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42598B1 - 선박의 지지용 구조물의 일부분을 형성하는 밀봉 단열된 탱크 - Google Patents

선박의 지지용 구조물의 일부분을 형성하는 밀봉 단열된 탱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42598B1
KR100242598B1 KR1019920021597A KR920021597A KR100242598B1 KR 100242598 B1 KR100242598 B1 KR 100242598B1 KR 1019920021597 A KR1019920021597 A KR 1019920021597A KR 920021597 A KR920021597 A KR 920021597A KR 100242598 B1 KR100242598 B1 KR 1002425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nk
barrier
strip
fixing
bo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200215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09856A (ko
Inventor
쟝피에르
Original Assignee
장삐에르
가즈 트랑스포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삐에르, 가즈 트랑스포르 filed Critical 장삐에르
Publication of KR9300098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98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425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42598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5/00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3/00Vessels not under pressure
    • F17C3/02Vessels not under pressure with provision for thermal insulation
    • F17C3/025Bulk storage in barges or on shi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5/00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 B63B25/02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 B63B25/08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 B63B25/12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closed
    • B63B25/16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closed heat-insulat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03/00Vessel construction, in particular walls or details thereof
    • F17C2203/03Thermal insulations
    • F17C2203/0304Thermal insulations by solid means
    • F17C2203/0329Foam
    • F17C2203/0333Polyurethan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03/00Vessel construction, in particular walls or details thereof
    • F17C2203/03Thermal insulations
    • F17C2203/0304Thermal insulations by solid means
    • F17C2203/0354Woo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03/00Vessel construction, in particular walls or details thereof
    • F17C2203/03Thermal insulations
    • F17C2203/0304Thermal insulations by solid means
    • F17C2203/0358Thermal insulations by solid means in form of pan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03/00Vessel construction, in particular walls or details thereof
    • F17C2203/06Materials for walls or layers thereof; Properties or structures of walls or their materials
    • F17C2203/0602Wall structures; Special features thereof
    • F17C2203/0612Wall structures
    • F17C2203/0626Multiple walls
    • F17C2203/0631Three or more wal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09/00Vessel construction, in particular methods of manufacturing
    • F17C2209/22Assembling processes
    • F17C2209/221Weld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09/00Vessel construction, in particular methods of manufacturing
    • F17C2209/22Assembling processes
    • F17C2209/227Assembling processes by adhesive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09/00Vessel construction, in particular methods of manufacturing
    • F17C2209/22Assembling processes
    • F17C2209/228Assembling processes by screws, bolts or rive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21/00Handled fluid, in particular type of fluid
    • F17C2221/03Mixtures
    • F17C2221/032Hydrocarbons
    • F17C2221/033Methane, e.g. natural gas, CNG, LNG, GNL, GNC, PL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23/00Handled fluid before transfer, i.e. state of fluid when stored in the vessel or before transfer from the vessel
    • F17C2223/01Handled fluid before transfer, i.e. state of fluid when stored in the vessel or before transfer from the vessel characterised by the phase
    • F17C2223/0146Two-phase
    • F17C2223/0153Liquefied gas, e.g. LPG, GPL
    • F17C2223/0161Liquefied gas, e.g. LPG, GPL cryogenic, e.g. LNG, GNL, PL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23/00Handled fluid before transfer, i.e. state of fluid when stored in the vessel or before transfer from the vessel
    • F17C2223/03Handled fluid before transfer, i.e. state of fluid when stored in the vessel or before transfer from the vessel characterised by the pressure level
    • F17C2223/033Small pressure, e.g. for liquefied ga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60/00Purposes of gas storage and gas handling
    • F17C2260/03Dealing with losses
    • F17C2260/035Dealing with losses of fluid
    • F17C2260/038Detecting leaked flui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70/00Applications
    • F17C2270/01Applications for fluid transport or storage
    • F17C2270/0102Applications for fluid transport or storage on or in the water
    • F17C2270/0105Ships
    • F17C2270/0107Wall panels

Abstract

본 발명은 선박의 지지용 구조물 중 일부를 형성하고 밀봉되고 단열된 베셀에 관한 것이다. 이 베셀은 두개의 단열방벽과 엇갈리는 두개의 밀봉방벽을 갖추고 있다. 제 2 단열방벽의 탱크(3)는 러그(5)에 의해서 선박의 지지용 구조물과 결합되는데, 러그(5)는 두꺼운 내부격벽에 대하여 직각으로 고정된다.
내부 격벽은 제 1방벽의 연결수단을 세로방향으로 지지한다. 연결수단은 이중으로 접혀진 부분을 갖춘 미끄럼 이음매로 구성되는데, 이 미끄럼 이음매는 제 1 단열방벽의 두 판(21)사이에 배치된다. 두개의 판(21)은 연결수단의 일부를 형성하는 용접지지부(18)에 용접된 브래킷에 의해서 고정된다.

Description

선박의 지지용 구조물의 일부분을 형성하는 밀봉 단열된 탱크
제 1도는 본 발명에 따른 탱크의 제 1 및 제 2 방벽의 일부분을 절단한 사시도.
제 2도는 제 2 단열방벽 박스의 좁은 측면을 도시한 정면도.
제 3도는 선박의 지지용 구조물에 고정된 고정부재에 대하여 직각으로 위치한 제 2 단열방벽의 두 박스들 사이에 제공된 연결지역을 나타낸 도면.
제 4도는 고정부재에 대하여 직각으로 위치한 제 2 단열방벽의 두인접 박스 사이에 장착된 단열 스트립 구조물의 일부를 절단한 사시도.
제 5도는 제 1 단열방벽의 판을 제 2 밀봉방벽에 고정시키기 위하여 점용접을 통해 직각으로 굽혀진 스트립을 용접 지지부에 장착시키는 것을 나타낸 개략도.
제 6도는 용접 지지부에 대하여 직각으로 위치한 두 밀봉방벽의 고정장치 및 제 1 단열방벽 판의 구조물로 이루어진 탱크의 밀봉방벽 평면을 나타낸 단면도.
제 7도는 탱크 구석(corner)에 의해 형성된 이면체(dihedron)의 리지(ridge)에 대하여 수직한 평면으로 탱크 구석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제 7a도는 제 7도에 도시된 탱크 구석에 사용되는 일방향 연결부분의 상세도.
제 8도는 제 7도에 도시된 탱크 구석에 있어서의 제 1 및 제 2 밀봉방벽 연결지역의 상세도.
제 9도는 제 8도에 도시된 연결지역의 또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지지용 구조물 1a : 내부 격벽
1b : 가로 격벽 3 : 박스
4a : 얇은 격벽 4b : 두꺼운 격벽
5 : 러그 6 : 판
8 : 웨지OMedge) 9 : 비드(bead)
11,16,32 : 스트립 12 : 슬롯
13,15,20,33 : 홈 17,26,27 : 후크
18 : 용접 지지부 19,35 : 인바르 스트레이크
23 : 덮개 패널 25 : 덮개 스트립
28,38 : 각 브래킷 29,30 : 로울러
41 : 연결밴드 42 : 제 2 탱크
43,44,45,46,48 : 인바르 시이트 49,54,55,56 : 합판 비임
50,51,52,53 : 나사
본 발명은 액화가스의 해상운반에 사용되는 밀봉되고 단열된 탱크의 제조에 관한 것이며, 특히 고농도의 메탄 함유물을 갖는 액화 천연가스의 운반에 사용되는 탱크의 제조에 관한 것이다.
프랑스 특허 제 1 438 330 호, 제 2 105 710 호 및 제 2 146 612호에는 선박의 지지용 구조물의 일부를 형성하고 두 연속적인 밀봉방벽(sealing barrier)으로 구성되는 밀봉된 단열 탱크의 제조에 관한 것이 이미 개시되어 있다. 상기 두 연속적인 밀봉방벽중 제 1 밀봉방벽은 운반되는 액화가스와 접촉하고, 제 2 밀봉방벽은 제 1 밀봉방벽 및 선박의 지지용 구조물 사이에 배치된다. 이러한 두 밀봉방벽들은 "단열방벽(insulating barriers)"으로 언급된 두개의 단열층과 교대로 배열(alternating)되어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제 1 및 제 2 단열방벽은 특별한 절연체로 채워진 평행 육면체의 박스로 구성되며, 제 1 및 제 2 밀봉방벽은 금속 스트레이크(strakes)로 구성된다. 이 금속 스트레이크는 굽혀 올려진 모서리를 통해서 용접용 플랜지의 두 측면에 용접된 인바르(invar)로 구성된다.
프랑스 특허 제 2 462 336 호에는 탱크의 실시예가 개시되었다. 이 실시예에서, 제 2 단열방벽은 선박의 지지용 구조물에 고정된 다공성 재료(cellular material)의 두꺼운 층으로 형성되고, 제 1 단열방벽은 바람직한 기계적 저항성을 갖는 단단한 판으로 구성된다. 제 1 단열방벽은 판의 강도때문에 탱크의 벽에서 발생된 충격에 대하여 개선된 저항성을 갖게 된다. 이러한 충격은 운반되는 액체의 움직임에 의해서 발생되는데, 액체의 움직임은 선박이 항해하는 동안 흔들리기 때문에 일어난다. 이 실시예에서, 제 1 방벽은 선박의 지지용 구조물과 어떠한 연결관계도 맺지않으면서 제 2 방벽과 연결되는데, 이것은 단열성에 있어서 매우 바람직하다. 그러나, 피할 수 없는 단점은 훌륭한 결과를 얻을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제조비용이 엄청나서 자동화된 조립이 사실상 불가능하다는 것이다. 또한, 제 1 단열방벽에서, 밀봉된 격벽이 제 1 단열방벽의 두 인접부재 사이에 제공되는데, 이에 따라 불활성 가스를 순환시켜서 제 1 방벽을 정화하거나 또는 추적가스를 분사시켜서 밀봉상태를 조정하는 것이 매우 어렵게 되었다.
