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50000681Y1 - 타자기의 부동식 오타자 소거(消去)장치 - Google Patents

타자기의 부동식 오타자 소거(消去)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50000681Y1
KR850000681Y1 KR2019830005874U KR830005874U KR850000681Y1 KR 850000681 Y1 KR850000681 Y1 KR 850000681Y1 KR 2019830005874 U KR2019830005874 U KR 2019830005874U KR 830005874 U KR830005874 U KR 830005874U KR 850000681 Y1 KR850000681 Y1 KR 85000068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ction
ribbon
bending
attached
reciproc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3000587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50001420U (ko
Inventor
김영태
Original Assignee
경방기계공업주식회사
이중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방기계공업주식회사, 이중홍 filed Critical 경방기계공업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830005874U priority Critical patent/KR850000681Y1/ko
Publication of KR85000142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5000142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5000068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50000681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9/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41J29/26Devices, non-fluid media or methods for cancelling, correcting errors, underscoring or ruling

Landscapes

  • Accessory Devices And Overall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타자기의 부동식 오타자 소거(消去)장치
제1도는 본 고안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부동장치의 일부를 발췌한 분리사시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일부를 확대한 분리사시도.
제4(a)도, 제4(b)도는 본 고안의 측면 작동 설명도.
제5도는 본 고안의 평면 작동 설명도.
제6(a)도는 리본 셀렉터 작동장치의 측면 설명도.
제6(b)도는 리본 셀렉터 작동장치의 일부 평면 설명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오자소거키이 4 : 후단절곡부
5 : 절곡간 7 : 회동간
9 : 왕복간 11 : 괘구
14" : 왕복간 17 : 걸고리
18 : 상하작동구 22' : 연장부
22" : 장공 23 : 횡간
23' : 돌편 24 : 절곡간
26 : 압간 27 : 회동절곡간
28 : 돌간 28' : 경사면
29 : 압구 30 : 회동간
31 : 절곡판 33 : 접동구
34 : 압편
본 고안은 타자지에 오자(誤字)가 인자된 경우에는 이를 용이하게 소거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백스페이스키이와 오자소거키이를 차례로 누른 다음, 다시 오자를 선택하여 누른면 리본의 하부에 위치한 백색리본 부위가 상승함과 동시에 플라텐이 고정된 부동상태에서 오자위에 백색이 인자되어 이로서 오타자인자가 소거되게되며, 소거후에는 바른자를 인타하면 인자와 동시에 모든 기구동작이 원상태로 복귀되게한 타자기의 부동식 오타자 소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타자시에 오타가 발생할 경우는 일반적으로 플라텐을 회동하여서 지우개로 오자를 지우거나 또는 백색잉크를 칠하여 말린후 다시 플라텐을 돌려서 원타자 위치로 복귀시켰으므로 위치맞춤이 어려울뿐 아니라 오자소거에 많은 시간을 소비하는 폐단이 있었으며, 근자에는 타자기에 오자소거장치를 설치한 것이 개발된바 있으나, 이는 리본을 3단으로 구성하여 백색을 하부에 위치시킨 것으로서 리본셀렉터의 회동각도가 크게 되는 관계로 오동작이 자주 발생될뿐 아니라 오자소거시에는 플라텐이 전진동작을 하게 되어 오자소거후에도 다시 백스페이스키이를 눌러서 원위치로 복귀시키므로 오자소거에 많은 동작이 수반되어 타자수가 혼동을 일으켜 재차 오타를 발생시키는 경우가 허다하여 실용화될 수 없는 결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오자소거에 있어서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결점을 해결하고저 오자소거키이만 누른면 백색리본의 선택동작과 플라텐의 부동동작이 동시에 연동으로 작동되게 하여 보다 용이하게 단시간에 오자를 소거하게 안출한 것으로서, 고안의 요지를 첨부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스페이스키이(1)의 한쪽에 오자소거키이(2)를 설치하고, 오자소거레버(2')를 축(3)(3')에서 절곡되게 하며, 후단절곡부(4)에 절곡간(5)의 일단을 접설한 후 타단은 걸림턱(6')이 형성된 브래킷(6)의 축(6")에 설치한 회동간(7)의 하단과 링크(7')로 연설하되, 상단의 핀축(7")에는 장공(8)(8')이 뚫리고, 고정축(9')에서 접동되는 왕복간(9)을 유착하며, 왕복간(9)의 축(10)에는 스프링(10')이 탄착되고 걸림봉(11')이 돌설된 괘구(11)를 설치하여 위쪽의 돌봉(12)에서 제지되게 한 다음, 장공(8')에는 리본선정간(13)의 일단을 삽지하며, 이때, 리본셀렉터레버(14)와 이에 연설된 셀렉터 크랭크(14')를 연장한 왕복간(14")의 장공(15)(15')에 역시 고정축(9')과 리본선정간(13)의 일단이 삽설시켜 중첩설치하는 것이다.
