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10000167B1 - 사제조기에서 도핑된 사패키지를 포장하는 장치 - Google Patents

사제조기에서 도핑된 사패키지를 포장하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10000167B1
KR810000167B1 KR770000263A KR770000263A KR810000167B1 KR 810000167 B1 KR810000167 B1 KR 810000167B1 KR 770000263 A KR770000263 A KR 770000263A KR 770000263 A KR770000263 A KR 770000263A KR 810000167 B1 KR810000167 B1 KR 8100001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bbin
package
film bag
packaging
cart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7700002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브다가 미야모도
준지 미즈노
미쓰루 요시다
아쓰시 구보다
사도루 히라노
Original Assignee
이또 아쓰지
가네보오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또 아쓰지, 가네보오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이또 아쓰지
Priority to KR7700002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81000016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100001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10000167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Replacing, Conveying, And Pick-Finding For Filamentary Material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사제조기에서 도핑된 사패키지를 포장하는 장치
제1도는 본 발명에 의한 포장장치의 1실시예에 대한 사시도.
제2도는 제1도에 표시된 장치의 주요부에 대한 측면도.
제3도는 제2도에 표시된 장치의 주요부에 대한 정면도.
제4도는 제1도에 표시된 장치에 사용되는 보빈척에 대한 부분 단면도 및 측면도.
제5도는 제1도에 표시된 장치에 사용되는 각 2개의 인접보빈척 사이의 거리를 변화시키기 위한 기구의 부분 단면도 및 정면도.
제6도는 제1도에 표시된 장치에 사용되는 보빈척을 배치하기 위한 기구의 사시도.
제7도는 본 발명에 의한 보빈척의 운동과 이에 관련된 운동을 프로그래밍하는 것을 나타내는 도표.
제8도는 제1도에 표시된 장치에 사용되는 필르맥(filmbag)지지 및 개방기구에 대한 평면도.
제9도는 제8도에 표시된 기구의 측면도.
제10도는 제8도에 표시된 기구에 사용되는 지지부재의 일부를 나타내는 사시도.
제11b도는 제11a도에 표시된 지지부재의 단부(段部)의 측단면도.
제11a도는 제11b도에 표시된 단면을 나타낸 지지부재의 일부 정면도.
제12도는 제8도에 표시된 이동 가능한 지지부재에 관련된 보빈척의 평면도.
제13도는 제1도에 표시된 장치에 사용되는 필름백 매거진의 정면 투시도.
제14도는 제13도 ⅩⅣ-ⅩⅣ선에 따른 필름백 매거진의 단면도.
제15도는 제13도에 표시된 필름백 매거진의 측단면도.
제16도는 제13도 ⅩⅥ-ⅩⅥ선에 따른 필름백 매거진 저부의 단면도.
제17도는 제1도에 표시된 장치에 사용되는 보빈척에 관련된 필름백 공급기구의 측면도.
제18a도, 제18b도, 제18c도, 제18d도, 제18e도 및 제18f도 및 제15도 및 제16도에 표시된 매거진을 작동시키기 위한 연속단계에 있어서의 필름백 공급기구의 측면도.
제19도는 본 발명에 의한 도핑된 사패키지를 필름백으로 개별포장하는데 적용되는 필름백 공급매거진의 운동 및 이와 관련된 운동의 프로그래밍을 나타낸 도표.
제20도는 복수개의 드로우 트위스터를 갖춘 공장에 제1도에 표시된 장치를 복수개 설치한 시설의 평면도.
제21도는 드로우 트위스터에 타종류의 컨베이어를 사용하므로써 제1도에 표시된 장치의 응용을 나타낸 측면도.
제22a도는 본 발명장치에 사용가능한 다른 종류의 컨베이어의 정면도.
제22b도는 제22a도에 표시된 컨베이어의 측면도.
제22c도는 제22a도에 표시된 컨베이어의 다른 부분의 측면도.
본 발명은 복수개의 사(
Figure kpo00001
) 제조장치를 갖춘, 사제조기에서 도핑된 사패키지를 포장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 이 포장작업은 각 사제조장치에서 만권 패키지를 도핑하는 작업과 직접 관련해서 수행되며, 각각의 도핑되 사패키지를 필름백(film bag)안에 넣고 그 다음에는 필름백에 의하여 각 개별로 분리포장된 소정수의 사패키지를 카아톤(carton)내에 포장한다.
종래, 사패키지 특히 합성섬유로된 사패키지에 대해서는 수송도중에 품질의 저하를 방지하기 위하여 여러 가지의 엄격한 조건이 부가되어 왔다. 일반적으로 이들 사패키지는 폴리에틸렌 및 폴리프로필렌 필름과 같은 합성수지 필름으로된 백안에 각기 포장되고, 포장된 복수개의 사패키지는 격판에 의하여 구획된 내부공간을 가진 카아톤내에 다시 포장된다. 그러나, 이와같은 포장방법에 의하면, 사패키지는 처음에 드로우트위스터(draw twister)와 같은 사제조기에서 이로부터 떨어져 있는 포장위치까지 운반된 후에 포장작업에 들어가게 된다.
또한, 이 포장작업은 많은 수동작업을 필요로 한다. 따라서 재래식 사포장방법은 막대한 노동력과 넓은작업장을 필요로하고, 또 사패키지의 재고량을 불필요하게 증가시킨다는 결점을 가지고 있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주목적은 종래의 폐단을 해소하고, 포장작업을 고도로 효율화하며, 이와같은 방법을 적용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만권된 소정수의 사패키지가 우선 한꺼번에 사패키지 제조기의 각개 사패키지 제조장치에서 도핑(doffing)된다. 다음에 도핑된 각 사패키지는 동시에 각각 합성필름으로 만든 백(bag)에 의하여 포장된다.
그 다음에 상기와 같이 포장된 사패키지는 카아톤안에 형성된 수납공간에 수직으로 동시에 수납된다.
그 다음에, 필요시에는 상기 작업은 상기 도핑작업이 행해진 사제조장치의 그룹에 인접하는 다음의 사제조장치 그룹에 행해진후 마지막으로 카아톤이 밀봉된다.
상기 포장작업에 있어서, 각각 도핑된 사패키지는 개구가 상방향으로 되어있는 각개의 필름백속으로 들어가게 되는데, 이 필름백은 해당 포장위치에 인접된 각 위치에 배치된 필름저장 상자에서 나오게 된다.
도핑작업에 있어서, 보빈척(bobbin chuck) 그룹은 사패키지를 지지하기 위하여 사용되고, 예를들면 4개의 보빈척은 4개의 사패키지를 지지하기 위하여 사용되며, 이 보빈척들은 각 사패키지 제조장치에 형성되어 있다. 이들 보빈척은 상하 이동과 수평통로를 따른 이동이 가능하다. 또한 이들 보빈척은 필름백에 의한 포장작업을 수행하기 위하여 몇 개의 소정위치에 멈출 수 있고 또 카아톤의 소정 공간내에서 필름백으로 포장된 사패키지의 작업위치를 결정할 수가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의한 장치의 1실시예에 있어서 그 구성은 다음과 같다.
각 사패키지가 당해 보빈척에 의하여 지지되고 또 현수되도록 수평 및 수직방향으로 복수개의 도핑된 사패키지를 동시에 이동시킬 수 있는 보빈척, 상호 반대방향을 향하여 지지부재를 이동시킴으로써 필름백의 서로 마주보는 부분이 공간이 생길 수 있도록, 필름백의 반대측 부분을 포착하기 위한 점착면을 갖춘 한쌍의 필름백 지지부재로 구성된 각 필름백 지지수단, 그리고 이들 복수개의 필름백 지지장치는 상기 보빈척의 수와 동일하다. 이들 필름백 지지장치를 동시에 상하로 이동시키기 위한 리프트(lift) 수단, 각 필름백 지지수단에 필름백을 각기 보내기 위한 필름백 급송기구, 포장작업을 수행하기 위하여 작동위치에 카아톤 박스를 일시 지지하고 포장작업이 끝났을 때 본 장치에서 카아톤을 배출시키기 위한 카아톤박스 이송기구, 도핑과 사패키지의 포장작업을 규칙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래밍 제어수단, 그리고, 사제조기의 대응되는 사제조장치앞에 본 발명의 장치를 정확히 위치시키기 위한 기구와 같은 보조수단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하 본 발명을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의한 포장장치의 일반적 구조는 먼저, 드로우 트위스터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열된 복수개의 스핀들을 갖춘 재래식 드로우 트위스터에 의하여 제조된 만권 사패키지를 도핑하기 위하여 사용된 장치의 1실시예를 기술함으로써 설명이 될 것이다.
