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10002225Y1 - 한영타자기의 부동키 해제장치 - Google Patents

한영타자기의 부동키 해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10002225Y1
KR810002225Y1 KR2019800000297U KR800000297U KR810002225Y1 KR 810002225 Y1 KR810002225 Y1 KR 810002225Y1 KR 2019800000297 U KR2019800000297 U KR 2019800000297U KR 800000297 U KR800000297 U KR 800000297U KR 810002225 Y1 KR810002225 Y1 KR 81000222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glish
typewriter
korean
key
spac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0000029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삼
Original Assignee
김영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삼 filed Critical 김영삼
Priority to KR2019800000297U priority Critical patent/KR81000222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1000222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10002225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5/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character selection
    • B41J5/08Character or syllable selected by means of keys or keyboards of the typewriter type
    • B41J5/18Locks

Landscapes

  • Impression-Transfer Materials And Handling Thereof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한영타자기의 부동키 해제장치
제1도는 본 고안을 설치한 타자기의 일부 구조 사시도로서 한글 타자시의 상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요부 발췌 사시도로서 영문 타자시의 상태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작용상태를 보인 확대 평면도.
제4도는 종래 한영타자기의 문자 배열도.
제5도는 본 고안에 의한 한영타자기의 문자 배열도.
제6도는 제1도의 A부분을 내측에서 본 측면도.
본 고안은 한영타자기에 있어서, 한글 받침용 부동키를 영문 타자시에는 동키로 전환시킬 수가 있어 영문타자기의 문자배열과 동일한 배열을 하여도 한글 타자기의 특성에 구애됨이 없이 영문 타자기의 고유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 한영타자기의 부통키 해제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한영타자기의 문자배열은 제4도와 같이 점선부 좌단이 한글받침용 키이며 따라서 이는 부동키로 되어 있기 때문에 부동키가 필요없는 영문자의 배열은 점선 우단의 자음 키에 배열하였던 것인바, 이로 인하여 기존 영문타자기의 영문자 배열보다 점선부 우방으로 이동된 것이어서 영문 타자시 혼란을 초래하였던 것이다.
그러나 본 고안은 한글 받침용 부동키를 동키로 전환할 수 있기 때문에 제5도와 같이 부동키로 된 한글 받침 키 상에 기존 영문타자기와 동일한 배열로 영문자를 배열할 수 있으므로 한글과 영문을 하등 불편없이 타자할 수 있도록 된 것으로서 이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공지의 한영 겸용타자기에서, 영문 전환래버(1)의 견인간(1') 내측에 스페이서(2)의 후단을 고착하고 이 스페이서(2)의 선단은 "" 모양의 괘지돌기(2')를 형성하여 켈리지 베이스(13)의 밑판(13')과 간격 조절판(18) 사이에 삽탈토록하며, 또 스페이서(2)의 내측벽에는 별도의 견인간(3)을 고착하되 그 선단을 "ㅁ"자 상으로 형성하여 그 내경에 스페이스간(4)의 말단이 좌우 활동 자재토록 감삽하며, 또한 상기 스페이스간(4)의 일측하방으로 괘지돌기(5)를 설치하되 이 괘지돌기(5)와 대향위치에 걸림돌기(6)를 돌설한 "ㄴ"자 상의 이송레버(7)의 중앙부(8)를 본체에 축지하고, 그 말단부(9)와 리본 이송 레버(10) 사이를 연결간(11)으로 연결하여서 된 것이다.
도면 중 미설명부호 12는 스페이스 구동간, 14는 견인간(1')의 선단부, 15는 프라텐, 16은 받침용 부동키, 17은 키레버이다.
이와 같이 된 본 고안은 한글 타자시에는 제1도와 같이 영문 전환 레버(1)를 조작하지 않은 상태로 수직 위치에 놓고 받침용 부동키(16)를 타격하면 키레버(17)에 접해 있는 리본 이송레버(10)의 회동에 따라 연결간(11)으로 연결된 이송레버(7)가 중앙부(8)를 기점으로 좌우로 운동을 하게 되며, 이때 괘지돌기(5)와 걸림돌기(6)는 격리된 상태이므로 스페이스간(4)이 구동하지 못하여 부동키 상태를 유지하게 되므로 받침용 부통키(16)는 본래의 부동상태에서 받침 "ㅍ" 또는 "ㅅ"을 타자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종래에는 이러한 부동키(16) 상태로만 설계가 되어 있어 영문을 타자할 수 없으므로 여기에 영문자를 배열할 수 없었던 것이다. 이를 해결코저 한 본 고안은 상기한 영문 전환 레버(1)를 제 1도의 화살표 방향으로 당기면 견인간(1')에 고착된 스페이서(2)가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되고 이와 동시에 켈리지베이스(13)의 밑판(13')과 간격조절핀(18) 사이에 괘지되었던 괘지돌기(2')가 제6도의 점선 위치로 이탈 후퇴됨과 동시에 밑판(13')이 역시 점선 위치만큼 상승되어 켈리지베이스(13)와 함께 연동되는 프라텐(15)의 높이를 영문타자에 알맞는 위치로 변동시켜 주는 것이며, 이와 함께 제2도와 같이 스페이서(2)의 내측벽에 고착된 견인간(3)에 의해 그 선단의 "ㅁ"자 형상 내경에 감삽된 스페이스간(4)이 이끌리어 괘지돌기(5)가 걸림돌기(6)에 걸리게 되며 이때 받침용 부동키(16)를 타격하면 키레버(17)에 접해 있는 리본 이송 레버(10)와 연결간(11)으로 연결된 이송레버(7)가 중앙부(8)를 기점으로 제3도와 같이 좌측으로 구동됨과 동시에 걸림돌기(6)로서 괘지돌기(5)를 좌측으로 1단씩 이동시켜 주게 되므로 스페이스간(4)에 의해 한 스테이스가 이송되고 결국 받침용 부동키(16)를 동키로 전환시켜 주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부동키를 동키로 전환할 수가 있도록 한 것이므로 부동키(16)에 구애됨이 없이 영문 자판을 기존 영문자판과 동일하게 배열할 수가 있어 한글 타자기와 영문 타자기의 고유 기능을 그대로 유지하도록 한 것이므로 종래의 한영겸용 타자기의 불편함을 해결함과 동시에 타자기의 기본 구조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간단히 설치할 수 있어 실용성과 경제성을 겸한 편리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1)

