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10001311B1 - 인-라인 비임컬러텔레비젼 영상관용 요오크장착부재 - Google Patents

인-라인 비임컬러텔레비젼 영상관용 요오크장착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10001311B1
KR810001311B1 KR7701563A KR770001563A KR810001311B1 KR 810001311 B1 KR810001311 B1 KR 810001311B1 KR 7701563 A KR7701563 A KR 7701563A KR 770001563 A KR770001563 A KR 770001563A KR 810001311 B1 KR810001311 B1 KR 8100013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yoke
tube
neck
screen
fla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77015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키윈 크랏츠 제롤드
월터 크리스텐센 2세 에드워드
Original Assignee
에드워드 제이 · 노오턴
알 · 씨 · 에이 · 코오포레이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드워드 제이 · 노오턴, 알 · 씨 · 에이 · 코오포레이숀 filed Critical 에드워드 제이 · 노오턴
Priority to KR77015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81000131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100013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100013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46Arrangements of electrodes and associated parts for generating or controlling the ray or beam, e.g. electron-optical arrangement
    • H01J29/70Arrangements for deflecting ray or beam
    • H01J29/72Arrangements for deflecting ray or beam along one straight line or along two perpendicular straight lines
    • H01J29/76Deflecting by magnetic fields on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12Picture reproducers
    • H04N9/16Picture reproducers using cathode ray tubes
    • H04N9/28Arrangements for convergence or focus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Video Image Reproduction Devices For Color Tv System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인-라인 비임컬러텔레비젼 영상관용 요오크장착부재
제1도는 인-라인 컬러텔레비젼 영상관에 있는 종래의 요오크 장착부재를 설명하는 수평편향코일을 도시한 편향요오크의 횡단면도.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르는 장착부재를 설명하는 수평편향 코일을 도시한 편향 요오크의 횡단면도.
제3도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요오크장치 부재의 측면도.
제4도는 제3도에 있는 장착링을 화면단부에서 본 개략도.
제5도는 제3도에 있는 장착부속품의 (TV 화면 뒤에서 본) 배면도.
제6도는 제3도의 장착링이 영상관에 손으로 어떻게 고착되는가를 상세하게 도시한 개략도.
본 발명은 음극선관용 조정가능한 편향요오크 정착부재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인-라인형 다중전자비임 컬러영상관용 요오크 장착부재에 관한 것이다.
컬러텔레비젼 수신기에서, 영상재생장치의 일반적인 형태는 적, 녹 및 청색과 같은 세개의 상이한 컬러를 각각 만들 수 있는 형광체 그룹을 선택적으로 여기시키기 위한 세개의 전자비임을 갖고 있는 음극선관이다. 이러한 관은 발광화면을 갖고 있으며 델타 (delta) 총 수신기의 통상적인 형태에서 이 화면은 화면뒤에 있는 샤도우 마스크 (Shadow mask) 안에 적합하게 위치한 구멍을 통하여 돌출한 각각의 전자비임에 의해 여기되는 세개의 형광체 점이 다수 형성되어 있다. 비임들은 상이한 방향을 통하여 접근하여 각각의 형광체 점에 충돌한다. 전자비임을 발산시키는 전자총의 일반적인 배열은 청색총이 세로의 관측 바로 위에 있고 적 및 녹색총은 이 축 밑에 있으며 각각 수평으로 이 측의 반대편에 있다.
비임배열은 영상관의 세로축과 편향요오크계의 특성에 관련하기 때문에, 전체 화면 정 및 동적 콘버젼스가 이루어졌을 때 한개의 라스터(예를 들면 청색라스터)가 다른 두개의 폭과 다른 폭을 갖는 경향이 있다. 이러한 관이 큰 편향각으로 동작할 때 화면의 측면에 미스콘버젼스(misconvergence)가 생긴다. 수직면으로만 요오크의 후단부가 경사지면 라스터의 기입에 도움이 될 수 있다는 것을 알았다.