제1도, 제2도 및 제3도에 표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만권 사패키지그룹(4)은 드로우트위스터(1)의 각 스핀들(1a)에 형성되어 있으며, 4개의 사패키지로 구성된 각 그룹은 본 발명의 포장장치(2)의 각 보빈척(10)에 의하여 각 스핀들(1a)로부터 간격을 두고 동시에 도핑된다.
도핑된 사패키지(4)는 장치(2)위에 놓인 카아톤박스(5)안에 놓게 된다. 이 장치(2)는 안내차(3)가 드로우 트위스터(1)위에 배설된 안내레일(1b)을 따라 주행할 수 있도록, 앞 저부쪽에 회전 가능하게 배설된 한쌍의 안내차(3)를 갖추고 있다.
이 안내레일(1b)은 스핀들 열에 평행으로 드로우 트위스터(1)의 저부앞쪽에 배설되어 있고, 장치(2)는 드로우 트위스터(1)가 설치된 플로어(floor), (7)위에서 주행 가능한 두쌍의 차륜(6a 및 6b)을 갖추고 있기 때문에, 장치(2)는 드로우 트위스터(1)의 스핀들열을 따라 이동이 가능하게 된다. 2개의 차륜(6a)은 장치(2)위에 배설된 구동수단(9)에 의하여 구동되는 축(8)위에 고정되어 있다. 또한 장치(2)는 자동 위치조정수단(도시되지 않음)을 갖추고 있어, 장치(2)를 드로우 트위스터(1)위에 배설된 돌리개 수단(dog means), (도시되지 않음)과 관련하여 그소망위치에 정확히 멈추게 한다. 이러한 위치 조정수단에 관하여는 "방직기의 보빈 교환장치"에 관한 미국특허 제3,433,006호에 기재된 자동장치를 크게 변경하지 않고 이용할 수 있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였다. 장치(2)에 의한 도핑 및 포장작업은 이장치(2)가 먼저 드로우 트위스터(1)의 기어 엔드 프레임(gear end frame)이나 외단 프레임에 가장 인접한 쪽에 위치하는 4개의 스핀들 그룹을 향한 위치에 1차로 멈추도록 간격을 두고 수행된다.
4개의 스핀들에 대한 도핑작업과 도핑된 사패키지를 카아톤(5)속에 포장하는 포장작업으로 이루어지는 한 작업과정이 끝난후에, 장치(2)는 상기 4개의 스핀들(1a)에 대하여 다음에 도핑 및 포장 작업을 수행하기 위하여 드로우 트위스터(1)의 다음 4개의 스핀들(1a)과 마주하는 연속 작동위치로 이동된다.
본 장치의 이러한 간헐작동은 드로우 트위스터(1)의 모든 스핀들(1a)에 대하여 수행된다. 따라서, 본 장치(2)는 드로우 트위스터(1)의 스핀들 열을 따라 간헐적으로 이동하고, 상기 자동위치 조정수단은 각각 상기 소정위치에 장치(2)를 정확히 위치 시키기 위하여 작동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이들 작동은 자동적으로 수행될 수가 있다.
본 발명의 장치(2)의 요부는 다음과 같다.
A. 보빈척기구(보빈척과 2개의 인접보빈 사이의 피치를 변경시키기 위한 기구 및 척 이동기구를 포함함).
B. 각 필름백내에 각개별로 사패키지를 포장하는 기구
C. (필름백 지지 및 개방기구와 리프트 기구를 포함).
D. 필름백 공급기구.
E. 카아톤 박스 반송기구.
F. 도핑 및 포장작업을 체계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래밍 제어장치.
상기 기구 A, B, C 및 E는 이들의 일련의 연관작동을 수행하도록 드로우 트위스터의 앞에서 주행하는 도핑장치 위에 장치되어 있으며, 기구 D는 도핑장치에 연결된 상태로 필요에 따라 사용된다.
상기 5개의 각 기구는 아래에 상세히 설명한다.
A. 보빈척 기구
제1도 내지 제5도에 표시된 장치(2)에 있어서, 복수개의 보빈척(10), (도면에 표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4개의 보빈척)은 드로우 트위스터(1)의 스핀들(1a)열에 평행으로 배설된 로드(12)에 아암(11)에 의하여 지지되어 있다. 각 2개의 인접보빈척(10) 사이의 간격은, 후술하는 피치변경 기구에 의하여 드로우 트위스터(1)의 스핀들 피치 P1및 카아톤박스(5)안의 사패키지 저장패치 P2에 따라 조정이 가능하다.
일반적으로 사패키지 저장피치 P2는 스핀들피치 P1보다 좁기 때문에, 인접보빈척(10)사이의 지지공간에 대한 상기 조정이 필요한 것이다. 로드(12)는 후술하는 이동기구에 의하여 각각 한쌍의 수직필러(pillar), (13)와 한쌍의 안내레일(14)에 따라 수평방향이나 혹은 수직방향의 어느 쪽으로든지 이동할 수가 있기 때문에, 보빈척(10)을 임의의 위치(제1도 참조)로 이동시킬 수가 있다. 이 로드(12)는 한쌍의 수평아암(12b)과 이 수평아암(12b)을 연결하는 연결부(12c)를 갖춘 수평브래킷(12a)에 의하여 수평으로 지지되어 있다. 이들 아암(12b)은 각 안내레일(14)안에 형성된 각 안내홈(14a)안에 활주 가능하게 감합되어 있다.
상기 수직필러(13) 및 안내레일(14)은 제6도에 도시된 바와같은 관계를 갖고 장치(2)안에 배설되어 있다.
보빈척(10) 및 아암(11)에 대한 상세한 구조가 도시되어 있는 제4도에 의하면, 보빈척(10)은 고도의 강성을 지닌 재료로 구성된 원통캡(12), 이 캡(15)의 저부단부에 결합된 환상의 압력덮개(16) 및 고무와 같은 탄성재로 구성된 백(bag) 부재(17)로 이루어져 있다. 지지판(17a)에 의해 지지된 백부재(17)는 캡(15)의 내벽과 압력덮개(16)사이에서 보울트(17b)에 의하여 캡(15)의 상체부에 고정되므로써 캡(15)의 내측 주연벽이 백부재(17)로 밀착되게 덮여지도록 한다. 아암(11)의 상단부에 형성된 보스(23)는 접동베어링(21)에 고정된 키이(20)에 의하여 스플라인 결합 상태로 로드(12)상에 접동 가능하게 장치되어 있다.
상기 구조로 이루어지는 보빈척(10)은 아래와 같은 방법으로 작동된다. 캡(15)이 사패키지(4)의 두부에 접할 때, 압축공기가 캡(15)안에 위치한 백(17)을 팽창시키도록 개공(開孔)(18)을 통해서 주입된다. 그러므로, 사패키지(4)의 두부는 주연으로부터 팽창된 백부재(17)에 의하여 단단히 파지되게 된다. 백(17) 안의 공기가 개공(18)을 통해서 배출될 때, 사패키지(4)는 이러한 파지 동작으로부터 해제된다.
진공원(도시되지 않음)에 접속된 흡인공(22)은 아암(11)의 후면부내에 형성되어 있다. 이 흡인공(22)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필름백 반송부재를 일시적으로 파지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피치 변경기구에 대해서는 뒤에 상세히 설명한다.
보빈척(10)을 지지하고 있는 아암(11)은 상기한 바와 같이 로드(12)상에 활주 가능하게 장치되어 있다. 위에서 지적한 바와같이, 보빈척(10a, 10b, 10c 및 10d)중에서, 각 2개의 인접보빈척 사이의 개재 간격은 이들 간격들이 스핀들 피치 P1혹은 사패키지 저장피치 P2에 일치시킬 필요가 있다면, 변경되지 않으면 안된다.
각 아암(11)의 보스(23)는 축방향으로 일정한 길이를 가지고 있으며, 보빈척이 서로 밀접하게 접근되어 보스(boss)가 서로 접할 때 2개의 인접보빈척 사이의 피치를 사패키지 저장피치 P2에 동등하게 되도록 하기위한 스페이서(spacer)로 작용한다. 제5도에 있어서 이들 보스는 각기(23a), (23b), (23c) 및 (23d)로 표시되어 있다.
