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10002637Y1 - 오일버어너의 연소장치 - Google Patents

오일버어너의 연소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10002637Y1
KR810002637Y1 KR2019800004243U KR800004243U KR810002637Y1 KR 810002637 Y1 KR810002637 Y1 KR 810002637Y1 KR 2019800004243 U KR2019800004243 U KR 2019800004243U KR 800004243 U KR800004243 U KR 800004243U KR 810002637 Y1 KR810002637 Y1 KR 81000263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bustion
fuel
water
cylinder
coo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0000424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일종
김형시
Original Assignee
이일종
김형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일종, 김형시 filed Critical 이일종
Priority to KR2019800004243U priority Critical patent/KR81000263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1000263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10002637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5/00Stoves or ranges for liquid fuels
    • F24C5/12Arrangement or mounting of burn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DBURNERS
    • F23D7/00Burners in which drops of liquid fuel impinge on a surfa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LSUPPLYING AIR OR NON-COMBUSTIBLE LIQUIDS OR GASES TO COMBUSTION APPARATUS IN GENERAL ; VALVES OR DAMPER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IR SUPPLY OR DRAUGHT IN COMBUSTION APPARATUS; INDUCING DRAUGHT IN COMBUSTION APPARATUS; TOPS FOR CHIMNEYS OR VENTILATING SHAFTS; TERMINALS FOR FLUES
    • F23L7/00Supplying non-combustible liquids or gases, other than air, to the fire, e.g. oxygen, steam
    • F23L7/002Supplying wat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LSUPPLYING AIR OR NON-COMBUSTIBLE LIQUIDS OR GASES TO COMBUSTION APPARATUS IN GENERAL ; VALVES OR DAMPER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IR SUPPLY OR DRAUGHT IN COMBUSTION APPARATUS; INDUCING DRAUGHT IN COMBUSTION APPARATUS; TOPS FOR CHIMNEYS OR VENTILATING SHAFTS; TERMINALS FOR FLUES
    • F23L2900/00Special arrangements for supplying or treating air or oxidant for combustion; Injecting inert gas, water or steam into the combustion chamber
    • F23L2900/07008Injection of water into the combustion chamb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vaporation-Type Combustion Burne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오일버어너의 연소장치
제1도는 본 고안의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단면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요부 분해사시도.
본 고안은 주로 군용이나 선박용 등의 집단취사를 목적으로 하는 오일버어너의 연소장치를 개량한 것으로 특히 방카C유와 같은 중질유를 매연발생이 거의 없이 완전 연소시켜 열효율을 최대로 하여 취사시간을 대폭 단축하면서 연료의 소모를 최소로 절약할 수 있도록 개선한데 특징이 있다.
종래의 공지된 취사용 오일버어너장치는 분사노즐로부터 분사되는 연료가 별도로 가동하는 환풍기의 강제송풍에 의해 분산되어 연소되도록 하여 취사솥의 저면을 직접 가열토록 하였던 바, 이는 여러가지 불합리한 문제점이 제기되었다.
즉 연소버어너의 노즐로 부터 분사되는 연료는 완전 기화되기도 전에 격렬한 연소공기에 혼합되어 연소되므로 연소 상태가 불량하여 연료의 소모율이 크고 미연소로 인한 매연가스의 발생이 심하며, 연소열의 외부발산에 따른 열량허실이 많음은 물론 별도의 송풍장치의 부설로 인해 이중으로 전력소모를 초래하고 이의 가동으로 인한 소음이 큰 등 여러가지 결점이 있었다.
이와 같이 매연의 발생이 크다는 점과 환풍기의 가동으로 인한 소음공해가 많은 것은 공해의 큰 요인이 됨은 물론이지만 특히 군용의 경우 집단 취사시 야전에서 적에게 아군의 집결장소를 노출시키게 되어 진지의 은폐에 불리함이 수반되는 문제점도 간과할 수가 없었다.
