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10000419B1 - 3-(산화된 알킬)-디벤조[b.d]피란유도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3-(산화된 알킬)-디벤조[b.d]피란유도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10000419B1
KR810000419B1 KR770001344A KR770001344A KR810000419B1 KR 810000419 B1 KR810000419 B1 KR 810000419B1 KR 770001344 A KR770001344 A KR 770001344A KR 770001344 A KR770001344 A KR 770001344A KR 810000419 B1 KR810000419 B1 KR 8100004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benzo
pyran
hexahydro
dimethyl
tra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7700013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슈이찌 후꾸다 데이비드
죤 아보트 버나드
알렌 아쳐 로버트
Original Assignee
에베레트 에프.스미스
일라이 릴리 앤드 캄파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베레트 에프.스미스, 일라이 릴리 앤드 캄파니 filed Critical 에베레트 에프.스미스
Priority to KR7700013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81000041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100004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10000419B1/ko

Links

Landscapes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3-(산화된 알킬)-디벤조[b.d]피란유도체의 제조방법
본 발명은 산화된 다음 구조식(I)화합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Figure kpo00001
상기 구조식에서 X와 Y는 모두 수소이거나 또는 하나가 메틸이고 다른 하나는 수소이다.
R이 R1및 R2와 R3는 각각 어느 하나가 수소이면 다른 하나는 하이드록실이고, 또 R 와 R1및 R2와 R3는 함께 케톤그룹의 산소를 나타낸다.
n은 1, 2, 3, 4이다.
1-하이드록시-9-케토-3-알킬-디벤조[b,d]피란 또는 1.9-디하이드록시-3-알킬-디벤조[b.d] 피란을 바실루스 세레우스 (Bacilus cereus NRRL B-8172)미생물로 발효시키면 상기 화합물의 알킬측쇄의 2번탄소가 산화되어 새로운 화합물의 형성된다.
미국특허 제3,822,188호, 제3,808,234호 및 제3,864,492호에서 파거등 (Fager et.al.)은 △9-THC-(1-하이드록시-3-n-펜틸-6,66,9-트리메틸-6a,7,10,10a-테트라하이드록디벤조[b,d]피란)을 컨닝해멜라 블래이크스리이나 (Cunnighamella blakesleeana), 스트랩토마이세스 비리도이라부스(streptomyces viri-doilavus), 뮤코 파라피티쿠스(Mucor Parasiticus), 아스페르기루스 폰세카에우스(Aspergllus fonsecaeus)등과 같은 미생물로 발효시켜 상응하는 4'-하이드록시 유도체 즉 n-펜틸측쇄의 2번탄소가 미생물 작용으로 산화된 화합물을 제조하는 방법을 공개하였다. 이렇게 생성된 화합물은 항우울제로 알려지고 있다.
미국특허 제3,897,306호에서 비딕(Vidic et al.)등은 (△8-THC)이성체를 스트랩토마이세스 라벤두라에(Streptomyces lavendulae) 또는 페리쿠리아라아 필라멘토사(Peliculiaria filamentosa)로 산화시켜 C-7탄소가 하아드록실화된 아주 다른 화합물인 7-하이드록시-△8-THC 유도체를 제조하는 방법을 보고하였다. 로버트슨 (Robertson et al)등은 △9-THC, △8-THC, 칸나비놀과 칸나비디올을 신세파라디스트룸 라세마쥼(Sgncephalastrum racemasum)균으로 처리하면 2번탄소에 하이드록실그룹을 갖는 화합물이 생성된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참조 : Biomedical Mass Spectrometry 1975(2) 266 271).