로드(12)에 있어서, 핀(24a, 24b 및 24c)은 각 2개의 인접보스(23a, 23b, 23c 및 23d) 사이의 위치에서 돌출되어 있다. 홈(28a)은 핀(24a)과 결합할 수 있게 보스(23a)의 내측단부에 형성되어 있고, 홈(28b)은 핀(24a)과 결합할 수 있게 보스(23b)의 외측단부에 형성되어 있으며, 홈(28c)은 핀(24b)과 결합할 수 있게 보스(23b)의 내측단부에 형성되어 있고, 또 홈(28d)은 핀(24b)과 결합할 수 있게 보스(23c)의 내측단부에 형성되어 있으며, 홈(28e)은 핀(24c)과 결합할 수 있게 보스(23c)의 외측단부에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홈(28f)는 핀(24c)과 결합할 수 있게 보스(23d)의 내측단부에 형성되어 있다. 한쌍의 위치조정칼라(29a, 29b)는 로드(12)의 양단부상에 위치한 보스(23a 및 23d)의 최대활주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로드(12)에 고정되어 있다. 로드(12)의 양단부상의 보스(23a, 23d)는 각각 그로부터 돌출된 긴 브래킷(30a, 30b)을 갖추고 있으며, 중간보스(23b, 23c)는 각각 그로부터 돌출된 짧은 브래킷(31a, 31b)를 갖추고 있다. 긴 브래킷(30a, 30b)은 공기실린더(32)의 좌측 및 우측 피스톤로드(33 및 34)에 제각기 일체적으로 접속되어 있으며, 짧은 브래킷(31a, 31b)은 짧은 로드(35 및 36)상에 제각기 이동 자재하게 장치되어 있다.
공기가 공기실린더(32)의 중앙공기 공급공(37)으로부터 공급될 때, 피스톤로드(33)는 좌측으로 이동하며 보스(23a)는 로드(12)상에서 활주하고, 위치조정칼라(29a)에 의하여 멈추어 진다.
이와같이 이동하는 동안 짧은 로드(35)가 짧은 브래킷(31a)을 통해서 보스(23b)를 끌어 당기지만, 보스(23b)는 홈(28b)의 종단부와 핀(24a)이 결합함으로써, 이 이동의 중간 위치에서 멈춘다.
또한 우측에 있는 보스(23c, 23d)는 상술한 바와 같은 방법으로 우측으로 이동하여 상술한 위치에서 멈추게 된다. 각개핀(24a, 24c)의 위치와 홈(28b, 28e)의 길이가 적절히 고정되었을 때, 각 보스(23a, 23b, 23c 및 23d), 즉 각 보빈척(10)은, 각 2개의 인접한 보빈척(10)사이에 스핀들 피치에 대응하는 간격이 형성되도록 배열 되어 있다.
상기 운동에 반대되는 운동에 의하여 공기가 공기실린더(32)의 좌측 및 우측 공기 공급공(38)에서 공급되고, 공기가 중앙공기공(37)에서 배출될 때 각 보스(23a, 23b, 23c 및 23d)는 다음과 같이 중앙에 돌출된 핀(24b)쪽으로 모인다.
즉, 로드(33)는 실린더로 후퇴하기 때문에, 브래킷(30a), 즉 보스(23a)는 먼저 핀(24a)으로 향해서 이동하여 보스(23b)에 당접한다. 로드(33)가 공기실린더(32)로 더 후퇴할 때, 보스(23a)는 핀(24b)으로 향해서 더 이동하게 된다. 이와같은 상태로, 핀(24a)은 홈(28b)에서 홈(28a)으로 이동되며, 보스(23a)에 접하는 보스(23b)는 핀(24b)을 향해서 더 이동한다. 이리하여 마침내 이들 보스(23a, 23b)는 핀(24b)이 홈(28c)의 내측 종단부에 접할 때 멈추게 된다. 또한 보스(23c, 23d)는 핀(24b)을 향해 이동되고, 보스(23a, 23b)의 운동과 마찬가지로 핀(24b)이 홈(28d)의 내측 종단부에 접할 때 보스(23c, 23d)는 멈춘다. 따라서 사패키지 저장피치 P2에 대응하는 간격이 각 2개의 인접보빈척(10)사이에 형성된다.
다음은 제6도를 참조로 하여 사패키지를 각 작동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한 보빈척 이동기구를 설명한다.
보빈척(10)을 포함하는 상기 피치변경 기구의 프레임은 수평방향으로 설치된 한쌍의 안내레일(14)위에 지지되어 있다. 이들 안내레일(14)은 수직방향으로 설치된 필러(13)상에서 레일(14)의 단부가 활주할 수있도록 배설되어 있다.
또한 안내레일(14)의 단부는, 체인(39)에 평행하게 고정된 케이블실린더(40)의 피스톤에 연결되어 있는 한쌍의 무단체인(39)에 접속되어 있다. 이러한 배열에 의하여, 레일(14)은 한쌍의 케이블 실린더(40)의 동기운동에 의하여 수직필러(13)를 따라서 수직방향으로 이동할 수가 있다.
또한 실린더(41)의 피스톤에 결합되어 있는 케이블 실린더(41) 및 무단체인(42)은 레일(14)상에 지지되어 있고, 상기 피치변경 기구의 프레임은 체인(42)에 접속되어 있기 때문에, 이 피치변경 기구는 레일(14)상에 장치된 가이드를 따라 수평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이동기구에 의하여, 보빈척(10)은 드로우 트위스터(1)의 스핀들 바로 위에서 필름백 저장박스(50)로, 다음에 카아톤박스(5)로 자유로 이동할 수가 있다.
2개의 인접보빈 사이의 피치를 변경시키는 기구와 더불어 제2도, 제3도 및 제4도에 표시된 보빈척기구의 작동중, 척의 이동은, 각 필름백에 의한 도핑된 사패키지의 포장작동과 관련해서, 프로그래밍 제어장치(도시되지 않음)의 제어작용하에 제5도 및 제6도에 도시된 척 이동기구에 의하여 자동적으로 수행된다. 보빈척 기구의 완전 1회 작동행정, 2개의 인접보빈 사이의 피치를 변경시키기 위한 가구 및 보빈척 이동기구는 다음에 상세하게 설명된다. (제1도-제7도)
만권 사패키지(4)가 드로우 트위스터(1)의 스핀들(1a)상에 형성될 때 본 발명의 장치(2)는 드로우 트위스터의 스핀들 배열전방에 있는 도핑위치로 반송되어, 만권 사패키지(4)(본 실시예에서 4개의 사패키지)가 도핑되게 되어 있는 해당 스핀들(1a)전방에 있는 도핑위치에 위치한다. 그 다음에 도핑작업 및 포장작업의 단계가 다음에 설명한 바와 같이 수행된다.
다음 설명에서는 본 발명을 용이하게 이해하도록 하기 위하여 1개의 보빈척(10)의 운동이 설명되며, 보빈척(10)의 위치 또는 레벨은 제2도의 수평로드(12)의 중앙축의 위치 또는 레벨로 표시된다.
(ⅰ) 제1단계
각 보빈척(10)은 처음에 시점(時點) t1에서 시점 t2의 기간중에 그 대기 위치 F1에서 전진된 위치 F2로 이동한다. 보빈척(10)이 이와같이 동작하는 동안, 이 레벨은 대기 레벨에 있는 레벨 V1로 유지되고, 각 보빈척(10)의 지지작용은 해제 상태로 유지된다.
(ⅱ) 제2단계
각 보빈척(10)이 해당스핀들(1a)의 두부 바로위에 위치하는 전진된 위치에 도달할 때, 드로우 트위스터의 해당스핀들(1a)을 향하여 행하여지는 각 보빈척(10)의 하향운동은 레벨 V1으로부터 해당스핀들(1a)에 의하여 지지되는 만권 사패키지(4)의 보빈두부가 보빈척(10)의 원통홈속으로 삽입되는 레벨 V2까지 행하여진다. 이 운동은 시점 t3에서 완료된다.
