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10000622B1 - 로울상 레이블(label) 연속체의 지지장치 - Google Patents
로울상 레이블(label) 연속체의 지지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810000622B1 KR810000622B1 KR7602301A KR760002301A KR810000622B1 KR 810000622 B1 KR810000622 B1 KR 810000622B1 KR 7602301 A KR7602301 A KR 7602301A KR 760002301 A KR760002301 A KR 760002301A KR 810000622 B1 KR810000622 B1 KR 81000062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re
- opening
- main body
- closing
- locking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C—LABELLING OR TAGGING MACHINES, APPARATUS, OR PROCESSES
- B65C11/00—Manually-controlled or manually-operable label dispensers, e.g. modified for the application of labels to articl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C—LABELLING OR TAGGING MACHINES, APPARATUS, OR PROCESSES
- B65C11/00—Manually-controlled or manually-operable label dispensers, e.g. modified for the application of labels to articles
- B65C11/002—Manually-controlled or manually-operable label dispensers, e.g. modified for the application of labels to articles modified for the application of labels to articles
- B65C11/004—Manually-controlled or manually-operable label dispensers, e.g. modified for the application of labels to articles modified for the application of labels to articles label feeding from strip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16/00—Unwinding, paying-out webs
- B65H16/02—Supporting web roll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C—LABELLING OR TAGGING MACHINES, APPARATUS, OR PROCESSES
- B65C2201/00—Portable tools for labelling or tagging, associated with holders when in us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C—LABELLING OR TAGGING MACHINES, APPARATUS, OR PROCESSES
- B65C2210/00—Details of manually controlled or manually operable label dispensers
- B65C2210/0072—Specific details of different par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10—Handled articles or webs
- B65H2701/19—Specific article or web
- B65H2701/192—Label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801/00—Application field
- B65H2801/75—Labelling machines
Landscapes
- Labeling Devices (AREA)
- Storage Of Web-Like Or Filamentary Material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제1도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핸드 레이블러(hand labeler)의 전체측면도.
제2도는 등평면도.
제3도는 본발명의 지지장치를 핸드 레이블러의 기틀에 장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제4도는 제3도와 반대의 방향에서 본 사시도.
제5도는 권심과 지지장치를 구성하는 부재를 분해하여 나타낸 사시도.
제6도는 제1도의 Ⅵ-Ⅵ선에 따르는 단면도.
제6a도는 권심을 부착하기 전의 상태도.
제6b도는 권심을 부착한 후의 상태도임.
제7도는 제1도의 Ⅶ-Ⅶ선에 따르는 단면도.
제7a도는 권심을 부착하기 전의 상태도.
제7b도는 권심을 부착한 후의 상태도임.
본 발명은 핸드 레이블러(hand labeler) 등에서의 로울상 레이블 연속체의 지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널리 알려진 로울상 레이블연속체의 지지장치는자형으로 된 한쌍의 가요성 지지측판으로 형성되고, 그 내측의 원형돌부상에 권심의 내경을 완만하게 삽입하여 로울상 레이블 연속체를 지지하였는데, 이러한 종류의 것은 착탈할때마다 상기 지지측판 외측으로 벌려야하기 때문에 권심의 착탈이 불편할뿐 아니라, 지지측판이 변형되거나 파손되어 로울상 레이블 연속체를 확실하게 지지할 수가 없다.
또한 지지장치는 착탈자재로 계지되는 계지들기부의 가요성 태브(tab)가 복수개원형으로 일체로 배열된 권심 지지회전체를 핸드레이블러의 상부 측판에 회전가능하게 추착하였기때문에, 상기 권심에 말려진 테이프상 레이블연속체를 인출하는 경우 항상 적정한 인장력을 권심에 주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계지돌기부로 된 가요성 태브를 가진 지지장치는 하기와 같은 결점을 가지고 있는 것이 판명되었다. 즉 첫째 상기 가요성 태브는 구성상 단소(短小)로 되지 않으면 안되므로, 태브가 약간의 가요성 밖에는 유지할 수 없어 권심감착에 강한 압입력을 필요로 하였다.
