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20000541B1 - 로울상 레이블 연속체의 보지장치 - Google Patents

로울상 레이블 연속체의 보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20000541B1
KR820000541B1 KR7700784A KR770000784A KR820000541B1 KR 820000541 B1 KR820000541 B1 KR 820000541B1 KR 7700784 A KR7700784 A KR 7700784A KR 770000784 A KR770000784 A KR 770000784A KR 820000541 B1 KR820000541 B1 KR 8200005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re
opening
main body
locking
clo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77007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요오 사또
Original Assignee
요오 사또
가부시끼가이샤 사또 겐규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요오 사또, 가부시끼가이샤 사또 겐규쇼 filed Critical 요오 사또
Priority to KR77007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82000054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200005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200005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CLABELLING OR TAGGING MACHINES, APPARATUS, OR PROCESSES
    • B65C11/00Manually-controlled or manually-operable label dispensers, e.g. modified for the application of labels to articles
    • B65C11/02Manually-controlled or manually-operable label dispensers, e.g. modified for the application of labels to articles having printing equipment

Landscapes

  • Labeling Devic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로울상 레이블 연속체의 보지장치
제1도는 본 발명에 관한 보지장치(10)를 장착한 핸드레이블러의 전체를 표시하는 측단면도로서, 제2도에 있어서의 I-I선 단면도,
제2도는 동평면도,
제3도는 본 발명에 관한 보지장치(10)를 핸드레이블러의 완상측판(腕狀側板)에 장착한 상태를 표시하는 사시도.
제4도는 제3도와 같은 상태를, 제3도와는 반대의 방향에서 본 사시도,
제5도는 권심(卷心)과 보지장치를 구성하는 부재를 분해하여 표시한 사시도,
제6도는 제1도의 VI-VI선에 따르는 단면도로서,
(a)는 권심을 부착하기 전의 상태,
(b)는 권심을 부착한 후의 상태를 표시하는 도,
제7도는 제1도의 VII-VII선에 따르는 단면도로서,
(a)는 권심을 부착하기 전의 상태,
(b)는 권심을 부착한 후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
본 발명은, 레이블 인쇄첩부기(이하, 핸드레이블러라고 한다) 등에 있어서, 로울상으로 감겨진 연속체를 착탈자재로 보지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가장 널리 사용되어온 로울상 레이블 연속체의 보지장치는, 상방에서 보면
Figure kpo00001
자상을 한 한 쌍의 가요성 보지측판 내측의 원형돌부에, 레이블연속체가 감겨져 있는 권심의 내공을 느슨하게 삽입하여 로울상 레이블연속체를 보지시키고 있었지만, 이러한 형식은 착탈할 때마다 상기 보지측판을 외방으로 구부려야만 하므로 권심을 착탈하기 곤란할 뿐만 아니라, 보지측판이 변형하거나 파손되어 확실히 로울상 레이블연속체를 지지할 수가 없었다.
또, 보지장치는, 레이블연속체가 감겨진 권심의 내공에, 착탈자재로 계지하는 계지돌기부(付) 가요성 태브가 복수개 원형으로 배열되어 일체로 형성된 권심보지회전체를, 핸드레이블러의 상부에 설치한 완상측판에 회전가능으로 감착하여, 상기 권심에 권부된 테이프상레이블연속체가 인출될 때, 늘 적정한 인장력이 권심에 부여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계지 돌기부 가요성 태브를 가진 보지장치는 실제로 사용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점이 있다는 것이 판명되었다.
(1) 가요성 태브는, 그 구성면에 있어 단소(短小)하게 되지 않을 수가 없고 그 결과, 태브는 약간의 가요성밖에 가질 수 없기 때문에 무리가 있어, 권심의 감착에 강한 압입력을 필요로 하였다.
(2) 레이블연속체를 사용하고 난 후, 권심만을 태브에서 제거할 경우에, 권심을 비스듬이 틀어서 강하게 잡아당겨 제거하지 않으면 이탈이 안되므로, 작업자에게 불안감과 불쾌감을 주는 동시에 태브가 때때로 파손되었다.
