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10001771B1 - 베니어 선반 - Google Patents

베니어 선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10001771B1
KR810001771B1 KR1019810003098A KR810003098A KR810001771B1 KR 810001771 B1 KR810001771 B1 KR 810001771B1 KR 1019810003098 A KR1019810003098 A KR 1019810003098A KR 810003098 A KR810003098 A KR 810003098A KR 810001771 B1 KR810001771 B1 KR 8100017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od
cutting
roller
veneer
dr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100030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가쓰지 하세가와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 가이샤 메이낭 세이사꾸쇼
가쓰지 하세가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7800112A external-priority patent/KR810001770B1/ko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 가이샤 메이낭 세이사꾸쇼, 가쓰지 하세가와 filed Critical 가부시끼 가이샤 메이낭 세이사꾸쇼
Priority to KR10198100030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81000177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100017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100017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LREMOVING BARK OR VESTIGES OF BRANCHES; SPLITTING WOOD; MANUFACTURE OF VENEER, WOODEN STICKS, WOOD SHAVINGS, WOOD FIBRES OR WOOD POWDER
    • B27L5/00Manufacture of veneer ; Preparatory processing therefor
    • B27L5/02Cutting strips from a rotating trunk or piece; Veneer lath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Manufacture Of Wood Venee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베니어 선반
제1도는 본 발명에 의한 베니어 선반의 주요 구조를 나타내는 개략도
제2a도 내지 제2b도는 본 발명을 실시하는 구동 시스템의 각종 실시예의 개략도.
제3도는 제2a도 내지 제2d도의 각 구성에 포함된 주요부의 측면도.
제4도는 제2a도 내지 제2d도의 각 실시예에 포함된 원목 구동 수단에 적용한 마찰 클러치의 단면도.
제5도는 제2a도 내지 제2d도의 각 구성에 포함된 구동 로울러에 구비시킨 오우버 런닝 클러치의 단면도.
제6도는 구동 로울러의 일례의 정면도.
제7도는 구동 로울러의 다른 예의 측면도.
제8도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의 부분 측면도.
제9도는 제8도에 대한 정면도.
제10도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의 부분 측면도.
제11도는 제10도에 대한 정면도.
제12도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의 부분 측면도.
제13도는 본 발명의 또 하나의 실시예의 부분 측면도.
본 발명은 베니어 선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히는 비교적 저질인 원목으로부터 사용 가능한 베니어판을 잘라낼 수 있는 개량된 베니어 선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베니어 선반은 나이프와 로울러 바아로 대치할 수 있는 고정 바아로 구성된 커팅부를 포함하고 있다.
커팅 파워는 원목을 보유하는 척(chuck)을 거쳐서 커팅부에 전달하고 있다. 이와같은 베니어 선반의 일례가 미국특허 제1,641,452호에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공지형의 베니어 선반은 다음과 같은 결점을 갖고 있다. 즉,
첫째로, 경질의 원목, 심이 연한 원목 및 갈라진 원목의 경우에는 사용에 적합치 못하고, 만약 사용하면 커팅 파워의 공급의 중단을 야기하고 그에 따라 척이 헛돌거나 원목이 파쇄되거나 하여 커팅작업에 큰 차질을 가져온다. 그것은 커팅 파워 공급이 원목의 중심에서 커팅 표면에 걸친 큰 커팅 저항에 대해 발생하기 때문이다.
둘째로 커팅 파워가 심부에서 공급될 때는 원목의 커팅에 의하여 생겨 나오는 조각 및 칩(chip)등이 나이프의 커팅 단부 근방에 끼이기 쉽게 된다. 이와 같은 난점은 원목에 분할부가 있다든가 썩은 개소가 있는 경우에 흔히 야기되는 것이다. 상술한 결점은 베니어 선반의 작업능률을 저하시키게 되고, 따라서, 생산율이 감소되는 결과가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제품에 대한 불가피한 영향을 감안하여 종전에는 원목을 합판 제조에 적합한 것과 부적합한 것의 두가지 종류를 선별 분급하여야만 하였다.
