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10000552Y1 - 디지탈 얼라암 전자시계 - Google Patents

디지탈 얼라암 전자시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10000552Y1
KR810000552Y1 KR2019810001372U KR810001372U KR810000552Y1 KR 810000552 Y1 KR810000552 Y1 KR 810000552Y1 KR 2019810001372 U KR2019810001372 U KR 2019810001372U KR 810001372 U KR810001372 U KR 810001372U KR 810000552 Y1 KR810000552 Y1 KR 81000055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ircuit
alarm
turned
output
lev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1000137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타꾸로오 후꾸이찌
Original Assignee
가부시기 가이샤 다이니 세이코오샤
핫도리 이찌로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기 가이샤 다이니 세이코오샤, 핫도리 이찌로오 filed Critical 가부시기 가이샤 다이니 세이코오샤
Priority to KR2019810001372U priority Critical patent/KR81000055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1000055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10000552Y1/ko

Links

Landscapes

  • Electric Clock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디지탈 얼라암 전자시계
제1도는 본 고안에 의한 제1실시예의 디지탈 전자시계의 전체구성 블록도.
제2도는 본 고안에 의한 제2실시예의 디지탈 전자시계의 전체구성 블록도.
본 고안은 디지탈 얼라암 전자시계에 관한 것이며, 특히 전지의 소모를 방지하기 위하여, 얼라암 수단의 작동시에는 조명수단의 작동을 금지시키는 구성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사용되어 왔던 이러한 종류의 시계는 여러가지가 있으나, 모두 얼라암 수단과 조명수단의 중복 동시동작을 제거하기 위한 수단은 특별히 설치되어 있지 않아서, 전지의 소모가 현저하게 증대하였다.
본 고안은 상기한 결점을 신속히 제거하기 위한 극히 효과적인 수단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 것이며, 그 요지는 얼라암 수단이 작동시에는 조명수단을 작동시키지 않도록 한 구성이다.
이하 도면은 참조하면서 본 고안에 의한 디지탈 얼라암 시계의 최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겠다.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제1실시예의 디지탈 전자시계의 전체구성 블록도로서, 부호(1)로 표시된 것은 발진회로이며, 이 발진회로(1)의 신호는 시각표시용 카운터(2)를 거쳐서 비교일치회로(3)에 인가되어 있다.
부호(4)로 표시된 것은 얼라암 시각 설정회로로서, 이 설정회로(4)의 출력신호는 얼라암 시각용 카운터(5) 및 표시절환회로(6)에 각각 인가되어 있음과 동시에, 얼라암 시각용 카운터(5)의 출력신호는 비교 일치회로(3)에 인가되어 있다.
다음에 표시절환회로(6)의 출력신호는 디코우더 드라이버(7)를 거쳐서 표시체(8)에 보내지는 구성이다.
비교 일치회로(3)의 출력신호는 드라이버(9)를 거쳐서 얼라암 수단(10)에 보내짐과 동시에, NOR회로(11)의 한쪽 입력단자에 인가되고, NOR회로(11)의 다른쪽 입력단자에는 제어스위치(12)의 출력신호가 드라이버(13)를 거쳐서 인가되어 있고, NOR회로(11)의 출력신호는 표시패널(도시하지 않음)을 조명하기 위한 조명수단(14)에 접속되어 있다.
이상과 같은 구성에 있어서, 본 고안에 의한 디지탈 얼라암 시계를 작동시킬 경우에 대해서 설명하면, 발진회로(1)에서 발생된 신호는 시각표시용 카운터(2)에 있어서, 시각표시에 적합하도록 카운트된다. 얼라암 시각설정회로(4)에서는 얼라암 수단(10)을 작동시키기 위한 임의의 시각을 설정 기억시킬 수 있다. 이때 표시절환회로(6)는 얼라암 시각설정회로(4)에서의 신호에 의하여, 얼라암 시각용 카운터(5)의 내용을 디코우더 드라이버(7)를 통하여 표시체(8)로 보내서 표시한다.
얼라암 시각용 카운터(5)의 내용과 시각표시용 카운터(2)의 내용이 일치한 경우는, 비교일치회로(3)에서의 일치신호가 드라이버(9)를 거쳐서 얼라암수단(10)에 보내져, 얼라암 수단(10)의 작동이 된다. 또 제어 스위치(12)를 ON 즉 하이레벨 “H”로 하였을 경우, 드라이버(13)가 ON으로 됨과 동시에, NOR회로(11)를 거쳐서 조명수단(14)이 작동, 즉 점등된다. 또 조명수단(14)을 점등할 필요가 없을 때에는 제어스위치(12)를 OFF쪽, 즉 로우레벨 “L”로 절환함에 따라 소등할 수 있다.
