링(34)의 작용에 의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제동자(22a)를 제동통(27)과 접촉시킨다.
회전체(13)는 다시 회전하고 다음에 그 원주캠(15)으로 제어레버(21)의 수압돌기(21a)에 대한 압압작용을 서서히 풀기때문에 인장코일 스프링(24)에 의해서 반시계방향으로 회동을 부세되고 있는 제어레버(21)는 그 한쪽의 수압스토퍼(25a)에 맞닿을 때까지 반시계방향으로 회동한다. 이에 따라 압압핀(21d)은 제동통(27)의 한쪽을 제동기능이 작용하고 있는 상태에서 밀고, 브라켓(29)은 토운아암(3)을 차분한 안정된 동작으로 레코오드 판의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그 선단에 부착시킨 레코오드 바늘을 30cm경의 레코오드판의 인입홈 위로 인도하고, 동시에 그 스위치 압압편(21c)이 도시되어 있지 않은 회전반의 구동용 모우터의 스위치(26)의 점점에서 이탈하고 이것을 온(ON)시키기 때문에 회전반(2)은 회전을 개시한다. 이런 상태를 표시한 것이 제6도이다.
이때 브라켓(29)의 작동돌편(29b)과 그 일단에 부착시킨 자석(33c)을 접촉시키고 있는 수동레버(33)도 함께 회전하려고 하지만 이때에는 제동레버(22)에 설치한 계지돌편(22b)이 수동레버(33)에 설치한 계지돌기(33b)와 계합하여 이것이 회동을 저지하므로, 이 경우에는 수동레버(33)는 회전하는일이 없다. 또 토운아암(3)의 레코오드판의 인입홈 위에서의 정지상태는 제동레버(22)에 설치한 제동자(22a)와 토운아암(3)에 고착시킨 제동통(27)과의 접촉제동작용에 의해서 안정되고, 토운아암(3)이 인입홈 위로 인도된 후에 가볍게 후퇴한다든지, 지나치게 보내진다든지 하는 일이 없다.
다음에 회전체(13)는 다시 회전하고 제차 원주캠(17)의 제2철부(17b)가 제동레버(22)를 밀어서 회전시키고, 제동자(22a)를 제동통(27)으로 부터 떼어내고, 이에 전후하여 회전체(13)위에 설치한 수평캠(16)의 요부에 아암리프터(5)의 엘레베이션 로드(5a)가 내려가서 토운아암(3)의 선단을 내려 레코오드 바늘을 인입홈 위로 조용히 내린다. 동시에 원주캠(18)의 제2요부(18b)로 스위치(23)의 접점작동레버(23a)가 내려가서 구동모우터(10)의 기동회로를 열고 이것을 정지시키기 때문에, 회전체(13)로 180°회전한곳에서 정지한다. 물론 여기는 180°이외의 회전각도(θ)로 토운아암(3)에 대한 인입동작을 종료시켜 회전체(13)가 정지되도록 구성하여도 된다.
이와같이 하여서 레코오드 연주가 가능해지고, 연주가 끝나서 레코오드 바늘이 거친눈의 피치의 리이드아우트(lead out)홈내를 이동하기 시작하면, 제7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포토인터 라프터(31)와 위치검출판(30)이 그 위치를 검출하여 레코오드 연주 종료를 검지하고 이것에 의해서 공지 구성의 후기스위치 수단을 거쳐 재차 구동모우터(10)의 구동회로를 닫으므로 회전체(13)는 180°또는 각도(θ)로 부터 다시 시계방향으로의 회전을 개시하고, 원주캠(17)의 제2철부(17b)의 압압작용에서 이탈한 제동레버(22)는 재차제동자(22a)를 제동통(27)에 맞닿게하고, 스위치(23)의 접점작동레버(23a)를 원주캠(18)의 제2요부(18b)로부터 탈출시키면서, 아암리프터(5)의 엘리베이션 로드(5a)를 수평캠(16)의 요부(16a)로 부터 탈출시켜서 이것을 통하여 토운아암(3)의 선단을 상승시킨후, 브러시(19)가 브라켓(29)에 설치한 수직벽(29a)을 밀어서 이것을 토운아암(3)을 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이 토운아암(3)을 아암레스트(4)위로 되돌린다.
