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10001871B1 - 유조선의 격벽 결합장치 - Google Patents

유조선의 격벽 결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10001871B1
KR810001871B1 KR7500589A KR750000589A KR810001871B1 KR 810001871 B1 KR810001871 B1 KR 810001871B1 KR 7500589 A KR7500589 A KR 7500589A KR 750000589 A KR750000589 A KR 750000589A KR 810001871 B1 KR810001871 B1 KR 8100018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boxes
box
strip
insul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75005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삐에르쟌
로제르루트보트
Original Assignee
게랑뜨
까쯔 뜨랑스뽀르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게랑뜨, 까쯔 뜨랑스뽀르뜨 filed Critical 게랑뜨
Priority to KR75005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81000187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100018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100018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5/00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 B63B25/02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 B63B25/08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 B63B25/12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closed
    • B63B25/16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closed heat-insul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3/0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 B63B73/4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characterised by joining methods
    • B63B73/49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characterised by joining methods by means of threaded members, e.g. screws, threaded bolts or nu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3/00Vessels not under pressure
    • F17C3/02Vessels not under pressure with provision for thermal insulation
    • F17C3/025Bulk storage in barges or on ships
    • F17C3/027Wallpanels for so-called membrane tank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03/00Vessel construction, in particular walls or details thereof
    • F17C2203/06Materials for walls or layers thereof; Properties or structures of walls or their materials
    • F17C2203/0602Wall structures; Special features thereof
    • F17C2203/0612Wall structures
    • F17C2203/0626Multiple walls
    • F17C2203/0631Three or more wal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09/00Vessel construction, in particular methods of manufacturing
    • F17C2209/22Assembling processes
    • F17C2209/228Assembling processes by screws, bolts or rive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21/00Handled fluid, in particular type of fluid
    • F17C2221/03Mixtures
    • F17C2221/032Hydrocarbons
    • F17C2221/033Methane, e.g. natural gas, CNG, LNG, GNL, GNC, PL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70/00Applications
    • F17C2270/01Applications for fluid transport or storage
    • F17C2270/0102Applications for fluid transport or storage on or in the water
    • F17C2270/0105Ships
    • F17C2270/0107Wall pan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illing Or Discharging Of Gas Storage Vessel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유조선의 격벽 결합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의 제1구체형을 도해한 것이며, 본 발명에 따른 탱크(tank)의 벽을 배의 2중 선체에 수직으로 자른 단면도.
제2도는 제1도에서 탱크의 제2절연벽 박스(box)의 측면 가장자리 투시도.
제3도는 절연벽을 지탱하는 금속막대에 죔쇄(fastener)가 달린 탱크의 제1박스의 측면 가장자리 투시도.
제4도는 제3도를 Ⅳ-Ⅳ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
제5도는 제1도의 탱크를 유지하는 죔쇠의 여러부분품들의 도면.
제6도는 모든 부분품들을 조립했을 때 죔쇠의 축방향 단면도.
제7도는 제2방수벽을 관통하는 테두리가 달린 스터드(stud)를 동반한 죔쇠의 상단부.
제8도는 본 발명의 제2구체형에 다른 죔쇠를 사용한 탱크의 단면도.
제9도는 도면8의 탱크의 제2박스의 측면 가장자리 투시도.
제10도는 제8도의 죔쇠의 기저부를 나타내며, 선체에 수직한 부분 단면도.
제11도는 제8도의 죔쇠의 부분품 투시도.
제12도는 제2절연벽의 두통 사이에 위치한 죔쇠의 축방향 단면도.
제13도는 본 발명의 제3구체형에 따른 죔쇠를 사용한 탱크의 단면도.
제14도는 제15도의 XIV-XIV선을 따라 자른 본 발명의 제3구체형에 따른 죔쇠의 단면도이며, 휘기 쉬우며, 탄력성 있는 판의 중앙선을 따라 배치된 죔쇠의 채널 부분에 수직한 단면도.
제15도는 제14도의 XV-XV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
제16도는 제14도와 제15도의 죔쇠 부분품을 보여주는 분해도.
액화 천연가스를 운반하는 선박외적재용량을 증가시키고 등온탱크의 제조비용을 절감시키기 위해서 배의 골조속에 통합된 탱크를 만드는 것이 유리한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이 탱크의 격벽은 방수층과 절연층으로 이루어지고 다른 벽면은 선체를 씌우는 철판으로 이루어져 있다. 불란서 특허 1,438,330에는 선박의 골조에 통합된 방수 절연 탱크를 설치하는 것에 대해 기술되어 있는데 그 탱크는 두 개의 연속된 방수층으로 만들어지며 그 제1방수층은 운반하는 액화가스에 접촉되고, 제2방수층은 제1방수층과 선체사이에 위치하게 된다. 이 두 방수층을 앞으로 절연벽이라고 불리우게 될 연속된 두개의 열 절연층으로 대치하였다.
실제의 실시예에서, 제2절연벽은, 절연체로 가득 채워지고 직접 배의 2중 격벽이나 또는 배의 2중 선체에 부착된 박스(box)로 구성되어 있다. 이 박스들은 가스가 침투하여 박스 사이에서 자유로운 순환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배열되어 있다.
제2절연벽은 선실내부로 향한 플랜지(flange)가 있는 얇은 금속스트립으로 만들어지는데, 금속스트립의 높이는 전기한 열절연 박스의 높이와 같으며 용접에 의해 서로 결합된다. 그 금속스트립은 미끄럼 이음(sliding joint)으로 절연벽과 연결된다. 제1 절연벽도 또한 절연물질로 가득찬 탱크로 이루어지며, 제2절연벽과 같이 가스가 자유로이 순화되도록 배열되어 진다. 다만 이 박스들은 나사에 의해서 일련의 길쭉한 금속 막대와 결합되고, 이 금속 막대들은 평행한 박스 열 사이에서로 평행하게 위치해 있다.
