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10001788B1 - 인쇄장치(印刷裝置) - Google Patents

인쇄장치(印刷裝置)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10001788B1
KR810001788B1 KR7701687A KR770001687A KR810001788B1 KR 810001788 B1 KR810001788 B1 KR 810001788B1 KR 7701687 A KR7701687 A KR 7701687A KR 770001687 A KR770001687 A KR 770001687A KR 810001788 B1 KR810001788 B1 KR 8100017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ar
wheel
type
printing
type whe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77016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히도시 미꼬시바
지가오 데쯔가
Original Assignee
나까무라 쏘네야
신슈세이끼 가부시기가이샤
니시무라 도메오
가부시기가이샤 스와세이고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나까무라 쏘네야, 신슈세이끼 가부시기가이샤, 니시무라 도메오, 가부시기가이샤 스와세이고샤 filed Critical 나까무라 쏘네야
Priority to KR77016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81000178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100017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100017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7/00Type-selecting or type-actuating mechanisms

Landscapes

  • Common Mechanism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인쇄장치(印刷裝置)
제1도는 종래의 소형 프린터의 실시예의 사시도.
제2도는 종래의 소형 프린터의 일실시예의 타이밍챠트.
제3도는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의 사시도.
제4도, 제5도, 제6도는 제2도에 있어서의 제1구동치차, 제2종동치차의 움직임을 도시한 작동도.
제7도는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의 타이밍 챠트.
본 발명은 활자 선택형의 소형 프린터에 관한 것으로 활자를 구동선택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인쇄속도가 빠른 소형 프린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활자를 선택하는 시간에 여유를 가짐으로써 신뢰성이 높은 소형 프리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필요에너지가 적은 소형 프린터를 제공함에 있다.
종래의 소형프린터의 실시예를 제1도를 참조하여서 설명한다. (2)는 구동치차(1)과 교합되고 활자륜 축(3)에 회전을 전하는 종동치차이고, (4)는 외주에 활자(12)를 가지고 활자륜 축(3)에 복수개로 축승(軸承)되어 있는 활자륜이며, (5)는 용수철로서 일단을 활자륜 축(3)에 고착된 프래이트(6)에 걸고, 타단은 활자륜(4)에 설치한 핀(14)에 계지되어 있다. (7)은 활자륜(4)에 설치한 치차(13)에 계합하고, 활자(12)를 인쇄 위치에 계지하는 선택포올(Pawl)(爪)이고 (8)은 어떠한 타이밍을 가지고 선택포올(7)을 작동시키는 전자석이고, (10)은 인쇄지(9)를 끼우고 활자(12)을 압압하면서 인쇄하는 해머이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된 장치의 동작을 다음에 설명한다.
구동치차(1)가, 모오터에 의하여 화살표의 방향으로 회전하면 종동치차(2)는 화살표 b방향으로 회전된다. 이 움직임은 종동 치차(2)에 고착된 활자륜 축(3)과, 활자륜축(3)에 고착된 프레이트(6)도 화살표 b방향으로 회전된다. 또, 활자륜(4)도 용수철(5)에 의하여 활자륜축(3)의 움직임에 연동되어서 회전한다.