(3) 권심의 착탈을 장기간 반복하면 태브의 가요도가 퇴화하여 권심을 보지하는 힘이 약화되고, 핸드레이블러를 사용하고 있는 도중에, 로울상 레이블연속체가 기계밖으로 빠져 떨어지는 일이 빈번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실정에 비추어 이루어진 것으로, 종래 권심의 착탈방법이 태브부 지지편의 가요성만에 의존하고 있었던 점을 탈피하여, 신규로 설치한 스프링의 탄발력에 의하여 그 스프링과 별체의 태브를 회동시켜서, 그 태브와 권심을 계지하거나 제거하도록 하였으므로, 1. 권심, 즉 로울상 레이블연속체가 보지장치에 합리적으로 착탈할 수 있고, 2. 로울상 레이블연속체가 보지장치에 항상 확실하게 보지되어 핸드레이블러의 사용중에 함부로 빠져서 떨어져 나가지 않도록 한, 핸드레이블러 등에 있어서의 레이블연속체의 보지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한다.
제5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본 실시예의 보지장치(10)는 대별하여 개폐체(1), 본체(2), 계외부재(3), 개폐스프링(4), 뒤커버(5), 계지스프링(41), 앞커버(8), 압압스프링(89) 및 압압버튼(9)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들의 각부재를 상세히 설명하면, 개폐체(1)는 보지장치(10)의 가장 내측(권심(6)이 부착되는 쪽)에 위치하는 것으로, 3개의 부채꼴의 지지반(40)의 사이의 중앙부에 3분기상의 개폐공(12)이 개구하고, 그 개폐공(12)의 단연에는 압압부(13)가 지지반(40)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이들의 압압부(13)는, 각기의 외주면이 동일 원주상에 있도록 호상(狐狀)을 이루고 있고 동시에 그 외주부가 권심(6) 측에 권심압압면(14)을 각기 형성하고 있다.
또, 이 압압면(14)과 반대측의 지지반(40)의 저면(17)에는 제7a,b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각기 개폐스프링 지지돌기(15)가 돌설되어 있다.
본체(2)는 권심(6)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향해서, 상기 개폐체(1)의 압압부(13)의 외경과 동경의 환상칼라(環狀 collar)(21)와, 그것보다 약간 소경으로 형성된 단부(段部)(22)와, 이단부(22)보다 더욱 소경의 환상홈(23)과 이 환상홈(23)보다 약간 대경으로 형성되어 있는 환상연(24)이 상기 한 순서로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또 구형상(矩形狀)의 3개의 부착공(27)이 축선 방향으로 관설되어 있다.
상기 환상칼라(21)의 주연의 3개소에는, 법선방향의 단면이 앵글상으로 형성된 부채꼴의 안내부(28)가 권심의 방향으로 향하여 입설되어 있다.
이 안내부(28)의 양측면은 각기 안내면(50)으로 되어 있어, 상기 개폐체(1)의 압압부(13)의 측면(49)을 적당히 안내하도록 되어 있다.
또 본체(2)의 상기 개폐체(1)의 저면(17)과 대향하는 면(25)에는, 상기 개폐스프링지지돌기(15)와 합치하는 위치에 호울(29)이 천설되어 있으며, 개폐체(1)와 본체(2)가 조합된 상태에서, 이 개폐 스프링 지지돌기(15)와 호울(29)에 걸쳐서 개폐스프링(4)이 각기 삽입된다.
또 본체(2)의 상기 개폐체(1)의 면(25)과 반대측면의 중앙에는 凹소(16)가 형성되어 있고 그 凹소의 저면에 압압스프링(89)의 지지돌기(19)가 설치되어 있다(제6도 및 제7도 참조).
또, (26)은 상기부착공(27)과 환상홈(23)과의 사이에 관통된 지점핀공으로, 제5도에 있어서 각 부착공(27)이 대향하는 내측면에서 환상홈(23)으로 합계 6개소가 천설되어 있다.