(예를 들면 오버트 등에게 하여된 미합중국 제3,302,050호 및 리이더 등에게 하여된 미합중국 특허 제3,582,848호 참조)
세개의 수평 인-라인 전자비임을 사용하는 컬러텔레비젼 영상관은 콘버젼스를 유지하기에 필요한 장치를 간단하게 하기 위해서 델타총관을 대체해서 사용해 왔다. 인-라인 영상관에 있어서, 형광소자는 형관물질의 수지 스트립(strip) 내에 있고 구멍은 수직방향으로 연장한 기다란 틈이다. 이러한 수직선 형광소자 구조는 수직기입 문제를 제거한다. 그러나, 비임이 요오크자계의 중심과 완전하게 일렬로 배열되지 않으면, 비임은 화면에 집속되지 않게 된다. 실제로, 비임은 일률적으로 적합하게 배열되지 않으므로 자계와 비임을 일렬로 배열하기 위한 수단들이 취해져야 한다. 인-라인형광관내의 이 콘버젼스 교정형태는 바빈에게 허여된 미합중국 특허 제3,789,258호에 기술되어 있다. 바빈 특허에서, 관측에 관련된 요오크 전체의 횡동작은 동적 콘버젼스 교정장치를 필요로 하지 않고 이 형태의 콘버젼스를 성취하기 위한 장치로서 제시되어 있다. 이것을 성취하기 위한 장치의 일예는 스라더에게 허여된 미합중국 특허 제3,786,185호에 기술되어 있다. 또한 스라더는 콘버젼스가 관의 측에 관련해서 요오크가 경사지게 하므로서 성취될 수 있다고 제시했다. 경사의 특정한 피보트점은 논의되지 않았다. 이스히 등에게 허여된 미합중국 특허 제3,921,110호에는 화면에 가장 인접한 요오크단부(전단부)가 이 콘버젼스를 조정하도록 이동된다는 것이 제시되어 있다. 그러므로 이 배열내의 피보트점은 요오크의 후단부나 그 부근으로 된다.
종래의 기술에 따르면, 요오크는 요오크의 화면단부 또는 전방향에서의 공간이 X 및 Y면(수직 및 수평)으로 대개 이동되거나 경사지도록 하기 위하여 가능한한 전방향으로 설치할 수가 없었다.
또한 순도조정을 하기 위하여, 편향요오크는 목을 따라 앞뒤로 이동될 수 있어야 한다. 순도조정의 이 범위는 비임이 관의 목에 충돌하는 짐에 의해 화면으로부터 밀어진 후단부와 관의 플레어(flare)에 의해 전단부(화면단부)상에 제한된다. 과거에, 인-라인 형광은 순도조정과 콘버젼스조정용 공간을 제공하기 위해 비교적 짧은 요오크를 필요로 했다. 그러나, 짧은 요오크는 효율이 적고 에너지를 많이 쓰기 때문에 이 배열은 에너지를 작게 쓰는 텔레비젼 수신기를 제조하는 것에 적합하지 않다.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술한 결점은 요오크의 넓은 화면단부가 이 부근에 있는 피보트점 주위에서 피보트하도록 영상관 주위에 장착되어 있는 인-라인 비임형 영상관용 조정 가능한 요오크 장착 부재에 의해서 극복된다. 요오크의 후단부 또는 좁은 단부는 요오크가 콘버젼스를 조정할 때 요오크의 넓은 화면단부 근처에 있는 피보트점 주위로 경사지도록 조정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기술하겠다.
