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10000399B1 - 열분해 화로를 위한 슬래그 냉각방법 - Google Patents

열분해 화로를 위한 슬래그 냉각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10000399B1
KR810000399B1 KR7701278A KR770001278A KR810000399B1 KR 810000399 B1 KR810000399 B1 KR 810000399B1 KR 7701278 A KR7701278 A KR 7701278A KR 770001278 A KR770001278 A KR 770001278A KR 810000399 B1 KR810000399 B1 KR 8100003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ag
water
conduit
cooling
stea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77012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에링 앤더슨 존
Original Assignee
에드워어드 지. 그리어
유니온 카바이드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드워어드 지. 그리어, 유니온 카바이드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에드워어드 지. 그리어
Priority to KR77012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81000039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100003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100003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GCREMATION FURNACES; CONSUMING WASTE PRODUCTS BY COMBUSTION
    • F23G5/00Incineration of waste; Incinerator constructions; Details, accessories or control therefor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37/00Manufacture or treatment of flakes, fibres, or filaments from softened glass, minerals, or sla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asification And Melting Of Waste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열분해 화로를 위한 슬래그 냉각방법
제 1도는 본 발명에 의해 수행되는 슬래그 냉각공정의 약식도면이다.
제2도는 본 발명공정의 한 실체를 수행하는 기계장치의 도식적인 부분단면도로서, 여기서는 슬래그 도관으로부터 스팀을 회수하고 그것을 응축시키는 장치가 마련되어 있다.
제3도는 제2도에서 도해된 공정에서 사용되는 수직형 슬래그 도관의 내면에 용융잔사가 부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물 분무장치의 평면도이다.
제4도는 본 발명에 의한 공정의 또 다른 실체를 수행하는 기계장치의 개략도로서 여기서는 냉각탱크로부터 슬래그 도관속으로 물을 재순환시킴으로서 수욕에서 용융잔사의 냉각으로 발생되는 스팀양을 감소시키는 장치가 마련되어 있다.
본 발명은 화로로부터 방출되는 용융된 슬래그를 냉각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좀더 자세히 설명하면 미국특허 제3,729,298호에 기술된 형태의 비침수성 꼭지구멍을 갖고 있는 고형폐기물처리 화로로부터 방출되는 용융된 잔유물에 관한 것이다.
지난 10년동안 통상적인 쓰레기를 처리하는데 여러가지 문제점들과 어려움들을 제거하기 위해서 고형쓰레기의 효과적인 처분에 대한 공정들을 개발하는데 많은 노력들이 경주되어왔다.
두가지 가장 널리 사용되던 쓰레기 처리방법은 소각과 매몰방식이다. 매몰방식은 문제점들에 대한 일시적인 해결책에 불과했다. 왜냐하면 쓰레기 매몰에 필요한 면적이 점차 감소되었고 쓰레기를 매몰하므로써 지하수 오염을 야기하여 위생상 해로움을 일으킬 수 있는 것이 밝혀졌기 때문이다.
또 다른 쓰레기 처리기술인 소각법은 일반적으로 공기오염이라는 바람직하지 못한 결과를 초래했다. 더군다나 연소보조 가스로써 사용되는 공기로부터 유래되는 막대한 량의 가스를 처리해야 하기 때문에 공해인자를 제거하는데 쓸데없는 많은 비용을 소비케하는 것이다. 이러한 통상적인 처리방법에서 언급된 문제점들을 극복하기 위해서 개발된 하나의 공정은 미국특허 제3,729,298호(앤더슨, "고형 쓰레기 처리공정과 기계장치)에 기술되어 있다. 이 발명은 이하에서 앤더슨 공정이라 일컬어지는 쓰레기처리 공정을 기술하고 있는데 동시에 유용한 가스생성물과 불활성 고형잔유물을 생산하기도 한다. 그 공정은 다음단계로 구성된다.