이 막대들은 그들 자체가 방수 방식으로 제2방수벽을 관통하여 지나서 지지부분에 의해 수평목판을 따라 군데군데 위치한 포오크에 부착되며, 수평목판은 그들 자체가 지지 선체에 용접된 브래킷(bracket)에 군데군데 부착되고 지지되어 있다.
제1방수벽도 제2방수벽과 마찬가지로 가장자리가 플랜지(flange)된 스트립으로 구성되어 있고, 그 높이는 절연물질로 가득찬 박스의 높이와 같다. 스트립(strip) 자체들간의 접합은 제2방수벽과 같이 용접되어 있으며 절연벽에 미끄럼 이음으로 부착되어 있다.
이러한 배열에 있어서 제2방벽 부위의 연속된 나란한 두개의 연이은 목판사이에 생기는 공간은 간막이벽이 수평인가 수직인가에 따라 겹으로 쌓이거나 옆으로 나란히 놓인 박스들에 의해 점유된다. 박스의 규격에 평행하게 위치한 목판은 인접한 박스의 두 열을 분리하는 어떤 일정한 두께를 갖는 까닭에, 이 스트립의 플랜지된 가장자리가 그 스트립에 인접해 있는 박스열의 중간지점에 올 수 있도록 금속 스트립의 중간 세로선이 각 목판과 나란하게 배열되어진다. 이것은 서로 접하고 있는 두개의 인접한 스트립 사이에서 플랜지된 가장자리의 용접이, 판자에 인접하고 있는 열의 박스와 관련하여 미끄럼이음으로 고착되어 있는 중간 스트립에 나란하게 되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목판과 나란하게 배치된 스트립은 그의 중간선을 따라 군데군데에서 나란한 금속막대의 지지기(support)에 의해 교차된다.
이들 금속막대 사이에 제1절연층 박스의 열이 나란히 위치하고 있다. 모든 스트립은 같은 폭인 까닭에 목판들은 그들의 중앙선 사이에 스트립폭의 수배가 되는 거리를 가져야만 한다. 또한 각 목판(plank)은 어떤 일정한 두께를 가지고 있으므로 이에 따라서 각 목판에 인접하는 열의 박스는 필연적으로 스트립 폭과 같은 폭을 갖는 다른 박스들에 비해 더 작은 폭을 가져야 한다. 제2절연격벽의 구성을 위해서는 일부는 스트립 폭과 같은 두께의 탱크를 사용하고 또 한편은 축소된 폭을 갖는 탱크를 사용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러한 두 가지 종류의 탱크의 필요성은 경제적인 측면에서 불리한 점이 되는데 왜냐하면 모든 탱크가 단 한번에 일률적으로 만들어질 수는 없기 때문이다.
또한 이상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제2방수벽의 스트립의 플랜지된 가장 자리가 제2격벽의 중간지점에 나란하게 되도록 해서, 제2중간용접스트립의 미끄럼 이음에 의한 접합은 전기한 박스의 규격에 평행한 제2격벽의 박스의 중앙선상에 마련된 홈에 의해 이루어진다. 이 홈에는 중간 스트립의 고정에 사용되는 미끄럼 이음 부분이 넣어지는데 각 박스의 상응하는 주된 면의 두께 범위내에서 홈이 만들어진다. 그러나 분명한 것은 제2 격벽의 박스를 만들 때 홈을 낸다는 것은 비용이 많이 드는 일이고, 게다가 전기한 홈은 그 박스의 표면에 취약부위를 형성하기 때문에 충분한 내구성을 얻기 위해서는 상대적으로 두꺼운 면을 준비해야 하는데 이것 또한 제2격벽의 박스의 원가를 상승시키는 것이다. 또한 불란서 특허1,438,330호에 따른 실시예에 있어서는 목판들에 슬라이딩 포오크(sliding fork)로 고정된 접합 부속들이 각 판자와 나란하게 배열된 스트립을 방수가 되게끔 가로지르게 되는데, 이 방수는 전기한 접합부속에 의해 교차되는 금속 스트립에 각 접합부속상에 있는 플랜지를 용접함으로서 가능해지는데 그 결과 그 탱크의 벽을 따라 위치한 금속 스트립은, 그 자체도 선체에 의해 지지되는 목판에 군데군데에서 결합되어진다. 그러나 선체라는 것은 큰 파도와 같은 영향하에서는 변형되기가 쉽기 때문에 목판(plank)들의 중앙선도 변형되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변형은 응력에 의해서 금속 스트립과 접합부분의 결합점들에 직접 전달되어 균열을 일으키며 따라서 작동하고 있는 동안 제2방수벽의 방수가 완전한가를 확인해야 하는 난점이 존재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배의 2중 격벽 혹은 2중 선체에 관한 프랑스 특허번호 1,438, 330호에서 기술된 형의 통합 탱크의 제2방수 혹은 방수벽과 격벽의 구조를 목판을 제거하여 주 격벽의 박스가 위치한 사이에 있는 평행한 금속막대를 연결하는 연결부분( supporting members)의 한부분을 연결하는 죔쇠(fastener)로 대치하여 개선하는 것이다. 이러한 죔소(fastener)는 큰 파도의 영향에서도 선체의 변형에 부합할 수 있는 작용을 갖고, 제2격벽의 인접한 두 박스사이에 끼워넣을 수 있기 때문에 이 박스의 크기를 줄일필요도 없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이 죔쇠는 군데군데서 목판의 중앙선에 대응되는 선을 따라서 설치되어 있으므로, 제2방수벽의 박스를 박스열의 세로 중앙선이 목판을 대신한 죔쇠가 위치한 선을 따라서 나란히 배열되도록 배열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제2방수벽의 스트립 폭의 수배이 해당되는 죔쇠의 연속적인 두 개 선사이의 거리는 스트립의 폭과 같은 폭을 가지는 제2격벽의 박스폭의 수배애 해당하게 되며 스트립의 플랜지된 가장 자리는 2개의 평행한 박스 열 사이에 위치한다.