그러나, 최근 원목 공급의 부족이 심각하여 저질의 원목의 사용이 절실히 요망되게 되었다. 따라서, 합판 제조에 있어 원목을 베니어 판으로 잘라내는 베니어 선반 및 슬라이서(slicer)등의 커팅장치가 차지하는 비중이 자못 커졌다. 이것은, 커팅 작업의 후공정의 흐름과 제품의 품질은 주로 원목을 적합, 부적합으로 선정함에 좌우되기 때문에 베니어 선반이나 기타의 커팅장치의 구조가 생산율에 크게 영향을 주게 된다. 미국특허 제1,641,452호에 기재된 베니어 선반은 로울러 바아가 오우버 런닝(over running)클러치를 개재하여 구동원에 작동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것이 특징으로 되어 있으나, 본 발명에 있어 후술하는 바와 같이 구동력을 원목의 외주에 적용하는 식의 것이 아니기 때문에 이 선반으로는 종전 기술의 문제점은 여전히 해소되지 않고 남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경질의 원목은 물론 종전의 베니어 선반으로는 커팅이 어려웠던 심이 연한 원목에도 사용이 가능하고 장래에 예상되는 각종 목재에 까지도 사용이 가능케 될 베니어 선반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베니어 선반은 원목을, 그 축심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케 지지하는 수단과, 단부를 실질적으로 접점 부근에 위치시켜 원목에 대하여 접선 방향으로 커팅하는 나이프와, 상기 나이프의 단부보다 약간 앞의 위치에 자리하고 그 외주가 원목의 외주에 대향하여 위치하는 구동 로울러와, 상기 구동 로울러의 외주에 소정 간격으로 위치하여 상기 나이프의 단부에 약간 앞서 원목을 잘라지게 하는 다수개의 커팅 에지(cutting edge)와 상기 나이프와 구동 로울러를 원목을 향하여 원목의 회전에 상관하여 충실하게 이송하는 수단으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그 실시예를 나타내는 첨부 도면에 의거 상술하겠다.
먼저, 제1도에 있어, 1은 베니어판을 잘라낼 원목으로 그 축심을 중심으로 회전이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나이프 2는 상기 원목 1에 대하여 접선 방향으로, 즉, 그 단부가 실질적으로 접점에 위치하게 배치되어 있다. 구동 로울러 3은 상기 나이프 2의 단부보다 약간 앞위치에 그 외주가 원목의 외주와 대향되게 설치되어 있는데, 이 구동 로울러 3의 외주에는 소정의 간격을 두고 다수개의 커팅에지 4가 구비되어 이들이 상기 나이프에 의하여 잘려질려는 원목 외주에 당접하여 부분적으로 잘라지게 된다.
27은 상기 나이프 2와 구동 로울러 3을 원목의 회전에 상관하여 충실하게 이송시키는 이송 수단이다.
상기 구성의구동 시스템의 제1실시예를 제2a도에 도시한다.
도면에 나타낸 바와같이, 구동 로울러 3은 구동기구 12와 전동기 13에 의하여 구동되며, 나이프 2의 단부보다 약간 앞선 위치에서 원목에 힘을 가하게 된다. 한편, 원목 1은 구동 기구 9와 전동기 10에 의하여 구동된다. 이리하여, 나이프 2와 구동 로울러 3은 커팅 작업의 개시로 원목 1이 회전되고 있는 동안에 원목에 접근하게 되므로 구동 로울러 3은 원목을 원활하게 구동하게 된다. 이때, 원목을 회전시키는 구동기구 9의 토오크는 사전에 원목의 커팅에 필요한 토오크보다 작게 설정되어 있으므로 구동 로울러에 의하여 구동되는 원목은 로울러의 원주 속도에서 베니어판 7로 잘라지게 된다. 환언하자면, 전동기 10에서 척을 거쳐 원목에 전달되는 토오크는 전동기 13에 의하여 부여되는 토오크보다 작기 때문에 원목의 파손이 방지된다.