a. 수직굴 대형화로의 상부로 쓰레기를 주입
b. 전기한 화로의 하부로 산소를 함유하는 가스를 주입
c. 쓰레기의 유기성분을 열분해
d. 쓰레기의 무기성분을 유동화
e. 전기한 화로의 상부로부터 가스 생성물을 방출
f. 용융된 잔유물, 즉 유동화된 무기물질을 전기한 화로의 밑으로 빼내는 단계
"쓰레기 전화기 꼭지구멍에서 고형화를 방지하는 공정"이란 제목으로 미국특허 제3,806,335호에서 앤더슨은 용융된 잔유물을 연속적으로 회수하는 공정을 기술하였는데 용융된 쓰레기는 쓰레기전화기의 화상에서 형성된 슬래그와 용융된 금속으로 되어있다. 이러한 명세서는 쓰레기처리 공정에 의해 형성된 용융된 잔유물이 화상에서 용융상태로 유지되도록 하며, 또한 꼭지구멍이 충분히 뜨거워서 용융된 슬래그가 화상으로부터 아무런 고화현상이 없이 수집용기속으로 흘러 들어가게 보장해주는 방법을 제시한다. 미국특허 제3,729,298호의 쓰레기처리 공정은 우선적으로 굴대형화로에서 대기압이상의 압력에서 작동된다. 미국특허 제3,806,335는 그러한 양 압상태하에서 화로 작동시 꼭지구멍을 개구상태로 유지시키는데 관련된 문제를 언급한다. 반면에 이러한 어려움은 꼭지구멍을 침수상태에서 작동시키므로서 완화될 수 있으나, 미국특허 제3,806,335호는 왜 그러한 작동방법이 비현실적인가를 언급하고 있다. 보다 자세히 설명하면 쓰레기 조성에 따라서 생성된 용융잔사의 양이 일정하지 않기 때문에 용융된 물질이 항상 꼭지구멍을 덮도록 보장한다는 것은 극히 어렵고 실행할 수가 없는 것이다. 따라서 침수된 꼭지구멍으로 작동한다는 것은 화상이 대기로부터 차단상태로 성공적으로 유지시킨다는데 달려있지 않다.
침수된 상태에서 유출 꼭지구멍을 작동하는데 명백한 문제점들 때문에 미국특허 제3,720,298호에서의 앤더슨과 미국특허 제3,741,136호에서의 스투커에 의해서 다음과 같은 사실이 제시되었다. 즉 화상을 주위의 대기와 직접 상통시키지 않기 위해서 적절하게 밀폐하였다. 이것은 유출꼭지를 수냉조에 슬래그슈트나 토관에 의해서 연결시키는 것이었다. 슬래그도관을 수욕속으로 침투시키므로서 액체봉함이 형성되어 화상내의 뜨거운 가스들이 주위의 대기로 흘러나가는 것을 방지한다. 그 수욕은 또한 화상으로부터 흘러나오는 뜨거운 용융된 잔사를 냉각시키는 적절한 수단을 제공하기도 한다.
슬래그를 냉각시킴으로서 슬래그는 작은 과립으로 파괴시키게 되는데 그것은 약 섭씨 1370°의 용융된 슬래그를 급속히 냉각시켜 약 섭씨 93°의 고형잔사를 형성시키기 때문이다. 그 슬래그가 이러한 식으로 과립화 될때는 입자들은 특히 작으며 부서지기 쉬운데 입자크기는 대략 1.6mm -6.4mm이다. 이러한 과립화된 슬래그는 일반적으로 콘베아에 의해서 냉각수기로부터 다음 용도, 예를들면 매몰되기 위해서 운반되어진다. 용융된 잔사를 냉각시키기 위해서 수욕을 사용하는데 위에서 기술된 공정에서는 슬래그 파열을 방지하기 위해서 뜨거운 물에서 냉각시키는 것이 필수적이다. 그러나 불행히도 봉인된 슬래그도관과 뜨거운물 냉각조를 사용하는 것은 한 문제는 해결하지만 또 다른 문제가 남게된다.
발견된 바로는 만약에 앞서 언급된 앤더슨 공정같은 고형쓰레기 처리 공정이 사용될때에는 뜨거운 용융잔사를 수욕에서 냉각시키는 것은 다량의 스팀을 생성해서 그것이 꼭지와 화상지역을 냉각시키는 실질적인 효과를 갖게 된다.
