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90002721Y1 - 개정 표준 자판식 타자기의 모음부동 장치 - Google Patents

개정 표준 자판식 타자기의 모음부동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90002721Y1
KR890002721Y1 KR2019860000430U KR860000430U KR890002721Y1 KR 890002721 Y1 KR890002721 Y1 KR 890002721Y1 KR 2019860000430 U KR2019860000430 U KR 2019860000430U KR 860000430 U KR860000430 U KR 860000430U KR 890002721 Y1 KR890002721 Y1 KR 89000272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
plate
shielding plate
piece
vow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6000043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70012174U (ko
Inventor
염부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동아정공
이범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동아정공, 이범항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동아정공
Priority to KR2019860000430U priority Critical patent/KR890002721Y1/ko
Publication of KR87001217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1217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9000272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2721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5/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character selection
    • B41J5/08Character or syllable selected by means of keys or keyboards of the typewriter type
    • B41J5/14Construction of key le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3/00Power drives for actions or mechanisms
    • B41J23/02Mechanical power drives
    • B41J23/16Mechanisms driven by a spring tensioned by power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5/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character selection
    • B41J5/08Character or syllable selected by means of keys or keyboards of the typewriter type
    • B41J5/16Mounting or connecting key buttons on or to key levers

Landscapes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개정 표준 자판식 타자기의 모음부동 장치
제1도는 본 고안이 적용되는 개정표준 자판의 키이보드.
제2도는 종래의 표준자판(통일자판)의 키이보드.
제3도는 종래의 타자기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
제4도는 종래 세그멘트 유바에 의해 에스케프멘트 락카가 작동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제5도는 본 고안의 요부 사시도.
제6도는 기존 구성에 본 고안에 적용 설치한 상태의 전체 구성도.
제7a도는 타이프바를 누르지 않은 상태의 평면도, 제7b도는 타이프바를 눌러서 가림판이 제쳐지면서 전진하는 상태를 보인 평면도.
제8a도는 제7a도의 상태를 보인 정면도로서 시프트1단 상태도, 제8b도는 제7b도의 상태를 보인 정면도로서 가림판이 제쳐지면서 에스케프멘트 락카가 장공에 빠지는 상태의 시프트 2단 상태도.
본 고안은 개정표준자판식 타자기의 선택적 모음부동 장치에 관한 것이다.
개정표준자판의 키이보드는 제1도에서와 같이 자판표시가 단순 표시로 된 것이 특징이며 제2도에 표시된 현준 표준자판(통일자판)의 키이보드(2단표시)와는 활자 배열 형식에서 차이가 많은 것이다.