(ⅲ) 제3단계
시점 t3에서 보빈척(10)의 레벨은 전진위치 F2에서 V2이다. 이러한 상태로 압축공기가 도관(19), (제4도)에 의하여 보빈척(10)속으로 공급되도록 하여, 백부재(bag member)(17)가 보빈척(10)의 내측을 향하여 팽창되도록 한다. 그 결과, 보빈척(10)은 만권 사패키지(4)의 보빈두부의 선단을 파지하게 된다. 그러므로 제7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시점 t4에서 만권 사패키지(4)가 해당 보빈척(10)에 의하여 안정되고 견고하게 파지된다.
(ⅳ) 제4단계
만권 사패키지(4)의 상기 파지된 상태에 있어서, 보빈척(10)은 레벨 V2에서 레벨 V3까지 상방으로 이동한다.
이와 같은 운동은 시점 t4와 시점 t6사이의 주기내에 수행되고, 이에 대하여 보빈척(10)은 시점 t5에 이를 때까지 해당스핀들 바로 위의 위치 F2에서 유지된다. 보빈척(10)이 레벨 V2에서 레벨 V3까지 상향 이동중, 시점 t5에서 보빈척(10)은 위치 F2에서 도핑된 사패키지(4)는, 해당 필름백에 의하여 포장되는 위치 F3로 이동되므로써 사패키지(4)가 각 스핀들(1a)에서 도핑된 다음 각 보빈척(10)에 의하여 현수된 상태로 위치 F3로 반송된다. 시점 t6에서 이러한 4단계 작동이 완료될때까지 2개의 인접보빈척을 변경시키는 기구는 피피 P1을 유지하도록 계속적으로 작동한다.
(ⅴ) 제5단계
시점 t6와 시저 t7사이의 기간(T4)내에서, 해당 보빈척에 의하여 현수된 각 도핑된 사패키지(4)를 필름백에 포장하는 작동이 수행된다. 이러한 포장작동은 후술한다. 이 기간중, 보빈척(10)은 레벨 V3과 위치 F3에 위치하며 2개의 인접보빈척(10) 사이의 피치를 변경시키기 위한 기구는 시점 t6에서 피치를 P1에서 P2로 변경시키기 위하여 작동된다.
(ⅵ) 제6단계
상기 포장 작업을 완료함과 동시에, 필름백에 의하여 분리 포장된 만권 사패키지(4)를 현수하는 보빈척은, 위치 F3에서 보빈척(10)이 카아톤(5) 위에 위치되는 위치 F4로 이동되고 거기서 레벨 V3로부터 레벨로 V4로 이동한다.
보빈척(4)의 상기운동에 따라, 포장된 만권 사패키지(4)는 레벨 V3에서 최저위치인 레벨 V4로 이동한다. 그러므로 포장된 사패키지(4)가 카아톤(5)의 해당 격실안으로 수납된다. 한편 보빈척(10)은 시점 t9에서 해제된다.
(ⅶ) 제7단계
시점 t10에서, 사패키지(4)의 도핑, 필름포장 및 수납작용이 종료될 때, 보빈척(10)이 리프팅기구는 보빈척(10)의 전후방 작동과 더불어 보빈척의 원위치에 복귀하도록 작동된다.
(ⅷ) 제8단계
그러나 시점 t10전에, 보빈척(10)의 위치는 위치 F3에서 보빈척이 카아톤(5) 바로 위의 위치에서 위치하게 되는 위치 F4로 변경되기 시작한다(시점 t7)시점 t8에서 개시하는 다음작동 단계에 있어서, 필름백(52)으로 분리포장된 사패키지(4)는 보빈척(10)이 레벨 V3에서 레벨 V4로 하향 이동하므로써 카아톤(5)속으로 수납된다.
(ⅸ) 제9단계
사패키지(4)를 지지하고 있는 보빈척(10)이 카아톤(5)내의 레벨 위치 V4로 이동할 때, 각 보빈척(10)의 백부재(17)의 파지력을 제거하도록 보빈척(10)내의 공기압을 해제함으로써 보빈척(10)이 사패키지의 파지를 해제한다.
이와같은 작동은 시점 t10에서 종료된다.
(ⅹ) 제10단계
시점 t10에서, 보빈척(10)은 레벨위치 V4에서 레벨위치 V1로 이동하여 위치 F4에서 대기위치 F1으로 이동하기 시작한다. 보빈척(10)이 이러한 변위작동은 시점 t4에서 끝나면, 이리하여 만권 사패키지(본 실시예에 있어서, 이 그룹이 4개의 사패키지로 구성되어 있다)그룹에 대한 도핑 및 포장작용의 한단위 작동이 종료된다.
상기 연속단계의 작동은 프로그래밍 제어장치(도시되지 않음)에 의하여 제어되는 상태로 수행된다. 즉, 장치(2)가 처음에 4개의 사패키지(4)가 도핑되는 4개의 스핀들(1a)로 구성된 제1그룹에 대응하는 위치에 위치할 때, 케이블실린더(41)는 보빈척(10)을 대기위치 F1에서 F2로 변위시키도록 작동되고, 보빈척(10)이 위치 F2에 온 것을 확인하기 위한 위치에서 장치(2)에 배설된 리미트 스위치 No.1(도시되지 않음)이 작동될 때, 케이블실린더(41)의 운동은, 케이블실린더(41)를 공급공급원(도시되지 않음)에 접속시키거나 분리시키는 전환 밸브 No.1(도시되지 않음)에 의하여 No.1 리미트스위치에서 나오는 신호에 의하여 멈추게 된다. 상기 No.1 리미트스위치는 또한 케이블 실린더(40)를 상기 공기공급원에 접속시키거나 분리시키는 전환밸브 No.2(도시되지 않음)를 작동시켜서, 보빈척(10)의 레벨을 레벨 V1에서 레벨 V2로 변경시킨다.
리미트스위치 No.2는, 보빈척(10)이 각 사패키지(4)의 보빈두부를 파지하기 위한 각개 위치에 올때, 케이블 실린더(40)의 운동이 전환밸브 No.2를 작동시키기므로써 멈추어지도록 하는 위치에 배설된다. 그러므로 보빈척(10)이 위치 F2에 도달하였음을 표시하는 신호를 리미트스위치 No.1이 발할 때, 케이블 실린더(40)가 작동하고, 보빈척(10)의 레벨이 대기레벨 V5에서 레벨 V6으로 변경될 때, 케이블실린더(40)가 정지된다. 각 스핀들(1a)에서 사패키지(4)를 제거하는데 일정시간이 필요하기 때문에, 타이머 스위치 No.1, No2 및 No.3(도시되지 않음)는 제각기 케이블실린더(40, 41)의 다음 작동을 지연시키고, 또 보빈척(10)의 파지상태를 유지시키기 위하여 사용된다. 즉, 타이머스위치 No.1은 보빈척(10)이 레벨 V1에서 V2그리고 V2에서 V1으로 이동운동이 끝날때까지(제7도)의 시간(T1)동안 위치 F2를 유지시키는데 사용되는 반면, 타이머스위치 No.2는 각 사패키지(4)의 보빈두부가 해당 보빈척(10)에 의하여 단단히 파지될 수 있을때까지의 시간(T2)동안 레벨 V2를 유지하는데 사용된다. 설정시간 T1및 T2가 끝날 때, 리미트스위치 No.1 및 No.2는 케이블실린더(41, 40)를 각각 작동시키기 위하여 신호를 발한다. 다른 한편으로, 설정시간 T3가 끝날 때 리미트스위치 No.3는 해당보빈척에 의한 사패키지(4)의 파지를 해제하기 위하여 신호를 발한다. 이들 케이블 실린더(40, 41)의 연속단계식 운동은 상기 리미트스위치 No.1 및 No.2의 기능과 같은 기능을 가진 리미트스위치를 사용하여 수행하고, 시간 T4동안에 레벨 V3, 시간 T7동안에 레벨 V4, T4동안에 위치 F3, 시간 T6동안에 위치 F4에 있는 보빈척(10)의 위치 또는 레벨은, 각 케이블실린더(40) 및 (41)를 작동시키기 위해 이들 리미트스위치에서 제어밸브로 각 신호가 전달되는 것을 지연시키므로써 유지된다.
제7도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드로우 트위스터(1)의 4개의 스핀들(1a)로 제1스핀들 그룹으로부터, 드로우 트위스터(1)의 4개의 스핀들(1a)로 된 제2스핀들 그룹으로 장치(2)가 이동하는 것은, 제1스핀들 그룹에 대한 도핑작동의 1행정이 종료한 후에 시점 t6및 t10사이의 기간중에 수행된다.