인-라인 컬러텔레비젼 영상관은 목 부분에 세개의 인-라인 비임을 만드는 부속품이 있고 형광화면 부분에서 구멍마스크를 향해 배치된 청, 적 및 녹색의 형광스트립 그룹이 반복되는 형태의 컬러텔레비젼 영상관이다. 나팔관 부분은 목 부분과 화면 부분 사이에 있다. 이러한 관의 콘버젼스조정은 관의 목 부분과 나팔관 부분에 관련하여 편향요오크를 횡이동시키므로서 갖추어진다. 그 예는 바빈 미합중국 특허 제3,789,258호에 있다. 이 콘버젼스 조정이동을 하기 위하여 요오크와 관 사이에 공간이 필요하다. 제1도에 도시한 종래의 기술을 참조하면, 요오크 17은 내부표면에 있는 수평편향코일과 외부표면에 있는 환상코어 사이에 떨어져 있고 플랜지된 단부 17b 및 17c를 갖고 있는 깔때기형 절연체 17a를 포함한다. 코어 18주위에는 수직편향코일 18a가 있다. 제1도의 요오크 17과 관 10 사이에 있는 공간 S는 콘버젼스 조정을 하기 위한 것이다. 공간 S 때문에, 요오크 17은 관 10의 나팔관 부분 12로부터 a거리 이상 더 접근될 수 없다. 이것은 요오크 17이 얼마나 더 앞으로 놓일 수 있는가를 제한한다. 이것은 비임이 편향되어 관의 목 11에 충돌하기 전에 화면으로부터 요오크가 뒤로 얼마나 이동할 수 있는가를 제한한다. 앞으로 더 갈수 있는 거리와 뒤로 더 갈 수 있는 거리 사이의 범위는 순도조정 범위이고 정위치시키는 필요조건이다. 또한 종래의 기술에서 콘버젼스 조정은 관의 좁은 목 11 부근에 있거나 요오크 17의 플랜지된 후단부 17c의 면에 있는 피보트점 P 주위에서 요오크 17의 전방향화면 플랜지단부 17b를 이동시키므로서 제공되었다. 요오크가 더 긴 것이 보다 효율적이지만, 이러한 관에 사용되는 요오크는 콘버젼스조정 및 순도조정을 하는데 필요한 거리 S와 d를 허용하기에 바람직한 길이보다 비교적 짧게 만들어졌다. 이 지시에 따르면 요오크는 관 10의 화면 앞 방향으로 더 이동될 수 있으므로 요오크를 더 길게 되어 동일한 순도조정범위를 갖고 더욱 능률적인 요오크로 된다. 기본적으로, 이것은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콘버젼스 조정을 할 때 요오크 27의 피보트점에 요오크 27의 전방향으로 또는 화면단부 27b 부근의 점 P1에 있도록 관에 유연하게 고착된 전단부 27b로 콘버젼스를 조정할 때 관 20의 목 21에 관련하여 직각의 X와 Y축 방향(수직 및 수평)으로 요오크 27의 후단부 27c를 이동하므로서 이루어진다.
제3도에는 세개의 수평 인-라인 비임을 이용하는 형태의 구형컬러텔레비젼 영상관 30의 부분과 수직컬러형광 스트립들의 패턴을 이용하는 화면에 보이는 형광소자가 도시되어 있다. 관 30은 청, 적 및 녹색형 광스트립의 반복된 패턴으로된 화면부분, 세개의 인-라인 비임을 만드는 전차총 부속품을 포함하고 있는 목부분 21, 및 목부분 31과 화면부분 사이의 나팔부분 32를 갖고 있다. 편향요오크 37은 관 30의 목부분 31과 나팔부분 32 주위에 장착되어 있다(제3도 내지 제6도 참조).
요오크 37은 비임의 수직편향을 제공하도록 토로이달 수직편향코일을 형성하기 위해 그 주위에 감긴 선 38a를 가진 깔때기형의 강자성체코어 38과, 깔때기형 절연체 35를 포함한다. 깔때기형 절연체 35는 코어 38을 통하여 절연체 35의 단면 35c를 따라 연장되어 전방향 또는 화면단부 35a에 있는 큰 환상플랜지 36과 후방향 또는 좁은 목단부 35b에 있는 작은 플랜지 39 넘어까지 연장된다. 깔때기형 절연체 35는 비임의 수평방향을 제공하기 위해 한쌍의 수평편향코일을 형성하는 절연체 35의 관측면(내부표면)에 공지된 쌔틀형태(예를 들어 바빈에서 허여된 미합중국 특허 제3,488,541호의 제2도 참조)로 있는 도선(도시하지 않음)을 갖고있다. 깔때기형 절연체 35는 절연체의 내부표면에 있는 수평편향(쌔들) 코일선(도시하지 않음)으로부터 코어 38과 수직코일선 38a를 분리한다. 요오크 37의 환상절연체 플랜지 36은 요오크 37의 축과 동축이고 장착링 44의 동축인 플랜지 36의 축으로 지지프레임 형태인 장착링 44 내부에 고착된다. 장착링 44는 절연체인 플라스틱 물질로 되어 있고 제4도 및 제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착링 44의 일체로 있는 4개의 플라스틱 지지대 51 내지 54를 갖고 있는 분리된 링형부재이다. 지지대 51 내지 54는 제5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소 구형인 영상관의 대각선을 따라 관에 장착된 링 44에서부터 전방향으로 방사상으로 연장한다. 지지대 51 내지 54의 각각의 자유단들은 관 30의 나팔관 부분의 경사각과 일치하는 각으로 있다.
