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10000412Y1 - 진자형식의 고감도 자동조심 웨이팅 아암의 구조 - Google Patents

진자형식의 고감도 자동조심 웨이팅 아암의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10000412Y1
KR810000412Y1 KR2019810001209U KR810001209U KR810000412Y1 KR 810000412 Y1 KR810000412 Y1 KR 810000412Y1 KR 2019810001209 U KR2019810001209 U KR 2019810001209U KR 810001209 U KR810001209 U KR 810001209U KR 810000412 Y1 KR810000412 Y1 KR 81000041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m
weighting
roller
spring
guide ar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1000120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젠사부로오 쓰구모
Original Assignee
엔. 테. 엔. 도오요오 베아링구 가부시기가이샤
오오쓰 고오다로오
젠사부로오 쓰구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엔. 테. 엔. 도오요오 베아링구 가부시기가이샤, 오오쓰 고오다로오, 젠사부로오 쓰구모 filed Critical 엔. 테. 엔. 도오요오 베아링구 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to KR2019810001209U priority Critical patent/KR81000041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1000041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10000412Y1/ko

Links

Landscapes

  • Spinning Or Twisting Of Yarn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진자형식의 고감도 자동조심 웨이팅 아암의 구조
제1도는 종래의 조절형 가이드 아암의 측면도
제2도는 제1도의 평면도.
제3도는 상기한 가이드 아암을 이용한 자동조심 장치에 의한 편위상태를 나타낸 도표.
제4a,b도는 종래의 전자형식의 가이드 아암을 표시하는 도면.
제5도는 종래 장치의 후방상부 로울러의 평행 빈도 분포도.
제6도는 전방 상부 로울러의 평행 빈도 분포도.
제7a,b도는 종래의 고정형 가이드 아암을 표시하는 도면.
제8-제10도는 종래의 조절형 가이드 아암을 표시하는 도면
제11,12도는 조절형의 실시예를 표시하는 도면
제13a,b도는 자동조심 작용의 설명도.
제14도는 자동조심 작용의 역학적 주점(主點)에 대한 설명도.
제15a,b도는 종래의 웨이팅 아암조립부를 표시하는 도면
제16a,b,c도는 고장상태의 설명도.
제17a,b,c도 및 제18a,b도는 본 고안의 실시예를 표시하는 도면
제19도-제24도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표시하는 도면
제25도는 여러 세목의 개선 비율을 도시한 표.
본 고안은 연조기, 연방기와 정방기를 포함한 직물기에 있어서 니-프(NiP)형성에 중요한 드래프트 작용을 위하여 톱로울러의 지지와 압박장치로 이용하는 자동조심 웨이팅 아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제1도 및 제2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널리 사용되고 있는 진자형식의 자동조심 웨이팅 아암은 웨이팅 아암(A), 가이드 아암 케이스(B), 가이드 아암핀(C), 구동체(D), 종동 로울러(R), 종동 로울러측(G)과 압박체(S)로 구성된다.
보편적으로 직물기의 드래프트부는 상기한 조립부 2쌍 흑은 그 이상의 쌍으로 병렬 구성되며 각 쌍에서 종동측의 상부로울러(R)는 구동축의 하부로울러(D)에 대하여 압박하면서 회전하며, 한편 원통상의 접촉관계를 유지하면서 상부와 하부로울러축의 병렬특성에 의한 점, 선 및 면 접촉을 포함한 다양한 형태로서 압박 니-프(nip)를 형성한다.
직물기의 드래프트부에 있어서 고도로 안정된 면 접촉은 방사의 질을 개선하는데 필수 조건이다.
특히 상부 및 하부로울러(R),(D) 축 사이의 평행성이 깨지면 로울러끼리의 접촉상태가 불안하게 되고, 이들이 점 흑은 선 접촉상태가 되어서 안정된 압박 니-프를 유지할 수 없으며, 따라서 순조롭고 안정된 드래프트 작용을 얻기 힘들게되어 제품의 질에대해 직접 불리한 효과를 초래하게 된다. 따라서 하부 및 상부 로울러(D)(R)축 사이를 평행으로 유지하는 것은 직물기의 드래프트부에서 필수 조건이었다.
보편적으로 이러한 조건을 갖추는 방법은 자동조심적 구조로 하거나, 조립에 있어서 웨이팅 아암(A)과 가이드 아암의 조절에 대한 정확도를 향상하는 것으로 행하여 왔다.
로울러들이 압박 접촉회전을 하면서 전체 접촉면에 균등한 압력배분으로 로울러 니-프를 계속 형성하는 것은 항상 평행 상태하에서이다.
이러한 장치는 웨이팅 아암(A)의 배열에 기인한 좌우 기울기, 상하운동 및 회전같은 복합운동의 영향을 받기 때문에 불안정된 상태를 나타내는 경향이 있다.
특히 제1도의 경우, 종동 로울러(R)와 구동 로울러(D)가 그들축의 평행성에 의하여 원통면으로 서로 접촉하며, 이런 접촉조건은 압박과 관련하여 매우 불안정한 니-프를 생산하는 여러 형태를 나타내게 된다 드래프트부는 안정되고 안전한 니-프를 요구한다.
나아가서 접촉부위 전체 넓이위에 균등하게 배분된 강한 니-프 조건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더우기 상부 및 하부로울러(R)(D)축 사이의 평행이 깨지면, 로울러의 니-프상태에 있어서 불안한 변화를 초래하고 압박 접촉상태도 선접촉 상태를 점 접촉상태와 유사하게 변화 시키며, 따라서 로울러들의 전체 넓이에 안정되게 균등한 압박 니-프 조건을 얻기 힘들게 된다.
제3도는 제1도와 동일한 자동조심 기능에 관련된 편차 상태를 도시한 것인바(a)는 정상 상태를 도시한 것이고, (b)와 (c)는 각각 한편으로 편위되는 비정상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작업중에 측정할때 대부분의 경우(a)나 (b)의 상태가 우세한 것을 볼 수 있다.
그러므로 종동 로울러와 구동체축의 평행을 유지함이 가장 중요한 문제임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조건을 이루는데 충분한 방법이 정립되지 못하였고 지금까지는 조립하는 동안 많은 시간을 들여서 조절하거나 개선하여 매우 만족스러운 정도는 아니나 보편형의 자동조심 기능을 재정비하여 가이드 아암과 웨이팅 아암의 구성에 정확도를 최대화하는 것 이외는 다른 선택의 여지가 없었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에는 한계가 있다.
시장의 요구에 적용하려면 이미 막바지에 이른 종래 구조에만 의지 할 수 없고, 고감도의 새로운 개발로 대치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요구는 웨이팅 아암의 구조에 여러가지 형태를 만들게 하였다. 실제 작업상에 있어서 웨이팅 아암은 다음 세 가지로 분류할 수 있다.
[자동 조심형]
제4a,b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형은 핀(6)에 위치한 보편적인 전자형 가이드 아암(3)의 진동 운동축으로 피보트축을 이용하는 원리를 기초로 하는 것으로서 가이드 아암(3)은 수직과 수평방향 혹은 좌우 기울기에서 회전 지지되고 상부 로울러(2)는 하부로울러(1)에 의하여 회전되므로 자동적으로 하부 로울러(1)에 대하여 상부로울러(2)의 평행을 조절하게 된다.