프랑스 특허 제 2 504 882 호에는 제 2 단열방벽이 절연체로 채워진 평행육면체의 박스로 구성되고, 제 1 단열방벽이 단단한 판넬에 맞추어지는 다공성 층으로 형성된 판으로 구성되는 탱크의 일실시예가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형식의 구조물은 상기한 프랑스 특허 제 2 462 336 호에서 제안된 제 1 단열방벽의 강도에 따른 필수적인 장점과 같은 장점을 갖는다. 불행하게도, 이 장치는 제 2 밀봉방벽을 가로지르는 고정부재 수단에 의해서 제 1방벽이 선박의 지지용 구조물에 직접 연결되는 심각한 단점을 또한 가지고있다. 이러한 기술이 응력 집중 지역에서 발생하는 조건하에서는, 안전측면에서 큰 단점을 갖게된다. 또한, 상기 고정부재는 제 1 방벽 및 선박의 지지용 구조물 사이에 직접적인 열전달을 제공한다. 이것은 단열능력에 있어서 매우 불리한 것이다.
프랑스 특허 제 2 629 897 호에 탱크의 일실시예가 개시되었다. 이실시예에서는, 한편으로는 운반되는 액체로 부터 발생한 충격에 대한 양호한 기계적 저항성을 제공하는 단단한 판이 제 1 단열방벽의 부재로서 사용되고, 다른 한편으로는, 직접적인 열전달 통로가 제 1 방벽 및 선박의 지지용 구조물 사이에 제공되지 않으며, 끝으로, 자동 장착수단에 의하여 장착이 이루어지고 탱크의 제조비용이 절감된다. 이 실시예에서는 특별한 단열재료로 채워진 단단한 박스로 구성되는 제 2 단열방벽이 사용된다. 제 2 밀봉방벽은 인바르 스트레이크(invar strakes)로 구성된다. 인바르 스트레이크는 제 2 단열방벽의 박스에 고정된 용접 지지부의 두 측면에 굽혀 올려진 모서리를 통해서 용접된다. 이 용접 지지부에 또한 제 1 단열방벽의 부재들이 고정된다. 그러나, 이 실시예에서는 제 2 단열방벽의 부재들이 구석을 통해서 고정되고, 용접 지지부에 가해진 인장응력이 고정된 구석으로 부터 이격된 지역에 작용되며, 이에 따라, 사용된 제 2 단열방벽 부재의 동적변형이 발생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제 1 방벽은 용접 지지부에 의해서 직각으로 접혀진 부분을 통해서 단독으로 제 2 밀봉방벽을 지지하는 제 2 단열방벽 박스의면에 고정되어 있다. 이러한 작업방법은 최대안전에 요구되는 저항성을 제공하지 못하고, 또한 강화된 내부격벽과 연결부를 지지하는 면사이의 스크류연결부를 필요로 한다. 끝으로, 위에서 언급한 종래 기술에 따른 실시예에서와 같이 하나의 단일 고정부재는 4개의 인접 부품들과 일체화되어 장착하기어렵게 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밀봉되고 단열된 탱크로 이루어지는 새로운 공업제품에 관한 것이다. 밀봉되고 단열된 탱크는 선박의 지지용 구조물의 일부를 형성한다. 상기 탱크는 두개의 연속적인 밀봉방벽을 갖추고 있는데, 제 1 밀봉방벽은 탱크에 포함된 제품과 접촉하며, 제 2 밀봉방벽은 제 1 밀봉방벽 및 선박의 지지용 구조물 사이에 배치된다. 두 밀봉방벽들은 두개의 단열된 방벽과 교대로 배열되어 있다. 제 1 단열방벽은 연결수단에 의해서 제 2 밀봉방벽에 대하여 탄성적으로 지탱된다. 상기 연결수단은 사실상 연속적인 선형 방식으로 배치되고, 제 2 단열방벽에 기계적으로 연결된다. 제 1단열방벽은 상기 연결수단 사이에 위치한 평행 육면체의 단단한 판으로 구성된다. 제 2 단열방벽은 평행 육면체 단열 박스의 조립체로 구성된다. 이 단열 박스에는 지지용 구조물과 일체되는 고정부재에 의해서 선박의 지지용구조물에 고정된 내부격벽이 제공되어 있다. 지지용 구조물은 제 2 단열방벽 박스의 모서리를 따라서 배치된 고정장치와 연결된다. 상기 박스들은 고정부재가 배치되는 직선형의 연결지역에 의해서 서로 분리된다. 각각의 박스에는 연결수단을 수용하기에 적합한 홈이 직각으로 제공되고, 박스를 구성하는 면에 고정된 두꺼운 내부격벽이 제공된다. 탱크 구석의 외부에서 선박의 지지용 구조물에 위치한 제 2 단열방벽을 고정시키는데 사용되는 고정부재는 연결수단이 삽입되는 홈에 대하여 직각으로 정렬된다.
각각의 고정부재에는 한편으로, 바닥을 통해 선박의 지지용 구조물에 용접된 스터드 보울트가 제공되고, 다른 한편으로 제 2 단열방벽의 박스와 일체되는 고정장치를 지탱하는 너트가 제공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고정장치는 직각으로 모서리가 접혀진 러그에 위치한다. 러그는 박스 각각의 두꺼운 격벽 단부단면에 대하여 직각으로 각각의 박스 좁은 면에 고정된다. 직각으로 접혀진 부분은 탄성적으로 변형가능하다. 두 인접한 탱크에 속하는 두 러그들의 모서리를 지탱하는 판에 의해서, 직각으로 모서리가 접혀진 부분을 동시에 지탱하는 너트가 제공될 수 있으며, 이것에 의하여 박스 및 선박의 지지용 구조물 사이에서 가요성 있는 연결이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박스는 한쌍으로 고정되는데, 이것은 4개로 고정되는 종래기술보다 훨씬 간단하다. 그런데, 연결수단에 의해서 전달되는 인장응력이 고정부재에 대하여 직각으로 위치한 두꺼운 격벽을 통해서 전달되며, 이에 따라, 사용되는 박스의 동적변형이 감소된다. 끝으로, 연결수단에대하여 수직한 동일선상에서 두개의 연속적인 고정부재는 박스 너비의 절반간격으로 이격된다. 박스의 두꺼운 격벽은 박스 각각의 세로방향 모서리로 부터 박스 너비의 1/4 간격으로 배열된다. 종래 기술에 있어서, 문제의 간격은 박스의 너비가 된다. 박스가 일정한 표면을 갖춘 경우에 있어서, 이것은 고정부재들이 서로 멀리 이격되지 않고 그러므로서 선박의 지지용 구조물에 대한 탱크에 가해진 응력의 전달이 개선되는 것을 의미한다.
제 2 밀봉방벽은 탱크의 내부쪽으로 모서리가 접혀 올려진 금속 스트레이크로 바람직하게 구성된다. 이 금속 스트레이크는 팽창계수가 낮은 시이트형 금속으로 구성되며, 굽혀 올려진 모서리를 통해서 용접 지지부의 두면에 맞대기(butt) 용접된다. 상기 용접 지지부는 미끄럼 이음매(sliding joint)에 의해서 제 2 단열방벽의 부품에 기계적으로 고정된다. 각각의 연결수단은 제 1 및 제 2 부분으로 구성된다. 용접 지지부는 연결수단의 제 1 부분을 형성하고, 제 1 밀봉방벽의 평면에 대하여 뒷쪽으로 위치한 자유단부를 갖추고 있다. 제 1 단열방벽의 단단한 판은 판 전체의 길이를 거쳐 각각의 용접 지지부에 대하여 고정된 텅(tongue) 및 두 개의 직각 스트립을 갖추고 있다. 상기 직각 스트립은 용접 지지부의 양측면에 용접되고, 연결수단의 제 2 부분을 형성하기 위하여 용접되지 않은 플랜지를 통해서 텅(tongue)에대하여 탄성적으로 지탱된다.
용접 지지부를 제 2 단열방벽의 박스상에 고정하는 미끄럼 이음매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이음매는 한편으로는, 용접 지지부의 세로방향 모서리에 형성된 제 1 유(U)자 형상의 접힌 부분으로 구성되고, 다른한편으로는 고정 스트립에 형성된 제 2 유(U)자 형상의 접힌 부분으로 구성 된다. 두개의 접힌 부분은 한 부분이 다른 부분내로 맞추어진다. 각각의 고정 스트립은 박스 각각의 두꺼운 격벽에 대하여 직각으로 형성된 홈들 중하나에 장착되어 고정된다. 상기 홈의 너비는 한 부분이 다른 한 부분내로 맞추어지는 두 접힌 부분의 너비보다 약간 크다. 고정 스트립은 고정수단에의해서 홈에 고정될 수 있는데, 고정수단은 고정 스트립이 배치되는 두꺼운 격벽의 홈을 가로지른다. 고정수단은 후크(hook) 형상이 바람직하다.