2개의 인접한 스트립의 플랜지된 가장자리가 함께 용접되어질 수 있도록 해주는 중간 스트립(intermedatei strips)은, 주벽의 경우에 있어서 불란서 특허번호 1,438 ,330호에서 이미 제시된 바와 같이 박스의 가장자리부근에 설치해 둔 제2격벽 위에서 슬라이드(slide)하는 부분에 고착되어질 것이다(제6도를 참조).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장치의 이용으로 똑같은 크기를 갖는 박스들로 제2격벽을 만들 수 있으며, 불란서 특허1,438,330호에서 설명된 기술을 이용하는 경우 제2격벽 박스의 주된 면에 만들어 주어야 할 세로홈을 없앨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두 가지 잇점으로 탱크의 제2격벽의 제조원가를 절감시킬 수가 있는 것이다.
전기한 죔쇠는 선체의 2중 부분이나 2중선체에 대해 일정한 이동성을 가지며 제2봉인벽을 통해 지지부분이 관통하는 용접 부분의 파열의 위험성을 감소시킨다.
본 발명의 목적은 선체의 지지 구조물에 통합된 방수 절연탱크를 구성하는 새로운 기술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두 개의 연속된 봉인벽으로 구성되어 있는 선체에 있어 첫번 것은 운반하는 액화 가스와 접촉하고 또 다른 두번째 것은 제1격벽과 배의 2중 선체 또는 배의 2중 간막이 사이에 위치되어 있다.
전기한 두 개의 방수벽은 두 개의 단열벽으로 교대로 배열되어 있고, 제2단열벽은 단열물질로 가득찬 박스로 구성되며, 배의 2중 간막이 또는 2중 선체 격벽에 고정된다. 제1단열격벽도 역시 단열물질로 가득찬 박스로 이루어지며, 이 박스들은 이들의 평행 열사이에 위치한 평행 금속 막대열에 의해 지지되고, 이들 비임자체는 지지부품에 의해 지지되는 데, 이 지지 부품들은 방수형태로 제2방벽을 관통하며, 배의 2중 선체 또는 2중 간막이에 고정된다. 제2 단열벽 탱크들은 거의 직육면체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선박의 2중 간막이나 2중 격벽 여기 저기에는 평행한 직선길이의 죔쇠들이 용접등의 방법에 의해 고착되어 있으며, 죔쇠의 끝 부분은 접촉장치가 위치한 선을 따라 평행하게 이동될 수 있다.
각 죔쇠는 제1절연벽의 평행 금속막대를 지지하는 지지부품을 갖고 있으며, 접촉부품이 위치한 선과 평행한 박스 열 사이의 공간 내에서 제2단열벽의 인접한 두 박스사이에 끼워져 있고, 상기의 선은 죔쇠가 삽입된 박스들 사이 열의 세로 방향의 중앙선과 일치한다.
제2단열벽에 인접한 두 평행 박스열은 서로 나란하게 위치해 있다. 두 인접한 평행열의 4개의 박스들은 2중 선체 또는 2중 간막이에 고착되어 있는 스터드에 의해서 상기의 2중 선체 또는 2중 간막이에 조여 있고, 그 사이에 공간을 두고 배열된 제2단열벽 박스의 가장자리를 따라 위치한 장부쇠(tenon)에 고정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1)은 본 발명에 따른 탱크의 제1 및 제2방벽이 적용되는 배의 2중 격벽을 나타낸다. 2중 선체의 반대방향으로 받혀진 제2단열방벽은 박층 물질로 이루어진 박스(2)로 구성되어지는데 그 박스는 직육면체형태를 가지며 모드 그 크기가 같다.
각각의 박스(2)의 내부에는 제1도에 대해 수직이고 선체 1에 대해 수직으로 가로지르는 격벽이 있는데 그 횡격벽은 간단하게 하기위해서 도면에 표시하지 않았다.
박스(2)는 페라이트와 같은 단열물질로 가득 채워진다. 제2단열벽으로 구성된 박스(2)에는 가장자리가 플랜지된 금속스트립(3)으로 구성된 제2방수벽이 배치되는데 상기의 스트립(3)은 가장자리와 가장자리가 서로 용접되어져 있다. 제1방벽은 일반적으로 박스(2)와 유사한 구조를 갖는 단열박스(4)로 구성되는 데 상기의 제1단열방벽은 스트립(3)과 동일한 금속스트립(5)에 의해 구성되는 제1 방수벽으로 쌓여져 있다 스트립(3)과 (5)는 온도 팽창 계수가 작은 판으로 만들어져 있다. 그러한 사실들에 대한 기본적인 원리는 불란서 특허제1,438,330호에 상세히 언급되어 있다.
측단면(2a)를 따라 측단면 경계상에 구성된 각각의 박스(2)는 선체(1)에 지지되어 있으며, 하나의 장부쇠(6)은 홈(7)에 의해서 두 부분으로 분리되는데 상기의 두 장부쇠(6)은 선체의 2중 부분(11)에 지지되어 있는 박스(2)의 주면상에 고정된다.