제6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대 51의 단부 51a는 관 30의 나팔부분에 정합된다. 스폰지 기포고무물질로 된 비교적 두꺼운 패드 61은 예를 들어 제6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관 30의 나팔관부분 12와 지지대 51 내지 54의 각각의 단부 사이에 접착된다. 패드 61은 관 30과 지지대 51 내지 54 사이에 쿠션을 제공하고 피보트점 P가 넓게 플랜지된 단부 35a 부근에 있는 관 30에 관련하여 요오크 37이 피보트하게 한다. 패드 61은 관에서 요오크의 전단부가 유연하게 지지되게 한다.
장착링 44는 환상의 절연체 플랜지 36 주위에 고정된다. 이 고정은 단부로 연장된 탭 44a와 44b를 갖고 있는 장착링 44와 탭 44a와 44b를 통하여 지나가고 스크류 44가 조여질 때, 장착링의 직경을 감소시키고 환상의 절연체 플랜지 36 주위에서 장착링 44를 고정시키는 속도넛트 44d를 통해 지나가는 스크류 44에 의해서 이루어진다. 장착링 44의 내부표면은 장착링의 세로 Z축을 따라 균일한 직경을 갖는다. 환상플렌지 36의 외부표면 36a는 고정할 때 장착링 44가 플랜지 36의 표면 36a에 닿도록 Z축을 따라 균일한 직경을 갖는다. Z축을 따른 장착링 44의 길이는 요오크 37이 순도조정될 때 플랜지 36이 장착링 44를 따라 미끄러지도록 플랜지 36의 길이보다 길다.
깔때기형 절연체 35의 후단부 35b(화면에서부터 떨어진 단부)에는 직경이 작은 제2절연체 플랜지 39가 있다. 코어 38은 이 플랜지 39의 뒤에 있으며 플랜지 36의 앞에 있다. 작은 플랜지 39 내의 개구 39a는 관 30의 목부분 31이 요오크 37을 통하여 지나가게 하고 요오크가 콘버젼스를 조정하도록 X 및 Y방향(수평 및 수직)으로 관의 목에 관련하여 이동되게 하기 위해서 단부 35a에서의 개구보다 작으나 관 30의 목부분 31의 직경보다는 크다. 상기 관의 목부분 주위의 중심구멍 49a를 가진 목마개 49(제5도 참조)는 관의 목부분 위를 지나서 작은 플랜지 39 부근에 놓인다. 일련의 유연성 플라스틱 지지대 50은 X 및 Y방향으로 영상관 30의 목 31 주위에 유연성있게 유지되도록 중심구멍 49a 주위로 연장한다. 목마개 49에는 세개의 홈이 있다. 홈 66은 다이아몬드형의 커다란 구멍이다. 홈 67과 68은 서로 평행한 세로축을 갖고 있다. 그러나 홈 67과 68은 서로를 향해 회전하는 홈 67과 68의 단부로 약간 구부러져 있다. 홈 67의 세로축은 약 45°각으로 단부마개 49의 상부수직 Y축을 횡단한다. 홈 68은 홈 67로부터 아아크의 수평 X축 90°를 따라 놓이며 홈 68의 세로축은 그 좌측에 있는 (요오크의 후단부에서 단부마개에 접한) X축과 약 45°로 된다(제5도 참조). 스크류 63, 64 및 65는 홈66, 67및 68에 각각 들어가며 플랜지 39에 목마개 49를 부착시킨다. 스크류 63은 홈 66의 다이아몬드형 구멍의 크기보다 매우 작다. 스크류 63은 홈 66의 최대폭보다 직경이 더 큰 워셔 63a로 들어간다. 스크류 63, 64 및 65는 홈 66, 67 및 68에서 각각 단부마개 49를 통해 지나가고 단부플랜지 39의 구멍을 통하여 플랜지 39의 화면단부상의 69속으로 들어간다(제5도 참조).