즉, 개정표준자판은 제1도에서와 같이 글쇠단추(입력)에는 단순표기로 되어 있으나, 활자(출력)에는 2단으로 복합표기 되어 있다.
그러므로 시프트1단 상태에서 타자하면 활자의 하단 표기인 받침을 필요로 하지 않는 긴모음과 자음이 인자되며 동시에 나르개(캐리지)도 한칸씩 이동하게 되고, 시프트2단 상태에서 타자할때는 활자 상단에 표기된 받침을 필요로 하는 짧은 모음이 인자되며 나르개는 부동상태가 되고, 받침글자와 기타 다른 부호는 이동되는 것이다.
다시말해서 시프트2단에서 모음 타자시에는 나르개가 이동하지 않아야만 받침문자를 제자리에 타자할수 있는 것이다.
종래의 타자기 구성은 제3도 및 제4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키이레버(1)의 승강작동에 의해 타이프바(2)가 승강 작동 되어 타자되며 타이프바(2) 하단의 돌출부(3)가 매번 세그멘트유바(4)를 타격하여 진퇴시키고 세그먼트 유바(4)의 부라켓트(5)는 전방의 에스케프멘트락카(6)를 때려줌에 의해 캐리지가 한칸씩 이동하게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의 타자기 구성에 의하면 매번 타이프바(2)가 세그멘트유바(4)를 터치하여 주게 되므로 만일 제2도 및 제3도에 도시된 종래 구성에 개정표준자판을 적용설치 한다면 받침글자를 제자리에 타자할수 없게 되며 동과 부동의 구분이 없게 되는 문제점이 있게 되는 것이다.
때문에 본 고안은 단모음을 타자할때는 부동이 되고, 받침을 타자하면 동으로 전환되는 장치를 안출한 것이며 더욱 자세하게는 받침문자를 타자할 목적으로 2단 시프트 상태에서 모음을 타자하면 세그멘트유바가 에스케프멘트락카를 때려주지 않도록 하여 부동상태에서 모음이 타자 될 수 있게 한 것인바, 이를 첨부도면에 의해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키이레버(1) 후단의 돌출편(7) 전방위치에 키이편(8)을 축(9)으로 전, 후 회동될 수 있게 유착시키고 키이편(8)의 하단에는 각 모음키이레버와 일치하도록 여러개의 접속편(10)을 형성하여 모음을 타자 할때마다 해당접속편(10)을 전방으로 밀어줄수 있게 한다.
또한 세그멘트유바(4)의 부라켓트(5)상단에는 장공(13)을 형성하고 그 전면에는 상단일측이 요구(16)로 된 가림판(14)을 축볼트(15)로 유착시켜 축볼트(15)를 지점으로 하여 가림판(14)이 외측으로 기울어질수 있게 하므로서 장공(13)이 가림판 (1 4)에 의해 가려지거나 노출될수 있게 한다.
또한 키이편(8)과 가림판(14)사이에는 ㄱ자형 링크(12)를 지축(12')으로 유착시켜 그 전단부에는 가림판(14)의 연결간(18)을, 후단부에는 키이편(8)의 연결판( 1 1)을 결속시켜 주므로서 키이편(8)의 진퇴작동이 링크(12)를 통해서 가림판(14)에 전달되게 하며 가림판(14)의 복귀작동은 그 하단에 탄지된 스프링(19)에 의해 이루어지게 한 것이다.
이와같이된 본 고안은 시프트가 1단 위치(0)에 있을때는 세그멘트(A)가 상승되어 있으므로 에스케프멘트락카(6)의 위치가 제8a도 상태처럼 가림판(14)의 정중앙위치에 있고, 세그멘트유바(4)의 진퇴작동에 의해 매번 에스케프멘트락카(6)는 타격을 당하여 캐리지를 이동시키게 되며 받침이 필요없는 글자를 계속 타자할수 있게 되고 캐리지는 계속 이동된다.
이때의 키이편(8)은 받침없는 모음을 타자할 때마다 진퇴되고 가림판(14)도 좌,우 유동되지만 타기능에 아무런 영향을 주지 못하게 되며 가림판(14)은 세그멘트유바(4)와 함께 진퇴작동을 하면서 에스케프멘트락카(6)를 때려 주게 된다.
그러나 받침이 필요한 글자를 타자하기 위해서 시프트를 2단으로 하강시키면 제8b도 상태처럼 세그멘트유바(4)와 가림판(14)이 하강하여 에스케프멘트락카(6)의 위치가 장공(13)과 일치되는 직선위치에 있게 되고, 이상태에서 모음을 타자하면 키이편(8)이 링크(12)를 당기고 링크(12)는 다시 가림판(14)을 당김과 동시 세그멘트유바(4)가 전진하게되며, 이로 인해 가림판(14)이 일측으로 기울어지면서 가리고 있던 장공(13)을 노출시킨 상태로 전진하기 때문에 에스케프멘트락카(6)가 장공(13)에 빠져버리게 되어 부라켓트(5)로부터 타력을 받지 않게 되며 결국은 모음이 타자 되어도 캐리지는 부동상태에 있게 되어 받침문자를 타자할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렇게 된 본 고안은 매번 타자할때마다 진퇴작동 되면서 캐리지를 이동시키는 세그멘트유바(4)의 부라켓트(5)에 장공(13)을 형성하여 가림판(14)에 의해 가려지거나 노출되게 하고, 특히 장공(13)이 부라켓트(5)상단에 천공되어 있기 때문에 시프트 1단에서는 장공(13)에 관계없어 매번 에스케프멘트락카(6)가 타격되고 시프트 2단에서만 장공(13)에 에스케프멘트락카(6)가 빠질수 있게 되므로 캐리지의 동, 부동 작동이 정확하게 구분될수 있게 되고, 이로인해 기존의 타자기에 개정표준자판을 설치할때 본 고안의 선택적 모음 부동장치만 부설하면 별도의 구조개량없이 그대로 사용할수 있는 간편함이 있는 것이다.