미설명부호(4)는 용수철을 도시한 것이고, (5)는 가이드 아암 케이스이며, (7)은 아암체를 도시한 것이다.
이와 같이 이 형식은 중심부에 축을 지지하고 있는 진자가 축에 대하여 직각으로 배치되고 이의 연장부에 지점을 가지는 것에 의해 대칭적으로 배열된 상자내에서 자유로이 회전할 수 있는 두 개의 휘일이 중앙을 향하여 복위작용을 갖는 진자의 원리에 기초를 두고 있다.
복위 작용은 중심조절에 기인한 추진력에 기초하지만 용수철의 편위, 가이드 아암케이스의 편위와 아암체의 편위를 포함하여 제작에 관련된 여러가지 요인에 의해 축적되는 오차의 영향과 지지부분의 오차는 주목 할만하다.
특히 증가된 중량에 대한 최근 경향은 상부와 하부 로울러 사이의 접촉면의 성질 때문에 편위 원인을 현저히 증가 시키는 경향이 있다.
상기한 오차의 원인에 특별히 더욱 문제되는 것은 저회전 속도(rpm)를 가진 제2의 백로울러로서 이들 부분에 있어서 복위력(추진력)이 낮으므로 축적된 오차를 조절하는 데 충분한 힘을 발휘못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상황에서 저회전속도(rpm)를 가지며, 전자형으로 다시 설계한 부분이 하부로울러에 관하여 상부 로울러의 평행유지를 방해하는 결과를 가져오게 되었다.
나아가서 드래프트부의 드래프트작용을 개선하는 것은 시대의 요구이며, 이는 니-프 압력을 증가 시키는 필수 인자이다.
그러나, 원통위에 원통식 배열로부터 상부로울러에의 압력증가는 하부와 상부로울러의 평행을 더욱 손상시키는 원인이 된다.
따라서 압력을 증가시키는 진자형식에 기초를 둔 자동조심은 한계에 이르렀고, 현재는 이러한 한계점을 넘어서 사용되고 있다.
특히 2차 로울러와 저회전 속도를 가진 종동로울러에서 편위에 대한 경향이 심하다는 것이 결점이다.(제5도 및 제6도에 도시)
저회전 속도와 매우 무거운 압력을 가진 최근의 연방기에 자동조심을 실시하여 얻는 불리한 영향은 섬유 드래프트부의 작업율이 낮고, 자동조심이 제품의 질을 개선하는데 한계에 이르렀다는 것이 증명되었다. 이에 대한 대책으로서 가이드편(도면표시 생략)을 가이드 아암에 부착하는 방법이 간혹 이용되나, 실제로 요구하는 정밀도를 유지하기는 불가능하다.
[고정형]
이 방법은 제7a,b도에 도시하였다.
제7a도는 좌우 기울기와 회전 운동을 할 수 있도록 압력에 의하여 압박된 상부 로울러의 중심축을 지지하기 위한 부품이 가이드 아암(3)에 대해 직각으로 직접 지지되는 계통을 도시한다.
이 계통에서 가이드 아암(3)은 아암체(9)에 고정된다.
도면에 있어서 부호(11)는 부품나사이며, (12)는 용수철 고정핀이다.
제7b도에 도시한 배열은 제7a도에 도시한 것과 유사하지만, 제7a도의 결점인 가이드 아암의 상부 로울러를 지지하는 부분에서 마찰저항에 기인하여 발생하는 상부 로울러에 대한 부수적인 압력저하를 방지하기 위하여 가이드 아암을 설치하였다.
상기한 바와 같이 고정형은 진자형식의 결점을 제거하기 위하여 시도한 중량계를 이용한 가이드 아암형이다.
최근 이런형에 속한 것들이 증가하여 있으나, 아암체가 하부 로울러와 정확한 직각을 이루지 않고 가이드아암의 모든 구성부분이 매우 높은 제작정밀도를 갖지 못하면 만족한 결과를 얻을 수 없으며, 진자형 계통에서와 같이 누적된 오차가 뜻밖의 여러 범위에서 발생된다.
또한 이 경우에 누적된 오차는 상기한 진자형계에서의 오차와 상이하지는 않다.
이 방법은 이론적으로는 가능하지만 실제 사용에 있어서 진자형계에서와 같이 상부와 하부 로울러의 평행을 유지하는 것이 매우 어렵다.
진자형과 고정형은 상기한 바와 같이 자동조심동작에 관하여 중대한 결점을 가지고 있는 것이다.
이것은 작업장에서 얻는 다음과 같은 조사결과에 의하여 명백하게 확인할 수 있다.
제5도는 진자형과 고정형계에서 후방 상부로울러의 편위도를 도시한 것이고, 제6도는 동일하게 양계에서 전방 상부로울러의 편위도를 도시한 것이다.
각각에 있어 조사결과는 대회사에서 엄밀한 표본추출 방법으로 얻어졌다.
이 결과로 보면 비록 자동 조심 웨이팅 아암이 다소 유리하지만 편위는 허용한계를 넘어 광범위하게 퍼져있다는 것을 명확히 보여준다. (방사 불균등도 발생에 대한 부적당한 범위)
따라서 매우 많은 조립군을 운영하는 회사에서 허용할 수 있는 조건으로 상부 로울러를 유지한다는 것이 쉽지 않은 문제임을 알 수 있다.
여기서 고려해 볼것은 지지력이 없어도 고감도의 자동조심을 할 수 있는 구조에 대한 기초 조사가 시급한 실정이다.
웨이팅 아암의 구조적 결함은 상기한 바와 같이 쉽게 제거할 수는 없으나, 방법이 전혀 없는 것은 아니며, 더우기 다음에 기술하는 조절형은 확실한 방법에 속한다.
[조절형]
일본국 특허출원번호 117330/72(특허공개번호 72422/74)로 제출한 조절형에 의하면 직접적 결함을 제거하는 것이 가능하다.
조절형의 에는 제8도 내지 제10도에 도시하고 있다.
이 조절형에 따르면 직물기의 드래프트부에 있어서 상부로울러는 웨이팅 아암, 가이드 아암의 한 끝에 고정, 지지되고 다른 끝은 진자형을 구성하는 피보트축 형식으로 지지되며, 가이드 아암으로부터 분리하여 가이드 아암 케이스 혹은 분리 고정된 편위 조절하는 구형 부품이 조절되고, 조정되는 상부 로울러의 좌우 기울기 운동을 가능케하기 위하여 가이드 아암과 관계하지 않는 조건에서 가이드 아암의 일부와 구형이 면 접촉을 하게되므로서 하부 로울러의 축과 평행한 상부 로울러 축을 유지하며, 동시에 하부 로울러를 따르면서 상부 로울러의 회전운동과 상하운동을 허용하여 상부와 하부로울러가 서로 밀착되고 떨어질 수 없게 작동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이것은 한 끝이 가이드 아암에서 피보트 축식으로 지지된 경우에, 다른 끝에서 지지부에 의하여 지지된 상부 로울러가 공간 좌표에서 세가지 축 방향 즉 X, Y 및 Z축 방향에 관하여 자유롭게 되며, 따라서 가이드 아암에 의하여 지지된 상부 로울러는 좌우 기울기는 상하운동과 회전운동을 허용하는 방식으로 점, 선 및 면접촉의 복잡한 관계로서 하부 로울러에 대하여 압박한다.