이 동작에 전후하여 원주캠(15)이 제어레버(21)를 인장코일 스프링(24)의 견인력에 버티어 이것을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킨 원치치로 되돌리고, 스위치 압압편(21c)으로 회전반(2)의 구동용 모우터(도시하지 않음)의 스위치(26)의 접점을 밀어서 이것을 오프(off)시켜, 회전반(2)을 정지시킨다.
그리고 제동레버(22)가 재차 원주캠(17)의 제1철부(17a)에 의해서 압압되어서 회동하고, 그 제동자(22a)를 제동통(27)에서 떨어진 곳에서 스위치(23)의 접점작동레버(23a)가 원주캠(18)의 제1요부(18a)내로 내려가서 구동모우터(10)의 기동회로를 열고, 회전체(13)를 제차정지 시킨다. 이때 회전체는 360°회전하여 다시 본래의 0°의 위치에 복귀된다. 그리고 이 상태에서 자동연주장치는 재차 다음의 회전에서 토운아암(3)을 자동인입(auto lead in)시킬수 있게 재세트 된다.
이때 캐비넷(1)위에 돌설하고 있는 제1리피드 스위치(9)가 온되고 있으면, 제동레버(22)가 원주캠(27)의 제1철부(17a)에 의해서 밀려서 회동하였을때에 제동자(22a)로 제2리피이트스위치(32)를 온시키므로 연주가 반복되게 된다.
다음에 17cm경의 레코오드판을 자동연주하는 경우에는 셀렉트레버(6)를 17cm로 지시된 위치까지 돌리면 연결간(28)을 개재하여 셀렉트 플레이트(25)가 회전하고, 수압스토퍼(25b)쪽을 제어레버(21)에 대향시키기 때문에 인입시에 있어서의 제어레버(21)의 송입폭은 앞서것 보다도 크게되고, 17cm경의 레코오드판의 인입홈 위로 토운아암(3)을 이동시키는 것이며 뒤의 동작은 30cm경의 레코오드판의 경우와 같다.
다음에 레코오드 연주의 도중에서 연주를 종료시키는 경우에는, 캐비넷(1)위로 돌설한 컷스위치(8)를 압압하면, 구동모우터(10)가 회전하고, 포토 인터라프터(31)와 위치검출판(30)에 의하지 않는 자동복귀동작이 이루어지고, 상술한 바와 똑같은 작용에 의해 토운아암(3)은 아암레스트(4)위로 되려돌지고, 자동연주장치는 다음의 자동인입 동작으로 향하여 세트된다.
이렇게 하여 본발명에 관한 자동연주장치는 회전체에 의해서 제어되는 위치 규제레버를 배제하드라도 토운아암(3)의 자동인입 동작을 할 수가 있으며, 또한 자동인입 동작시 및 자동복귀동작시를 막론하고 제동기능이 작동하고 있는 상태에서 토운아암(3)의 이동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토운아암(3)의 이동중 및 동작 종료시에 있어서의 동작의 불안정한 점이나, 후퇴등의 동작을 완전히 저지할 수 있는 것이다.
다음에 토운아암(3)을 수동조작으로 인입시키는 경우에는, 셀렉트레버(6)가 어떤 위치에 있든간을 불문하고 제8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토운아암(3)을 손으로 집어서 레코오드판 위의 희망하는 위치로 이동시키면(또한 이때에도 아암 리프터(5)가 토운아암(3)의 선단을 상승시킨채로 있으므로, 레코오드 바늘이 레코오드 홈위로 떨어지는 일은 없다). 함께 동작하는 브라켓(29)에 설치한 작동돌편(29b)과 자력흡착하고 있는 수동레버(33)는 이번에는 아직 정지상태에 있는 제동레버(22)의 계지돌편(22b)에 의해서 그동작을 규제되지 않으므로써 자기의 스토퍼(도시하지 않음)로 그 동작을 저지될때까지 회동하며, 그 계지돌편(33a)이 제어레버(21)의 계지편(21b)을 계지할수 있는 위치까지 이동시킨다.