이러한 냉각으로 인해 슬래그의 점도를 상승시켜 꼭지구멍을 막아 버린다. 꼭지와 화상의 냉각에 의한 심각성은 다음과 같은 사실로서 보다 잘 이해될 수 있다. 즉 1kg의 슬래그가 섭씨 100℃물로서 냉각될때는 약 1kg의 스팀을 증기화하게 된다는 점이다. 만약에 이러한 스팀이 슬래그 꼭지속으로 들어가게 된다면(그것은 약 섭씨 1650℃의 온도이다), 1kg의 스팀을 섭씨 100℃에서 섭씨 1600℃로 가열하는데는 900kcal가 필요하다. 만약 화상에 이러한 추가열을 추가시키는데 실패한다면 화상은 급격히 냉각될 것이고 특히 슬래그 꼭지에서는 슬래그가 꼭지에 응결되게 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비침수성 유출꼭지구멍을 통해서 화로화상으로부터 방출되는 용융잔사를 냉각시키는 개선된 공정을 제공하는 것인데, 그 꼭지구멍은 보통 스팀생성 냉각조와 직접 상통된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용융잔사를 냉각시키기 위해 뜨거운 수욕을 사용하는 슬래그와 고형쓰레기 처리화로의 비침수성 꼭지구멍으로부터 방출되는 용융잔사의 냉각을 위한 공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목적들은 기술분야 종사자들에게는 명백한 것이며, 다음과 같은 구성되는 본 발명에 의해 성취된다.
화로화상으로부터 방출되는 용융된 잔사를 비침수성 꼭지구멍을 통해서 냉각시키는 공정에서는 다음과 같은 단계를 포함한다.
(a) 수직 슬래그도관을 제공하는데 그것의 상부는 봉인상태로 전기한 꼭지구멍과 통하며, 바닥은 냉각탱크에 있는 물속으로 일정길이만큼 함침된다.
(b)화상으로부터의 용융잔사를 중력에 의해 전기한 슬래그도관의 침수된 부분에 포함된 물에서 전기한 잔사를 냉각시키는데 전기한 물은 슬래그 파열을 방지하기에 충분할만큼 높은 온도이다.
본 공정으로 개선된 점으로서는 다음과 같은 공정에 의해서 전기한 화로의 화상부분과 꼭지부분의 냉각을 실질적으로 감소시킨다는 점이다.
(1) 전기한 도관의 침수된 부분의 함유된 물에 용융잔사를 냉각시킴으로서 발생되는 도관으로부터의 뜨거운 유체를 제거.
(2)전기한 뜨거운 유체를 보다 차거운 유체로 전환시켜서 스팀이 전기한 꼭지와 화상부분속으로 들어가는 것을 실질적으로 방지한다.
본 발명의 명세와 특허청구범위에서 사용되는 유체라는 말은 가스상과 액체상태 모두를 포함하는 뜻이다. 즉, 이말은 스팀과 물 모두를 가리키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공정은 도관에 형성된 스팀을 회수하거나 또는 도관의 침수된 부분에 있는 뜨거운 물을 치워버리기 위해서 실시될 수 있지만 두가지 복합목적을 위해서도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특성은 용융잔사가 수직 슬래그도관의 내면에 부착하는 것을 방지하는 수단이 제공된다는 점이다.
본 발명은 미국특허 제3,729,298호에 기술된 형태의 쓰레기처리 공정의 작업에서 생성된 슬래그를 냉각시키는데 특히 유용한데 전기한 특허에서는 1일 320M/T의 쓰레기가 처리되어 시간당 3.6M/T의 용융 슬래그를 생성할 수 있다.
스팀의 냉각효과가 최소화된 본 발명의 공정은 제1도에서 기술되어 있으며 그것은 뜨거운 물 냉각조를 사용한 슬래그 냉각작업의 개략도이다. 냉각조는 슬래그파열을 방지하기에 충분할 만큼 뜨거운 온도에 있는데 즉 약 섭씨 65°정도이며 우선적으로는 섭씨 85°이상이지만 그러나 슬래그도관이나 방수지역 12에 있는 물의 비등점보다는 높지않다. 참고번호 10은 고형쓰레기 처리 유니트에서와 같이 굴대화로의 슬래그꼭지를 가리킨다. 슬래그는 슬래그꼭지 10으로부터 수직슬래그도관 11을 통해서 슬래그 도관내에 위치된 냉각수 속으로 흘러내려 가서 스팀이 발생될 것이며 만약에 방지하지 않으면 그 스팀은 상승하여 도관 11을 통해서 꼭지와 화상부분으로 들어가서 그것들에 대한 실질적인 냉각작용을 나타낼 것이다. 그러한 냉각효과는 슬래그의 점도를 증가되어 매우 좋지 않으며 어떤 경우에는 슬래그를 응결시켜서 꼭지구멍을 막아버리거나 화로를 폐쇄시켜 버린다. 그래서 그러한 냉각을 최소화시키기 위해서 발생된 스팀의 대부분은 배관 16을 통해서 콘덴사 17속으로 회수한다
응축된 스팀은 또 다른 가응축성 가스들과 함께 도관지에 회수되며 반면에 선 16에 존재하는 비응축성 가스들은 콘덴서로부터 선 22를 통해서 회수된다. 고형화된 슬래그는 선 13으로 표시되는 슬래그 도관의 침수부위를 통해서 물 냉각탱크 14의 바닥에 떨어진다.