제 2 단열방벽의 각각의 박스는 합판으로 만들 수 있다. 박스에는 퍼얼라이트(perlite)와 같은 특별한 단열재료가 채워진다. 탱크 구석의 외부에서, 제 2 단열방벽의 부품들은 모두 동일한 직사각형의 평행 육면체 형상을 갖는다.
제 2 단열방벽의 박스는 경화가능한 수지로 이루어진 비드(bead)에의해서 선박의 지지용 구조물에 대하여 지탱되는데, 이 비드는 불연속적인 부품들에 의해서, 구성되어 있는 기하학적 표면을 복원시킨다. 이러한 복원작업은 정적 상태에서 이론적인 표면에 대한 지지용 구조물의 불규칙한 간격과 관계가 없다. 수지로 이루어진 비드가 지지용 구조물에 달라붙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플라스틱 재료로 만든 필름이 지지용 구조물 및 수지로 만든 비드 사이에 삽입되며, 이에 따라 제 2 단열방벽에 영향을 끼치지 않으면서 고정부재 사이에서 지지용 구조물의 동적변형이 일어날 수 있다.
공지된 방식에 있어서, 제 2 단열방벽은 0.75mmHg(0.1mbar) 및 225mmHg(300mbar) 사이의 낮은 압력을 받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에 따라 제 2 단열방벽의 단열성이 개선된다. 러그 및 고정부재가 위치하기 때문에 제 2 단열방벽의 박스들 사이에 연결지역이 제공된다. 단열재료가 채워진 이러한 연결지역이 바람직하게 제공될 수 있다. 단열재료는 스트립의 형상이 될 수 있으며, 스트립의 두께는 스트립이 채워지는 연결지역의 두께에 상응하고, 스트립에는 스트립의 단부에서 밀봉되지 않고 폐쇄된 적어도 하나의 세로방향 홈이 양 측면에 제공된다. 이 홈은 제 2 단열방벽에서 낮은 압력을 조성할 수 있다. 단부의 밀봉되지 않은 폐쇄부에 의해서 압력이 감소될 수 있고, 지지용 구조물 및 홈의 인접지역 사이에 조성되는 자연적인 대류를 방지할 수 있는데, 이 자연적인 대류현상은 열교환을 증가시킨다.
제 1 단열방벽 판의 텅 및 각각의 용접 지지부에 대하여 직각으로 덮개 스트립을 제공하면 제 1 밀봉방벽을 계속해서 지지할 수 있게 된다. 덮개 스트립의 면은 탱크의 내부쪽을 향하는데, 이 면은 제 1 밀봉방벽을 지지하는 제 1 단열방벽의 판의 면과 같은 높이로 위치한다. 제 1 단열방벽의 양호한 기계적 저항성을 제공하는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단열방벽을 형성하는 단단한 판은 다공성 재료의 층으로 형성된다. 다공성 재료의 층은 두개의 단단한 판넬, 즉 합판 사이에 연장된 폴리우레탄 포옴(form)으로 형성된다. 제 1 단열방벽을 형성하는 단단한 판은 다공성 재료로 이루어진 층의 두께를 갖는 단단한 부품들에 의해서 모서리를 넘어서까지 둘러싸여질 수 있다. 질소와 같은 중성가스에 의해서 정화된 제 1 단열방벽이 바람직하게 제공될 수 있다. 정화를 위해서는 과도한 압력이 필요한데, 이 압력은 탱크가 비어있는 동안에 유지되거나 또는 누출의 탐사를 위한 추적가스의 분사로 부터 발생되며, 제 1 방벽의 연결에 있어서 어떠한 문제도 일으키지 않는다. 제 1 방벽의 연결은 미끄럼 이음매로서 구성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서 사용되는 이중의 유(U)자 형상의 접힌 부분을 갖춘 미끄럼 이음매는 용접 지지부 및 고정 스트립이 0.5mm의 두께를 갖는 인바르 시이트(invar sheet)로 만들어지는 경우에 m 당 수천kg을 지지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제 1 밀봉방벽은 탱크의 내부쪽으로 굽혀올려진 모서리를 갖춘 금속 스트레이크로 형성된다. 이 금속 스트레이크는 낮은 팽창 계수를 갖는 시이트 금속, 즉 인바르(invar)로 구성되며, 굽혀 올려진 모서리를 통해서 용접 플랜지의 두면에 대해 맞대기 용접된다. 용접 플랜지는 제 1 단열방벽의 덮개 스트립에 의해서 기계적으로 고정된다. 용접 플랜지는 덮개 스트립의 전체 길이에 걸쳐서 형성된 홈에 작은 측면이 결합되는 바람직한 직각 형상을 갖는다.
본 출원인에 의해서 이미 설명된 기술에 따르면, 이중선체와 연결된가로 격벽이 위치하는 지역에서 제 1 및 제 2 방벽 부품들의 연결 구석(corner)은 링형상으로 이루어지며, 그 구조는 선박의 이중선체를 가로지르는 가로 격벽의 교차부 곡선의 전체 길이에 걸쳐서 일정하게 유지된다. 선박의 이중선체 및 가로 격벽에 의해서 형성된 구석(corner)에서, 두개의 수직한 고정용 밴드를 각 브래킷을 사용하여 두개의 제 2 밀봉방벽에 연결시키는 것이 본 발명에 따라 제안되었다. 이에 따라, 일방향 연결에 의해서 벽이 수직으로 지지된다. 각 브래킷은 연결용 밴드에 의해서 서로 연결되는데, 연결용 밴드는 구석을 양분하는 평면에 대하여 수직하다. 적어도 하나의 고정용 밴드는 구석의 지지용 벽중 하나와 연관된 제 1 밀봉방벽을 연결시키기 위하여 밴드에 연결된 각 브래킷을 지나 평면에서 실질적으로 연장된다. 다른 지지용 벽에 연관된 제 1 밀봉방벽은 직각으로 접혀진 스트립의 밀봉된 용접부에 의해서 위에서 언급한 동종의 밀봉방벽에 연결되고, 평면에 위치한 고정용 밴드에 연결될 수 있다. 고정용 밴드의 일방향 연결에는 지지용 구조물에 지지된 스터드 보울트 및 직각 형상을 갖춘 고정용 브래킷이 제공될 것이다. 상기 브래킷의 플랜지 중의 하나는 너트에 의해서 각각의 보울트에 고정되고, 다른 플랜지는 고정용 밴드에 용접된다. 고정용 브래킷은 연관된 지지용 벽쪽으로 자유로이 이동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면에는 본 발명에 따른 탱크의 지지용 구조물(1)이 도시되어 있다.
지지용 구조물(1)은 선박의 이중선체의 내부 격벽(1a) 또는 선박의 가로 격벽(1b)중 어느 하나가 될 수 있다. 지금부터, 이러한 두가지 형식의 지지용구조물을 구별할 필요가 없는 경우에는 단지 포괄적인 도면번호 1 이 사용될 것이다.
스터드 보울트(2)로 구성되는 고정부재는 지지용 구조물(1)에 용접된다. 스터드 보울트들은 하나의 방향이 선박의 축과 수직인 두 방향으로 정렬된다. 정렬된 선상에서 보울트는 500mm 간격으로 이격되고, 선박의 축에 대하여 수직인 이러한 종류의 선상에서 보울트의 두 연속적인 선은 1200mm 간격으로 이격된다. 스터드 보울트(2)는 박스(3)를 지지용 구조물(1)에 고정시키는데 사용되며, 박스(3)는 본 발명에 따른 탱크의 제 2 단열방벽의 부품을 형성한다. 박스(3)는 1m의 너비 및 1.20m의 길이를 갖는 합판으로 만든 평행 육면체로 구성된다. 세로방향의 격벽은 이 박스의 내부에 배치되고, 박스의 두개의 큰 직사각형 면 사이에서 연장된다. 박스의 두께는 430mm이다. 각각의 박스의 내부 가로 격벽은 두가지 형식으로 이루어진다. 하나는 비교적 얇은 격벽(4a)이고, 다른 형식은 비교적 두꺼운 격벽(4b)이다. 두꺼운 격벽(4b)은 박스(3)의 세로방향 모서리로부터 250mm만큼 이격되어 있다.
박스(3)에는 규칙적인 간격으로 이격된 7개의 내부격벽이 제공된다. 박스(3)의 내부는 "퍼얼라이트(perlite)"로 알려진 것과 같은 절연 물질로 채워진다.
