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10000712B1 - 벤즈아미드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벤즈아미드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10000712B1
KR810000712B1 KR7700316A KR770000316A KR810000712B1 KR 810000712 B1 KR810000712 B1 KR 810000712B1 KR 7700316 A KR7700316 A KR 7700316A KR 770000316 A KR770000316 A KR 770000316A KR 810000712 B1 KR810000712 B1 KR 8100007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mula
benzamide
morpholinoethyl
mixture
morpho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77003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뷜리부르카드
위스 피에르-샤르르
Original Assignee
쿠르트 네셀보쉬 한스 스튀클린
에프. 호프만-라 롯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쿠르트 네셀보쉬 한스 스튀클린, 에프. 호프만-라 롯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쿠르트 네셀보쉬 한스 스튀클린
Priority to KR77003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81000071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100007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10000712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95/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polymethylene-imine rings with at least five ring members, 3-azabicyclo [3.2.2] nonane, piperazine, morpholine or thiomorpholine rings, having only hydrogen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carbon atoms
    • C07D295/0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polymethylene-imine rings with at least five ring members, 3-azabicyclo [3.2.2] nonane, piperazine, morpholine or thiomorpholine rings, having only hydrogen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carbon atoms with substituted hydrocarbon radicals attached to ring nitrogen atoms
    • C07D295/1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polymethylene-imine rings with at least five ring members, 3-azabicyclo [3.2.2] nonane, piperazine, morpholine or thiomorpholine rings, having only hydrogen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carbon atoms with substituted hydrocarbon radicals attached to ring nitrogen atoms substituted by singly or doubly bound nitrogen ato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5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at least one nitrogen and one oxygen as the ring hetero atoms, e.g. 1,2-oxazin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Heterocyclic Carbon Compounds Containing A Hetero Ring Having Nitrogen And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벤즈아미드의 제조방법
본 발명은 벤즈아미드 유도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특별히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벤즈아미드 유도체는 아래의 일반식의 화합물 및 이의 N-옥사이드와 산부가염이다.
Figure kpo00001
상기식에서, X는 할로겐원자나 트리플루오로메틸 또는 C3-4의 알킬기를 나타낸다. Y는 수소, 할로겐원자 또는 니트로기이다. X나 Y에 의해 지칭된 할로겐원자는 염소, 불소, 브롬 또는 요드원자이다. C3-4의 알킬은 n-프로필, 이소프로필, n-부틸, 이소부틸, 1-메틸프로필 또는 t-부틸과 같은 3개 내지 4개 탄소원자를 포함하는 직쇄 또는 측쇄상의 알킬기이다.
구조식(I)의 화합물은 몰포리노기의 질소원자에 유기 또는 무기산과 부가염을 형성한다. 이와 같은 염의 예는 하이드로할 라이드(예, 염화수소), 인산염, 알킬설포네이트(예, 에탄설포네이트), 모노아릴설포네이트(예, 톨루엔설포네이트), 초산염, 구연산염, 벤조에이트등이다.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바람직한 벤즈아미드 유도체는 X가 할로겐원자를 나타내는 화합물이다. 또한 Y는 수소원자나 니트로기를 나타내는 벤즈아미드-유도체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벤즈아미드 유도체는 다음과 같다.
P-클로로-N-(2-몰포리노에틸)-벤즈아미드, P-플루오로-N-(2-몰포리노에틸)-벤즈아미드, P-브로모-N-(2-몰포리노에틸)-벤즈아미드, P-요드-N-(2-몰포리노에틸)-벤즈아미드, P-클로로-N-(2-몰포리노에틸)-2-니트로벤즈아미드.
본 발명에 의한 다른 바람직한 벤즈아미드는 아래와 같다.
α,α,α-트리플루오로-N-(2-몰포리노에틸)-P-톨루아미드, P-t-부틸-N-(2-몰포리노에틸)-벤즈아미드, 2,4-디클로로-N-(2-몰포리노에틸)-벤즈아미드, P-클로로-N-(2-몰포리노에틸)-벤즈아미드-N'-옥사이드.
전술한 벤즈아미드 유도체(즉, 구조식(I)의 화합물 및 이의 N-옥사이드 및 산부가염)의 제조방법은 아래와 같다.
