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10002019B1 - 단부 개방 주형을 보유하는 연속 주조설비용 스트랜드 인출봉 헤드 - Google Patents

단부 개방 주형을 보유하는 연속 주조설비용 스트랜드 인출봉 헤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10002019B1
KR810002019B1 KR7802379A KR780002379A KR810002019B1 KR 810002019 B1 KR810002019 B1 KR 810002019B1 KR 7802379 A KR7802379 A KR 7802379A KR 780002379 A KR780002379 A KR 780002379A KR 810002019 B1 KR810002019 B1 KR 8100020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and
head
mold
rod head
draw b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78023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에리크 요한슨 닐스
랑크너 카알
Original Assignee
에리크 요한슨 닐스
콘캐스트 인코오포레이테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리크 요한슨 닐스, 콘캐스트 인코오포레이테드 filed Critical 에리크 요한슨 닐스
Priority to KR78023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81000201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100020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100020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1/00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 B22D11/08Accessories for starting the casting proced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olds, Cores, And Manufacturing Methods Thereof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단부 개방 주형을 보유하는 연속 주조설비용 스트랜드 인출봉 헤드
제1도는 본 발명 인출봉 헤드의 1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제2도는 제1도에 도시한 인출봉 헤드의 평면도.
제3도는 제2도의 Ⅲ-Ⅲ선 단면도.
제4도는 제2도의 Ⅳ-Ⅳ선 단면도.
제5도는 본 발명 인출봉 헤드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제6도는 제5도에 도시한 인출봉 헤드의 평면도.
제7도는 동 정면도.
제8도는 동 측면도.
제9도는 본 발명의 사용상태를 예시하는 인출봉 헤드의 정면도.
제10도는 동 평면도.
본 발명은 단부 개방 주형을 보유하는 연속 주조설비에 있어서, 스트랜드인출 개시용 인출봉 헤드에 관한 것이다.
연속 주조설비의 특징은 양단이 개방된 주형을 사용하여 주형의 일단으로 용융재료(금속)를 주입하고, 주형내에서 부분적으로 응고되어 형성된 응고 셀(shell)을 주형의 타단으로부터 연속적인 스트랜드로서 인출하는 것이다.
주조작업 개시로부터 스트랜드를 인출하기 위해서는 인출봉을 사용해야 한다.
이러한 봉에는 주형 공동의 횡단면과 일치하며, 그 안에 꼭 들어맞는 헤드가 형성되어 있다.
주조를 개시하기 전에 인출봉 헤드를 주형내에 봉입하여 인출봉 헤드와 주형의 내부벽사이의 공간을 밀폐한 다음, 주형 공동내에 용융재료를 주입한다.
최초로 주형 공동내에 주입된 용융재료가 인출봉 헤드와 접촉하여 응고되면 인출봉 헤드를 주형으로 부터 적당한 방법으로 인출한다.
스트랜드가 주조설비의 구동로울러에 의해 계지될 수 있을 때까지 스트랜드를 인출한 다음, 인출봉 헤드와 스트랜드를 분리한다.
주형요로부터 인출봉 헤드의 인출속도는 스트랜드가 일단 인출봉 헤드로부터 분리된 후, 주조장치의 구동로울러에 의한 스트랜드의 인출속도가 마찬가지로, 응고된 셀과 용융코어가 유출되는 주형내로 주입되는 용융 재료의 주입속도에 비례한다.
인출봉 헤드에는 스트랜드와 인출봉 헤드가 연결될 수 있도록 어떠한 형태의 결합 수단이 형성되어 있다.
잘 알려져 있는 인출봉 헤드의 한 가지 형식은 그 자체에 결합수단이 설치되어 있지 않으며, 주조개시전에 볼트와 같은 결합 요소를 인출봉헤드에 체결하고, 스트랜드가 인출되기 시작하면, 인출봉 헤드로부터 분리하는 것이 있다.