둘째 레이블 연속체를 다쓰로 나서 권심만을 태브에서 제거할 경우, 권심을 경사지게 비틀어서 강하게 잡아당겨 제거하지 않으면 안되기 때문에 작업자에게 불안감 및 불쾌감을 줄뿐 아니라 태브가 자주 파손되었다.
세째 권심의 착탈을 장시간 반복하게 되면 태브의 가요도가 퇴화하여 권심을 지지하는 힘이 약화되고, 핸드레이블러의 사용도중 로울상 레이블 연속체가 기체(機體) 외로 이탈되는 경우가 빈번하였다.
이리하여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결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종래 권심의 착탈방법이 태브의 가요성에만 의존하고 있었던것을 폐지하고 신규로 설치한 스프링의 탄발력에 의하여, 그스프링과 별체의 태브를 회동시켜서, 그 태브와 권심을 계지하거나 제거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즉 첫째, 로울상 레이블 연속체를 지지장치에 합리적으로 착탈할 수 있고,
둘째, 로울상 레이블연속체가 지지장치에 항상 확실하게 지지되어서, 핸드레이블러의 사용중 기체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구성한 핸드레이블러등에서의 로울상 레이블연속체의 지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하기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제5도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의 지지장치(10)를 대별하여 설명하면 개페체 (1), 본체(2), 계외부재(係外部材)(3), 개폐스프링(4) 및 후부커버(5)와 계지스프링( 41), 전부커버(8)로 구성되며, 각부재를 세부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개폐체(1)는 지지장치(10)의 일변내측(권심(6)이 부착되는 쪽)에 위치하며, 대향한 반원판(40)의 사이에 구형상의 개폐공(12)이 개구하고, 그 개폐공(12)의 단변(11) 주위에는 한쌍의 압압부(13)가, 또 장변(19) 주위에는 상기 반원판(40)을 사이를 두고 상기 압압부(13)보다도 좁은 압압부(13´)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이들 압압부(13),(13´)는 각기 외주면이 동일 원주상에 있도록 호상(狐狀)을 이루고 있는 동시에, 권심(6)의 방향으로 직각으로 절곡되어, 권심(6)측에 권심압압면(14)을 각기 형성하고 있고 이 압압면(14)과 반대측의 저면(17)에는 제6도(a),(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개폐공(12)을 협지하고 대향하는 위치에 한쌍의 개폐스프링 지지돌기( 15)가 돌설되어 있다. 본체(2)는 권심(6)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상기 개폐체(1)의 압압부(13)(13´)의 외경과 동경(同徑)의 환상부(21)와, 이것보다 약간 소경(小徑)으로 형성된 단부(22)와, 이 단부(22)보다 소경의 환상구(23)와, 이 환상구(23) 보다 약간 대경으로 되어 있고 동시에 그 원주를 4등분한 4개소에 V형의 절결(25)이 요(凹)설 되어 있는 환상(24)이 상기한 순서로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그 중앙에는 구형상의 부착공(27)이 축선방향으로 형설되어 있고, 상기 환상부(21)의 주연 4개소에는 법선방향의 단면이 각형으로 형성된 선형(扇形)의 안내부(28)가 권심의 방향으로 입설되어 있고, 이 안내부(28)의 V상의 양측은 각기 안내면(50)으로 되어 있어, 상기 개폐체 (1)의 각 압압부(13)(13´)의 측면(49)을 정확히 안내하도록 되어 있다. 또 본체(2)의 상기 개페체(1)의 저면(17)과 대향하는 면에는 상기 개폐스프링 지지돌기 (15)와 합치하는 위치에 한쌍의 페쇄공(29)이 형설되어 있으며, 개폐체(1)와 본체(2)와가 조합된 상태에 있어서, 이 개페스프링 지지돌기(15) 폐쇄공(29)에 걸쳐서 개폐스프링( 4)이 각기 삽입되고 또 상기 부착공(27)과 환상(24) 주위의 절결(25) 사이에 관통된 핀 구멍(26)이 제5도에서 부착공(27)의 내측면의 상하단에, 좌우 양측으로 각기 수평으로 모두 4개형성 되어 있다.