그 장측면을 따라서 각각의 박스(2)에는 가느다란 홈(8)이 있는데 거기에는 U자형으로 굽어진 얇은 판(9)가 고정되어 있어서 미끄럼 이음부분을 구성한다.
상기의 얇은 판(9)는 U자형의 중간 채널형 스트립과 조합되도록 되어 있는데 상기의 스트립은 서로 이웃하는 두개의 박스(2)의 분리평면에 수평 또는 직각을 이루고 있다. 스트립(3)의 플랜지된 가장자리는 (3a)불란서 특허제1,438,330호의 제6도에 상세히 언급되어 있는 방법에 따라 상기 중간 스트립의 반대편쪽에 용접된다.
박스(2)는 제1도의 평면에 수직인 평행선상에 배열되며 간막이가 수직이냐 수평이냐에 따라서 박스의 연속선들은 위 아래로 또는 양옆으로 서로 배열된다. 박스(2)를 2중 선체(1)상에 고정, 유지시키기 위해서 2중 선체에 수직방향으로 스터드( stud)(10)이 용접배열되며, 상기 스터드는 이웃하는 4개의 박스(2)에 속하는 2개의 장부쇠(6)의 가장자리 부분에 동시에 지지되기 위해서 정사각형의 판(11)과 조합된다. 그박스(2)들은 선체의 2중 밑바닥(1)에 대해 그들의 4개의 모퉁이에 고정된다.
박스 자체의 열이 제1도의 평면과 수직인 두개의 연속된 박스사이에는 하나의 빈 공간이 있는데 그폭은 장부쇠(6)의 폭보다 두 배 가량 더 넓다. 이와 아울러서, 제1도의 도면과 평행으로 원통형의 도관이 박스(2)의 평행선상에 서로 관통하는데, 그 원통형 도관은 서로의 사이에 가스의 자유로운 순환을 가능하게 한다. 두 연속적인 박스들을 분리시키고 있는 공간내에서 고정장치는 (12)로 표시되어 있다.
고정장치(12)는 원통소자(13)으로 구성되며 그 기저부는 배의 2중선체에 용접되고 또 다른 끝에는 가는 장부쇠(6)과 함께 해드(15)가 고정되며 바깥 간막이는 가장자리 홈(16)에 고정된다.
해드(15)상에는 구멍이 있는 가장자리가 굽어진 죔쇠(17)이 있다. 죔쇠(17)의 굽어진 가장자리(17a)와 (17b)는 홈(16)에 접하고 있으며 해드(15)에 대한 죔쇠 (17)의 움직임을 가능케 한다. 죔쇠(17)의 기저부에는, 가느다란 구멍(18)이 있으며, 죔쇠(17)이 해드(15)위에 설치되어 있을 경우에는, 구멍(18)은 스터드(14)의 신장된 단부와 이어지는 해드(15)의 말단부 내에서 육각형 시트(19)에 대해 접근을 가능하게 하여 준다.
고정장치(12)는 제1도의 평면에 수직인 박스들의 동일한 열의 두 인접된 박스(2)를 분리시켜 주는 두 장부쇠(6)사이의 공간(7)내에 위치한다.
고정장치(12)의 축은 상응하는 박스(2)의 열 중간 세로면내에 위치된다. 죔쇠 (17)의 가느다란 구멍(18)에서는 플랜지된 스터드(20)에 장부쇠(6)이 고정되는데, 그 위에는 채널부분(21)이 배치되며, 이 채널부분(21)은 너트(22)에 의해서 스터드(20)상에 지지된다. 제2방수벽의 스트립(3)은 스터드(20)부분을 통과하도록 고정장치( 12)에 대해 수직으로 뻗어 있는데, 그것은 죔쇠(17)의 가느다란 구멍(18)내에 고정된다.
제2단열방벽을 이루는 박스(2)가 배열되면, 해드(15)의 위치는 6각형시트(8)과 조합되는 장치에 의해 조정되여서 해드(15)위에 설치된 죔쇠(17)이 이론적으로 적절한 위치에 자리잡도록 하여준다.
상기의 장치는 구멍(18)을 통과하며 해드(15)를 신장된 스터드(14)에 나사연결하여 주도록 맞추어져 있다.
스터드(14)상에 해드(15)의 위치의 고정점을 얻기 위한 또 다른 방법은, 해드(15)의 위치를 이동하기 전에 스터드(14)의 나사못 마루에 중합수지를 바르는 방법인데 수지가 중합이 되기전에 해드(15)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는 충분한 시간을 갖기 위해서 수지의 중합 속도는 충분히 느려야 한다. 해드(15)의 위치를 조정한 후에는 중합수지가 가느다란 구멍(18)과 6각형 시트(19)를 균일하게 통과하도록 하는 장치가있는데 그것은 가느다란 나사스터드(14)의 최단 마루상에 장치된다. 해드(15)의 위치가 그렇게 정해지면, 상응하는 박스(2)의 열과 직각으로 스트립(3)의 위치를 옮긴다. 스트립(3)의 폭은 박스(2)들의 높이와 같으며, 스트립(3)의 플랜지된 가장자리는 박스(2)들의 장측면을 따라 신장되어 있다. 제1도상에서 이들 장측면은 도면에 대해 수직을 이룬다. 스트립(3)은 가느다란 구멍(18)의 각각에 대해 수직으로 도관을 구성하는데, 상기의 도관은 가느다란 구멍(18)보다 더 큰 직경을 가지며, 또한 도관의 가장자리 상의 용접점(23)에 의해서 이웃하는 두개의 박스(2)를 격리시키는 공간 내부에 죔쇠(17)의 위치를 고정시킨다. 플랜지된 스터드(20)은 구멍(18)내로 나사 결합되어서 플랜지(24)가 스트립(20)에 대해 위치하고 플랜지(24)의 가장자리가 스트립에 용접되어서 방수 연결부를 형성하도록 하고 있다.