그와같은 주행 또는 정지작동은 제어릴레이가 구동모우터(9a)를 전원에 접속 또는 분리할 수 있도록 보빈척이 위치 F3및 F4의 각각에 이룰 때, 보빈척(10)의 위치를 검지하는 리미트스위치에 의하여 작동되는 제어릴레이(도시되지 않음)에 의하여 제어된다. 제1도 내지 제7도에 표시된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 사패키지(4)가 2열로 배열되고, 각 열은 4개의 사패키지를 갖는 상태로 8개의 패키지를 포장 수용하는 능력을 가진 카아톤(5)이 사용된다. 장치(2)의 1단위 조작은 4개의 사패키지(4)에 대하여 수행되기 때문에, 1개의 카아톤 포장을 하기 위해서는 2개의 단위조작이 수행되어야 한다. 그러므로, 1개의 카아톤(5)속으로 4개의 사패키지를 수납하는 작업이 보빈척(10)의 2개의 위치에서 두번 수행된다.
즉, 첫째의 수납작업에 있어서 보빈척(10)은 위치 F4에 위치하며, 다음 수납작업에 있어서 보빈척(10)은 대기위치와 동일한 위치 F1에 위치한다. 그와같은 둘째의 수납작업은 첫째 수납작업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되기 때문에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제어작동은 상기 리미트스위치, 지연타이머 및 제어릴레이를 조합하여 수행되는 예정 제어프로그램에 따라 상호 효율적으로 수행된다.
B. 개별포장(wrapping)기구
각 보빈척(10)에 의하여 지지된, 도핑이 끝난 사패키지(4)를 개별포장하기 위한 기구는 다음에 상세히 설명한다.
이 기구는 본 발명장치의 후방, 즉 드로우 트위스터(1)의 스핀들 배열에서 떨어진 위치에 배설되어 있다. 제6도 및 제8도에 따라 사패키지 포장기구의 리프트기구를 설명한다.
각각 1개의 바아(bar)로 구성된 한쌍의 지지부재(43a, 43b)는 브래킷(44)에 의하여 상호 평행으로 지지되어 있기 때문에, 그 사이의 간격은 변경이 가능하다. 제6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브래킷(44)은 수직방향으로 설치된 안내레일(45)을 따라 상하로 움직일 수 있게 배설되어 있다.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모우터(46)에 의하여 구동되는 한쌍의 무단체인(47)은 안내레일(45)을 따라 설치되어있으며, 브래킷(44)은 체인(47)에 부착되어 있다. 따라서, 체인(47)의 동기(同期)운동에 의하여 지지부재(43a, 43b)는 상하 이동한다.
제8도, 제9도, 제10도, 제11a도 및 제11b도에 따라, 사패키지 포장기구내에서 필름백을 파지하고 개방하기 위한 기구에 대해 설명한다.
지지부재(43a)의 양단부는 브래킷(44)에 의하여 고정되어 있고, 다른 지지부재(43b)는 각 브래킷(44)내에 형성된 가이드홈(44a)을 따라 수평방향으로 지지부재(43a)를 평행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배설되어 있다.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각 브래킷(44)의 일단은 모우터(48)에 연결되어 있고, 모우터(48)에 의하여 구동되는 무단체인(49)은 지지부재(43b)의 이동 경로를 따라 설치되어 있으며, 지지부재(43b)의 양단부는 각 체인(49)에 접속되어 있다. 따라서, 지지부재(43b)는 양 지지부재(43a, 43b)사이의 간격을 좁히거나 넓히기 위하여 모우터(48)의 작용에 의하여 수평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다. 점착면(51)은 필름을 파지하기 위한 각위치에서 지지부재(43a, 43b)의 대향면상에 행성되어 있다. 즉, 이 실시예에 있어서, 지지부재(43a)의 각 쌍의 점착면(51)이 지지부재(43b)의 각 쌍의 점착면에 향할 수 있도록 지지부재(43a, 43b)의 내측면을 따라 각기 4쌍의 점착면(51)이 배분되어 있으며, 지지부재(43a)의 쌍을 이룬 2개의 인접점착면(51)은, 필름백 공급기구(50)안에 있는 필름백(52)의 측부를 포착할 수 있고, 동시에 지지부재(43a)의 상기 점착면(51)을 향하는 지지부재(43b)의 쌍을 이룬 2개의 인접점착면(51)은 상기 필름백(52)의 반대측부를 포착할 수 있다.
지지부재(43a, 43b)의 2개의 인접 점착면(51)의 거리 ℓ은 각 필름백(52)의 상단부인 상기 측부를 포착할 수 있을만큼 충분히 크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점착면(51)은 지지부재(43a) 및 지지부재(43b)의 2개의 점착면(51)사이의 간격이 좁혀져서 접근될 때, 길이 ℓ을 따라 피치 P2로 필름백 공급기구 안에 배열된 필름백의 상단부를 점착하도록 보지한다. 간격이 넓혀질 때에는 백(52)이 열리기 때문에 각 필름백(52)은 그 안에 도핑된 사패키지(4)를 수납할 수가 있다.
제10도, 제11a도 및 제11b도에 따라, 이와같은 점착면(51)의 형성에 대한 실시예를 다음에 설명한다.
계단부(step portion)(53)는 지지부재(43a, 43b)의 바아의 상하면을 깍아냄으로써 점착면(51)이 부착되도록 각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점착층(55)을 갖춘 후크모양의 부분을 가진 마운트(54)는 스폰지를 거쳐 계단(53)상에 장치되어 있다. 장공(57)이 마운트(54)의 상단부상에 형성되어 있으며, 지지부재(43a, 43b)의 바아의 상부면에 탄성적으로 설치되어 있는 핀(58)이 각 지지부재(43a, 43b)의 바아에서 마운트(54)의 분리를 방지하기 위하여 이 장공(57)에 자재로 고정되어 있다.
필름백을 파지하고 개방하는 기구의 상기 구조에 의하여 지지부재(43a, 43b)가 서로 접근할 때, 지지부재(43a, 43b)사이에 파지된 필름면은 점착파지를 확실히 하기위하여 스폰지(56)의 탄성력에 의하여 점착면(51)에 완전히 압압되어 있다. 점착증(55)이 반복사용으로 소모되었을때에는 마운트(54)는 새마운트(54)로 용이하게 고체될 수 있다.
상기 기구에 의하여 지지부재(43a, 43b)사이에 파지된 필름백(52)은 사패키지(4)의 하부로부터 대응 보빈척(10)에 의하여 지지된 도핑이 끝난 사패키지(4)를 수납하기 위하여 개방되어 올라오게 된다. 다음에 백(52)은 스트립퍼(62)에 의하여 지지부재(43a, 43b)에서 벗겨진다.
제8도, 제9도, 제11a도, 제11b도 및 제12도에 따라서 이 작동에 대하여 설명한다. 축(60, 61)은 간격을 두고 지지부재(43a, 43b)의 외방에 배설되어 있고, 두축(60, 61)의 양단부는 좌우측 브래킷(44)에 의하여 회전 자재하게 지지되어 왔다. 스트립퍼(62)는 지지부재(43a, 43b)의 점착면(51)에 대응하고 있는 위치에서 축(60, 61)에 고정되어 있다.
아암(63, 64)은 축(60, 61)의 일단부에 각각 고정되어 있다. 아암(63, 64)은 연결레버(65), 브래킷(44)에 부착된 벨크탱크(66) 및 연결레버(67)를 통하여 상호 연결되어 있다. 아암(63)을 연장하여 형성된 작동레버(69)가 상하 이동할 때, 축(60, 61)은 이축에 고정된 스트립퍼(62)를 선회시키기 위하여 상호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므로써 스트립퍼(62)은 L형 상단부에 점착면(51)아래 위치에서 점착면(51)의 전방으로 전전한다. 스프링(70)의 일단은 브래킷(44)에 고정되어 있고, 이 스프링(70)의 타단은 벨크랭크(66)의 일단(66a)에 부착되어 있다. 스트립퍼(62)가 일단 작동위치나 대기 위치에 위치할 때, 스프링(70)은 작동레버(69)가 다시 작동할때까지 이 위치에서 스트립퍼(62)를 지지한다. 이 작동레버(69)는 브래킷(44)에 부착된 공기 실린더(80)에 의하여 소정시간 간격으로 작동한다. 상기 작동은 후술하는 프로그래밍 제거기구에 의한 제어하에 순차적으로 수행된다.