인쇄하려고 하는 문자가, 햄머(10)의 대향 위치에 왔을때, 전자석(8)에 통전되고, 선택포올(7)와 계합되어 있는 흡인판(81)이 화살표 c방향으로 움직이도록 하고, 선택포올(7)과의 계합을 풀면, 선택포올(7)는 스프링(11)의 작용에 의하여 화살표 d의 방향으로 회전하고, 활자륜(4)에 설치한 치차(13)에 낙하되어서, 활자륜(4)를 정지시키고, 인쇄하려고 하는 문자가 햄머(10)의 대향 위치에 오게 된다. 또, 활자륜(4)이 계지되더라도 활자륜 측(3)은, 회전을 계속하고, 용수철(5)를 말려들게 한다. 이와같은 동작이 각 단마다 시행되는 것이고, 활자륜축(3)이 약 1회전하면 선택행정은 종료한다. 이후 햄머(10)가 인쇄지(9)를 개재해서 선택된 활자를 압압하여서, 인쇄되는 것이다. 또, 이 인쇄를 하고 있을 때도, 활자륜축(3)은 회전하고 있다. 이 인쇄행정이 종료된 후 활자륜(4)를 원래의 위치에 도로 보내는 리세트행정이 행해진다. 이 리세트행정은, 중동치차(2)를 다시 b방향으로 약 1회전 시킨다. 이 동안에, 도시하지 않은 방법에 의하여 선택포올(7)을 화살표 e방향으로 회전시키고, 또 다시 흡입판(81)에 의하여 계지하는 상태로 한다. 활자륜(4)을 치차(13)와 선택포올(7)과의 계합이 빠져나가기 때문에, 용수철(5)의 복원력에 의하여 활자륜(4)에 설치한 핀(15)에 프레이트(6)에 당접하여서 1차 정지될 때까지 회전하고, 원래 위치로 도로와서, 리세트가 종료되고, 이것에 의하여 1인쇄 사이클이 완료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구조에 있어서는, 선택행정, 리세트 행정이 각각 중동치차(2)를 약 1회전씩 시행하는 것이며, 그 타이밍 차-트는, 제2도에 나타난 것처럼 되고, 리세트 행정에 소비되는 시간 t₂는 선택행정에 소비되는 시간 t₁과 동등하게 되며 1인쇄 사이클타임이 대단히 길게 되는 것이다. 또 인쇄 사이클타임을 짧게하기 위해서는, 필연적으로 선택행정, 리세트행정에 소비하는 시간을 짧게 잡지 않으면 안되지만, 이렇게 하면, 1포지숀을 선택하는 데에 허용되는 시간 t₃이 짧게 되고 이것은 전자석(8)에 통전되어서 선택포올(7)이 활자륜(4)를 정지시키기 까지의 시간을 제한 하게되고, 틀린동작으로 연결되는 것으로서, 신뢰성이 낮아지는 것이었다. 또, t₃의 시간내에 이 동작을 정확히 종료시키기 위해서는, 전자석(8)을 파워 업(power up)할 필요가 있었다. 이것은 결국 대형화로 되며, 또 필요에너지가 증대되는 것이다.
또, 제2의 타이밍 펄스(timing pulse)는 활자륜(3)의 움직임과 동시에 발생되고 활자의 위치를 나타내는 신호이다. 또 이구조에서는, 인쇄중, 즉 햄머(10)가 활자륜축을 압압하고 있는 상태에서도 종동치차(2), 및 활자륜축(3)은 회전되고 있기 때문에, 활자륜(4)과 활자륜축(3)과의 접등부의 마찰부하는 대다히 커지며 필요에너지가 증대되는 것이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결점을 제거한 것으로 그 구체적인 예를 제3도, 제4도, 제5도, 제6도, 제7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3도는, 소형 프린터의 활자륜의 구동, 