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10000049Y1 - 제3의 단자 접속부를 가진 알칼리 전지 - Google Patents

제3의 단자 접속부를 가진 알칼리 전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10000049Y1
KR810000049Y1 KR2019800007680U KR800007680U KR810000049Y1 KR 810000049 Y1 KR810000049 Y1 KR 810000049Y1 KR 2019800007680 U KR2019800007680 U KR 2019800007680U KR 800007680 U KR800007680 U KR 800007680U KR 810000049 Y1 KR810000049 Y1 KR 81000004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lectors
electrode
collector
negative electrode
batte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0000768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로버트 비티 데오도르
보올리스 하리
Original Assignee
유니온 카바이드 코포레이션
에드워드 지 그리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니온 카바이드 코포레이션, 에드워드 지 그리어 filed Critical 유니온 카바이드 코포레이션
Priority to KR2019800007680U priority Critical patent/KR81000004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1000004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10000049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24Alkaline accumulators
    • H01M10/28Construction or manufacture
    • H01M10/287Small-sized flat cells or batteries for portable equip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24Alkaline accumulators
    • H01M10/30Nickel accumul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300/00Electrolytes
    • H01M2300/0002Aqueous electrolytes
    • H01M2300/0014Alkaline electrolyt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제3의 단자 접속부를 가진 알칼리 전지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라 만들어진 플랫형 알칼리전지의 정면단면도.
제2도는 제도의 플랫형 전지에 이용되는 컵형용기-콜렉터 복합체의 투시도.
제3도는 제1도의 플랫형전지에 사용되는 커버-콜렉터 복합체의 하부측 투시도.
제4도는 제3도의 선-4-에 따라 절단한 커버-콜렉터 복합체의 단면도.
제5도는 본 고안에 따라 만들어진 플랫형 전지구조의 다른 구체형을 보여주는 제1도와 유사한 단면도.
제6도는 제5도의 플랫형 전지에 사용되는 컵형용기-콜렉터 복합체의 단면도.
제7도는 제6도에 있는 선 7-7을 따라 절단한 컵형 용기-콜렉터 복합체의 단면도.
본 고안은 일반적으로 플랫형 알칼리 전지, 특히 활성소자가 액체 불투과성 플라스틱 막으로 밀봉된 용기에 싸여 있는 플랫형 알카리 전지구조에 관한 것으로, 그 특징은 양과 음의 두 단자 접속부를 갖고 있으며, 또 산소나 수소 감지전극 또는 전압 참조전극으로서 보조전극인 제3의 단자 접속부가 있다는 점이다.
본 고안에 의한 플랫형 전지구조의 장점중의 하나는 전지로부터 전해질이 빠져나가는 누출통로가 연장되어 있다는 점이다. 이 연장된 누출 통로는 용기벽의 내 외측 사이와 내 외부 전류 콜렉터 사이의 두 밀봉 경계면들로 이루어지는데, 다시 말하면 누출통로가 각 콜렉터의 거의 전체 폭이나 전 길이를 횡단하게 되어 있다.
종래 기술분야에서 이미 전류 발생전기 화학전지에서 소위 말하는 ″보조전극″을 사용하여 왔다. 이들 보조 전극들은 예를들어 전지가 과 충전된 상태에서 배출되는 과도한 양의 산소 또는 수소 가스의 존재를 감지 혹은 검출하기 위한 재충전식 전지에 이용되어 왔다.
또, 보조전극은 전지의 음전극과 전압차를 형성하는데 그 값은 밀봉된 전지의 가스 공간에서의 산소분압에 따라 좌우된다. 전지가 과충전을 받았을 때는, 가스 공간의 산소분압이 커지고 전압의 변화가 일어나고, 이 변화는 충전 전류를 중지시키기 위한 제어장치를 작동시키는데 이용되며, 그렇게 해서 전지내부에 과도한 가스압 생성을 막는다.
근본적으로 같은 보조전극 방식이 전기한 바와같은 전지내의 수소기체의 압력감지를 위한 재충전 전지에 이용된다. 이 경우에 보조전극은 전지의 양전극과 전압차를 형성하고, 그 값은 전지동작중에 수소 가스가 방출되는 상태하에서 가스 공간의 수소 분압에 따라 좌우된다.