이러한 슬래그 15는 냉각조 14로부터 드랙이나 스크류 콘베이어와 같은 적절한 수단에 의해 철수시킨다.
응축물 21은 선 21a에서 보여진 바와같이 재순환되어 냉각탱크 14로 가거나 또는 선 21c를 경유해서 슬래그도관 12로 직접 주입될 수도 있다. 냉각조를 냉각시키는데 필요한것 이상의 초과 응축물은 선 21b를 경유해서 제거된다.
선 21a를 통해서 탱크 14속으로 주입되는 냉각수는 다시 슬래그 도관속의 물 12를 채우는데 그것은 증기로 증발된다.
물 12로부터 슬래그도관 11에 형성된 스팀을 철거시키는 대신 1차적으로 스팀이 형성되는 것을 방지하는 방법이 고안되었는데, 이것은 냉각탱크 14에 있는 냉각수를 선 23을 통해서 펌프 24에 의해서 슬래그도관 12에 있는 물속으로 재순환시키므로서 가능하다. 물의 재순환은 냉각되는 뜨거운 슬래그에 의해서 유입되는 열을 가능한 빨리 물 12로부터 제거하기에 충분해야 한다. 두 시스템(즉 재순환과 스팀회수)을 조합하여 스팀이 슬래그 도관에서 상승하여 꼭지와 화상부분을 냉각시키는 것을 방지하는데도 사용될 수 있다.
위에서 언급한 방법에 의해, 연속적으로 슬래그를 효과적으로 냉각시키고 동시에 화상의 뜨거운 가스가 대기중으로 스며나가는 것을 방지하는 한편, 냉각작업에서 발생된 스팀이 배출꼭지와 화상부분으로 들어가서 그것을 냉각시키는 것을 방지하기도 한다.
본 발명에 의해서 스팀이 방출꼭지와 화상에 되돌아가지 않게 방지하므로서 다량의 에너지가 보존된다.
단지 스팀(섭씨 100°)을 가열하여 화상의 온도로 만드는데, 추가의 열 입력을 사용하므로서 방출꼭지와 화상에 대한 스팀의 바람직하지 못한 냉각작용은 피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성은 용융금속이 제2도와 제3도에서 도해된 슬래그도관의 수직내면에 부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물 분무환방식이 마련된다는 점이다. 더욱 자세히 제2도와 제4도를 참고로 설명하면, 제2도에서 연속적인 비침수성 슬래그 방출꼭지 102가 부착된 굴대화로 100의 저면을 보여준다. 그 화로는 고형쓰레기 처리장치로서 미국특허 제3,801,082호와 제3,806,335호에 기술된 형태의 것이다.
화상지역 101에서 용융된 비연소성 물질들과 결과물 용융잔사 105는 방출꼭지구멍 102를 통해서, 유출 가장자리 117위로 흘러나온다. 용융잔사 105는 대체로 수직인 슬래그도관 106을 통해서 물 냉각조 113속으로 떨어진다. 슬래그도관 106은 상부에서는 hh'와 같이 장치하고, 하부에서는 수직으로 물 욕조 113속으로 잠입시켜서 대기로부터 차단된다. 이렇게 해서 액체봉인을 형성한다.