이러한 경우에 하부 로울러에 관하여 상부 로울러의 평행을 유지하는 중요 인자는 상부 로울러의 좌우 기울기 운동이다.
만일 상부 로울러의 좌우 기울기 운동이 하부 로울러를 완전히 따른다면 모든 조건들이 평행을 이루고 이들 축의 평행 유지도 이루어지며, 따라서 안정된 면접촉 니-프를 얻을 수 있다.
반대로, 만일 하부 로울러를 따를 수 없다면 모든 다른 조건이 평형을 잃게되며 계획된 목적을 달성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만약 하부 로울러의 회전축이 상부 로울러의 회전축과 함께 평행으로 지지되는 방법이 이용되면 단지 가이드 아암의 좌우 기울기 운동만을 엄격히 조정하면 상하 운동과 회전운동 같은 다른 운동은 자유로이 따르게 되고,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이 상부 로울러의 웨이팅 조건에 요구되는 여러가지 조건들이 만족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가 유지되기 위해서 주어진 넓이를 가진 양모에 대한 니-프의 조건들이 어떤 하중에서도 안정되고 만족된다.
이러한 관계는 완전히 상하 운동을 위하여 지지되나, 회전 운동때문에 이론적으로 약간 좌우 기울기 운동에 영향을 끼친다.
그러나 이의 변위는 실제로 하부 로울러 편차의 소폭 변위에 관해 무시 할 수 있고, 좌우 기울기 운동에 충분한 영향을 주어서 평행을 깨트릴만큼의 변위를 이루게 힘들게 된다.
그 이유를 제10도에 도시한다.
직경 R(편차량 δ)을 가진 구형면의 편심적 조절장치를 가정하면 가이드 아암과 구형면 사이의 접촉점에서 회전운동의 각 θ에 관하여 좌우 기울기 방향으로의 편위량 β는 다음과 같이 표시된다.
따라서 β는 θ의 미소한 편위에 대하여 거의 영에 같다는 것을 보여준다.
조절계에서 여러가지 방법이 고려되며, 이와 관련하여 제8도 및 제9도는 편심형의 예를 도시한 것이다.
제11도, 제12도는 조절핀의 형식을 도시한 것이다.
제11도는 조임너트(n0)를 이용한 조절형인 반면 제12a,b도는 평면 용수철(n1)과 (n1′)을 이용한 꺽쇠형을 도시하며, C는 크림핑(n3)을 이용한 형을 도시하고, D는 고무와 같은 탄성체(n2)를 이용한 형이며, E는 중앙에 조절핀(m)을 고정하여 변형시키는 장치와 납이나 동같은 비교적 연한 금속의 관(n4)을 연결한 것을 도시한다.
F는 조절핀을 접착제나 납땜(n5)을 이용하여 고정시킨 방법을 도시한다.
각각의 형은 필요시 조절할 수 있도록 개발되었다.
이와 같이 적당한 지그(JIG)가 각개 형에 준비되어 조절할 필요가 있을 때 이용되어서 상부 로울러의 편위에 기인한 문제점을 제거하게 된다.
그러나 이 계통은 조절시 숙련과 시간을 요하므로 실제 사용하기 어렵다.
그 때문에 제조원에 의하여 오차를 교정하는데 있어서 웨이팅 아암의 조립 작용에 통계적 방법이 이용될때 사용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계통들은 편리하게 이용될 수 있는 전자의 자동조심을 거의 무시하고 자연법칙을 부인하는 개념에 기초를 두고 있다.
그리고 실제로 상기한 바와같이 비논리적인 면도 있다.
그러나 회전속도가 낮고 무겁게 하중된 2차 상부 로울러와 종동부를 포함한 매우 저속회전 하는 상부로울러 혹은 와이드 게이지 상부 로울러를 이용하므로서 충분한 장점도 얻을 수 있다.
나아가서 이와 유사한 조정계가 연방기에서 웨이팅 아암에 대한 가이드 아암의 조정 클립(clip)의 형으로 이용되는 예도 있었다.
그러나 상기한 조절핀계의 범주와 다른 것은 아니다.
현재 이용되는 웨이팅 아암의 배열로부터 판단하자면 조절계의 이런형은 현대 대량생산계통에서 제작되는 오차를 고려하여 효과적인 방책을 제시한다.
나아가서 아암체가 몇몇 선되적 회사에 의해 생산된 새들(Saddle) 계통에서 고안한 것과 같이 항상정확하게 설치됨을 전제로하는 고정형개념에 기초를 둔 계통은 이의 많은 실제 사용에서나 다년간 유지한 실시결과에 의하여 증명된 바와 같이 만족스럽지 못하다.
그리고 현재 상황하에서 이것이 질적인 면에서 불량의 원인을 이룬다는 사실은 매우 중대하다.
상기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보편적 계통의 웨이팅 아암이 재론되어도 직물기에서 작동하고 있는 상부 로울러의 매우 큰 숫자의 평행을 조정하거나 유지하는 것은 극히 어려운 문제이다.
그러나 상부 로울러(R)의 평행이 여러가지 계속적인 공정에 생산효율 작업안정도 및 질을 개선하는데 공헌하는 사실로 미루어보면 자동조심성능의 효율적인 이용을 할 수 있는 새로운 기술적장치를 창안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지금까지의 기재는 현재 사용중인 웨이팅 아암부의 웨이팅 아암의 결함과 상항에 관한 현재 상태를 명백히 하여주고 있고, 발명적 사고에 기초를 두고 있지만 구조적 결함때문에 완전히 개발되지 못한 자동조심 성능을 가진 진지형 아암의 실제적인 상태는 확고한 예를 참고하여 기재하였다. 이하 진자형 아암의 자동조심 성능에 대한 원리를 근본적으로 기재한다.
제13도는 자동조심 작용의 설명도이다.
제13a,b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진자 아암계통의 기본원리는 다음과 같다.
구동면(D′)가 화살표(Y-Y′)의 방향으로 연속이동할 때, 압박아암(A)는 피보트 축식으로 지점(O)에서 작은 직경의 핀(I)에 의하여 지지되며, 직각으로 종동 로울러(R)의 회전축(X-X′)을 지지하고, 압박장치에 의하여 가이드 아암위의 고정점(P)에서 수직으로 충분히 압박되고 있다.
이 배열에서 압박아암(A)는 YY′⊥XX′ 조건하에서 jojo′⊥XOXO′의 관계를 엄격히 유지하고 있다.
이런 형상은 제13a,b도에 도시한 로울러들의 수와 무관하게 보존되며, 외부로부터 방해가 없는한 변화없이 유지된다.