러그(5)는 두꺼운 격벽(4b)의 중앙 평면에서 내부 격벽에 대하여 수직하게 박스(3)의 모서리에 고정된다. 러그(5)는 직각으로 접혀진 모서리(5a)를 갖는다. 러그(5)는 각각의 두꺼운 격벽(4b)의 중앙 평면에서, 나사 연결을 통하여 각각의 박스(3)의 좁은 측면에 고정된다. 직각으로 접혀진 러그의 모서리(5a)는 너트(7)에 의해서 고정된 판(6)에 연결된다. 너트(7)는 각각의 스터드 보울트(2)상에 나선형으로 연결된다. 고정용 러그(5)를 갖춘 두면이 서로 마주보고 있는 두 박스(3)는 똑같은 두개의 스터드 보울트(2)에 의해서 고정된다. 따라서, 박스(3)가 한쌍으로 장착되는 것을 알 수 있으며, 이것은 4개로 장착되는 종래기술의 경우보다 훨씬 간단하다. 러그의 모서리(5a)에는 고정용 러그(5)를 접어서 얻게 된 고유의 탄력성이 제공되고, 이에 따라 지지용 격벽 및 박스(3)의 변형을 어느 정도 허용할 수 있게 되었다.
박스(3)는 경화가능한 수지로 만든 비드(9)를 삽입하여 장착된다. 비드(9)는 지지용 구조물(1)과 마주대하고 있는 박스(3)의 큰 면상에 세로방향으로 배치되며, 박스의 4개 구석에 고정된 소정 크기의 웨지(8)가 지지용 구조물(1)을 지지할때까지 박스(3)는 지지용 구조물(1) 쪽으로 압력을 받는다.
이 위치에서 경화가능한 수지로 만든 비드(9)는 다소간 부숴지며, 이러한 기술은 이론적인 표면에 대하여 정적 상태에서 지지용 구조물의 격벽에서 발견된 결함을 바로잡을 수 있게 한다. 웨지(8)의 크기는 지지용 구조물의 격벽 내부면의 공간적인 위치선정의 정확한 표식에 따라서 계산된다. 박스의 이러한 위치선정이 완수된 경우에, 박스(3)는 중합반응에 의해서 몇시간동안 경화된 비드(9) 및 보울트(2)에 의해서 고정되고, 이에 따라 웨지(8)를 제거할 수 있게 된다. 박스(3)가 지지용 구조물의 격벽에 제공되기 전에, 비드(9)의 수지가 지지용 구조물의 격벽에 달라붙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지지용격벽 및 비드(9) 사이에는 폴리엔 필름(10)이 삽입된다. 이것에 의하여 고정부재 사이의 변형으로부터 발생된 응력을 박스(3)가 쉽게 받지 않으면서 지지용 구조물의 격벽의 동적변형이 일어날 수 있게 된다.
박스(3)는 약 60mm의 너비를 갖는 연결지역에 의해서 보울트(2)에 대하여 직각으로 이격된다. 폴리우레탄 포옴과 같은 단열재료로 만든 스트립(11)이 연결지역에 삽입된다. 스트립(11)은 직사각형의 평행 육면체 형상이다. 스트립(11)의 높이는 400mm이고, 길이는 1.20m이다. 약 3mm의 폭을 갖는 슬롯(12)이 스트립(11)의 중앙 평면에서 스트립의 두께에 대응하여 세로방향 모서리에 형성된다. 이 슬롯(12)은 장착하는 순간에 일정한 탄력성을 제공하며, 연결지역에서 스트립(11)을 쉽게 고정시킬 수 있게 한다. 스트립(11)의 높이는 스트립의 좁은 세로방향 모서리들 중 하나가 탱크의 내부쪽을 향하고 있는 박스(3)의 면에 정확하게 위치하는 거리이다. 홈(13)은 스트립(11)의 각각의 큰 측면상에 위치한 중앙선을 따라서 형성된다. 홈(13)은 스트립(11)의 각각의 단부에서 접착테이프(14)에 의하여 밀봉되지 않은 방식으로 마무리된다. 접착 테이프(14)는 스트립(11)의 모든 횡단 단부를 감싼다.
홈(15)은 박스(3)의 전체 길이에 걸쳐서 연장되는 두꺼운 내부격벽(4b)에 대하여 직각으로 박스(3)의 상부면에 형성된다. 하나의 세로방향 모서리가 접힌 부분(16a)을 형성하도록 유(U)자 형상의 공간내로 접혀진 고정용 스트립(16)은 홈(15)에 장착된다. 고정용 스트립(16)은 가로질러 배치된 후크(17)에 의해서 홈(15)내부에 고정된다. 하나의 모서리가 접힌 부분(18a)을 형성하도록 유(U)자형 공간내로 접혀진 용접지지부(18)는 고정용 스트립(16)과 일체가 된다. 두개의 접힌 부분(16a) 및 (18a)는 한 부분이 다른 부분내로 맞추어지므로, 인바르 시이트의 스트립인 용접 지지부(18)는 고정용스트립(16)에 고정되고, 결과적으로 제 2 단열방벽의 박스(3)와 일체로 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고정시키는 방법은 용접 지지부(18)가 박스(3)에 대하여 박스의 세로방향, 즉 박스의 내부 격벽에 대하여 평행한 방향으로 미끄러질 수 있도록 사용된다. 고정용 스트립(16) 및 용접 지지부(18)의 연결에 대하여 양호한 저항성을 제공하기 위해서, 홈(15)의 너비는 두 접힌부분(16a) 및 (18a)의 전체 두께보다 약간 크게 제공된다. 이에 따라 접힌 부분이 열리는 것이 방지되고, 용접 지지부(18)에 의해서 지지될 수 있는 인장응력이 증가된다.
제 2 단열방벽은 이러한 방식으로 형성되고, 굽혀올려진 모서리(19a)를 갖춘 0.5mm 두께의 인바르 시이트로 이루어진 스트레이크(19)로 형성된 제 2 밀봉방벽이 장착된다. 인바르 스트레이크(19)는 두개의 굽혀올려진 모서리 사이의 폭이 50cm인 스트립을 형성하는데, 이 스트립은 굽혀올려진 모서리를 거쳐서 용접 지지부(18)의 양 측면에 용접된다. 굽혀올려진 모서리(19a) 및 용접 지지부(18)는 스트레이크(19)에 의해 형성된 표면을 지나서 돌출한다. 굽혀올려진 모서리(19a)의 용접부가 밀봉됨에 따라, 제 2 밀봉방벽이 제 2 단열방벽을 지나서 맞추어진다.
고정용 스트립(16) 및 용접 지지부(18)가 존재하기 때문에, 단열 스트립(11)을 가로지르는 홈(20)을 제공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 홈(20)들은 제 2밀봉방벽의 인접지역에 위치한 두꺼운 세로방향 모서리상에 각각 50cm 간격으로 배열되고, 미끄럼 이음매가 통과할 수 있게 한다.
제 2 방벽은 이러한 방식으로 형성된다. 단단한 판(21)은 용접 지지부(18) 사이에 장착되며, 제 1 단열방벽의 부품을 형성한다. 각각의 단단한 판(21)은 80kg/m3의 밀도를 갖는 직사각형 평행 육면체의 폴리우레탄 포옴으로 구성된다. 이 판들은 40cm의 폭과 3m의 길이를 갖는다. 이 판들은 합판 바닥(22) 위에 위치하고, 합판으로 만든 덮개 판넬(23)이 상기 단단한 판(21)위에 놓여져 있다. 평행 육면체의 포옴은 주변의 합판 스트립(24)에 의해서 두꺼운 면상에 경계를 갖는다. 바닥(22)은 텅(tongue)을 형성하도록 판의 전체 길이에 걸쳐서 스트립(24)에 대하여 돌출한다. 이 텅은 단단한 판(21)이 두개의 용접 지지부(18) 사이에 장착되는 경우에, 제 2 밀봉방벽의 굽혀올려진 모서리(19a) 근처내로 위치한다. 덮개 판넬(23)은 덮개 스트립(25)을 장착할 수 있게 하기 위하여 주변 스트립(24)에 대하여 약간 뒷쪽으로 물러나서 위치한다. 덮개 스트립(25)은 두 인접한 단단한 판(21)의 덮개 패널(23)들 사이의 연결부를 형성하는 합판이다. 덮개 스트립(25)은 두 인접한 단단한 판(21)의 두 주변 스트립(24)에 의하여 지탱되고, 후크(26)에 의해서 두 주변 스트립에 고정된다. 후크(27)에 의해서 주변 스트립(24)과 바닥(22)이 연결된다. 폴리우레탄 포옴의 평행 육면체 중심부는 덮개 판넬(23) 및 바닥(22)에 접착제를 이용하여 연결된다.