(a) N-(2-아미노에틸)-몰포린을 아래 구조식(II)의 산 또는 이의 반응성이 큰이 관능유도체와 반응시키거나
Figure kpo00002
상기식에서
X와 Y는 전술과 같다.
(b) 몰포린을 일반구조식(III)의 화합물과 반응시키거나
Figure kpo00003
상기식에서 X와 Y는 전술과 같다.
R1은 수소원자를 나타내고 R2는 할로겐원자를 나타내거나 R1과 R2가 함께 부가결합을 나타낸다.
(c) 아래의 일반식(IV)의 화합물을 산화시키거나
Figure kpo00004
상기식에서 X와 Y는 전술과 같다.
(d) 아래 일반식(V)의 치오아마이드를 전환시켜 상응하는 아마이드로 만들거나,
Figure kpo00005
(e) 아래일반식(IV)의 니트론에서
Figure kpo00006
로 전환시키고 필요하면 구조식(I)의 생성화합물을 산화시켜 상응하는 N-옥사이드로 만들거나 구조식(I)의 화합물을 산부가염으로 전환시킨다.
Figure kpo00007
상기식에서 X와 Y는 전술과 같다.
구조식(Ⅱ)의 산의 반응성이 큰 관능유도체의 예는 할라이드(예, 클로라이드), 대칭 또는 혼합산무수물, 에스테르(예, 메틸에스테르, P-니트로페닐 에스테르 또는 N-하이드록시 석신이미드 에스테르), 아지드 및 아미드(예, 이미다졸리드 및 석신이미드)등이다.
N-(2-아미노에틸)-몰포린과 구조식(Ⅱ)의 산 또는 이의 반응성이 큰 관능유도체를 상기(a)방법에 따른 반응은 펩타이드화학의 통상의 방법에 따라 수행된다. 예를 들면 구조식(Ⅱ)의 유리산을 불활성용매에서 축합제의 존재에서 N-(2-아미노에틸)-몰포린과 반응시킨다. 만일 카보디이미드(예, 디사이클로헥실카보디이미드)를 축합제로 사용하면 이 반응은 -20℃ 내지 실온, 바람직하기로는 0℃에서 초산에틸, 디옥산,염화메틸렌, 클로로포름, 벤젠, 아세토니트릴 또는 디메틸포름아마이드에서 수행된다. 만일 삼염 화인이 축합제로 사용된다면 반응은 0℃에서 반응혼합물의 환류온도, 바람직하기로는 90℃에서 피리딘과 같은 용매에서 수행될 수 있다.
방법(a)의 또다른 구체화는 N-(2-아미노에틸)-몰포린을 상술한 구조식(Ⅱ)의 산의 반응성이 큰 관능유도체의 하나와 반응시킨다. 예를 들면 구조식(Ⅱ)의 산의 할라이드(예, 클로라이드)을 약 0℃에서 용매(예, 디에틸에테르, 피리딘, 또는 물)의 존재하 N-(2-아미노 에틸)-몰포린과 반응시킨다.
R1이 수소원자이고 R2가 할로겐원자를 나타내는 구조식(Ⅲ)의 혼합물을 P-클로로-N-(2-클로로에틸)-벤즈아미드 등과같은 N-(2-할로에틸)-벤즈아미드이다. R1과 R2가 부가결합을 나타내는 구조식(Ⅲ)의 화합물은 벤조일아지리딘(예, P-클로로-벤조일아지리딘 등)이다.
본 방법(b)의 구체화에 따라 몰포린을 기지의 방법으로 필요하면 용매의 존재중에서 반응혼합물의 환류온도 이하에서 구조식(Ⅲ)의 화합물과 반응시킨다. 구조식(Ⅲ)의 벤조일아지리딘이 사용 된다면 이 반응은 불활성용매(예, 톨루엔, 아세톤, 또는 벤젠)의 존재하 반응혼합물의 환류온도에서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일 구조식(Ⅲ)의 N-(2-할로에틸)-벤즈아미드가 사용된다면, 이 반응은 약 100℃에서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방법(c)의 구체화에 따른 구조식(IV) 화합물의 산화는 기지의 방법에 따라 과산화수소, 과망간산칼륨, 유기과산(과초산) 또는 물속에서 용매와 과산화수소를 방출하는 화합물(예, 알카리 금속과산화물 또는 과황산)에서 수행될 수 있다. 산화는 불활성 용매(예, 메타놀, 에타놀, 또는 아세톤)에서 수행하는 것이 적당하다.