이에 대한 이유의 역학적 면의 주요점을 제14도로서 설명한다.
화살표(Y-Y′ 축과평행) 방향으로 연속이동하는 구동면(D′)과 함께 구동체(R)의 지지축(X-X′)에 관하여 구동체의 세 가지기본적 상태(a),(b),(c)를 고려할 수 있다.
이동 방향의 기준축(X-X′)과 평행하는 화살표 방향으로 구동면(D′)의 이동을 위한 종동로울러(R)의 상태(a)는 YY′⊥XOXO′//XX′ 관계를 유지하는 기준축(Xo-Xo′)이 기본 위치에 있는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그리고 상태(b)는 로울러가 기준축(Xo-Xo′)에서 각도(θ) 만큼 우측 상방으로 기울어진 상태를 도시한 것이고 상태(C)는 로울러가 기준축(Xo-Xo′)에서 각도(θ)만큼 좌측 상방으로 경사진 것을 도시한 것이다.
따라서 상태(a)에서 로울러(R)의 중점(Q)는 항상피보트 축으로 되는 지지점(O)을 통하여 연장된 기준축(Y-Y′)위에 위치하여 구동면(D′)에서 각도변위는 일어나지 않는다.
한편 로울러(R2) 위의 중점(Q2)에 따르는 기준축은 직선(Yl-Yl′)에 의하여 도시된 바와 같으며, 상태(C)에서 로울러(R1)의 기준축은 직선(Yr-Y′r′)으로 표시되고 있다.
로울러(R)는 그 넓이만큼 구동면과 선혹은 면접촉을 하므로 각각 J0, J1및 Jr면의 통과로를 도시하고 있다.
제14a,b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통과로들은 종동로울러(R)가 기준축(Y-Y′)에 대하여 경사각(θ)로 제한되고, 제14도에서 도시한 위치관계에서 A와 B는 기준축(Y-Y′)에 근접한 통과로를 따르며, 그 속도(S)는 다음과 같다.
즉,
역학적으로 이 관계는 힘(F)의 방향을 가진 벡터식에 의하여 직접대치될 수 있다.
제15a,b도에 도시한 바와 같은 길이(ℓ)를 가지고 지점(0)을 보유하는 지지아암(O,Q)가 로울러축을 지지하는 웨이팅 아암의 구조를 가정하면, 정상적인 기준 위치관계(X-X′//XOXO′⊥Y-Y′)가 유지되고, 구동면(D′)이 방향(Y-Y′)으로 움직이는 한 축방향(XO-XO′)을 변위시키는 방향에 벡터가 발생하지 않으므로 정상위치는 항상 유지된다.
제15a,b도에서 구동로울러(R)이 위치(R1),(R2)의 조건에 놓인 경우(R1)의 조건에서 구동벡터(V)에 일치하는 벡터(T1)의 요소는 로울러(R1)의 축방향(X1-X1′)에서 생긴다.
이 추진력의 결과로서 로울러(R1)이 길이(ℓ)의 진자아암에 직각으로 지지되어 진자아암의 지점(0)에서 중앙(T1l)과 동일한 복위 방향으로 회전우력(M)은 기준축(Y-Y′)에 따르는 방향으로 웨이팅 아암을 복위시키게 된다.
이때에 종동로울러(R1)의 회전축 방향(X1-X1′)에서 분력에 일치하는 벡터, 즉 (R1)에 발생한 추진력(T1)은 다음과 같다.
이와 같이 추진력은 종동로울러(R1)의 기준축 방향(XO-XO′)과 이루어진 경사각(θ)의 기능인 것이 명백하다.
방정식(2)와 (3)으로 부터이 유도되고, 이 방정식으로부터 종동로울러(R)의 회전축방향(X-X′)와 구동체(D′)의 이동축(Y-Y′)에 관한 구동체의 기준축방향(XO-XO′) 사이의 경사각이 θ=0와 같이 안정되지 않으면 복위 회전 우력(M)은 소실되지 않는다.
이와 같이 만일 θ=0라면 M=0이고 진자아암은 그 위치에서 안정되어 있다.
종동로울러가(R2)로 변위된 경우에 θ는 단지 마이너스 부호(-)를 가지며, 여러가지 관계는 변하지 않은 상태로 유지된다.
상기한 이론이 적용되는 것은 진자형 웨이팅 아암 이상의 것은 아니다. 따라서 이러한 형태에서 보편적인 웨이팅 아암의 진자작용에 대한 지점을 이루는 진동 지지부는 특징적인 피보트축식 지지계에 의한 형태이고, 다른 끝은 종동로울러를 정확히 직각으로 지지하고 있다.
나아가서 보통 웨이팅 아암을 압박하는 장치는 용수철, 즉 압축 용수철(코일 용수철 혹은 나사형용수철)이나 특별한 형태의 평면용수철로 되어 있으며, 제1도에 도시한 것이 이 형태의 대표적 예이다.
드물게는 상기 장치는 개스나 액성압력을 이용한 압박장치 즉, 기압이나 수압으로 되어 있다.
어떤 계통을 이용하던지 현상태는 웨이팅 아암의 상면에 작용하거나, 이와 연결된 용수철 시트에 작용하도록 배열되어 있다.
이러한 종류의 배열과 유사하거나 동일한 계통이 이용되는 한, 유사한 결점이 존재한다는 것은 확실하다.
특히 용수철을 이용한 제1도의 전형적인 예에서 용수철의 압축에 의하여 발생한 압력 접촉면에서 압력벡터나 압력 배분은 웨이팅 아암의 기준 정상위치에서 이론적이며, 정상적으로 균등한 배분이 되는 것은 기대하기 어렵다.
상기한 바와 같이 압축 용수철(코일 용수철 혹은 나사형 용수철)이나 평면용수철이던지, 종래의 압박계는 실제 개별적으로 어느 정도 분산된 고유의 편위도를 가지며, 또한 용수철의 압력방향도 용수철의 축방향에 대하여 넓게 분산되는 경향이 있다.
이와 같이 용수철 축방향에 대하여 정확히 이 용수철의 방향을 유도하는 기술은 아직 정립되지 못하고 있다.
더구나 품질 제일 주의와 작업안정도를 기본으로 생산성과 드래프트 비율의 증가에 부가하여 합성혼방의 증가를 포함한 직물 기술의 발전에 따라 웨이팅 아암 부분에서 압력을 증강시키는 경향은 종래 웨이팅 아암부분의 결함을 증가시키는 결과를 나타내었다.
용수철 압력등에서 발생한 이들 편위도 가소폭일지라도, 상기한 편위도에 기인한 웨이팅 아암(A)의 각도 변위를 동반한 압박 용수철의 측편위에 의하여 압력 용수철에서 볼 수 있는 좌굴현상에 따라 영향을 받는 2차적 평형소멸 작용은 구동축에서 회전축과 평행을 이루도록 종동로울러의 축을 조절하는 진자아암에 대하여 그 기능을 계속 방해하게 된다. 이 현상은 측정치로서 제5도, 제6도에 도시되어 있다.