게외부재(3)는 대략 "<"자형으로 형성되고, 그 한쪽의 단부에는 계지부(31), 타단에는 아암(32)을 통하여 제거용손잡이(33)가 각기 설치된 좌우대칭형의 한쌍의 부재이다. 계지부(31)의 외면은 단상(段狀)으로 되어 있으며, 권심에 가까운 쪽으로부터 먼쪽으로 향하여 차례로, 계지철(凸)부(34), 내공계 지단부(35), 제거단부(36) 및 부착홈(37)이 차례로 낮아지도록 형성되어 있고, 또 계지부(31)의 내면에는 각기 대향하는 위치에 폐쇄공(38)이 천설되어 있는 동시에 각 계외부재(3)의 중앙굴절부의 측면 단부에는 상기본체(2)의 핀구멍(26)과 대략 동일직경의 핀구멍(39)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아암(32)은 계지부(31)와 제거용 손잡이(33)가 연결되는 중심선에서 한쪽으로 치우친 위치에 각기 위치되어, 한쌍의 게외부재(3)의 각계지부(31) 내면을 대향시켜서 중합시켰을 때에, 각기 아암(32)이 서로 틀리게 교차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들 계지부(31)들을 종합시킨 경우에, 상기 폐쇄공(38)들간에 걸쳐서 계지스프링(41)이 삽입된다.
다음, 후부카버(5)는 원통부(51)와 절두원추부(切頭圓錐部)(52)와 정부(53)로 이루어지고, 원통부(51)와 절두원추부(52)는 대향하는 2개소가 크게 절결되어 개구부(54)를 형성하고 있다. 또, 원통부(51)의 단부는 내측으로 향한 각형으로 구부려져서, 호상의 돌조(55)를 형성하고 있다.
또, 전부(前部) 카버(8)는 상기 개폐체(1)의 반원판(40)을 덮는 것으로, 반원상의 상판(81)과, 그 반원상에 따라서 만곡되어 있는 측판(82)과, 저판(83)과, 상기 상판(81)의 직선상의 연부에 입설된 기립판(84)이 일체로 형성된 한쌍의 부재로 구성되어 있고 각 전부카버(8)의 측판(82)과 저판(83)의 중앙과 양단에는 그 측판(82)의 중간정도에서 저판(83)의 전체에 걸쳐 각기 절결부 (85),(86)가 형성되어 있다. 또 측판(82)의 폭은 후기하는 바와 같이, 상판(81)과 저판(83)과의 사이를 개폐체(1)가 이동할 수 있도록, 개폐체(1)의 반원판(40)의 두께보다 폭넓게 형성되어 있다.
이상과 같은 각 부재는 게3,4,6,7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조립되어 핸드레이블러의 상부에 설치된 완상측판(7)에 장착되는데, 즉 개폐체(1)의 폭이 좁은 압압부(13´)의 외측에서, 이 압압부(13´)를 절결부(85)에 통하도록 하여 저부카버(8)를 덮고, 개폐체(1)의 반원반(40)의 만곡측면에, 측판(82)의 내면을 접하게 한다.
다음에, 이 전부카버(8)를 덮은 개폐체(1)를 그 4개소에 형성된 압압부(13 ),(13)의 측면(49)에 의하여, 본체(2)의 안내부(28)의 안내면(50)으로 안내되게 하여, 4개소의 공소(空所)에 각기 정확히 감입하고, 전부카버(8)의 저판(83)을 본체(2)에 밀착시키고서, 이들을 상기 완상측판(7)에 뚫린 회전공(71)에, 내측(제5도에 있어서 손앞쪽)으로부터 감입한다.