그리고, 구동기구 9로부터 부여되는 토오크는 구동 로울러에 의한 원목의 회전이 개시된 후에도 계속 부여될 때 커팅 목적에 유용하다. 원목의 직경은 커팅 작업의 진행에 따라 변화하기 때문에 원목의 회전과 상관되어 작동하는 이송장치 27은 전동기 10의 회전에 동기적으로 나이프 2와 구동 로울러 3을 이송시키는 것이다.
제2b도에 도시한 구동 시스템의 제2실시예에 있어서는, 전동기 10이 토오크를 조정하지 않고 아이들기구(idle mechanism) 11을 포함시킨 점이 상기 제2a도의 실시예와 다르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제4도에 도시한 마찰 클러치 33을 원목 1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부분에 마련함으로써 전동기 10의 전달 토오크를 조정하여 원목 1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고 있는 것이다. 제4도의 마찰 클러치 33는 체인에 의하여 전동기 10에 연결된 스프로킷 34와, 이 스프로킷 34축의 양 대향단부에 축방향으로 지지되며, 고유 마찰 계수를 갖는 1조의 마찰판 35와, 이 마찰판에 인접되어 마찰판을 축방향으로 압압하여 상기 스프로킷 34와 계합시키는 압압판 36과, 이 압압판 36을 조정 너트 38과 탄성적으로 계합시키는 판스프링 37로 구성되어 있다. 이 마찰 클러치에는 회전축 40에 고착되어 있는 회전부재 39가 포함되는데 이 회전부재 39상에 상기 조정너트 38이 나합된다. 이와같은 구성에 의하여 전동기 10으로부터의 파워가 마찰력의 도움을 얻어 회전축 40으로 전달되는데, 이 마찰력은 마찰판 35의 계수와 판스프링 37의 탄성력에 의하여 결정되고, 이로써 상기 회전축 40의 신장부에 위치한 척으로 하여금 원목 1을 회전시키게 한다. 그러나, 상기 스프로킷 34에 전달되는 토오크가 상기한 바에서 설정되는 마찰력을 초과하여 증대되면 마찰판 35가 스프로킷상에서 슬립함으로써 전동기 10으로부터 원목 1에 이르는 토오크의 전달로를 차단하게 된다. 그러므로, 상기 너트 38에 의하여 전달 토오크를 적절한 값으로 조정해 주는 것이다.
제2c도에 도시된 구동 시스템의 제3실시예는 상기한 제2b도의 실시예의 기구에 오우버 런닝기구 14를 포함시킨 것으로, 이 오우버 런닝기구 14는 제5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구동 로울러 3의 내부에 위치하고 전동기 13으로 부여되는 파워원과 구동이 연결되는 오우버 런닝 클러치 14'로 구성된다. 이 오우버 런닝 클러치 14'는 전동기 13과 연결된 축부 14'-a에 견고히 일체로 설치된 내부 원통상 부재 14'-b와, 구동 로울러 3의 내주벽에 일체로 장착된 외부 원통상 부재 14'-c와 상기 내부링 14'-b와 외부링 14'-c 사이에 도시한 상태로 개재하는 다수개의 캠14'-d로 이루어져 있다. 이와같은 오우버 런닝기구의 커팅작업이 이루어지지 않는 상태에 있어 전동기 10에 의하여 구동되는 원목의 주속도가 구동 로울러3의 주속도보다 크게될 경우를 감당하게 된다. 즉, 원목 1의 주속도가 커팅 조건하의 구동 로울러의 주속도보다 크게 되면 원목을 커팅하는 커팅 에지 4가 구동 로울러 3과, 거기에 장착된 외부링 14'-c를 축부 14'-a와 내부링 14'-b보다도 빠른 속도로 화살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그러면, 다수개의 캠 14'-d가 그들의 제1위치에서 제2위치로 바뀜으로써 클러치의 내부링과 외부링과의 연동이 차단되고, 따라서 구동 로울러 3이 전동기 10으로부터의 파워의 공급에 무관하게 아이들링하게 된다. 이와같은 아이들 기구 11, 즉 마찰 클러치 33에 의하여 회전 원목의 주속도가 계속 저감되어 구동 로울러 3의 주속도이하로 떨어지면 캠 14'-d가 다시 그들의 제1위치에 복원하여 전동기 13으로부터의 구동력을 구동 로울러 3에 전달하게 된다.