선택하는 장치를 도시한 것이다. (31)은 외주에 치부(齒部)(311)의 치차가 없는 부분(312)와 원호상(圓弧狀)돌출부(313),(314)를 설치한 제1구동치차이다. (32)는 제1구동치차(31)와 고착 혹은 일체로 형성되고, 동일한 움직임을 하며, 외주에 치부(321)와 치차가 없는부분(322)과 원호상 돌출부(323),(324)를 설치한 제2구동치차이고, 제1구동치차(31)의 치부직경(齒部直徑)과 제2구동치차(32)의 치부직경은 상이하다. (33)은 제1구동치차(31)의 원호상 돌출부(313),(314)에 대응하는 치차를 절결시켜 놓고(도면중 331), 제1구동치차(31)와 교합되는 제1종동치차이다. (34)는 제1종동치차(33)와 고착 혹은 일체로 형성되고, 동일한 움직임을 하며, 제2구동치차(32)의 원호상 돌출부(323),(324)에 대응하는 치차를 절결하고(도면중 341), 제2구동치차(32)와 교합되는 제2종동치차이다. 또 이 도면에서는, 알기 쉽게 하기 위하여 제1구동치차(31)와 제2구동치차(32) 및 제1종동치차(33)와 제2종동치차(34)는 따로떼어서 도시하고 있다. 또 제1구동치차(31)와 종동치차(33) 및 제2구동치차(32)와 제2종동치차(34)는 실제 교합하는 것이지만, 편리상 멀리 떼어서 도시하였다. (35)는 제1 및 제2종동치차(33)과 (34)를 고착시키고, 외주에홈부(구部)를 가진 활자륜측, (36)은 활자륜축(35)에 복수개 축승되고 외주에 활자(361)를 가진 활자륜, (37)은 활자륜축(35)의 홈부와 계합되도록 스프링성을 가지고 활자륜축(36)에 설치한 포올부재, (38)은 포올부재(37)와 활자륜축(35)의 홈부를 계합 이탈하기 위한 트리거래버(triggerlever), (39)는 트리거래버(38)를 선택적으로 구동하기 위한 전자석, (40)은 인쇄지(41)를 개재하여 활자륜(36)과 대향해서 인쇄를 시행하는 햄머이다. 이러한 구성으로 된 장치의 동작을 제4도, 제5도, 제6도를 병용하여서 설명한다. 제4도는 제1, 제2구동치차(31),(32)와 제1, 제2종동치차(33),(34)의 대기 상태이고, 즉 프린터 자체의 대기 상태이기도 하다. 이 상태는 제1구동치차(31)의 원호상돌출부(314)가 제1종동치차(33)의 치차를 절결한 부분(331)에 있고 또 제2구동치차(32)의 원호상 돌출부(324)가 제2종동치차(34)의 치차를 절결한 부분(341)에 있고 제1, 제2종동치차(33),(34)는 움직일 수 없는 상태, 즉 정지(錠止)된 상태에 있다. 모오터등의 구동원이 가동하면 이것에 연결되어 있는 제1, 제2구동치차(31),(32)는 화살표 n의 방향으로 회전한다. 그러면, 제2구동치차(32)는 제2종동치차(34)의 정지를 풀고, 또 그후는 치차가 없는 부분(332)에 의하여 제2종동치차(34)와의 계합은 전연 없어진다. 한편 제1구동치차(31)은 제1종동치차(33)의 정지를 풀면서 치차(315)가 제1종동치차(33)의 치차(332)와 교합하기 시작하고, 이후 제1종동치차(33)를 f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 회전은 제5도에 보인 상태까지 계속되고, 즉 제1종동치차(33)은 1회전하고 이 동안이 선택공정이다. 활자륜의 선택의 동작은 다음에 설명한다.