보조전극은 또한 전압 참조장치로서 전류발생 전기화학전지 내에 결합될 수 있다. 보조참조 전극에 재충전식 니켈-카드뮴 전지의 양 또는 음전극을 전기 화학적으로 결합하여 각 전극들의 방전작용을 서로 독립적으로 연구할 수 있다. 본 고안에서의 보조전극은 전지구조를 분해하지 않고 연구를 할 수 있기 때문에 연구원에게는 유용한 기구이다.
물론 전류 발생 전기화학 전지의 밀봉된 조립체에서 보조전극과 외부적인 전기적 접속을 이루기 위한 장치들이 만들어져야 한다. 그러한 방법은 보통 밀봉된 조립체에 양과 음의 단자 접속부 이외에, 밀봉된 조립체내의 제3의 단자 접속부로 되어 있다. 기본적으로 그 같은 형의 구조는 보조전극이 산소 혹은 수소 감지전극으로 사용되는가 또는 전압 참조전극으로 사용되는 가에 관계없이 제3의 단자 접속부에 사용된다.
본 고안을 첨부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라 만들어진 재충전식 플랫형 니켈-카드뮴 전지를 예시한 것이다. 전지는 한쌍의 얇은 플랫형 양전극판(10)(11)과 한쌍의 얇은 플랫형 음전극판(12)(13) 사이에 끼워진 알칼리성 전해질을 함유하는 다공성 격리판(14)로 이루어져 있고, 양과 음전극판의 쌍들인 (10)-(13)과 격리판(14)는 일반적인 전극 스택(stack) 조립체의 형태로 배열되어 있다. 양과 음전극판 쌍들 (10)-(13)은 양전극판(10)이 전극조립체의 한쪽 끝에 위치한 상태에서 부터 교대로 배열되어 있으며, 음전극판(12)는 양 전극판 쌍들(10)(11)사이에 있고, 음전극판(13)은 전극 조립체의 반대 끝에 위치한다. 알칼리성 전해질로 충분히 젖은 다공성 격리판(14)은 반대극성 전극판 쌍과 접촉하고 그 사이에 끼워져 있다.
즉, 양전극판(10)과 음전극판(12)사이, 그리고 양전극판(11)과 음전극판들(12)(13) 각각 사이에 끼워져 있다. 다공성 격리판(14)는 음전극판(12) 둘레에 완전하게 감겨서 양전극판(11)과 음전극판(13)사이에 삽입되는 격리판 물질의 연결된 스트립 형태이다.
모든 전극판(10)-(13)은 사각형이며, 전극판이 전극 스택 조립체에서 서로 일치하도록 실제로 같은 크기이다. 양전극판(10)(11)은 수산화 니켈 처럼 전기 화학적 산화성 활성 물질을 함유하며, 음전극판(12)(13)은 산화 카드뮴 또는 수산화카드뮴 같은 전기 화학적 환원성 활성 물질을 함유한다. 기술분야에서의 일반적인 응용에 의하면 음전극판(12)(13)은 과충전에 대비한 추가적인 활성 물질을 함유하여 전지의 과충전에서 유해한 수고 가스 발생을 방지한다. 또한 양전극판(10)(11)은 감극제 물질로서 약간의 음성 활성물질을 포함하여 과방전을 보완하는데, 그것은 과방전시 전지의 유해한 수소 가스 발생을 지연시킬 것이다. 양전극판(10)(11)과 음전극판(12)(13)은 소결(燒結)된 금속 판으로부터 제작된 소결된 형태의 전극들인데, 예를들면 기계적 지지체 역할을 하는 니켈 스크린 같은 다공성기질(substrate)의 양측에 니켈 분말같은 금속분말층을 소멸시키는 방법이 있다.
이러한 소결된 금속판은 종래 기술분야에서 잘 알려진 방법들에 의해 전기화학적 활성물질로 충만된다. 알칼리 전해질을 함유한 격리판(14)는 짜여지지 않는 합성섬유 메트(matte) 같은 일반적인 격리판 물질로부터 만들어진다. 바람직한 형은 상품명이 ″페론″인 나일론 섬유로 부터 만들어진다. 전지에 사용되는 알칼리 전해질은 수산화 칼슘 30% 용액이 적합하다.