이와같은 오우버 런닝 기구를 비치하는 이유는 커팅개시 때문에 원목 1과 구동 로울러 3의 주속도를 정확히 동일하게 설정하기가 어렵고, 또한 마찰 클러치나 기타의 아이들 기구가 토오크 전달의 차단후에 원목 1 및 기타 기구의 관성력을 상쇄 못하는 경향이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오우버 런닝 클러치 14'를 특히, 구동 로울러 3의 내부에 비치하는 것은 구동 로울러 3이 커팅 작업 개시때의 원목과 구동 로울러 3의 주속도의 차이에서 야기될 마찰을 방지하며, 원목을 원활하게 가속시킬 수가 있어 유익하다. 그리고, 오우버 런닝기구 14를 구동 로울러 3을 구동하는 기구 12에 연결하는 것은 원목의 커팅이 구동 로울러 3의 주속도보다 빠른 주속도로 시작되기 때문에 원목의 운동 에너지가 커팅 개시때에 구동 로울러에서 공급되는 구동력이 불충분할 때 이를 보상해줌으로써 커팅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하는 장점이 있다. 이와 같은 관성력을 이용한 파워의 공급에 의하면 원목이 파손될 우려가 전혀 없다. 그런데, 이 경우에 있어 오우버 런닝 클러치가 도면과 같이 커팅 에지 4에 가급접 인접된 위치에 설치되는 것이 오우버 런닝 기구에 앞선 부재의 관성을 최소한으로 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제2d도는 구동 시스템의 제4실시예를 나타내는 것으로, 여기에는 제2c도의 실시예의 기구이외에 보조 구동기구 15를 포함시킨 것이다. 이 보조 구동기구는 보조 구동 로울러 16과 전동기 17로 구성되며, 로울러 16은 원목 1의 외주에 계합되어서 원목에 보조 회전력을 부여한다. 이 보조 구동 로울러 16은 도시된 바와같이 원목에 대하여 구동 로울러 3의 거의 반대측에 위치하여 원목의 직경이 저감되어 구동 로울러 3의 압력으로 왜곡되지 않게 원목을 뒷받침하는 역할을 한다. 그러나, 이 보조 로울러 16의 위치는 기타부재의 위치의 상호 관계를 고려하여 적절히 선택하여도 된다. 원목이 구동 로울러에 의하여 공급되는 속도보다 빠른 주속도로 아이들링할 수 있고, 따라서 원목 구동기구에 비교적 높은 주속도를 부열할 수 있으나, 커팅작업 진행중에 있어서의 원목의 주속도는 구동 로울러 3에 의하여 부여되는 주속도와 기본적으로 합치하게 된다. 그 결과, 원목 구동 기구에 관여하는 모든 부재로부터 부여되는 힘의 거의 전부가 원목의 커팅과 이송을 돕는데 기여하게 된다. 원목 구동 기구로부터 공급되는 힘이 구동 로울러가 원목의 회전을 개시한 후에도 계속 증대되는 경우에는 상기한바 오우버 런닝 클러치 14'가 원목의 아이들링 주속도가 구동 로울러 3에 의하여 부여되는 주속도보다 빠르다 하드라도 원목 구동 기구로부터 원목에 적용되는 외력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유지하는 역할을 한다. 그러므로, 원목 구동 기구에서 오는 외력은 구동 로울러 3을 도와서 원목을 구동하게 되므로 원목의 구동에 방해가 되기만 하는 구조에 비해 유용하다.
이와같은 기계적 구조는 마찰 클러치를 원목 구동 기구에 포함시키면 더욱 효과적이고, 또한 마찰 클러치를 원목의 회전력을 가하는 보조 구동기구 15에 포함시키면 원목에 과잉을 토오크가 전달되는 것을 피할 수가 있다. 더욱이, 로울러 16의 접촉부가 원목상에서 슬립하는 것도 허용된다.