그에 못지않게 현재까지 방카 C유의 연소장치가 갖는 매우 저조한 열효율은 막대한 양의 연료를 소비하게 되어 에너지 절약시책에 크게 역행되어 왔다.
본 고안은 방카C유를 연료하는 버어너장치를 구성함에 있어서 별도의 환풍기가 없이도 연소공기의 공급이 원활하고 양호한 연소상태를 지속할 수 있도록 연소장치를 매우 간단하고 합리적인 장치로 구성함과 동시에 공급연료에 소량의 물 또는 수증기를 함께 공급하여 연소가스를 수성화 가스로 변화시켜 연소효율을 극대화하고 완전연소로 인한 매연카본의 발생이 없도록 하며, 연소실의 외부로 발산되는 방출열을 증기가열수조에 재흡수하여 이의 흡수된 열량으로 가온된 물 또는 증기를 취사에 재이용하거나 기타의 온수공급용도로 활용케 하여 재래의 각종 오일버어너장치보다 월등한 열효율을 갖도록 한 것으로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본 고안의 연소장치를 집단 취사솥에 장치한 구성도로서 취사솥(14)(14')이 설치된 연소실본체(1)를 밀폐 상태로 형성한 후 그 일측에 가열수조(2)를 착설하고 가열수조(2)의 내부에는 L형의 연소통(3)을 장설하여 연소통(3)의 내단이 취사솥(14)의 저면에 이르도록 장치함과 동시에 연소통(3)의 반대편에는 배기연통(16)을 높게 입설하고 연소통(3)의 내부에는 다공판(18이 일정한 간격으로 중첩되게 삽장된 다공통(17)을 격실(3')이 개재되게 삽설한다.
한편 가열수조(2)의 상부에는 연결관(9)이 내부에 높게 입설되도록 급수통(4)을 착설함과 동시에 버어너 본체(1)의 일측에 연료통(15)을 부착하여 이들 연료통(15)과 급수통(4)에 급유관(6)과 급수관(5)을 연결하여 연소통(3)의 상부에 급유노즐(8)과 급수노즐(7)을 관착하고 각 노즐(8)(7)의 외부에는 밸브(10)(10')를 착설하며, 급수통(4)의 상부에는 밸브(12)(12')가 착설된 증기관(11)(11')을 연결함과 아울러 각 증기관(11)(11')의 선단에 증기분산판(13)(13')을 착설하여 취사솥(14)(14')에 도입하였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 17, 18'는 다공통(17)과 다공판(18)에 천공한 연소공이다.
이상과 같이 된 본 고안에 있어서 버어너본체(1)는 밀폐상태로 형성되므로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연소공기는 높게 입설된 배기연통(16)의 상향흡입력에 의해 L형 연소통(3)으로 부터 통체(1)의 내부로 역류도입되어 자연대류순환작용에 의해 원활한 연소가 진행된다.
우선 본 연소장치를 가동할 때에는 급수통(4)을 통해 물을 공급하며, 공급되는 물은 연결관(9)이 급수통(4)의 내부에서 위로 약간 융기되게 입설되어 있으므로 일정량의 물은 연결관(9)이 하부쪽에 고여 급수관(5)으로 급수되는 대기 상태로 채류되고 연결관(9)위로 넘치는 물은 하강하여 가열수조(2)에 충입되며 가열수조(2)에 충입되는 물의 양은 일정한 수위를 유지한다.
물이 충입된 후 급유노즐(8)의 밸브(10')를 개방하면 연료통(15)의 연료가 급유관(6)으로 공급되어 다공통(17)내부에 적층한 다공판(18)에 낙하하고 낙하된 연료는 다단식 다공판(18)을 차례로 흘러내려 분산된다.