아쳐(Archer)는 일련의 1-하이드록시-3-알킬-6,6a,7,8,10,10a-헥사하이드로-9H-디벤조[b,d]피린-9-온 화합물들이 항우울제, 항불안제, 진정제, 및 진통제로서 유용함을 발견하였다. (참조 : 미국특허 제3,928,598호)이런 구조식의 화합물은 파렌홀쯔(Fa gren holt et al)등이 △8-THC 또는 △9-THC 제조를 위한 중간체로서 최초로 합성하였다. (참조 : J. Am. Chem. Soc., 88 2078(1966), 89 5934(1967) 및 미국특허 제3,507,885호 및 3,636,058호). 페트질카(Petrzilka)는 같은 그룹의 △8-THC 및 △9-THC 화합물을 미국특허 제3,873,576호에 공개하였다.
1-하이드록시-9-케토-3-알킬-디벤조[b,d]피란 또는 1,9-디하이드록시-3-알킬-디벤조[b,d]피란을 화학적인 방법으로 제조하는 것은 극도로 어렵다. 본 발명의 대상은 이 반응을 바실루스 세레우스(Bacillus cereus NRRL B-8172) 미생물을 사용하여 수행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다음 구조식(II)화합물에 바실루스 세레우스 균주를 작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산화된 다음 구조식(I)화합물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Figure kpo00002
상기 구조식에서 X와 Y는 둘다 수소이거나 또는 하나가 수소이면 다른 하나는 메틸이다.
R이 R1및 R2와 R3는 각각 어느 하나가 수소이면 다른 하나는 하이드록실이고, 또 달리는 R 와 R1및 R2와 R3는 함께 케톤그룹의 산소를 나타낸다.
n은 1, 2, 3, 4이다.
Figure kpo00003
상기 구조식에서 X와 Y는 둘다 소수이거나 또는 하나가 수소이면 다른 하나는 메틸이다.
n은 1, 2, 3 또는 4이고 R 와 R1의 어느 하나가 수소이면 다른 하나는 하이드록실이고 또는 R와 R1은 함께 케톤그룹의 산소를 나타낸다.
출발물질인 디벤조피린-1-올-9-온 또는 디벤조피린-1,9-디올에 대한 바실루스 세레우스 균주의 산화작용은 표준적인 심부배양 발효조건하에서 수행하거나 또는 배양되는 미생물세포를 수득하여 다시 현탁시켜 얻어지는 현탁액에 출발물질을 가하여 반응시킨다.
발효과정중에 생성되는 상기 구조식(I)에 따른 신규생성물은 표준적인 추출방법에 의해 분리되고 고압액체크로마토그라피에 의해 정제되거나 및/또는 제조적 박층 크로마토그라피에 의해 정제된다. 화학구조는 NMR, Mass, IR, U.V 스펙트럼에 의해 분석된다.
상기 방법에 따라 제조되는 화합물은 다음과 같다.
출발물질 : 트란스-하이드록시-3-(1',2'-디메틸헵틸)-6,6-디메틸-6,6a, 7,8,10,10a-헥사하이드로-9H-디벤조[b,d]피린-9-온, 생성물
가)트란스-1,6'9-트리하이드록시-3-(1',2'-디메틸헵틸)-6,6-디메틸-6,6a,7,8,10,10a-헥사하이드로-9H-디벤조[b,d]피란
나)트란스-1,9-하이드록시-3-(1',2'-디메틸헵틸)-6,6-디메틸-6,6a,7,8,10,10a-헥사하이드로-9H-디벤조[b,d]피란-6'-온
다)트란스-1,6'-디하이드록시-3-(1',2'-디메틸헵틸)-6,6-디메틸-6,6a,7,8,10,10a-헥사하이드로-9H-디벤조[b,d]피란-9-온
라)(±)-트란스-1-하이드록시-3-(1'-2'-디메틸헵틸)-6,6a,7,8,10,10a-헥사하이드로-9H-디벤조[b,d]-피란-6'-9-디온