제3도는 상기한바 구동 시스템의 제1 내지 제4실시예에 공통된 부분의 확대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 로울러 3은 그 외주에 간격을 둔 다수개의 커팅 에지 4를 구비하고 나이프 2의 단부보다 약간 앞선 위치, 더욱 상세히는 구동 로울러 3의 회전축이 원목 1의 회전축과 나이프 2의 단부위치를 나타내는 선 5에서 간격 6을 둔 곳에 위치하여 있다.
베니어판 7의 통로는 나이프 2와 구동 로울러 3사이에 마련된다. 각 커팅 에지 4는 구동 로울러 3의 외주로부터 방사상으로 신장된다. 원목 1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기 때문에 원목의 결함부 1a에 직접 가하여지는 힘이 불완전한 원목 8로부터 결함부 1a가 찢어져 나가게 하지 않으므로 구동 로울러 3과 나이프 2사이의 베니어 통로가 막히는 일이 없다.
구동 로울러 3의 커팅 에지 4는 구동 로울러 3의 축선상의 일단에서 타단으로 신장된 형상으로 되어 있다. 이와는 달리, 구동 로울러 3의 외주에 제6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다수개의 커팅 에지 4를 축선상으로 간격을 두고 상호 인접되게 배열하여 구동 로울러상에 원판부와 환상 요부(凹部)가 번갈아 나열된 형상으로 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커팅 에지 4는 또한 구동 로울러 3의 축 29상에 착탈 가능케 부착된다. 이와같은 구성은 구동 로울러 3과 커팅 에지 4에 대한 절삭 가공과 조립을 용이하게 해준다.
그리고, 제6도에 있어 18 및 19는 각각 축수와 스프로킷을 나타낸다.
제7도는 커팅 에지 4의 또 다른 형상을 나타낸 것으로, 여기서 커팅 에지 4는 구동 로울러 3의 회전 방향으로 소정의 각도로 경사된 형상을 취하고 있다.
이와 같은 구조는 커팅 에지가 원목에 깊은 커팅의 형성을 가능하게 해줌으로써 더욱 연화된 상태로 베니어가 잘려져 나오게 되어 베니어판의 표면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실제에 있어서는 직경 140㎜이고, 200kg.m의 토오크로 100rpm인 모우터를 사용한다. 커팅 에지는 로울러 외주에 10㎜의 간격으로 배열되고 날의 경사 각도는 25°로 한다. 그리고, 원목은 통상적으로 평균 500kg.m의 토오크로 회전된다.
제8도 내지 제13도는 제6도에 관해 전술한바 커팅 에지 4의 형상에서 유도되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다.
제8도, 제9도, 제10도 및 제11도에 도시된 기구는 공통적으로 구동 로울러 3에 고착된 커팅 에지 4가 나이프 2의 커팅점 직전에서 원목을 자르는 동시에 커팅점 직후의 베니어판을 부분적으로 자르는 기능을 발휘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안내부재 20이 환상 요부 31내에 원목에서 잘려 나오는 베니어판에 대항되게 수납되어 있어 커팅 에지 4로부터 베니어판이 원활하게 분리되도록 하고 있다. 이와 같은 구조는 특히, 베니어판의 연화 효과를 증대시켜 베니어판의 취급을 용이하게 한다. 더욱이, 구동 로울러 3은 나이프 2의 단부 가까이에 위치시킬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구동 로울러 3은 나이프 2의 단부보다 약간 상위에 위치하게 하여서 그 커팅 에지가 나이프에 의하여 커트될 원목의 외주만을 자르게 하여도 된다. 이와 같은 설계는 베이어판의 연화 효과에 있어서는 어느 정도 열등하지만 원목의 회전에는 충분한 것이다. 상기의 어느 경우에도, 나이프 3와 구동 로울러 3은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체에 일체적으로 연결되어 커팅 작업의 진행시에 있어서 원목의 회전 중심쪽으로 이송시켜 진다.