보조전극(15)는 전극 스택 조립체의 한 끝에서 양전극판에 인접하여 위치한다. 보조전극(15)는 양과 음전극판들(10)-(13) 크기의 반 보다 작고 음전극판(10)의 꼭대기 절반부분상에 적당하게 위치한다.
(도면 1에서의 양전극판의 왼쪽반면), 알칼리 전해질로 완전히 젖어있는 따로 떨어진 다공성 격리판 즉 ″페론″은 양전극판(16)과 보조전극(10) 사이에 삽입되어 접촉한다.
보조전극(15)는 산소 감지전극이다. 그것은 전지 충전시 이 전극에서의 산소 방출의 시작을 보다 효과적으로 감지하기 위해 양전극판(10)에 인접하여 위치한다. 예를들어 산소 감지전극(15)는 니켈로 되어있고, 위에서 상술된 것 같이 소결된 니켈로 부터 만들어지는 것이 좋다.
보조전극(15)를 포함하는 전극 조립체는 얕은 사각형인 컵형 용기(17)에 둘러 싸여있다. 컵형 용기(17)은 전기적 부전도성 플라스틱 막인 폴리프로필렌 막과 같이 액체 불투과성 박판으로 부터 사각형 컵이 진공에 의해 만들어진다. 컵 형용기(17)의 바닥면(19)의 가운데에는 구멍(18)이 형성되어 있다.
제1단자 접속부가 컵 형용기(17)의 바닥벽(19)에 장치되어 있다. 이 단자 접속부는 제1 내외부 전류콜렉터(20)(21)로 이루어져 있는데, 이것들은 예를들어 니켈 박막과 같이 얇은 금속판의 형태이다. 내 외부 전류 콜렉터(20)(21)은 구멍(18)위에 걸쳐진 컵형 용기(17)의 바닥벽(19)의 내측과 외측에 각각 젖지않고 그에 대해 화학적으로 저항하는 접착성 봉함제의 얇은 층(22)(23)에 의해 바닥 벽의 내 외부 측에 각각 단단하게 접착되어 있다.
접착성 봉함제의 층(22)(23)은 콜렉터(20)(21)의 전 표면을 덮어서 콜렉터와 바닥벽(19) 사이의 경계면을 단단히 밀봉하는 것이 좋다. 콜렉터(20)(21)은 점 용접(24) 또는 전 납땜에 의해 구멍(18)을 통하여 전기적으로 서로 연결되어 있다. 그렇지 않으면 콜렉터(20)(21)은 전기 전도성 접합체의 사용에 의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다. 컵형 용기(17)과 콜렉터쌍(20)(21)은 제2도에 예시된 것처럼 복합 구성물을 형성시키는 방법으로 같이 조립되는 것이 좋다.
액체 불투과성 전기적 부전도성 플라스틱 막으로 만들어지는 사각형 덮개(25)가 컵형 용기(17)을 위해 준비된다. 덮개(25)에는 따로 떨어진 한쌍의 구멍(26)(27)이 형성되어 있고, 덮개(25)의 각 반쪽 부분의 대략 중간지점에 각각 위치해 있다.
제2와 제3단자 접속부가 덮개(25)에 장치되어 있다.
이들 두 단자 접속부들은 위에서 상술된 제1단자 접속부의 조립과 기본적으로 같은 방법으로 조립된다.
제2, 제3단자 접속부들은 제2 내외부 전류 콜렉터(28)(29)와 제3 내외부 전류 콜렉터(30)(31)로 각각 구성되어 있으며, 예를들어 니켈 박막과 같이 얇은 금속판 또는 박막으로 되어있다. 두 단자 접속부 각각을 위한 내부 콜렉터(28)(30)은 덮개(25)의 내부측에 인접되어 있으며, 외부 콜렉터(29)(31)은 덮개(25)의 외부측에 인접되어 구멍(26)(27)위로 걸쳐 있다.