그래서 스타아트스위치(7)를 온시키면, 상술한 바와같이 하여 토운아암(3)의 인입동작을 하기 위하여 회전체(13)는 회동하고, 장치는 작동하지만 제동레버(21)의 동작은 그 계지편(21b)이 수동레버(33)의 계지돌편(33a)에 의해서 계지되므로서 회전반(2)의 구동모우터의 스위치(26)를 온시킬 정도까지 회동한후, 그 동작을 저지당한다.
따라서 제어레버(21)에 의한 토운아암(3)의 송입이 이루어지는 일이 없으며 회전체(13)는 회동하고, 상술한 바와 같이 토운아암(3)의 선단을 레코오드판 위로 조용히 내려놓은 다음 정지하고, 다음의 자동복귀 동작으로 향하여 세트된다.
다음에 이 상태에서 자동복귀동작을 하게 되면 브라켓(29)의 작동돌편(29b)이 수동레버(33)의 자석(33c)과 접촉하여 이것을 밀므로 이 수동레버(33)는 원위치로 되돌아가고 다음의 레코오드 연주에 있어서, 자동인입 동작을 선택한 경우에는 수동레버(33)는 상술한 바와같이 제동레버(22)의 계지돌편(22b)에 의해서 그 회동을 저지당하고 제어레버(21)의 동작을 저지하는 일이 없다. 혹은 재차 구동조작을 선택한 경우는 상술한 동작을 반복하는 것이다.
이와같이 하여서 토운아암을 수동으로 인입동작 시킬려고 하는 경우에는 단지 토운아암을 손으로 집어서 레코오드판 위의 희망위치까지 이동시키는 것뿐이며, 나머지는 자동적으로 이것에 필요한 동작이 이루어지고 또한 장치가 다음의 자동복귀 동작으로 향하여 세트되는 것이다.
제9도 내지 제11도는 셀렉트 플레이트의 다른 실시상태를 표시하고, 도면에 의하여 제어레버(21)측단부에 장단의 수압스토퍼(35a),(35b)를 돌설한 셀렉트 플레이트(35)가 기판(A)에서 돌설한 지지부재(36)로 이 기판(A)에 대하여 세로방향으로 요동하도록 부착되어 있으며, 그 동작은 기판(A)에서 돌출시킨 제어핀(37)에 의해서 제어되고 있다.
셀렉트 플레이트(35)는 또 제어핀(37)에 환권(環券)시키면서 기판(A)과의 사이에 탄설한 압축코일 스프링(38)에 의해서 일단이 기판(A)에서 떨어지느 방향으로 부세되어 있으며, 또 기판(A)과의 사이에 이 기판(A)에 고착한 전자석 (39)이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캐비넷(1)위에 설치한 도시하지 않은 셀렉트스위치를 온시키지 않을시에는 제10도에 표시한바와 같이 전자석(38)은 압축코일 스프링(38)이 셀렉트 플레이트(35)를 기판(A)에서 떨어진 방향으로 밀고 있으므로, 이 스토퍼의 자세는 이것에 의해서 제어되고 토운아암(3)의 인입시에 제어레버(21)가 짧은 쪽의 수압스토퍼(35a)와 맞닿아져 있으므로, 셀렉트스위치를 온시켰을때에는, 전자석(39)이 여자되어서, 셀렉트 플레이트(35)가 압압코일 스프링(38)의 탄력에 버티어서 요동하고, 수압스토퍼(35a),(35b)를 설치한축을 내리므로 제11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이번에는 긴쪽의 수압스토퍼(35b)가 제어레버(21)와 맞닿게 되어서, 이것에 의해서 제어레버(21)의 진폭 폭이 변화하고, 상이한 직경의 레코오드 판에 대한 토운아암(3)의 인입동작을 할수가 있는 것이다.
또한 셀렉트 스위치를 오프로 하고 전자석(39)을 소자(消磁)시키면, 셀렉트 플레이트(35)는 압축코일스프링(38)의 탄력에 의해 원위치로 되돌아간다.
제12도는 셀렉트플레이트의 또 다른 실시상태를 표시하며 제어레버(21)측에 수압스토퍼(40a),(40b)를 돌설한 셀렉트 플레이트(40)는 기판(A)에 대하여 수평방향으로 회동하도록 축지되어 있으며, 그 한쪽을 기판(A)과의 사이에 인장코일스프링(41)을 장설하므로써 시계방향으로 회동하도록 부세되어 있으며, 다른 측방으로 기판(A)에 고착 시킨 솔레이트(42)의 여자간(勵磁杆)(43)을 연결시키고 있다.