제10도에 그 일예를 도시하는 안내부재 20은 구동 로울러 3의 환상 요부 31에서 신장되어 원목에서 잘려 나오는 베니어판의 통로에 임하여 있으며, 각 부재 20은 베니어판 7을 구동 로울러 3으로부터 외향으로 분리되게 하는 안내면을 구비하고 있다. 이리하여, 안내부재 20은 원목에서 잘라 내어진 직후에 커팅 에지 4로부터 원활하게 분리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커팅 에지 4의 주변에는 조각이나 칩이 남지 않기 때문에, 커팅 에지 4가 깨끗이 원목을 자르게 된다. 이와 같은 안내부재 20은 구동 로울러 3의 커팅 에지 4가 커팅 점의 양측에 있어 원목과 잘려진 베니어판의 양쪽에 모두 계합되는 제10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형식의 베니어 선반에 있어서는 베니어판이 원활히 분리되지 않고 또 커팅 에지 상에 칩이 쌓이기 쉽기 때문에 특히, 유용한 역할을 하여 바람직하다.
한편, 제8도 및 제9도에 도시한 안내부재 20은 만곡 경사면을 구비하고, 이것이 원목에서 잘려나온 베니어판을 안내할뿐만 아니라 베니어판의 외표면을 펴서 구동 로울러 3이 어느 정도 연화한 베니어판을 충분히 연화하는 역할까지 하게 된다. 그러므로, 제8도 및 제9도에 도시된 안내부재의 형상은 베니어판을 가능한한 평탄하게 제조하는데 적합한 것이다.
제12도에 도시한 안내부재 20은 가압 바아 25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안내부재의 기타 형상의 하나로는 제3도에 보는 바와 같이 구동 로울러 3의 둘레에 고착되어 로울러 바아 24를 지지하는 로울러 바아 지지부재 23과 일체로 형성한 것이라도 좋고, 또 제10도에 보는 바와 같은 가압 바아 지지부재 26과 일체로 형성한 것이라도 좋다.
제8도 및 제9도를 다시 참조하면, 다수개의 커팅 에지 4와 다수개의 요부 31을 그 외주에 구비한 구동 로울러 3이 나이프 2의 선단에 약간 앞선 위치에 자리하고 있다. 이 구동 로울러 3과 나이프 2사이에는 회전되는 원목에서 잘려 나오는 베니어판의 통로가 마련된다. 이 실시에의 베니어 선반에는 나이프의 커팅 단부로 잘려지려는 원목 외주 부분에 구동력을 부여하는 구동 로울러 3을 구동하는 예를들어, 제2a도 내지 제2b도에 도시된 기구 12가 포함된다.
로울러 바아 24는 구동 로울러 3의 요부 31에 수납된다.
구동 로울러 3에 구비된 커팅 에지 4는 그 주된 기능이 원목의 회전에 있기 때문에 소기의 구동 능력의 발휘에 접합한 축선 방향 간격으로 배열된다.
이와 같은 배열에 의하여 제조되는 베니어판은 나이프 2의 단부와 구동 로울러 3만으로 구성되는 커팅 기구에 의하여 제조되는 베니어판에 비하면 그 커팅 표면이 상당히 개선된 상태로 얻어진다. 그리고,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베니어 선반에 의하면 각종 품질의 원목에서 양호한 베니어판을 얻을 수가 있다.
도면에 도시된 로울러 바아 24는 로울러 바아 지지부재 23에의 착탈이 극히 용이하다. 소형 베어링을 갖는 로드 32는 상기 로울러 바아 지지부재 23의 최선단부에 마련된 절결부내에 감합된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하여 로울러 바아의 저항이 최대한으로 저감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축선적으로 불연속인 로울러 바아 24는 소정 거리에 걸쳐 연속된 종전의 로울러 바아와 동일 효과를 나타낸다.
즉, 이 로울러 바아 24는 베니어판의 두께를 균일하게 하는 한편, 원목의 파손을 방지하기에 충분한 만큼의 최소한의 감소된 힘으로 원목을 압압한다.