사패키지(4)가 상기 지지부재(43a, 43b)에 의하여 개방된 상태로 유지되고 있는 필름백(52)안으로 삽입된 후, 스트립퍼(62)가 아암(11)위에 형성된 흡인개구(22)에 백(52)을 전달하기 위하여 점착면(51)에서 백(52)이 이탈되도록 작용한다. 이리하여 점착면(51)은 이탈된 필름백의 접촉으로 인한 훼손을 막을 수 있다.
C. 필름백 공급기구
이제 제13도, 제14도, 제15도 및 제16도에 따라 필름백 공급기구에 대하여 설명한다.
필름백 공급기구(50)는 사패키지를 각개별로 포장하기 위한 상기 기구 바로 아래에 배설되어 있으며 필름저장박스(71), 단부압착구(edge presser)(72) 및 압력판(73)으로 구성되어 있다. 박스(71)는 그 안에, 분할부(83)를 가진 장방형 파이프 모양의 용기(82)를 포함하고 있으며, 이 분할부의 수는 동시에 처리(본 실시예에 있어서 4개)되는 사패키지의 수에 일치하는 수로 이루어져 있다. 필름백(52)은 각 분할부(83)에 수직방향으로 쌓여지며, 압력판(73)에 의하여 뒤로부터 압압되므로써 백(52)이 정돈되어 유지된다. 용기(82)는 박스(71)안에 분리 가능하게 배설되어 있기 때문에, 필름백(52)을 채우는 것은 용이하다. 박스(71)의 앞벽은 필름백(52)의 크기를 완전히 커버할 수 있는 높이로 되어 있으나, 압력판(73)의 상단부(81)는 필름백(52)의 상단부가 노출될 정도로 짧게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압력판(73)의 상단부(81)는 인청동(phospher bronze)판과 같은 가요성 재료로 되어 있다. 각 분할부(83)에 대응하는 홈(74)이 압력판(73)의 하부내에 형성되어 있으며, 단부압착구(72)가 이홈(74)을 통하여 작용한다. 단부압착구(72)는 이 압착구의 일면에 형성된 돌출부(75)를 가진 작은 면적의 압압판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압력이 스프링(76)에 의하여 필름백(51) 하단부 부근에 있는 필름백(52)상에 가하여 지도록 해설되어 있다.
박스(71)는 수평축(78)상에 회전자재하게 장치되어 있으며, 장치(2)의 프레임 일부상에 회전 자재하게 설치된 공기실린더(77)의 피스톤 로드(77a)에 접속되어 있다. 따라서 공기실린더(77)를 작용시킴으로써 박스(71)전체를 전방 경사진 위치 또는 수직위치에 위치시킬 수 있다. 보조판(79)은 용기(82)상에 변위자재하게 장치될 수 있도록 용기(82)뒤에 배설되어 있다. 한쌍의 압착구(79a)는 판(79)상에 추축할 수 있게 장치되어 있고, 압착구(79a)가 용기(82)안에 있는 필름백(52)을 향하여 항상 압력판(73)을 압압하는 상태로 작동한다. 이들 압착구(79), (79a)는 공동으로 작동하기 위하여 연결기구(79b)에 의해서 탄발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각 용기(82)속으로 소정수의 필름백(52)을 공급할 필요가 있을때에는, 그와같은 필름백(52)을 수용하기 위하여 용기(82)의 벽과 압력판(73)사이에 충분한 공간을 형성하도록 하기위해 보조판(79)이 용기(82)내에 분리된다.
그 다음에, 이 보조판(79)이 제15도에 표시된 바와같이, 용기(82)상에 장설되어 필름백(52)은 압력판(73)에 의하여 압압되도록 한다. 필름백(52)을 용기(82)속으로 공급하는 상기 방법을 적응하는 대신에, 필름백(52)이 공급되어 있는 용기(82)를 바꾸어서 필름백(52)를 공급할 수도 있다. 공기실린더(77)의 운동은 제17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공기실린더의 공기실의 접속을 공기공급원으로 선택적으로 변경하기 위한 자동밸브(85a)가 갖추어진 제어기구(85)에 의하여 제어된다.
다음에 제8도, 제9도, 제10도, 제11a도, 제11b도, 및 제12도에 표시된 각각의 필름백(52)내에서 사패키지(4)를 개별 포장하는 기구가 제13도, 제14도, 제15도 및 제16도에 표시된 필름백 공급기구와 상관 작동하는 것에 대하여 설명한다.
보빈척(10)에 의한 도핑작용이 완료된 후, 도핑된 사패키지(4)(본 실시예에 있어서 4개의 사패키지)는 보빈척(10)을 이동시킴으로써 예정된 포장위치로 운반된다. 보빈척(10)이 이동중 각 2개의 인접보빈척(10)사이의 거리는 제5도에 표시된 2개의 인접보빈 사이의 피치를 변경시키기 위한 기구에 의하여 예정된 피치(P2)로 변경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지지부재(43a, 43b)는 개방된 상태로 최하부 위치에 고정되고, 필름백 저장박스(71)는 전방 경사면 위치에 고정된다. 이러한 위치관계에서, 지지부재(43a, 43b)가 필름백(52)의 상단부를 그 지지부재 사이에 포착하는 상태로 된다.
각 필름백(52)에 의한 상기 사패키지(4)의 포장작업에 대해서는 제17도, 제18a도, 제18b도, 제18c도, 제18d도, 제18e도 및 제18f도에 따라 설명한다.
본 발명을 보다 용이하게 이해하도록 하기 위하여 아래 설명에서는 1개의 필름백(52)에 의해서 1개의 도핑된 사패키지(4)를 포장하는 작업을 기술한다.
(ⅰ) 제1단계(제18a도, 제18b도 및 제18c도)
필름매거진(50a)이 외측으로 경사진 위치에서 수직위치로 이동하므로써, 박스(71)안에 저장된 필름백(52)의 상단 후면이 지지부재(43a)에 접촉되어 압력을 가한다. 이러한 작동에 의하여, 박스(71)의 각구역(section)에 있어서, 후단부에 있는 필름백(52)은 지지부재(43a)의 점착면에 달라붙고, 그후 즉시 압압이 풀려 장치는 다음 단계로의 준비를 한다. 이와같은 제1단계 작업은 제17도에 표시된 위치 V5에서 수행된다.
(ⅱ) 제2단계(제18d도)
지지부재(43a, 43b)는 약간 위로 올라가며, 필름 매거진(50a)의 각 구역의 후단부에 위치한 각 필름백(52)이 인출된다. 이 시점에서, 지지부재(43b)가 동작을 시작하여 다른 지지부재(43a)에 접근하므로써 필름백(52)은 그 지지부재 사이에 완전히 파지되어 지지된다. 이러한 제2단계 작업은 제17도에 표시된 위치 V6에서 수행된다.
(ⅲ) 제3단계(제18E도)
지지부재(43a, 43b)는 사패키지를 그 사이에 수용하기 위한 개방부를 형성하기에 충분할 정도로 필름백(52)을 보다 상향으로 들어올리게 된다. 이 단계에서, 필름백(52)을 보다 상향으로 들어올리게 된다. 이 단계에서, 필름백(52)은 이미 단부압착구(72)(제15도)의 작동으로부터 해방되어 단지 압력판(73)의 압압작용만을 받고 동시에, 압착구(72)(제15도)의 압력은 매거진(50a)안의 남은 백에 계속하여 가해진다. 따라서, 필름백이 끌어올라갈 때 비록 마찰력이 그 필름백(52)에 작용한다 할지라도, 매거진(50a)의 각 구역내의 필름백(52)의 정상 배열은 전혀 흐트러지지 않는다.