스터드(20)위에는 채널부분(21)이 놓는데, 그 측면의 가장자리는 스트립(3)상에 지지된다. 채널부분(21)의 위치는 각 스터드(20)부분과 조합되는 너트(22)에 의해서 죄어지며, 이것은 죔쇠(17)에 의해 나사로 죄어진 것과 마주보고 있다.
채널부분(21)은 그 양쪽에 박스(2)로 부터 떨어진 스트립(3)쪽의 박스(2)열의 중심선에 수직하게 제1도의 면에 평행하게 위치한 금속채널부분(27)에 고정된 돌출부(26)에 의해 관통되어 있는 오리피스(orifice)(25)를 가지고 있다.
고정장치(12)는 기저부(1)상에 나누어져 있는데, 선의 길이는 박스(2)의 일정한 렬의 중심선 세로면에 의해 한정되며 각각의 선상에는 박스렬의 연속적인 두 개의 박스사이의 공간의 크기로 증가되는 박스(2)의 길이와 동일한 일정길이가 위치된다.
고정장치의 인접한 두 선들은 서로 평행이며, 박스(2)크기의 몇배에 해당되는 크기로 떨어져 있는데, 예를 들면 박스(2)의 5배의 크기와 같은 길이를 들 수 있다.
배의 세로축에 수직이 아닌 탱크벽에 대해서는 고정 장치의 선들은 이 세로축에 평행하며, 상기의 축에 대해 수직인 벽에 대해서는 상기의 선들은 배의 중간 세로면에 대해 수직이다.
채널부분(27)들은 채널부분(21)과 함께 조합하는 돌출부(26)에 의해서 그들의 각각의 끝에 정돈되며, 채널부분(27)의 길이는 고정장치(12)분포의 연속적인 두 개의 선의 함수임에 틀림이 없다.
제1단열벽의박스(4)는 제2단열벽의 박스(2)의 맞은 편에 정확히 배열된다. 박스(4)각각은 스트립(3)부근과 스트립(5)부근에 각기 배열되어 있는 가느다란 홈(28a)(28b)를 그것의 장 측면(4b)의 세로 가장자리를 따라 포함한다.
가느다란 홈(28a)에는 플랜지된 가장자리와 스트립(3)의 굽혀진 가장자리가 닿는데 상기 스트립은 접합부(9)에 의해서 고정된 중간용접스트립을 지지한다.
가느다란 홈(28b)는 박스(2)의 홈(8)내의 것과 동일한 U자형으로 형성된 스트립(9)를 구성한다.
박스(4) 각각의 단 측면상에는 스트립(5)에 가장 인접된 가장자리를 따라 그 각각의 끝에 하나의 홈(30)을 가지는 장부쇠(29)가 죄어져 있다. 또한 박스(4)전부는 박스(2)에 수직으로 정확하게 배치되고 4개의 연속 박스(4)에 있는 홈(30)은 서로 나란하며, 4개의 홈(30)내에는 정4각형 금속판(31)이 배열되는데, 그것은 채널부분(27)의 측면내에 있는 상용하는 가느다란 오리피스(orifice)내에 고정되어 있는 스터드 (stvd)(32)에 의해서 지지된다. 박스(4)들은 채널부분(27)상에 걸려져서 지지된다. 가느다란 홈(28b)내에 위치된 굽혀진 스트립(9)는 연결지점의 접합소자중 하나를 구성하며, 또 다른소자는 U자형스트립(33)이다. 이웃하는 두 개의 스트립(5)의 플랜지들은 스트립(33)의 반대편에 용접되는데, 그 배열은 불란서 특허제1,438,330호에 기술되어 있으며, 그 특허의 제6도에 표시되어 있다.
앞서 언급된 바와 같은 장치에서는 높이가 똑 같은 박스(2)와 (4)를 사용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박스(2)는 스터드(10)에 의해서 선체(1)에 지지된다. 스트립(3)은 가느다란 홈(8)내에 위치된 접합스트립(9)에 의해서 박스(2)를 지지한다. 박스(4)는 스터드(32)에 의해서 막대(27)을 지지하는데, 그것은 고정장치(12)에 의해서 기저부상에 걸려진다.
또한 스트립(5)는 가느다란 홈(28b)속에 배열된 접합부(9)의 내부중선에 의해 박스(4)상에 지지된다. 그러한 조합은 불란서 특허제1,438,330호에서 언급된 장치에서 예측되는 잇점을 이용하게 할 뿐만 아니라, 제2단열방벽의 모든 박스(2)들은 아무런 문제점이 없이 일정한 높이들을 가질 수가 있는데, 그것은 제1단열방벽에 연결된 금속막대가 부착되는 판상을 위한 공간이 요구되는 이전의 배열의 경우는 아니다. 또한, 제2단열방벽의 박스 면상에는 제2방수벽의 금속스트립들과 연결짓는 U자형 스트립을 받기위한 가느다란 홈이 더 이상 필요하지 않은데, 이는 스트립(3)의 용접부는 박스(2)간의 접합부에 정렬되어 있기 때문이다. 이렇게 해서 주목할 만한 경제적 잇점을 제공하고 박스(2)가 약해지는 것이 방지된다. 결국 배의 선체가 큰 파도의 충격으로 뒤틀릴 때 선체부분의 변형상태가 고정장치(12)의 헤드(15)와 죔쇠(17)사이의 이동의 가능성 때문에 제2단열벽에 직접 전달되지 않기 때문이며, 그러한 잇점은 공지의 기술과는 근본적으로 다른 것이다.