출발물질 : 트란스-1-하이드록시-3-(1',1'-디메틸옥틸)-6,6-디메틸-6, 6a,7,8,10,10a-헥사하이드로-9H-디벤조[b,d]피린-9-온 생성물
가)트란스-1,7',9-트리하이드록시-3-(1',1'-디메틸옥틸)-6,6-디메틸-6,6a,7,8,10,10a-헥사하이드로-9H-디벤조[b,d]피란
나)트란스-1,9-디하이드록시-3-(1',1'-디메틸옥틸)-6,6-디메틸-6,6a,7,8,10,10a-헥사하이드로-9H-디벤조[q,d]피란-7'-온
다)트란스-1,7'-디하이드록시-3-(1',1'-디메틸옥틸)-6,6-디메틸-6,6a,7,8,10,10a-헥사하이드로-9H-디벤조[b,d]피란-9-온
라)(±)-트란스-1-하이드록시-3-(1'-1'-디메틸옥틸)-6.6-디메틸6,6a,7,8,10,10a-헥사하이드로-9H-디벤조[b,d]-피란-7'-9-디온
출발물질 : 시스-1-하이드록시-3-(1',1'-디메틸헵틸)-6, 6-디메틸-6, 6a, 7,8,10,10a-헥사하이드로-9H-디벤조[b,d]피란-9-온 생성물
가)시스-1,6'-9-트리하이드록시-3-(1'-1'-디메틸헵틸)-6,6a,7, 8,10, 10a-헥사하이드로 벤조[b,d]피란
나)시스-1,6'-디하이드록시-3-(1',1'-디메틸헵틸)-6,6a,7,8,10,10a-헥사하이드로-9H-디벤조[b,d]피란-9-온
다)시스-1,9-디하이드록시-3-(1',1'-디메틸헵틸)-6,6-디메틸-6,6a,7,8,10,10a-헥사하이드로-9H-디벤조[b,d]피란-6'-온
라)(±)-시스-1-하이드록시-3-(1',1'-디메틸헵틸)-6,6-디메틸-6,6a, 7,8,10,10a-헥사하이드로-9H-디벤조[b,d]피란-6',9-디온
출발물질 : 트란스-1-하이드록시-3-(1', 1'-디메틸펜틸)-6,6'-디메틸-6,6a,7,8,10a-헥사하이드로-9H-디벤조[b,d]피린-9-온
가)트란스-1,4',9-트리하이드록시-3-(1',1'-디메틸펜틸)-6,6-디메틸-6,6a,7,8,10,10a-헥사하이드로-9H-디벤조[b,d]피란
나)트란스-1,9-하이드록시-3-(1',1'-디메틸펜틸)-6,6-디메틸-6,6a,7,8,10,10a-헥사하이드로-9H-디벤조[b,d]-피란-4'-온
다)트란스-1,4'-디하이드록시-3-(1',1'-디메틸펜틸)-6,6-디메틸-6,6a,7,8,10,10a-헥사하이드로-9H-디벤조[b,d]피란-9-온
라)(±)-트란스-1-하이드록시-3-(1'-1'-디메틸옥틸)-6,6-디메틸-6,6a,7,8,10,10a-헥사하이드로-9H-디벤조[b,d]-피란-4'-9-디온
상기 구조식(I) 범주에 속하는 다른 화합물은 다음과 같다.
시스-1,5'-디하이드록시-1', 1', 2', 6,6-펜타메틸-3-헥실-6,6a,7,8,10,10a-헥사하이드로-9H-디벤조[b,d]피린-9-온
시스-1',2',6,6-테트라메틸-3-펜틸-6,6a,7,8,10,10a-헥사하이드로-9H-디벤조[b,d]피란-1,5',9-트리올 등
시스-1',2',6,6-테트라메틸-3-펜틸-6,6a,7,8,10,10a-헥사하이드로-9H-디벤조[b,d]피란-1,4',9-트리올 등
구조식(I) 또는 (II)에 따른 화합물들은 R 또는 R'의 어느 하나가 하이드록실이고 다른 하나가 수소일때 6a,10a 및 9위치에 부제탄소를 갖는다. 그밖에, 측쇄의 알킬그룹도 부제탄소를 가질 수 있는데 예를 들면, 측쇄알킬그룹이 1,2-디메틸헵틸일때 측쇄의 C'1과 C'2위치에 2개의 부제탄소가 존재하게 된다. 이중결합을 △6a(10a) 위치에서 △10(10a)로 이성화시키는 것에 관하여 기술한 파렌홀쯔의 합성방법은 수소원자가 디벤조피란환의 평면위에 있거나 또는 아래에 있드라도 C6a가 비대칭인 라세메이트를 생성한다.