콜렉터들의 크기는 덮개(25)의 반쪽 부분보다 작아서 내외부 콜렉터 쌍(28)(29) 및 (30)(31)들은 덮개(25)의 중간지점에서 서로 따로 떨어져 있다. 제2 내외부 콜렉터(28)(29)는 젖지않는 접착성 봉함제의 얇은 층(32)(33)에 의해 덮개(25)의 내 외 부측에 각각 단단히 접착되어 있으며, 점용접(34)에 의해 구멍(26)을 통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유사하게, 제3 내외부 콜렉터(30)(31)은 같은 접착성 봉함제의 얇은 층(35)(36)에 의해 덮개(25)의 내외 부측에 잘 접착되어 있으며, 점 용접(37)에 의해 구멍(27)을 통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어있다. 접착성 봉함제의 층은 내외부 콜렉터(28)(31)의 전면을 거의 덮고 있어서 덮개(25)와 콜렉터 사이의 경계면을 단단히 밀봉한다. 덮개(25)와 콜렉터(28)-(31)은 제3도에서 설명된 것처럼 복합 구성물을 형성하도록 조립되어 있다.
음전극판의 쌍(12)(13)은 얇은 금속 콜렉터 탭(30)에 의해서 전기적으로 서로 연결되어 있는데, 그 탭은 용접과 같은 방법으로 양쪽 음전극판(12)(13)의 상응하는 주변 가장자리의 한 끝에 고착되어 있다.
탭(38)의 다른 끝은, 전극 조립체의 한 끝에서, 제1단자 접속을 위한 내부 콜렉터(20)과 음전극판(13) 사이에 삽입되어 접촉해 있다. 유사하게, 양전극판의 쌍들(10)(11)은 얇은 금속 탭(39)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그 탭의 한쪽 끝은 양쪽 양전극판(10)(11)의 상응하는 외부 모서리에 고착되어 있다.
탭(39)의 다른 끝은 전극 조립체의 다른 한 끝에 있는 제2단자 접속을 위한 내부 콜렉터(28)과 양전극판(10) 위에 걸쳐진 격리판(16) 사이에 끼워져 있다. 탭(38)(39)는 앞으로 더욱 상세히 설명될 전지의 조립 도중에 각각의 콜렉터(20)(28)에 용접되어 고정된다.
다같이 액체 불투과성, 전기적 부전도성의 플라스틱 막으로 만들어진 컵형용기(17)과 덮개(25)에는 가장자리(40)(41)이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이들은 단단한 누출방지봉합선(42)를 만들기위해 가열밀봉과 같은 방법으로 함께 고착된다.
이제 플랫형 전지조립방법을 더욱 상세히 설명할 것이다.
지적한 것처럼 컵형 용기(17)은 접착성 봉함제의 얇은 층(22)(23)에 의해 용기의 바닥벽(19)의 내외부측에 단단하게 접착된 내외부 양쪽 전류 콜렉터(20)(21)와 함께 복합 구성물로서 먼저 만들어진다. 유사하게 덮개(25)는 접착성 봉함제의 얇은 층(32)(33)과 (35)(36)에 의해 덮개의 내외부측에 단단하게 고착된 제1, 제2 내외부 콜렉터 (28)-(31)와 함께 복합 구성물로서 먼저 만들어진다. 탭(38)은 양 전극판상(10)(11)의 상응하는 외부 가장자리에 용접에 의해 고착되어 있다. 전극판 길이의 약 3배인 격리판 재료인 연속적인 스트립(14)은 음전극판(12) 둘레에 완전히 감겨있고, 한쪽끝은 제1도의 (43)에 보인것처럼 가열밀봉에 의해 적절히 음전극판(12)의 외부 가장자리와 겹쳐진 격리판 스트립(14)의 부분에 고착되어 있다. (44)에서 도시된 슬로트에 의해 스트립(14)를 통한 탭(38)의 통로가 마련되어 있다. 봉인(43) 넘어로 뻗은 스트립(14)의 유리부분(14a)는 음전극판 쌍(12)(13) 사이에 끼워진다. 탭(38)은 컵형용기(17)의 바닥안의 제1 내부 콜렉터(20)에 대해 용접에 의해 고착되며 동시에 유사한 방법으로 탭(39)은 덮개(25) 위의 제2 내부 콜렉터(28)에 용접으로 고착된다. 양전극판의 쌍(10)(11)은 음전극판 쌍(12)(13) 사이에 끼워지되 격리판 스트립(14)에 의해 싸여진 음전극판(12)는 양 전극쌍(10)(11) 사이에 삽입되어 전극 조립체를 완성시킨다. 보조전극(15)는 제3 내부 콜렉터(30)에 용접으로 고착된다. 위에 상술한 방법으로 모든 전지부품들이 놓인체로, 덮개(25)는 컵형 용기(17)의 열려진 말단위에 위치되며 그들의 가장자리(40)(41)은 가열밀봉과 같은 방법으로 함께 고착되어 전지조립을 완성시킨다.