계외부재(3)는 그 일방의 단부에는 계지부(31)가, 타단의 외면에는 계지스프링(41)의 계지홈(32)이 각기 설치된 3개의 동형상의 부재이다.
계지부(31)의 외면은 단상(段狀)으로 되어 있고, 권심에 가까운 쪽에서 먼쪽으로 향해 순서대로, 凸상태브(34), 내공계지단부(35), 제거단부(36) 및 부착단부(37)가 각기 형성되고, 그리고 순서에 따라서 낮게되어 있다.
또, 각 계외부재(3)의 중앙부의 측면에는, 상기 본체(2)의 지점핀공(26)과 대략 같은 직경의 지점핀공(39)이 각기 관설되어 있다. 다음에 뒤커버(5)는 원통부(51)와 절두원추부(52)와 정부(頂部)의 원공(円孔)(53)으로 이루어지며, 원통부(51)는 그 원주를 3등분한 3개소가 크게 절결(切缺)되어 개구부(54)를 형성하고 있다. 또, 원통부(51)의 단부는 내측에 앵글상으로 굽혀져서 호상의 돌조(突條)(55)를 형성하고 있다.
또, 절두원추부(52)의 정부내주연에는 환상돌조(38)가 형성되어 있고, 그 오부(奧部)는 이 환상돌조(38)보다 대경의 안내부(33)로 되어 있다. 압압버튼(9)은, 그 둘레측면에 환상돌조(91)가 일체로 설치되어 있고, 또 정면(頂面)에는 중앙부가 약간 움푹 들어간 압압면(92)이, 저면(96)에는 대혈(93)이 각기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압압면(92)과 환상돌조(91)와의 사이는 뒤커버(5)의 환상돌상(環狀突狀)(38)에 끼워지는 감합면(94)이 저면(96)과 환상돌조(91)와의 사이는 경사면(95)이 각기 설치되어 있다. 또, 앞커버(8)는 상기 개폐체(1)의 지지반(40)을 덮는 것이며, 부채꼴의 상판(81)과, 그 부채꼴에 따라서 만곡되어 있는 측판(82)과, 밑판(83)이 일체로 형성된 3개의 부재로 구성된다. 각 앞커버(8)의 측판(82)과 밑판(83)의 양단에는, 그 측판(82)의 중간에서부터 밑판(83)의 전체에 걸쳐서 각기 절결부(85)가 형성되어 있다.
또, 측판(82)의 폭은, 후기한 바와같이 상판(81)과 밑판(83)과의 사이를 개폐체(1)가 이동할 수 있도록 개폐체(1)의 지지판(40)의 두께보다 폭넓게 형성되어 있다.
이상의 각부재는, 제3도, 제4도 및 제6도, 제7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조립되어, 핸드레이블러의 상부에 설치된 완상측판(7)에 장착된다. 즉, 개폐체(1)의 각 압압부(13)의 사이에 지지반(40)의 외측에서, 앞커버(8)를 덮고, 개폐체(1)의 지지반(40)의 만곡측면에, 측판(82)의 내면을 당접시킨다.
다음에, 이 앞커버(8)를 덮은 개폐체(1)를, 그 3개소에 형성된 압압부(13)의 측면(49)에 의하여 본체(2)의 안내부(28)의 안내면(50)으로 안내시켜서, 3개소의 빈곳에 각기 꼭끼워서, 앞커버(8)의 밑판(83)을 본체(2)의 면(25)에 밀착시키고 나서, 이들을 상기 완상측판(7)에 뚫린 회전공(71)에 내측(제5도에서 앞쪽 우측)에서 감입한다.
이 회전공(71)의 내주면은, 내측의 대경부(72)와 외측의 소경부(73)와의 2단구조로 되어 있고, 본체(2)의 단부(22)가 그 소경부(73)에, 본체(2)의 환상칼라(21)과 안내부(28) 및 개폐체(1)의 압압부(13)의 각 외주면이 대경부(72)에 각기 보지장치(10)의 회전에 지장이 없고, 또한 후기하는 테이프상 레이블연속체(70)가 잡아당겨졌을 때에 적당한 회전 마찰이 있도록 느슨하게 삽입한다.