그리고 괘구(11)의 직하방에 위치하는 스프링(16)에 탄설되고 축(17')에 설치된 걸고리(17)가 돌봉(18')에 제지되게 부착한 상하작동구(18)를 축(19)에 축설하여 연장간(20)의 핀축(21)을 유니버어설바아(22)의 연장부(22')의 "" 형의 장공(22")에 삽설하는 것이다.
또한, 왕복간(9)의 선단부 아래에 일체로 형성된 횡간(23)의 돌편(23')에는 절곡간(24)을 접설하고 타단에 링크(25)로 연설된 압간(26)의 요부(26')에는 축(27')에서 절곡되는 회동절곡간(27)의 돌봉(27")이 접설되며, 돌간(28)의 경사면(28')에 스프링(29")에 탄설된 압구(29)의 돌부(29')를 접설하여 회동간(30)의 돌편(30')에 링크(30")로 연설된 절곡판(31)의 축(31')에 축설하며, 압구(29)의 압부(32)에는 접동구(33)의 돌부(33')를 접설한후, 위쪽의 압편(34)의 요부(34')가 픽스트 도그(35)에 돌설된 돌봉(35')에 접속되게 구성한 것이다.
도면중 미설명부호 36은 플라텐,37은 리본셀렉터, 37'는 안내공, 38은 리본선정봉, 39는 리본캐리어, 40은 리본상승링크, 41은 리본가이드, 42는 리본의 흑색부, 42'는 리본의 백색부, 43,43',43"는 축, 44,44'는 키이레버, 45,45',45"는 복귀스프링, 46,46'는 축, 47은 루우즈도그, 48은 스타아휘일, 49는 백 스페이스키이, 50,50'는 자판키이, 51은 걸림편이다.
이와 같이 된 본 고안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타자도중에 오타가 발생하면 먼저 백스페이스키이(49)를 눌러 플라텐(36)의 후진으로 오자가 인자된 부위를 원위치에 복귀시킨후, 오자소거키이(2)를 누른게 되면, 제4도 및 제5도의 점선도시상태와 같이 오자소거레버(2')가 축(3)(3')을 기점으로 하향절곡되면서 이에 의하여 연동작동하는 절곡간(5)은 절곡부(4)에 밀려 링크(7')를 당기게 되고, 회동간(7)은 반대로 회동절곡과 동시에 핀축(7")에 연설된 왕복간(9)을 고정축(9')상에서 장공(8)에 접동하면서 전진시키게 되므로, 왕복간(9)의 전진동작때에 장공(8')에 삽설된 리본선정간(13)의 절곡으로 선단에 삽지된 리본선정봉(38)을 리본셀렉터(37)의 안내공(37')내에서 안쪽으로 이동시켜 백색리본의 선택지점에 위치하게 한다.
