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10001145Y1 - 전력계량기의 괘정공 - Google Patents

전력계량기의 괘정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10001145Y1
KR810001145Y1 KR2019800003474U KR800003474U KR810001145Y1 KR 810001145 Y1 KR810001145 Y1 KR 810001145Y1 KR 2019800003474 U KR2019800003474 U KR 2019800003474U KR 800003474 U KR800003474 U KR 800003474U KR 810001145 Y1 KR810001145 Y1 KR 81000114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ter
watt
case
hour meter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0000347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단흥덕
Original Assignee
단흥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단흥덕 filed Critical 단흥덕
Priority to KR2019800003474U priority Critical patent/KR81000114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1000114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10001145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1/00Electromechanical arrangements for measuring time integral of electric power or current, e.g. of consumption
    • G01R11/02Constructional detail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asuring Volume Flow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전력계량기의 괘정공
제1도는 본 고안의 요부를 발췌 표시한 사시도.
제2도는 괘정공이 못에 걸쳐진 상태를 표시한 확대 측단면도.
본 고안은 전력계량기의 괘정공에 관한 것이며 종래에는 못에 걸치는 걸고리 아리릿트 공이 천공되고 절곡가공된 부착면을 계량기 후판의 상면과 후면에 걸쳐 스폿트 용착으로 부착한 것으로 계량기의 무개를 지탱하기 위하여 상당한 두께의 철판을 사용해야 하기 때문에 귀한 원자재가 낭비될뿐더러 4각 입방체에 돌기부가 형성되므로서 장해가 되는 동시에 여기서 부합되는 포장박스의 부피 또한 확대되어 2중의 낭비가 강요되는 것이였다.
본 고안은 종래 계량기 후판의 후면 네곳에 형성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출돌기를 상부 중앙에 하나더 부설하여 여기에 못이 걸리는 걸고리 이미릿트공 즉 괘정공을 천설하여 별체의 부착편이 아닌 자체에 천설된 걸고리 공이 못에 걸쳐지므로 보다 견고한 괘정공을 완성하고 그 용출 부위내면에 차폐판을 고착하므로서 외기와의 통기를 차폐하여 대기중의 습기와 미진의 침입을 방지하여 계량기의 정밀작동에 저해됨을 방지하는 동시 전술한 종래의 폐단 결함을 일소코져 함에 목적이 있는바, 첨부도면에 의하여 그 구조 및 작용효과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투시될 수 있도록 초자제로 된 건판부와 결합조립되는 철판제로 된 계량기 후판부(1)의 후면(2) 상부 중앙에 융출돌기(3)를 돌설하여 그면상에 못(8)이 걸쳐지는 열쇠구멍 형상의 괘정공(4)을 타발 천설하고 그 융출부위 내주연면(5)에 차폐판(6)을 금속접착제로 또는 스폿트 융착으로 고착하여서 되는 전력계량기의 괘정공의 구조이다.
미설명부호 7은 접착 또는 용착부, 9는 벽이다.
이와같이 된 본 고안은 제1도와 같이 천설된 괘정공(4)을 벽(9)에 정착된 못(8)에 걸치면 제2도와 같이 괘결되어 안정되는데 별체의 부착편에 천설된 괘정공이 아니고 자체에 천설된 괘정공(4)에 걸쳐지므로서 보다 견고하고 신뢰성이 높으며 외기는 그 내부에 부착된 차폐판(6)에 의하여 차폐되어 습기나 미진이 침입하여 계량기의 정밀작동을 저해하지 못한다.
차폐판(6)은 0.3정도의 얇은 철판으로 족하며 스폿트 융착의 경우 후행되는 도료코오팅 과정에서 주연의 새틈이 완전히 밀폐된다.
이와같이 본 고안은 못이 걸쳐지는 괘정공이 자체에 형설되여 보다 견고할뿐 아니라 그 제작공정이 간소화되면서 귀중한 원자재가 크게 절약되며 하등의 장애 돌출부가 없어 그 포장상자의 크기가 축소되는 일석다조의 유효 유익한 것이다.

Claims (1)

  1. 도시한 바와같이 계량기 후판부(1)의 후면(2) 상부중앙에 융출돌기(3)을 돌설하여 그 면상에 괘정공(4)을 천설하고 그 융출부위 내주연면(5)에 차폐판(6)을 고착하여서 된 전력계량기의 괘정공.
KR2019800003474U 1980-05-28 1980-05-28 전력계량기의 괘정공 KR81000114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00003474U KR810001145Y1 (ko) 1980-05-28 1980-05-28 전력계량기의 괘정공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00003474U KR810001145Y1 (ko) 1980-05-28 1980-05-28 전력계량기의 괘정공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10001145Y1 true KR810001145Y1 (ko) 1981-09-17

Family

ID=192176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00003474U KR810001145Y1 (ko) 1980-05-28 1980-05-28 전력계량기의 괘정공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10001145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83375A (ko) * 2000-02-11 2001-09-01 원인호 방균성 창 및 이의제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83375A (ko) * 2000-02-11 2001-09-01 원인호 방균성 창 및 이의제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BE877126A (fr) Ensemble stratifie constitue d'un objet et d'une monture et procede pour sa fabrication
KR810001145Y1 (ko) 전력계량기의 괘정공
BE893588A (fr) Chassis de voirie a couvercle basculant amovible
JPS5853820Y2 (ja) スピ−カエンクロ−ジヤノ ホキヨウザイ
NO831210L (no) Fremgangsmaate ved fremstilling av et tungtsmeltende metall
JPS6326641Y2 (ko)
JPS6325446Y2 (ko)
JPS58174507U (ja) 接合金物
JPH0228905A (ja) フライバックトランス
JPH07403Y2 (ja) 屋外設置ごみ収納装置
JPS601384Y2 (ja) 粉体検出器
JPS5855134U (ja) 床点検口用蓋
JPS6118792Y2 (ko)
JPH0312506Y2 (ko)
JPS6110217Y2 (ko)
JPS6015357Y2 (ja) 電子機器等における外筐の組立構造
JPS5855806Y2 (ja) 函体の補強装置
BE870983A (fr) Tableau d'arrivee de secteur avec piece de montage amovible
JPS5985994U (ja) α汚染固体廃棄物の構内輸送用コンテナ
JP2533497Y2 (ja) 枠構造体の周部壁材への取付材の取り付け構造
JPH0617357Y2 (ja) 電波吸収体
JPH0755038Y2 (ja) 電磁シールドボックス
JPS5831116U (ja) ライニング基板への合成樹脂板の取付構造
JPH0211583Y2 (ko)
JPS5947787U (ja) 水抜き付き側溝用ブロツク