물 107의 용적은 냉각조의 부분이며 그 속으로 용융 슬래그 105이 떨어지는데 그 물은 약 섭씨 65°이상에서 유지되어야 하며, 이것은 슬래그 파열을 방지하기 위해서이다. 그리고 그것은 스팀을 발생시키는데 그 스팀은 방출구를 응결시키고 화로의 작업중단을 야기시키지 않게하기 위해서 방출구 102와 화상 101속으로 올라가는 것을 방지해야 한다. 버너 103을 위해 보조 산소공급 104가 사용되곤 하는데 대체로 미국 특허 제 3,806,335호에서 기술된 바와같다. 용융잔사 105는 슬래그도관 106을 통해서 적하되어 냉각조 113의 도관내의 물속으로 떨어진다. 물 113은 통상 107보다 상당히 더 차다.
슬래그슈트 106은 냉각조 113에 충분한 깊이로 침수되는데 이것은 열분해화로 100에서의 압력변화가 도관 106의 하부에서 물에 의한 대기와의 차단을 파괴하지 않게하고 용융된 잔사를 물 107에 급속이 냉각시키므로서 발생되는 스팀이 1차적으로 도관 106의 헤드공간 106a에 한정되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고형잔사는 도관 106에 있는 물 107을 통해서 밑으로 내려가서 드랙콘베이어 114에 떨어진다. 드랙콘베이어 114는 이러한 고형잔사(보이지 않음)를 방출지점 115에 운반한다. 116은 냉각탱크상의 안전덮개를 나타낸다. 냉각조 113의 방출구끝 119는 드랙콘베이어가 탱크의 바닥상에 놓일수 있도록 위로 향해있다.
냉각작업중에 발생되는 화살표 130으로 지적된 스팀은 도관속에 존재하는 다른 가스들과 함께 도관 가열 공간 106a로부터 배관 108을 통해 회수된다.
이 스팀은 그 후에 예를들면 분무응축기 110에서 배관 109와 노즐 122를 통해서 인도되어 물 분무에 의해 응축된다. 그 응축된 부분은 분무응축기 110으로부터 배관 120을 통해서 펌프된다.
비응축된 가스류는 송풍기 123에 의해서 배관 111을 경유해서 도관 106으로 돌아간다. 스팀으로 손실된 물을 보충하고, 냉각조 113을 냉각시키기 위한 추가물은 직접 선 118을 통해서 냉각수 113속으로 가해질 수 있다. 그러한 추가수는 편리한 수원으로부터 공급될 수가 있는데, 예를들면 응축된 액체류 118a부분은 추가수로서 사용되기 위해 배관 118로 향해질 수 있으며 또는 선 118a를 통해서 슬래그도관 106속으로 가해질 수도 있다.
또한 비연소성 가스들은 슬래그도관으로 돌아가지 않아도 되지만 선 129를 통해서 직접 제거되어 어떤 필요한 단계에 사용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의해서 제공되는 또 다른 고도의 유익점으로서는 단지 소량의 비응축성 가스들만이 도관의 가스류와 함께 제거된다는 점이다. 실제에 있어서 도관으로부터 회수된 비응축성 구성성분들은 단지 약 2%정도의 전체가스류를 구성할 뿐이다. 따라서 이러한 가스들은 그것들을 간단히 제2도에서 보여준 바와 같이 슬래그도관 106속으로 주입시키키만 하면 안전하고 효과적으로 처리될 수가 있는 것이다. 이러한 극소량의 가스들로 해서 분출꼭지와 화상영역에 대해서 실지로 아무런 냉각효과도 갖지 않는다.
제2도에서 도해된 방식에서는 용융된 잔사가 슬래그도관 106의 내벽에 부착하는 것을 방지하는 장치가 마련되어 있다. 용융된 잔사의 생산율뿐만이 아니고 화상 101로부터 나오는 잔사의 슬래그/금속조성의 변동의 결과로서 내화성 가장자리 117상을 넘친 용융물질은 때때로 슬래그도관 106의 금속벽과 접촉한다.
일단 접촉하면 용융된 잔사는 약한 도금이나 또는 도관벽에 있는 결함부위에 기계적인 결합을 형성하여 금속벽에 부착하는 경향이 있다. 예를들면 도관의 내벽으로부터 솟아난 볼트는 용융잔사에 대한 닻과 같은 역할을 할수도 있다. 일단 약간의 슬래그나 금속이 벽상에 고화되면 그 위에 추가의 슬래그나 금속이 고화되는 것은 쉬운 일이며, 그렇게 해서 쇠똥(크링커)을 형성하게 된다.