상기 단단한 판(21)이 용접 지지부(18) 사이에 위치해 있는 경우에, 단단한 판(21)들은 제 5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제 2 방벽과 일체로 된다. 인바르 시이트로 만들어진 두개의 각 브래킷(28)은 알려진 형식의 자동 기계장치에 의해서 용접 지지부(18)의 양 측면에 대하여 압축된다. 자동 기계장치의 플랜지중 하나는 텅(22a)에 적용되고, 다른 플랜지는 용접 지지부(18)와 접한다. 장착용 기계장치에는 경사진 로울러(29)가 제공되어 있다. 로울러(29)는 용접 지지부(18)와 원형으로 맞물리고, 화살표 F(제 5도에 도시됨) 방향으로 힘을 가한다. 반면에, 기계장치의 로울러(30)는 그대로 위치해 있는 텅(22a)에 대하여 브래킷(28)을 장착하기 위하여 화살표 F1 방향으로 브래킷(28)상에 힘을 가한다. 인바르 시이트의 스트레이크(19)에 의해서 형성된 제2 밀봉방벽 및 단단한 판(21) 사이의 모든 작용은 이러한 방식으로 제거된다. 장착용 기계장치는 용접봉(31)을 사용하여 점 용접을 실시하므로, 용접 지지부(18) 및 브래킷(28)의 상대적인 위치가 고정된다. 이러한 작업은 물론 용접 지지부(18)의 양 측면상에 동시에 실행된다. 두개의 인접한 단단한 판(21)의 두 주변 스트립(24) 사이의 거리는 약 80mm인데, 이 거리는 점 용접기계장치의 통로로서 충분하다. 일단 이러한 점 용접이 실행되면, 단단한판(21)의 중심을 형성하는 평행 육면체 슬랩 재료의 두께와 실질적으로 같은 두께를 갖는 폴리우레탄 포옴의 스트립(32)은 두개의 인접한 주변 스트립(24) 사이 및 브래킷(28)과 연관된 용접 지지부(18) 위에 장착된다. 연결지역을 채우는 스트립(32)은 후크(26)에 의해 고정된 덮개 스트립(25)에 의해서 덮힌다. 탱크의 내부쪽을 향하고 있는 덮개 스트립(25)의 표면은 덮개 판넬(23)의 외부표면에 위치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형성된 제 1 단열방벽의 두께는 70mm이다.
티(T)자 형상을 갖춘 연속적인 홈(33)은 덮개 스트립(25) 중앙의 세로방향 선을 따라 형성된다. 엘(L)자 형상을 형성하기 위하여 직각으로 접혀진 용접 플랜지(34)는 이 홈에 장착되는데, 플랜지의 작은 면은 티(T)자 형상홈의 횡단부분중 하나에 결합되고, 큰 면은 티(T)자 형상 홈의 웨브를 가로지르며, 덮개 스트립을 지나서 돌출한다. 굽혀올려진 모서리(35a)를 갖춘 인바르 시이트 스트레이크(35)는 용접 플랜지(34) 사이에 장착된다. 스트레이크(35)의 너비는 약 50cm이므로, 굽혀올려진 모서리(35a)는 용접 플랜지(34)의 두 측면상에 위치한다. 그러므로, 자동 기계장치에 의해서 모서리(35a)및 용접 플랜지(34) 사이에 연속적으로 밀봉된 용접부를 형성할 수 있게 된다. 제 1 밀봉방벽이 상기와 같은 방식으로 장착되고 고정된다.
제 2 단열방벽은 낮은 압력, 즉 1.5mmHg(2mbar)의 절대 압력하에서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2 단열방벽의 두께는 430mm로 매우 두껍기때문에, 매우 높은 단열 효과를 갖는다. 1.5mmHg(2mbar)의 낮은 압력을 조성하기 위해서, 공기가 펌핑되어 제 2 단열층내로 제공된다. 박스(3)에는 박스내로 공기를 쉽게 흡입할 수 있도록 횡단하는 모서리에 구멍이 제공될 것이다. 밀봉된 방식으로 장착되지 않은 테이프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스트립(11)의 홈(13)을 통해서 유입된 공기는 순환될 수 있다. 테이프(14)는 홈(13)과, 박스(3) 및 지지용 구조물(1) 사이에 제공된 공간 사이에서 큰 열손실을 초래할 수 있는 자연대류에 의한 잔류가스의 순환을 방지하는데 적합하다.
제 7도에는 탱크구석에 제공되는 구조물이 도시되어 있다. 이 지역에서 선박의 가로격벽(1b)은 선박의 이중선체의 내부 격벽(1a)에 연결된다.
격벽(1a) 및 (1b)의 교차부(36)는 링 구조물을 따라서 폐쇄된 다각형을 형성한다. 제 7도에는 이러한 링 지역이 단면으로 도시되었다.
도면번호 36은 탱크의 구석에 의해서 형성된 이면체의 모서리를 나타낸다. 스터드 보울트(37)라인은 각각의 지지용 격벽(1a) 및 (1b)의 모서리(36)와 평행하게, 모서리(36)로 부터 약 530mm 간격으로 제공된다. 각 브래킷(38)은 보울트에 장착되는데, 각 브래킷(38)의 플랜지는 보울트(37)에 위치하며 바아(39)에 의해서 고정된다. 상기 바아(39)는 브래킷(38)의 길이와 같은 길이를 가지며 브래킷의 저항성을 증가시키며 또는 보울트(37)와 결합하는 너트(40)에 의해서 고정된다. 지지용 격벽의 근처에서, 보울트(37)는 브래킷(38)이 자유로이 미끄러질 수 있는 매끄러운 베어링 면을 갖추고 있다.
이러한 장착을 통해서 브래킷(38)이 지지용 격벽쪽으로 가까이 이동할 수 있는 일방향 연결이 이루어짐을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너트(40)에 의해서 탱크의 내부방향으로 브래킷의 위치가 제한된다.
보울트(37)와 연결되지 않은 브래킷(38)의 플랜지는 연결밴드(41)에 용접 결합된다. 연결밴드(41)는 제 1 밀봉방벽의 평면에 실질적으로 위치한 2mm 두께의 인바르 시이트로 구성되는데, 제 1 밀봉방벽의 평면은 연결밴드(41)의 각 브래킷(38)을 지지하지 않는 지지용 격벽과 연결되어 있다. 연결밴드(41)가 장착되기 전에, 정사각형 구간인 제 2 박스(42)는 이면 모서리(36)에 배치되고, 수지로 이루어진 비드(9)에 의해서 격벽(1a) 및 (1b)에 대하여 지탱된다. 박스(42)는 박스(3)와 마찬가지로 특별한 열적 절연체가 채워진다. 연결밴드(41) 및 각 브래킷(38)은 격벽(1a) 및 (1b)의 반대쪽에 위치한 박스의 두면에 장착된다. 모서리(36)의 반대편인 박스(42)의 구석은 경사면을 형성하도록 절단되어 있다.
제 8도에는 미리 조립된 합성 비임(beam)이 상세하게 도시되어 있다.
합성 비임은 이러한 방식으로 마련된 구석에 장착된다. 합성 비임은 이면체의 형상인데, 이면체의 두 평면은 수직으로 형성되고,45도 각도로 경사진지역에 연결된다. 합성 비임은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형성된다. 2mm 두께의 인바르 시이트(43)는 인바르 시이트(43)와 수직한 1.5mm 두께의 두 인바르 시이트(44) 및 (45)를 수용하고, 굽혀올려진 모서리를 통해서 두 인바르 시이트(44) 및 (45)에 용접된다. 시이트(44) 및 (45)는 평행하고, 약 70mm 간격만큼 이격되어 있다. 시이트(43)는 다른쪽 면에서, 시이트(43)에 대하여 약 45도 각도로 배치된 두께 1.5mm의 인바르 시이트(46)를 지지하는데, 인바르 시이트(46)는 시이트(43)에 대하여 다시 평행하게 배열되도록 하기 위해서 시이트(45)에 대하여 직각으로 접힌다. 시이트(46)는 시이트(44)와 같은 높이에서 시이트(43)에 용접된다. 유(U)자 형상의 브래킷(47)은 자체의 두 플랜지를 거쳐서 용접되는데, 한편으로는 시이트(45)의 용접부와 직각을 이루며 시이트(45)에 대하여 반대면으로 위치한 시이트(43)에 용접되고, 다른 한편으로는 시이트(46), 및 시이트(45)의 평면에 위치하는 브래킷(47)의 웨브에 용접된다. 시이트(46)의 일측면에서 브래킷(47)은 위치하지 않고, 시이트(45)의평면에서 1.5mm 두께의 인바르 시이트(48)는 굽혀올려진 모서리를 통해서 시이트(46)에 용접된다. 대체로 삼각형 단면인 합판 비임(49)은 시이트(43), (46) 및 브래킷(47)의 웨브에 의해서 구성되는 삼각형 구간의 공간에 장착되고, 시이트(44) 및 (45) 사이의 공간에서 시이트(43)를 관통하는 나사(50)에 의하여 시이트 하우징에 고정된다. 대체로 직사각형 구간인 합판 비임(54)및 (55)는 각각의 공간에 장착되는데, 한편으로는 시이트(43),(44) 및 (45) 사이의 공간에 장착되고, 다른 한편으로는 시이트(43),(46) 및 브래킷(47)의 웨브에 의해 구성된 공간에 장착된다. 이러한 비임은 비임을 둘러싸고 있는 시이트에 대하여 나사(51)에 의해서 고정되는데, 나사(51)는 각각의 시이트(45) 및 (43)에 위치한 탱크의 중앙 측면에 배치된다. 비임을 비임의 시이트 케이싱에 완전하게 연결시키기 위하여, 나사(52) 및 (53)이 장착되고, 나사(52)는 브래킷(47)의 웨브를 관통하여 비임(55)를 비임(49)에 연결시키며, 나사(53)는 시이트(43)를 통과하여 비임(49)를 비임(54)에 연결시킨다.