△10(10a)위치의 이중결합을 예를 들어 액체암모니아 중에서 활성금속으로 수소화시키는 반응은 C10a 위치에 2차적인 부제탄소를 형성한다. 그러나 수소화 또는 환원조건하에서 이러한 탄소에 부가되는 수소는 C6a 위치에 있는 수소에 대해 더욱 트란스 배열을 취하여 제조되어 시스배열 화합물이 더 적은 양으로 제조된다. C9 위치에 있는 케톤그룹을 환원시키면 하이록실그룹이 수직(9α) 또는 수평(9β)배치인 이성체의 혼합물이 생성된다.
이와 같이 측쇄에 부제탄소를 갖지 않은 화합물 예를 들어 1,9-디하이드록시-3-(1'1'-디메틸헵틸)-6,6-디메틸-6,6a,7,8,10,10a-헥사하이드로-6H-디벤조[b,d]피란은 4종류의 라세메이트 또는 라세믹쌍을 생성하여 모두 8개의 입체이성체가 존재하게 된다. 측쇄에 2개의 부제탄소를 더 갖고있는 1,9-디하이드록시-3-(1',2'-디메틸헵틸)-6,6-디메틸-6,6a,7,8,10,10a-헥사하이드로-6H-디벤조[b,d]피란 같은 화합물은 6a,9,10a및 측쇄의 C'1및 C'2위치에 모두 5개의 부제탄소를 갖게되어 16라세메이트로서 32개의 이성체가 존재하는 것이 가능하다.
물론 C9위치에서 케톤그룹을 갖는 화합물은 부제탄소가 하나 더 적다. 예를 들어 1-하이드록시-3-(1',1'-디메틸헵틸)-6,6-디메틸-6,6a,7,8,10,10a-헥사하이드로-6H-디벤조[b,d]피린-9-온은 8개의 입체이성체 대신 9-하이드록시 이성체를 갖는 4개의 입체이성체로 존재한다.
그밖에, 알킬측쇄의 2번 탄소원자를 하이드록실화시키는 본 발명의 방법은 부가적인 부제탄소를 형성한다. 이러한 하이드록실화 반응은 입체적인 선택성이 있는 것으로 사료되며, 다시말해서, 실제로 한가지만이 생성되지는 않지만 2종류의 가능한 이성체중의 하나가 더 많이 생성된다.
본 발명 과정의 최종생성물이 측쇄가 케톤인 것이라면, 부제탄소는 더 생기지 않게 되고 입체이성체는 출발물질에 존재했던 수만큼 존재하게 된다.
본 발명의 발효과정 역시 출발물질로 사용된 C9-케톤을 환원시킴으로서 C9위치에 부제탄소가 생성되어 부제탄소수가 하나 증가된다. 또 이러한 환원반응은 입체적인면에서 특이성이 뛰어나 C9하이드록시 이성체중의 어느하나 즉 9S하이드록시 이성체만이 제조되는 것으로 사료된다.
상기 구조식(I)에 따른 본 발명 화합물은 다음과 같이 제조된다.