이러한 인출봉 헤드는 스트랜드의 인출 선단과 밀착되어 그와 함께 폐기된다.
따라서, 많은 수의 멀티스트랜드 주조를 개시해야 할 경우에는 이런식의 인출봉 헤드를 사용하면 작업 비용이 많이 소요된다.
이러한 문제는 영구적으로 결합된 결합수단을 보유하는 인출봉 두부를 사용하므로써 완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주로 이러한 형식의 인출봉 헤드에 관한 것이다.
영구 결합수단을 보유하는 인출봉 헤드로서는 주형의 인접한 벽과 함께 후크모양의 공간을 형성하는 노치(notch)가 설치된 것이 알려져 있다.
여기서는 후크모양의 공간내로 용융금속이 유동한다.
용융금속이 응고되면 인출봉 헤드와 응고된 용융금속 사이에서 계지 후크 형태로 결합된다.
이러한 결합은 인출봉 헤드를 스트랜드에 대해 축방향으로 이동하므로써 해체된다.
이러한 인출봉 헤드는 인출봉 헤드가 스트랜드로부터 분리되는 위치의 주형 사이에서 근접한 여러 쌍의 로울러에 의해 슬라브를 안내 및 지지하는 슬라브 주조에 있어서, 그 작업성이 우수하다.
이 경우에, 인출봉 두부와 스트랜드의 경계가 밀착되어 있기 때문에 양자간의 조기 분리가 방지 된다.
그러나, 횡단면적이 작은 블룸이나, 빌렛과 같은 스트랜드 주조시에는 항상 그렇듯이 인출봉과 스트랜드가 밀접하게 되지 않으면 인출봉 헤드가 스트랜드로부터 조기에 분리되는 경향이 있다.
이와 같은 경향은 인출봉 헤드와 스트랜드가 만곡된 통로를 이동할 때 현저하게 나타난다.
이러한 인출봉 헤드를 사용하면, 이 밖에도 다음과 같은 불리한 점이 있다.
즉, 밀봉되어야 할 선단중 어느 것인가가 쉽게 접근할 수 없으므로 주형에서의 밀봉이 곤란하게 되며, 그 안에 형성되는 노치의 형태 때문에 작업 및 수리가 곤란하다.
상기한 인출봉 헤드의 수정된 형태로는 노치의 하부를 절단해 낸 것이있다.
이러한 인출봉 헤드로서는 인출봉 헤드가 스트랜드로부터 조기에 분리되는 경향을 완화할 수는 있지만, 하부가 절단된 형태에 의해, 또 다른 난점이 발생된다.
즉, 인출봉 헤드를 스트랜드로부터 원활하고 무난하게 분리할 수 없다.
이 인출봉 헤드는 상술한 것과 유사하며, 스트랜드와 인출봉 헤드상의 계지부를 통해서 스트랜드와 결합된다.
한편, 전술한 인출봉 헤드와 다른 형태의 것으로는 인출봉 헤드를 스트랜드에 대하여 회전시키므로써 인출봉 헤드와 스트랜드 간의 결합을 해제하는 것이 있으나, 이러한 인출봉 헤드도 상술한 것과 같은 단점이 있다.
이 밖에도 영구 결합수단이 설치된 인출봉 헤드도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이들 인출봉 헤드는 모두 주형을 밀봉하기 곤란한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주형을 밀봉하기 용이한 인출봉 헤드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스트랜드가 가이드 없이 곡선 통로를 이동할 때에도 스트랜드에의 견고한 결합이 유지되며, 소정위치에 달해서는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는 인출봉 헤드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재사용 가능하며, 스트랜드와 결합시키기 위한 영구 결합수단이 설치되어 있는 인출봉 헤드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요구될 때 스트랜드로부터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는 인출봉 헤드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작업 및 수리가 간편한 인출봉 헤드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부가적인 목적은 인출봉 헤드와 스트랜드의 결합을 해제할 수 있으며, 또한 확실하게 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은 단부 개방 주형을 보유하는 연속 주조설비에 있어서, 스트랜드의 인출을 개시하기 위한 인출봉 헤드에 관한 것이다.