앞서 설명한 합성 비임은 시이트(46)를 탱크(42)의 경사면에 대하여 지탱시킨다. 이 위치에서, 시이트(43) 및 (48)은 덮개의 모서리에서 계속적 인 밀봉 용접상태를 유지하도록 연결밴드(41) 위에 얹혀 있다. 이 위치에서, 시이트(43)는 제 1 밀봉방벽의 평면에 실질적으로 위치하고, 시이트(46)는 지지용 격벽(1a)에 대하여 평행한 제 2 밀봉방벽의 평면에 위치한다. 마찬가지로, 시이트(44)는 제 2 밀봉방벽의 평면에 위치하고, 시이트(45)는 지지용격벽(1b)에 대하여 평행한 제 1 밀봉방벽의 평면에 위치한다. 그러므로, 합성 비임의 이러한 시이트는 제 1 및 제 2 밀봉방벽을 형성하는 인바르 스트레이크에 간단하게 밀봉 용접된다. 시이트의 단부 모서리(350)는 제 1 밀봉 방벽을 형성하며 나사(51)가 위치하는 지역을 덮게 되므로, 밀봉상태는 나사(51)가 위치하는 것과는 상관없이 파괴되지 않는다. 나사(52) 및 (53)가 위치하는 지역은 제 1 단열방벽의 두께에 해당하므로, 밀봉할 필요가 없다.
이러한 구조에 있어서, 제 1 및 제 2 방벽에 가해진 힘을 지지용 격벽에 완전하게 전달할 수 있음을 알게 될 것이다. m 당 10개씩 배치된 15mm의 지름을 갖는 보울트(37)를 사용함으로써, 항해중에 발생하는 동적응력 및 탱크을 냉각시킴으로써 발생하는 정하중에 간단히 견딜수 있게 된다. 정하중은 가로 격벽에 대하여 평행한 연결밴드(41)에만 작용되는데, 이중선체에 대하여 평행한 연결밴드(41)는 정하중 및 동적응력을 모두 지지한다. 브래킷(38)에서 일방향으로 연결시킴에 따라 탱크에 하중이 가해지는 경우에, 브래킷(38)이 전달된 하중하에서 반동할 수 있게 된다. 위에서 언급한 구석의 구조물을 통해서 밀봉방벽에 가해진 상당한 인장응력을 간단한 방식으로 지지하는 것은 가능하지만, 압축응력을 지지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이 압축응력은 용접의 파괴 및 밀봉의 손실을 초래하는 합성 비임 시이트의 변형을 가져온다.
제 9도에는 제 7도 및 제 8도에 도시된 링(ring)형 구석의 다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제 9도에는 단지 합성 비임의 구석지역만이 도시되어 있고, 제 1 실시예에서와 같이 구석지역에 적합한 제 1 및 제 2 탱크는 도시되지 않았다. 이 실시예에서, 합성 비임을 통해 연결밴드(41)위로 작용된 정하중 및 동적응력의 개선된 분배가 이루어진다. 상기 연결밴드(41)는 비임의 삼각형 지역에 의해서 이루어진 대칭적 연결을 통해 이중선체에 대하여 평행하게 배열된다. 상기 비임의 삼각형 지역은 이중선체에 대하여 평행한 제 1 밀봉방벽(350) 및 제 2 밀봉방벽(190)과, 연결밴드(41) 사이에 제공된다. 세로방향으로 응력이 최대화함에 따라, 가로 격벽에 대하여 비대칭적으로 평행한 것은 문제가 되지 않는다. 비임의 다양한 부품들은 제 1 실시예와 똑같은 도면번호를 갖는다. 비임을 형성하는 시이트는 2mm 두께인 시이트(43)를 제외하고는 1.5mm 두께의 인바르 시이트이다. 이러한 시이트로 구성된 3개의 간막이 벽은 나무로 이루어진 비임(49),(54),(56)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형성된 조립체는 제 7도 및 제 8도에 도시한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제 1 및 제 2 밀봉방벽에 연결된다.
위에서 언급한 탱크 구조물에서는 지지용 격벽에 위치한 제 1 단열및 밀봉방벽을 고정시키도록 제공된 부재들에 의해서 제 2 밀봉방벽의 모든 이동이 제거되었음을 알게 될 것이다. 이에 따라 열전달이 방지된다. 또한, 박스(3)가 굽혀올려진 모서리를 갖춘 러그에 의해서 고정됨에 따라, 선체의 동적변형을 이전보다 더 지탱할 수 있게 된다. 끝으로, 제 1 방벽이 지지용 격벽에 위치한 제 2 방벽을 고정시키는 고정부재에 대하여 직각으로 연결됨에 따라, 항해하는 동안의 박스 변형이 줄어든다.
본 발명은 위에서 언급한 실시예에 제한받지 않으며, 본 발명의 영역을 넘지않는 범위내에서 다른 바람직한 수정 실시예가 가능하다.

Claims (18)

  1. 선박의 지지용 구조물의 일부를 형성하는 밀봉 단열된 탱크로서, 두개의 연속적인 제 1 및 제 2 밀봉방벽을 갖추고 있고, 상기 제 1 밀봉방벽은 상기 탱크에 포함된 제품과 접촉하고 있으며, 상기 제 2 밀봉방벽은 상기 제 1 밀봉방벽 및 선박의 지지용 구조물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및 제 2 밀봉방벽은 제 1 및 제 2 단열방벽과 각각 교대로 배열되어 있으며, 상기 제 1 단열방벽은 연결수단에 의해서 제 2 밀봉방벽에 대하여 탄성적으로 지탱되고, 평행 육면체의 단단한 판(21)들로 구성되며, 상기 연결 수단은 실질적으로 연속적인 선형 방식으로 배열되어 제 2 단열방벽에 기계적으로 연결되어 있고, 상기 단단한 판(21)들 사이를 관통하며, 상기 제 2 단열방벽은 평행 육면체 단열박스(3)의 조립체로 구성되고, 상기 단열박스(3)에 는 고정부재에 의해서 지지용 구조물과 일체식으로 고정된 내부격벽이 제공되어 있으며, 상기 지지용 구조물은 제 2 단열방벽 박스의 모서리를 따라서 배치된 고정장치와 일체로 되며, 상기 박스(3)들은 상기 고정부재가 배치되는 직선형 연결 지역에 의해서 서로 분리되고, 상기 각각의 박스(3)에는 상기 연결수단을 수용하기에 적합한 각각의 홈(15)이 직각으로 제공되어 있으며, 상기 박스(3)를 한정하는 면에 고정된 내부의 두꺼운 격벽(4b)이 제공되어 있는 탱크에 있어서, 상기 탱크 구석의 외부에서 선박의 지지용 구조물상에 제 2 단열방벽을 고정시키는데 사용되는 고정부재가 상기 연결수단이 삽입되는 상기 홈(15)에 대하여 직각으로 정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탱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가 한편으로는 자체의 바닥을 통해서 선박의 지지용 구조물(1)에 용접된 스터드 보울트(2)를 갖추고 있고, 다른 한편으로는 상기 제 2 단열방벽의 박스(3)와 일체되는 고정장치에 의해 지탱되는 너트(7)를 갖추고 있으며, 상기 고정장치가 박스(3) 각각의 두꺼운 격벽(4b)의 단부 단면에 대하여 직각으로 각각의 박스(3)의 좁은 면에 고정된 러그(5)의 탄성적이고 변형가능하게 굽혀올려진 모서리(5a)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탱크.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너트(7)는 두개의 인접한 박스(3)에 속하는 두개의 러그(5)에 의해서 지탱되는 판(6)에 의해서 상기 러그(5)에 대하여 지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탱크.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밀봉방벽은 탱크의 내부쪽으로 굽혀올려진 모서리(19a)를 갖춘 금속 스트레이크(19)로 구성되며, 상기 스트레이크는 낮은 팽창계수를 갖는 시이트 금속으로 제조되고, 미끄럼 이음매에 의해 상기 제 2 단열방벽의 부품에 기계적으로 고정된 용접지지부(18)의 두면에 대해 상기 굽혀 올려진 모서리(19a)를 통해서 맞대기 용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탱크.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연결수단이 제 1 및 제2 부분으로 구성되며, 상기 용접 지지부(18)가 상기 연결수단의 제 1 부분을 형성하고 제 1 밀봉방벽의 평면에 대하여 뒷쪽으로 자유단부를 갖추고 있으며, 상기 제 1 단열방벽의 단단한 판(21)이 판 전체의 길이에 걸쳐서 상기 각각의 용접 지지부(18)에 대해 고정 텅(22a) 및 두개의 직각으로 접혀진 스트립(28)을 갖추고 있고, 상기 스트립(28)이 용접 지지부(18)의 양측면에 용접되고 연결수단의 제 2 부분을 형성하기 위하여 스트립(28)의 비용접된 플랜지를 통해서 상기 텅(22a)에 대하여 탄성적으로 지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탱크.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단열방벽의 박스(3)상의 용접지지부(18)를 고정하는 미끄럼 이음매는 공지된 방식으로 구성되는데, 한쪽은 상기 용접 지지부(18)의 세로방향 모서리에 형성된 제 1 유(U)자 형상의 접혀진 부분(18a)으로 구성되고, 다른 한쪽은 고정용 스트립(16)에 형성된 제 2 유(U)자 형상의 접혀진 부분(16a)으로 구성되며, 상기 두개의 접혀진 부분(16a,18a)은 한 부분이 다른 부분내로 맞추어지고, 상기 각각의 고정용 스트립(16)은 박스(3) 각각의 두꺼운 격벽(4b)에 대하여 직각으로 형성된 홈(15)들 중 하나에 장착되어 고정되며, 상기 홈(15)의 너비가 상기 두개의 접힌 부분(16a,18a)의 너비보다 약간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탱크.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용 스트립(16)이 고정수단에 의해서 상기 홈(15)에 고정될 수 있으며, 상기 고정수단이 상기 고정용 스트립(16)이 배치된 두꺼운 격벽(4b)의 상기 홈(15)에서 가로질러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탱크.
