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10001419B1 - 증류법에 의한 사진현상 폐액 처리방법 - Google Patents

증류법에 의한 사진현상 폐액 처리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10001419B1
KR810001419B1 KR1019800001452A KR800001452A KR810001419B1 KR 810001419 B1 KR810001419 B1 KR 810001419B1 KR 1019800001452 A KR1019800001452 A KR 1019800001452A KR 800001452 A KR800001452 A KR 800001452A KR 810001419 B1 KR810001419 B1 KR 8100014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separator
water separator
clean
was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000014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봉선
Original Assignee
임봉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봉선 filed Critical 임봉선
Priority to KR10198000014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81000141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100014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10001419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Heat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증류법에 의한 사진현상 폐액 처리방법
첨부 도면은 본 발명의 플로우 씨트(Flow Sheet)이다.
본 발명은 사진현상소에서 배출되는 폐액을 응집제의 첨가없이 증류법에 의하여 처리하는 증류법에 의한 사진현상 폐액 처리방법에 관한 것 이다.
종래의 폐액 처리방법으로는 활성오니법, 응집침전법이 있었으나 이들 방법은 설치비용이 고가이고 관리상 많은 어려움이 있고 설치장소가 많이 필요한 등의 결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 방법의 결점을 감안하여 좁은 설치장소에서 간단한 방법으로 저렴하고 완전하게 사진현상 폐액을 응집제를 첨가하지 않고 열교환기와 수분리기가 설치된 증류기에서 가열하면 증발되는 수증기와 악취성 가스가 자체의 발생압력에 의하여 증류기내의 1차 수분리기를 통과한 후에 증류기 외부에 설치된 2차 수분리기와 응축기를 통하여 여과조로 이송되게 하여 수증기와 악취성 가스는 냉각수로 냉각응축시켜 처리수로 배출처리하고, 불순물은 고농도로 농축시켜 슬러지화(Sludge化)되게 하여 줌으로서 강이나 하천의 수질오염을 막고 자연환경을 보호케 함을 그 목적으로 한 것으로 본 발명의 사진현상 폐액 처리방법을 첨부 도면에 의거하여 상술하면 다음과 같다.
각 사진 현상기에서 현상, 인화에 사용된 약품을 세척수와는 별도로 저장조(1)에 저장한다. 이때 원폐액은 전체의 1.625%, 세척수는 전체의 98.375%이고 원폐액의 pH는 9.5이며 원폐액의 COD는 21,000PPM이었다.
저장조(1)의 폐액을 하단에 열교환기(2a)가 설치되고 상단에 1차 수분리기(2b)가 설치된 증류기(2)로 이송하여 100-105℃로 가열하면 증발되는 수증기와 이에 수반되는 악취성 가스가 자체의 발생압력에 의하여 증류기(2)내의 상단에 설치된 1차 수분리기(2b)를 통과한 후에 증류기(2) 외부에 설치된 2차 수분리기(3)를 경유하여 응축기(4)로 유입되어서 살수되는 냉각수에 의해 냉각응축되어 여과조(5)를 경유하여 배출처리되고, 불순물은 증류기(2)의 최하단부에서 고농도로 농축된 후에 배출되어 응결처리된다.
도면 중 미설명부호 3′는 회송관, 4′는 냉각수 공급관, 6은 펌프, 7은 액면계를 표시한다.
이와 같이 된 본 발명의 작용효과를 상술하면 다음과 같다.
저장조(1)의 폐액을 펌프(6)로 압송하여 증류기(2)에 적정량(액면계(7)의 3-4의 위치 정도)을 유입한 다음 증류기(2) 내의 열교환기(2a)로 가열증류시키면 수증기와 악취성 가스가 자체의 발생압력에 의하여 증류기(2) 내의 1차 수분리기(2b)를 통과한 후 증류기(2) 외부에 설치된 2차 수분리기(3)를 경유하여(이때 1차 수분리기(2b)에서 분리되지 못한 액상물은 회송관(3′)을 통하여 증류기(2)로 환송된다.) 응축기 (4)로 유입되어 냉각수 공급관(4′)으로부터 공급 살수되는 냉각수에 의해 냉각응축되어서 여과조(5)를 경유하여서 처리수를 배출처리하고, 불순물은 증류기(2)의 최하단부에서 고농도로 응축된 후 배출되어 고형분(전체의 0.5%)으로 제거하므로서 본원 방법에 의하여 처리된 처리수와 원현상 폐액과의 실험결과는 표 1과 같다.
즉, 원사진현상 폐액의 pH은 6.5-8.5이고 부유물(SS)은 123mg/ℓ이고 화학적 산소 요구량(COD)는 21,000-25,000mg/ℓ이나, 본원 방법에 의하여 처리된 최종처리수는 pH 7-7.5이고 부유물(SS)은 50mg/ℓ미만이며 화학적 산소 요구량(COD)은 80mg/ℓ미만으로서 하천이나 강의 수질오염을 막고 자연환경을 보호할 수 있는 효과적인 방법으로 설치면적이나 설치비를 종래의 방법보다 80% 이상 절감하고 처리시간이나 노동력이 75% 절감되고 관리비가 많이 절감되며 또 조작이 간편하고 고장이 적어 수명이 길며 효율이 높은 잇점이 있다.
[표 1]
Figure kpo00001