요오크를 부착할 때, 요오크 37은 관 30의 목부분 31과 나팔관부분 32위로 지나간다. 장착링 44는 요오크 37위로 지나가고 가능한한 전방향으로 더 이동되며 지지대 51 내지 54의 단부는 기포고무패드 61을 통하여 관 30의 나팔형 단부 32에 접근한다. 그러므로 스폰지 기포고무 물질로 된 비교적 두꺼운 패드 61은 링 44로부터 연장된 지지대 51 내지 54와 관 30 사이에 떨어져 있게 된다(제6도 참조). 환상의 절연체 플랜지 36은 요오크 37이 순도를 조정하기 위해 Z방향으로 전후운동을 할때 장착링 44 내부로 운동한다. 이 동작을 하는 동안 요오크 37은 장착링 44와 단부마개 49 내의 지지대 50에 의해 횡단하는 X와 Y방향으로 느슨해진다. 순도가 생기면, 요오크 37은 영상이 적당해지도록 라스터를 배열하기 위해 장착링 44 내부로 플랜지 36을 회전시키므로 회전된다. 순도를 조정하여 영상이 적당해지면, 스크류 44c는 장착링 44를 다시 조이고 요오크플랜지 36 주위에서 장착링 44와 관 30에 대해 플랜지 36을 고정시킨다. 콘버젼스를 조정하기 위하여, 요오크는 제3도에 P2로 표시한 절연체 플랜지 36 부근의 관축에 있게 되는 피보트점을 가진 후부플랜지 39로부터 경사진다. 후부플랜지 39는 홈 67 및 68 내의 스크류 64 및 65중에 하나를 조이고 스크류 63이 느슨해져 있는 동안 다른 스크류를 느슨하게 하므로서 X 및 Y방향으로 이동된다. 요오크 37이 경사질 때 전방향플랜지 36에 생기는 약간의 경사운동은 지지대 51 내지 54의 각각의 단부에 스폰지물질로된 패드 61에 의해 줄어든다. 수직 또는 Y방향으로 요오크를 경사시켜서 콘버젼스를 조정하기 위해, 수평스크류 65는 조여지고 스크류 63 및 64는 느슨해진다. 상방향 및 하방향힘은 조여진 스크류 65 반대편에 있는 돌출부재 71에서 목마개 49와 요오크 37 사이에 인가된다. 조여진 스크류 65는 요오크에 관련하여 목마개 49를 회전시키기 위한 피보트점으로 작용한다. 또한 목마개 49는 스크류 64가 플랜지 39를 높거나 낮게 하도록 관의 목 주위를 회전하고 요오크는 수직방향으로 경사진다. 바람직한 위치가 수직방향으로 될 때, 스크류 64는 조여지고 스크류 65는 느슨해지며 힘은 제1이동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요오크를 이동시키기 위해서 수평방향으로 돌출부재 72에 인가된다. 콘버젼스를 했을 때, 스크류 65는 조여지고 스크류 63도 조여진다. 다이아몬드형 구멍 66은 홈 67 및 68이 함께 동작하게 한다. 큰버젼스를 할 때, 관의 목은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크램프 73에 의하여 지지대 50에 고정된다.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상술한 장착부재는 요오크 37이 종래의 기술보다도 더 앞쪽에 요오크가 장착될 수 있도록 하므로서 편형감도가 더 좋게 하기 위하여 더 긴 편향코일을 포함한다. 순도를 조정하고 링 44를 사용하는 관 30에 요오크의 전단부 35a를 고정시킨 후에, 후부플랜지 39는 요오크의 더 좁은 단부가 경사지게 하도록 X 및 Y방향으로 이동되고, 요오크의 피보트검은 요오크의 전단부 앞에 있는 관축에 있게 된다. 지지대의 단부에 있는 스폰지 기포고무 물질로 된 패드 61은 콘버젼스를 조정하도록 경사질 때 화면단부 요오크에서 약간의 유연한 동작을 하게 한다. 비록 요오크의 뒷부분의 내부직경이 횡단하는 X 및 Y방향으로 이동하게 하기 위해서 목의 직경보다 더 커져야 되지만, 더 긴 편향코일은 전체적인 편향감도를 증가시킨다.