야대 다공판(18)의 상부에서 점화를 시키면 전체 다공판(18)에 피접된 연료가 서서히 착화되어 본격적인 연소가 진행되며 외부로 부터 도입되는 연소공기는 배기연통(16)의 흡입력에 의해 다공통(17)의 상부로부터 도입되어 다공판(18)의 연소공(18')을 통해 분산되어 원활한 하향연소가 진행되고 이어서 고온의 연소가스는 다공통(17)의 측면에 천공된 연소공(17')을 통해 격실(3')하방으로 역류하여 취사솥(14)의 저면을 집중적으로 가온하게 된다.
연소가 어느정도 진행되어 다공판(18)이 붉게 가열되면 급수노즐(7)의 밸브(10)를 개방하여 급수통(4)의 물을 소량으로 다공판(18)상에 낙하시킨다.
급유노즐(8)로 부터 공급된 연료가 다공판(18)에서 본격적으로 연소됨과 동시에 급수노즐(7)로 부터 소량의 물이 공급되면 다공판(8)이 갖는 수백도의 높은 가열온도에 접하여 공급수분은 순간적으로 증기화된다.
즉 탄화수소가 주성분인 방카 C유와 같은 중질유는 350℃이상에서는 옥탄가가 높은 탄화수소분으로 개질되고 고정탄소에 해당하는 연료분은 수분과 작용하여 일산화탄소와 수소분자의 혼합체인 수성가스로 화하여 열효율을 극대화하는 반면, 다공판(18)과 다공통(17)의 연소공(18')(17')을 통해 원활히 공급되는 외부공기의 충분한 접촉으로 재연소되어 가장 이상적인 완전 연소가 진행된다.
특히 다단식으로 적층된 다공판(18)의 설치에 의해 낙하되는 연료는 상부에서 아래로 내려갈수록 격렬하게 가열되어 연소상태가 완전하게 되며 최종적으로 다공통(17)의 하단부는 연소공이 없는 평판상태로서 붉게 가열된 최고온의 상태를 유지하여 상부에서 하강하는 연료와 수증기를 연무상태로서 격럴하게 가열 및 연소시켜 완전연소를 이루게 하고 연소된 가스는 반대편의 배기연통(16)의 흡입력에 의해 L형 연소통(3)의 하부로 자연스럽게 역류한 후 취사솥(14)의 저면을 집중적으로 가열한다.
한편 연소통(3)의 내부에서 이루어지는 연소작용에 의해 연소통(3)외부로 발산되는 복사열과 전도열은 가열수조(2)내의 물을 고온으로 가열하게 되어 증기가 발생되고 이의 증기는 연결관(9)을 상승하여 급수통(4)을 거쳐 증기관(11)(11')을 통해 취사솥(14)(14')으로 공급되므로 증기의 고열이 취사물을 이중으로 가온하게 된다.
따라서 취사물은 취사솥(14)의 저면에서 직접적인 연소열을 받음과 동시에 가열수조(2)에서 상승하는 증기열이 취사솥(14)내부에서 이중으로 가온을 하므로 취사시간은 현격히 단축되고 연소열의 낭비가 최소로 되며 연료의 완전연소와 동시에 연료를 수분과의 혼합으로 수성가스화 하므로서 연소효율을 극대화하고 연료를 최소로 절약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연소장치는 연료를 자연 낙하하여 공급하므로 종래와 같이 연료를 강제적으로 분사하는 경우와 같은 별도의 분사용 모우터나 송풍기의 부설이 불필요하므로 연소장치의 운용이 아주 간편용이 하여 고장의 우려가 없고 구조가 매우 간단하여 제작비가 저렴하다.
동시에 연소장치의 점화시에는 연료공급노즐(8)을 밸브(10')로서 개방하여 연료를 낙하시키면서 불을 붙이면 간단히 점화가 되고 진행중인 연소를 중지시킬 때에는 밸브(10')를 폐쇄하여 연료공급을 중지시키면 간단히 연소가 중지되므로 버어너 장치의 점화 및 소화가 간편하고 운용상 안전성이 양호하다.
본 연소장치를 군용의 집단취사에 이용할 경우, 야전에 임의의 장소로 운반하여 야전취사를 매우 신속하게 수행할 수가 있고 매연이나 소음의 발생 또는 연소불빛의 노출이 없어서 은폐 효과가 양호하여 군용장비로서 최적한 것이다.