인출봉은 스트랜드 주조전에 주형 공동내에 수납할 수 있는 인출봉 헤드를 포함하여, 인출봉 헤드에는 그 인출봉 헤드가 주형공동내에 있을 때 주형의 내부벽에 대면하는 주위 표면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인출봉 헤드 주형 공동내에 삽입되었을 때, 주형의 주입구를 향하는 끝면을 보유한다.
그 끝면의 일부는 인출봉 헤드의 주위 표면에 대해 경사져 있다.
인출봉 헤드에는 스트랜드와 인출봉 헤드를 스트랜드 길이 방향축에 대해 가로 방향의 상대 이동에 의해 분리할 수 있는 식으로 스트랜드와 인출봉 헤드를 결합시키기 위한 다브테일(Dove tail) 형상의 요홈이 형성되어 있다.
요홈은 인출봉 헤드 끝면의 경사진 부분에 개구되어 있으며, 인출봉헤드의 주위 표면에로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경계지어 있다.
본 발명의 인출봉 헤드에는 다브테일 모양의 요홈이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스트랜드가 곡선 통로를 안내 부재없이 이동할 때할때에도 인출봉 헤드와 스트랜드를 확고하게 또한 분리 가능하게 결합시킬 수 있다.
또한, 인출봉 헤드와 스트랜드의 결합이 곡선통로를 이동하는 동안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에 충분하도록 견고하게 되며, 한편으론 요홈의 형태에 의해서 필요할 때 인출봉 헤드와 스트랜드를 쉽게 분리할 수 있다.
영구결합 수단은 다브테일 모양의 요홈으로서 구성하고 있기 때문에 결합재료를 절약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브테일 모양의 요홈은 비교적 제조가 용이한 잇점도 있다. 또한, 인출봉 헤드의 끝면이 경사져 있고, 요홈이 인출봉 헤드의 주위 표면을 관통하고 있지 않으므로, 인출봉 헤드를 주형내에 비교적 용이하게 밀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여 비교적 간편하게 밀봉할 수 있으므로, 멀티 스트랜드 설비에서 주조가 중단되었을 경우에도 스트랜드의 주조를 재개시킬 수 있다.
인출봉 헤드 끝면에 경사부분을 형성하여 얻어지는 또 다른 잇점으로는 인출봉 헤드가 주형내로 지나치게 많이 삽입되지 않고도 그 기능을 충족시킬 수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것은 끝면의 일부가 인출봉 헤드의 주위 표면에 대해 경사져 있고, 나머지는 사실상 직각일때만 실현된다.
요홈의 개구가 주형공동의 주입단을 향하도록 인출봉 헤드를 주형공동내에 삽입하고, 냉각재료(chill material)를 요홈에 설치한다.
냉각재료는 주형공동의 경계면 또는 벽에 대해 경사지게 위치하는 예컨대, 봉과 같은 연장된 부재로 구성된다.
연장된 부재의 일단은 언더컷 부분에 위치되며, 용융재료는 요홈내로 유입되어, 연장된 부재 주위에서 응고되어 연장된 부재와 응고된 용융재료간에 결합이 이루어 진다.
이때, 인출봉 헤드를 주형공동으로부터 인출하여 스트랜드를 개시시킨다.
본 발명의 인출봉을 사용함에 있어서, 연장된 부재는 인출봉 헤드를 주형으로부터 인출할 때 그 일단이 요홈의 언더컷 부분에 의해 고정되도록 설치한다.
또한, 연장된 부재는 인출봉 헤드의 이동개시에 따른 최초 임계 순간동안에 스트랜드에 대한 앵커효과를 나타낸다.