따라서 도시하지 않은 렉셀트스위치를 온시키지 않을때에는 항상 한쪽의 수압스토퍼(40a)가 인입동작시의 제어레버(21)와 맞닿든가, 렉셀트스위치를 온시키면 솔레노이드(42)가 여자되므로 렉셀트 플레이트(40)가 인장코일스프링(41)의 견인력에 버티어서 반시계방향으로 회동하고, 또 한쪽의 수압스토퍼(40b)가 인입 동작시의 제어레버(21)와 맞닿게되며, 이와같이 하여서 상이한 직경의 레코오드판에 대한 자동인입이 가능하게 된다.
솔레노이드(42)가 소자(消磁)되면, 렉셀트 플레이트(40)는 인장코일스프링(41)의 견인력에 의해서 스토퍼(44)에 맞닿을때까지 반전하고 원위치로 되돌아간다.
이상 상세하게 설명한바와 같이 본 발명에 관한 전용모우터 구동방식의 토운아암의 이동장치는 비교적 간단한 구성이므로 회전체가 1회전하는 사이에 토운아암의 자동인입 동작과 자동복귀동작을 하게 할 수 있으며, 그외에 토운아암의 수동조작을 허용할 수 있으며, 또한 안정된 동작의 자동인입과 자동복귀를 하게 할수가 있는 것이다.

Claims (1)

  1. 토운아암에 대한 구동방식에 전용모-터 구동방식을 채택함에 있어서, 전용구동모우터에 의해서 구동력 전달수단을 통하여 감속회전되게한 회전체에 브런시를 부착시켜 이 브러시를 사용하여 적어도 토운아암의 자동복귀 동작시에 이 토운아암의 토운아암축에 부착한 브라켓을 압압이 동하게되도록 구성한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운아암의 이동장치.
KR1019800002185A 1980-06-02 1980-06-02 토운아암(tone arm)의 이동장치 KR8400012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00002185A KR840001221B1 (ko) 1980-06-02 1980-06-02 토운아암(tone arm)의 이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00002185A KR840001221B1 (ko) 1980-06-02 1980-06-02 토운아암(tone arm)의 이동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40001221B1 true KR840001221B1 (ko) 1984-08-21

Family

ID=192167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00002185A KR840001221B1 (ko) 1980-06-02 1980-06-02 토운아암(tone arm)의 이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40001221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890004237B1 (ko) 복수의 녹음을 제생할수 있는 간이음향재생기
KR840001221B1 (ko) 토운아암(tone arm)의 이동장치
US4470087A (en) Head base drive mechanism in tape player
US5105320A (en) Operation mode switching and loading-eject mechanism for a tape player
US3682480A (en) Tape player for playing a plurality of endless magnetic tape cartridges
US5062014A (en) Reversing device having change-over mechanism for pinch rollers in tape recorders
US4351498A (en) Cassette tape device
US4309727A (en) Automatic reverse tape recorder with means for stopping the automatic reverse operation during recording
US3584878A (en) Tape recorder controls
KR870002046Y1 (ko) 레코오드 플레이어의 스위치기구
US4491889A (en) Cassette tape player
US4745502A (en) Rotary magnetic sheet apparatus
EP0072586A1 (en) Magnetic tape cassette apparatus
US4397015A (en) Apparatus for moving a tone arm
KR820000304Y1 (ko) 레코오드 플레이어의 연주 보조 장치
CA1119532A (en) Automatic record player
JPS5841573B2 (ja) 自動演奏式レコ−ドプレ−ヤの制御装置
JP2672452B2 (ja) 磁気テープの走行状態切換機構
US4257614A (en) Record players
KR900007313Y1 (ko) 더블데크 카세트 레코더의 모드전환장치
KR900008790Y1 (ko) 카세트 데크
US3839732A (en) Magnetic tape head indexing means for multitract tape players
KR870001113B1 (ko) 레코오드 플레이어의 자동복귀기구 및 전기회로
KR920006010B1 (ko) 로직 데크
US4356561A (en) Control apparatus in automatic audio disc play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