  1. 공지의 한영 겸용 타자기에 있어서, 영문 전환레버(1)의 견인간(1') 내측에 스페이서(2)의 후단을 고착하고 이 스페이서(2)의 선단은 괘지돌기(2')를 형성하여 켈리지베이스의 밑판(13')과 간격조절핀(18) 사이에 삽탈토록 하며, 또 스페이서(2)의 내측벽에는 별도의 견인간(3)을 고착하되 그 선단을 "ㅁ"자 상으로 형성하여 그 내경에 스페이스간(4)의 말단을 좌우 활동 자재로 감삽하며, 또 상기 스페이스간(4)의 일측 하방으로 괘지돌기(5)를 설치하되 이 괘지돌기(5)와 대향 위치에 걸림돌기(6)를 돌설한 "ㄴ"자 상의 이송레버(7)를 축지하여 그 말단부(9)와 리본 이송레버(10) 사이를 연결간(11)으로 연결하여서 된 한영 타자기의 부동키 해제 장치.
KR2019800000297U 1980-01-18 1980-01-18 한영타자기의 부동키 해제장치 KR81000222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00000297U KR810002225Y1 (ko) 1980-01-18 1980-01-18 한영타자기의 부동키 해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00000297U KR810002225Y1 (ko) 1980-01-18 1980-01-18 한영타자기의 부동키 해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10002225Y1 true KR810002225Y1 (ko) 1981-12-02

Family

ID=192153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00000297U KR810002225Y1 (ko) 1980-01-18 1980-01-18 한영타자기의 부동키 해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10002225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983856A3 (en) Ink tank with improved handling, tank holder for installation of such ink tank, ink jet cartridge, and ink jet recording apparatus
KR810002225Y1 (ko) 한영타자기의 부동키 해제장치
KR840004016A (ko) 선박의 키(舵)
US2494129A (en) Copy holder
JPS57102358A (en) Type element
KR900002211A (ko) 컴퓨터 프린터 스탠드
KR920009599A (ko) 프린터
KR800001126Y1 (ko) 한글타자기의 받침간 변위장치
JPS5239318A (en) Printer equipped with line detecting mechanism
KR890002332Y1 (ko) 개정표준 자판식 타자기의 윗글자쇠 자동해제장치
KR880003514Y1 (ko) 타자기의 동, 부동 키 선별장치
KR900000954Y1 (ko) 윗글자쇠의 자동 해제장치
KR100334010B1 (ko) 캡이 달린 세그먼트 필기 엘리먼트용 자동 필기 장치
KR910008095Y1 (ko) 프린터의 종이안내 이송장치
KR890001871Y1 (ko) 타자기캐리지의 동.부동 변환장치와 이기구를 연결한 모음키이의 라인락장치
JPS56113177A (en) Guide mechanism of transfer member
KR880002839Y1 (ko) 타자기의 타자용지 협지 장치
KR900000955Y1 (ko) 활자집 해제 장치
KR890002721Y1 (ko) 개정 표준 자판식 타자기의 모음부동 장치
JPS60151075A (ja) プリンタ
JPS5660283A (en) Inserter device for form slip
KR890001754Y1 (ko) 타자기의 라인락장치
JPS57140179A (en) Electronic appliance with printer
KR850000681Y1 (ko) 타자기의 부동식 오타자 소거(消去)장치
US2350260A (en) Carrying case for typewrite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