구조식(V)의 치오아미드를 본 방법(d)의 구체화에 따라 구조식(I)의 상응하는 아미드로 전환하는 것은 반응혼합물의 환류온도 이하에서 불활성용매(예, 물)에서 4초산납을 사용하는 방법이나 반응혼합물의 환류온도 이하의 온도에서 저급알카놀(예, 메타놀)과 같은 불활성용매에서 1,2-부틸렌옥사이드를 사용해서 수행할 수 있다.
본 방법(e)의 구체화에 따라 구조식(VI)의 니트론을 구조식(I)의 화합물로 전환하는 것은 기지의 방법, 예를 들면 무수초산 또는 염화아세틸의 존재에서, 적당기로는 빙초산같은 용매에서 반응혼합물의 환류온도 이하에서 바람직하기로는 약 90℃에서 수행될 수 있다.
구조식(I)의 화합물은 약 0℃ 내지 50℃에서, 바람직하기로는 실온에서 빙초산같은 용매에서 과산화수소나 과산(예, 과초산) 같은 산화제를 사용하여 상응하는 N-옥사이드로 전환될 수 있다.
구조식(Ⅱ), (Ⅲ), (IV), (V) 및 (VI)의 출발물질은 기지의 화합물이거나 기지화합물의 유사물이고 기지의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구조식(I)의 화합물, 이의 N-옥사이드 및 산부가염은 모노아미노옥시다제 (MAO) 금지작용을 갖는다.
이 작용때문에 구조식(I)의 화합물, 이의 N-옥사이드 및 약학적으로 무독한 산부가염이 우울한 상태를 치료하는데 사용된다.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들의 MAO 금지작용은 표준방법을 사용하여 결정된다. 시험될 화합물을 쥐에 경구 투여한다. 1시간후 쥐는 모두 죽었고 간균등질에서 MAO 금지작용은 Biochem Pharmacol 12(1963)1439-1441에 기술된 방법에 따라 측정했다. 본 발명에 따른 대표화합물을 사용해 측정된 상기 작용과 독성은 다음 표와 같이 ED50값(μ㏖/kg쥐에 경구투여) 및 LD50값(mg/kg 경구투여)를 나타낸다.
[표 1]
Figure kpo00008
LD50(mg/kg, 경구투여)으로 표시된 P-클로로-N-(2-몰포리노에틸)-벤즈아미드의 독성은 10일후 707±55이었다.
구조식(I)의 화합물, 이의 N-옥사이드 및 이의 약학적으로 무독한 산부가물은 적합한 담체를 사용하여 약학적 제제의 형태로 약물로서 사용될 수 있다. 이 담체는 물, 젤라틴, 아라비아검, 락토오즈, 전분 스테아린산마그네슘, 탈크, 식용유, 폴리알킬렌글리콜 등과 같은 경구 또는 비경구에 적합한 유기 또는 무기불활성담체이다. 약학적제제는 고형제(예, 정제, 당의정, 좌재 또는 캡슐제)나 액제(예, 액제, 현탁제, 유제)로 만들어질 수 있다. 이것들은 무균화되어야하고 및/또는 보존재,안정제, 습윤제, 유화제, 삼투압이나 완충제를 변형시키는 염과 같은 적합한 보조제를 포함할 수 있다. 이것들은 또한 다른 치료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적합한 약학적 투여형태는 구조식(I)의 화합물, 이의 N-옥사이드 또는 이의 약학적 무독한 산부가염 약 1 내지 100mg을 포함한다. 적합한 경구투여 범위는 일일 약 0.1mg/kg 내지 5mg/kg이다. 적합한 비경구투여 범위는 일일 약 0.01mg/kg 내지 0.5mg/kg 이다. 이 범위는 개인적 요구와 의사의 지시에 따라 상향 또는 하향으로 확장될 수 있다. 경구투여가 바람직하다.
다음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방법을 설명한다.
