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80003514Y1 - 타자기의 동, 부동 키 선별장치 - Google Patents

타자기의 동, 부동 키 선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80003514Y1
KR880003514Y1 KR2019840013888U KR840013888U KR880003514Y1 KR 880003514 Y1 KR880003514 Y1 KR 880003514Y1 KR 2019840013888 U KR2019840013888 U KR 2019840013888U KR 840013888 U KR840013888 U KR 840013888U KR 880003514 Y1 KR880003514 Y1 KR 88000351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ck space
lever
key
shift
pus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4001388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60007586U (ko
Inventor
최동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정음사
최동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정음사, 최동식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정음사
Priority to KR2019840013888U priority Critical patent/KR880003514Y1/ko
Publication of KR86000758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6000758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8000351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03514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5/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character selection
    • B41J5/08Character or syllable selected by means of keys or keyboards of the typewriter type
    • B41J5/18Locks

Landscapes

  • 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Devices For Change-Speed Gearing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타자기의 동, 부동 키 선별장치
제1도는 본 고안이 장치된 타자기의 간략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 : 백 스페이스 푸쉬 링크 와이어 5 : 백 스페이스 푸쉬 링크
6 : 백 스페이스 푸쉬 레버 샤프트 7 : 백스페이스 푸쉬 레버
본 고안은 타자기의 동, 부동키 선별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2벌식 자판(KSC-5715호 정보 처리용 건반대열)로 타자할 경우에는 자음 글쇠 하나로 첫 자음과 받침을, 모음글쇠 하나로 단모음과 장모음을 같이 타자해야 하고, 받침이 없는 경우에는 쉬프트 상의 자음과 장모음을 치면 모두 1칸씩 전진하여 제대로 글자가 이루어지나 받침이 있는 글자의 경우는 첫 자음을 찍고 쉬프트 상에 있는 단모음과 받침을 찍어야 했다. 이때 단모음은 부동키로 인자시 전진하지 않아야 2칸에서 한자가 이루어지는 한글 인자 원칙에 맞게 되므로 모음의 경우는 쉬프트 상에서는 동키, 쉬프트 상에서는 부동키로 선별되어야 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종래의 이와 같은 단점에 착안하여 모음의 쉬프트 상에서는 부동키가 되도록 구성한 것으로서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면 제1도에서 도시한 바와같이 쉬프트 샤프트(4)에는 스그먼트 홀더(1)와 쉬프트 레버(2)가 결합되고, 백스페이스 풀(10)의 일측에는 백스페이스 풀 가이드(11)를 형성하되, 상기의 백스페이스 풀 가이드(11)로 톱니바퀴(13)가 성형된 스타 휠(12)과 톱니(13')가 성형된 이송대(14)를 근접되게 고정 하였으며 백스페이스 풀(10)타측으로는 백스페이스 레버(9)와 백스페이스 키 레버 와이어(3)를 형성 고정시킨 공지의 것에 있어서, 본 고안은 타자기 본체와 고정된 백 스페이스 푸쉬 레버 샤프트(6)를 스타 휠(12)아래에 설치하되, 그 일측에는 백 스페이스 푸쉬링크(5)를 결합 형성하여 상기한 쉬프트 레버(2)의 일측과 백 스페이스 푸쉬 링크 와이어(3)로서 연결하고, 백 스페이스 푸쉬 레버 샤프트(6)의 타측으로는 백 스페이스 레버(9)의 일측 하단과 근접되도록 백 스페이스 푸쉬레버(7)를 형성하여서 된 구조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과 효과를 도면에 의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받침이 있는 글자시 자음을 타자하고 쉬프트 키를 누르면 공지의 시그먼트 홀더 샤프트(1)에 의해 쉬프트 샤프트(4)와 쉬프트 레버(2)가 (A)방향으로 쉬프트 동작이 일어난다. 이때, 쉬프트 레버(2)의 일측에 연결된 백 스페이스 푸쉬 링크 와이어(3)가 동시에 상승하면서 백 스페이스 푸쉬 링크(5)와 백 스페이스 푸쉬 레버 샤프트(6)를 (A')방향으로 회전시켜 주므로 백 스페이스 푸쉬레버(7)도 같은 회전 방향을 갖으면서 백 스페이사스 레버(9)의 일측을 (A")방향으로 밀어주게 된다.
따라서, 백 스페이스 레버(9)에 의해 백 스페이스 폴(10)은 (B)방향으로 이동하면서 백 스페이스 폴 가이드(11)에 형성된 돌출부(15)가 스타휠(12)의 톱니바퀴(13)를 걸게 됨으로 타자후에도 스페이스 작용이 일어나지 않게된다.
이와같이, 본 고안은 받침이 있는 글자의 경우는 쉬프트 상의 자음을 찍고 쉬프트 키를 눌러 모음을 치게 되면 단모음이 찍히면서 부동이 되므로 다음 받침을 찍을대 2칸에서 한 글자가 이루어지는 것이다.