이와 같은 로울러 바아의 사용은 고정 바아의 사용에 비하여 커팅의 저항을 감소시키는 효과를 가져오게 된다. 그러나, 구동 로울러 3의 커팅 에지 4에 의하여 원목이 어느 정도 연화된 후에 나이프 2가 침투하기 때문에 로울러 바아 24에 의한 압압 속도가 어느정도 감소되고, 그 결과 커팅저항은 더욱 감소된다.
제8도에 도시된 나이프 2의 소형의 착탈, 교환 가능한 형태로 지지단부 21과 고착구 22에 의하여 고착된다. 이리하여, 나이프 2의 교환은 소정의 조작으로 용이하게 이루어져 작업 비용을 저감시킬 수 있다.
제10도 및 제11도에 도시된 베니어 선반은 제8도 및 제9도의 베니어 선반에 채용한 로울러 바아 대신에 비회전 또는 고정 압압 바아 25를 포함하고 있는 것이다.
각 압압 바아 지지구 25는 스트립 형상으로서 압압 바아 지지지구 26의 최단부에 형성된 긴 요홈부에 착탈 가능하게 감합된다. 이리하여 만약 원목중의 이물들에 의하여 손상되면 바아 25를 신품과 용이하게 교환할 수가 있어 베니어 선반의 작업 기능을 향상하고 작업 비용을 저감하는데 기여한다.
이제 본 발명에 의한 베니어 선반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제12도 및 제13도를 참조하면, 외주에 다수개의 커팅 에지 4와 다수개의 환상 요부를 갖는 구동 로울러 3이 나이프 2의 커팅 단부에 약간 앞서 자리하고 이 구동 로울러 3과 나이프 그사이세 원목에서 잘려 나오는 베니어판의 통로가 마련된 점이 공통되고, 또한 상기 구동 로울러 3을 구동시키는 기구 12가 제2a도 내지 제2b도와 같이 마련되어 커팅을 받게 되는 원목에 부분적으로 힘을 부여하는 것도 공통점으로 되어 있으나,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압압부재가 요부 31내에 마련되어 나이프 2의 커팅 단부의 후 위치에서 잘려진 베니어판을 베니어의 배출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압압하게 되는 점이 특징으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은 압압부재는 제12도의 경우, 고정 압압 바아 25와 일체적인 고정 부재 28과 안내부재 20으로 구성되어 있고, 이 압압부재 28과 베니어판 7간의 마찰 저항 및 베니어판과 나이프 2간의 마찰 저항에 의하여 원목에서 잘려난 베니어판 7이 그 배출 방향에 대하여 반대되는 방향으로 압력을 받게됨으로 베니어를 휘게할 이면의 분할 등이 없는 단단하고 평탄한 베니어판을 얻게 된다. 제13도에 있어서 상기한바 압압부재의 역할을 하는 로울러 30는 베니어판의 배출 속도보다 약간 느린 주속도로 구동되고 그 결과 베니어판 7의 원목에서 방금 잘려진 부분이 베니어판 7과 로울러 30사이 및 베니어판 7과 나이프 2사이의 마찰 저항 때문에 배출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압압된다. 따라서, 얻어지는 베니어판은 평탄해지며, 이면에 분할이 거의 없기 때문에 단단한 것이 된다.
제12도의 고정부 28은 압압 바아 25와 일체로 형성될 때 일반적으로 "이중면 바아" 또는 "억제 바아"라 불리우게 되는데, 나이프 2의 커팅 단부를 지난 점에서의 억제 작용은 베니어판 이면에 분할이 생기는 것을 방지하는 데에 효과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예를 들어, 일본특허출원 소 49(1974)-106904호에 제13도의 로울러 30과 같은 저항 부재가 베니어판의 방금 원목에서 잘려나온 부분을 배출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압압할 때 베니어의 분할이나 휨을 방지할 것이라는 기재가 있으나, 이와 같은 이론적 추리에도 불구하고 현재까지 실제로 구현하지는 못하였다. 그 이유로는 그와 같은 시도가 종전 베니어 선반에 커팅 저항을 더욱 가중하게 되고,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이 원목을 파손하기 쉽게 되며, 또한 토막이나 칩이 더욱 끼어들게 되는 난점이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베니어판의 원목에서 방금 잘려나온 부분을 압압해 준다는 과제가 본 발명에 의한 제12도의 베니어 선반에 비로소 기술적으로 해결되어 그 실효를 얻게된 것이다.