[실시예 1]
35g의 P-클로로벤조일클로라이드를 26g의 N-(2-아미노에틸)-몰포린을 200ml 녹인 용액에 빙수로 냉각 교반하며 가열한다. 이 혼합물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고 증발 건고시킨다. 잔유물을 200ml씩의 톨투엔으로 두 번 증발시킨다. 잔유물을 300ml의 빙수와 300ml의 염화메틸렌에 취하고 3N-수산화나트륨용액으로 염기성을 만든다. 이층을 분리하고 염화메틸렌 추출물을 물로 세척하고 황산나트륨상 탈수하고 증발 건고시킨다. 잔유물을 이소프로파놀로 재결정시킨다. 41.5g의 P-클로로-N-(2-몰포리노에틸)-벤즈아미드(융점 137℃)가 수득된다.
다음의 화합물이 유사한 방법으로 제조된다.
α,α,α-트리플루오로-N-(2-몰포리노에틸)-P-톨루아미드, 융점 120℃-121℃
P-t-부틸-N-(2-몰포리노에틸)-벤즈아미드, 융점 94℃ ; P-플루오로-N-(2-몰포리노에틸)-벤즈아미드, 융점 136℃-137℃ ; P-브로모-N-(2-몰포리노에틸)-벤즈아미드, 융점 140℃-141℃ ; P-요도-N-(2-몰포리노에틸)-벤즈아미드, 융점 160℃ ;
2, 4-디클로로-N-(2-몰포리노에틸)-벤즈아미드, 융점 120℃ ;
[실시예 2]
13g의 N-(2-아미노에틸)-몰포린을, 17.5g의 P-클로로벤조일클로라이드를 100ml의 디에틸에테르에 녹인 용액에 빙수로 냉각 교반하면서 점적가한다. 완전히 다가한 후 혼합물을 실온에서 2시간 교반한다.
결정성 생성물을 여과하고 디에틸에테르로 세척한다. 9.1g의 P-클로로-N-(2-몰포리노에틸)-벤즈아미드하이드로클로라이드(융점 207-208℃)을 이소프로파놀로 재결정한 후 수득한다.
유사한 방법으로 4-클로로-N-(2-몰포리노에틸)-2-니트로벤즈아미드 하이드로클로라이드가 수득된다.
[실시예 3]
100ml의 피리딘에 4.55g의 N-(2-아미노에틸)-몰포린을 녹인 용액에 10.5g의 P-클로로벤조인 산무수물을 빙수로 냉각 교반하면서 소량씩 가한다. 완전히 다가한후 혼합물을 밤새 실온에서 교반하고 증발 건고시킨다. 잔유물을 각 100ml씩의 톨루엔으로 두 번 증발시킨다. 고형잔유물을 200ml의 염화메틸렌과 200ml의 물에 취하고 3N-수산화나트륨으로 알카리성으로 만든다. 이층을 분리하고 염화메틸렌추출물을 물로 세척하고 황산나트륨상에서 탈수시킨다음 증발시킨다. 잔유물을 이소프로파놀로 재결정시킨다. 4.5g의 P-클로로-N-(2-몰포리노에틸)-벤즈아미드(실시예 1에서 수득된 생성물과 동일하다)가 수득된다.
[실시예 4]
150ml의 아세톤에 8.6g의 P-클로로벤조인산과 7.6ml의 트리에틸아민을 녹인 용액에 5.3ml의 클로로포르민산에틸에스테르를 빙수로 냉각 교반하면서 점점 가한다. 0℃에서 1시간 후, 50ml의 아세톤에 6.5g의 N-(2-아미노에틸)-몰포린을 녹인 용액을 혼합물에 점적 가하고 이 혼합물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한다. 그런다음 농축시키고 냉장고에서 2시간 방치한 후 여과한다.이 여액을 증발건고 하고 잔유물을 250ml의 물과 250ml의 염화메틸렌에 취한다. 층을 분리하고 염화메틸렌추출물을 황산나트륨에서 탈수시키고 증발시킨다. 이 잔유물을 이소프로파놀로 재결정한다. 실시예 1에서 수득한 생성물과 동일한 P-클로로-N-(2-몰포리노에틸)-벤즈아미드를 7.8그람 수득한다.
[실시예 5]
8.2g의 P-클로로벤조인산메틸에스테르와 6.25g의 N-(2-아미노에틸)-몰포린을 120℃에서 6시간동안 함께 교반한다. 이 혼합물을 실온에서 냉각시키고 40ml의 디에틸에테르를 가한다. 혼합물을 냉장고에서 밤새 정치한다. 결정성 생성물을 여과하고 디에틸에테르로 세척하고 이소프로파놀로 재결정한다. 실시예 1에서 수득한 생성물과 동일한 P-클로로-N-(2-몰포리노에틸)-벤즈아미드를 2.6그람 수득한다.