Claims (1)

  1. 쉬프트 장치와 백 스페이스 장치가 구성되어진 타자기에 있어서, 타자기 본체와 고정된 백스페이스 푸쉬 레버 샤프트(6)를 스타 휠(12) 아래에 설치하되, 그 일측에는 백 스페이스 푸쉬 링크(5)를 결합 형성하여 공지의 쉬프트 레버(2)의 일측과 백 스페이스 푸쉬 링크 와이어(3)로서 연결하고, 백 스페이스 푸쉬 레버 샤프트(6)의 타측으로는 공지의 백 스페이스 레버(9)의 일측 하단과 근접되도록 백 스페이스 푸쉬 레버(7)를 형성 고정한 것으로서 쉬프트 키를 누르고 타자를 하게되면 동시에 부동키로 변환이 되는 타자기의 동. 부동키 선별 장치.
KR2019840013888U 1984-12-24 1984-12-24 타자기의 동, 부동 키 선별장치 KR88000351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40013888U KR880003514Y1 (ko) 1984-12-24 1984-12-24 타자기의 동, 부동 키 선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40013888U KR880003514Y1 (ko) 1984-12-24 1984-12-24 타자기의 동, 부동 키 선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60007586U KR860007586U (ko) 1986-07-12
KR880003514Y1 true KR880003514Y1 (ko) 1988-10-12

Family

ID=192389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40013888U KR880003514Y1 (ko) 1984-12-24 1984-12-24 타자기의 동, 부동 키 선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80003514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60007586U (ko) 1986-07-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180337A (en) Keyboard arrangement
ES8204347A1 (es) Maquina de escribir
US4519721A (en) Typewriter keyboard layout
US3871506A (en) Exchangeable keyboard for ball typewriters
KR880003514Y1 (ko) 타자기의 동, 부동 키 선별장치
US2189023A (en) Punching and printing device
US5203635A (en) Lightweight stenographic machine with separate and additional number keys
US2187592A (en) Keyboard
GB912906A (en) Improvements in and relating to stenotyping machines
KR890008030Y1 (ko) 타자기 캐리지의 동 · 부동 변환장치
SU1050896A1 (ru) Пишуща машинка
KR900000954Y1 (ko) 윗글자쇠의 자동 해제장치
US1108661A (en) Shorthand type-writing machine.
US1686627A (en) Typewriter
FR2238327A5 (en) Arabic character keyboard - rows of keys have vowels in groups of two separated by groups of consonants
KR890001263Y1 (ko) 타자기 캐리지의 동 · 부동 변환장치
US1646407A (en) jones
US3036386A (en) Rhyming device
KR790000919B1 (ko) 2벌식 자판에 의한 한글타자기
KR890001871Y1 (ko) 타자기캐리지의 동.부동 변환장치와 이기구를 연결한 모음키이의 라인락장치
KR900001283B1 (ko) 전자 타자기의 한영혼용 데이지 휠과 그 인자 방법
KR200292595Y1 (ko) 한글용 키보드
GB1292367A (en) Improvements relating to keyboard machine
KR960001888Y1 (ko) 한글의 복모음과 복자음을 구성한 키이보드
FR2240613A6 (en) Arabic character typing keyboard - has vowels in adjacent lines of keys forming groups of tw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