바실루스 세레우스(NRRL B-8172)를 동결 건조시킨 배양액을 포도당, 광물류, 효소엑기스와 기타성분을 함유한 영양용 배지에서 배양시킨다음 배양액을 전술한 바와 동일한 성정배지를 함유하는 큰 플라스크에 이식하고 이를 다시 1일-2일간 배양시킨다. 이때에 선정된 출발물질을 배양액에 가하거나 또는 성장배지에서 세포를 수집하여 이를 멸균된 완충액에 다시 현탁화시켜 제조한 세포 현탁액에 가한다. 출발물질은 통상 에탄올 용액으로 가하고 발효는 4-8일간 수행한다. 전환된 생성물과 전환되지 않은 출발물질을 세포를 여과하여 제거하기전이나 또는 제거한 후에 에틸아세테이트 같은물과 혼화되지 않은 용매로 추출한다. 이렇게 얻은 유기추출물을 합친 후 완충액으로 세척하고 탈수한 후 여과하고 진공상태에서 증발 건조시킨다. 잔사에서 분리된 발효생성물을 컬럼크로마토그라피로 분리한다.
달리는, 세포를 용해시킨 후 세포의 조직파편을 여과하여 제거하고 여액중에 분리된 효소만을 수집하므로서 세포내에 존재하는 산화-환원효소제를 분리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출발물질을 적당한 농도로 분리된 효소계에 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상기 구조식(I)에 따른 생성물이 충분히 생성될때까지 진탕한다.
사용된 균주 바실루스 세레우스 NRRL B-8172의 특성은 다음과 같다.
이균은 '바실루스세레우스 프랑크란드 및 프랑크란드"(Bacilus cereus Frankland 및 Frankland)의 균주로서 분류된다. 이 균은 크며 포자를 형성하는 간균으로, 그 크기는 4.7μ x 1.6μ이며 짧은 사슬형태로 존재한다. 이균은 그람양성 또는 그람변이성이며 운동성을 나타내지 않는다. 내성포자는 타원형이고 주로중심형 내지는 부중심형이다. 포자는 영양향 한천에서 18-24시간내에 점차적으로 생성된다. 포자는 0.95μ x 1.7μ이다. 포자낭은 부풀지 않는다.
균의 집락은 약간 울퉁불통하고, 불규칙이며, 가장자리가 물결모양이고 불투명한 백색이다. 집략표면은 어둡고 뚜렷한 광택이 결여되어 있다.
성장시키기 위한 최적온도는 30℃이고 8。-37℃사이에서 성장되고 43℃에서 는 자라지 못한다.
암모늄염 배지에서 이균은 D-그루코즈와 D-말토즈로부터 산을 생성하나 기체는 생성하지 못한다.
L-아라비노즈, D-만니톨 및 D-코실로즈에서는 산이나 기체가 생성되지 않는다-이균은 인돌 또는 유화수소를 생성시키지 않는다. 제라틴은 24시간내에 급속히 액화되고 전분은 가수분해되고 우유의 펩톤화의 산의 생성은 느리게(6일) 일어난다. 배양액은 카탈라제 효소에 양성이며 아세틸메틸카비놀을 생성한다.
이균의 배양액은 아세틸메틸카비놀을 생성시키고 만니톨에서 산을 생성시키지 않는다는 점이 바실루스 메가테리움(Bacillus megaterium)과 다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구조식(II)화합물에 따른 다른 출발물질로 대치시키는 경우, 즉 (±)-트란스-1-하이드록시-3-(1'-1'-디메틸헵틸)-6,6-디메틸-6,6a, 7,8,10,10a-헥사하이드로-9H-디벤조[b,d]-피란-9온대신 (±)-트란스-3-(1'-1'-디메틸헵틸)-6,6-디메틸-6,6a,7,8,10,10a-헥사하이드로-9H-디벤조[b,d]-피란-1,9디올을 사용하는 경우에, 상기 발효과장중에 유사한 4종류의 생성물이 수득된다. 이들은 측쇄의 2번탄소가 케톤이거나 또는 하이드록실인 생성물과 ; 디벤조[b,d]피란환의 9위치가 케톤이거나 또는 하이드록실인 생성물이다. 바실루스 세레우스(NRRL B-8172)대신에 커밍하멜라 블레이크셀레나(Cumminghamella balakeselleeana), 커닌하멜라 엘레간스(Cunning haemella elegans), 스트랩토마이세스 시나모로우스(Streptomyces Cinnamonous), 뮤코 파라시티쿠스(Mucor paraticu, s)등과 같은 다른 미생물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 화합물은 진통제로 유용하고 이들의 진통효과는 생쥐에 초산을 투여하여 유발시킨 통증을 저해하는 능력으로 나타낸다. 진통활성을 위한 표준적인 실험실적방법은 통증(writhing)의 저해이다.