[실시예 6]
100ml의 테트라하이드로푸란에 2.6g의 N-(2-아미노에틸)-몰포린을 녹인 용액에 5.55g의 P-클로로벤조인산 P-니트로페닐에스테르를 가한다음 이 혼합물을 밤새 실온에서 정치한다. 증발건고하고 잔유물을 200ml의 염화메틸렌에 취한다. 염화메틸렌용액을 1%수산화나트륨 50ml씩 5회 세척하고 중화가 될 때까지 50ml씩의 물로 두 번 세척한 후 황산나트륨상에서 탈수하고 증발건고 시킨다. 잔유물을 이소프로파놀로 재결정시킨다. 실시예 1에서 수득한 생성물과 동일한 P-클로로-N-(2-몰포리노에틸)-벤즈아미드를 3.1g 수득한다.
[실시예 7]
100ml의 디옥산에 1.3g의 N-(2-아미노에틸)-몰포린을 녹인 용액에 2.4그람의 N-(P-클로로벤조일)-석신이미드를 가한다음 이 혼합물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한다. 그런후 증발 건고시킨다. 50ml의 빙수를 오일성 잔유물에 가한다음 결정화되는 혼합물을 냉장고에서 밤새 정치한다. 이 생성물을 여과하고 찬물로 세척한 후 탈수시키고 이소프로파놀로 재결정한다. 실시예 1에서 수득된 생성물과 동일한 P-클로로-N-(2-몰포리노에틸)-벤즈아미드가 0.65g 수득된다.
[실시예 8]
7.8g의 P-클로로벤조인산과 6.5g의 N-(2-아미노에틸)-몰포린을 150ml의 피리딘에 녹인다. 10.5g의 디사이클로헥실카보이미드를 4℃에서 가하고 이 혼합물을 4˚에서 4시간 교반하고 실온에서 밤새 교반한다. 이 혼합물을 1리터의 물에 붓고 형성된 디사이클로헥실 우레아를 여과한다. 여액을 200ml씩의 염화메틸렌으로 두 번 추출한다. 염화메틸렌추출액을 황산나트륨상에서 탈수하고 증발건고한 후 잔유물을 이소프로파놀로 재결정한다. 실시예 1에서 수득된 생성물과 동일한 P-클로로-N-(2-몰포리노에틸)-벤즈아미드를 0.6g 수득한다.
[실시예 9]
20ml의 피리딘에 2.8g의 삼염화인을 녹인 액을 80ml의 피리딘에 5.2g의 N-(2-아미노에틸)-몰포린을 녹인 액에 15분에 걸쳐 -5℃에서 교반하며 가한다. 이 혼합물을 -5℃에서 30분간 교반하고 실온에서 90분간 교반한다. 증발건고한 후 잔유물을 100ml씩의 톨루엔에 두 번 증발시킨다. 고형잔유물을 100ml의 염화메틸렌과 100ml의 빙수에 취하고 이 혼합물을 3N수산화나트륨용액으로 염기성으로 만든다.
[실시예 10]
55.4g의 P-클로로벤조일아지리딘과 26.5g의 몰포린을 250ml의 톨루엔 중에서 2시간동안 환류하 비등시킨다. 이 용액을 실온까지 냉각시키고 생성된 결정을 분리한다.
결정화되는 용액을 냉장고에 밤새 정치한다. 생성물을 여과하고 톨루엔으로 세척하고 이소프로파놀로 재결정한다. 실시예 1에서 수득된 생성물과 동일한 P-클로로-N-(2-몰포리노에틸)-벤즈아미드를 75.9g을 수득한다.
[실시예 11]
5.45g의 P-클로로-N-(2-클로로에틸)-벤즈아미드와 8.7g의 몰포린을 100℃에서 2시간동안 교반한다. 이 혼합물을 실온까지 냉각시키고, 50ml씩의 물을 가한다. 이 혼합물을 10%암모니아용액으로 염기성으로 만들고 50ml의 염화메틸렌으로 3회 추출한다. 염화메틸렌추출물을 황산나트륨상에서 탈수하고 증발시킨다. 이 잔유물을 클로로포름과 에타놀의 혼합물을 사용하여 실리카겔상 크로마토그라피한다. 이 생성물을 이소프로파놀로 재결정한다.