제16a,b,c도는 이러한 방해 현상을 설명한 것이다. 제16a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 웨이팅 아암의 압박구조는 압축코일 용수철(23)이 가이드 아암 케이스(21)의 내부에서 용수철 위치 조정돌출구(25)에 의하여 그 상단면이 지지되며, 하단면은 웨이팅 아암(22)의 판면부외부에 장치된 용수철 위치 조정 돌출구(26)에 의하여 압박된 상태로 지지된다.
웨이팅 아암(22)에 의하여 그 중심부에 직각으로 지지된 종동로울러(24)(24′)는 구동체(D)의 반대편에 위치한다.
따라서 웨이팅 아암(22)의 판면외부에 위치한 압박 용수철(23)의 압력 접촉면의 수평 또는 구동체(D)와 종동로울러(24)(24′) 사이의 접촉방법에 의한다.
웨이팅 아암(22)의 구조는 압박 용수철(23)의 압박면의 수평도와 웨이팅 아암(22)의 작동시 압박 용수철(23)의 고유 편위도와 웨이팅 아암 구조상의 가중점(P)을 통하여 연장된 기준축(Z-Z′)에 대한 웨이팅 아암(22)의 압박 중심(P)변위에 기인한 압축 용수철(23)의 중심축의 편위각도(θS)를 포함한 인자들로 부터 여러 가지 영향을 직접 받게 되므로, 결과적으로 전체 벡터(P1)는 웨이팅 아암에 작용하게 되어 전체 벡터(P1)는 웨이팅 아암구조의 기준축(Z-Z′)과 이루는 편위각(△θS)를 갖는다.
이런 관계에서 종동로울러(24)(24′)는 가이드 아암의 반복위(反復位) 방향에서의 추진력 요소인 이들의 회전축(X-X′)에서 생기는 추진력(E)을 갖는다.
제16b도에 도시한 벡터 도표에서 보는 추진력(E)의 크기는 다음과 같다.
따라서 편위 회전우력(MS)은 웨이팅 아암(22)에 작용하는 압력에 따라 발생하며, 웨이팅 아암(22)의 점(P)에 작용하는 편위 방향에서 오는 회전우력으로서 다음 방정식으로 나타낸다.
한편 제16c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편위작용의 영향에서 웨이팅 아암(22)의 진동운동의 중심(0)을 통한 연장선에서 웨이팅 아암구조의 기준축(Y-Y′)에 대하여 δθ만큼 변위되어 웨이팅 아암(22)이 위치한다.
이와 같이 종동로울러(24)(24′)의 중심점(Q)에서 발생하면, 복위 회전우력(Mr)은 제(4)식으로부터 다음 방정식과 같다.
두 종류의 회전우력 즉 편위 회전우력(MS)과 복위 회전우력(Mr)은 상기한 바와 같이 서로 다른 방향이며, 동시에 점(P),(Q)에서 웨이팅 아암(OQ1)에 작용한다.
따라서 웨이팅 아암(OQ)은 두 회전우력이 평행을 이루는 위치에 남아 있게 된다.
제16c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웨이팅 아암의 지지축에 대향하여 회전될 수 있는 로울러들을 구비한 웨이팅 아암과 함께 동일한 추진축 (T1)과 (T2)들이 양측에서 발생된다.
따라서 방정식은 다음과 같다.
θ=0이면 △θS=0이라는 필요조건이 방정식 (9)에서 명백하다. 즉, 압박 벡터선이 제16a도에서 가중축(Z-Z′)과 일치하지 않으면 이것은 원위치(Q)로 복귀하지 않는다.
조건 △θS=0은 이론적으로 XX′//XX′//YY′로 된 웨이팅 아암의 원위치에 존재하며, 이 조건은 하부 구동면(D)의 직각축(X-X′)에 대한 종동로울러의 회전축(X-X′)의 절대적 평행 이상은 아니다.
전자형 웨이팅 아암의 구동 로울러(D)에 대한 하부 로울러들의 자동 조심성이 매우 불완전하다는 사실이 이것을 증명한다.
작업상 지금까지 요구된 보다더 고도의 조심성능, 즉 제5도와 제6도에 도시된 0.3㎜이내의 편위 허용 범위를 달성하기 위하여 압박 조립된 부분이나 기계의 압박체들의 특징적인 압박 편위를 제거하거나, 최소한으로 줄인다는 것은 기본적인 고안면에서 고려된다.
그러나, 상기범위 내에서 제품의 1000분지 10 혹은 1000분지 100의 조성한계를 포함한다는 것은 종래의 기술로서 불가능하다는 것에 조사결과로 명백하다.
이와 연관하여 제5도, 제6도는 최적의 원리에 따라 고도의 기술로 제조된 전형적 웨이팅 아암까지도 실제에 있어 작동과 품질을 개선하기에는 아직 불충분하다.
특히 직물기에 사용한 웨이팅 아암들은 방사의 품질과 작업효율을 결정하는 로울러 니프를 형성하는 키 포인트이다.
따라서 이 경우 구동 하부 로울러(D)에 대한 종동로울러(R)의 평행을 개선하는 것이 중요한 주제이다.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에 따라 개발되었고, 고장의 주원인인 압박체나, 조립부에서의 독특한 압박 편차가 실제로 현수준에 있다는 가정하에서 회전 접촉하는 피보트 축부나 회전 조립부가 서로 분리되기 위하여 가이드 아암과 그 사이에 삽입되어 있으며, 회전부의 기능은 편차 벡터를 제거하기 위하여 이용되고, 한편으로 수직 기준축(Z-Z′)의 방향으로 지향하는 필요한 압박 벡터를 전도하는 자동조심 원리를 최대한으로 이용하고, 공지의 전자 아암계의 기능을 구비한 웨이팅 아암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 웨이팅 아암의 조립부들은 웨이팅 아암체 내에 여러 갈래로 장치되어 있어서 조립부들은 드래프트부 내에서 각자 필수적이고도 충분한 웨이팅 아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웨이팅 아암 장치로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대량생산에 필요한 규격품의 균일화 능력뿐 아니라, 여러 종류의 형태나, 규격품의 생산에 필요한 교환성을 갖고 있는 매우 합리적인 것이다.
특히 생산 설비의 높은 합리성에 따른 본 고안의 성능은 기대한 것 이상으로 평가된다.
정방기에 이용되는 웨이팅 아암의 성능에 따른 본 고안의 효과로서 하부와 상부 로울러(D),(R)축의 평행에 대한 우수한 개량은 방사의 품질에 지대한 영향이 있다.
원사의 품질 향상은 최종 생산된 직물의 품질을 높일뿐만 아니라, 방적공정의 작업효율과 생산성을 증대시키고, 동시에 방직사의 결함의 발생을 극소화시키며, 아울러 생산 설비효과 및 제2공정과 뒤따르는 부대공정의 생산성에 있어 커다란 효과를 얻게 된다.
예를들면 40S소모사의 μ%에서 약 0.5-1증가를 가진 방적사를 사용할 때 제25도에 도시한 예는 직조준비 공정과 직조 공정에서 기대하는 높은 개선율을 나타낸 예이다.