상술한 바와같은 제1종동치차(33)가 회전하기 시작하면 이것에 고착된 활자륜축(35)도 회전하기 시작한다. 이때, 활자륜축(35)은 회전하여도 활자륜(36)은 회전하지 않는다. 이것은 활자륜(36)에 설치된 포올부재(37)가 트리거래버(38)에 의하여 계지되고, 또 활자륜(4)의 측벽에 설치된 돌기(362)에 의치 결정부재(44)가 스프링력을 가지고 계합되어 있으므로 활자륜(36)을 화살표 g방향으로 회전시키고 있고, 이것에 의하여 포올 부재(37)는 (371)을 중심으로 화살표 n방향으로 회전하고 활자륜(36)에 설치된 핀(363)에 당접해서 정지되어 있고, 따라서 포올 부재(37)의 포올(372)와 활자륜축(35)의 홈부가 계합하지 않으므로 활자륜(36)은 회전하지 않는다. 여기서 인쇄하고 싶은 활자를 인쇄위치에 정열시키기 위하여서는, 인쇄하고저 하는 활자에 대응하는 활자륜축(35)의 홈부가 포올부재(37)의 포올부(372)와 대향하는 위치에 왔을 때 전자석(39)에 통전된다. 그러면 흡인판(42)에 i방향으로 움직이고 트리거래버(38)와의 계합을 풀고, 트리거래버(38)는 스프링(43)의 작용에 의하여 화살표 k방향으로 움직이고 포올부재(37)와의 계합이 빠진다. 포올부재(37)는 탄성부(373)에 의해 항상 화살표 1방향으로 회전하려고 하고 있기 때문에, 트리거래버(38)와의 계합이 빠지면, 화살표 1방향으로 회전하고, 활자륜축(35)의 홈부와 계합되고, 회전을 시작하는 포올부재(37)는 활자륜(36)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활자륜(36)은 포올부재(37)가 회전하면 활자륜축(35)와 함께 회전하기 시작하는 것이다. 각 단위는 동일한 동작을 하고 치차열이 제5도와 같은 상태까지 오면, 이미 인쇄하고저 하는 활자는 각 단의 일직선상으로 정열되고, 인쇄 위치에 오는 것이다. 이상이 선택공정이다.
다음은 인쇄공정이다. 제5도에 있어서 제1구동치차(31)는 제1종동치차(33)를 1회전 구동하고 나면, 원호상 돌출부(313)이 제1종 동치차(33)의 치차를 절결한 부분(331)에 삽입되고 제1종동치차(33)를 정지시킨다. 또, 이때 제2구동치차(32)의 원호상 돌출부(323)도 제2종동치차(34)의 치차를 절결한 부분(341)에 삽입되고 위와 마찬가지로 제2종동치차(34)를 정지시킨다. 이 상태에서는 제1, 제2구동치차(31),(32)가 n방향으로 회전하여도 제1, 제 2종동치차(33),(34)는 회전하지 않는다. 따라서 활자륜축(35)도 회전하지 않고 이 사이에 햄머(40)가 인쇄지를 끼우고 선택된 활자를 압압하여서 인쇄하는 것이다.
최후로 활자륜의 리세트 행정을 설명한다. 제6도는 인쇄행정이 끝나고 또다시 활자륜축(35)을 회전하려고 하는 상태이다. 제1구동치차(31)가 화살표 n방향으로 회전하면, 원호상돌출부(313)가 제1종동치차(33)의 정지를 풀고, 또 회전하면 치차가 없는 부분(312)에 의하여 제1종동치차(33)와의 계합은 전연 없어진다. 한편 제2구동치차(32)는 제2종동치차(34)의 정지를 풀면서 치차(325)가 제2종동치차(34)의 치차(342)와 교합을 시작하고, 이후 제2종동치차(34)를 f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 회전은 제4도에 나타낸 상태까지 계속되고, 제2동치종차(34)는 일회전하고 이동안이 리세트 행정이고, 활자륜의 리세트를 다음에 설명한다.
선택공정에 있어서 트리거래버(38)가 k방향으로 회전되어 있는 것을, 도시하지 않은 방법에 있어서 m방향으로 도로보내서 또다시 흡인판(42)에 의하여 정지(停止)된다. 이 상태에서 활자 륜축(35)이 1회 전하며 각 단의 활자륜(36)에 설치한 포올부재(37)가 트리거래버(38)에 충돌한다. 그러면 포올부재(37)는 활자륜 축(35)의 홈부와의 계합이 빠져나올 때까지 화살표 h방향으로 회전하고, 최후에는 위치를 정하는 부재(44)에 의하여 활자륜(36)을 화살표 g방향으로 회전하고, 이것에 의하여 포올부재(37)이 h방향으로 회전하고 활자륜(36)의 핀(363)에 닿아서 정지되고, 활자륜(36)은 이 위치에서 안정되어서 활자륜(36)의 리세트가 종료된다.