  8.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열방벽의 박스(3)는 경화가능한 수지로 제조된 비드(9)에 의해서 선박의 지지용 구조물(1)에 대하여 지탱되고, 상기 비드(9)는 한정된 기하학적인 표면을 불연속적인 부품들에 의해서 복원시키며, 상기 복원작업이 정적 상태에서 이론적인 표면에 대해 지지용 구조물의 임의의 공간과 관계없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탱크.
  9. 제 8항에 있어서, 플라스틱 재료의 필름(10)이 상기 지지용 구조물(1) 및 수지형 비드(9) 사이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탱크.
  10.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열방벽의 박스(3)들 사이에 제공된 연결 지역에 단열재료가 채워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탱크.
  11.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열방벽이 0.75mmHg (0.1mbar) 및 225mmHg(300mbar) 사이의 낮은 압력하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탱크.
  12.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지역에 채워진 단열재료가 스트립(11)의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스트립의 두께는 상기 연결지역에 채워지는 두께에 대응하며, 상기 스트립(11)의 측면에는 단부가 밀봉되지 않은 상태로 폐쇄된 적어도 하나의 세로방향 홈(13)이 제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탱크.
  13. 제 5항에 있어서, 덮개 스트립(25)이 상기 각각의 용지지부(18) 및 상기 제 1 단열방벽의 단단한 판(21)의 텅(22a)에 대하여 직각으로 배치되고, 상기 탱크의 내부쪽을 향하고 있는 덮개 스트립의 면이 제 1밀봉방벽을 지지하는 제 1 단열방벽의 단단한 판(21)의 면과 같은 높이로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탱크.
  1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열방벽을 형성하는 단단한 판(21)이 두개의 단단한 판넬(22,23) 사이에 삽입된 다공성 재료의 층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탱크.
  15.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열방벽이 중성가스에 의해서 정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탱크.
  16.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밀봉방벽이 탱크의 내부쪽으로 굽혀올려진 모서리(35a)를 갖춘 금속 스트레이크(35)로 형성되고, 시이트 금속으로 구성되는 상기 스트레이크(35)가 낮은 팽창계수를 가지며 굽혀올려진 모서리(35a)를 통해서 용접 플랜지(34)의 두면에 막대기 용접되고, 상기 용접 플랜지(34)가 제 1 단열방벽의 상기 덮개 스트립(25)에 의해서 기계적으로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탱크.
  17.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선박의 이중선체의 내부격벽(1a) 및 가로격벽(1b)에 의해서 형성된 구석에서 상기 두개의 제 2 밀봉방벽에 직각으로 접혀진 시이트(43,48)로 연결된 두개의 수직한 고정용 연결밴드(41)들은 일방향 연결에 의해서 수직한 지지용 벽과 결합되고, 상기 시이트(43,48)들이 상기 구석을 분할하는 평면에 대해 수직한 연결밴드에 의해서 서로 연결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고정용 연결 밴드(41)가 그 평면에서 직각으로 접혀진 시이트(44)를 지나 연장되어 상기 구석의 지지용 벽들중 하나의 격벽(1a)과 연관된 제 1 밀봉방벽을 결합시키며, 다른 지지용 격벽(1b)과 연관된 상기 제 1 밀봉방벽이 직각으로 접혀진 시이트(45)의 밀봉된 용접부에 의해서 상술된 동종의 밀봉방벽에 연결되고, 그 평면에 위치한 상기 고정용 연결 밴드(41)에 연결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탱크.
  18.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용 연결밴드(41)의 일방향 연결에 스터드 보울트(37) 및 고정용 브래킷(38)이 제공되고, 상기 스터드보울트(37)는 상기 선박의 지지용 구조물에 고정되며, 상기 고정용 브래킷(38)은 직각으로 접혀진 형상을 갖추고 있고, 그것의 지지용 벽쪽으로 자유롭게 이동되며, 상기 브래킷의 플랜지 중 하나는 너트(40)에 의해서 각각의 보울트(37)에 고정되며, 다른 하나는 상기 고정용 연결밴드(41)에 용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탱크.
KR1019920021597A 1991-11-20 1992-11-18 선박의 지지용 구조물의 일부분을 형성하는 밀봉 단열된 탱크 KR10024259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9114320A FR2683786B1 (fr) 1991-11-20 1991-11-20 Cuve etanche et thermiquement isolante perfectionnee, integree a la structure porteuse d'un navire.
FR9114320 1991-11-2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09856A KR930009856A (ko) 1993-06-21
KR100242598B1 true KR100242598B1 (ko) 2000-03-02

Family

ID=94191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021597A KR100242598B1 (ko) 1991-11-20 1992-11-18 선박의 지지용 구조물의 일부분을 형성하는 밀봉 단열된 탱크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5269247A (ko)
EP (1) EP0543686B1 (ko)
JP (1) JP3280721B2 (ko)
KR (1) KR100242598B1 (ko)
DE (1) DE69201629T2 (ko)
FR (1) FR2683786B1 (ko)
TW (1) TW217399B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4726B1 (ko) 2006-07-12 2007-09-03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2차방벽 부착형 단열상자 또는 단열판으로 구성된 심벗형액화천연가스 저장용기용 단열시스템
WO2008147003A1 (en) * 2007-05-29 2008-12-04 Hyundai Heavy Industries Co., Ltd. Lng storage tank insulation system having welded secondary barrier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CN103402863A (zh) * 2011-01-10 2013-11-20 艾克斯德有限公司 流体不可渗透的绝热保持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709725B1 (fr) * 1993-09-09 1995-11-10 Gaz Transport Cuve étanche et thermiquement isolante intégrée à la structure porteuse d'un navire ayant une structure d'angle simplifiée.
FR2709726B1 (fr) * 1993-09-09 1995-12-22 Gaz Transport Cuve étanche et thermiquement isolante perfectionnée, intégrée à la structure porteuse d'un navire.
FR2724623B1 (fr) * 1994-09-20 1997-01-10 Gaztransport Et Technigaz Cuve etanche et thermiquement isolante perfectionnee integree dans une structure porteuse
FR2781036B1 (fr) 1998-07-10 2000-09-08 Gaz Transport & Technigaz Cuve etanche et thermiquement isolante a barriere isolante simplifiee, integree dans une structure porteuse de navire
FR2780942B1 (fr) 1998-07-10 2000-09-08 Gaz Transport & Technigaz Cuve etanche et thermiquement isolante a structure d'angle perfectionnee, integree dans une structure porteuse de navire
FR2780941B1 (fr) 1998-07-10 2000-09-08 Gaz Transport & Technigaz Cuve etanche et thermiquement isolante a barriere isolante perfectionnee, integree dans une structure porteuse de navire
FR2781556B1 (fr) * 1998-07-24 2000-09-15 Gaz Transport & Technigaz Cuve etanche et thermiquement isolante a panneaux prefabriques perfectionnes, integree dans une structure porteuse
FR2781557B1 (fr) * 1998-07-24 2000-09-15 Gaz Transport & Technigaz Perfectionnement pour une cuve etanche et thermiquement isolante a panneaux prefabriques
FR2785034B1 (fr) * 1998-10-23 2000-12-22 Gaz Transport & Technigaz Procede pour eliminer l'evaporation d'un gaz liquefie stocke dans une cuve etanche et isotherme, et dispositif pour sa mise en oeuvre
FR2798358B1 (fr) * 1999-09-14 2001-11-02 Gaz Transport & Technigaz Cuve etanche et thermiquement isolante integree dans une structure porteuse de navire, a structure d'angle simplifiee
FR2798902B1 (fr) * 1999-09-29 2001-11-23 Gaz Transport & Technigaz Cuve etanche et thermiquement isolante integree dans une structure porteuse de navire et procede de fabrication de caissons isolants destines a etre utilises dans cette cuve
FR2813111B1 (fr) * 2000-08-18 2002-11-29 Gaz Transport & Technigaz Cuve etanche et thermiquement isolante aretes longitudinales ameliorees
FR2867831B1 (fr) * 2004-03-17 2006-05-19 Gaz Transport & Technigaz Caisse autoporteuse en bois convenant pour le soutien et l'isolation thermique d'une membrane de cuve etanche
FR2877637B1 (fr) * 2004-11-10 2007-01-19 Gaz Transp Et Technigaz Soc Pa Cuve etanche et thermiquement isolee a elements calorifuges juxtaposes
FR2877639B1 (fr) * 2004-11-10 2006-12-15 Gaz Transp Et Technigaz Soc Pa Cuve etanche et thermiquement isolee integree a la stucture porteuse d'un navire
US7204195B2 (en) 2004-12-08 2007-04-17 Korea Gas Corporation Ship with liquid tank