또, 상기한 바와같이 개폐 스프링지지돌기(15)와 호울(29)에 걸쳐서 개폐스프링(4)이 미리 삽입되어 있다.
다음에 계외부재(3)의 계지부(31)의 선단을 본체(2)의 부착공(27)에 환상연(24)측에서 삽입하고, 계지부(31)의 각 선단부분을 개폐체(1)의 개폐공(12)에 위치시킨다. 이 경우, 제6a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계지부(31)의 제거단부(36)에, 상기 개폐체(1)의 압압부(13)의 내측단연(11)을 당접시켜서 계지한다.
또, 상기 본체(2)의 환상홈(23)에 천설된 한 쌍의 지점핀공(26)과, 1개의 계외부재(3)의 지점핀공(39)이 일직선으로 되기 때문에, 이들 구멍에 지점핀(42)을 삽통하여 계외부재(3)를 위치 결정한다. 다른 2개의 계외부재(3)도 같은 방법으로서 지점핀(42)으로 위치 결정된다. 그리고, 계외부재(3)의 각계지홈(32)에 링상의 계지스프링(41)을 설치하여서, 계지부(31)를, 지점핀(42)을 지점으로하여 항시 외측에 부세(付勢)시킨다.
또 압압버튼(9)을 뒤커버(5)의 원공(53)에 감입하고, 압압버튼(9)의 감합면(94)을 환상돌조(38)의 내면에, 환상돌조(91)를 안내부(33)에 각기 당접시키고, 그대로의 상태로 뒤커버(5)를 본체(2)의 환상연(24) 측에서 덮고, 돌조(55)를 본체(2)의 환상홈(23)에 계지시켜서 조립을 끝낸다. 또, 이 경우에, 압압버튼(9)의 대혈(93)과 본체(2)의 지지돌기(19)에 걸쳐서, 압압스프링(89)이 미리 장치되어 있다.
또, 돌조(55)는 제6b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그 내측의 계지면(57)이 환상홈(23)의 뒤계합면(20)에 압접하여 계지되는데, 돌조(55)의 전면(외측면)(58)과 완상 측판(7)의 외측면(74)과의 사이에는, 보지장치(10)의 회전에 지장이 없도록 약간의 간극이 있다.
본 발명은, 최종적으로 상기한 바와같이 완상 측판(7)에 회동가능하게 부착된 보지장치(10)에 외주면에 테이프상 레이블연속체(70)가 로울상으로 감겨진 권심(6)을 장착하는 것인데, 제3도-제5도에 의하여 이 권심(6)의 구성을 설명한다.
권심(6)은, 원통상의 편측단면(64)을 다른 일측단면(63)보다도 폭넓게 형성하고, 그 편측단면(64)과, 그 이면의 계지면(65)과, 그 편측단면(64)과 계지면(65)과의 사이에 걸쳐서 상기 원통의 내경보다도 소경인 동시에 이 원통의 축선 방향에 동심으로 형성된 내공(62)과에 의해서 부착부(60)가 형성되어 있다. 이 편측단면(64)의 외주 부근에는, 각기 상응하는 부채꼴의 공전정지 凹부(66)가 凹설되고, 이 공전정지 凹부(66)와 인접한 편측단면(64)의 잔여부분에는, 소권용(小卷用) 凸상 단면(67)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다른 일측단면(63)에는, 같은 형상을 한 별개의 권심(6)의 소권용 凸상단면(67)과 계합할 수 있는 소권용 凹부(68)가 凹설치되어 있다.