이 회전공(71)의 내주면은 내측의 대경부(72)와 외측의 소경부(73)와의 2단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본체(2)의 단부(22)가 그 소경부(73)에, 본체(2)의 환상부(2 1)과 안내부(28) 및 개폐체(1)의 압압부(13),(13´)의 각 외주면이 대경부(72)에 삽입되기 때문에, 각기 지지장치(10)의 회전에 지장이 없으며, 또 후기하는 테이프상 레이블연속체(70)가 인장되어 졌을때에 적당한 회전마찰이 있도록 완감한다. 또 상기한 바와같이 개폐스프링 지지돌기(15) 폐쇄공(29)에 걸쳐서 개폐스프링(4)이 미리 삽입되어 있다.
다음에, 계외부재(3)의 폐쇄공(38)에 계지스프링(41)을 걸치고, 또 각기 계지부(31)들의 내면끼리 접근시켜서, 이것을 본체(2)의 부착공(27)에 환상(24) 주위측에서 삽입하고, 계지부(31)의 각선단 부분을 개폐체(1)의 개폐공(12)에 위치시킨다. 이 경우, 제1도(a)에 도시하는 계지부(31)의 제거단부(36)에 상기 개폐체(1)의 개폐공( 12)의 단변주위(11)의 내측부분(16)을 접하여 계지한다.
또, 상기본체(2)의 4개소중 1개소의 환상(24) 주위에 천설된 한쌍의 핀구멍 (26)과, 계외부재(3) 중 한쪽의 핀구멍(39)이 일직선상으로, 그리고 또 본체( 2)의 대향하는 다른쪽의 환상(24) 주위에 천설된 핀구멍(26)과, 다른쪽의 계외부재( 3)의 핀구멍(39)이 일직선으로 되기 때문에, 이들의 구멍에 각기 핀(42)을 삽통하여 위치 결정한다.
또, 이계외부재(3)의 제거용손잡이(33)의 외측(배후)에서 후부카버(5)를 제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거용손잡이(33)가 개구부(54)에서 돌출되도록해서 덮고, 또 후부카버(5)의 돌조(55)를 본체(2)의 환상구(23)에 계지시켜서 조립을 종료한다. 또, 돌조(55)는 제6도(b)에 도시한 바와같이 그 내측의 계지면(57)이 환상구(23)의 후부게합면(20)에 압접하여 계지되지만, 돌조(55)의 전면(외측면)(58)과 완상측판 (7)의 외측면(74)과의 사이에는 지지장치(10)이 회전에 지장이 없도록 약간의 간격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같이 완상측판(7)에 고정된 지지장치(10)의 외주면에 최종적으로 테이프상 레이블연속체(70)가 로울상으로 권부(卷付)된 권심(6)을 장착하는 것으로서, 제3도에서 제5도를 참조하여 권심(6)의 구성을 설명하면, 원통의 내경부 (61) 보다도 소경의 내공(62)을 동심으로, 그리고 원통의 일단에 가지고 있으며, 동시에, 다른 일측단면(63)보다도 폭이 넓게 형성된 한쪽단면(64)과, 그 한쪽단면(64)의 이면(65)과에 의하여 부착부(60)가 형성되어 있다. 이 한쪽단면(64)의 외주부근에는 각기 대향한 선형의 공전정지 요부(66)가 요설되고, 이 공전정지 요부(66)와 인접한 한쪽단면(64)의 잔여부분에는 소권용철(凸)상 단면(67)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다른 일측단면(63)에는 동형상을 이룬 별개의 권심(6)의 소권용철상 단면(67)과 계합가능한 소권용 요부(68)가 요설되어 있다. 또 상기 내경부(61)에는 상기 내공(62)의 내주면과 동일 높이로 형성된 복수개의 보강제(69)가 관심(6)에 일체로 설치되어 있다.