JP4616279B2 (ja) * 2004-12-08 2011-01-19 コリア ガス コーポレイション 液化天然ガスの保存タンク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644217B1 (ko) * 2006-04-20 2006-11-10 한국가스공사 개선된 단열구조를 갖는 액화천연가스 저장탱크 및 그제조방법
KR100807961B1 (ko) * 2006-05-29 2008-02-28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용접 접합용 2차 방벽을 구비하는 액화천연가스 저장용기용단열시스템
JP4451439B2 (ja) * 2006-09-01 2010-04-14 韓国ガス公社 液化天然ガスの貯蔵タンクを形成するための構造体
FR2909356B1 (fr) 2006-11-30 2009-01-16 Gaztransp Et Technigaz Soc Par Fixation par collage de blocs isolants pour cuve de transport de gaz liquefies a l'aide de cordons ondules
FR2911576B1 (fr) * 2007-01-23 2009-03-06 Alstom Sa Procede de realisation d'une paroi isolante et etanche d'une cuve
KR100941788B1 (ko) * 2007-10-19 2010-02-10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인슐레이션 패널 구조 및 그 조립방법
CN102015434B (zh) 2008-05-02 2014-07-02 三星重工业株式会社 用于固定货物的隔热面板的设备和货物的隔热面板
FR2931535B1 (fr) * 2008-05-21 2010-08-20 Gaztransp Et Technigaz Fixation par collage de blocs isolants pour cuve de stockage de gaz liquefies a l'aide de cordons ondules
US20090293506A1 (en) * 2008-05-30 2009-12-03 Daewoo Shipbuilding & Marine Engineering Co., Ltd. Semi-Submersible Offshore Structure Having Storage Tanks for Liquified Gas
KR101122292B1 (ko) * 2008-06-19 2012-03-21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액화천연가스 운반선 화물창의 단열구조 및 그것의 시공방법
EP2157013B1 (en) 2008-08-21 2012-02-22 Daewoo Shipbuilding & Marine Engineering Co., Ltd Liquefied gas storage tank and marine structure including the same
FR2968284B1 (fr) * 2010-12-01 2013-12-20 Gaztransp Et Technigaz Barriere d'etancheite pour une paroi de cuve
FR2972242B1 (fr) * 2011-03-01 2014-10-17 Gaztransp Et Technigaz Fixation de panneaux isolants sur une paroi porteuse selon un motif repete
KR101259058B1 (ko) * 2011-03-31 2013-04-29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액화천연가스 저장 탱크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FR2998256B1 (fr) * 2012-11-16 2019-12-20 Gaztransport Et Technigaz Procede de fabrication d'une paroi de cuve etanche et thermiquement isolee
FR3002514B1 (fr) * 2013-02-22 2016-10-21 Gaztransport Et Technigaz Procede de fabrication d'une barriere etanche et thermiquement isolante pour cuve de stockage
FR3008765B1 (fr) * 2013-07-19 2017-05-19 Gaztransport Et Technigaz Structure d'angle pour cuve isolante et etanche
FR3018278B1 (fr) * 2014-03-04 2020-02-14 Gaztransport Et Technigaz Traitement de diffusion forcee d'une piece isolante en mousse synthetique expansee
FR3038690B1 (fr) * 2015-07-06 2018-01-05 Gaztransport Et Technigaz Cuve etanche et thermiquement isolante ayant une membrane d'etancheite secondaire equipee d'un arrangement d'angle a toles metalliques ondulees
FR3042253B1 (fr) * 2015-10-13 2018-05-18 Gaztransport Et Technigaz Cuve etanche et thermiquement isolante
AU2017347309B2 (en) * 2016-10-19 2019-10-03 Ame2 Pte Ltd System and method for off-shore and in-shore aquaculture using floating closed containment farming and amalgamated facility
FR3070747B1 (fr) 2017-09-04 2021-01-08 Gaztransport Et Technigaz Cuve etanche et thermiquement isolante comportant une bande de couverture anti-convective
WO2019043348A1 (fr) * 2017-09-04 2019-03-07 Gaztransport Et Technigaz Cuve étanche et thermiquement isolante comportant une plaque de remplissage anti-convective
WO2019077253A1 (fr) 2017-10-20 2019-04-25 Gaztransport Et Technigaz Cuve etanche et thermiquement isolante a plusieurs zones
FR3072758B1 (fr) 2017-10-20 2019-11-01 Gaztransport Et Technigaz Cuve etanche et thermiquement isolante a plusieurs zones
FR3072759B1 (fr) * 2017-10-20 2021-04-30 Gaztransport Et Technigaz Cuve etanche et thermiquement isolante
FR3077278B1 (fr) * 2018-02-01 2020-02-07 Gaztransport Et Technigaz Paroi etanche a membrane ondulee renforcee
FR3086031B1 (fr) * 2018-09-18 2020-09-11 Gaztransport Et Technigaz Installation de stockage pour gaz liquefie
FR3087873B1 (fr) * 2018-10-25 2020-10-02 Gaztransport Et Technigaz Cuve etanche et thermiquement isolante
FR3094477B1 (fr) * 2019-03-25 2021-09-24 Gaztransport Et Technigaz Procédé de fabrication de cordons de mastic
FR3121730B1 (fr) * 2021-04-09 2023-12-01 Gaztransport Et Technigaz Dispositif d’ancrage destiné à retenir des blocs isolants
CN117847404B (zh) * 2024-03-07 2024-05-03 中太(苏州)氢能源科技有限公司 一种绝缘模块连接结构和具有该连接结构的储存容器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178752B1 (ko) * 1972-04-05 1976-10-29 Gaz Transport
FR2413260A1 (fr) * 1977-12-29 1979-07-27 Gaz Transport Cuve etanche et thermiquement isolante integree a la structure porteuse d'un navire
FR2549575B1 (fr) * 1983-07-18 1985-11-08 Gaz Transport Cuve de navire etanche et isotherme, notamment pour le transport de gaz naturel liquefie
FR2629897B1 (fr) * 1988-04-08 1991-02-15 Gaz Transport Cuve etanche et thermiquement isolante perfectionnee, integree a la structure porteuse d'un navire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4726B1 (ko) 2006-07-12 2007-09-03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2차방벽 부착형 단열상자 또는 단열판으로 구성된 심벗형액화천연가스 저장용기용 단열시스템
WO2008147003A1 (en) * 2007-05-29 2008-12-04 Hyundai Heavy Industries Co., Ltd. Lng storage tank insulation system having welded secondary barrier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CN103402863A (zh) * 2011-01-10 2013-11-20 艾克斯德有限公司 流体不可渗透的绝热保持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9201629T2 (de) 1995-09-21
KR930009856A (ko) 1993-06-21
US5269247A (en) 1993-12-14
EP0543686B1 (fr) 1995-03-08
FR2683786B1 (fr) 1994-02-18
DE69201629D1 (de) 1995-04-13
JPH05310289A (ja) 1993-11-22
TW217399B (ko) 1993-12-11
EP0543686A1 (fr) 1993-05-26
FR2683786A1 (fr) 1993-05-21
JP3280721B2 (ja) 2002-05-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42598B1 (ko) 선박의 지지용 구조물의 일부분을 형성하는 밀봉 단열된 탱크
KR880002146B1 (ko) 선박의 지지구조내에 결합되는 단열 누출 방지 탱크
KR102558859B1 (ko) 밀봉 단열 탱크
KR100325441B1 (ko) 예비조립식 패널을 포함하는 불투과성 단열 탱크
US6378722B1 (en) Watertight and thermally insulating tank with improved longitudinal solid angles of intersection
JP3535223B2 (ja) 簡略化されたコーナ部構造を有する、船の支持構造に内蔵された水密断熱タンク
KR102209265B1 (ko) 코너부를 포함하는 밀봉된, 열 절연 선박
JP2001122386A (ja) 船の支持構造への防水かつ断熱のタンクの組み込み、およびこのタンクに用いられる断熱ケーソンの製造方法
KR20150141977A (ko) 유체를 저장하기 위한 씰링 및 열적으로 인슐레이팅된 탱크
KR20030003067A (ko) 교차부의 경사진 종방향 입체각을 구비한 수밀 및 단열 탱크
KR102437681B1 (ko) 밀폐 및 단열 탱크
KR20140121331A (ko) 극저온 물질 운반선의 화물창
KR100305386B1 (ko) 선박의지지구조물에내장되는수밀,단열탱크
CN112313443A (zh) 热绝缘密封罐
KR20160091649A (ko) 액화천연가스 저장탱크의 코너 구조체
CN115917206A (zh) 适合于制作冷液体储存贮罐中的绝缘壁的绝缘块
KR101633219B1 (ko) 직선 굴곡형 멤브레인 시트를 이용한 극저온 물질 운반선의 화물창
US3471983A (en) Wall corner construction
KR101422517B1 (ko) 액화가스 수송선박의 화물창과 그 제작방법
CN113227637B (zh) 密封且绝热的罐
KR100457880B1 (ko) 액화천연가스운반선의 항온 화물창
KR20210081916A (ko) 액화가스 저장탱크의 단열시스템
KR101487108B1 (ko) 극저온 물질 운반선의 화물창
KR810001871B1 (ko) 유조선의 격벽 결합장치
KR810001627B1 (ko) 액화가스용 유체 밀폐 항온 탱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30

Year of fee payment: 14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