이러한 크링커는 어떤 경우에는 그 자신의 무게로 떨어져 버리는 경우도 있으나 많은 경우에는 그렇지 않다. 어떤 경우에는 그 크링커가 슬래그도관이 완전히 봉인될때까지 계속해서 커가는 경우도 있다. 그러한 방해는 그러한 상황을 개선시키기 위해서 완전하고 값비싼 공정이 쓰여야할 필요가 있는 것이다.
제2도에서 보여주듯이 어떠한 편리한 수원으로부터(냉각탱크 113같은) 분무환 126으로 물을 펌프하므로서 슬래그도관의 내벽에 용융금속이 부착하는 것을 방지될 수 있다. 물은 도관 121을 경유하여 펌프 123에 열교환기 124를 통해서 펌프된다. 만약 필요하다면 그 물이 최소한 섭씨 85°이상으로 가열시켜서 물분무가 뜨거운 슬래그와 접촉할때에 너무 차가워서 생기는 슬래그의 파열을 방지한다. 이때 물은 배관 125에 의해서 분무환 126으로 흘러간다.
제3도는 분무환의 평면도를 보여준다.
배관 125를 따라 흐르는 물은 접선적으로 배열된 노즐 125a를 경유 125h를 통하여 슬래그도관 106에 들어간다. 이러한 접선형 돌주입기들은 도관의 내면을 따라 얇은 수막을 형성한다. 이렇게 해서, 접선형 돌주입환 아래의 도관부위들은 이동하는 수막으로 적셔진다.
이러한 수막은 용융물질이 도관벽에 부착하는 것을 방지한다. 도관의 내면상에 층류를 형성하는 물분무 장치 또는 노즐장치는 필요한 기능들을 수행할 것이다. 도면에서는 보여지지 않지만 도관 106의 축을 향하는 물을 분무하기 위한 분무 노즐환도 원한다면 사용될 수도 있다. 그러한 물분무는 슬래그가 도관을 통하여 내려올때 그것은 냉각시키는데 사용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체에서는, 용융잔사가 수욕에서 냉각될때 발생되는 스팀을 감소시키거나 실제적으로 제거시키는 수단이 물냉각작업에 제공된다. 제4도에서 보여주듯이, 용융잔사는 수직슬래그도관 206을 통하여 전기한 도관의 침수된 분위에 함유된 물 207속으로 적하된다.
특히 도관 207에 있는 물의 온도는 뜨거운 용융잔사와 접촉함으로서 상승될 것이다. 용융잔사가 계속적으로 흐르게 되기 때문에 이곳에 있는 물은 비등될 것으로 기대되는에 단지 냉각효과라고는, 도관밑으로부터의 역류, 도관벽을 통한전도, 그리고 도관 머리공간(209)로의 물증발 정도이다.
이러한 시종수반하는 온도상승과 수증기 발생의 대응책으로서, 냉각수 207이 마련된다. 펌프 221은 냉각조 213으로부터 선 222를 통하여 냉가수를 재순환시킨다. 즉 도관밖의 물을 뜨거운 물 207로 재순환시키는 것이다. 이러한 펌프재순환율과 냉각조 213의 온도를 적절히 조정함으로서 도관내의 물의량 207은 원하는 온도에서 유지될 수가 있다. 이 온도는 섭씨 65°이상이며, 우선적으로는 섭씨 85°이상이지만 물 207의 비등점이하이다. 도관내의 물의 비등점은 꼭 섭씨 100°일 필요는 없지만 수 인치의 압력때문에 그보다 약간 높다는데 주목해야 한다.
제2도와 제4도의 시스템에서 보여주듯이, 용융잔사는 수욕 207과 접촉하여 작은 입자들로 과립화된다.
이러한 입자들은 도관 밑 206의 알려진 곳을 통하여 드랙콘베이어 214에 떨어지는데 그 콘베이어는 냉각된 고형쓰레기(보이지 않음)을 냉각조 213밖으로 운반한다. 안전카버 216이 장치된다. 냉각보충수가 도관 218을 통하여 수조에 가해진다. 도관 상부공간 209에서 모든 스팀발생이 충분한 냉각수 207을 공급하는 재순환 시스템의 결함으로 해서 방지되지 못하는 경우에는, 발생된 모든 스팀은 선 208을 통하여 제거될 수 있다. 선 208은 도관상부공간 209보다 낮게 위치하게 하여 스팀이 화로(보이지 않음)의 방출꼭지와 화상 부위속으로 되돌려지기 전에 잡아서 제거할 수 있게 한다. 송풍기 208a는 도관 206으로부터 스팀을 제거하는 흡인력을 제공한다.