또 얼라암수단(10)이 N일 때, 즉 드라이버(9)가 ON일 때에는, 드라이버(13)가 ON으로 되어서 점등하려고 하여도 NOR회로는 OFF로 되기 때문에 조명수단은 점등되지 않고, 얼라암수단(10)과 조명수단(14)은 중복되어서 작동될 가능성은 없어진다.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제2실시예의 디지탈 전자시계의 전체 구성 블록도로서, 부호(1)로 표시된 것은 발진회로이며, 이 발진회로(1)의 출력신호는 시각표시용 카운터(2)를 거쳐서 비교일치회로(3)에 인가됨과 동시에, 이 발진회로(1)의 출력신호는 OR회로(4)의 한쪽 입력단자에 인가되어 있다.
다음에 부호(5)로 표시된 얼라암 시각 설정회로의 출력신호는 얼라암 시각용 카운터(6)에 인가됨과 동시에 표시절환회로(7)에 인가되어 있고, 또 디코우더 드라이버(8)를 거쳐서 표시체(9)에 접속되어 있다.
제어 스위치(10)의 출력신호는 파형정형회로(11)를 거쳐서 OR회로(4)의 다른쪽 입력단자에 인가되어 있고, OR회로(4)의 출력신호 및 비교일치회로(3)의 출력신호는 RS 플립플롭(11)의 R단자 및 S단자에 각각 인가되어 있고, RS 플립플롭(12)의 Q출력은 드라이버(13)를 거쳐서 얼라암수단(14)에 접속되어 있다.
플립플롭(12)의출력은 AND회로(15)의 한쪽 입력단자에 접속됨과 동시에, AND회로의 다른쪽 입력단자에는 제어 스위치(10)의 출력신호가 인가되어 있다.
이 AND회로(15)의 출력신호는 드라이버(16)를 거쳐서 조명수단(17)에 접속되어 있다.
이상과 같은 구성에 있어서, 본 고안에 의한 디지탈 전자시계를 작동시킬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면, 발진회로(1)에서의 출력신호는 시각표시용 카운터에서 각 시각표시에 적합하도록 카운트되고, 얼라암시각의 설정은 얼라암 시각 설정회로(5)에 의하여 얼라암 시각용 카운터(6)에 기억시킬 수 있다.
이때 표시절환회로(7)의 작동에 의하여 얼라암 시각 설정회로에서의 신호를 통하여 얼라암 시각용 카운터(6)의 내용은 디코우더 드라이버(8)를 거쳐서 표시체(9)에 인가된다.
또 얼라암의 설정내용을 볼 필요가 없는 경우는 얼라암 시각 설정회로(5)를 OFF로 힘에 따라서 표시절환회로(7)를 통하여 시각표시용 카운터(2)의 내용이 디코우더 드라이버를 통하여 표시체(9)에 인가된다. 따라서 통상은 시각을 표시하고, 필요할 때에는 얼라암의 설정내용을 판독할 수 있다.
얼라암 시각용 카운터(6)의 내용과 시각표시용 카운터(2)의 내용이 일치하였을 경우는 비교일치회로(3)에서의 출력신호에 의하여, Rs플립플롭(12)의 S단자를 ON으로 하고, 출력 Q는 “H”레벨로 되고, 얼라암수단(14)을 구동시켜 설정된 시각이 도래한 것을 예를 들면 음으로 알릴 수 있다.
이 상태에서, 발진회로(1)에서의 펄스신호는 OR회로(4)를 거쳐서 Rs플립플롭(12)의 리세트단자 즉 R단자를 ON으로 한다. 따라서 출력는 “H”레벨, 출력 Q는 “L”레벨로 되어 얼라암 수단은 동작하지 않게 되고, 예를 들면 음은 정지된다.
또 얼라암 수단에 작동을 개시하고, 즉시 정지시키고 싶을 경우에는, 제어스위치(9)를 ON으로 하고, “H”레벨로 하면 파형정형회로(11)를 거쳐서 OR회로(4)에 입력된다. 따라서 Rs플립플롭(12)의 R단자는 ON으로 되고, 얼라암 수단(14)의 드라이버(13)를 OFF로 하여서 얼라암 수단의 작동을 정지시킬 수 있다.
한편, 조명수단(17)을 작동시키고 싶을 때는, 제어스위치(10)를 ON으로 하여 “H”레벨로 하고, 파형정형회로(11)에 의하여 “H”레벨의 펄스신호를 출력시키고, Rs플립플롭(12)의 리세트단자 즉 R단자를 ON으로 하여, 출력를 “H”레벨로 유지한다. 이 출력는 AND회로(15)의 한쪽 입력단자에 입력되고, 다른쪽 단자에는 제어스위치(10)를 ON하고 있는 동안에 AND회로(15)의 출력은 “H”레벨로 되어, 드라이버(16)를 동작시켜서 조명수단(17)을 점등시킨다.
그렇지만 조명수단(17)의 점등 중에, 얼라암 설정시각이 되었을 경우, 얼라암 수단이 동시에 작동되면 소비전력이 크게 되므로, 중복작동을 방지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된다.
즉 조명수단(17)이 점등 중에는 제어스위치(10)가 “H”레벨로 되고, 파형정형회로(11)에서는 “H”레벨의 펄스신호가 출력되고, OR회로(4)를 거쳐서 Rs플립플롭의 R단자를 ON하고 출력를 “H”레벨로 출력 Q를 “L”레벨로 하고 있다.
이때 얼라암 설정시각이 도래하여서, 비교일치회로(3)에서 일치신호로서 “H”레벨의 펄스 신호가 Rs플립플롭(12)의 S단자에 입력되면, Rs플립플롭(12)의 출력은 반전되고, 출력 Q는 “H”레벨, 출력는 “L”레벨로 되고, AND회로(15)는 폐쇄되고, 드라이버(16)는 OFF로 되어 조명수단(17)은 소멸된다. 동시에 드라이버(13)가 동작하여 얼라암 수단(14)이 구동하게 된다. 그리고 일정시간이 지난 후에 Rs플립플롭(12)의 R단자가 ON으로 되고, 출력 Q는 “L”레벨, 출력는 “H”레벨로 되어, 출력 Q에 접속되어 있는 드라이버(13)는 발음을 정지한다.
본 고안에 의한 디지탈 전자시계는 이상과 같은 구성과 작용을 비치하고 있으므로, 얼라암 수단과 조명수단이 중복되어서 작동하는 일은 없고 전지의 용량을 정상으로 유지할 수 있으며, 또 얼라암 수단의 발음을 확보할 수 있다.