다음 화합물에 대해 측정된 ED50(통증의 50%를 저해하기에 충분한 양)은 다음과 같다.
화합물 A는 20mg/kg이상이며; 화합물 B는 8.0mg/kg이고 ; 화합물 C는 4.2mg/kg이며 화합물 D는 2.0mg/kg이다.
이들이 진통제로서 유용하다는 것외에 본 발명 화합물 일부는 산화 또는 환원시켜 다른 본 발명 화합물을 제조하기 위한 중간체로서 유용하다. 예를 들어, 디벤조[b,d]피란환의 9위치와 측쇄의 2번탄소의 케톤관능그룹을 함유하고 있는 화합물은 소디움보로하이드라이드로 환원시켜 동일한 2개의 탄소에 하이드록실그룹을 함유하는 화합물 D를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 화합물을 진통제로서 사용하기 위해, 활성성분을 약학적으로 무독한 부형제와 혼합하고 이혼합물을 각각의 캡슐에 진통시키기 위한 특정성분 일정용량을 함유하게끔 빈 젤라틴 갭슐에 충진한다. 진통을 필요로 하는 사람에서 의사의 처방에 따라 캡슐 1-4개를 1일 1-4회에 걸쳐 투여할 수 있다. 정제, 현탁제, 등과 같은 기타의 약학적 제형도 역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다음에 기술된 실시예에 의해 상술된다.
[실시예]
흙에서 분리된 바실루스 세레우스 NRRL B-8172(A 36659)를 25-30℃범위의 온도에서 48-96시간동안 다음과 같은 내용물을 함유하는 인공배양기중에서 배양시킨다 : 육즙 1.5g : 펩톤 6.0g : 효모추출물 3.0g : 한천 20g : 이온교환수 1. 배지는 사용하기에 앞서 121℃(15psi)에서 15분간 고압 멸균시킨다. 이배양액을 인공배양기증서 4℃로 유지시키고 48-96시간이 경과된 인공배양기중의 세포를 동결 건조시키고 4℃로 세포를 다음과 같은 배지를 함유하는 플라스크에 접종시킨다.
Figure kpo00004
배지의 PH는 농염산 수용액으로 PH 7.0으로 조정하고 250 또는 500ml삼각플라스크 각각에 50 또는 100ml씩의 배지를 가한다음, 각각의 플라스크를 솜마개로 막는다. 배지를 함유하는 플라스크 각각을 전술한 바대로 고압멸균한다. 고압멸균된 플라스크에 접종시킨다. 동결건조시킨 NRRL B-8172 배양액을 접종시킨 후에 배양용 플라스크를 24-48시간동안 회전식 진탕기(직경이 2.5인치 250rpm)상에서 30℃로 배양시킨다.
세포를 4℃ 2300rpm에서 20-30분간 원심분리하여 상기 발효물에서 제거시킨다. 상충액을 경사시켜 분리하고 뭉쳐진 세포를 PH 6-7인 0.1몰 인산 완충액으로 세척한다. 세척한 세포를 PH 7.0인 소량의 완충액이나 또는 포도당 3%를 함유하는 유사한 완충액에 다시 현탁화시킨다. 얻은 현탁액을 멸균시킨 500ml용 삼각플라스크에 100ml-125ml씩 가한다.
α1-트란스-1-하이드록시-3-(1'1'-디메틸헵틸)6,6-디메틸-6,6a,7,8,10,10a-헥사하이드로-9H-디벤조[b,d]피린-9-온(80mg)을 녹인 에탄올 1.5ml를 세포현탁액이 들어있는 각각의 플라스크에 가한다.