위의 설명에서 이미 보여진 바와같이 제1 내외부 콜렉터(20)(21)의 조립은 음단자 접속부를 구성하고 제2 내외부 콜렉터(28)(29)의 조립을 플랫형 전지의 양 단자 접속부를 구성한다. 제3 내외부 콜렉터(30)(31)의 조립은 플랫형 전지에서 예시된 보조산소 감지전극(15)를 위한 단자 접속부인 제3 단자 접속부를 구성한다.
제5도-7도는 본 발명에 따른 플랫형 전지 구조의 다른 구체형을 보여주는 것으로, 거기에서 같은 참조번호는 위에서 설명된 플랫형 전지에서 사용된 것과 같은 부분 또는 비슷한 부분을 표시한다. 이 플랫형 전지구조에서 제3 단자 접속부는 덮개(25) 대신에 컵형 용기(17)의 바닥벽(19)에 결합되어 있다.
이 플랫형 전지구조에서 사용된 전극 조립체는 플랫형의 얇은 양전극판(10)(11)과 기본적으로 같은 배열이며 플랫형의 얇은 음전극판(12)(13)은 전극 조립체의 한 끝에 위치하는 양전극판(10)과 교대로 배열된다. 음전극판(12)는 양전극판(10)(11) 사이에 놓여지고 음전극판(13)은 전극 조립체의 반대 끝에 위치한다.
알칼리 전해질로 완전히 젖어있는 마찬가지의 다공성 격리판 스트립(14)는 양과 음전극판 쌍(10)-(13) 사이에 삽입되어 있다.
보조전극(45)는 전극 조립체 한끝에 있는 음전극판(13)에 인접하여 있다. 보조전극(45)는 양과 음전극판(10)-(13) 크기의 반보다 작으며 음전극(13)의 한쪽 반 부분의 바닥위에 위치해 있다.
(도면 제5도에서 음전극 13의 우측 반면). 예를 들어 ″페론″같은 알칼리 전해질로 완전 젖은 분리된 다공성 격리판(46)은 보조전극(45)와 음전극판(13) 사이에 삽입되어 접촉되어 있다.
이 예에서 보조전극(45)는 수소 감지전극이다. 보조전극(45)는 특히 전지의 과방전시 이 전극에서 방출될지 모르는 수소 가스를 더욱 효과적으로 감지하기위하여 음전극판(13)에 인접하는 것이 좋다. 수소 감지전극(45)는 플라티늄 금속 그룹, 예를들어 플라티늄, 플라디움, 라디움, 같은 적당한 수소촉매를 포화된 소결된 다공의 니켈판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제1단자 접속부는 덮개(25)내에 장치되며, 플랫형의 금속판 또는 박막, 예를들면 니켈박막인 내외부 전류 콜렉터(47)(48)로 이루어져 있다. 내외부 콜렉터(47)(48)은 덮개(25)의 내외부에 인접하게 놓이고, 덮개(25)의 중간지점에 위치한 구멍(49) 위에 걸쳐 놓여있다. 콜렉터(47)(48)은 젖지않는 접착성 봉함제의 얇은 층(50)(51)에 의해 덮개(25)의 내외부측에 단단하게 접착되어 있다. 접착성 봉함제의 층(50)(51)은 각 콜렉터(47)(48)의 전체 표면을 덮어서 콜렉터와 덮개(25) 사이의 경계면을 단단히 밀봉 하도록 하는 것이 좋다. 콜렉터(47)(48)은 점용접(52)에 의해 구멍(49)를 통해서 전기적으로 서로 연결되어 있다. 도면 제1도에서 제4도에서 설명된 플랫형 전지와 비슷하게 덮개(25)와 콜렉터(47)(48)은 위에서 상술한 것처럼 단일복합 구성물을 형성하도록 조립되는 것이 좋다.