이것이 부대 공정에서 공정설비의 발전과 제품의 다양화에 비례해서 방사제에 대한 질적 개선이 점차 중하게 요구되는 이유이다. 이러한 조건은 종래의 웨이팅 아암으로 얻을 수 있는 평행에 대한 현수준으로는 거의 만족시킬 수 없다. (제5도 및 제6도 참조) 이처럼 정방기에 있어서 웨이팅 아암에 대한 요구는 우한이다.
즉, 첫째 압력증가, 둘째 품질의 안정, 셋째 작동의 편리, 그리고 넷째 관리 유지의 용이함 등 모두가 해결하기 어려운 난제이다.
만일 숙련자의 입장에서 솔직히 평가한다면, 가장 현대식의 웨이팅 아암부라 하더라도 해결되어야 할 상기의 문제들을 포함한 많은 문제점을 갖는다.
즉 웨이팅 아암부에 의해 우수한 장점이 구비되므로서 안정성이라는 중요한 면은 편리라는 관점에 의해 희생된다.
이외에도 가장 많은 결함이 노출되는 것은 상부 로울러의 평행에 있음을 지적해야 한다.
말할 나위도 없이 상부 로울러의 평행은 직접 방사의 품질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소인 드래프트부의 성능을 결정한다.
이의 개량이 직조 기술의 수준을 높이게 된다.
요약하면 본 고안은 전상부 로울러를 상부 로울러의 평행에 대한 편위의 허용 범위내에 국한된 정방기에서 방추와 연관되도록 배열한다. (방사의 불균일이 발생하지 않도록)
이와 같이 본 고안은 의의가 있다.
부가하여 본 고안은 직물기뿐만 아니라, 평행 지지형 회전식 압박회전 조립부를 이용한 다른 유사한 기계도 사용할 수 있는 자동조심형 웨이팅 아암 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제17도와 제18도는 본 고안의 기본 조직을 결합한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며, 구조상의 개념을 설명하고자 한다.
1) 후미의 웨이팅 아암(A)의 진동 운동에 있어서 지지점(O)의 구조는 피보트축식 지지방법에 의한다.
2) 압박 스프링(S)의 하단면에 회전부가 위치하고, 하부캡(HB)이 설치된다.
예를들면 압축코일 용수철의 경우에형상의 횡단면을 가진 캡(HB)이 설치되어, 예를들면 볼(K)이나, 원통형 로울러 혹은 축 부착 로울러인 회전부를 지지한다.
하부캡(HB)의 내부판면(X3-X3′)은 작동중에 가이드 아암 케이스의 상면(X5-X5′)에 대해서 X3X3′//X5X5′의 관계가 유지되도록 배열되어 있다.
3) 압박체 혹은 압박 조립부에 대향하는 가이드 아암의 상면위에 미리 정한 위치에서 회전판면(X2-X2′)은 작은 유도면을 마련하고 있다.
4) 비록 2)와 3)이 거꾸로 장착되었다 하더라도 결과적인 배치는 몇 가지를 제외하면 기능면에서 정확히 동일하게 된다.
5) 압박 용수철(S)은 보통 압축 코일 용수철의 형태이다. 종축에 대한 용수철(S)의 대향 단면의 90°각도와 이 대향단면의 평행은 JIS규격에 엄격히 규제되고 있다.
비록 어느 정도 비규격품이 제조되었지만 JIS실험에서 규제된 범위내에 있음이 증명되면 이런 비규격품은 문제되지 않았다.
용수철(S)을 장치하면 그 상면은 가이드 아암의 천정에 미리 형성된 돌기(25)에 수직으로 고정된다.
하부캡(HB)의 천정 내부표면(X3-X3′)은 이 상태에서 압박 용수철(S)의 하면에 설치되어 거의 수평상태를 유지할 수 있지만, 만족스러운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고안에서 하부캡(HB)은 압박 용수철(S)의 직경(내경 혹은 외경)에 대하여 맞춤 간격을 최소화하는 방법으로 상기 용수철과 결합되고, 동시에 하부캡(HB)의 직경(넓이)(d)과 가이드 아암 케이스의 내부 넓이단위(W) 사이의 맞춤간격은 최소화하여 결합한다. 그 결과 압박 용수철의 수직축은 상자의 넓이의 기준축(Z-Z′)과 거의 일치한다.
따라서 이러한 배열은 압박 용수철(S)을 가하여 아암 케이스(B)의 천정표면(X5-X5′)상의 예정된 위치에서 수직으로 유지시켜서 좌굴현상과 같은 편위의 원인을 최소화하므로서 용수철축은 가이드 아암 케이스(B)의 가로 중심축과 동시에 일치하게 되고, 용수철에 의해 가압된 압력은 수직으로 작용하게 된다.
여기에서의 반응으로 하부캡(HB)의 천정표면(X3-X3′)은 X5X5//X3X3′의 위치를 유지하고, 압박 구조를 통해 하부캡(HB)내에 포함된 볼 혹은 기타 회전체(K)를 사용하므로서 용수철(S)의 압력은 올바른 방향으로 가이드 아암(B)의 고착면(X2-X2′)에 전달된다.
즉, 압박용수철(S)의 고유 편위도를 제거하므로서 얻어진 정확한 압력만이 전달된다.
6) 한편 종동 로울러(R)의 자동조심 기능은 상기한 원리에 따라 움직이는 구동체(D)의 움직임에 의해 이루어지며, 지점(O)을 중심으로 웨이팅 아암(A)의 자동조심 진동운동을 시킨다.
이 결과 하부캡(HB)의 천정면(X2-X2′)과 천정면(X3-X3′)사이의 접촉점(27)(28)에서 회전체(K)의 회전 저항은 거의 0에 가깝도록 최소화한다.
따라서 가이드 아암(A)을 압력에 무관하게 단진동시키며, 또한 실제적인 저항을 갖지 않는 이상적인 진자형 웨이팅 아암의 구조가 얻어질 수 있다.
회전체가 삽입되는 상부면(X-X′)과 하부면(X2X2′)사이의 평행은 상호간이 멀리 떨어져 있어서 실제로 어느 정도의 경사는 피할 수가 없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이 보상 수단을 포함하고 있는 본 계통에서 상대적인 경사량은 매우 작은 범위내에 있으며, 작용되고 있는 압력은 저항을 증가시키기 때문에 회로상에서 미끄럼이 생기지 않는다. 본 고안의 가장 특징적인 형태를 요약하면 압박체의 하면(X3-X3′)과 압박면 위의 웨이팅 아암상면(X2-X2′)사이에 삽입된 회전체를 포함한 구성이 3가지 기능을 나타내는 것이다.
즉 세 가지 기능은 회전 기능과 압력 전도기능 및 회전체가 지지된 사이에서 상하 평행면으로 제한된 회로 사이의 압박체의 압력 편위 벡터요소를 제거하는 기능이다.
즉, 본 고안은 고압과 전자의 작용을 충분히 추진하는 조건하에서 웨이팅 아암의 자동조심 진동운동에 대한 저항이 항상 0이 되도록 유지하기 위하여 새로운 방식을 채택하고 있다.