제1-4도는 본 발명에 의한 인출봉 헤드의 일 실시예를 표시하는 것으로, (1)은 인출봉 헤드를 나타내는 것이다. 인출봉 헤드(1)에는 주조되는 스트랜드와 결합시키기 위한 결합부(2)가 형성되어 있으며, 또한 그를 통해 인출봉 헤드를 인출봉의 미도시된 주요부에 연결할 수 있는 연결부(3)가 형성되어 있다.
인출봉 헤드(1)는 임의의 적당한 방법으로 인출봉의 주요부에 연결해도 좋으나, 여기서는 인출봉의 주요부의 일치되는 개구에 삽통되는 핀을 끼우기 위한 개구(4)가 연결부(3)에 개설되어 있다.
결합부(2)는 표면부(5a)(5b)(5c)(5d)로써 구성된 외주표면(5)을 보유하고 있다. 결합부(2)에는 요홈(7)이 요설되어 있고, 그 요홈(7)은 끝면(6)에서 개구되어 있으며, 아치형 주위벽(8)과 실질적으로 평면벽(9)에 의해 한정되어 있다. 요홈(7)에는 언더컷부분(10)이 형성되어 다브테일 형상으로 되어 있다.
인출봉 헤드(1)는 주형 내에서 그 끝면(6)이 주형의 주입구에 대면하도록 위치된다. 따라서, 주형내로 주입되는 용융재료, 예컨대 용융 강철의 최초분량이 언더컷 부분(10)으로 유입된다.
이 용융물질이 응고되면 인출봉 헤드(1)와 주조되는 스트랜드 간에 결합이 이루어진다.
요홈(7)은 끝면(6)과 주위표면부(5b)의 교차점에서 끝면(6)과 주위표면부(5C)의 교차점으로의 방향에서 그 깊이가 깊어지며, 또한 이 방향에서 좁아진다.
이러한 요홈(7)의 언더컷 부분(10)과의 관련된 형상에 기인하여, 인출봉 헤드(1)와 주조되는 스트랜드간의 연결은 스트랜드와 인출봉 헤드(1)가 상호 스트랜드의 길이방향축선에 대해 직각 혹은 거의 직각인 방향으로 이동시킴에 의해서만 분리된다.
인출봉헤드(1)와 스트랜드를 분부시키기 위한 양자간의 상대이동 방향은 화살표(20)로 표시한다.
요홈(7)은 인출봉 헤드(1)를 주조되는 스트랜드에 결합시키는 영구결합수단을 구성한다. 요홈(7)은 끝면(6)과 주위표면부(5b)의 교차선에 종단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요홈(7)은 그 교차선 바로 앞부분에서 종단시킬 수도 있다. 요홈(7)은 인출봉 헤드(1)의 주위표면부(5)을 관통하지 않는다. 즉, 요홈(7)은 주위표면(5)에서 개구되지 않는다.
따라서, 인출봉헤드(1)가 주형내에 작업 위치에 있을 경우, 요홈(7)에는 주형의 주입구에서 볼때 끝면(6) 이외의 연부가 없다.
이때문에 인출봉 헤드(1)를 주형내에 봉입하는 것이 용이하게 된다. 그런데, 요홈(7)이 주위표면부(5)에서 개구되어 있다면, 끝면(6)이 외에 봉입이 요구되는 대응연부가 생기게 되며, 그 연부가 끝면(6) 뒤에 위치하기 때문에 그 연부에의 접근이 곤란하게 된다.
요홈(7)은 인출봉헤드(1)가 주형내의 작업위치에 있을 때 주형의 길이 방향 중심선이 끝면(6)에 형성된 개구를 통과하도록 위치하는 것이 좋다.
제5도-제8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제5-8도의 인출봉헤드(1)에는 주조되는 스트랜드와 결합시키기 위한 결합부(2)가 형성되어 있으며, 인출봉의 주요부분과 연결하기 위한 연결부(3)가 형성되어 있다.