(ⅳ) 제4단계(제18F도)
필름백(52)이 대응보빈척(10)에 현수된 사패키지(4)의 하단부근까지 들어올려질 때, 지지부재(43b)는 필름백(52)을 개방히기 위하여 지지부재(43a)에서 분리되는 방향으로 이동된다. 이 백의 개방작동 전에, 백저장 매거진(50a)은 전방으로 기운위치로 복귀하므로써 개방된 필름백(52)의 단면이 매거진(50a)의 상단부가 3각형(52a)의 정점이 되는 정3각형을 실질적으로 형성하도록 한다. 백저장박스(50a)가 그와같이 전방 경사진 상태로 유지되고 있을 때, 점착면(51)(제12도)에 의한 필름백(52)의 파지는 점착면(51)의 전단력에 대하여 큰 저항을 갖지만, 점착면(51)에 작용하는 이탈력을 비교적 낮으므로 후속단계에서 지지부재(43a, 43b)의 양점착면(51)에 대한 저항은 백(52)이 인출될 때 상호 균형이 잘된다. 이 단계에 있어서, 압력판(73)의 상부(73a)(제15도)는 필름백(52)에 의하여 용이하게 외방으로 구부러지고, 작동은 안전하게 수행된다. 이와같은 제4단계 작동은 제17도에 표시된 위치 V7에서 수행된다.
(ⅴ) 제5단계
지지부재(43a, 43b)는 더 위로 들어올려지고 사패키지(4)는 필름백(52)안에 완전히 포장된다.
이 시점에서 지지부재(43a, 43b)가 정지되고 스트립퍼(62)가 점착면(51)에 필름백(52)을 이탈시키도록 작동하므로써, 필름백(52)은 지지부재(43a, 43b)에 의하여 파지된 상태로부터 해제된다. 동시에 스트립퍼(62)는 아암(11)을 향하여 필름백(52)을 밑면 필름백(52)은 아암(11)의 흡인공(22)으로부터 나오는 흡인력에 의하여 지지된다.
이와같은 제5단계 작동은 제17도에 표시한 위치 V8에서 수행된다. 제17도에서 화살표 d1은 지지부재(43a, 43b)의 상향이동을 가르킨다.
이에 대하여 화살표 d2는 지지부재(43a, 43b)의 하향이동을 가르킨다.
(ⅵ) 제6단계
지지부재(43a, 43b)는 가이드레일(45), (제2도, 제3도 및 제6도)를 따라 하강하고, 최하 위치로 복귀한다.
지지부재(43a, 43b)가 하강하고 있을 동안, 스트립퍼(62)는 점착면(51)을 덮는다. 따라서, 필름백(52)이 점착면(51)과 접촉함으로 인한 필름백(52)의 낙하를 방지할 수 있다.
각 보빈척(10)에 의하여 지지되고 있는 도핑된 사패키지(4)를 포장하기 위한, 제1단계에서 제6단계에 이르는 상기 단계적 작동은, 보빈척(10), (제7도의 변위작동 주기에 있어서 시점 t6과 시점 t8사이의 기간중 수행된다. 필름백(52) 매거진(50a), 지지부재(43a, 43b), 스트립퍼(62) 및 보빈척(10)의 필름백 지지기구등의 관련 작동은, 제19도에 설명된 바와같이 예정된 순차 프로그램에 따라 수행된다. 상기 순차 프로그램은 리미트스위치와, 이 리미트스위치와 유사한 기능을 갖는 지연타이머 및 보빈척(10)의 운동을 제어하는 제어기구용 지연타이머 등을 갖는 도시되지 않는 하나의 제어기구에 의하여 수행되므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19도에 표시된 프로그램에 있어서, T9, T10으로 표시된 기간은 제각기 필름백 매거진(50a)이 전방으로 기온 위치에 있는 기간과 압력을 해체하는 상태로 유지되는 기간을 나타내고, 반면 제19도에 표시된 후퇴된 위치는 대기 위치를 나타내고, T11, T13및 T14로 표시된 기간은 지지부재(43a, 43b)가 각기 레벨 V6, V7및 V8에 위치하고 있는 기간을 나타내며 T12로 표시된 기간은 지지부재(43b)가 폐쇄위치로 유지되고 개방위치는 대기 위치로 유지되고 있는 시간을 나타내고, T15로 표시된 기간은 스트립퍼(62)가 작동하고 있는 기간을 나타낸다.
그러므로, 지연타이머(도시되지 않음)는 상기 각 기간동안 각 지지부재를 유지하도록 작용한다. 스트립퍼(62)의 운동이 시점 t8에서 종료될 때, 대응보빈척(10)에 의하여 현수되는 도핑된 사패키지를 포장하기 위한 기구들은, 보빈척(10)이 레벨 V3(제2도)에서 위치 F3에 도달하였는가를 검지하는 리미트스위치(도시되지 않음)에서 발하여지는 신호를 이들 기구가 작동할 때까지 대기상태로 유지된다.
D. 카아톤 위치조정 기구
필름백으로 포장된 사패키지를 수용하기 위한 위치에 카아톤을 위치시키기 위한 기구에 대해서는 다음에 상세히 설명한다.
위에서 지적한 바와같이, 본 발명에서는 빈 카아톤을 예정위치에 고정시키고 또 작동장치로부터 예정된 수의 사패키지(4)로 채워진 카아톤을 배출하는 것이 필요하다.
빈카아톤은 그 무게가 가볍기 때문에 손으로 용이하게 취급할 수 있지만, 사패키지로 채워진 카아톤은 보통 40㎏ 또는 그 이상이므로 채워진 카아톤의 운반을 수행하기 위해 어떤 기구가 사용되어야 한다. 그와같은 운반기구의 몇가지 예를 아래에 기술한다.
제1도 및 제20도에서는 상기 카아톤 위치 조정기구의 대표적인 예가 표시되어 있다. 컨베이어(94)는 상호 평행을 이루며 드로우 트위스터(1)의 양측상에 스핀들 배열을 따라 배설되어 있다. 본 발명의 장치(2)는 작동중, 이 장치(2)가 컨베이어(94) 위와 다른 통로내이어서 이동할 때, 자유자재로 움직일 수 있도록 고안되어 있다. 즉, 본 발명의 장치(2)는 복수개의 드로우 트위스터상에서 상기 작동을 수행할 수 있도록 매설되어 있다.
트럭(95)은, 카아톤 저장 영역에서 드로우 트위스터(1)의 단부까지 혹은 드로우 트위스터(1)의 단부까지 차기단계까지 카아톤(5)을 운반하기 위한 기구로 사용된다. 이 트럭(95)은 빈 카아톤(5)을 컨베이어(94)로 운반하거나 다채워진 카아톤(5)을 컨베이어에서 방출시키기 위하여 컨베이어 단부로 운반된다.
빈박스(5)가 도핑 피치(doffing pitch)에 대응하는 피치로 1개씩 덮개가 개방된 상태로 컨베이어(94)상의 각 대기위치에 반송되므로써 포장 작업이 효율적으로 수행될 수가 있다.
장치(2)의 작동을 수행하기 위해 카아톤을 정확한 위치로 위치시키는 상기 작동에 있어서, 사패키지를 수용하기 위한 위치에 빈 카아톤을 정확히 배치하도록 작용하는 스토퍼(도시되지 않음)가 본 장치에 배설되어 있다. 컨베이어(94)의 반송로 쪽으로 돌출하거나 컨베이어(94)의 반송로에서 장치(2)내로 후퇴할 수 있는 것과 같은 형태의 스토퍼가 사용되고 있다.
이 경우, 장치(2)의 작동을 수행하기 위해 빈 카아톤이 배치될 필요가 있으며, 이 스토퍼가 본 장치에서 돌출되며, 반면에 도핑된 사패키지로 채워진 카아톤을 장치(2)에서 배출할 필요가 있으며, 이 스토퍼가 본 장치속으로 후퇴한다.
스토퍼의 이와같은 운동은 공지의 공기실린더 혹은 솔레노이드로 수행되는 때문에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핑작업이 완료된 후, 카아톤은 컨베이어(94)의 단부에 모여진 후 트럭(95)위에 적재된다.
구동장치가 없는 로울러 컨베이어를 상기 컨베이어로서 사용할 수 있지만, 정상회전 및 역회전을 할 수 있는 동력 컨베이어를 채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카아톤의 운반 및 배출작업에 있어서 수동으로하는 수고를 덜 수 있기 때문이다. 더우기, 그러한 동력 컨베이어의 간헐적 정상 및 역회전의 피치가 장치에 있어서의 운전의 피치에 일치한다면, 사패키지는 작업원의 도움없이 카아톤 내에 형성된 여러 구획속으로 담겨 질수가 있다.
다음은 제21도에 따라, 카아톤 위치 조정기구에 대한 다른 예를 설명한다.