주목해야할 점은 죔쉬(17)와 헤드(15)간에 존재하는 열전도 경로는 접혀진 측면(17a)(17b)와 홈(16)간에 존재하는 접촉부를 구성한다는 사실이다. 그 경로는 단열물질을 접촉 구역내에 삽입시킴으로써 감소된다. 제8도에서 제12도에 걸쳐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두 번째 형태를 보여준다. 완성된 탱크의 여러가지 요소들의 일반적인 배치는 다양성을 위한 것이며 되풀이해서 자세하게 설명되지는 않을 것이다. 번호(1)은 2중 선체를 표시하며, (2)와 (4)에 의해서는 제1과 제2단열벽의 박스들이 각각 표시되고, (3)과 (5)에 의해서는 제1과 제2방수벽의 박스들이 각각 표시되고 있다. 박스(2)들은 판(plates)(11)에 의해 지지되는 스터드(10)에 의해 밑바닥상에 고정되며, 제1변형에서 묘사된 바와 같이 박스(2)의 단축면에 따라 배치된 장부쇠(106)상에 고정된다.
장부쇠(106)은 장부쇠(6)과 동일하나, 그것들의 차이는 홈에 의해서 분리된 두개의 소자들이 죄어지는 위치에 단 하나의 소자가 있다는 점이다. 박스(2)는 스트립(3)과 유사한 세로 가장자리 상에 앞서의 변형에서와 같이 U자형 스트립(9)와 가느다란 홈(8)을 내포하는데, 미끄럼 접합부소자는 인접한 두개의 스트립(3)의 두 플랜지된 가장자리상의 내부 중앙선 스트립에 위치하게 된다.
제2단열벽의 박스(2)들은 제1변형에서와 같으며 고정장치(112)는 두 박스(2)사이의 빈 공간에 위치하고 있다. 박스(2)의 다른 모든 공간들은 가스의 자유로운 순환을 위한 통로를 구성한다.
앞에서와 같이 고정장치(112)는 박스(2)열에서의 세로면중의 밑바닥상에 위치된 선을 따라 위치되며, 고정장치의 연속적인 두선은 박스 2의 폭의 배수 깊이로 위치된다.
고정장치(112)는 금속판(113)으로 구성되는데, 그것은 예를 들면 100mm폭과, 150mm높이의 장방형태와 8mm두께로 이루어지며 박스에 대한 규격은 폭 50cm, 길이 95cm, 두께 20cm이다.
금속판(113)의 상부는 스터드(114)에 고정되며, 그 스터드에는 테두리 쇠(116)을 구성하는 해드(115)가 닿는다.
정사각형의 판(117)은 해드(115)위에 놓여지며, 원형 클립(clip)(117a)에 의해지지다. 원형 클립(117a)는 해드(115)의 상단에 있는 홈(117c)내부에 삽입된다. 해드(115)는 그 하단에 스터드(114)가 조여져 있는 시트(118)을 구성하며 그 상부는 플랜지된 스터드(20)와 닿는다.
조립에 있어서는 제2차 단열벽의 박스(2)를 놓아야 하며, 또한 해드(115)의 위치를 밑바닥(1)에 대해 알맞는 거리로 조정한다. 스터드(14)위로 해드(15)를 차단하기 위해 처음의 변형속에서 전에 보여진 것 처럼 스터드(114)의 나사물의 마루위에 해드(115)를 고정시킨다. 와셔(washer)(117b)에 의해 단열되어 있고 원형클립 (circular clip)(117a)에 의해 지지되어 있는 판(117)은 고정장치에 따라 정렬된 스트립(3)이 뒤에 이어지는 위치에 자리잡는다. 판(117)은 원형클립(117a) 가까이에서 해드(115)에 대해 고정되어 있어서 판(117)이 두 단열박스(2)를 분리시키는 공간에 대해 뒤틀리는 것을 억제시킨다.
스터드(20)의 플랜지(24)가 스트립(3)에 대해 유지될 때 까지 스터드 (20)은 해드(115)내의 오리피스(18)내로 나사연결된다. 또한 플랜지(24)는 그 전원주면을 따라 스트립(3)에 용접되어서 완전한 방수를 이루도록 한다.
채널부분(21)은 첫번째 장치에서와 마찬가지로 스터드(20)위에 설치된다. 이것은 첫번째 장치와 동일한 금속막대(27)의 돌출부(26)에 의해 지지된다. 첫번째 단열벽 장치와 최초의 봉인 벽은 그것이 첫번째 장치에서 언급된 바와 같은 위치를 차지한다.
두 번째 장치의 고정장치는 두 번째 단열벽의 박스(2)에 설치된 장부쇠를 두부분으로 나누는 것을 피하기 위한 것임에 그 잇점이 있음을 우선 주지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판(113)은 용접에 의해 밑바닥(1)위에 고정되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판의 기저부에는 다수의 거칠한 면이 존재하며 이들 면들이 박스(2)의 위치를 방해하지 않도록 장부쇠 사이이 약간의 공간이 유지되어야 한다.
만일 장부쇠들이 아주 가깝게 인접되어 있다면 이들 위에 박스(2)의 공간 (106a)를 두어야 하며, 그 박스(2)들은 장부쇠(106)들을 지니고 있어서 가장자리들은 장부쇠(106)이 존재하지 않더라도 서로 충분히 떨어져 있게 된다.