완전히 가한후, 이 배양액을 4-8일간 계속하여 배양시킨다. 배양시킨 플라스크를 합치고, 혼합된 세포와 배지를 매회 원액의
Figure kpo00005
양만큼의 에틸아세테이트로 4회 추출한다. 에틸아세테이트 추출물을 합치고, 윈액의
Figure kpo00006
만큼의 물로 2회 세척하고 탈수시킨 후, 에틸아세테이트를 진공상태에서 농축시켜 제거한다. 얻어진 잔사에서 전환되지 않은 출발물질 케톤체와 출발물질이 발효되어 유도된 5종류의 산화생성물의 혼합물이 함유되어 있다. 이 잔사를 갖고 머크실리카겔 60미리 충진시키고 2-6프사이(psi)의 질소기류하에서 클로로포름으로 충진시킬 컬럼을 사용하는 고압액체 크로마토그라피를 수행한다. 잔사를 소량의 클로로포름에 녹여 이 컬럼에 적용시키고 에틸아세테이트 농도가 증가되는 용매혼합물로 용출시킨다. TLC상에서 출발물질 케톤체의 동일한 전환물을 함유하는 컬럼 분획물 합친다. 여기에 함유된 전환생성물을 다음과 같이 제조적 박층크로마토그라피로 정제시킨다. 합친 분획물을 증발건고시켜 얻은 잔사물질을 에틸아세테이트에 용해시킨다. 에틸아세테이트 용액을 실리카켈 박층판에 판당 15-20mg을 스포트(spot)한다. 이판을 벤젠 : 에틸아세테이트 용매(1 : 1)계로 전개시키고 풍건한다음 자외선하에서 관찰하여 전환생성물 부위를 표식한다. 이 부위를 클로로포름에틸아세테이트로 용출시켜 정제된 생성물을 제조한다.
다음 실시예는 상기 방법에 따른 구체적인 실험예이다.
[실시예 1]
출발물질 : dl-트란스-1-하이드록시-3-(1' 1'-디메틸헵틸)-6, 6-디메틸-6,6a,7,8,10,10a-헥사하이드로-9H-디벤조[b,d]피란-9-온
사용량 : 160mg
배양기간 : 5일
분리 : 실리카겔을 사용하는 크로마토그라피
생성물
Figure kpo00007
출발물질과 dl-트란스-1,9-하이드록시-3-(1' 1'-디메틸헵틸)-6, 6-디메틸-6,6a,7,8,10,10a-헥사하이드로-9H-디벤조[b,d]피란-(9-케토그룹이 α-하이드록실로된 6aR, 10aR, 9R 이성체의 환원생성물)역시 분리된다. 화합물 D,A와 C가 황색오일로 분리된다.
[실시예 2]
출발물질 : 실시예 1과 동일
사용량 : 320 mg
배양기간 : 5일
분리 : 실시예 1과 동일
생성물 : 화합물 A,C,D
화합물 B : Rf-0.348
용출용매 : CHCl3
수 득 량 : 17.5mg
[실시예 3]
출발물질 : 실시예 1과 동일
사용량 : 800 mg
배양기간 : 5일
분리 : 실시예 1과 동일
생성물 : 화합물 A,B,C,D 및 출발물질의 환원생성물인 1,9-디하이드록시 유도체
화합물 A
(±)-트란스-3-(1' 1'-디메틸헵틸)-6,6a,7,8,10,10a-헥사하이드로-1-하이드록시-6, 6-디메틸-9H-디벤조[b,d]피란-6', 9-온
Figure kpo00008
화합물 B
(±)-트란스-3-(1' 1'-디메틸헵틸)-6,6a,7,8,10,10a-헥사하이드로-1,6'-디하이드록시-6, 6-디메틸-9H-디벤조[b,d]피란- 9-온
Figure kpo00009
화합물 C
트란스-3-(1',1'-디메틸헵틸-6,6a,7,8,10,10a-헥사하이드로-1,9-디하이드록시-6, 6-디메틸-9H-디벤조[b,d]피란-6'-온
Figure kpo00010
화합물 D
트란스-3-(1',1'-디메틸헵틸-6,6a,7,8,10,10a-헥사하이드로-1,6',9-트리하이드록시-6, 6-디메틸-9H-디벤조[b,d]피란
Figure kpo00011

Claims (1)

  1. 다음 구조식(II)화합물을 바실루스 세레우스 NRRL B-8172(Bacillu, s Cereu, s)균주로 처리하여 산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음구조식 (I)화합물의 제조방법
    Figure kpo00012
    상기 구조식에서 X와 Y는 둘다 수소이거나 또는 하나가 수소이면 다른 하나는 메틸이고 ; R와 R1및 R2와 R3는 각각 어느 하나가 수소이면, 다른 하나는 하이드록실이며, 또는 R 와 R1및 R2와 R3는 함께 케톤그룹의 산소를 뜻하고 n은 1, 2, 3 또는 4이다.