보통 레이블 제조공장에서 다수개의 권심(6)의 각 내공(62)에 보강재(도시하지 않은)를 삽통한 후에, 권심(6)의 각 외주면에 테이프상 레이블 연속체(70)를 권부하는 소권작업의 경우에, 소권용 철상단면(67)과 소권용요부(68)가 각기 계합함으로써, 권심(6)이 각개별로 공전되지 않도록 구성되어 이와같은 형상을 이룬 권심(6)은 테이프상 레이블연속체(70)의 소권작업 능률을 향상시킬수 있는 장점을 지니고 있다.
이리하여 이 권심(6)을 본 발명의 지지장치(10)에 부착시킬 경우, 제6도(a) 및 제7도(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부착부(60)의 4개소의 소권용철상단면(67)을 지지장치 (10)의 개폐체(1)에 형성된 4개소의 권심압압면(14)에 각각 접하게 하고, 다음에 권심(6)을 완상측판(7)쪽으로 압입하게 되면, 개폐스프링(4)의 탄발력에 의하여 본체 (2)와의 사이에 생긴 제거시의 간격(43)을 해소시키면서, 개폐체(1)는 그 개폐스프링 (4)을 압축하면서 본체(2)쪽으로 이동한다.
그 결과, 제7도(a)에 도시한 바와같이, 지금까지 제거단부(36)의 우단과, 개폐공(12)의 단변내측부분(短邊內側部分)(16)의 우단과, 그리고 제거단부(36)의 계지면 (44)과 단변내측부분(16)의 좌단각부(18)가 각기 압접됨으로써, 개폐체(1)와 계외부재(3)가 계지되어 있었던 것이 제6도(b) 및 제7도(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계지가 해제됨으로써, 계외부재(3)의 계지부(31)는 계지스프링(41)의 탄발력에 의하여 핀(42)을 지점으로 하여 서로 반대되는 방향으로 회동하고, 그리고 상기 개폐공(12)의 단벽내측부분(16)이 계외부재(3)의 제거홈(37) 내에 들어가서 그 부착홈(37) 저변에 접합과 동시에, 계외부재(3)의 내공 계지단부(35) 사이의 거리가 확대하고, 그 결과 계지철부 (34)의 계지면(30)이 내공(62)의 이면(65)과 계지됨과 동시에, 압압면(14)이 소권용철상단면(67)에 접하여, 권심(6)을 확실하게 유지한다. 또, 개폐체(1)의 반원반(40)에는 전부 카버(8)가 피복하여 있기때문에, 권심(6)이 부착되어 있지 않을 때에, 잘못하여 반원반(40)을 압압하고, 그 결과 상기한 권심 부착동작과 같은 작용을 시킴으로해서, 계외부재(3)의 계지부(31)사이의 거리가 확대하고, 필요시에 권심(6)의 부착조작이 즉시 행하여 지지 않는 것을 방지할수가 있게 되어 있다.
이 지지상태에 있어서, 제1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핸드레이 블러를 조작, 즉 그립(47)와 핸드레버(48)를 파악하고, 핸드레버(48)를 상방으로 회동시키면, 두갈래진 요오크(75)에 고정된 인쇄장치(87)가 잉크로울러(59)를 밀어내고 그 잉크로울러 (59)에 의하여 활자(76)면에 잉크를 도포하면서 하강하여, 레이블(77)의 상면에 접하여 인쇄를 한다.
다음에 핸드레버(48)를 해제하면 요오크(75)와 함께 인쇄장치(87)가 상승하고, 그리고 이송장치(79)에 의하여 레이블(77)이 전방(도면에서는 왼쪽으로)으로 보내진다.
이 레이블(77)의 전진에 의하여, 테이프상 레이블연속체(70)가 잡아당겨지고, 그것에 따라서 로울상 레이블연속체(80), 권심(6) 및 지지장치(10)가 일체로 되어서 회전하고, 테이프상 레이블 연속체(70)가 조출(繰出)되게 구성되었으며 테이프상 레이블 연속체(70)는 박리부(88)에서 테이프상레이블(77)과 대지(臺紙)(78)가 서로 분리된다.