실시예 1에서 수득된 생성물에 동일한 P-클로로-N-(2-몰포리노에틸)-벤즈아미드가 2.2g이 수득된다.
[실시예 12]
26g의 P-클로로벤즈알데히드와 24g의 N-(2-아미노에틸)-몰포린을 150ml의 벤젠에 넣어 분리되는 물과 함께 3시간동 안환류하 가열한다. 이 혼합물을 증발건고시킨 후 잔유물을 165℃/0.01mmHg에서 증류시킨다. 생성된 4-{2-[(P-클로로벤질리덴)아미노]-에틸}-몰포린 5g, 2.3g의 초산나트륨 및 3ml의 30%의 과산화수소를 60ml의 메타놀에 넣어 실온에서 밤새 교반한다. 그런후 이 혼합물을 증발건고시키고 잔유물을 50ml의 염화메틸렌과 50ml의 물에 취한다. 층이 분리되고 수층을 50ml의 염화메틸렌으로 추출한다. 염화메틸렌추출물을 황산나트륨상에서 탈수시키고 증발시킨다. 잔유물을 클로로포름과 에타놀의 혼합물을 사용해서 실리카겔상 크로마토그라피한다. 순수한 획분을 합하고 증발시킨 후 잔유물을 이소프로파놀로 재결정시킨다. 실시예 1에서 수득한 생성물과 동일한 P-클로로-N-(2-몰포리노에틸)-벤즈아미드 0.7g을 얻는다.
[실시예 13]
900mg의 P-클로로-N-(2-몰포리노에틸)-처오벤즈아미드 하이드로클로라이드를 2g의 사초산납과 함께 100ml의 물에 넘어 환류하 10시간 비등시킨다. 이 혼합물을 여과하고 여액을 증발건고시킨다. 잔유물을 클로로포름과 에타놀의 혼합물을 사용하여 실리카겔상 크로마토그라피시킨다. 생성물을 이소프로 파놀로 재결정시킨다. 실시예 1에서 수득한 생성물과 동일한 P-클로로-N-(2-몰포리노에틸)-벤즈아미드 0.3g을 수득한다.
[실시예 14]
1.0g의 P-클로로-N-(2-몰포리노에틸)-치오벤즈아미드 하이드로클로라이드를 35ml의 1,2-부틸렌과 100ml의 메타놀중에서 14시간 환류하 비등시킨다. 혼합물을 증발건고 시키고 잔유물을 이소프로파놀로 재결정한다. 0.6g의 P-클로로-N-(2-몰포리노에틸)-벤즈아미드(실시예 1에서 수득한 생성물과 동일)를 수득한다.
[실시예 15]
4.0g의 α-(P-클로로페닐)-N-(2-몰포리노에틸)-니트론을 15ml의 빙초산과 15ml의 무수초산에 넣고 90℃에서 24시간 가열시킨다. 이 혼합물을 실온까지 냉각시키고 200ml의 빙수에 붓고 20% 수산화나트륨용액으로 알카리성으로 만든다. 그런후 이 혼합물을 100ml씩의 염화메틸렌으로 두 번 추출한다. 염화메틸렌추출물을 물로 세척하고 황산나트륨에서 탈수시키고 증발시킨다. 잔유물을 클로로포름과 에타놀의 혼합물을 사용하여 실리카겔상 컬럼크로마토 그라피한다. 생성물을 이소프로파놀로 재결정시킨다. 실시예 1에서 수득한 생성물과 동일한 P-클로로 N-(2-몰포리노에틸)-벤즈아미드 0.13g 수득한다.
[실시예 16]
1.0g의 P-클로로-N-(2-몰포리노에틸)-벤즈아미드를 50ml의 빙초산에 녹인 용액에 250ml의 30% 과산화수소를 가한 다음 이 혼합물을 실온에서 48시간 정치한다. 이 혼합물을 증발건고 시키고 잔유물을 클로로포름과 에타놀의 혼합물을 사용하여 실리카겔상 크로마토그라피한다. 순수한 획분을 증발시키고 잔유물을 초산에틸/이소프로필에테르의 혼합물로 재결정시킨다. 6.8g의 P-클로로-N-(2-몰포리노에틸)-벤즈아미드 N'-옥사이드(융점 201℃, 분해)가 수득된다.