제2 제3단자 접속부는 컵형 용기(17)의 바닥벽에 장치되어 있다. 이 두 접속부들은 위에서 상술한 것처럼 기본적으로 같은 방법으로 조절된다. 제2, 제3단자 접속부들은 바닥 벽(19)의 한쪽 반면의 거의 중간에 위치한 구멍(55)위에 걸쳐진 제2 내외부 전류 콜렉터(53,54)와 밑바닥벽(19)의 다른 반면의 중간점에 위치하는 구멍(58)위에 걸쳐진 제3 내외부 전류 콜렉터(56,57)로 각각 이루어져 있다. 내외부 콜렉터(53,54와 56,57)는 니켈 박막과 같은 적당히 얇은 금속판이나 박막이다. 두개의 단자 접속부들 각각에 대한 내부 콜렉터(53,56)는 바닥벽(19)의 내측에 인접하여 있고, 외부 콜렉터(54,57)는 구멍(55,58)위에 걸쳐진 바닥 벽(19)의 외부측에 인접하여 있다. 콜렉터들의 크기는 내외부 콜렉터 쌍(53,54)같이 바닥 벽(19)의 각 절반면보다 작고, (56)(57)은 바닥벽의 중간점에 서로 따로 떨어져 있다. 제2 내외부 콜렉터(53,54)는 젖지 않는 접착성 봉함제의 얇은 층(59,60)에 의해 바닥벽 내외부측에 각기 단단하게 접착되어 있고 점용접(61)에 의해 구멍(55)를 통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같은 방법으로 제3 내외부 콜렉터(56,57)은 마찬가지로 접착성 봉함제의 얇은 층(62,63)에 의해 바닥벽(19)의 내외부측에 각기 단단하게 접착되어 있고, 역시 점 용접(64)에 의해 구멍(58)을 통해 전기적으로 서로 연결되어 있다. 접착성 봉함제 층들은 내외부 콜렉터(53,54)와 (56,57)전 표면을 실제로 덮으며, 바닥벽(19)과 콜렉터 사이의 경계면을 단단하게 봉인한다.
컵형 용기(17)와 콜렉터들(53,54,56,57)도 또한 제6도와 7도에서 도시된 것처럼 복합 구성물을 이루도록 조립되어있다.
본 고안에 따른 구체형의 플랫형 전지는 제1-4도에 도시된 플랫형 전지 구조의 조립과 기본적으로 같은 방법으로 조립된다.
양전극판 쌍(10,11)은 얇은 금속 콜렉터 탭(65)에 의해 전기적으로 상호 연결되며, 용접에 의해 두 양 전극판(10,11)의 상응한 외면 가장자리의 한끝에 고정되어 있다.
탭(65)의 다른 끝은 전극 조립체의 한끝에 있는 제1단자 접속부를 위해 양전극판(10)과 내부 콜렉터(47)사이에 삽입되어 접촉해 있다. 유사하게, 음전극판 쌍(12,13)은 두 음전극판(12,13)에 상응하는 외면 가장자리 한 끝에 고정된 얇은 금속탭(66)에 의해 상호 연결되어 있다. 탭(66)의 다른 끝은 음전극판(13) 위에 걸쳐 있는 격리판(46)과, 전극 조립제의 반대끝에 있는 제2단자 접속부를 위한 내부 콜렉터(53) 사이에 삽입되어 있다. 탭(65,66)은 전지 조립시 각기 콜렉터(47,53)에 용접으로 고정된다. 보조 전극(45)는 제3단자 접속부의 내부 콜렉터(56)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보조전극(45)는 위에서 상술한 바와 마찬가지로 전지 조립시 용접과 같은 방법으로 콜렉터(56)에 고정된다.