연결부(3)에는 인출붕의 주요부분의 개구에 끼워지는 핀을 끼우기 위한 개구(4)가 개설되어 있다. 주위표면(5)은 인출봉헤드(1) 가주형내의 작업위치에 있을 때 주형의 내부표면에 대면한다.
결합부(2)에는 인출봉 헤드(1)가 주형내의 작업위치에 있을 때 주형의 주입단부에 대면하는 끝면(6)이 형성되어 있다. 끝면(6)은 주위표면부(5)에 대해 경사진 경사부분(6a)과 주위표면(5)에 대해 직각 또는 대략 직각인 경사부분(6b)으로 구성된다.
일반적으로 끝면(6)의 직각부분(6b)은 인출봉 헤드(1)가 주형내의 작업위치에 있을때 주형의 길이방향축에 대해 수직 또는 대략 수직이 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이러한 형상은 주형내에서 인출봉 헤드가 점유하는 공간을 최소한으로 감소시키는 데 특히 적합하다.
결합부(2)에는 끝면(6)의 경사부분(6a)과 직각부분(6b)에서 개구된 요홈(7)이 설치되어 있다.
요홈(7)은 주위벽(8)과 실질적인 평면벽(9)에 의해 경계지워진다.
요홈(7)에는 언더컷 부분(10)이 형성되어 요홈(7)은 다브테일 모양으로 되어 있다.
이미 설명한 바와같이, 인출봉 헤드(1)는 끝면(6)이 주형의 주입에 대향하도록 주형내에 위치한다.
따라서, 주형내로 주입된 최초의 용융재료는 언더컷부분(10)으로 유입되고, 응고되고, 따라서 인출봉헤드(1)과 주조되는 스트랜드 사이에 결합이 이루어진다.
요홈(7)은 끝면(6)과 주위표면부(5b)의 교차선에서 끝면(6)의 경사부분(6a)과 직각부분(6b)의 교차선의 방향에서 그 깊이가 깊어지며, 또한 이 방향에서 좁아진다.
요홈(7)은 끝면(6)의 경사부분(6a)과 직각부분(6b)의 교차선으로 부터 주위표면부(5C)를 향해서는 사실상 그 깊이가 일정하다.
요홈(7)에서 깊이가 일정한 부분은 그 폭도 일정해도 좋으나, 끝면(6)의 경사부분(6a)과 직각부분(6b)의 인접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약간씩 좁아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요홈(7)의 형상과 언더컷부분(10)에 의해서 인출봉헤드(1)와 주조되는 스트랜드간의 결합은 스트랜드와 인출봉 헤드(1)가 스트랜드의 길이방향 축선에 대해 직각 또는 대략직각인 방향으로 상대이동에 의해서만 분리되도록 되어 있다.
인출봉헤드(1)와 스트랜드간의 분리를 위한 상대이동 방향은 화살표(20)로서 도시한다. 요홈(7)은 끝면(6)의 경사부분(6a)과 주위표면부(5b) 사이의 교차선 바로 앞에서 종단되는 것이나, 그 교차선에서 종단되도록 할 수 있다.