Claims (1)

  1. 좁은 목부분(11), 화면부분(10) 및 이 목부분과 화면부분 사이로 연장한 나팔관형 부분(12)를 갖고 있고 요오크(17)가 좁은 구멍과 넓은 구멍을 갖고 있는 깔때기형 구조로된 인-라인 비임형 컬러텔레비젼영상관(10)을 콘버젼스 조정하기 위한 요오크 장착 부재에 있어서, 특히, 상기 요오크의 상기 넓은 구멍 부근에 위치한 지점(P) 주위에서 피보트하도록 상기 넓은 구멍단부 부근의 상기관에 상기 요오크를 장착하기 위한 장착장치(44)와, 콘버젼스를 조정할 때 상기 피보트 지점 주위에서 요오크축을 경사지게 하도록 상기 관 주위에서 상기 요오크의 좁은 구멍 단부를 조정 가능하게 장착하고 상기 관의 목(11) 주위에 있도록 된 구멍(66,67,68)을 갖고 있으며 서로 90°호 떨어지고 서로를 향해 비스듬하게 구부러진 홈의 단부와 서로 평행한 목마개내의 홈을 통하여 연장한 나사를 포함하여 상기 요오크의 다른 단부에 고정되는 홈이 파인 목마개(49)를 포함하고 있는 조정장치(39)를 특징으로 하는 인-라인 비임 컬러텔레비젼 영상관용 요오크장착부재.
KR7701563A 1977-07-05 1977-07-05 인-라인 비임컬러텔레비젼 영상관용 요오크장착부재 KR8100013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701563A KR810001311B1 (ko) 1977-07-05 1977-07-05 인-라인 비임컬러텔레비젼 영상관용 요오크장착부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701563A KR810001311B1 (ko) 1977-07-05 1977-07-05 인-라인 비임컬러텔레비젼 영상관용 요오크장착부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10001311B1 true KR810001311B1 (ko) 1981-10-13

Family

ID=192045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7701563A KR810001311B1 (ko) 1977-07-05 1977-07-05 인-라인 비임컬러텔레비젼 영상관용 요오크장착부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10001311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448316A (en) Cathode ray tube
US5113112A (en) Color cathode ray tube apparatus
US4319163A (en) Electron gun with deflection-synchronized astigmatic screen grid means
FI60086B (fi) Sjaelvkonvergerande faergtelevisionsaotergivningssystem
JP2916478B2 (ja) 画像表示装置
JPH0594782A (ja) カラー表示管システム
JP3061389B2 (ja) カラー受像管装置
US4151561A (en) Adjustable yoke mounting for in-line beam color television picture tube
US4755714A (en) Electromagnetic deflection unit for a television picture display tube
US2729759A (en) Beam controlling apparatus
KR810001311B1 (ko) 인-라인 비임컬러텔레비젼 영상관용 요오크장착부재
US5498921A (en) Cathode ray tube apparatu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940003047B1 (ko) 비디오 표시 장치
US6348759B1 (en) Color cathode ray tube having an improved electron gun
US5001390A (en) Combination of a display tube and a deflection unit, with reduced north-south raster error
US4687966A (en) Deflection yoke for adhesive assembly and mounting
US3354336A (en) Ring magnetized across thickness with two diametrically opposed and oppositely oriented groups of magnetic pole pairs
US2986667A (en) Electron beam deflection
US4451807A (en) Television raster pincushion distortion correction device
KR910001400B1 (ko) 비임 형성 영역을 가진 음극 선관용 전자총
US2785329A (en) Expanded yoke for deflecting convergent beams
US3363127A (en) Permanent magnet beam control apparatus for a color television cathoderay tube
KR970003045B1 (ko) 칼라 디스플레이 시스템
USRE31552E (en) Electron beam and deflection yoke alignment for producing convergence of plural in-line beams
KR880001015B1 (ko) 도자성 교정기를 결합한 편향요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