또, 제1도와 제2도에 2점 쇄선으로 도시한 방지판(9)은 지지장치(10)에 부착시킨 로울상레이블 연속체(80)가 핸드레이블러를 사용중에 풀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완상측판(7)의 대향측에 설치되어 레이블연속체가 풀리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핸드레이블러의 사용에 의하여 로울상 레이블연속체(80)를 전부 사용하고 나서, 권심(6)을 제거하는 경우 손가락으로 제거용손잡이(33)를 협압하게 되면, 계지부(31)가 핀(42)을 지점으로 하여 계지스프링(41)의 탄발력에 버티어 서로 접근하도록 회동하고, 그 결과 제6도(a) 및 제7도(a)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개폐체(1)의 개폐공(12)의 단변내측부분 (16)과 계지부(31)의 부착홈(37)과의 계지가 해제되어서, 개폐체(1)는 그 전체가 개폐스프링(4)의 탄발력에 의하여 권심(6)쪽으로 순간적으로 튀겨져서 이동하고, 개폐공(12)의 단변내측 부분(16)의 전부(제7도(a)에 있어서 좌단)의 계지각부(18)가 계지부(31)의 제거단부(36)의 계지면(44)에 상기한 바와 같이 접하여 정지한다.
이 조작에 있어서, 권심(6)의 부착부(60)의 이면(65)과 계지철부(34)의 계지면(30)과의 계지가 풀리고 그리고, 상기한 바와 같이 개폐체(1)가 개폐스프링(4)으로 급속히 이동되게 되기때문에, 소권용철상단면(67)이 압압부(13),(13´)의 압압면( 14)으로 튀겨져서, 권심(6)은 전혀 손으로 접촉하지 않아도 자연히 지지장치(10)에서 비출(飛出)하여 이탈되어 떨어진다. 또, 이 상태에 있어서 제거용 손잡이(33)의 후면근단부의 스톱면(46)이 후부카버(5)의 정부(53)의 내면 양단부의 스톱면(56)에 접하여, 계외부재(3)가 그 이상으로 회동하지 않게 구성되어 있다.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 개폐체(1)와 본체(2) 및 한쌍의 계외 부재(3) 사이를 서로 이탈시키는 방향으로 부세하는 탄성수단으로서, 각기 코일상의 개폐스프링(4) 및 계지스프링(41)을 예로서 설명하였지만, 이들은 서로 이탈시킨다고 하는 목적이 달성되는한, 어떠한 탄성수단을 적용해도 좋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관한 로울상 레이블연속체의 지지장치는 종래의 계지돌기부 태브가 그 가요성만에 의존하여 권심의 착탈을 행하고 있는 것과는 달라서, 회동가능한 태브를 스프링의 탄발력을 이용하여, 권심을 착탈할 수 있도록 한것으로,
첫째, 권심의 부착은 그 철상 단면(67)을 지지장치의 압압면(14)에 맞추어서 눌르는 것만으로, 특별히 힘을 넣을 필요가 없기 때문에, 극히 용이하게 행할수가 있다.
둘째, 권심의 제거는 완상측판(70의 외측에 위치하는 제거용 손잡이(33)를 손가락으로 협압함으로써, 권심을 개폐스프링의 탄발력으로 비출시켜서 제거할수가 있다.
셋째, 따라서 종래와 같이 권심을 비틀거나 권심을 잡아당겨서 권심의 제거를 할 필요가 없기때문에, 계지철부 계외부재에 무리한 힘이 전혀 들지 않으므로, 파손을 대폭으로 감소시킬수 있다.
넷째, 권심의 착탈이 태브의 가요성에 의존하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그 가요도의 열화(劣化)에 의하여 권심이 작업중에 빠져서 떨어질 염려가 없으며, 항상 확실하게 권심, 즉 로울상 레이블연속체를 지지할수 있다는 등의 효과가 있으며, 실용적 가치가 크다.