아래에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의 전형적인 약학적 재제형태의 예를 나타냈다.
[재제형태 A]
다음의 조성을 갖는 정제는 기지의 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다.
P-클로로-N-(2-몰포리노에틸)-벤조아미드 50mg
락토오즈 95mg
옥수수전 100mg
탈크 4.5mg
스테아린산마그네슘 0.5mg
일정의 무게 250.0mg

Claims (1)

  1. N-(2-아미노에틸)-몰포린을 다음 구조식(Ⅱ)의 산 또는 이의 반응성이 큰 관능 유도체와 반응시키거나 몰포린을 다음 구조식(Ⅲ)의 화합물과 반응시키거나 다음 구조식(IV)의 화합물을 산화시키거나 구조식(V)의 치오아미드를 상응하는 아미드로 전환시키거나 구조식(VI)의 니트론에서
    Figure kpo00009
    기를
    Figure kpo00010
    NH기로 전환시켜 구조식(I)의 화합물을 제조하거나, 이를 산화시켜 상응하는 N-옥사이드로 전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다음 구조식(I)의 벤즈아미드 N-의 옥사이드 또는 그의 산부가염을 제조하는 방법.
    Figure kpo00011
    상기식에서 X는 할로겐원자 또는 트리플루오로메틸 또는 C3-4의 알킬을 나타낸다.
    Y는 수소, 할로겐원자 또는 니트로기이다.
    R1은 수소원자를 나타내고, R2는 할로겐원자를 나타내거나, R1과 R2가 부가결합을 나타낸다.
KR7700316A 1977-02-14 1977-02-14 벤즈아미드의 제조방법 KR8100007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700316A KR810000712B1 (ko) 1977-02-14 1977-02-14 벤즈아미드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700316A KR810000712B1 (ko) 1977-02-14 1977-02-14 벤즈아미드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10000712B1 true KR810000712B1 (ko) 1981-06-25

Family

ID=192038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7700316A KR810000712B1 (ko) 1977-02-14 1977-02-14 벤즈아미드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10000712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FI71126C (fi) Foerfarande foer framstaellning av n-(1-alkyl- eller allyl -2-pyrrolidinylmetyl)-2-metoxi-4-amino- -5-alkylsulfonylbensamider
PT848703E (pt) Derivados de benzosulfonamidas como inibidores da enzima ciclo-oxigenase ii
JPH07149745A (ja) 新規な2−アミノチアゾール誘導体
FI67378B (fi) Foerfarande foer framstaellning av nya terapeutiskt anvaendbara tiazolidin- och tiazanderivat
KR20010070442A (ko) 에테르 및 아미드 화합물 및 항당뇨병제로서의 그의 제제
US4210754A (en) Morpholino containing benzamides
US4087526A (en) (3-Amino-5-substituted-6-fluoropyrazinoyl or pyrazamido)-guanidines and their derivatives bearing substituents on the guanidino nitrogens
HU200747B (en) Process for producing new nitroaliphatic compounds
US4210660A (en) Benzamide derivatives
KR810000712B1 (ko) 벤즈아미드의 제조방법
JPS6330908B2 (ko)
EP0341081B1 (en) Novel amino acid derivatives
KR880002706B1 (ko) 설포닐 우레아의 제조방법
FI65426C (fi) Analogifoerfarande foer framstaellning av nya farmakologiskt verkande n-(2-morfolinoetyl)bensamider
SU1493106A3 (ru)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 производных изоксазола
US4530843A (en) Isoindole amidoxime derivatives
US4446142A (en) Substituted oxadiazoles and thiadiazoles, and methods of preparation and use thereof
US5091403A (en) Sulfinyl imidazole derivatives and antiulcer agents containing the same
FR2516510A1 (fr) Derives de la (trimethoxy-3,4,5-cinnamoyl)-1-aminocarbonylethyl-4-piperazine substituee utilisables en pharmacie et procede pour leur preparation
EP0185368B1 (en) Aminobenzamide derivatives
US4028363A (en) Isoquinoline derivatives
IE921589A1 (en) Therapeutic agents
JPS595593B2 (ja) 3 カンジヨウスルホキシドユウドウタイノ セイゾウホウホウ
PT100628A (pt) Derivados de tetra-hidrobenzazepina que inibem a lipoxigenase e processo para a sua preparacao
US4226865A (en) Method of treating depress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