요홈(7)은 인출봉 헤드(1)의 주위표면(5)을 관통하지 않는다. 즉, 요홈(7)은 주위표면부(5)에서 개구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이미 설명한 바와같이 요홈(7)에는 접근하기 곤란한 연부가 없으므로, 주형내에 인출봉 헤드(1)를 봉입하는 것이 용이하게 된다. 인출봉 헤드(1)가 주형내의 작업위치에 있을때 주형의 길이방향 중심선이 끝면(6)의 직각부분(6b)에 형성된 개구를 관통하도록 요홈(7)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필요시 주조되는 스트랜드로부터 인출봉헤드(1)를 용이하게 분리시키기 위해서는 주위표면부(5a)(5b)(5c)(5d)도 끝면(6)의 경사부분(6a)과 마찬가지로 안쪽으로 경사지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들의 경사는 크게 할 필요는 없으며, 예컨대 1 또는 2° 정도로 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의 인출봉헤드는 빌렛과 블룸 주조기에서 사용하는데 특히 적합하다. 또한, 본 발명의 인출봉 헤드는 사각형 단면의 주조기에서 뿐만 아니라, 다각형 또는 환형재의 주조에도 사용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는 인출봉 헤드의 횡단면 형상을 주형공동의 형상과 일치시키고, 인출봉 헤드를 주형공동에 각각 적합하게 맞추면 된다. 본 발명의 인출봉 헤드는 하중을 견딜 수 있으며, 기존 주조조건에서 용융되지 않는 재질이면 어느 것으로나 제작할 수 있다. 예컨대, 강철의 주조에 사용할 인출봉 헤드는 강철로 제조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의 인출봉 헤드는 언드컷 부분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스트랜드가 가이드 수단없이 곡선 통로를 이동할 때에도 주조되는 스트랜드에 견고하게 고착되어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인출봉 헤드에 형성된 요홈의 형상에 의해서, 필요시에는 인출봉 헤드와 스트랜드를 서로 스트랜드의 길이 방향 축선에 대해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만으로써 스트랜드로 부터 인출봉 헤드를 분리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인출봉 헤드는 인출봉 헤드를 스트랜드에 결합시키기 위한 요홈이 비교적 단순한 형상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비교적 제조 작업이 간편하다.
제9도 및 제10도는 인출봉 헤드와 주조되는 스트랜드와의 결합을 강화하는데 사용할 수 있는 방법을 예시하는 것이다. 인출봉 헤드와 스트랜드간의 강화된 결합은 인출봉 헤드가 움직이기 시작하는 순간과 인출봉 헤드의 운동개시에 따른 최초 임계 순간에서 특히 요구된다.
아직 정상조건으로 되지 않은 이 기간동안에는 스트랜드가 인출봉 헤드로부터 떨어져 나가기 쉽다.
제9도 및 제10도에서는 주조설비 전방의 주형(21) 내의 작업위치에 제5도-제8도의 인출봉 헤드(1)가 도시되어 있다. 인출봉 헤드(1)는 임의의 종래 방법으로써 주형내에 삽입해도 좋으며, 여기서는 도면을 명확히 하기 위해서 편의상 생략한 인출봉의 주요부분에 연결된 것으로 가정한다.
주형(21)은 임의의 종래의 단부 개방식 주형이며, 여기서는 금속 즉, 강철 주조용과 같은 수직, 직선 주형식 또는 곡선 주형식 연속주조설비에 속해 있는 것으로 가정한다.
주형(21) 내로 용융금속이 주입되는 주형의 주입구는 화살표(22)로 표시하고, 주형(21)으로부터 주조스트랜드가 배출되는 배출구는 화살표(23)로 표시하였다.
인출봉 헤드(1)의 외부표면과 주형(21)의 내부표면사이로 용융금속이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인출봉 헤드(1)는 종래의 방법으로 주형내에 봉입된다.
즉, 인출봉 헤드(1)의 외부표면과 주형(21)의 내부표면 사이에 생기는 틈을 막기 위해서 주형(21)의 내측에 열저항재(24)를 설치한다. 실제로는 종래와 같이 주형내로 주입되는 용융물질의 최초분량의 응고를 촉진하기 위해서 인출봉 헤드상에 스트랩과 같은 냉각재료(chill material)를 설치한다. 그 목적은 인출봉 헤드가 주형으로부터 심하게 지연됨이 없이 인출개시되도록 하기 위해서 인출봉 헤드와 주조되는 스트랜드간의 견고한 결합을 신속하게 형성시키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적어도 냉각재료의 일부는 그 일단이 인출봉 헤드(1)의 언더컷 부분(10) 내로 돌입되도록 설치되는 봉(25)으로 형성된다. 봉(25)은 주형(21)의 내부표면에 대해서 경사져 있다.