Claims (1)
- 핸드레이블러(hand labeler)의 기체일부에 설치되고 외주면에 레이블연속체가 로울상으로 감겨진 권심(卷心)을 착탈자재로 유지하는 장치에 있어서, 핸드레이블러의 기체 일부에 회전자재로 부착된 본체(2)와, 개폐 스프링(4)을 통하여 본체(2)와 대향하여 배치되며 또 권심(6)의 단면에 접하는 압압면(14)을 가진 개폐체(1)와, 일단에 계지부(31) 타단에 제거용손잡이(33)가 형성되고 그 일부가 본체(2)에 추지되는데 계외부재(係外部材)(3)와 이 계외부재(3)의 계지부(31)를 항상 그 계지방향으로 부세하는 계지 스프링(41)으로 구성되어, 권심(6) 부착시에는 상기본체(2)와 개폐체(1)가 접근함과 동시에 권심(6) 부착부(60)의 이면(65)과 계외부재(3)의 계지부(31)가 계지되고 권심(6) 제거시에는 그 계지가 해제됨과 동시에 본체(2)와 개폐체(1)가 이탈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울상 레이블연속체의 지지장치.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7602301A KR810000622B1 (ko) | 1976-09-16 | 1976-09-16 | 로울상 레이블(label) 연속체의 지지장치 |
KR7802959A KR840002340B1 (ko) | 1976-09-16 | 1978-09-28 | 레이블 연속체의 권심(卷心)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7602301A KR810000622B1 (ko) | 1976-09-16 | 1976-09-16 | 로울상 레이블(label) 연속체의 지지장치 |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7802959A Division KR840002340B1 (ko) | 1976-09-16 | 1978-09-28 | 레이블 연속체의 권심(卷心)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810000622B1 true KR810000622B1 (ko) | 1981-06-07 |
Family
ID=19202700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7602301A KR810000622B1 (ko) | 1976-09-16 | 1976-09-16 | 로울상 레이블(label) 연속체의 지지장치 |
KR7802959A KR840002340B1 (ko) | 1976-09-16 | 1978-09-28 | 레이블 연속체의 권심(卷心) |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7802959A KR840002340B1 (ko) | 1976-09-16 | 1978-09-28 | 레이블 연속체의 권심(卷心)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2) | KR810000622B1 (ko) |
-
1976
- 1976-09-16 KR KR7602301A patent/KR810000622B1/ko active
-
1978
- 1978-09-28 KR KR7802959A patent/KR840002340B1/ko activ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840002340B1 (ko) | 1984-12-20 |
KR830000957A (ko) | 1983-04-2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S5876290A (ja) | プリンタ用のリボンカ−トリツジ | |
JPH0340621Y2 (ko) | ||
US4629136A (en) | Demountable two-part reel | |
US5421533A (en) | Hose winding apparatus and method | |
KR810000622B1 (ko) | 로울상 레이블(label) 연속체의 지지장치 | |
JPS58108068A (ja) | レコ−ド取扱い装置 | |
US7302984B2 (en) | Lock mechanism of sliding member and transfer device | |
US3001738A (en) | Measuring-tape | |
US4087057A (en) | Supporting device for a rolled strip of labels, or the like | |
JP2592974B2 (ja) | 給紙カセット | |
US3695541A (en) | Apparatus for the receiving, storing and restitution of recording tapes | |
JPS61149380A (ja) | 記録装置 | |
KR820000541B1 (ko) | 로울상 레이블 연속체의 보지장치 | |
GB1591011A (en) | Core for a rolled label strip | |
GB1577182A (en) | Supporting device for a rolled strip | |
JPH0110216Y2 (ko) | ||
JPH024027Y2 (ko) | ||
JPS583806Y2 (ja) | ロ−ル状ラベル連続体の保持用芯金 | |
JPH0616277A (ja) | 用紙搬送ガイド開閉機構 | |
JPH03184885A (ja) | 熱転写記録材料収納カセット | |
JPH0121305Y2 (ko) | ||
JP2533908Y2 (ja) | インクリボンカセット | |
JP3043920B2 (ja) | ネガクリップ | |
EP0008306B1 (en) | Label positioning mechanism for printing machine | |
JPH0249002Y2 (ko)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