또 상기 내경부(61)에는, 상기내공(62)의 내주면과 동일한 높이며, 또한 원통의 축선방향에 따라서 형성된 복수개의 심금리브(心金 rib)(69)가, 권심(6)에 일체로 설치되어 있다. 통상시에는 레이블제조공장에서, 여러개의 권심(6)의 내공(62)에 심금(도시하지 않음)을 삽통한 후, 권심(6)의 외주면에 테이프상 레이블연속체(70)를 감는 소권작업할 때에, 소권용 凸상단면(67)과 소원용 凹부(68)가 각각 계합함으로써, 권심(6)이 개별로 공전할 수 없게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이와 같은 형상을 한 권심(6)은 테이프상레이블연속체(70)의 소권작업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그런데, 이 권심(6)은 본 발명의 보지장치(10)에 부착시킬 경우에는, 제(6)a도 및 제7a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부착부(권심(60)의 3개소의 소권용 凸상단면(67)을 보지장치(10)의 개폐체(1)에 형성된 3개소의 권심압압면(14)에 각각 당접시키고, 이어서 권심(6)을 완상측판(7)쪽에 압입하면, 개폐스프링(4)의 탄발력에 의하여 본체(2)와의 사이에 생겨 있던 제거시의 간극(43)을 해소시키면서, 개폐체(1)는 그 개폐스프링(4)을 압축하면서, 본체(2) 쪽으로 이동한다.
그 결과, 제6a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지금까지 제거단부(36)의 우단과 압압부(13)의 내측단연(11)의 우단이, 또한 제거단부(36)의 계지면(44)과 상기 내측단연(11)의 좌단각부(18)가, 각각 압접함으로써 개폐체(1)와 계외부재(3)가 계지되어 있던 것이 제6b도 및 제7b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계지가 풀림으로서, 계외부재(3)의 계지부(31)는 계지스프링(41)의 작용력에 의하여 지점핀(42)을 지점으로 하여 상호 이반하는 방향으로 회동하고, 또한, 상기 압압부(13)의 내측 단연(11)이 계외부재(3)의 부착단부(37)내에 들어가는 동시에, 계외부재(3)의 내공계지단부(35)가 외측으로 이동하고, 그 결과, 凸상태브(34)의 계지면(30)이 내공(62)의 계지면(65)과 계지함과 동시에, 압압면(14)이 소권용 凸상단면(67)에 당접하여, 권심(6)을 확실하게 보지한다.
또 개폐체(1)의 지지반(40)에는 앞커버(8)가 덮혀져 있기 때문에, 권심(6)이 부착되어 있지 않을 때에 잘못하여 이 지지반(40)을 압압하여, 그 결과, 상기한 권심 부착동작과 같은 작용을 시켜버려, 계외부재(3)의 계지부(31)의 간격이 확대하고, 필요시에 권심(6)의 부착 조작을 즉시 행할 수 없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이 보지상태에서, 제1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핸드레이블러를 조작, 즉 그립(47)과 핸드레버(48)를 잡고, 핸드레버(48)를 위로 회동시키면 2분기상의 요우크(75)에 고정된 인쇄장치(87)가 잉크로울러(59)를 밀어제치면서, 그리고 그 경우에, 잉크로울러(59)에 의하여 활자(76)면에 잉크가 도포되면서 하강하여, 레이블(77)의 상면에 당접하여 인쇄를 한다.
다음에 핸드레버(48)를 석방하면 요우크(75)와 함께 인쇄장치(87)가 상승하고, 또한 이송장치(79)에 의하여 레이블(77)이 전방(도에 있어서 왼쪽으로)으로 보내진다. 이 레이블(77)의 전진에 의하여, 테이프상 레이블연속체(70)가 잡아당겨지고, 이에 따라 로울상 레이블연속체(80) 권심(6) 및 보지장치(10)가 일체가 되어 회전하고, 테이프상 레이블연속체(70)가 조출(繰出)되게 되어 있다. 또, 테이프상 레이블연속체(70)는 박리부(88)에 있어서, 테이프상의 레이블(77)과 대지(臺紙)(78)로 분리된다.
또, 제1도와 제2도에 2점쇄선으로 표시한(84)는, 보지장치(10)에 부착된 로울상레이블연속체(80)가, 핸드레이블러의 사용중에 풀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완상측판(7)의 대향쪽에 설치한, 풀리는 것을 막는 방지판이다.