봉(25)은 응고셀(shell) 내에 신속히 둘러싸이게 하기 위해서 이 내부표면에 접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인접한 봉(25)은 반대방향으로 경사지게 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그 이유는 그렇게 하면 더욱 균일한 힘의 분산이 얻어지기 때문이다. 또한, 봉(25)은 도시한 바와 같이 요홈(7)의 깊이가 일정한 부분에 위치시키는 것, 즉 봉(25)이 끝면(6)의 직각부분(6b)에 형성된 개구를 관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단 주형(21) 내에 인출봉 헤드(1)의 봉입되고, 소정의 냉각재료, 즉, 냉각봉(25)이 인출봉 헤드(1)상에 설치되면 주입구(22)를 통해 용융재료를 주형(21) 내로 주입한다.
용융재료와 주형내의 주입은 종래의 방법으로 실시한다. 용융재료는 통상 스트림(stream)을 형성하면서 주형(21) 내로 주입되어 주형(21)의 길이방향 축선을 따라 이동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요홈(7)은 인출봉 헤드(1)가 주형(21) 내의 작업위치에 있을 때 주형(21)의 길이방향 축선이 끝면(6)의 직각부분(6b)에 형성된 개구를 관통하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 조건으로 되고, 용융재료의 스트림이 주형(21) 내로 그 길이 방향 축선을 따라 유입될 때, 봉(25)은 인출봉 헤드(1)의 벽(9)을 용융재료의 스트림에 의해 직접 충돌되는 것으로부터 보호하는 시일드(shield)로서 역활을 한다.
이로써 인출봉 헤드(1)의 침식이 방지되고, 그 수명이 연장된다. 주형내로 주입된 최초 용융재료의 분량은 인출봉헤드(1)의 언더컷 부분(10)으로 유입되고, 언더컷 부분(10)내로 돌입된 봉(25)의 단부주위로 유동한다.
용융재료는 언더컷 부분(10)과 봉(25)의 단부 주위에서 응고되어 응고된 용융재료와 봉(25) 및 인출봉 헤드(1)간에 결합이 이루어진다. 응고가 충분한 크기로 진행되면, 주형(21)으로 부터 인출봉 헤드(1)을 인출하기 시작한다.
이것은 종래의 방식으로 실시한다.
인출봉헤드(1)가 배출구(23)를 통해 주형(21)을 이탈하면, 그 뒤를 따라 스트랜드가 인출된다.
인출봉헤드(1)가 주조스트랜드를 충분히 진행시켜서 주조 스트랜드가 연속 주조설비의 구동로울러에 계합되고, 그에 따라 더 이상 인출봉 헤드(1)의 사용이 불필요하게 되면 주조 스트랜드로부터 인출봉 헤드(1)를 분리시킨다.
인출봉헤드와 주조스트랜드의 분리는 인출봉헤드(1)를 주조스트랜드에 대해 그 길이 방향축선의 가로방향으로 이동시키므로써 실시된다. 다음, 인출봉 헤드(1)와 인출봉의 나머지 부분은 종래의방법으로써 새로운 주조 시동시까지 격납시켜 둔다.
인출봉 헤드(1)가 그 후방의 스트랜드를 인출하는 동안에는 봉(25)은 인출봉 헤드(1)와 주조 스트랜드간의 결합을 강화하는 역활을 한다. 이는 특히 인출봉 헤드(1)의 운동이 개시되는 때와 인출봉 헤드(1)의 운동개시에 따르는 바로 그 기간 동안에 절실하다.
봉(25)은 그 상단이 주형(21)의 벽에 인접 형성된 응고된 재료내에 견고히 둘러싸이고, 인출봉헤드(1)의 언더컷 부분(10) 내로 돌입된 그 타단이 언더컷 부분 위에 가로 놓인 인출봉 헤드(1)의 부분(6a)(6b)에 대해 견뎌내므로써 앵커로서의 역할을 한다.