이러한 결과로서 회전 지지형 압박구조는 높은 하중에서도 매우 높은 감도를 가지고 웨이팅 아암축에 자동적으로 복위 회전우력이 생기도록 형성되어 있어서 웨이팅 아암(A)의 진자작용을 방해하지 않는 순수한 압력이 정확하게 상부 로울러(R)에 전도된다.
7) 직물기의 드래프트부에서 종래 진자아암에서 보는 과도한 진폭의 진동각은 필요하지 않으며, 더구나 쓸데없는 진동은 대부분 해롭다. 특히 최근에 요구되는 크고 무거운 하중의 웨이팅 아암에서 진동각의 과도함은 상부 로울러(R)의 평행 소실과 직접 연관되어 있다. 본 고안은 지금까지 이상적인 웨이팅 아암을 추구하는 진자계의 자동조심기능의 원리를 조사하였고, 이를 효과적으로 사용할 가장 합리적인 제조방법을 새로히 제시하였다.
나아가서 본 고안은 종래 방식에서 보는 평행소실 원인을 조사했고, 종래방식의 고유의 특징을 유리하게 살려나가는 데 필요한 안정도를 증가시키기 위하여 웨이팅 아암(A)의 진동각에 특별한 제한 범위를 두었고, 이로부터 효과적인 진폭의 한계치는 특별한 방법에 의해 진폭을 허용 극소치로 제한하기 위하여 웨이팅 아암의 제작중에 생기는 누적된 오차의 범위와 관련된다.
이상에서 명백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서 종래의 전형적인 웨이팅 아암의 특징에 관한 오랜 경험과 정보들을 이의 장단점을 조사하여 찾아내기 위하여 조직적으로 고려하여 왔음을 알 수 있다.
결론적으로 공지의 진자계의 자동조심 원리는 이론적으로 아주 정확하며, 만일 정확히 적용하면 웨이팅 아암에 가장 적합한 우수하고 안정된 기능을 얻을 수 있을 것이다.
상부 로울러(R)의 평행이 불안하게 되는 이유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부 로울러의 작용을 방해하려하는 웨이팅 아암의 가중장치의 결함 때문이다.
이와 같이 결론은 압박 방식이나 압박장치가 비록 고유의 지향성을 갖고 있다하더라도 전기한 지향성의 영향을 감소시키는 방책이 있으면 진자형식 특유의 정확한 자동조심 기능이 유도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에 있어서는 종래의 웨이팅 아암 구조의 자동조심을 부인하고, 웨이팅 아암(A)과 압박체 또는 압박조립부(S) 사이에서 회전체나 회전장치가 결합되는 방식을 이용하게 된다.
본 고안의 구조를 제19도-제24도에 의거하여 더욱 세부적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제19도-제21도는 회전체(K)를 수용하는 하부캡(HB)과 가이드 아암 케이스(B) 사이의 관계와 회전체(K)와 하부캡(HB) 및 가이드 아암(A) 사이의 여러가지 접촉점(27)(28)을 도시한 것이다. 제19a도는 웨이팅 아암 장치의 정면도를, (b)도는 측면도를 나타낸다.
제19a도에서형의 요소(M)는 회전체(K)에 대향하여 압박되어 있는 가이드 아암(A)부분에 설치되어 있다.
요소의 형태는 제19b도의 도시와 같이 회전체(K)의 반경(R)보다 큰 반경(R′)을 갖는 반원형의 홈이지만, 제19a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거리(△δ)만큼 평면을 형성하여 거리(△δ)에 의해 변위된 중심과 함께 회전체(K)의 반경(R)과 동일한 반경(R)을 갖는다. 이 요소(M)내에서 회전체(K)가 회전하기 때문에 가이드 아암(A)의 수평진동은 전기한 거리(△δ)의 범위내에서 움직이며, 따라서 웨이팅 아암(A)의 진동각의 조절이 가능하게 된다.
그 반경보다 큰 회전체(K)는 하부캡(HB)의 내부 포켓트에 약간의 간격을 두고 수용되어 회전체(K)의 회전에 간섭당하지 않는다. 더우기 제19b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요소(M)의 횡단면은 회전체(K)의 수평 변위를 허용하지 않고, 기준축(Z-Z′)상에 접촉점(27)을 유지한다.
한편으로 하부캡(HB)은 최소한의 규격을 두고 가이드 아암 케이스(B)내에 고정되어 있고, 소정의 높이(h)를 보유한다.
이로 인하여 압박 용수철(S) 특유의 좌굴현상 혹은 편위 경향의 영향을 보상하는 기능을 얻게 된다.
제19b도에 도시한 바와 같은 하부캡(HB)의 수평변위의 조정이 이 방식에서 생략되었다 하여도 회전체(K)가 가이드 아암(A)내에서 요소(M)에 의해 조정되기 때문에 실제로 별문제가 없다.
제20도는 가이드 아암(A)의 천정판에 회전체(K)를 공전시키기 위한 장방형의 구멍(M′)으로 형성되어 있는 방식을 나타내고 있다. 이러한 경우에 회전체(K)의 회전변위량은 제20a도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구멍(M′)의 길이(a)에 의해 조절된다.
또한 제20b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전체(K)의 회로는 구멍(M′)의 폭(b)을 따르기 때문에 회전체(K)는 양 가장자리(27)(27)에서 회로와 접촉하므로 제20a도와 동일한 작동 상태가 이루어진다.
제20a도에서 하부캡(HB)은 판두께 때문에 가이드 아암 케이스(B)내에 느슨하게 설치되었지만, 만일 압박 용수철(S)의 정확도가 우수하면 이것은 충분히 시정할 수 있다.
제21도는 본 고안의 가장 전형적인 실시예에 속하는 방식을 도시한 것이다.
제21a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진동 조절돌기(29)(29′)는 가이드 아암(A) 양측 외면의 특정위치에 설치된다.
이런 착상은 서술한 조정핀(제11도 및 제12도 참조)을 사용하는 것과 유사하며, 가이드 아암 케이스(B)의 외측 면적에 연관된 진동간격(△δ)으로 남게 된다.
이런 관계는 제19a도에서 도시한 바와 같은 평면거리(△δ)와 일치하는 것이지만, 이 경우에는 가이드 아암(A)의 상면내에 요소를 형성할 필요가 없게 된다.
그 외의 다른 상태는 제19도의 방식과 동일하다.
그러나, 제21c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부캡(HB)의 외연을 둘러싸기 위하여 가이드 아암 케이스(B)의 양측 내면에 배열된 돌기(30)(30′)(31)(31′)는 하부캡(HB)의 이동을 조절하게 되어 정확한 용수철의 압박 방향 즉, 어느 방향에서도 편위 작용을 하지 않는 압박 용수철의 압박축 방향으로 움직이는 구조를 부가하게 된다.
이 구조는 제19도와 제20도에 도시한 실시예에도 변경없이 이용될 수 있다.