핸드레이블러의 사용에 의하여 로울상레이블연속체(80)를 전부 사용하고 권심(6)을 제거하는 경우에는, 손가락으로 압압버튼(9)의 압압면(92)을 압입하면 압압버튼(9)의 경사면(95)에 당접해 있는 계외부재(3)의 후부각부(46)가 압압되는 결과, 이 후부각부(46)는 경사면(95)을 외측에 접동하여 각 계외부재(3)의 후부는, 계지스프링(41)의 작용력에 저항하여 외측으로 확대된다. 따라서 계지부(31)가 지점핀(42)을 지점으로 하여 계지스프링(41)의 작용력에 저항하여 상호 접근하도록 회동하고, 그 결과 제6a도 및 제7a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개폐체(1)의 압압부(13)의 내측단연(11)과 계지부(31)의 부착단부(37)와의 계지가 해제되어서, 개폐체(1)는 그 전체가 개폐스프링(4)의 탄발력에 의하여 권심(6) 쪽으로 순간적으로 튕겨나가고, 압압부(13)의 내측단연(11)의 전부(前部)(제6a도에 있어서 좌단)의 각부(18)가, 계지부(31)의 제거단부(36)의 계지면(44)에 상기함과 같이 당접하여 정지한다.
이 조작에 있어서, 권심(6)이 부착부(60)의 계지면(65)과 凸상 태브(34)의 계지면(30)의 계지가 풀리고, 또한 상기한 바와같이 개폐체(1)가 개폐스프링(4)으로 급속히 이동되게 되므로, 소권용 凸상단면(67)이 압압부(13)의 압압면(14)에서 튕겨져서, 권심(6)은 하등 손을 대지 않아도 자연히 보지장치에서 튀어나와 벗겨져 떨어진다.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 개폐체(1)와 본체(2)와의 사이 및 계외부재(3)의 계지부(31) 사이를 상호 이간시키는 방향으로 부세하는 탄성수단으로서, 각각 코일상의 개폐스프링(4) 및 계지스프링(41)을 예로 들어서 설명하였지만, 이것을 상호이간시킨다고 하는 목적이 달성되는 한, 어떠한 탄성수단을 적용해도 된다.
또, 상기 실시예 및 도면에 있어서, 권심(6)에 형성된 공전방지 凹부(66), 소권용 凸상단면(67) 및 소권용 凹부(68)는 각기 3개소에 설치한 것을 표시했는데, 이것들은 3개소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개수는 임의로 설정할 수 있다. 이 경우, 주의해야 할 것은, 소권용 凸상단면(67)이 개폐체(1)의 압압면(14)에 계지가능하게 대응하는 것, 또 소권용 凸상단면(67)이 별개의 권심(6)이 소권용 凹부(68)에 계지가능하게 하는 일이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계외부재(3)의 예로서 이것이 3개인 것을 표시했는데, 본 발명에 있어서는 요컨대, 이 계외부재(3)의 계지부(31)와, 개폐체(1) 및 권심(6)의 소정부분이 적정히 계탈하는 구성의 것이면 되며, 계외부재(3)의 개수에 제한은 없다.
또, 상기 실시예에서는 보지장치(10)가 기틀상방 연장부의 완상측판(7)에 설치된 레이블인쇄첩부기에 대하여 설명했는데, 본 발명에 관한 보지장치의 용도는 이 형식의 것뿐만이 아니고, 예컨대 보지장치가기틀내에 설치된 피스톨형의 레이블인 쇄첩부기등, 모든 형식의 것에 적용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관한 로울상레이블연속체의 보지장치는, 종래의 계지돌기부착태브가, 그 가요성만에 의존하여 권심의 착탈을 행하고 있었던 것과는 달리, 탄성체의 탄발력을 이용하여 회동자재의 계외부재의 계지부에 권심을 착탈할 수 있게 했기 때문에, (1) 권심의 부착은, 그 소권용 凸상단면(67)을 보지장치의 압압면(14)에 맞추어서 미는 것만으로 특별히 힘을 넣을 필요가 없기 때문에, 매우 용이하게 행할 수가 있다.