KR770001344A 1977-06-08 1977-06-08 3-(산화된 알킬)-디벤조[b.d]피란유도체의 제조방법 KR8100004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70001344A KR810000419B1 (ko) 1977-06-08 1977-06-08 3-(산화된 알킬)-디벤조[b.d]피란유도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70001344A KR810000419B1 (ko) 1977-06-08 1977-06-08 3-(산화된 알킬)-디벤조[b.d]피란유도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10000419B1 true KR810000419B1 (ko) 1981-05-01

Family

ID=192044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770001344A KR810000419B1 (ko) 1977-06-08 1977-06-08 3-(산화된 알킬)-디벤조[b.d]피란유도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10000419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897306A (en) 7-Hydroxy-delta 8-tetrahydrocannabinols and microbiological production thereof
US3983140A (en) Physiologically active substances
CA1258818A (en) Process for producing diol and furan and microorganism capable of same
JPH0622780A (ja) 新規真菌株及びそれを用いた抗生物質産生方法
JPH04360895A (ja) Fo−1289a物質およびその製造法
US4104282A (en) Novel 3-(oxygenated alkyl)-1,9-dihydroxy and 1-hydroxy-9-keto dibenzo[b,d]py
US5089521A (en) 10-membered ring lactones, a proces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and the use thereof
KR810000419B1 (ko) 3-(산화된 알킬)-디벤조[b.d]피란유도체의 제조방법
US4137241A (en) Deoxy-(0-8)-epi-17-salinomycin (1)
US5100921A (en) Angucyclinones from streptomycetes, a proces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and the use thereof
US4382952A (en) Antibiotic roridin L-2 and its use
US5151529A (en) Platelet activating factor antagonists, named "the phomactins" their preparation and use
US4992570A (en) UCN-1028A and UCN-1028C and process for the production thereof
US4845037A (en) Process for producing antibiotic LL-D42067α
US3564019A (en) Tetracyclic lactone antifungal agents
US5922582A (en) Indole alkaloid type compound 0089-D
US4753959A (en) Antibiotic lactone compound
US3986928A (en) Antibiotic a-32390 and process for preparation thereof
JP2928626B2 (ja) 血小板活性化因子拮抗物質フォマクチンb
JP2844214B2 (ja) 4a―ヒドロキシミルベマイシンα類の製造法
JPH0625277A (ja) 新規テストステロン−5α−レダクターゼ阻害物質SNA−4606産生菌、新規テストステロン−5α−レダクターゼ阻害物質SNA−4606及びその製造法
US3979433A (en) 1,6-Di-O-(2-isocyano-3-methylcrotonyl)-D-mannitol compounds
JP2826140B2 (ja) 血小板活性化因子拮抗物質フォマクチンa
US5965407A (en) Anthracycline compound 0624
EP0234431A2 (en) 5-Hydroxydihydrofusarubin, a process for its preparation and its use for the preparation of a medica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