Claims (1)

  1. 적어도 시계회로와, 얼라암 수단과, 조명수단을 비치하고, 조명수단이 점등 중에 얼라암 수단이 작동되면 조명수단의 작동이 정지되는 구성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탈 얼라암 전자시계.
KR2019810001372U 1981-02-26 1981-02-26 디지탈 얼라암 전자시계 KR81000055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10001372U KR810000552Y1 (ko) 1981-02-26 1981-02-26 디지탈 얼라암 전자시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10001372U KR810000552Y1 (ko) 1981-02-26 1981-02-26 디지탈 얼라암 전자시계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760002639 Division 1976-10-2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10000552Y1 true KR810000552Y1 (ko) 1981-05-22

Family

ID=192207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10001372U KR810000552Y1 (ko) 1981-02-26 1981-02-26 디지탈 얼라암 전자시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10000552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GB1424846A (en) Solid state electronic timepiece
KR810000552Y1 (ko) 디지탈 얼라암 전자시계
US4912688A (en) Automatic display illumination for a multimode wristwatch
DE3468284D1 (en) Power source off delay timer with liquid crystal display
US4091373A (en) Selective calling receiver
CA1086967A (en) Digital electronic watch with prevention of simultaneous energization of alarm and illuminating means
JPS6146468Y2 (ko)
JPS6120828B2 (ko)
JPS5843712B2 (ja) エキシヨウトケイソウチ
JPH08220264A (ja) 照明装置付き電子時計
KR900009234Y1 (ko) 지령신호 입력회로
JPS6037671Y2 (ja) 放電灯点灯装置用点検装置
JPH0522876Y2 (ko)
JPS57122378A (en) Mechanism for checking alram setting of timepiece
KR100236636B1 (ko) 카메라의 정보 표시 장치 및 그 구현방법
JPS57131126A (en) Operation time setting device
KR940001613Y1 (ko) 맵보드용 램프 제어회로
KR100230768B1 (ko) 브이 씨 알의 디지트론 구동 방법
KR810000553Y1 (ko) 얼라암 부 전자시계
GB2065391A (en) Power supply system
JPS5863232A (ja) 光スイツチ回路
JPS601436Y2 (ja) キヤインジケーター付デジタル時計
KR830005773A (ko) 타 이 머
JPS58195997A (ja) 警報回路
JPS559168A (en) Alarm-fitted electronic cloc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