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10001810Y1 - 자동차 관성탄력을 이용한 후리크러치 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 관성탄력을 이용한 후리크러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10001810Y1
KR810001810Y1 KR7904633U KR790004633U KR810001810Y1 KR 810001810 Y1 KR810001810 Y1 KR 810001810Y1 KR 7904633 U KR7904633 U KR 7904633U KR 790004633 U KR790004633 U KR 790004633U KR 810001810 Y1 KR810001810 Y1 KR 81000181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utch
clutch device
free
shaft
inertia for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790463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용철
Original Assignee
최용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용철 filed Critical 최용철
Priority to KR7904633U priority Critical patent/KR81000181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1000181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10001810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7/00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 B60K17/02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clutch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13/00Friction clutches
    • F16D13/58Details
    • F16D13/60Clutching elements
    • F16D13/64Clutch-plates; Clutch-lamella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42Clutches or brak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Operated Clutches (AREA)
  • Braking Arrangement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자동차 관성탄력을 이용한 후리크러치 장치
제1도는 본 고안의 후리크러치 장치의 종단면도.
제2도는 본 고안인 제1도의 A-A선 단면도.
제3도는 본 고안인 후리크러치의 요부 종단면도.
제4도는 본 고안의 후리크러치를 설치한 상태도.
본 고안은 자동차의 관성탄력을 이용한 후리크러치에 관한 것으로서 밋숀축과 프로페라축 중간에 관성탄력을 이용한 후리크러치를 장치하여 자동차의 관성탄력을 이용하여 연료를 절약할 수 있는 동시에 급정차시에는 엔진 브레이크도 작동이 가능하여 급정차할 수 있어 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장치를 얻을 목적으로 고안한 것이다.
종래에는 밋숀축과 프로페라축이 직렬되어 동일회전을 하므로 관성탄력으로 진행을 하려해도 엔진브레이크가 작동되므로써 주행할 수 없이 이에 따르는 엔진의 마모와 연료의 낭비를 면치 못하였다.
이와 반면에 엔진의 마모와 연료절약을 염려한 나머지 관성탄력을 이용하려면 부득이 변속기어를 무단으로 하거나 또는 자동차의 후리맛숀 장치를 하여 진행을 하여야 하므로 불의의 위급 상항이 발생하였을 경우에는 엔진브레이크를 사용할 수 없어 정상브레이크만 사용하게 되므로 급정지가 불가능하여 사고의 원인이 되었던 것이다.
고안은 이러한 문제점을 시정하기 위해 고안된 것으로서 자동차 주행의 관성탄력을 이용하여 엔진마모와 연료절약을 하고 급정차시에는 보통 자동차와 같이 엔진브레이크도 완전하여 후진운행 역시 능함으로 한시라도 안전 운행할 수 있도록 안출한 것이다.
본 고안의 내용을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그 구조를 상술하면 다음과 같다.
자동차에 장착된 밋숀연결축(1)의 후부에는 치차(2), 또 중간에는 클러치원반(3)을 단일체로 구성하여서 된 성형치차(2) 부분을 프로페라축(4)이 삽입 연결된 테스크통형(5) 내 축수부(19′)에 삽입하되, 성형치차(2)의 횡축을 축수부(19′) 내공에 삽입 회전케하고 데스크통형(5)내면 사이에는 로울러 베아링(6)을 유치(留置)시키는 한편 데스크통형(5)의 좌측면에 단일체로 형성된 원반의 양면에는 라이닝(7)(7′)을 리벳팅으로 고정하여서 된 것을 클러치원반(3)과 삼바리클러치판(8) 사이에 장치하고 스프링(9)은 삼바리 케스 내면과 삼바리크러치판(8) 사이에 삽입한다.
당김스프링(15)은 크러치록(11)이 조정보울트(21)에 꼭 닿도록 설치한다.
브레이크 페달(14), 후진용레버(14)는 운전대앞에 장치하고 크러치록(11)사이에 테이퍼베아링(20)은 프로페라샤후트에 삽입하여서 된 구조로서 미설명부호 12는 후리크러치 장치케이스, 17은 후부 프로페라축, 18은 변속레버, 19,11″는 볼 베아링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효과를 상술하면 다음과 같다.