Claims (1)

  1. 저장조의 현상폐액을, 하단에 열교환기가 설치되고 상단에 수분리기가 설치된 증류기에서 100-105℃로 가열하여, 증발되는 수증기와 악취성 가스가 자체의 발생압력에 의하여 증류기내의 상단에 설치된 1차 수분리기를 통하여 증류기 외부에 설치된 2차 수분리기를 경유하여 응축기로 유입되어 살수되는 냉각수에 의해 냉각응축되어 배출처리되게 하고, 불순물은 고농도로 농축시켜 슬러지화함을 특징으로 하는 증류법에 의한 사진현상 폐액 처리방법.
KR1019800001452A 1980-04-08 1980-04-08 증류법에 의한 사진현상 폐액 처리방법 KR8100014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00001452A KR810001419B1 (ko) 1980-04-08 1980-04-08 증류법에 의한 사진현상 폐액 처리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00001452A KR810001419B1 (ko) 1980-04-08 1980-04-08 증류법에 의한 사진현상 폐액 처리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10001419B1 true KR810001419B1 (ko) 1981-10-20

Family

ID=192161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00001452A KR810001419B1 (ko) 1980-04-08 1980-04-08 증류법에 의한 사진현상 폐액 처리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10001419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49921B2 (en) Water treatment method for heavy oil production
US7967955B2 (en) Water treatment method for heavy oil production
RU2155625C2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преснения морской воды
US20050022989A1 (en) Water treatment method for heavy oil production
JP2520317B2 (ja) 超純水製造装置および方法
CA2509309C (en) Water treatment method for heavy oil production using calcium sulfate seed slurry evaporation
EP0272883B1 (en) Method of concentrating photographic process waste liquor by evaporation
KR810001419B1 (ko) 증류법에 의한 사진현상 폐액 처리방법
JPH026590B2 (ko)
US5766412A (en) System and method of waster water reduction and product recovery
KR102266988B1 (ko) 폐수 처리 시스템
JPS59392A (ja) 有機性廃液の処理方法
CA2748443C (en) Water treatment method for heavy oil production
Awerbuch et al. Disposal of concentrates from brackish water desalting plants by means of evaporation technology
JPS5962396A (ja) アンモニア含有有機性廃水の処理方法
JPH0114837B2 (ko)
KR960005035Y1 (ko) 진공농축 드럼에 의한 폐수 처리기
SU929580A1 (ru) Способ регенерации N @ -катионитных фильтров
JPS58205591A (ja) 有機性廃液の処理方法
JP2527633B2 (ja) 加熱素子およびこれを用いた蒸発装置
JPH0114839B2 (ko)
JPS6121792A (ja) 有機性廃水の処理方法
JPS58223498A (ja) 有機性廃水の処理方法
JP2001252697A (ja) し尿および/または浄化槽汚泥の処理方法および装置
JPH0757358B2 (ja) 廃水処理方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