그리고 왕복간(9)이 전진동작을 할때에 왕복간(9)에 부착된 괘구(11)가 축(10)을 기점으로 스프링(10')의 탄력으로 절곡되면서 걸림봉(11')이 브래킷(6)의 걸림턱(6')에 걸려 괘구(11)의 고정으로 모든 작동부가 정지되며, 왕복간(9)의 전진동작때에 선단아래에 일체로 돌설된 횡간(23)의 동시전진으로 돌편(23')이 절곡간(24)의 일단을 밀게되어 타단의 링크(25)가 압간(26)을 절곡시키고, 요부(26')가 회동절곡간(27)의 돌봉(27")을 밀게 되므로 회동절곡간(27)이 절곡되면서 돌간(28)의 경사면(28')에 접설된 압구(29)의 돌부(29')를 밀게되며, 압구(29)는 축(31')을 기점으로 절곡되어, 접동구(33)의 돌부(33')를 이탈하게 되므로 다음 동작때에 압부(32)가 돌부(33')를 밀 수 없게 되고, 따라서 축(46')에서 절곡되는 접동구(33)의 압편(34)의 요부(34')가 픽스트도그(35)에 돌설된 돌봉(35')을 밀 수 없으므로 스타아휘일(48)을 회동시키지 못하여 부동동작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오자를 소거할 경우에 예를 들면, 타자지에 인자된 문자가 "1"일때에 자판키이에서 "1"을 선택하여 누르면 부동상태하에서 키이레버(44)(44')등에서 "1"의 키이레버가 절곡동작과 동시에 유니버어설바아(22)를 밀어 돌리게 하고, 유니버어설바아(22)에 연설된 리본선정봉(38)은 리본셀렉터(37)를 축(43)을 기점으로 당기면서 리본상승링크(40)가 리본캐리어(39)를 수직상승시켜 리본의 백색부(42')를 플라텐(36) 정면의 정확한 타자위치에 오게하여 "1" 위에서 백색의 "1"이 인타되어 이를 소거하게 하는 것이다.
그리고, 유니버어설바아(22)의 상승동작때 축(46')을 기점으로 연장부(22')가 절곡상승되고, 장공(22")내에서 연장간(20)의 핀축(21)이 접동되어 정점위치에 오면 상하작동구(18)가 역시 축(19)에서 절곡상승되므로 상하작동구(18)에 부착된 괘구(11)에 수직으로 붙어 있는 걸고리(17)가 동시 상승되었다가 키이레버의 하강으로 유니버어설바아(22)가 하강할때에 연동작동하는 상하작동구(18)의 하강과 같이 걸고리(17)의 선단부가 브래킷(6)의 걸림턱(6')에 위치한 괘구(11)의 걸림봉(11')을 걸어서 같이 하강하게되어 괘지상태를 이탈함과 동시에 괘구(11)는 스프링(10')에 의하여 복귀되어 돌봉(12)에서 정지되고, 모든 동작부위가 반대로 작동되어 원위치로 복귀하는 것이다.
이상의 동작에서 인지된 오자는 리본의 백색부의 타자인자에 의하여 소거되고, 바른자의 인타는 통상의 타자방법으로 실시하는 것으로서, 이때는 회동절곡간(27)의
원위치 상태에서 부동상태가 해제되므로 압구(29)의 압부(32)가 접동구(33)의 돌부(33')에 접속되어 자판키이(50)(50')를 눌려서 타자를 할 때에는 회동간(30)의 동작과 동시에 돌편(30')에 연설된 링크(30")의 밀림에 의하여 절곡판(31)이 축(46)을 기점으로 절곡되고, 절곡판(31)에 부착된 압구(29)의 압부(32)가 접동구(33)의 돌부(33')를 밀게 되어 압편(34)의 요부(34')가 픽스트도그(35)의 돌부(35')을 밀면 픽스트도그(35)의 타단의 돌편이 스타아휘일(40)을 회동시키고, 스타아휘일(40)의 회동으로 랙이 전진하여 플라텐(36)이 이동하는 것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3단으로 동작하는 리본셀렉터(14)는 통상의 방법과 같이 리본셀렉터(14)를 밀면, 이에 연설된 왕복간(14")의 전진으로 장공(15')에 삽지된 리본선정간(13)이 절곡되어 리본선정봉(38)의 위치를 안내공(37')에서 변위시켜서 리본의 흑색부(42)나 리본의 백색부(42') 또는 리본을 사용치 않는 공타자 방식을 선택되게 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리본셀렉터(14)는 통상의 방법으로 사용하면서 오자의 소거를 할때에는 간단한 조작에 의하여 용이하게 오타를 교정할 수 있으므로 타자의 능률을 보다 향상하게 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1)

  1. 도시한 바와 같이, 오자소거레버(2')의 절곡부(4)에 절곡간(5)을 접설하여 걸림턱(6')이 형성된 브래킷(6)에 설치한 회동간(7)과 연설하며, 핀축(7")에는 왕복간(9)을 유착하여 걸림봉(11')이 돌설된 괘구(11)를 탄착한후 셀렉터 크랭크(14')의 왕복간(14")과 중첩시켜 장공(8)(15)이 고정축(9')에 접동되게 하되, 장공(8')(15')에는 리본선정간(13)을 삽설하고, 괘구(11)의 직하방에 위치하는 걸고리(17)를 탄착한 상하작동구(18)를 축설하여 핀축(21)을 유니버어설 바아(22), 연장부(22')의 "" 형 장공(22")에 삽설하며, 왕복간(9), 횡간(23)의 돌편(23')에 절곡간(24)을 접설하여 압간(26)과 연설한후 요부(26')에는 회동절곡간(27)의 돌봉(27")을 접설하며, 돌간(28)의 경사면(28')에 압구(29)의 돌부(29')를 접설하여 회동간(30)의 돌편(30')과 연설된 절곡판(31)에 축설하고, 압부(32)를 접동구(33)의 돌부(33')에 접설시켜 압편(34)의 요부(34')가 픽스트도그(35)의 돌봉(35')에 접속되게 구성한 타자기의 부동식 오타자 소거장치.