주행중 정차시에는 크러치록(11)과 케이블선으로 연결된 브레이크페달(13)만 밟으면 스프링(15)이 늘어나면서 크러치록(11)이 우측으로 이동하여 테이퍼베아링(20)과 크러치록(11) 사이에 간격이 생기는 만큼 테이퍼베아링(20)이 우측으로 이동하는 동시 다수의 스프링(9)의 힘으로 크러치원반(3)과 라이닝(7)(7′) 및 삼바리 크러치원반(8)이 밀착되면 밋숀 연결축(1)과 프로페라축(4)이 동일회전함으로써 보통자동차와 같이 엔진브레이크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엔진의 동력에 의한 주행중에 있어서 크러치록(11)을 조정 보울트(21)로써 약간의 간격의 여유를 두어좌우 이동할 수 있게하여 스프링(15)으로 항시 좌쪽으로 당기므로써 크러치원반(3)과 라이닝(7)(7′) 및 삼바리 크러치원반(8)이 이탈되므로 밋숀연결축(1)과 프로페라축(4)가 분리회전하는 것으로서, 성형치차와 후리용 로울러베아링(2)이 상호결합되어 일방향으로는 고정회전하고, 반대방향으로는 공회전하게 되어 후리작용을 하는 것이다.
이상의 원리로서 자동차가 충분한 관성탈력으로 운행시에는 밋숀축(6)과 프로페라축(1)이 분리되므로써 엔진브레이크에 의하여 관성탄력의 속도가 감소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또한 속도를 요할시에는 필요한 만큼 악세레터룰 밟으므로써 엔진의 동력을 프로페라축으로 전달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장치를 하지 않은 종래의 자동차와 같이 운행을 하고저 할 때나 또는 후진을 요할시에는 후진용레버(14)를 작동하여 스프링(15)이 우쪽으로 이동하면서 크러치원반(3)과 라인닝(7)(7′) 및 삼바리크러치 원반(8)이 스프링(9)힘으로 밀착되어 밋숀 연결축(1)과 프로페라축(4)이 동일회전하므로 전진 후진할 수 있으며 또 관성탄력으로 주행중 급 브레이크를 요할시 브레이크페달(13)만 밟으면 후진용레버를 조작한 것이나 같은 결과를 얻을 수 있는 것으로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간단한 장치로 자동차의 관성탄력을 이용하는 동시에 엔진브레이크의 효력을 전진 후진시 안전하게 활용할 수 있어 본 고안의 장치를 설치하므로써 연료절약은 물론 운행중에 있어서 엔진의 회전수를 관성탄력이 가능할 때에는 줄일 수 있어 엔진 사용수명을 연장할 수 있고 연료를 절약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도면에 표시한바와 같이 후리용 로울러베아링(6)을 유치되게하는 통상의 것에 있어 밋숀축(1)의 크러치원반(3)과 그 우측에 성형치차(2)를 형성하여 데스크통형(5)내에 삽입하고 테스크(5) 좌측부에 형성된 후렌지의 양면에다 라이닝(7)(7′)을 고정하여 크러치원반(3)과 삼바리 크러치판(8) 사이에 장치하여서 된 자동차 관성탄력을 이용한 후리크러치 장치.
KR7904633U 1979-08-06 1979-08-06 자동차 관성탄력을 이용한 후리크러치 장치 KR81000181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904633U KR810001810Y1 (ko) 1979-08-06 1979-08-06 자동차 관성탄력을 이용한 후리크러치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904633U KR810001810Y1 (ko) 1979-08-06 1979-08-06 자동차 관성탄력을 이용한 후리크러치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10001810Y1 true KR810001810Y1 (ko) 1981-10-27

Family

ID=192140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7904633U KR810001810Y1 (ko) 1979-08-06 1979-08-06 자동차 관성탄력을 이용한 후리크러치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10001810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FR2523046B1 (fr) Dispositif de commande pour un embrayage de vehicule automobile
KR810001810Y1 (ko) 자동차 관성탄력을 이용한 후리크러치 장치
US4370896A (en) Reversing device for a gear transmission
JPS5718819A (en) Clutch disengaging device for vehicle
US4151902A (en) Parking brake mechanism for motor vehicle equipped with power transmission with torque converter
KR960004727B1 (ko) 자동차의 역진 방지 장치
US1863556A (en) Self-engaging reverse motion brake
US1496740A (en) Automatic brake for power-transmission systems
US1799077A (en) Clutch device for automobiles
KR900002910Y1 (ko) 자동차의 역진제어장치
KR850001583Y1 (ko) 자동차 역진 방지장치
GB664671A (en)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braking devices for motor vehicles
JPH0434102Y2 (ko)
KR870002446Y1 (ko) 차량변속기의 역회전방지장치
JPS6333012Y2 (ko)
KR960008339B1 (ko) 자동차의 자동 보조 브레이크 장치
JPS6141654Y2 (ko)
US1944220A (en) Freewheeling transmission mechanism
JPS6218504Y2 (ko)
US1859704A (en) Nonreturn device
KR960000632B1 (ko) 자동차의 역진방지 장치
KR820001597Y1 (ko) 자동차의 차동장치(差動裝置)
KR960012040B1 (ko) 자동차의 역진방지방법
KR860001319Y1 (ko) 자동차 역진 방지장치
KR970010127B1 (ko) 자동차용 수동 변속기의 후진 변속시 기어 울림 방지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