플랫형 전지이 구체형에 대한 위 설명에서, 제1 내외부 콜렉터(47,58)의 조립체가 양 단자 접속부를 구성하고, 제2 내외부 콜렉터(53,54)의 조립체는 플랫형 전지의 음 단자 접속부를 구성한다는 사실을 이미 보았을 것이다. 제3 내외부 콜렉터(56,57)의 조립체는 제3 단자 접속부를 구성하는데, 그것은 플랫형 전지의 본 구형체에서 보조수소 감지전극(45)를 위한 단자 접속부 이다.

Claims (1)

  1. 전극 조립체가 한 쌍 이상의 반대극성의 플랫형 전극(10)(11)(12)(13)(15)을 포함하고, 알칼리 전해질을 함유한 다공성 격리판(14)(16)이 전극 판 쌍 사이에 삽입되어 접촉해 있으며, 전극 조립체는 밀봉된 액체 불투과성 플라스틱 막의 용기(17)(25)내에 싸여있고, 용기(17)(25)의 벽에는 제1, 제2 및 제3단자 접속부가 있으며, 각 단자 접속부는 내부 및 외부전류 콜렉터(20)(21),(28)(29),(30)(31)로 구성되어 있고, 그것들은 용기벽(19)(25)의 내외부 측에 각기 인접해서 그 벽의 구멍(18)(26)(27)위로 걸쳐 있으며, 각 콜렉터는 알칼리 전해질에 의해 젖지 않는 접착성 봉함제의 얇은 층(22)(23),(32)(33)에 의해 용기벽(19)(25)의 내외부측에 단단히 접착해 있고, 벽의 구멍(18)(26)(27)을 통해 내부와 외부 전류 콜렉터 사이를 전기적으로 연결해 주는 장치(24)(34)(37)이 있음을 특징으로 하여 구성된 제3의 단자접속부를 가진 알칼리전지.
KR2019800007680U 1980-11-29 1980-11-29 제3의 단자 접속부를 가진 알칼리 전지 KR81000004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00007680U KR810000049Y1 (ko) 1980-11-29 1980-11-29 제3의 단자 접속부를 가진 알칼리 전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00007680U KR810000049Y1 (ko) 1980-11-29 1980-11-29 제3의 단자 접속부를 가진 알칼리 전지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760000642 Division 1976-03-1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10000049Y1 true KR810000049Y1 (ko) 1981-02-09

Family

ID=192196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00007680U KR810000049Y1 (ko) 1980-11-29 1980-11-29 제3의 단자 접속부를 가진 알칼리 전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10000049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1165384A (en) Contact arrangement for a galvanic battery
US4525439A (en) Connector aperture seal for a galvanic cell
US4505996A (en) Primary flat cell
US5569551A (en) Dual air elecrtrode cell
AU705251B2 (en) Flexible thin layer open electrochemical cell
US5639568A (en) Split anode for a dual air electrode cell
US4346151A (en) Multicell sealed rechargeable battery
CA1039805A (en) Flat alkaline cell construction and method for assembling the same
US4554226A (en) Flat cell battery connector seal
US5242763A (en) Battery pack and its packaging method
RU2004103804A (ru) Биполярная электрохимическая батарея из пакетированных галетных гальванических элементов
KR20050000594A (ko) 파우치형 리튬 이차 전지
CN217134447U (zh) 锂电池
US3977906A (en) Flat alkaline cell with positive and negative terminal connections and a third terminal connection for an auxiliary electrode
US3377201A (en) Spiral battery cell
US3982966A (en) Alkaline cell with double collector positive, negative and third terminal connections
KR810000049Y1 (ko) 제3의 단자 접속부를 가진 알칼리 전지
CA1052859A (en) Flat alkaline cell with double collector positive, negative and third terminal connections
KR20040107868A (ko) 파우치형 리튬 이차 전지
JP4284926B2 (ja) 集合型二次電池
JP3061457B2 (ja) 有機電解液電池
KR100274867B1 (ko) 리튬 이온 폴리머전지
JP3888590B2 (ja) 水素化物二次電池の組電池
KR800002135Y1 (ko) 알칼리 전지
US5789102A (en) Alkaline cell and separator therefor