특히 본 연소장치에 의한 취사의 경우 재래의 오일버어너장치에 비해 연료의 소모율이 크게 절약되는 실적이 있었다. 또한 본 연소장치는 공업용이나 가정용 보일러의 연소장치를 비롯한 각종 방카C유 연소장치에 널리 이용하므로서 전술한 바와 같은 우수한 열효율과 연료절약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연소장치는 다단식의 다공판(18)이 내장된 다공통(17)을 형 연소통(3)에 삽장하여 배기연통(16)의 흡입력에 의한 공기의 자연 대류순환력으로 연소되게 하고 연소통(3)의 상부에서 연료와 물을 자연 낙하하여 원활한 하향연소를 시키므로서 별도의 동력을 필요로 함이 하없이 매연의 발생이 없는 완전연소를 기하여 최소의 연료로서 최대의 열효율을 얻을 수 있으므로 연료의 절약 효과가 현저한 매우 경제적이고 실용적인 잇점이 있다.

Claims (1)

  1. 도면에 표시한 바와 같이 집단취사나 보일러 가온용 오일버어너를 구성함에 있어서, 밀폐형연소실 본체(1)일측에 L형 연소통(3)을 설치하여 그 내부에 수개의 다공판(18)이 다단으로 삽설된 다공통(17)을 삽장하되, 연소통(3)의 상부에는 급유노즐(8)과 급수노즐(7)을 착설하고 연소통(3)의 외주면에는 가열수조(2)를 설치하여서된 오일버어너의 연소장치.
KR2019800004243U 1980-07-01 1980-07-01 오일버어너의 연소장치 KR81000263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00004243U KR810002637Y1 (ko) 1980-07-01 1980-07-01 오일버어너의 연소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00004243U KR810002637Y1 (ko) 1980-07-01 1980-07-01 오일버어너의 연소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10002637Y1 true KR810002637Y1 (ko) 1981-12-29

Family

ID=192181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00004243U KR810002637Y1 (ko) 1980-07-01 1980-07-01 오일버어너의 연소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10002637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5032295A1 (zh) 燃油供油-汽化-调压-全预混燃烧系统及包括该系统的温差发电装置及方法
CN207350378U (zh) 地沟油自身热雾化清洁燃烧炉
KR100569155B1 (ko) 연탄겸용 화목보일러 및 그 제조방법
CN107606651A (zh) 一种取暖设备及供暖系统
KR101527682B1 (ko) 고효율 친환경 펠렛 난로
CN111720860A (zh) 适于固态、液态和气态燃料的环保炉灶
KR810002637Y1 (ko) 오일버어너의 연소장치
KR101085657B1 (ko) 연소장치의 열집적 유닛
RU2546683C1 (ru) Отопительная печь
CN104075315B (zh) 一种液体燃料气化燃烧器
CN218328362U (zh) 一种采用多种燃料的取暖设备
CN212841556U (zh) 甲醇燃烧机构、甲醇灶及甲醇采暖炉
CN211739189U (zh) 一种能使用生物油的炉头
WO2018186765A1 (ru) Многотопливная печь
RU2005958C1 (ru) Печь для сжигания биологических видов топлива
CN212657762U (zh) 甲醇采暖炉
RU2780178C1 (ru) Банная печь
CN109631329B (zh) 一种燃气燃油锅炉
KR200350607Y1 (ko) 연탄겸용 화목보일러
CN2140477Y (zh) 反正烧生活取暖两用炉
KR20050083342A (ko) 장작(長斫)을 땔감으로 하는 온수 보일러
CN2823839Y (zh) 气化燃烧水暖炉
CN207865440U (zh) 一种环保燃烧炉的改进结构
RU2639406C2 (ru) Котел длительного горения
CN2521505Y (zh) 煤炭汽化水暖家用锅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