Claims (1)

  1. 상단부는 탭구멍과 통하고, 하단부는 냉각 탱크속의 물속에 잠겨져 있는 수직 슬래그관 속으로 용광로의 화덕으로부터 방출된 용해 슬래그가 흘러들어가서 슬래그관 속에 함유된 물속에 침전되어 냉각되는 슬래그 냉각과정에 있어서, 슬래그도관의 침수부위에 함유된 물속에서 용융된 슬래그를 냉각시킴으로써 발생되는 뜨거운 유체를 슬래그관으로부터 제거시키고, 대신에 찬 유체로 치환시켜서 스팀이 탭구멍과 화덕부분으로 들러가는 것을 방지하여 탭구멍과 화덕부분의 냉각과정을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열분해 화로를 위한 슬래그 냉각방법.
KR7701278A 1977-05-31 1977-05-31 열분해 화로를 위한 슬래그 냉각방법 KR8100003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701278A KR810000399B1 (ko) 1977-05-31 1977-05-31 열분해 화로를 위한 슬래그 냉각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701278A KR810000399B1 (ko) 1977-05-31 1977-05-31 열분해 화로를 위한 슬래그 냉각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10000399B1 true KR810000399B1 (ko) 1981-04-27

Family

ID=192044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7701278A KR810000399B1 (ko) 1977-05-31 1977-05-31 열분해 화로를 위한 슬래그 냉각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1000039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294970A (zh) * 2021-12-27 2022-04-08 哈尔滨工大金涛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钢厂淬渣蒸汽消白装置及其消白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294970A (zh) * 2021-12-27 2022-04-08 哈尔滨工大金涛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钢厂淬渣蒸汽消白装置及其消白方法
CN114294970B (zh) * 2021-12-27 2023-10-20 哈尔滨工大金涛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钢厂淬渣蒸汽消白装置及其消白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046541A (en) Slag quenching method for pyrolysis furnaces
CZ305021B6 (cs) Způsob a reaktor pro zplynování a/nebo tavení látek
JP2964353B2 (ja) ガス化装置およびその燃焼チャンバー用スロート組立体
KR810000399B1 (ko) 열분해 화로를 위한 슬래그 냉각방법
NO301409B1 (no) Anordning og fremgangsmåte for omdanning av farlig avfall til ufarlig aggregat
JP2003343984A (ja) 高温ガスの冷却装置
JP2001147009A (ja) 廃棄物溶融炉の出滓方法及び廃棄物溶融炉
CN209685381U (zh) 一种液态排渣急冷装置
KR100424151B1 (ko) 복합 폐기물 가스화 용융장치
KR100508129B1 (ko) 플라즈마 용융시스템의 폐기물 투입, 배기가스 배출장치및 그 시스템을 이용한 폐기물 처리방법
JPS5551475A (en) Waste material treatment
JP2009051867A (ja) 医療系プラスチック廃棄物等の処理方法及び処理装置
JP2604312B2 (ja) プラスチックの熱分解装置における異物、残渣の除去方法
KR100498995B1 (ko) 소각로의 열매체 가열방법에 의한 비산재 열분해 용융장치
CN211345363U (zh) 一种回收危废熔渣热量的水冷出渣机
JP4276748B2 (ja) プラスチック廃棄物の油化処理における残査物取出し方法と装置
JP3809039B2 (ja) 溶融炉に於ける溶融メタルの水砕方法
JP2002122319A (ja) 水砕スラグの処理装置
KR20130077547A (ko) 브라운가스를 이용한 사체 매립 토양 복원 장치
JP2004183963A (ja) 灰溶融炉
KR900007701B1 (ko) 상승관 열교환기
WO2023286101A1 (en) Apparatus and corresponding method for cooling and recovering energy from a flow of hot material, in particular slag
JPS6033869B2 (ja) 溶融冶金滓による石炭ガス化装置
KR200309515Y1 (ko) 소각로의 열매체 가열방법에 의한 비산재 열분해 용융장치
CN108130115A (zh) 一种高分子废弃物的油化设备