(2) 또, 권심의 제거는, 완상측판(7)의 외측에 위치하는 압압버튼(9)을 손가락으로 압입함으로써, 권심을 개폐스프링의 탄발력으로 튀어나오게 하여 빼낼 수가 있다.
(3) 따라서 종래와 같이 권심을 비틀거나, 잡아당겨서 권심을 빼낼 필요가 없기 때문에, 凸상 태브 부착 계외부재에 무리한 힘이 전혀 들지않기 때문에 파손을 대폭으로 감소할 수가 있다.
(4) 권심의 착탈이 계외부재의 가요성에 의존하는 것은 아니므로, 그 가요도의 열화에 의하여 권심이 작업중에 용이하게 빠져 떨어질 염려가 없고, 항상 확실하게 권심, 즉, 로울상레이블연속체를 보지할 수 있다는 등의 효과가 있으며, 실용적 가치가 크다.

Claims (1)

  1. 레이블인쇄첩부기 등의 일부에 회전자재로 감착된 본체와, 개폐용탄성체를 통하여 상기 본체와 대향하여 배치되고, 또한 권심의 단면에 당접하는 압압면이 형성된 개폐체와, 일단에 계지부가 형성되고, 그리고 상기 본체에 회동가능하게 부착된 계외부재(係外部材)와, 이 계외부재의 계지부를, 항상 그 계지방향으로 부세(附勢)하는 계지용탄성체와, 상기 계외부재의 계지부와는 반대쪽에 배설되고, 압압했을 때에 이 계외부재를 회동시켜서 그 계지를 해제시키는 압압버튼을 포함하고, 권심 부착시에는 상기 본체와 개폐체가 접근함과 동시에, 권심의 부착부와 계외부재의 계지부가 계지하고, 권심 제거시에는 그 계지가 해제됨과 동시에 본체와 개폐체가 이간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울상레이블연속체의 보지장치.
KR7700784A 1977-03-31 1977-03-31 로울상 레이블 연속체의 보지장치 KR8200005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700784A KR820000541B1 (ko) 1977-03-31 1977-03-31 로울상 레이블 연속체의 보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700784A KR820000541B1 (ko) 1977-03-31 1977-03-31 로울상 레이블 연속체의 보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20000541B1 true KR820000541B1 (ko) 1982-04-13

Family

ID=192041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7700784A KR820000541B1 (ko) 1977-03-31 1977-03-31 로울상 레이블 연속체의 보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20000541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22539B2 (en) Mechanism for engaging portable equipment against a belt clip
US4116747A (en) Hand-held labeler
JPS58143086A (ja) ロ−ルブラインドのクラツチ装置
TW522101B (en) Tape cartridge for coat film transfer tool and coat film transfer tool
EP1054832A1 (en) An adhesive tape case
JPS6251816B2 (ko)
US7464741B2 (en) Part feeding device and part feeding method
KR820000541B1 (ko) 로울상 레이블 연속체의 보지장치
JPH0724843U (ja) 帯状体の巻取機構
GB2054520A (en) Multiple wound roll dispenser and cutter mechanism for use therein
JPS596777B2 (ja) ラベル貼付装置
CA1056789A (en) Core for label strip
US4199392A (en) Hand-held labeler
US4087057A (en) Supporting device for a rolled strip of labels, or the like
JPH044956B2 (ko)
JP3411110B2 (ja) 剥離台紙の巻取装置
WO2007066177A2 (en) Label affixing machine having label roll core holding mechanism
KR810000622B1 (ko) 로울상 레이블(label) 연속체의 지지장치
US4204902A (en) Hand-held labeler
JP2900906B2 (ja) ラベルプリンタおよびそのカセット
US4204901A (en) Hand-held labeler
JPH03259823A (ja) 給紙カセット
GB1591011A (en) Core for a rolled label strip
GB1577182A (en) Supporting device for a rolled strip
JPS63165257A (ja) ラベルプリンタの台紙巻取機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