상술한 바 본 발명에 의한 베니어 선반에 의하면, 종전의 베니어 선반으로는 부적합한 원목으로부터도 양질의 베니어판을 제조할 수 있는 이점이 이해될 것이며, 또한 본 발명의 범위를 일탈하지 않고 여러 가지의 변형, 수정이 가능하다는 것이 자명할 것이다.

Claims (1)

  1. 주위에 다수의 커팅 에지를 갖는 구동 부재를 축방향으로 적당한 간격을 두고 다수 배치한 형태의 회전 로울러를, 절삭용 나이프의 선단선과 거의 평행이며 상기 커팅 에지가 절삭중에 상기 절삭용 나이프의 선단에 가까운 원목 외주부를 커팅할 수 있는 위치에 구비함과 동시에, 상기 회전 로울러의 구동 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회전 로울러의 구동 부재 사이의 복수개의 공간에, 고정 바아 또는 로울러 바아 등의 가압부재를 배치하고, 상기 공간에 상기 가압 부재로부터 회전 로울러의 회전 방향 하방으로, 상기 구동 부재의 커팅 에지 선단원보다 안쪽의 위치로부터 회전 로울러의 회전 방향 하방의 외측으로 신장하는 박리면을 갖는 안내 부재를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니어 선반.
KR1019810003098A 1978-01-18 1981-08-25 베니어 선반 KR8100017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10003098A KR810001771B1 (ko) 1978-01-18 1981-08-25 베니어 선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800112A KR810001770B1 (ko) 1978-01-18 1978-01-18 베니어 선반
KR1019810003098A KR810001771B1 (ko) 1978-01-18 1981-08-25 베니어 선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7800112A Division KR810001770B1 (ko) 1978-01-18 1978-01-18 베니어 선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10001771B1 true KR810001771B1 (ko) 1981-11-13

Family

ID=266261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10003098A KR810001771B1 (ko) 1978-01-18 1981-08-25 베니어 선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1000177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199581A (zh) * 2021-05-07 2021-08-03 柳忠文 一种树纸切削裁剪机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199581A (zh) * 2021-05-07 2021-08-03 柳忠文 一种树纸切削裁剪机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FI72074C (fi) Fanersvarv.
US4269243A (en) Veneer lathe
KR810001771B1 (ko) 베니어 선반
CN105538456A (zh) 板压尺有卡无卡一体旋切机
KR810001770B1 (ko) 베니어 선반
US4499935A (en) Veneer lathe
US4262716A (en) Veneer lathe
US4234024A (en) Veneer lathe
CN2173686Y (zh) 竹材切片机
KR830002074B1 (ko) 베니어판 선반
JPS59162011A (ja) ベニヤレ−スの原木切削方法
KR810001772B1 (ko) 베니어 선반
KR100470745B1 (ko) 원목 가공기의 회전톱 구조
USRE31786E (en) Veneer lathe
JPS6121805B2 (ko)
KR200235887Y1 (ko) 원목 가공기의 회전톱 구조
JPS63206B2 (ko)
JPS5928444B2 (ja) 原木外周駆動型ベニヤレ−ス
JPS5852083Y2 (ja) ロ−タリ−レ−スの罫引き刃物装置
JPS6241769Y2 (ko)
JPS60214905A (ja) ベニヤレ−スによる切削方法
JPS6124163B2 (ko)
JPS59187804A (ja) ベニヤレ−ス
SU740496A2 (ru) Круглопильный станок
JPS5919007B2 (ja) ベニヤレ−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