카아톤을 운반하고 배출하는 장치로서, 로울러 컨베이어(96)를 갖춘 트럭이 사용된다. 빈 카아톤(5)의 규정된 수(드로우 트위스터 스핀들 수의 1/8)는 트럭(95)위에 한줄로 적재하고, 드로우 트위스터(1)의 일단부로 송출된다. 로울러 컨베이어(96a)는 본 장치(2)의 양쪽단부 프레임(end frames)을 통과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장치(2)안에 배설되어 있다.
컨베이어(96) 및 (96a)는 모두 같은 높이로 배설되어 있기 때문에 이들은 단일 컨베이어를 이룰수 있다. 도핑작업전에, 트럭(95)은 장치(2)의 후단부에 연결되고, 몇 개의 빈 카아톤(5)이 장치(2)내에 설치된 로울러 컨베이어(96a)로 압입되며, 제1빈카아톤(5)은 포장위치로 정렬된다. 다음에 도핑작업이 개시되어 카아톤이 사패키지로 채워질 때, 장치(2)의 후단부에서 압출되어 트럭(95)으로 송출된다.
이리하여 빈 카아톤(5)은 사패키지로 채워져서 1개씩 트럭(95)으로 송출된다. 본 장치(2)는 상기 작업이 진행됨에 따라 트럭(95)을 끄는 동안 전진하기 때문에 컨베이어(96) 및 (96a)는 모두 항상 서로 연결된 상태를 유지하고, 채워진 카아톤(5)의 송출은 원활하게 그리고 편리하게 수행될 수가 있다.
상기 운전이 반복되는 동안, 장치(2)는 드로우 트위스터의 타단에 이르러 작업이 끝날 때, 트럭(95)은 채워진 카아톤이 그 위에 적재되는 상태로 된다. 그 다음에, 트럭(95)은 장치(2)에서 분리되고 채워진 카아톤을 운반하기 위하여 예정 위치로 움직인다.
다음에 본 장치에 사용된 컨베이어 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제22a도, 제22b도, 및 제22c도에 따라 설명한다.
상기 제1실시예에 있어서, 컨베이어는 항상 드로우 트위스터의 양측에 위치되기 때문에, 때때로 작업원에 의한 감시작업 혹은 검사가 그와같은 컨베이어들에 의해서 방해를 받는다.
이러한 실시예에 있어서, 이러한 단점을 제거하기 위하여 제거가능한 컨베이어(98)가 도핑작업이 수행될때는 언제나 드로우 트위스터의 측면상에 배설되며, 이들 컨베이어는 도핑작업이 완료될 때 그들 위치에서 제거된다. 이러한 제거 가능한 컨베이어(98)의 구조는 제22a도, 제22b도, 및 제22c도에 도시되어 있다. 이 컨베이어는 한쌍의 신축성 고무 로우프(100)과 (101)사이에 걸쳐 있는 복수개의 로울러(99)로 구성되어 있으며, 리일(102)에 빽빽하게 감겨져 있다. 이 컨베이어는 트럭(95a)위에 적재되어 있기 때문에 용이하게 운반이 가능하다.
이와같은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컨베이어를 사용하므로써 드로우 트위스터의 전면에 빈공간을 충분히 잡을 수 있으며, 이 공간은 동핑작업 이외에 다른 목적으로 수동운전을 위하여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가 있다.
상기 예시에서 명백한 바와같이, 본 발명에 의한 사패키지 포장 장치는 매우 간단하고 그리고 소형으로 구성할 수 있고, 포장작업은 드로우 트위스터의 부근에서 도핑작업에 연속되게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노동력과 작업공간을 현저히 생략할 수 있다. 더우기 포장 되지 않은 사패키지의 재고를 많이 감소시킬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당 기술분야에 많은 공헌을 할 수 있다.

Claims (1)

  1. 복수개의 사제조유닛(unit)을 구비하고 각 유닛은 사패키지(4)를 형성하기 위한 보빈 지지용 스핀들(1a)을 갖추고 있으며 상기 스핀들(1a)은 사제조기(1)의 세로방향을 따라 배열된 구성으로된 사제조기(1)에 의하여 제조된 만권 사패키지를 카아톤상(5)내에 포장하는 장치(2)에 있어서, 상기 장치(2)에 의하여 각 도핑작업을 수행하기 위하여 장치(2)를 예정 작동위치에 정확히 위치시키는 수단과, 각 보빈척(10) 그룹을 향하고 있는 스핀들(1a)그룹으로부터 만권 사패키지(4)를 도핑하기 위한 보빈척(10)그룹과 보빈척(10)그룹중 각 2개의 인접보빈들 사이의 피치(pitch)를 변경시킬 수 있는 상태로 보빈척(10)을 지지하기 위한 수단과, 대응보빈척(10)에 의하여 지지되는 각 만권 사패키지(4)를 각 필름백(film bag)(52)으로 포장하기 위한 수단과, 필름백(52)으로 포장된 사패키지(4)를 동시 수용하기 위한 위치에 카아톤 상자(5)를 일시 위치시키고 위한 수단과, 상기 지지수단을 도핑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위치로부터 장치(2)의 여러작동 위치를 이동시키고 대응보빈척(10)에 의하여 지지되는 각 도핑된 사패키지(4)를 필름백(52)으로 동시에 개별로 포장하기 위한 위치와 예정공간에서 필름백(52)으로 포장된 사패키지(4)를 카아톤상자(5)내로 수납하기 위한 위치 및 보빈척(10)을 대기상태로 유지시키는 위치를 포함하는 수단등을 구비하여, 상기 지지수단은 각2개의 인접보빈척 사이의 피치를 스핀들 피치(P1)로부터 포장하기 위한 피치(P2)로 변경시키는 수단을 갖추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제조기에서 도핑된 사패키를 포장하는 장치.
KR770000263A 1977-02-08 1977-02-08 사제조기에서 도핑된 사패키지를 포장하는 장치 KR8100001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70000263A KR810000167B1 (ko) 1977-02-08 1977-02-08 사제조기에서 도핑된 사패키지를 포장하는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70000263A KR810000167B1 (ko) 1977-02-08 1977-02-08 사제조기에서 도핑된 사패키지를 포장하는 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00003883A Division KR810000188B1 (ko) 1980-10-10 1980-10-10 사 제조기에서 도핑된 사 패키지를 포장하는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10000167B1 true KR810000167B1 (ko) 1981-02-23

Family

ID=192038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770000263A KR810000167B1 (ko) 1977-02-08 1977-02-08 사제조기에서 도핑된 사패키지를 포장하는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10000167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051652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ackaging yarn packages doffed from a yarn producing machine
US4865260A (en) Equipment and process to supply winding tubes to the individual winding stations of a textile machine
US4630435A (en) System for automatically changing spools of a spinning machine
CN110654611B (zh) 一种智能包丝机
US3412523A (en) Apparatus for loading tubular packaging material endwise on spools
EP0240473B1 (en) Apparatus for automatically supplying continuous spinning machines with reeled material
CN216302817U (zh) 一种收卷堆垛生产线
JPH0336172A (ja) ロービングパッケージの移送装置
US4128377A (en) Unmoulding machine for confectionary products
CN111252289B (zh) 一种球形水果单扭结自动包装设备和方法
KR20130019787A (ko) 종이컵 자동 포장 장치
KR810000167B1 (ko) 사제조기에서 도핑된 사패키지를 포장하는 장치
JPS6117743B2 (ko)
KR810000188B1 (ko) 사 제조기에서 도핑된 사 패키지를 포장하는 방법
JPH0411027A (ja) 粗糸ボビン送給システム
GB2236768A (en) Conveying packages from a false twisting machine
US3010588A (en) Article unloader
US5168695A (en) Tube transport apparatus with intermediate stationary magazines dispensable to service carriage
CN112357151B (zh) 一种筒纱自动装箱用装箱机构
CN113979173A (zh) 一种收卷堆垛生产线、收卷堆垛方法及膜辊输送方法
CN114162674A (zh) 一种整浆并机器人自动上筒纱系统
US5289674A (en) Winding machine with an in-line package preparer, and an improved spinning-winding method
US5230209A (en) Method of conveying packages from draw false twisting machine
US3973906A (en) Cheese handling method
EP0270176B1 (en) Device for feeding various types of pirns to an automatic coner machin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