박스(2)가 지니는 표면의 가장자리로 옮김에 의해 장부쇠(106)은 돌출되어 있는데, 이것은 제10도에서 알 수 있다.
기술된 두 번째 장치의 잇점은 큰 파도가 있는 상황에서 선체의 변형을 예견한 것이며, 제2차 단열벽의 모든 훼손을 방지하기 위해 판들의 굴곡을 일정한 모양으로 하였고, 그것은 고정장치에 대한 벽의 접합부분내의 2차 방수벽의 손상을 피하게 한다. 굴곡에 의한 변형은 고정장치(113)들의 분할선에 평행하게 용접부분을 위치시킴으로써 허용되며 이로써 첫번째 장치의 전환장치의 경우 해드(15)에 대해 굴곡진 면을 갖는 죔쇠(17)의 슬라이딩에 약간의 어려움이 존재한다.
앞에서 언급한 두 장치에 있어서는, 박스(2) 가운데의 자유 공간내에서 고정장치(12),(112)가 파손되지 않게 금속물을 단열재로 가득채워야 하며 이는 인접한 두개의 박스 사이에 자리한 뚜껑에 의해 유지되고, 인접한 두개의 박스는 같게 배열된 박스들과 제2차 단열벽의 단열을 유지하기 위해 변형시켰던 걸쇠들에 의해 각각의 박스위에 고정된다.
이러한 배열은 목석물질로 채워진 자유공간과 정렬된 카바에 의해 구성 되는 부하지지장치를 제공하여 줄 수가 있는 것이다.
도면제13도-제16도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세번째 실시예를 보여준다. 전체로 통합된 큰 탱크의 개별적인 부분들의 일반적인 배치는 제1 제2실시예들과 같은 것이므로 재차 설명은 생략한다.
배의 2중 선체는 참고번호(1)로 표시되어 있으며, (2)와 (4)는 각각 제1격벽, 제2 격벽을 (3)과 (5)는 각각 제1봉인벽, 제2봉인벽을 표시한다. 박스(2)는 두번째 실시예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박스(2)의 짧은 측면을 따라 위치한 장부쇠(tenons) (106)위의 판(11)위에 스터드(10)에 의해 고정된다.
스트립(3)에 인접한 박스(2)의 세로 가장자리에 홈(8)이 있으며, 두번째 실시예에서와 같이, 2개의 스트립(3)의 인접한 2개의 플랜지된 가장자리가 용접되는 부분에 중간스트립을 미끄러질 수 있게 결합시키기 위한 U모양의 스트립(9)이 있다.
세번째 실시예에서 사용된 박스(2)는 두번째 실시예에서 사용한 박스와 동일하며 제9도 및 제10도에서 도시되어 있다.
제2차 벽의 박스들(2)의 배치는 두번째 실시예에서 전기된 것과 같은 것이며, 죔쇠(fasteners)(212)들은 도면(13)의 도면에 수직으로 같게 배열된 두개의 상자(2)사이의 자유공간안에 배치되는 것이다. 나란히 배열된 박스의 다른 열 사이의 모든 공간은 가스의 자유로운 순환을 위한 통로를 제공한다.
전기한 것과 같이, 죔쇠(212)들은 선체위에 있는 모든 선을 따라서 박스(2)의 열의 세로 중앙평면에 위치하여 죔쇠의 2개의 연속적인 선들사이의 간격은 박스(2)의 높이의 수배에 해당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죔쇠(212)는 가로 50mm, 세로 150mm, 높이 8mm 인직육 면체 모양을 갖는 2개의 금속판(213)으로 되어 있다.
박스의 크기는 가로 50cm, 세로 95cm, 두께 20cm이다. 판(213)의 상단부는 채널부분(214)의 바닥에 형성된 긴 홈(213a)속에 위치하게 된다.
채널 부분(214)의 중앙부분에서 채널부분의 바닥은 금속 고정판(216a )(216b)에 의해 고정되는 2개의 나무 스트립(215a)(215b)사이에서 고정되어지며, 고정판(216a)(216b)2개의 나무스트립(215a)(215b)와 채널부분(214)의 바닥을 관통하는 2개의 볼트(217)에 의해 모두 함께 고정되어 진다.
볼트(217)의 끝은 나사 모양으로 되어있으며, 이끝 부분은 고정판(216b)의 구멍(216c)에 있는 대응되는 나사 부분과 결합하게 된다. 볼트(217)이 있는 채널부분에 있는 구멍은 볼트의 직경보다 조금 큰 직경을 갖고 있기 때문에 고정판(216a)가 채널부분(214)에 대해 상대적으로 움직일 수 있게해 준다.
채널부분(214)의 위치가 배의 2중선체로 부터 요구된 거리에 부착되어질 때 채널부분(214)는 용접에 의해 2개의 판(213)에 부착되어 진다. 이 조정은 일단 스트립(215a) 및 (215b)가 채널 부분위에 설치된 후 고정판(216a),(216b) 및 볼트(217)로 행해진다.
볼트(217)의 해드(217a)를 받아들이기 위해 홈(216d)가 고정판(216a)에 형성되어 있다. 스트립(214a)와 (216e)의 배치는 채널부분(214)와 고정판(216a)에 상대적으로 관련되어져 스트립(215a)를 적절하게 위치하도록 해준다.
고정판(gripping plate)에 가해지는 충분한 큰 힘에 대응하여 고정판(216a)이채널부분(214)에 대한 상대적 이동을 허용할 수 있도록 볼트(217)는 토오크 렌치(torque wrench)에 의해 죄어진다.