Claims (1)

  1. 키이레버(1) 후단의 돌출편(7) 전방위치에 키이편(8)을 축(9)으로 전, 후 회동될수있게 유착시키고 키이편(8)의 하단에는 각 모음키이레버와 일치하도록 여러개의 접속편(10)을 형성하여 모음을 타자할때마다 해당접속편(10)을 전방으로 밀어줄수 있게 하고 세그멘트유바(4)의 부라켓트(5)상단에는 장공(13)을 형성하고 그 전면에는 상단 일측이 요구(16)로된 가림판(14)을 축볼트(15)로 유착시켜 축볼트(15)를 지점으로 하여 가림판(14)이 외측으로 기울어질수 있게 하므로서 장공(13)이 가림판(14)에 의해 가려지거나 노출될수 있게 하며 키이편(8)과 가림판(14)사이에는 ㄱ자형 링크(12)를 지축(12')으로 유착시켜 그 전단부에는 가림판(14)의 연결간(18)을, 후단부에는 키이편(8)의 연결판(11)을 결속시켜 주므로서 키이편(8)의 진퇴작동이 링크(12)를 통해서 가림판(14)에 전달되게 하며 가림판(14)의 복귀작동은 그 하단에 탄지된 스프링(19)에 의해 이루어지게 한 개정표준자판식 타자기의 모음부동장치.
KR2019860000430U 1986-01-17 1986-01-17 개정 표준 자판식 타자기의 모음부동 장치 KR89000272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60000430U KR890002721Y1 (ko) 1986-01-17 1986-01-17 개정 표준 자판식 타자기의 모음부동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60000430U KR890002721Y1 (ko) 1986-01-17 1986-01-17 개정 표준 자판식 타자기의 모음부동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12174U KR870012174U (ko) 1987-08-03
KR890002721Y1 true KR890002721Y1 (ko) 1989-04-29

Family

ID=192481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60000430U KR890002721Y1 (ko) 1986-01-17 1986-01-17 개정 표준 자판식 타자기의 모음부동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90002721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12174U (ko) 1987-08-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433225A (en) Keytop levelling mechanism
JP3201175B2 (ja) キースイッチ
KR890002721Y1 (ko) 개정 표준 자판식 타자기의 모음부동 장치
JPS60230318A (ja) キ−スイツチ安定装置
KR890002332Y1 (ko) 개정표준 자판식 타자기의 윗글자쇠 자동해제장치
US9666390B2 (en) Keyboard containing keys having sequential switching capacities
KR790001238Y1 (ko) 볼(ball) 타자기의 동, 부동장치
KR830002886Y1 (ko) 한영 겸용 타자기의 부동키이 동(動), 부동(不動) 장치
JPH0344325B2 (ko)
KR890001261Y1 (ko) 수동타자기의 시프트 라킹 및 자동해제장치
KR830000484Y1 (ko) 한, 영 겸용 3단식 전동 타자기의 동, 부동 조절장치
KR890001263Y1 (ko) 타자기 캐리지의 동 · 부동 변환장치
KR890007954Y1 (ko) 수동 타자기의 시프트 라킹 및 자동 해제장치
KR820001799Y1 (ko) 동, 부동조절 3단식 전동타자기
KR890000881Y1 (ko) 타자기 캐리지의 동 · 부동 변환 장치
KR890001757Y1 (ko) 타자기의 카셋트 리본 2단 승강장치
KR890003908Y1 (ko) 수동 타자기의 시프트 라킹 및 자동 해제 장치
JP2707180B2 (ja) 競泳競技用タッチパネル
KR890001871Y1 (ko) 타자기캐리지의 동.부동 변환장치와 이기구를 연결한 모음키이의 라인락장치
KR850000915Y1 (ko) 한글 타자기의 선택적 모음 부동장치
JP2000056766A (ja) 鍵盤装置
JPS5812235Y2 (ja) 電子楽器の鍵盤装置
JPS586018Y2 (ja) 多重機能キ−ボ−ド
KR890000882Y1 (ko) 수동 타자기의 시프트 라크 자동 해제 장치
JP2554614Y2 (ja) キーボードアダプ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19860117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19860117

Patent event code: UA0201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U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UG1604 Public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UG16041S01I

Comment text: Decision on Public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890404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890710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890713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19890713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2012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3012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40126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41222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60124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70131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71229

Year of fee payment: 10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71229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