제22도는 회전 매개체와 연관된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이 실시예는 축을 가진 로울러를 회전체(K)로 사용하는 형에 속하며, 도면중의 (a)도는 정면도이고, (b)도는 측면도, (c)도는 사시도, (d)도는 압박 용수철(S) 대신에 사용된 평면 용수철(S′)과 축을 가진 로울러를 회전체(K)로 사용하는 웨이팅 아암의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제23도에 도시한 방식은 로울러를 회전체(K)로 사용하는 제22도의 방식과 동일하나, 이 방식은 로울러의 축을 조립하는 방법이 다르다. 즉 제22도의 방식은 하부캡(HB)에 축을 부착하였으나, 제23도의 방식은 가이드 아암(A)의 상부에 축을 부착한 방식이다. 그렇지만, 제22도와 제23도에 도시한 방식은 회전체(K)가 매개체에 의해 축이 고착되어 가이드 아암(A)의 진동운동이 더욱 안정되는 장점을 가진다.
그러나, 이런 구조는 복잡하게된다는 점이 있지만, 한편으로 단순한 구조는 미끄럼의 원인을 수반한다.
미끄럼의 량은 별문제가 안되지만 본 방식은 안정감을 준다는 것을 우선으로 하는 경우에 편리하다.
제24도에 도시한 실시예는 직물기의 드래프트부에서 각종 열(제1로울러, 제2로울러, 제3로울러 등)에 적용할 수 있는 소위 만능식 웨이팅 아암 구조의 일예이다.
제24도에서 웨이팅 아암(A)의 지지를 위한 진동축(O)은 가이드 아암 케이스(B)의 하단에 위치하고 있다.
웨이팅 아암(A)의 타단 가이드 아암 케이스(B)내에 설치된 장방형 개구(14)의 바닥에 수용되는 보강편(43)이 설치된다. 상부 로울러(R)의 심축(G)은 가이드 아암(A)내에서 중심저부의 역 "U"자형 홈에 의해 직각으로 강력히 보전되어 있다. 압박 코일 용수철(S)의 반대측 끝에는 이를 따라 연장된 용수철(S)의 중심축에 직각으로 평행면을 형성하는 상부캡(32)과 하부캡(31)이 설치된다.
가이드 아암의 상면에는 회전체(K)를 위한 회로가 있다.
흔히 로울러 장치를 위한 회로에 있어서 회전체(K)의 중심은 웨이팅 아암 구조의 기준축(X-X′)에 위치하기 때문에 회전체 가이드 아암(A)의 전후로 위치를 바꾸지 않고, 특정 한계범위는 진동 방향으로 마련된다.
이러한 장치는 제19도-제21도의 방식과 비슷하다.
회전체(K)의 상반부 이상은 하부캡(31)내에 위치하고, 그 정점은 압력을 받는 천정면과 접촉되어 있다.
하부캡(31)과 상부캡(32)은 그 사이에서 최소 간격을 갖는 압박 용수철(S)의 내경내에 고착되어 있고, 그들 외면은 마찬가지로 최소 간격을 갖는 가이드 아암 케이스(B)내에 고착되므로 그들은 단지 압박방향으로만 미끄러질 수 있다.
가이드 아암 케이스(B)의 상부 조립부(36)는 웨이팅 아암체(42)상의 예정 위치에 웨이팅 아암 조립부를 선택적으로 고정하기 위한 부착 기초부를 이루며, 또한 압박 용수철(S)의 압력을 조정하는 나사(35)를 조정하는 기판 구실을 한다.
용수철 압력 장치에 있어서 이러한 실시예는 나사와 게이지판(41)을 사용하는 기본방식을 보여주지만, 이것은 조정가능한 계단 모양의 턱이진 형상의 캠을 사용하는 것과 레버 장치나 캠 장치의 결합을 사용하는 것을 포함한 많은 방법들이 사용되기 때문에 단지 예일 뿐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나사 조정형으로 국한 되지 않는다.
핀(38)(38′)은 가이드 아암 케이스(B)의 상하 조립부(36)(37)를 결속시키기 위한 방법의 한 예이다.
이것 역시 가이드 아암 케이스(B)에 결속하여 일체 성형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Claims (1)

  1. 구동체에 로울러체로 된 피구동체를 압접하여 가압 니프를 형성하는 가압 구조로서 피구동체를 파지하고, 또한 가중하는 기능을 가지며, 웨이팅 아암의 지점을 이루는 일단이 피보트 상태로 지지되고, 또한 타단이 피구동체 측의 회전로울러축을 파지하여서 된 진자형식의 웨이팅 아암에 있어서, 웨이팅 아암을 가압하는 가이드 아암 케이스(B)와 웨이팅 아암(A)과의 접압부에, 단면이 U자 상인 캡(HB)을 개재하여 전동하는 회전체(K)를 개재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형식의 고감도 자동조심 웨이팅 아암의 구조.
KR2019810001209U 1981-02-21 1981-02-21 진자형식의 고감도 자동조심 웨이팅 아암의 구조 KR81000041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10001209U KR810000412Y1 (ko) 1981-02-21 1981-02-21 진자형식의 고감도 자동조심 웨이팅 아암의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10001209U KR810000412Y1 (ko) 1981-02-21 1981-02-21 진자형식의 고감도 자동조심 웨이팅 아암의 구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760003814 Division 1976-12-2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10000412Y1 true KR810000412Y1 (ko) 1981-04-30

Family

ID=192206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10001209U KR810000412Y1 (ko) 1981-02-21 1981-02-21 진자형식의 고감도 자동조심 웨이팅 아암의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10000412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23201965A1 (zh) 一种探针架及具有其的测试平台
KR810000412Y1 (ko) 진자형식의 고감도 자동조심 웨이팅 아암의 구조
US4187588A (en) Construction of pendulum arm type high sensitivity self-aligning weighting arm
CN201497486U (zh) 发动机气门挺杆检测装置
CN219177417U (zh) 一种用于涂布检测的多相机支架
CN213397493U (zh) 一种料筐动平衡校验装置
EP0089644B1 (en) Microtome
JPS5914578B2 (ja) ペンヂユラム ア−ムシキコウカンドジドウチヨウシンカジユウワンコウゾウ
WO2021036195A1 (zh) 张力检测装置
CN107097102A (zh) 一种传感器夹具
CN102343472A (zh) 仿形传感器及带有其的焊接装置
US4932267A (en) Flexure coupling
CN217484573U (zh) 一种拉簧式光学调整架
CN215952439U (zh) 直升机尾斜梁支座关节轴承间隙测量装置
CN219348921U (zh) 直线位移电位器回程误差测量夹具
CN221326830U (zh) 一种自准直仪多维调节装置
CN218855275U (zh) 自动检测折弯角度且无拉痕的折弯机下模
CN114895423B (zh) 一种多维调节镜架
CN208704601U (zh) 一种托座装配检测装置
CN218798298U (zh) 一种丝杆矫直测量工装
KR0137559Y1 (ko) 용접팁 세팅 지그
US3346436A (en) Mounting for paper guide shield fingers of corrugating facer
CN219212946U (zh) 一种连杆面精铣夹具
EP3885696A1 (en) Touching detection device
CN219336807U (zh) 一种用于斜轴式马达壳体的立车工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