나사모양으로 된 구멍(218)속에서 고정판(216a)은 본 발명의 첫번째 및 두번째 실시예에서 언급된 바와 똑같은 플랜지된 스터드(20)을 가지고 있다.
이스터드(20)은 플랜지(24)와 고정판(216a) 사이에서 제2방수벽의 금속 스트립(3)을 고정한다.
스터드(20)은 첫번째 및 두번째 실시예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너트(22)에 의해 요우크(yoke)(21)를 지지한다.
제2방수벽의 봉인을 확실하게 하기 위해 플랜지(24)는 스트립(3)에 용접된다. 격벽과 제1방수벽은 본 발명의 첫번째 및 두번째 실시예에서 설명된 바와 같은 구조로 되어 있다.
이 세번째 실시예에 따르는 부착장치의 장점은 파도의 영향으로 인하여 배의 휘어짐에 대응하여 고정판(216a)이 채널부분(214)에 대해 이동을 할 수 있도록 해주는 것이다.
이로 인하여 플랜지(24)와 나란히 배열되어 있는 봉인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물론 판(213)은 두 번째 실시예의 판(113)과 같이 구부릴 수 있고 또 같은 결과를 얻어낸다.
더우기 고정판(216a)의 높이 조정은 채널부분(214)가 판(213)에 용접되기 전에 2개의 판(213)에 대해 미끄러질 수 있다는 사실로부터 가능하게 된다.
2개의 스트립(215a),(215b)가 존재하여 스터드(20)과 판(213)사이에 존재하는 열 전달 행로를 실제로 감소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해주어 조림품(assembly)의 단열효과를 개선한다.
본 발명은 일예로 실시예를 들어 설명되어졌으나, 본 발명의 기본요지를 벗어나지 않고 많은 수정과 개선을 해줄 수가 있다.

Claims (1)

  1. 배의 골조속에 배치되고 골조를 이루는 2중벽 내부에서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방수 단열된 방을 가지며, 각 방은 내부에 연속해서 제1봉인벽, 제1절연벽, 제2봉인벽, 제2절연벽을 가지고, 각 절연벽은 절연물을 함유한 여러개 평행 박스열(row of box)을 가지는데, 각 열의 박스 사이에는 일정한 공간이 유지되어 있으며, 각 봉인벽은 연속되는 박스열의 교차선을 따라 가장자리가 서로 결합된 스트립 열을 갖는 배에 있어서, 한쪽 끝은 벽에 고정 되어 수직으로 뻗어 있는 길쭉한 부품과, 길쭉한 부품에 의해 지탱되는 제1나사부와, 제2봉인벽에 결합되어, 제1나사부와 협력하고, 벽과 평행한 방향으로 제한된 운동을 할수 있는 제2나사부를 포함하며 박스 사이의 공간속으로 뻗어있고, 제2절연벽 속에서 박스 열의 중앙면과 평행하게 위치한 죔쇠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2봉인벽을 벽에 고착시키기 위한 유조선의 격벽결합장치.
KR7500589A 1975-03-20 1975-03-20 유조선의 격벽 결합장치 KR8100018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500589A KR810001871B1 (ko) 1975-03-20 1975-03-20 유조선의 격벽 결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500589A KR810001871B1 (ko) 1975-03-20 1975-03-20 유조선의 격벽 결합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10001871B1 true KR810001871B1 (ko) 1981-11-19

Family

ID=192010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7500589A KR810001871B1 (ko) 1975-03-20 1975-03-20 유조선의 격벽 결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10001871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42598B1 (ko) 선박의 지지용 구조물의 일부분을 형성하는 밀봉 단열된 탱크
KR880002146B1 (ko) 선박의 지지구조내에 결합되는 단열 누출 방지 탱크
KR100515724B1 (ko) 교차부의 경사진 종방향 교차 라인을 구비한 수밀 및 단열 탱크
US6378722B1 (en) Watertight and thermally insulating tank with improved longitudinal solid angles of intersection
KR102558859B1 (ko) 밀봉 단열 탱크
RU2763009C2 (ru) Герметизированный и теплоизолированный резервуар с соединительными элементами между панелями вспомогательного теплоизоляционного барьера
KR100801791B1 (ko) 지지구조물내에설치된방수및단열탱크
JP7241777B2 (ja) 断熱封止タンク
KR890000444B1 (ko) 선체의 하중지지 구조물에 통합되는 무루성 단열탱크
US3403651A (en) Integral tank for transporting liquefied gas
KR102389246B1 (ko) 밀봉되고 단열인 탱크의 코너 구조 및 그것의 조립 방법
US3990382A (en) Fastening arrangement for sealing barrier in insulating wall of insulated compartment built into a ship's hull
KR102501626B1 (ko) 밀봉되고 단열된 탱크
KR20160027517A (ko) 화물창 방벽구조
KR810001871B1 (ko) 유조선의 격벽 결합장치
KR101617031B1 (ko) 화물창 방벽구조
KR20120013220A (ko) 액화 천연 가스 저장 탱크의 고정 스트립
KR20210122527A (ko) 앵커링바 설치 지그
KR102422716B1 (ko) 단열 블록 구조물을 시공하기 위한 시공 장치
KR20150142468A (ko) 화물창 인슐레이션 패널
JP7247341B2 (ja) 密閉断熱タンク
JPS6140710Y2 (ko)
JPH0425915B2 (ko)
KR20230027592A (ko) 이중 금속 방벽 구조를 가지는 액화가스 저장탱크의 단열시스템
KR810001627B1 (ko) 액화가스용 유체 밀폐 항온 탱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