KR2019830005874U 1983-07-05 1983-07-05 타자기의 부동식 오타자 소거(消去)장치 KR85000068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30005874U KR850000681Y1 (ko) 1983-07-05 1983-07-05 타자기의 부동식 오타자 소거(消去)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30005874U KR850000681Y1 (ko) 1983-07-05 1983-07-05 타자기의 부동식 오타자 소거(消去)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50001420U KR850001420U (ko) 1985-04-10
KR850000681Y1 true KR850000681Y1 (ko) 1985-04-22

Family

ID=192305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30005874U KR850000681Y1 (ko) 1983-07-05 1983-07-05 타자기의 부동식 오타자 소거(消去)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50000681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50001420U (ko) 1985-04-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729081A (en) Typewriter carriage and ribbon field control for error correction
US3997046A (en) Flexible correction auxiliaries for use with golf-ball typewriters
KR850000681Y1 (ko) 타자기의 부동식 오타자 소거(消去)장치
US4728208A (en) Ribbon lifting mechanism for selectively placing a printing ribbon and a correction ribbon at a printing position of a typewriter
US3270852A (en) Typewriter erasure mechanism
US3289804A (en) Automatic sequence typing mechanism for printing words upon depression of a single key
US2872015A (en) Stepwise carriage positioning mechanism and related features
NO153645B (no) Fremgangsmaate til fremstilling av asbestfrie, glassfiberarmerte sementprodukter.
NO155806B (no) Fremgangsmaate for fremstilling av kinkonidinsaltet av d-2-(6-metoksy-2-naftyl)-propionsyre som inneholder amider.
US2749985A (en) Typewriting and code perforating machine
EP0063720A2 (en) A position control mechanism for a typewriter ribbon cartridge in a typewriter
US2157108A (en) Toy typewriter
JPS6030060Y2 (ja) タイプライタ−の誤印字訂正機構
JPS6027002Y2 (ja) 誤印字訂正機構付タイプライタ−のリボン作動機構
CN220785258U (zh) 一种热敏打印机的止动机构及热敏打印机
US2809737A (en) Printing and spacing mechanism for typewriters writing continuously in opposite directions
US2398765A (en) Toy typewriter
US3985219A (en) Ribbon cartridge for automatic typewriter function
US497177A (en) Type-writing machine
US3732964A (en) Electric typewriter
US3976184A (en) Ribbon cartridge for dual automatic typewriter function
US2114270A (en) Typewriter
US2509571A (en) Underscoring device for typewriters
KR850001346B1 (ko) 한, 영 겸용 전동 볼타자기
US1989785A (en) Toy typewrit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O032 Opposition [utility model]: request for opposition
O121 Withdrawal of opposition [utility mode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O071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after opposition [utility model]: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