이상으로 1인쇄 사이클이 끝나는데, 본 구조에 있어서는 선택공정에 있어서의 활자륜축(35)의 회전은 제1구동치차(31)와 제1종동치차(33)와의 교합에 의하여서 되고, 리세트 행정에 있어서는 제2구동치차(32)와 제2종동치차(34)와의 교합에 의하여서 되는 것이지만, 이 두개의 상태는 치차비가 변경되어 있고, 제7도에 표시한 본 구조에 의한 타임 챠-트에 도시한 것처럼, 리세트공정에 소비되는 시간 t5는 선택행정에 소비되는 시간 t₄에 비교하여 짧게 잡을 수 있다.
본 구조에 의하면 리세트 공정을 짧게하는 몫만큼 인쇄사이클타임을 짧게 할 수 있고, 인쇄스피드를 빨리 할 수 있다. 또 선택 공정의 시간을 길게함이 가능하기 때문에, 한 포지숀을 선택하는데 허용되는 시간 t6은 길게 되는 것이 가능하고 이것은 전자석(39)에 통전한 후 포올부재(37)가 활자륜축(35)의 홈부에 계합될때까지의 시간에 여유를 가질 수 있고, 이 동작을 신뢰성이 높아지도록 되는 것이다. 또 전자석도 소형화되는 것이다.
또, 제7도의 타이밍펄스는 활자륜축(35)의 움직임에 때를 같이해서 나오고 전자석(39)에 통전되는 타이밍을 나타내는 신호이다. 또 본 구조에서는 인쇄중 즉 햄머(40)가 활자륜(36)을 압압하고 있는 상태에서는, 활자륜축(35)은 회전하지 않기 때문에 구동에 필요한 에너지는 대단히 적게 든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인쇄 속도가 빠르고 신뢰성이 높고, 또한 필요에너지가 적게드는 소형 프린터를 제공할 수 있고 그 효과는 대단히 크다.

Claims (1)

  1. 복수개의 활자륜을 축승(軸承)하여 일방향회전을 하는 활자 륜축을 가진 활자륜 선택형의 인쇄장치에 있어서, 선택행정과 리세트 행정에 있어서의 전기 활자륜축의 회전속도를 변경시킨 것을 특징으로하는 인쇄장치.
KR7701687A 1977-07-22 1977-07-22 인쇄장치(印刷裝置) KR8100017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701687A KR810001788B1 (ko) 1977-07-22 1977-07-22 인쇄장치(印刷裝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701687A KR810001788B1 (ko) 1977-07-22 1977-07-22 인쇄장치(印刷裝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10001788B1 true KR810001788B1 (ko) 1981-11-14

Family

ID=192046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7701687A KR810001788B1 (ko) 1977-07-22 1977-07-22 인쇄장치(印刷裝置)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10001788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S6021869B2 (ja) 紙送り機構
KR810001788B1 (ko) 인쇄장치(印刷裝置)
JPS5839676B2 (ja) 印刷装置
US4244290A (en) Miniature printer
US3218966A (en) Apparatus for decoding and printing digital data
JPS60139950A (ja) 動力伝達装置
US3275110A (en) Latch operated clutch with dual pawls
GB2095181A (en) Character selection in type wheel printer
US3858035A (en) Position selecting device
US2294687A (en) Telegraph printer
JP2558827B2 (ja) マイクロプリンタ
JPH0111473Y2 (ko)
JPS582603Y2 (ja) 検出機構
JP2568848Y2 (ja) 紙送り制御機構
GB2146585A (en) Printing device
JPH0311910B2 (ko)
JPH0445893Y2 (ko)
JPS5836547Y2 (ja) 印字装置
JPS5831782A (ja) 小型プリンタ
JPH0322310B2 (ko)
JPS5816868Y2 (ja) 活字車送り機構に於ける送り飛び防止装置
JPS644917B2 (ko)
JPH0558901B2 (ko)
GB1570353A (en) Device for the storage of power and its controllable slow rate release
JPH034529Y2 (k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