Claims (1)

  1. 일단은 개방되고, 타단은 폐쇄되어 있으며, 전기한 요홈은 인출방향에서 주조 스트랜드와 견고하게 결합되는 다브테일형 요홈이 각설되어 있고, 스트랜드의 길이방향축선에 대해 가로 방향으로의 상대이동에 의해서 스트랜드와 분리되는 인출봉 헤드에 있어서, 결합을 이루는 요홈(7)의 부분(13)은 주형공동에 대면한 적어도 일부가 스트랜드의 길이방향 축선에 대해 경사진 끝면(6) 쪽으로만 개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부 개방 주형을 보유하는 연속주조설비용 스트랜드 인출봉 헤드.
KR7802379A 1978-08-02 1978-08-02 단부 개방 주형을 보유하는 연속 주조설비용 스트랜드 인출봉 헤드 KR8100020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802379A KR810002019B1 (ko) 1978-08-02 1978-08-02 단부 개방 주형을 보유하는 연속 주조설비용 스트랜드 인출봉 헤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802379A KR810002019B1 (ko) 1978-08-02 1978-08-02 단부 개방 주형을 보유하는 연속 주조설비용 스트랜드 인출봉 헤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10002019B1 true KR810002019B1 (ko) 1981-12-15

Family

ID=192083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7802379A KR810002019B1 (ko) 1978-08-02 1978-08-02 단부 개방 주형을 보유하는 연속 주조설비용 스트랜드 인출봉 헤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1000201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299530A (zh) * 2020-04-20 2020-06-19 中冶京诚工程技术有限公司 空心圆坯用的引锭头及连铸机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299530A (zh) * 2020-04-20 2020-06-19 中冶京诚工程技术有限公司 空心圆坯用的引锭头及连铸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987840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inuously casting of metal in horizontal direction
US5598885A (en) Method for the continuous casting of high-carbon steels
US4149582A (en) Dummy bar head for continuous casting and method of starting a continuously cast strand
US3602290A (en) Dummy bar for continuous casting
US3627017A (en) Dummy bar head for continuous casting and method of using same
KR810002019B1 (ko) 단부 개방 주형을 보유하는 연속 주조설비용 스트랜드 인출봉 헤드
US3800849A (en) Method of introducing the dummy bar into a continuous casting mold and apparatus for the performance of the aforesaid method
EP1194254B1 (en) Method for sealing the ingot-mould/dummy-bar assembly in a continuous-casting plant, and corresponding seal element
US3593776A (en) Starter bar having a frangible coupling
US4381030A (en) Dummy bar head for a steel continuous casting installation containing an open-ended mold
CA2000339A1 (en) Dummy bar for steel strip casting machine
KR101481602B1 (ko) 연속주조용 턴디쉬 및 연속주조장치
US4582119A (en) Method of, and apparatus for, continuously casting metal in a mold chamber having cooled rotating walls
US4969506A (en) Method for sequence casting of steel strip
KR900001553B1 (ko) 용융금속을 금속주편(鑄片)으로 수평연속 주조하기 위한 주형(鑄型)
US5605186A (en) Die-casting of metals with dispersion of solid particles in resulting castings
JPS58184049A (ja) 鋼の湾曲型連続鋳造方法
US4155399A (en) Method for the continuous casting of steel slabs
JP2547771Y2 (ja) 連続鋳造用浸漬ノズル
JPH04266467A (ja) 鋼の連続鋳造方法および爪付き治具
KR20010034498A (ko) 금속 제품의 연속주조용 다각 잉곳 주형
JPH11320043A (ja) 連続鋳造設備及び連続鋳造方法
JPH0686848U (ja) ダミーバーヘッド
JPS6055214B2 (ja) 金属の水平連続鋳造方法
CS242714B1 (cs) Startovací hlava zátkové tyč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